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2599A -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 Google Patents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2599A
KR20170012599A KR1020177002101A KR20177002101A KR20170012599A KR 20170012599 A KR20170012599 A KR 20170012599A KR 1020177002101 A KR1020177002101 A KR 1020177002101A KR 20177002101 A KR20177002101 A KR 20177002101A KR 20170012599 A KR20170012599 A KR 20170012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perfume
tobacco
odor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995B1 (ko
Inventor
히데키 나가에
요시노리 후지사와
신타로 아키야마
신지로 카가와
케이 히라치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12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2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9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28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 A24B15/282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the a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being delayed by indirect addi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e.g. in the wrapper, in the ca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01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by 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carbocyclic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26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 C11B9/0034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n alicycl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the ring containing six carbon ato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Description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FRAGRANCE COMPOSITION FOR REDUCING LINGERING TOBACCO ODOR, AND CIGARETTE}
본 발명은 담배 부착 취기(臭氣)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궐련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취기나 이취(異臭)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여러 가지 소취제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의류, 천 제품, 머리카락 등에 흡착하여 발생하는 「부착 취기」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소취제도 여러 가지 개발되고 있고, 그들 소취제 중에는 흡연 중의 부류연(副流煙) 등에 의해 주위에 방출되는 담배 취기가 의류, 천 제품, 머리카락 등에 흡착하여 발생하는 「담배 부착 취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도 존재한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77545호, 일본국 특허공표 평9-505500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340785호 참조). 그러나, 이들 소취제 성분은 궐련에 첨가하는 것을 기도(企圖)하지 않고, 이들 성분을 궐련에 그대로 첨가하여 사용하려고 하면, 궐련의 연소의 과정에 의해 성분이 변질해 버린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들 성분을 궐련에 그대로 첨가하여 사용하려고 하면,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어,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현저하게 해치게 된다. 즉, 궐련에 첨가하여 사용하는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에 있어서는, 극히 소량으로 담배 부착 취기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부터, 담배 부류연 취기를 저감하는 소취제가 개발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43285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43284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146386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179711호 참조). 게다가, 담배 부류연 취기 소취용 향료 조성물로서, 궐련에 첨가하여 사용되는 것도 개발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179708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11-124800호 참조). 이들 향료 조성물은, 담배 취기와 혼합해도, 전체의 냄새의 강함을 유의(有意)하게 증가시키는 일 없이(즉,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해치는 일 없이), 담배 부류연 취기를 효과적으로 소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은 모두 담배 부류연 취기를 저감하기 위한 소취제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담배 부착 취기의 저감을 상정(想定)한 것은 아니다. 담배 부착 취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 천 제품, 머리카락 등에 흡착한 후에 발생하는 취기이기 때문에,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에 있어서는, 그것이 의류나 머리카락에 흡착한 후, 탈착하여 발현하는 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어, 담배 부류연 취기를 저감하는 향료 조성물이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하는 효과도 동등하게 발휘한다고는 지극히 생각하기 어렵다. 또한, 담배 부착 취기에 대해서 충분한 개선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의류나 머리카락의 단위면적 당의 소취제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즉, 의류나 머리카락에 부착한 담배 취기에 대한 은폐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담배 부류연 취기를 소취하는 것보다 훨씬 더 대량의 첨가가 필요해진다. 한편으로, 대량의 향료의 첨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담배 향끽미의 저해가 염려되므로, 역시,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에 있어서는, 극히 소량으로 강한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향료 조성물을 궐련에 첨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첨가 방법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궐련 두루마리(卷紙)에 도포하는 것이 제안된다. 두루마리에 도포함으로써, 향료 조성물이 부류연을 통해 의류나 머리카락에 부착하고, 또한 그 후 탈착하여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취기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향료 조성물은, 그 대부분이 상온으로 휘발성이 높고, 장기간에 걸쳐 충분한 양의 향료를 두루마리 위에 유지해 두는 것이 어렵다. 게다가, 두루마리에 첨가된 향료는, 경시적으로 담배살이나 제품 포장재료로 이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것은 담배 향끽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담배 제품의 제조 및 저장 조건하에서는 안정하고 불휘발성이며, 흡연 조건하에서는 열분해 또는 탈착에 의해 방향제를 방산(放散)하도록 수식된 향료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표 평2-501075호 또는 미국특허 제4,804,002호 명세서는, 당과 방향제의 아세탈을 포함하는 글리코시드로 이루어지는 향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흡연 시에 글리코시드의 열분해 생성물이 연(煙) 중에 혼입하여, 담배 향끽미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기술은 글리코시드를 조제할 수 없는 방향제로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적용 가능한 방향제가 한정된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5-146285호 또는 미국특허 제5,144,964호 명세서 및 일본국 특허공표 평7-504080호 또는 미국특허 제5,479,949호 명세서는,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향료를 포접(包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있어서도, 흡연 시에 시클로덱스트린의 열분해 생성물이 연중에 혼입하고, 담배 향끽미를 저해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클로덱스트린에 의해서 포접 가능한 향료의 양에 한계가 있고, 시클로덱스트린을 두루마리에 도공할 수 있는 양에도 궐련권상(券上) 시의 기계 적성이라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두루마리에 향료를 직접 도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소량의 향료 밖에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향료는, 소량으로 충분한 담배 부착 취기 저감 효과를 가지는 것에 한정되어, 향료의 종류가 제한된다.
