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1268B1 - 전기 커넥팅 모듈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1268B1
KR101751268B1 KR1020150176672A KR20150176672A KR101751268B1 KR 101751268 B1 KR101751268 B1 KR 101751268B1 KR 1020150176672 A KR1020150176672 A KR 1020150176672A KR 20150176672 A KR20150176672 A KR 20150176672A KR 101751268 B1 KR101751268 B1 KR 10175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tact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2059A (ko
Inventor
타카요시 엔도
사카이 야기
슈지 토우노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72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01R13/052Resilient pins or blades co-operating with socket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5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by stamped-out resilient contact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Abstract

전기 커넥팅 모듈은 제1 전기 커넥터(10) 및 제2 전기 커넥터(20)를 포함하고, 이 둘 모두는 서로 동축으로 끼워 맞춤 가능하다. 제1 전기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1), 및 제1 하우징(11)에 형성된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12)를 포함한다. 제2 전기 커넥터(20)는 제2 하우징(21) 및 제2 하우징(21) 내에 고정된 실린더형 단자(22)를 포함하고, 실린더형 단자(22)는 전기 도전성 시트가 원형 단명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 만들어진다. 접촉 단자(12)는 실린더형 단자(22)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접촉 피스(121)를 포함한다. 각각의 하우징(11, 21)은 탄성 접촉 피스가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되는 영역(2211) 이외의 내측면에서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하도록 만드는 포지셔닝 섹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팅 모듈{ELECTRICAL CONNECTING MODULE}
본 발명은 제1 하우징을 가지는 제1 전기 커넥터; 및 제2 하우징을 가지는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 맞춤되어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실린더형 단자 및 제2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전기 커넥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종의 전기 커넥터(예컨대, 점화기로서 역할 하는 글로(glow) 플러그 또는 엔진 내의 예열 플러그에 장착되는 커넥터 및 연소 압력 센서를 와이어 하네스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수(male) 커넥터를 포함한다. 수 커넥터가 암 커넥터와 회전 대칭이 되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수 커넥터가 그 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수 커넥터는 암 커넥터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따라서, 수 커넥터는 어둠 속에서 수동으로 취급되더라도 암 커넥터로 쉽게 끼워맞춤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탄성 접촉 피스를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를 가지는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한다.
도 32는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1997-35825호에 개시된 종래기술의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시된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100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1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1000)는 실린더형 플러그 절연체(1001); 및 플러그 절연체(1001)의 말단부에서 각각의 컨택트(1002) 까지의 거리가 서로 상이하도록 플러그 절연체(1001)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 복수의 컨택트(1002)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10)에는 플러그 커넥터(1000)가 끼워맞춤될 수 있는 홀(1011)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10)는 홀(1011)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복수의 원형 리셉터클 컨택트(1012)를 포함한다.
각각의 원형 리셉터클 컨택트(1012)는 리드를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원형 리셉터클 컨택트(1012)는 홀(1011)의 직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다.
도 33은 컨택트(1002)의 투시도이다. 컨택트(1002)는 아치 형상이고, 그 중앙에 비드(1002a)가 형성되어 있다. 비드(1002a)는 그 꼭대기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10)의 리셉터클 컨택트(1012)와 핀 접촉(point-contact) 한다.
도 34는 일본 특허출원 공개번호 제2007-521181호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고, 도 35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전기 커넥터는 커넥터(1110) 및 인플레이터(inflator)(112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1120)는 커넥터(1110)에 의해 동작되고, 단일 중앙 핀(1122)을 가진 (도시되지 않은) 이니시에이터(initiator) 및 커넥터(1110)가 보유되는 리셉터(1121)를 포함한다.
커넥터(1110)는 리셉터(1121) 내에 배열된 스플라인(1123)을 가진 메쉬 내에 있는 복수의 립(1111)을 포함한다. 립(1111)은 커넥터(1110)가 복수의 각도로 리셉터(1121)와 맞물리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커넥터(1110)가 인플레이터(1120)와 조립된 후 커넥터(1110)가 인플레이터(112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1110)가 인플레이터(1120)와 접속된 때, 커넥터(1110)의 헤드의 축 부분은 헤더 아일릿(1124)의 실린더형 스커트와 접촉하고, 헤더 아일릿(1124)의 실린더형 스커트와 바늘 형태인 중앙 핀(1122)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 32 내지 도 35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전기 커넥터 이외에도, 제1 하우징을 가진 제1 전기 커넥터 및 제2 하우징을 가진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공지된 전기 커넥터가 존재한다. 제1 하우징 내에 배열된 실린더형 단자 및 제2 하우징 내에 배열된 접촉 단자 내에 수용된 탄성 접촉 피스는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될 때 서로 접촉한다.
실린더형 단자는 전기 도전성 시트를 둥글게 말고, 그 시트가 원을 형성하도록 그 시트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 만들어진다.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탄성 접촉 피스는 이러한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이 영역에는 시트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킬 때 단차(step) 또는 단차들이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 단자는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단차/단차들에 의해 긁히거나 손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 중 하나가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가 서로 끼워맞춤되는 동안 진동 및/또는 충격으로 인해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면, 접촉 단자는 상기 언급한 영역 위로 미끄러질 것이고, 이는 접촉 단자가 마모되거나 및/또는 변형되게 만든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 사이의 전기적 접속에 있어서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앞서 언급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접촉 단자가 손상 및/또는 변형되지 않고도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게 할 수 있는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하여, 접촉 단자와 실린더형 단자 사이에 전기적 접속에 대한 강화된 신뢰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형태는,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1 전기 커넥터;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1 전기 커넥터 및 제2 전기 커넥터는 모두 서로 동축으로 끼워 맞춤 가능하고, 제1 전기 커넥터는: 제1 하우징; 및 제1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제2 전기 커넥터는: 제2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된 실린더형 단자를 포함하고, 실린더형 단자는 전기 도전성 시트가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 만들어지고; 접촉 단자는 실린더형 단자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각각은 탄성 접촉 피스가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내측면에서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게 하는 포지셔닝 섹션(positioning section)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팅 모듈에서, 포지셔닝 섹션은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제1 및 제2 하우징을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하여, 탄성 접촉 피스가 상기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된 영역 이외의 내측면에서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전기 커넥터 모듈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포지셔닝 섹션에 돌기 및 돌기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 및 오목부 중 하나는 제1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된 제1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돌기 및 오목부 중 다른 하나는 제2 하우징의 제2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면은 선택된 제2 면이 제1 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2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되는,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돌기는 제2 하우징의 외측면상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제1 하우징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다.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끼워맞춤될 때 오목부 내로 돌기를 끼워맞춤으로써, 제1 및 제2 하우징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전기 커넥터 모듈로서, 제1 형태와 더불어, 포지셔닝 섹션에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돌기와 끼워맞춤 가능한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오목부 중 일부는 제1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된 제1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오목부 중 나머지는 제2 하우징의 제2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면은 선택된 제2 면이 제1 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2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되고; 그리고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오목부는 제1 하우징의 축 및 제2 하우징의 축 중 적어도 하나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한다.
