KR20100118439A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8439A
KR20100118439A KR1020090037293A KR20090037293A KR20100118439A KR 20100118439 A KR20100118439 A KR 20100118439A KR 1020090037293 A KR1020090037293 A KR 1020090037293A KR 20090037293 A KR20090037293 A KR 20090037293A KR 20100118439 A KR20100118439 A KR 20100118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rminal
slit
mat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0927B1 (ko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7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9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1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9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clamping part being flexibly or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터미널(3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는 가이드판(32)과, 상기 가이드판(3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차폐판(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31)의 내부에는 결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S)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32)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부(36)가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6)의 양단과 상기 양 차폐판(33)의 선단 사이에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는 결합슬릿(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7)에는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36)와 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터미널(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대 터미널(30')의 결합슬릿(37')에 삽입되고,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밀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동일한 터미널(30,30')을 사용하여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터미널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에서 공용화되는 이점이 있다.
터미널, 몸체부, 결합부, 바렐부, 밀착, 공용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발명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커넥터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이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 중에는 리셉터클 터미널과 탭 터미널이 있는데,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의 내부로 탭 터미널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리셉터클 터미널(1)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몸체부(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는 실제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명확하게 바렐부(5) 및 결합박스부(10)와 영역을 분리할 수는 없다.
상기 터미널(1)의 일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5)가 구비된다. 상 기 바렐부(5)는 크게 와이어바렐(7)과 인슐레이션바렐(8)로 나누어진다. 상기 와이어바렐(7)은 와이어의 심선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8)은 와이어의 피복을 감싸서 터미널(1)과 전선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3)의 타단에는 결합박스부(1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는 터미널(1)의 길이방향으로 전후가 개구된 사각통형상이다. 상기 결합박스부(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터미널인 탭 터미널(15)이 삽입되는 삽입공간(1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박스부(10)의 삽입공간(11) 내부에는 상기 탭 터미널(15)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한 탄성편(12)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12)은 소정의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탭 터미널(15)이 결합박스부(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대응되는 결합박스부(10)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편(12)은 상기 결합박스부(10)의 선단에서 상기 결합박스부(10)의 내면을 향하여 절곡되고, 그 선단이 다시 탭 터미널(15)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편(12)의 일부가 절곡되어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편(12)에는 비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비드부(13)는 상기 탭터미널과 접하는 상기 탄성편(1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비드부(13)는 탭 터미널(15)과 밀착되어 점접촉을 이루게 된다.
탭 터미널(15)은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의 내부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탭 터미널(15)에는 접촉부(16)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부(16)는 상기 탭 터미널(15)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16)는 상기 탄성편(12)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촉부(16)가 구비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상기 탭 터미널(15)에는 바렐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는 상기 탭 터미널(15)에 연결되는 와이어(미도시)가 압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해서는 각각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 터미널(15)이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 터미널(15)은 서로 형상이 다르므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 터미널(15)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각 부품의 형상을 제작하는 금형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개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므로 커넥터의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과 상기 탭 터미널(15)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16)는 상기 비드부(13)와 점접촉되므로, 상기 리셉터클 터미널(1)과 탭 터미널(1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전기적 접촉이 상대적으로 불안한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터미널을 사용하여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게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와 밀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과 상기 몸체부의 양단 사이에는 결합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이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는 상기 탄성지지편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몸체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향해 가이드슬릿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비드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의 가이드슬릿에 안내되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가이드슬릿에는 상대 터미널의 결합비드가 안내되어 삽입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차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과 상기 차폐판의 선단 사이에는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의 선단에는 상기 차폐판과 직교하게 연장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와 접촉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터미널의 결합부가 상기 터미널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대 터미널의 결합슬릿에 삽입되고, 상대 터미널의 결합부에 밀착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동일한 터미널을 사용하여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어, 터미널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에서 공용화므로, 제작비용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 형성된 결합부와 상대 터미널에 형성된 결합 부가 서로 면접촉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되어 본 발명의 터미널을 사용하는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터미널(30)은 도전성 금속재질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타발 및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골격은 몸체부(31)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부(31)는 