발명의 개시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 궐련에 첨가된 소취제에 의해, 의류나 머리카락에 부착한 담배 취기를 개선하는 방법이나, 과제 그 자체를 다룬 예도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담보하면서, 담배 부착 취기에 효과를 가지는 소취제는 존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소량의 사용으로 담배 부착 취기를 개선할 수 있고,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손상시키지 않는 향료 조성물, 및 그것을 사용한 궐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을 혼합하면, 이오논이 다른 향료 성분의 향기 강도를 인핸스(enhance)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들 향료 조성물은,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손상시키지 않고, 궐련권상 시의 기계 적성이 떨어뜨리지 않는 첨가량으로 의류나 머리카락에 부착한 담배 부착 취기를 충분히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다른 향료 성분으로서 γ-데카락톤을 사용하면, 특히 인핸스 효과가 커지는 것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하면,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을 함유하는,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이오논의 함유율은 10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30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른 향료 성분은,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테르펜계 알데히드류로서 히드록시시트로넬라, 테르펜계 케톤류로서 피페리톤, 테르펜계 알코올류로서 시트로네롤, 제라니올, 리날로올, 로디놀, α-테르피네올, 테르펜계 에스테르류로서 아세트산터비닐, 지방족 쇄상 알코올류로서 디히드로미르세놀, 지방족 쇄상 알데히드류로서 트랜스-2-데세날, 지방족 환상 케톤류로서 디히드로자스몬산메틸, 에틸말톨, 시스자스몬, 지방족 에스테르류로서 아세트산아니실, 부티르산벤질, 라우린산에틸, 시클로히키산프로피온산알릴, 지방족 락톤류로서 γ-운데카락톤, γ-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옥타락톤, 스클라레올리드(sclareolide), ω-펜타데카락톤(15-펜타데카노라이드), δ-도데카락톤, γ-헵타락톤, 지방족 카르본산류로서 미리스틴산, 방향족 알데히드류로서 아니스알데히드, 에틸바닐린, 4-이소프로필벤즈알데히드, 4-에틸벤즈알데히드, 시나믹크알데히드, 4-에톡시벤즈알데히드, 릴리알데히드, 방향족 케톤류로서 메틸아니설아세톤(methylanisalacetone), 라즈베리케톤, 메틸β-나프틸케톤, 방향족 알코올류로서 프로페닐구아에톨, 방향족 에스테르류로서 포름산아니실, 부티르산페닐에틸, 아세트산신나밀, 프로피온산벤질, 페닐아세트산4-메톡시벤질, 프로피온산신나밀, 안트라닐산메틸, 이소부티르산페닐에틸, 살리실산메틸, 계피산메틸, 계피산에틸, 방향족 에테르류로서 4-프로필아니솔, 아네톨, 방향족 락톤류로서 3-프로필리덴프탈라이드, 방향족 카르본산류로서 3-페닐프로피온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소망에 의해 혼합물의 형태(조합(調合) 향료)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성분 중에서도, 히드록시시트로넬라, 시트로네롤, 제라니올, 리날로올, 로디놀, 디히드로미르세놀, 트랜스-2-데세날, 디히드로자스몬산메틸, 아세트산아니실, 부티르산벤질, 시클로헥산프로피온산알릴, γ-데카락톤, γ-노나락톤, γ-옥타락톤, ω-펜타데카락톤(15-펜타데카노라이드), 아니스알데히드, 에틸바닐린, 릴리알데히드, 라즈베리케톤, 프로페닐구아에톨, 포름산아니실, 부티르산페닐에틸, 아세트산신나밀, 프로피온산신나밀, 계피산메틸 및 계피산에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시트로네롤, 제라니올, 로디놀, 아세트산아니실, γ-데카락톤 및 γ-노나락톤, 프로페닐구아에톨 및 포름산아니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성분을 대신하여, 혹은 상기 향료 성분과 함께, 이들 성분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천연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시트로넬라유, 로즈유, 제라늄유, 로즈제라늄유, 유칼리유, 