돌기 및 오목부를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게 설계함으로써,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으로 임의의 회전 각도로 끼워 맞춤되더라도,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으로 하나의 돌기가 하나의 오목부와 나란하게 되는 회전 각도로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제4 형태는,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1 형태에 따라, 포지셔닝 섹션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으로 끼워맞춤되어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후, 실린더형 단자와 탄성 접촉 피스가 서로 접촉하게 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는,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한다.
제1 및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은 다른 하우징으로 끼워 맞춤된다. 포지셔닝 섹션은 제1 및 제2 하우징을 위치 고정시켜, 탄성 접촉 피스가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은 서로에 대한 회전 각도의 제한 없이 어느 회전 방향으로 다른 하우징으로 끼워 맞춤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 후 탄성 접촉 피스가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므로, 제1 및 제2 하우징은 탄성 접촉 피스가 실제로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고 있을 때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하우징의 서로에 대한 상호 회전의 결과로서, 실린더형 단자의 앞서 언급한 영역에 의해 탄성 접촉 피스가 긁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가 손상 및/또는 마모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형태는,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3 형태와 더불어, 제1 세트는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제2 세트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제1 세트 및 제2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360/N 개의 위치 중에서 임의의 M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N은 임의의 중앙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M은 양의 정수이고 360/N보다 작은,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5 형태와 더불어, 제1 세트 및 제2 세트 중 다른 세트는 N × S 중앙 각도마다 형성되고, S는 2보다 작지 않은 정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S × 360/N 는 M보다 크지 않은, 전기 커넥팅 모듈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N은 9와 같고; M은 5와 같고; 그리고 S는 3과 같다.
앞서 언급한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이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팅 모듈에서, 탄성 접촉 피스는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되는 영역 이외의, 실린더형 단자의 내측면에서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촉 단자가 실린더형 단자와 손상 및/또는 변형되지 않고 접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제1 및 제2 하우징 간의 접속에 대한 강화된 신뢰도를 보장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3은 커넥터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로서, 탄성 접촉 피스가 들어 올려져 탄성 접촉 피스가 단자 몸체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8는 도 7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팅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전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제1 원통형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의 제2 원통형 단자의 투시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0에 도시된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도 15보다 더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투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2 커넥터 단자가 서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제1 커넥터 단자 및 제2 커넥터 단자가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시프트된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2에 도시된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3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도 12에 도시된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제1 커넥터 단자와 제1 원통형 단자 간의 접촉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a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 공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에 이어서 탄성 접촉 피스가 상승된 부분 위로 지나간 단자 공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4는 하나의 변형에 따른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는 커넥터 단자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하나의 변형에 따른 도 24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밑면도이다.
도 26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1 변형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0은 단자 공간으로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제2 변형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1는 도 30에 이어서 단자 공간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커넥터 단자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2는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일부분의 투시도이다.
도 34는 다른 종래의 전기 커넥터의 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단자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 및 후방"의 단어와 관련하여, 단어 "전방"은 두 전기 커넥터가 서로 끼워 맞춤되는 쪽을 의미하고, 단어 "후방"은 "전방의 반대쪽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10) 및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20)는, 예컨대, 와이어 하네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전기 커넥터(20)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단자이다.
먼저, 제1 전기 커넥터(10)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는 도 10에 도시된 제2 전기 커넥터(20)가 끼워 맞춤되는 외부 하우징(11)(제1 하우징), 제1 전기 커넥터(10)를 제2 전기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복수의 제1 접촉 단자(12)(커넥터 단자), 및 제1 전기 커넥터(10)를 제2 전기 커넥터(2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프로젝팅 단자(13)를 포함한다.
외부 하우징(11)은 실린더 형상이다. 외부 하우징(11)은 제1 부재(111) 및 제2 부재(112)로 이루어진다.
제1 부재(111)는 외부 하우징(11)의 후방 단부에 커버부(111a)를 포함한다. 커버부(111a)는 케이블(C)을 단자에 접속시키는 커넥터(제1 접촉 단자(12) 및 프로젝팅 단자(13))를 보호하고, 그 안에 시일(124)을 수용한다(도 3 참조). 제1 부재(111)는 프로젝팅 단자(13)가 삽입될 단자 공간(R1)을 구비한 제1 축(114)을 더 포함한다. 제1 축(114)은 외부 하우징(11)의 중심축(L1)과 동축으로 뻗어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114)은 각각 그 개방 단부에서부터 근단부를 향해 갈수록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3 스테이지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축(114)은 전단 스테이지, 중간 스테이지, 및 후단 스테이지를 포함하며, 전단 스테이지는 중간 스테이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고, 중간 스테이지는 후단 스테이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단자 공간(R1)으로 이끌기 위해 제1 축(114)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 홀(114a)이 제1 축(114)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111)는 제1 접촉 단자(12)가 제1 부재로 삽입될 수 있도록 자신과 제1 축(114) 사이에 단자 공간(R2)을 가지는 둘레 벽 부(111c), 및 제1 부재(111)를 제2 부재(112)와 체결시키는 잠금 피스(111f)를 포함한다.
제2 부재(112)는 원통형이고, 제1 부재(111)에 연결될 때 자신과 제1 축(114) 사이에 제1 끼워맞춤 홀(115)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2 전기 커넥터(20)(도 16 참조)는 형성된 제1 끼워맞춤 홀(115)로 끼워맞춤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의 중심축(L1)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제1 전기 커넥터(10)의 길이 방향(F1)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선형 홈(111g)이 제1 접촉 단자(12)에 의해 둘러싸인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의 제2 부재(112)에서, 선형 홈(111g)은 서로 중심 각이 40도씩 떨어져 있는 9 위치 중 5 위치에서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시일 부재(113)가 도 1에 도시된 제1 부재(111)와 제2 부재(112) 사이의 커플링 부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도 2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제1 축(114)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 홀(115)을 앞에서 보았을 때,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 둘레에 서로 둘레 방향으로 동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3개의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120도의 중심 각도만큼 제1 축(114)의 3개의 직경 스테이지를 따라 배열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금속 피스를 U자형으로 구부려 형성된 전기 도전성 탄성 접촉 피스(121), 단자 공간(R2)(도 14 참조)으로 삽입되는 제1 단자 몸체(122), 및 그 위에서 케이블(C1)이 압착되는 번들링 부(123)를 포함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제1 단부(1211)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바닥벽(1221)으로부터 뻗어 있고, 그 단부에 U자형으로 접힌 부분(1212)을 형성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내부로 더 뻗어 있고, 자유단의 제2 단부(1213)에서 끝난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탄성 접촉 피스(121)를 아래에 언급된 제1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로서 역할하는 부분을 가진다. 접촉부(1214)는 아래에 언급된 제1 실린더형 단자의 주변 아크 면을 따른 외측면을 가지는 아크를 가진다.
복수의 슬림 돌기(1214a)가 접촉부(1214) 내에 형성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2개의 돌기(1214a)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의 중심축(L1)에 수직인 방향(F3)(탄성 접촉 피스(121)의 폭 방향)으로 탄성 접촉 피스(121)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1 단부(1211)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 제1 만곡부(12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바닥벽(1221)을 향해 구부러지게 만든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최초 상태에서, 제1 실시예의 제1 만곡부(1215)는 바닥벽(1221)에서 이어진 제1 단부(1211)로부터의 오르막 부분이 개구(1222a)까지 이어진 후 개구(1222a) 반대쪽에 있는 바닥벽(1221)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진다.