횡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몸체부(31)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31)는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는 크게 가이드판(32)과, 상기 가이드판(32)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차폐판(33)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판(32)은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과의 결합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폐판(33)은 상기 가이드판(32)의 양측으로부터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부(36)를 향해 각각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33)은 결합부(36)와 함께 상대 터미널(3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대 터미널(30')은 상기 터미널(30)과 형상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 상대 터미널의 도면부호는 상기 터미널(30)과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을 붙여 표시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의 내부에는 결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S)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이드판(32), 양 차폐판(33) 및 결합부(36)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S)은 되도록 그 체적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전체 터미널의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이드판(32)에는 결합공(3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4)에는 커넥터의 내부에 형성된 랜스 또는 별도의 리테이너가 걸어져 지지된다. 즉, 상기 결합공(34)에 랜스 또는 별도의 리테이너가 걸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30)은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몸체부(31)의 가이드판(32)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공간(S)을 향해 탄성지지편(35)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35)은 그 형상과 재질의 특성상 소정의 탄성을 가진다. 상기 탄성지지편(3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판(32)의 선단에서 결합부(36)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선단이 다시 상 기 가이드판(32)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지지편(35)의 일부가 절곡되어 지지대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지지편(35)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상기 결합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밀착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편(35)에는 비드부(35a)가 형성된다. 상기 비드부(35a)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와 접하는 상기 탄성지지편(3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비드부(35a)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와 밀착되어 접점을 이루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편(35)은 가이드판(32)의 선단에서 결합부(36)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선단이 다시 상기 가이드판(32)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지지편(35)은 가이드판(32)의 선단에서 결합부(36)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고, 그 선단이 다시 상기 가이드판(43)의 선단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30)에는 결합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6)는 상기 몸체부(31)와 일체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36)는 상대 터미널(30')과 전기적 연결을 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36)는 상기 가이드판(32)의 타단, 즉, 상기 탄성지지편(35)이 형성된 일단과 반대되는 타단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6)는 상기 가이드판(32)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판(3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직교하게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6)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상대 터미널(30')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넓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결합부(36)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와 면접촉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부(36)는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6)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36a)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6a)은 상기 가이드판(32)과 마주보는 상기 결합부(36)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결합공간(S)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36a)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결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36)의 양단과 상기 양 차폐판(33)의 선단 사이에는 결합슬릿(3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7)은 상기 터미널(30)의 외부와 상기 결합공간(S)이 연통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7)은 상기 결합부(36)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7)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릿(37)의 폭(g)은 결합부(36)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양 차폐판(33)과 상기 결합부(36) 사이로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결합부(36)는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와 밀착된다.
상기 결합슬릿(37)에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압입이 착실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폐판(33)의 선단에 상기 차폐판(33)과 직교하고 상기 결합부(36)와 평행하게 연장리브(미도시)를 형성하여 결합부(36')의 접촉면적을 더 넓힐 수도 있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6)의 선단에는 가이드슬릿(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38)은 상기 결합부(36)의 선단 중앙으로부터 상기 결합공간(S)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어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슬릿(38)은 상기 결합부(36)의 선단을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38)은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비드(39)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슬릿(38)은 결합비드(39)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36)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결합비드(39)와 함께 터미널(30)과 상대터미널(30')이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가이드슬릿(38)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결합부(36)에는 결합비드(39)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비드(39)는 상기 결합부(36)로부터 상기 결합공간(S)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비드(39)는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형성된 가이드슬릿(37')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비드(39)는 상기 상대 가이드슬릿(37')에 삽입되면서 상기 결합부(36)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결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30)과 상대터미널(30')이 결합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때, 상기 결합비드(39)는 상기 가이드슬릿(37')과 압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31)의 일단에는 바렐부(50)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바렐부(50)는 상기 몸체부(3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결합부(36)가 연장되 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50)는 상기 가이드판(32)의 일부가 절개되어 절개된 부분이 상기 몸체부(31)의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50)는 와이어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바렐부(50)는 횡단면이 대략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바렐부(50)의 형상은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렐부(50)는 와이어바렐(미도시)와 인슐레이션바렐(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바렐은 와이어(미도시)의 심선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와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은 