제라늄 리프유, 카시유(cassie oil), 팔마로사유, 레몬 글래스유, 타임유, 킨모크세이유(kinmokusei), 바질유, 벨가모드유, 벨가모드 로즈유, 보아드로즈유, 카낭가유, 캐롯위드유, 참파카유, 클라리·세이지유, 코리앤더시드유, 방유(芳油), 방장(方樟), 쟈스민유, 라반진유, 라벤더유, 라벤더 줄기유, 스파이크 라벤더유, 마죠람유, 나르시서스·앱솔루트, 네롤리유, 오렌지유, 오렌지 플라워, 페치그린유, 스네이크루트유, 이란·이란유, 카낭가유, 아르테미지아유, 코리앤더, 코리앤더시드, 다바나, 캐럿 리프유, 참파카유, 시스타스유, 아세로라유, 스타 프루츠유, 아니스유, 펜넬유, 타제트(Tagetes)유, 코리앤더, 방장, 나르시서스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다른 향료 성분이 γ-데카락톤만으로 구성될 때, 상기 γ-데카락톤의 함유율은 70 내지 80중량%로서, 상기 이오논의 함유율은 20 내지 3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 조성물을 담지한 궐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 조성물은, 통상 궐련에 향료를 첨가하는 어느 공정에 있어서도 첨가할 수 있다. 담배재로서는, 잎담배(황색종, 버얼리종(burley), 오리엔트종 등), 시트 담배 등 어느 담배재도 사용할 수 있고, 통상, 이들 담배재는, 살의 형태로 궐련에 사용된다. 살은, 팽화된 형태로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담배 부착 취기 개선 향료 조성물은, 담배재, 재료품(담배 필터 등)의 어느 위치에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이오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을 시클로덱스트린으로 포접하면, 시클로덱스트린의 열분해 생성물에 의한 바람직하지 않은 향끽미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궐련은, 담배살을 두루마리로 감은 궐련으로서, 상기 두루마리는 상기 향료 조성물이 포접된 시클로덱스트린이 도공 또는 분무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궐련에 있어서,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된 상기 향료 조성물의 두루마리에 대한 도공량은 100ppm 이상 200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오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에서는, 다른 향료 성분의 향기를 인핸스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할 수 있는 양으로는 충분한 마스킹 효과를 갖지 않는 향료 조성물이어도, 이오논과 병용함으로써 충분한 마스킹 효과를 나타내기까지 향기가 인핸스된다. 그 결과, 종래보다도 사용할 수 있는 향료의 종류가 증가하여, 향질(香質)의 바리에이션(variation)을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시험 1
이오논에 의한 시클로덱스트린의 열분해 생성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향끽미의 개선 효과를 검증했다.
[궐련의 준비]
실시예 1A: 시클로덱스트린(CD) 75중량부와 β-이오논 포접 시클로덱스트린(BI 포접 CD) 25중량부를 분체로 혼합했다. 이 혼합 분체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6.0wt% 수용액에 대하여 16wt%가 되도록 분산시켜, 분산액을 조제했다. 야스이세이키주식회사 제의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27mm폭의 두루마리(P35)의 중심부에 7mm폭으로 분산액을 그라비아 도공했다. β-이오논의 시클로덱스트린 포접율은 GC-MSD에서 분석한 결과 9.2%이며, 두루마리에 대한 β-이오논의 도공량은 23.2ppm/개였다.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실시예 1A의 궐련 시료를 제작했다. 궐련에는 통상의 시판 궐련을 사용했다.
실시예 1A의 궐련 시료에 대한 대조로서, 비교예 1A, 1B 및 1C의 궐련 시료를 준비했다. 비교예 1A, 1B 및 1C의 궐련 시료에는, 각각, 하기의 두루마리를 사용했다. 비교예 1B 및 1C의 궐련 시료에 사용한 두루마리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정의 분산액을 그라비아 도공하는 것에 의해 조제했다. 조제한 각각의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비교예 1A, 1B 및 1C의 궐련 시료를 제작했다. 궐련에는, 실시예 1A와 동일한 시판 궐련을 사용했다.