초기 상태에서, 접힌 부분(1212)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 밖으로 돌출해 있고, 접촉부(1214)는 제1 단자 몸체(122)의 상벽(1222)에 형성된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제2 단부(1213)에, 바닥벽(1221)을 향한 볼록부를 가진 제2 만곡부(12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 몸체(122)는 속이 빈 직방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제1 단자 몸체(122)는 그 측벽(1223)에 랜스(lance)(1224)가 형성되어 있다. 랜스(1224)는 측벽(1223)의 일 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바깥쪽으로 기울임으로써 만들어진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는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도 14 참조)으로 삽입된 후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도 26 및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는 개방 단부(1224b)가 측벽(1223)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측벽(1223)에 대하여 기울어진 경사(1224c)를 형성하는 개방 단부(1224b)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경사(1224c)는 그 폭이 개방 단부(1224b)에서 최대가 되도록 제1 접촉 단자(12)의 길이 방향으로 변하는 폭을 가진다.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에 대하여 제1 경사 각도로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제1 단자 몸체(122)에 대하여 제1 경사 각도보다 큰 제2 경사 각도로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경사(1224c)를 형성하는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번들링 부(123)는 그 위에서 케이블(C1)을 압착하여 케이블을 자신에게 고정시킨다. 번들링 부(123)는 절연체 베럴(123a) 및 와이어 베럴(123b)를 포함한다. 제1 접촉 단자(12)는 케이블(C1)이 삽입되는 시일(124)을 번들링 부(123)의 후방에 더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프로젝팅 단자(13)는 제1 축(114)의 근단부에 형성된 단자 공간(R1) 내에 수용되고, 제2 전기 커넥터(20)의 아래에 언급된 제2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팅 단자(13)는 접촉부(131), 제2 단자 몸체(132), 및 번들링 부(133)를 포함한다.
접촉부(131)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접촉 피스(131a), 접촉 피스(131a)의 말단부 및 근단부에 배열된 한 쌍의 C자형 바인더(131b), 및 접촉 피스(131a)의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C자형 바인더(131b)까지 이어진 콘 부(131d)를 포함한다.
제2 단자 몸체(132)는 속이 빈 직방형 단면을 가진다.
번들링 부(133)는 그 위에서 케이블(C1)을 압착하여 케이블을 자신에게 고정시킨다. 번들링 부(133)는 절연체 베럴(133a) 및 와이어 베럴(133b)를 포함한다.
이제, 제2 전기 커넥터(20)의 구조가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 커넥터(2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전기 커넥터(10)에 끼워맞춤되는 내부 하우징(21),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접촉 단자(12)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 및 제2 실린더형 단자(23)를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21)은 내부 하우징(21)의 전방의 절반부 내에 둘레 벽 부분(212)을 포함한다. 둘레 벽 부분(212)은 그 내부에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축(114)(도 1 참조)이 끼워맞춤되는 제2 고정 홀(211)을 형성한다. 제2 고정 홀(211)은 각각 개방 단부에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내경을 가지는 복수의 스테이지로 이루어진다. 둘레 벽 부분(212)은 제1 전기 커넥터(10)가 제2 전기 커넥터(20)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끼워맞춤될 때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외부 둘레 면(212a)을 가진다.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의 절반부는 그 위에 돌기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실린더 부(212b)이다. 제2 전기 커넥터(20)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뻗어 있는 3개의 선형 돌기(212c)는 외부 둘레 면(212a)의 후방 절반부에 그리고 내부 하우징(21)의 축(L2)(도 10 참조)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 선형 돌기(212c)들은 둘레 방향(F4)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즉, 120도 중심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제2 축(213)은 제2 고정 홀(211) 내에 뻗어 있다. 제2 축(213)은 실린더 형상이고, 그 안에 배치된 제2 실린더형 단자(23)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2 축(213)과 동축이고, 외부에 노출된 접촉면(2212)과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의 내측면 상에서 고정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실린더형 접촉부(221) 및 선형 커넥터 부(222)를 포함한다.
접촉부(221)는 제1 접촉 단자(12)(도 3 참조)의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접촉부(221)는 접합부(2211)를 통해 서로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부를 접합시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단부(2211a)는 돌기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제2 단부(2211b)는 오목부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오목부에 돌기를 끼워맞추고 그것들을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단부(2211a 및 2211b)는 서로 결합된다. 접합부(2211)가 앞서 언급한 돌기 및 오목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므로, 접합부(2211)는 접촉부(221)의 근단부 및 개방 단부 사이의 범위의 길이, 및 돌기 및 오목부의 길이와 동등한 폭을 가진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은 그 안에 각각 서로 상이한 내경을 가지는 3개의 스테이지를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 고정 홀(211)의 개방 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제1 스테이지는 가장 큰 내경을 가지고, 제2 고정 홀(211)의 개방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위치하는 제3 스테이지는 가장 작은 내경을 가지고, 제1 및 제3 스테이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스테이지는 제1 스테이지의 내경보다 작지만 제3 스테이지의 내경보다는 큰 내경을 가진다.
제2 전기 커넥터(20)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 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 스테이지 각각의 내측면 상에 배열되어 있다. 제1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 중 가장 큰 내경을 가지고, 제3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3개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 중 가장 작은 내경을 가지고, 그리고 제2 스테이지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부(221)는 상기 가장 큰 내경과 가장 작은 내경 사이의 내경을 가진다.
커넥팅 부(222)는 접촉부(221)에서 내부 하우징(21)의 후방 단부를 향해 곧게 뻗어 있고, 내부 하우징(21) 밖으로 노출되고 인쇄 배선판(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될 개방 단부를 가진다. 커넥팅 부(222)에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내부 하우징(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랜스(2221)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제2 축(213) 내에 수용된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그 안으로 프로젝팅 단자(13)를 삽입하기 위한 개방 단부를 가진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제2 축(213)을 지나 바깥쪽으로 뻗어 있고, 그러므로 그 개방 단부에서 제2 축(213) 밖으로 노출된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그것과 일체가 되도록 제2 축(213)과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린더형 단자(23)는 실린더 부(231), 잘록한 부분(232), 닫힌 부분(233), 및 L자형 커넥팅 부(234)를 포함한다.
잘록한 부분(232)은 실린더 부(231)의 후방에 위치하고, 커넥팅 부(234)가 뻗은 방향으로 감소하는 두께를 가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잘록한 부분(232)은 실린더 부(231)의 직경과 동등한 폭(제1 방향(A1)의 길이))을 가지고, 실린더 부(231)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에서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길이 방향으로 점점 감소하는 두께(제1 방향(A1)에 수직인 제2 방향(A2)의 길이)를 가진다. 이러한 두께 감소의 결과로서, 잘록한 부분(232)은 최종적으로 평평해진다.