와이어의 피복을 둘러 감싸 압착되어 와이어가 터미널과 물리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터미널(30)은 커넥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30')이 삽입됨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3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을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터미널(30)의 가이드판(32)은 상부를 향해 위치되고,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가이드판(32)은 하부를 향해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상대 터미널(30')의 결합공간(S')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 가 상기 터미널(30)의 결합공간(S)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즉, 상기 터미널(30)의 양 차폐판(33)과 상기 결합부(36)의 사이 즉, 상기 결합슬릿(37)으로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선단이 오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을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슬릿(37')으로 오도록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으로 결합시키면, 상기 터미널(30)의 결합슬릿(37)으로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6)의 안내경사면(36a)을 따라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의 이동이 안내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도 상대 터미널(30')의 결합슬릿(37')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형성된 가이드슬릿(38)에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비드(39')가 안내되면서 삽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형성된 결합비드(39)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가이드슬릿(37')에 안내되어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외력이 가해지거나 외부로부터 진동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이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밀착되면서, 상기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이 상기 가이드판(32) 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도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의해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가이드판(3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와 상태 터미널(30)의 결합부(36)가 각각 상기 터미널(30)의 결합공간(S)과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공간(S')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과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의 비드부(35a)는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밀착되고, 상기 상대 터미널(30)의 탄성지지편(35')의 비드부(35a')는 상기 터미널(30)의 결합부(36)에 밀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터미널(30)을 사용하여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터미널(30)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에서 공용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은 각각 형성된 결합부(36,36')에 의해 서로 면접촉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상기 터미널(30)과 상대 터미널(30') 사이의 접촉면적을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터미널(30)의 몸체부(31)에는 탄성지지편(35)이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미널(30)에 형성된 결합슬릿(37)에 압입되는 것 만으로도 상대 터미널(30)의 결합부(36')는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탭 터미널과 리셉터클 터미널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터미널 31: 몸체부
32: 가이드판 33: 차폐판
34: 결합공 35: 탄성지지편
35a: 비드부 36: 결합부
36a: 안내경사면 37: 결합슬릿
38: 가이드슬릿 39: 결합비드
50: 바렐부 30': 상대 터미널

Claims (8)

  1.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내부에는 상대 터미널의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와 밀착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서 상기 결합부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와이어가 연결되는 바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과 상기 몸체부의 양단 사이에는 결합슬릿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릿의 폭은 상기 결합부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로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연장 되어 상기 결합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부는 상기 탄성지지편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몸체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절곡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선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선단을 향해 가이드슬릿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의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비드가 상기 결합공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의 가이드슬릿에 안내되어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가이드슬릿에는 상대 터미널의 결합비드가 안내되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와 마주보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결합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차폐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의 양단과 상기 차폐판의 선단 사이에는 상기 결합슬릿이 형성됨 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선단에는 상기 차폐판과 직교하게 연장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상대 터미널의 상기 결합부와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1020090037293A 2009-04-28 2009-04-28 터미널 KR101520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3A KR101520927B1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7293A KR101520927B1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8439A true KR20100118439A (ko) 2010-11-05
KR101520927B1 KR101520927B1 (ko) 2015-05-15

Family

ID=4340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293A KR101520927B1 (ko) 2009-04-28 2009-04-28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9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333A (ja) 2000-10-18 2002-04-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6824412B2 (en) 2002-08-22 2004-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latching sliding contact mechanism enabling impedance matching between two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927B1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0900B2 (en) Coaxial connector with floating mechanism
JP2018181404A (ja) 電気コネクタ
US10622743B2 (en) Terminal module with a conductive obliquely wound coil spring held against a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having such a terminal module
KR200432451Y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9022817B2 (en) Connector terminal including limiter extending along first and second spring terminals
JP2008047417A (ja) 電気コネクター用端子及び該端子をそなえた電気コネクター
JP4052595B2 (ja) コネクタのシールド構造
KR20100118439A (ko) 터미널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78720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50639Y1 (ko) 터미널
KR20100008653A (ko) 리셉터클터미널
KR20090004915U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WO2015099180A1 (ja) コネクタ
KR200444472Y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100922154B1 (ko) 커넥터
KR20100002986A (ko) 커넥터
KR101512612B1 (ko) 리셉터클 터미널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JP5878363B2 (ja) ジャック
JP2016152070A (ja) 端子接続構造
JP2012221578A (ja) コネクタ
KR20090004297U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