비교예 1A: 무(無)도공
비교예 1B: 시클로덱스트린(CD) 도공
비교예 1C: 시클로덱스트린(CD)+γ-데카락톤 포접 시클로덱스트린(DL 포접 CD) 도공
[향끽미 평가]
제작한 궐련 시료에 관하여 사내(社內)의 전문 평가자 3명에 의한 평점법으로 향끽미를 평가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1점=향끽미가 매우 나쁨, 2점=향끽미가 나쁨, 3점=향끽미가 약간 나쁨, 4점=향끽미가 약간 좋음, 5점=향끽미가 좋음, 6점=향끽미가 매우 좋음.
각 시료의 평점은, 3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표 1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았다. 무도공의 두루마리를 사용한 비교예 1A의 궐련과 비교하여, CD만을 도공한 두루마리를 사용한 비교예 1B의 궐련은, 향끽미가 저해되어 있다. CD 및 BI 포접 CD를 도공한 두루마리를 사용한 실시예 1A의 궐련은, 비교예 1B의 궐련에 대해서 향끽미의 개선 효과가 있고, 평점은 비교예 1A의 궐련에 가까워져 있다. CD 및 DL 포접 CD를 도공한 두루마리를 사용한 비교예 1C의 궐련은, 비교예 1B의 궐련과 비교하여 향끽미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β-이오논 대신에, α-이오논 또는 메틸이오논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실시예 1A의 궐련과 동일하게, 향끽미 개선 효과가 인정되었다.
시험 2
이오논에 의한 다른 향료 성분의 인핸스 효과를 검증했다. 이 시험에서 사용한 다른 향료 성분은 γ-데카락톤이다.
[향료 용액의 준비]
향료 용액으로서, γ-데카락톤 단독(DL만),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I+DL), 또는 이오논 단독(I만) 용액을 준비했다. 이오논으로서 α-이오논, β-이오논, 또는 메틸이오논을 준비했다. 각 용액에 있어서의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배합 비율은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PG)을 준비했다. γ-데카락톤 단독과,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 용액에 관해서는, 스크류병에 향료 20μL와 PG1000μL를 넣어 향료의 PG용액을 조제했다. 이오논 단독 용액의 향료 함유량은,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의 PG용액에 있어서, 이오논의 함유량에 맞추었다.
[관능 평가]
사내의 전문 평가자 3명이, 조제한 각 향료 용액을 향기 종이의 선단에 묻히고, 향기 강도를 6단계 평점법에 의해 평가했다. γ-데카락톤 단독 용액과,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 용액에 관해서는, 용액 중의 γ-데카락톤의 향기 강도를 평가했다. 이오논 단독 용액에 관해서는, 이오논의 향기 강도를 평가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1점=향기 강도가 매우 약함, 2점=향기 강도가 약함, 3점=향기 강도가 약간 약함, 4점=향기 강도가 약간 강함, 5점=향기 강도가 강함, 6점=향기 강도가 매우 강함.
각 시료의 평점은, 3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표 2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았다. γ-데카락톤 단독 용액의 향기 강도(3.2)와 비교하여,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 용액에서는 모두 γ-데카락톤의 향기 강도가 인핸스되어 있다. 이오논의 배합량을 증가시킴으로써 γ-데카락톤의 배합량을 감소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감각적으로는 γ-데카락톤의 향기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γ-데카락톤 단독 용액(이오논 무첨가)의 γ-데카락톤의 향기 강도에 대해서, 평점차이가 큰 만큼 인핸스 효과가 크다고 평가하면, γ-데카락톤 및 이오논의 혼합 조성물 용액 중의 이오논의 함유율은 10~50wt%가 바람직하고, 20~30wt%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향은,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 중 어느 이오논을 사용했을 경우에 관해서도 말할 수 있다.
한편, 이오논 단독 용액의 향기 강도는 모두 평점에서 2.4 이하이며, 꽤 약했다. 이것은, 전체의 향질을 변화시키는 일 없이, 즉 γ-데카락톤의 향질을 유지한 채로, 전체의 향기 강도를 증가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험 3
담배 부착 취기의 개선 효과를 검증했다.