닫힌 부분(233)은 잘록한 부분(232)의 후방에 그리고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근단부에 위치한다. 닫힌 부분(233)은 잘록한 부분(232)의 폭보다 큰 폭(방향(A1)의 길이)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닫힌 부분(233)은 실린더 부(231)의 직경보다 작은 두께, 및 실린더 부(231)의 직경보다 큰 폭을 가진다.
L자형 커넥팅 부(234)는 닫힌 부분(233)에서 이어진다. L자형 커넥팅 부(234)는 닫힌 부분(233)과 수직이 되도록 구부러지고, 실린더 부(231)와 평행하게 다시 수직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 부(234a), 및 판 형상 부(234a)의 개방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바늘 부(234b)를 포함한다.
이제, 앞서 언급한대로 구성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가 사용되는 방법이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기 커넥터(10) 및 제2 전기 커넥터(20)는 서로 가까워지고 있다. 그 다음,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의 개방 단부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과 나란하게 되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의 개방 단부가 또한 (제1 축(114)의) 가이드 홀(114a)과 나란하게 된다.
그 다음,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제1 끼워맞춤 홀(115)의 길이 방향(F1)으로 전진되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 또한 가이드 홀(114a)의 길이 방향(F1)으로 전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 절반부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실린더 부(212b)이다(도 10 참조). 따라서, 둘레 벽 부분(212)의 전방 절반부만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삽입된 때,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아직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로 끼워맞춤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그 중 하나를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끼워맞춤할 수 있다. 사용자는 회전 방향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도 16의 상태 이후,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전진되고, 그 다음 둘레 벽 부분(212)의 선형 돌기(212c)가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으로 끼워맞춤되어, 외부 하우징(11) 및 내부 하우징(21)은 서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된다.
뿐만 아니라, 둘레 벽 부분(212)이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전진된 때, 프로젝팅 단자(13)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로 삽입되어 서로 접촉된다. 게다가, 제2 전기 커넥터(20)의 각각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1 전기 커넥터(10)의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 및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포지셔닝 유닛(positioning unit)을 구성한다. 포지셔닝 유닛은 내부 하우징(21)을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형성된 후, 포지셔닝 유닛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탄성 접촉 피스(121)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에서 내부 하우징(21)과 외부 하우징(11) 사이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한다.
즉, 삽입의 시작 시, 제2 전기 커넥터(20)는 삽입 방향에 대하여 제1 전기 커넥터(10)로부터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로서 역할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1)과 내부 하우징(21)의 포지셔닝 유닛이 형성된 후,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다. 즉,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탄성 접촉 피스(121)와 접촉한 때, 내부 하우징(21)과 외부 하우징(11) 간의 상대적 회전은 이미 금지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실린더형 접촉부(221) 및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전기 커넥터(10)와 제2 전기 커넥터(20) 간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마모되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축이 프로젝팅 단자(13)의 축으로부터 어긋나 있더라도, 아래의 이유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프로젝팅 단자(13)가 제2 실린더형 단자(23)로 끼워맞춤될 때, 접촉부(131)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내측면 상에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미끄러짐 동작은 프로젝팅 단자(13)의 접촉부(131)의 자세를 자동으로 보정한다.
그러나, 프로젝팅 단자(13)는 프로젝팅 단자(13)와 제1 축(114)의 내측면 간의 갭이 존재하도록 단자 공간(R1) 내에 수용되고, 랜스(134)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접촉부(131)의 자세가 제2 실린더형 단자(23)에 의해 보정되더라도, 프로젝팅 단자(13)의 제2 단자 몸체(132)는 접촉부(131)의 자세가 보정된 새로운 축방향으로, 단자 공간(R1)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팅 단자(13)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새로운 축 방향을 따르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기 커넥터(20)를 제1 전기 커넥터(10)로 더 삽입함으로써, 내부 하우징(21)의 둘레 벽 부분(212)은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완전히 끼워맞춤되고, 외부 하우징(11)의 제1 축(114)은 내부 하우징(21)의 제2 고정 홀(211)로 완전히 끼워맞춤되고, 그리고 내부 하우징(21)의 제2 축(213)은 제1 축(114)의 가이드 홀(114a)로 완전히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 각각의 제1 접촉 단자(12)는 내부 하우징(2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각각의 실린더형 접촉부(221)와 접촉한다. 그리고, 프로젝팅 단자(13)의 접촉부(131)는 제2 실린더형 단자(23)의 실린더 부(231)로 삽입되어 서로 접촉한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는 서로 끼워맞춤된다.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축(114)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제1 축(114)의 외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는 제2 축(213)과 동축으로 내부 하우징(2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제1 축(114)과 제2 축(213)이 서로 끼워맞춤될 때,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서로 끼워맞춤 될 때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을 둘레 방향으로 위치조절하기 위한 다른 포지셔닝 유닛이 설명된다.
도 17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포지셔닝 유닛은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 및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로 이루어진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둘레 벽 부분(212)이 그 전방 절반부만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로 삽입된 때, 내부 하우징(21)의 선형 돌기(212c)는 아직 외부 하우징(11)의 선형 홈(111g)으로 끼워맞춤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 중 하나를 서로에 대하여 회전시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돌기(212c)가 선형 홈(111g)에 끼워맞춤된 후,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은 회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고정되어 서로에 대하여 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없다.
선형 돌기(212c) 및 선형 홈(111g)은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접합부(2211) 이외의 접촉면(2212)과 접촉하게 만든다.
도 17 및 18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제1 축(114)의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접촉 단자(12)는 제2 고정 홀(211)의 가장 깊은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돌기(212c)는 내부 하우징(21)의 외부 주변 면(212a) 상에 120도 중심 각도로 배열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선형 홈(111g)이 외부 하우징(11)의 제1 끼워맞춤 홀(115)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및 외부 하우징(11 및 21)은 내부 하우징(21)의 3개의 선형 돌기(212c)가 외부 하우징(11)의 5개의 선형 홈(111g) 중 3개와 나란하게 된 때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는 제1 접촉 단자(12)의 한쪽에(도 17에서는 좌측에) 가깝게 위치하고, 탄성 접촉 피스(121)의 돌기(1214a)들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면(2212)과 접촉한다.
외부 하우징(11)은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 대하여, 인접한 선형 홈(111g) 간의 각도 간격인 40도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과 함께 회전된다.
대안으로서, 내부 하우징(21)은 시계 방향으로 40도 회전된다. 제1 실린더형 단자(22)가 내부 하우징(2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도 내부 하우징(21)과 함께 회전된다.
회전된 선형 돌기(212c)는 선형 돌기(212c)가 끼워 맞춤되었던 다른 선형 홈(111g) 부근에 위치하는 선형 홈(111g) 중 하나(도 17에서는 우측의 홈)에 끼워맞춤된다(도 19 및 도 20 참조).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선형 돌기(212c)는 하나의 선형 홈(111g)과 다른 선형 홈(111g) 사이에서 이동하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는 제1 접촉 단자(12)의 돌기(1214a) 위로 이동한다.
이는 외부 하우징(11)의 중심축(L1)(도 1 참조) 둘레의 인접한 선형 홈(111g) 사이의 각도 간격이 내부 하우징(21)의 중심축(L2)(도 10 참조) 둘레의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도 12 참조)를 덮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되기 때문이다.
접합부(2211)가 접촉부(221)의 양단부(2211a 및 2211b)를 서로 접합시켜 형성되므로, 접합부(2211) 내에 단차(ste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선형 돌기(212c) 및 선형 홈(111g)이 포지셔닝 유닛으로서 역할 하기 때문에, 제1 전기 커넥터(10)가 임의의 둘레 위치에서 제2 전기 커넥터(20)로 끼워맞춤된다 하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는 선형 돌기(212c)가 선형 홈(111g)에 끼워맞춤된 후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합부(2211)와 접촉하여 손상 및/또는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는 그 사이의 접속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선형 돌기(212c)와 선형 홈(111g)이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의 중심축(L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이 그 중 하나를 회전시켜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하더라도, 선형 돌기(212c)와 선형 홈(111g)이 서로 나란하도록 그들이 서로 끼워맞춤될 수 있다.
이제,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제1 접촉 단자(12)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전기 커넥터(10 및 20)가 서로 끼워맞춤되어 있는 상황에서, 제1 전기 커넥터(10)의 접촉 단자(12)는 제2 전기 커넥터(20)에 형성된 제2 고정 홀(211)의 내측면 상에 배열된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접촉 단자(12)의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축방향(F5)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즉,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촉면(2212)의 둘레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면(2212)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촉면(2212)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접촉부(221)의 아치형 접촉면(2212)을 따라, 그리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축방향(도 21 참조)과 수직인 단면 내에 뻗어 있는 아치형 표면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러므로, 접촉부(1214) 및 접촉면(2212)은 모두 서로에 대응하는 아크 형이 되도록 설계되고, 그들은 더 안정적으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접촉부(1214)의 외측면 상에 접촉부(221)의 둘레 방향(F6)으로 복수의 돌기(121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길이 방향(F5)으로 길쭉하게 뻗어 있도록 설계된다.
예를 들어,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접촉부(1214)의 외측면 상에 돌기(1214a)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었고, 따라서 접촉부(1214)는 그 외측면에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아치형 접촉면(2212)과 직접 접촉한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경우에,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아치형 접촉면(2212)를 따라 아치형 외측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는 접촉면(2212)과 접촉부(1214)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함을 보장한다.
접촉면(2212)과 접촉부(1214)가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는다면, 그들은 서로 불안정하게 접촉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접촉부(1214)가 복수의 돌기(1214a)를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으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아치형 접촉면(2212) 및 접촉부(1214)의 아치형 접촉면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못하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2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안정적으로 접촉하여 높은 접촉 신뢰도를 보장한다.
돌기(1214a)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길이 방향(F5)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즉, 돌기(1214a)가 아치형 접촉면(2212)의 둘레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아치형 접촉면(2212)과 접촉하기 때문에, 아치형 접촉면(2212)이 균일한 굴곡을 가지지 않더라도, 아치형 접촉면(2212)의 불균일한 굴곡이 돌기(1214a)와 아치형 접촉면(2212)의 접촉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돌기(1214a)는 접촉부(1214)의 꼭대기(1214b)(도 22 참조)를 중심으로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동등하게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돌기(1214a)는 제1 실린더형 단자(22)의 접촉면(2212)과 균일하게 접촉하고, 이는 돌기(1214a)가 접촉면(2212)과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음을 보장한다.
이제,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접촉 단자(12)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지 않은 때, 접힌 부분(1212)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 밖으로 돌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상태의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의 후방 단부를 통해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된다.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고 있는,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 위에서 미끄러진다. 도 23a에 도시된 상황에서, 접힌 부분(1212)이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1)와 접촉하고 있으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약간 들어올려져 있지만 여전히 비교적 낮은 위치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접촉부(1214)는 개구(1222a)(도 5 참조) 밖으로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지만, 개구(1222a) 밖으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았고, 즉, 접촉부(1214)의 대부분이 아직 제1 단자 몸체(12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더 삽입된 때, 접힌 부분(1212)은 단자 공간(R2)의 플로어(R2) 상에 형성된 상승부(116) 위로 지나간다.
상승부(116)는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는 방향(F7)으로 올라가도록 기울어진 경사(1161) 및 경사(1161)의 꼭대기에서 이어진 수평부(1162)를 포함한다.
상승부(116)위로 지나가면, 접힌 부분(1212)은 위로 더 올라간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개구부(1212a) 밖으로 돌출한다. 접힌 부분(1212)이 일어서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자유 제2 단부(1213)는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을 향해 내려가 바닥벽(1221)에 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 단부(1213)는 탄성 접촉 피스(121)를 지지하기 위한 버팀목 역할을 한다.
제2 단부(1213) 및 제2 만곡부(1216)가 바닥벽(1221)과 접한 결과로서, 접힌 부분(1212) 및 제2 단부(1213)(또는 제2 만곡부(1216))는 그들과 함께 탄성 접촉 피스(121)를 완전히 지지한다. 따라서,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함으로써 하중을 받게 될 때, 이 하중은 접힌 부분(1212)과 제2 만곡부(1216)로 분산된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접촉부(1214) 상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는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하는 접촉 하중이 증가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뿐만 아니라, 자유 제2 단부(1213)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접촉부(1214)와 제2 단부(1213)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길이는 제1 단자 몸체(122) 내에서 허용 가능한 길이가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접촉 피스(121)는 충분히 긴 스프링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탄성 접촉 피스(121)는 강화된 스프링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게다가, 탄성 접촉 피스(121)는 유연하게 변형되기 힘든 스프링 형상일 수 있다.
제2 단부(1213)가 제2 만곡부(1216)로 이어져 있으므로, 제2 단부(1213)가 바닥벽(1221)과 접할 때 바닥벽(1221)이 손상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제2 만곡부(1216)가 바닥벽(1221) 상에서 미끄러지므로, 제2 만곡부(1216)는 바닥벽(1221) 상에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는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된 후 탄성 접촉 피스(121)가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까지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지 않게 유지된다.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접촉부(1214)는 개구(1222a) 밖으로 돌출하고, 그러므로 제1 단자 몸체(122) 밖으로 노출된다.