*[궐련의 준비]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배합 비율의 향료 조성물(합계로 100wt%)을 준비했다. 궐련은 모두, 실시예 1A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1. 실시예 3A-3H 및 비교예 3A-3D
각 향료 조성물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후, 실린지를 사용하여 궐련의 두루마리의 전면에 도공했다. 각 향료 조성물의 에탄올 용액의 도공량은 10μL/개로 했다. 표 3 중의 첨가량(ppm)은, 궐련 1개 당(담배살 중량 650 mg)에 대한 향료의 첨가량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첨가량이 150ppm인 경우, 향료 조성물의 에탄올 용액 10μL 중에, 650mg×150ppm=97.5μg의 향료 조성물이 용해하고 있다.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궐련을 제작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2. 실시예 3I-3M
각 향료 조성물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시켰다. 시험 1과 동일하게, 향료 포접 시클로덱스트린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6.0wt% 수용액에 분산시켜, 분산액을 조제했다.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27mm폭의 궐련 두루마리의 중심부에 7mm폭으로 분산액을 그라비아 도공했다. 표 2 중의 첨가량(ppm)은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을 나타내고, 향료 포접 시클로덱스트린의 첨가량 및 각 향료 조성물의 포접율로부터 결정했다.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궐련을 제작하고, 관능 평가를 실시했다.
[관능 평가]
1) 담배 부착 취기의 평가
궐련을 태웠을 때의 연기를, 폴리에스테르, 면 및 머리카락의 각 소재에 각각 부착시켜, 사내의 전문 평가자 48명에 의한 한쌍(一對) 비교법(블라인드 평가)에 의해, 담배 부착 취기의 평가를 실시했다. 자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같은 용적을 가지는 한쌍의 용기 내에 각각, 폴리에스테르(JIS 규격의 폴리에스테르, 5×5cm편(片)), 면(JIS 규격의 면옥양목 3호, 5×5cm편), 머리카락(오사카브러쉬주식회사 제, 사람의 검은머리카락 100%)을 매달았다. 향료 무도공품과 향료 도공품의 궐련을 각각의 용기 내에서 동일한 체적연소했을 때의 부류연을, 동일한 용기 내의 소재에 각각 부착시켰다. 궐련을 소화한 후, 향료 무도공품과 향료 도공품을 연소한 각 용기로부터 소재를 꺼내, 각각의 소재를 3자리수의 숫자를 교부한 스크류병에 넣었다. 전문 평가자는, 향료 무도공품/향료 도공품의 한쌍의 소재에 대하여 담배 부착 취기를 냄새 맡아 비교하여, 담배 부착 취기 강도가 약한 쪽을 선택했다.
시험한 향료 조성물이 담배 부착 취기를 개선하는 기능성을 가지는지 아닌지에 관하여, 향료 무도공품과의 사이에서 2항 검정(양측 검정)을 실시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좋음=신뢰도 95% 이상의 수준으로 유의차가 있음, 가능=신뢰도 90% 이상의 수준으로 유의차있음, 불가(不可)=유의차 없음.
2) 전체의 향기 강도 평가
사내의 전문 평가자 3명에 의한 평점법으로, 담배 연기가 부착된 각 소재에 관하여 각각 전체의 향기 강도의 평가를 실시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0점=향기가 없음, 1점=향기 강도가 매우 약함, 2점=향기 강도가 약함, 3점=향기 강도가 약간 약함, 4점=향기 강도가 약간 강함, 5점=향기 강도가 강함, 6점=향기 강도가 매우 강함.
각 소재의 평점은 3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3) 향끽미 평가
제작한 궐련 시료에 관하여 사내의 전문 평가자 3명에 의한 평점법으로 향끽미를 평가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1점=향끽미가 매우 나쁨, 2점=향끽미가 나쁨, 3점=향끽미가 약간 나쁨, 4점=향끽미가 약간 좋음, 5점=향끽미가 좋음, 6점=향끽미가 매우 좋음.
각 시료의 평점은, 3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표 3 및 표 4에 시험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표 3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았다.
실시예 3A와 비교예 3A와의 대비, 실시예 3C와 비교예 3B와의 대비, 실시예 3G와 비교예 3C와의 대비 및 실시예 3H와 비교예 3D와의 대비로부터,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의 어느 하나의 이오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은 이오논을 포함하지 않는 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 소재에 있어서의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시키는 기능이 현저하게 향상함과 동시에, 전체의 향기 강도 및 향끽미의 점에서도 양호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으로서 γ-데카락톤을 포함한 향료 조성물은,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으로서 γ-데카락톤 이외의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각 소재에 있어서의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시키는 기능이 향상하고, 향기 증강 효과가 커지는 것도 알았다. 예를 들어, γ-데카락톤을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3A의 향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에 대한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시키는 기능은 양호하지만, 면 및 머리카락에 대한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시키는 기능은 약간 낮다. 이것에 대해, γ-데카락톤을 포함하는 실시예 3B-3G의 향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면 및 머리카락의 어느 소재에 대한 담배 부착 취기도 양호하게 저감시킨다.