제1 단부(1211)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 형성된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바닥벽(1221)을 향하도록 지향시킨다. 즉, 제1 만곡부(1215)는 탄성 접촉 피스(121)가 구부러지는 각도를 변경시키는 각 변경기로서 역할한다. 탄성 접촉 피스(121)가 제1 단부(1211)와 각 변경기(1215) 사이에서 뻗은 방향은 탄성 접촉 피스(121)가 각 변경기(1215)와 접힌 부분(1212) 사이에서 뻗은 방향과 상이하다.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이 제1 단부(1211)에 대하여 구부러진 각도를 변경시키고, 그러므로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은 개구(1222a)를 향해 비스듬히 올라가고,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을 바닥벽(1221)을 향해 아래쪽으로 지향시킨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하더라도, 제1 만곡부(1215)와 제1 단부(1211)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은 변형될 수 있고, 그리고 제1 만곡부(1215)는 넓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제1 만곡부(1215)와 U자형으로 접힌 부분(1212) 사이의 탄성 접촉 피스(121)의 일부분이 변형되는 동안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되는 동안 탄성 접촉 피스(121)가 손상 및/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으로 삽입된 후 충분한 접촉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지 않은 때, 제1 만곡부(1215)는 접힌 부분(1212)을 바닥벽(1221)을 향하게 지향시키는 굴곡을 가진다. 탄성 접촉 피스(121)는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상승부(116)의 수평부(1162)(최상면(116a)) 위에 접힌 부분(1212)이 놓여지는 영역(S1)(도 23b 참조)을 가진다.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탄성 접촉 피스(121)의 영역(S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 위로 지나갈 때 영역(S1)이 최상면(116a)과 평행하기 때문에, 탄성 접촉 피스(121)는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과 영역(S1)에서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접힌 부분(1212)이 평평한 영역(S1) 전체에 상승부(116)의 최상면(116a) 위에 놓여 있으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접촉부(1214)가 제1 실린더형 단자(22)(도 21 참조)와 접촉한 때, 접힌 부분(1212)은 수평부(1162) 상에서 지지되고 제1 실린더형 단자(22)와 접촉부(1214) 간의 접촉 압력을 접힌 부분(1212)의 영역(S1)이 균일하게 그리고 완전히 받게 된다. 그러므로, 제1 실린더형 단자(22) 상에서 접촉부(1214)를 균일하게 누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 접촉 피스(121)는 탄성 변경기로 역할하는 제1 만곡부(1215)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는 제1 만곡부(1215)가 형성된 위치에서 감소된다. 이와 반대로,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는 그 대신 증가될 수도 있다. 도 24 및 25에 도시된 탄성 접촉 피스(121x)는 탄성 변경기로 역할하는 잘록한 부분(1217)을 포함한다. 잘록한 부분(1217)은 직방형 형상의 영역(S2)의 양측 가장자리를 수축시켜 형성된다. 잘록한 부분(1217)을 형성함으로써, 잘록한 부분(1217)은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도 23b 참조) 탄성 접촉 피스(121)의 만곡 정도를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탄성 접촉 피스(121)는 잘록한 부분(1217)이 형성된 위치에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힌 부분(1212)이 상승부(116)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더라도, 탄성 접촉 피스(121)가 변형되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접힌 부분(1212)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된다.
제1 접촉 단자(12)는 단자 공간(R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3a 및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끼워맞춤 홀(R2A) 및 제2 고정 홀(R2B)이 단자 공간(R2)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 홀(R2A)은 제1 단자 몸체(122)의 바닥벽(1221)과 마주보는 플로어(R21); 상벽(1222)과 마주보는 천장(R22); 및 측벽(1223)과 마주보는 도 26 및 27의 측벽(R23)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고정 홀(R2B)은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되는 방향(F7)으로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더 깊은 위치에 있다. 제2 고정 홀(R2B)홀은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수직으로 더 길고, 제1 끼워맞춤 홀(R2A)보다 수평으로 더 길다.
제1 접촉 단자(12)가 먼저 제1 끼워맞춤 홀(R2A)로 들어간다.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에서부터 서 있는 랜스(1224)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끼워맞춤 홀(R2A)의 한 쌍의 측벽(R23)에 의해 눌러지고,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가 전진하는 동안 변형되어 유지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 단자(12)가 랜스(1224)를 누르고 있는 측벽(R23)을 통과하여 제2 고정 홀(R2B)에 도달한 때, 랜스(1224)는 측벽(R23)에 의해 더 이상 눌러지지 않고, 그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간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의 갭보다 더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잡아 당겨져 빼내지도록 시도되더라도, 랜스(1224)는 측벽(R23)에 의해 잡히게 되고,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잡아 당겨져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랜스(1224)는 돌출부(1224c)를 포함한다.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랜스(1224) 사이에 제2 경사부(1224n)가 통과할 수 있는 갭(S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가 그 근단부에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에 의해 눌러지고 있다면, 랜스(1224)는 그 근단부가 닫히도록 유연하게 변형되고, 따라서 랜스(1224)는 넓어질 수 없다. 이러한 조건에서, 제1 접촉 단자(12)는 케이블(C1)이 강하게 잡아 당겨진다면 단자 공간(R2)로부터 쉽게 잡아 당겨져 빠질 수 있다.
그러나, 제2 경사부(1224n)의 돌출부(1224c)가 통과할 수 있는 갭(S0)이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랜스(1224) 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에 충분한 갭이 보장될 수 있다.
갭(S0)은 랜스(1224)가 제2 경사부(1224n)의 근단부(1224a)보다 개방 단부(1224b)에 더 가까운 지점(P1)에서 측벽(R23)과 접촉하게 한다. 제1 접촉 단자(12)와 측벽(R23) 사이에 형성된 갭(S0)은 랜스(1224)의 전체 길이의 중간보다 개방 단부(1224b)와 더 가까운 지점에서 측벽(R23)이 랜스(1224)와 접촉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눌러진 랜스(1224)가 그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가 랜스(1224)의 개방 단부(1224b)가 유연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를 원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충분한 길이만큼 맞물릴 수 있고, 이는 제1 접촉 단자(12)가 뒤로 잡아 당겨진다 하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당겨져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장한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외부 하우징(11)의 단자 공간(R2) 내에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고, 이는 제1 접촉 단자(12)와 제1 실린더형 단자(22) 간의 전기적 접속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장한다.
예를 들어, 랜스(1224)가 돌출부(1224c)를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되었고 그러므로 제2 경사부(1224n)가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다고 가정해보자. 랜스(1224)가 현재의 것보다 더 길게 설계되었다면, 측벽(R23)이 랜스(1224)의 근단부와 접촉할 때 랜스(1224)는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더 먼 위치에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단자 공간(R2)의 측벽(R23)과 제1 단자 몸체(122) 사이에 형성된 갭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측벽(R23)이 랜스(1224)의 근단부와 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랜스(1224)가 더 길게 설계되지 않는다면, 랜스(1224)가 제1 끼워맞춤 홀(R2A) 내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동안 제2 고정 홀(R2B)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랜스(1224)가 더 길어진 거리만큼 제1 접촉 단자(12)를 더 전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랜스(1224)의 돌출부(1224c)가 제1 단자 몸체(122)와 개방 단부(1224b) 사이의 경사각이 제1 단자 몸체(122)와 제1 접촉 단자(12)의 근단부(1224a) 사이의 경사각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단자 몸체(122)와 측벽(R23) 사이에 형성된 갭이 넓다 하더라도, 랜스(1224)의 돌출부(1224c)가 측벽(R23)과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므로 제2 고정 홀(R2B)을 길게 설계할 필요가 없다.
눌리지 않은 랜스(1224)의 돌출부(1224c)는 단자 공간(R23)으로 들어갈 때 측벽(R23)에서 미끄러지고, 측벽(R23)에 의해 눌려진다. 각각의 돌출부(1224c)는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갭이 각각의 개방 단부(1224b)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더 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으로 전진할 때 각각의 측벽(R23)이 랜스(1224)와 접촉하는 위치는 각각의 개방 단부(1224b)를 향해 이동하기 때문에, 랜스(1224)는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앞서 언급한 갭을 따라 점점 더 닫힐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촉 단자(12)는 랜스(1224)가 측벽(R23)에 의해 방해 받지 않으면서 단자 공간(R2)으로 매끄럽게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돌출부(1224c)가 각각의 돌출부(1224c)와 각각의 측벽(1223) 사이의 갭이 각각의 개방 단부(1224b)에 더 가까운 위치일수록 더 크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1224c)의 개방 단부(1224b)가 눌림 및/또는 컬랩싱(collapse)에 대한 강화된 저항력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가 단자 공간(R2)을 향해 전진할 때 측벽(R23)에 의해 랜스(1224)에 가해지는 누르는 힘의 증가로 인해 돌출부(1224c)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랜스(1224)가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의 일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바깥쪽으로 벌려서 형성되기 때문에, 랜스(1224)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단자 몸체(122)에 임의의 별도의 부품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랜스(1224)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랜스(1224)는 돌출부(1224c)를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돌출부(1224c) 대신에, 랜스(1224)는 랜스(1224)의 개방 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접힌 부분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8 및 도 29는 제1 변형에 따른, 랜스의 개방 단부를 접어서 형성된 접힌 부분을 포함하는 랜스(1224x)를 도시한다.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x)는 제1 단자 몸체(122)로부터 근단부(1224a)에서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서로 적층된 2개의 층이 되도록 제1 부분(1224m)의 개방 단부를 바깥쪽으로 접어 형성된 접힌 부분(1224d) 또는 접힌 부분(1224d)으로 이루어진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랜스(1224x)는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의 일부분 둘레에 절단선을 형성하고 그 부분을 측벽(1223)에 대하여 일으켜 세움으로써 만들어진다.
각각의 접힌 부분(1224d)은 제1 단자 몸체(122)의 측벽(1223)에 대하여 기울어진 제1 부분(1224m)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x)가 제2 고정 홀(R2B)로 삽입될 때 제1 접촉 단자(12x)의 제1 단자 몸체(122)와 각각의 측벽(R23) 사이에 측벽(R23)이 랜스(1224x)의 근단부(1224a)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갭(S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변형에서, 측벽(R23)은 제1 접촉 단자(12x)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x)의 중심보다 개방 단부(1224b)와 가까운 위치에서 랜스(1224x)와 접촉한다. 도 28에서, 측벽(R23)은 랜스(1224x)의 제2 부분(1224n)과 접촉한다. 따라서, 눌려진 랜스(1224x)가 자신의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제1 접촉 단자(12x)가 뒤로 잡아 당겨질 때에도 제1 접촉 단자(12x)가 단자 공간(R2)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접힌 부분(1224d)은 랜스(1224x)가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보다 더 바깥쪽 위치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갭(S0)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랜스(1224x)는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제조하지 않고도 측벽(R23)과 맞물릴 수 있다.
랜스(1224x)의 개방 단부(1224b)가 접힌 부분(1224d)을 형성하도록 바깥쪽으로 접혀 있으므로, 접힌 부분(1224d)의 끝단면(1224e)은 측벽(R23)의 끝단면(R23a)과 서로 마주본다. 각각의 끝단면(R23a) 상에, 측벽(R23)의 개방 단부를 넓히기 위해 경사면(R23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힌 부분(1224d)이 경사면(R23b) 상에서 미끄러지는 동안, 그 사이에 점점 감소하는 공간을 가지는 제1 끼워맞춤 홀(R2A)로 랜스(1224x)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8 및 도 29에서, 경사면(R23b)은 측벽(R23) 상에 형성되어 있다. 대안으로서, 경사면(R23b)은 그 대신 끝단면(1224e)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제2 변형에 따른 랜스(1224y)를 도시한다. 제2 변형에서, 경사부는 접촉 단자의 랜스의 개방 단부를 접어 형성된다.
도 30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1224y)는 근단부(1224a)에서 뻗어 있는 제1 경사부(1224m) 및 개방 단부(1224b)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경사(1224f)를 가지는 제2 경사부(1224n)를 포함한다.
개방 단부(1224b)를 바깥쪽으로 구부려 형성된 경사(1224f)는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 밖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촉 단자(12y)가 제2 고정 홀(R2B)로 삽입될 때 제1 접촉 단자(12y)의 제1 단자 몸체(122)와 각각의 측벽(R23) 사이에 측벽(R23)이 랜스(1224y)의 근단부(1224a)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갭(S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변형에서, 제1 변형과 유사하게, 측벽(R23)은 제1 접촉 단자(12y)가 단자 공간(R2)으로 삽입될 때 랜스(1224y)의 중심보다 개방 단부와 더 가까운 위치에서 랜스(1224y)와 접촉한다. 도 30에서, 측벽(R23)은 랜스(1224y)의 제2 부분(1224n)과 접촉한다. 따라서, 눌러진 랜스(1224y)가 그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고자 하는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제1 접촉 단자(12y)가 뒤로 잡아 당겨지더라도 제1 접촉 단자(12y)가 단자 공간(R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뿐만 아니라, 경사(1224f)는 랜스(1224y)가 제1 부분(1224m)의 경사각을 벗어난 위치에서 측벽(R23)과 접촉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그러므로, 갭(S0)이 넓게 형성되더라도, 랜스(1224y)는 제2 고정 홀(R2B)을 더 길게 만들지 않고도 측벽(R23)과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외부 및 내부 하우징(11 및 21)으로 정의된다. 대안으로서, 제1 및 제2 하우징은 각각 내부 및 외부 하우징(21 및 11)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글로 플러그(glow plug)에 장착되는 커넥터, 연소 압력 센서와 와이어 하네스를 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케이블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커넥터, 다양한 전기/전자 장치 내에 장착된 커넥터, 및 자동차에 장착된 커넥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전기/전자 산업 및 자동차 산업과 같은 다양한 분양에서 채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전기 커넥팅 모듈로서,
    제1 전기 커넥터; 및
    제2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기 커넥터 및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모두 서로 동축으로 끼워 맞춤 가능하고,
    상기 제1 전기 커넥터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형성된 단자 공간 내에 수용된 접촉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커넥터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된 실린더형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형 단자는 전기 도전성 시트가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을 서로 접합시켜 만들어지고;
    상기 접촉 단자는 상기 실린더형 단자의 내측면과 접촉하는 탄성 접촉 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각각은 상기 탄성 접촉 피스가 상기 전기 도전성 시트의 양단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영역 이외의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실린더형 단자와 접촉하게 하는 포지셔닝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포지셔닝 섹션에는 돌기 및 상기 돌기와 끼워 맞춤 가능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부 중 하나는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된 제1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 및 상기 오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하우징의 제2 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면은 선택된 제2 면이 상기 제1 면과 접촉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서 선택되고;
    상기 복수의 돌기 및 복수의 오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축선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
    인접한 상기 돌기 또는 인접한 상기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된 중심각은 상기 실린더형 단자의 축 주위의 상기 영역의 원주에 의하여 정의된 각도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셔닝 섹션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 중 하나가 다른 것으로 끼워맞춤되어 서로 위치 고정된 후, 상기 실린더형 단자와 상기 탄성 접촉 피스가 서로 접촉하게 되도록 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세트는 상기 복수의 돌기로 이루어지고;
    제2 세트는 상기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세트 및 상기 제2 세트 중 하나의 세트는 360/N 개의 위치 중에서 임의의 M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N은 임의의 중심 각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M은 양의 정수이고 360/N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및 상기 제2 세트 중 다른 세트는 N × S 중심 각도마다 형성되고,
    S는 2보다 작지 않은 정수를 나타내고; 그리고
    S × 360/N 는 M보다 크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N은 9와 같고; M은 5와 같고; 그리고 S는 3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팅 모듈.
  6. 삭제
  7. 삭제
KR1020150176672A 2014-12-12 2015-12-11 전기 커넥팅 모듈 KR101751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52497A JP6239493B2 (ja) 2014-12-12 2014-12-12 電気コネクタ
JPJP-P-2014-252497 2014-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059A KR20160072059A (ko) 2016-06-22
KR101751268B1 true KR101751268B1 (ko) 2017-07-11

Family

ID=5608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672A KR101751268B1 (ko) 2014-12-12 2015-12-11 전기 커넥팅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02804B2 (ko)
JP (1) JP6239493B2 (ko)
KR (1) KR101751268B1 (ko)
CN (1) CN105703117B (ko)
DE (1) DE102015225020B4 (ko)
FR (1) FR30301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0210S1 (en) * 2015-01-26 2018-06-12 Tyco Electronics Svenska Ab Electrical or optical connector
USD849808S1 (en) * 2016-03-14 2019-05-28 Alexander Binzel Schweisstechnik Gmbh & Co. Kg Handle grip
USD944739S1 (en) 2016-03-14 2022-03-01 Alexander Binzel Schweisstecknik GmbH & Co. KG Connection housing
WO2020001782A1 (de) * 2018-06-29 2020-01-02 Lisa Dräxlmaier GmbH Hochstromkontakt zum kontaktieren einer hochstrombuchse
CN113708117B (zh) * 2019-03-19 2024-01-2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933270B2 (ja) 2020-01-10 2021-09-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評価治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987A (ja) * 2007-08-03 2009-02-19 Smk Corp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端子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5395A (en) * 1959-04-24 1964-03-17 Electrical connector
US3182280A (en) * 1963-04-19 1965-05-04 Francis X Daut Protection of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pins
US3406376A (en) * 1966-09-26 1968-10-15 Itt Socket contac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H065478B2 (ja) 1984-12-28 199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
JPH0212690Y2 (ko) * 1985-03-19 1990-04-10
CA1296079C (en) * 1986-03-06 1992-02-18 Mitsuru Takeda Locked connector
US4824380A (en) * 1987-11-24 1989-04-25 Elcon Products International Company Quick disconnect connector and system with integral conductor
ATE130608T1 (de) 1990-03-19 1995-12-15 Rohm & Haa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luoromethyl substituierten pyridin-carbodithioaten.
JPH0628179B2 (ja) 1990-05-23 1994-04-13 英朗 茂治 モールド型のプラグにおけるコンタクト端子
JP2598581B2 (ja) 1991-06-17 1997-04-09 株式会社トクヤマ 芳香族ハロゲン化物の製造方法
JP2598581Y2 (ja) 1991-12-03 1999-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37265A (ja) 1993-07-23 1995-02-07 Omron Corp 光情報記録装置
JP3433433B2 (ja) * 1994-03-07 2003-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3271178B2 (ja) * 1995-03-03 2002-04-02 矢崎総業株式会社 金属シールドの接続構造
JP3067975B2 (ja) 1995-07-19 2000-07-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多芯丸形のプラグコネクタ及び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3023282U (ja) 1995-09-14 1996-04-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494850B2 (ja) 1997-06-12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
JPH1167372A (ja) * 1997-08-12 1999-03-09 Fujitsu Denso Ltd 信号線コネクタ
US6398590B2 (en) 2000-07-11 2002-06-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Nonpolariz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specially for use as automotive squib connector
JP2002373729A (ja) 2001-06-13 2002-12-26 Join:Kk 丸形コネクター
US7004778B2 (en) 2003-07-07 2006-02-28 Kent Barker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irbag inflator
JP3959057B2 (ja) 2003-09-10 2007-08-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端子、及びこれを利用したアッセンブリー
DE102004002905B4 (de) 2004-01-20 2006-05-18 Beru Ag Glühkerzenstecker
CN2932709Y (zh) * 2006-01-25 2007-08-08 上海新干通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机车通信系统中主机与终端的连接器的插座和插头
JP4971857B2 (ja) 2007-03-29 2012-07-1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7766682B1 (en) * 2008-09-29 2010-08-03 Larkin Kevin B Flexible connector interface rib with saw tooth cross section
JP2011216439A (ja) 2010-04-02 2011-10-27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コネクタ用弾性コンタクト片及びそれを備えるカードコネクタ
JP2012129103A (ja) 2010-12-16 2012-07-05 Yazaki Corp 同軸コネクタ
JP5454653B1 (ja) * 2012-10-10 2014-03-2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
JP5861763B1 (ja) * 2014-11-12 2016-02-16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4696356U (zh) * 2015-04-30 2015-10-07 深圳市通茂电子有限公司 一种射频同轴连接器组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7987A (ja) * 2007-08-03 2009-02-19 Smk Corp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端子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03117B (zh) 2018-05-08
FR3030136A1 (fr) 2016-06-17
KR20160072059A (ko) 2016-06-22
DE102015225020A1 (de) 2016-06-16
US20160172783A1 (en) 2016-06-16
JP6239493B2 (ja) 2017-11-29
CN105703117A (zh) 2016-06-22
US9502804B2 (en) 2016-11-22
FR3030136B1 (fr) 2019-08-30
JP2016115501A (ja) 2016-06-23
DE102015225020B4 (de)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268B1 (ko) 전기 커넥팅 모듈
KR101753323B1 (ko) 전기 커넥터 및 커넥터 단자
US7985106B2 (en) Female type terminal pin
KR101759575B1 (ko) 커넥터 단자
JP5831611B1 (ja) コネクタ端子の接続構造
EP2511989A1 (en) Connector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EP2073319A1 (en) Connector and circuit-board-mounting case having this connector
WO2017195013A1 (en) Connector terminal assembly with additional contacting surface(s)
KR101732622B1 (ko) 커넥터 단자
WO2012029924A1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JP6574680B2 (ja) 端子
JP5516678B2 (ja) コネクタ端子
US11417977B2 (en) Circuit board with a connector connection and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with such a circuit board
JP2010129319A (ja) ジャック構造
JP4543410B2 (ja) 同軸コネクタ
CN108155502B (zh) 连接端子及连接器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EP3553896B1 (en) Connector
CN107453073B (zh) 具有插入限制器的盒式端子
JP6132867B2 (ja) コネクタ
US20070259575A1 (en) Crimp contact
JP2005158330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