또한, γ-데카락톤을 모두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3A와 비교예 3A를 대비하면, 향기 강도의 증강 비율은 3.7÷2.4≒1.5배이다. 이것에 대해서, γ-데카락톤을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3E와 비교예 3C를 대비하면, 향기 강도의 증강 비율은 5.3÷2.7≒2.0배이다. 이와 같이,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으로서 γ-데카락톤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은,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으로서 γ-데카락톤 이외의 향료 성분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향기 증강 효과가 크다.
또한, 향료 조성물이 이오논과 γ-데카락톤만으로부터 구성될 때, γ-데카락톤의 함유율이 70 내지 80중량%이며, 이오논의 함유율이 20 내지 30중량%일 때, 특히 양호한 담배 부착 취기 저감 기능성, 전체 향기 강도 및 향끽미를 나타낸다(실시예 3E, 실시예 3G).
또한, 비교예 3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γ-데카락톤 단독에서는 담배 부착 취기를 저감하는 기능성은 첨가량이 150ppm에 있어서는 발현하지 않는다.
표 4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았다.
실시예 3I-3M과 같이, 향료 조성물을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여 두루마리에 도공해 궐련을 제작했을 경우에도, 이오논에 의한 다른 향료 성분의 인핸스 효과가 얻어지는 데다, 양호한 담배 부착 취기의 저감 기능, 향끽미도 얻어진다.
시험 4
이오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궐련에 대한 도공량에 관하여 검증했다.
[궐련의 준비]
γ-데카락톤과 β-이오논을 각각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고 두루마리에 도공한 궐련(DL-CD+BI-CD=75wt%+25wt%)을 제작했다. 궐련은 모두, 실시예 1A와 동일한 것을 사용했다.
γ-데카락톤 포접 시클로덱스트린 75중량부와 β-이오논 포접 시클로덱스트린 25중량부를 분체로 혼합했다. 이 혼합 분체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6.0wt% 수용액에 분산시킨 후, 그라비아 코터를 사용하여 27mm폭의 궐련 두루마리의 중심부에 7mm폭으로 그라비아 도공했다. 도공량의 수준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목표로 하는 도공량이 되도록 향료 포접 시클로덱스트린의 농도를 조제했다.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궐련을 제작하고, 궐련에의 권상 적성(卷上 適性), 담배 부착 취기, 및 향끽미를 평가했다.
대조로서, γ-데카락톤 포접 시클로덱스트린만을 사용한 이외는 상기와 동일하게 하여, 두루마리를 조제하고,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궐련(DL-CD만)을 제작하고, 궐련에 대한 권상 적성, 담배 부착 취기, 및 향끽미를 평가했다.
[궐련에 대한 권상 적성]
궐련 제조 담당자에 의한 평가를 실시했다. 조제한 두루마리를 사용하여 권상기에 의해 궐련을 제작했다. 궐련 40000개를 연속적으로 제작했을 때의 불량권(不良卷)의 발생 빈도, 권상 시의 시클로덱스트린의 비산 상황, 두루마리 통지(通紙) 롤러 및 두루마리 접촉 부분에 대한 시클로덱스트린의 부착 상황을 관찰하고, 종합적으로 적성을 이하와 같이 평가했다.
양호: 권상 양호, 가능: 권상 가능, 불가: 권상 불가.
[관능 평가]
1) 담배 부착 취기의 평가
궐련을 태웠을 때의 연기를, 소정의 소재에 각각 부착시켜, 사내의 전문 평가자 12명에 의한 평점법에 의해, 담배 부착 취기의 평가를 실시했다. 평가하는 시료의 제작법은 상기 시험 3으로 동일하게 하였다. 소재로서, 폴리에스테르, 면, 및 머리카락에 더하여, 울(JIS 규격 울, 5×5cm편)을 사용했다. 전문 평가자가 각 소재의 담배 부착 취기를 냄새 맡아, 어느 정도의 담배 부착 취기의 저감 기능을 나타내는지를 평가했다. 전문 평가자는, 각 소재에 관하여 각각 평가를 실시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1점=(담배 부착 취기 저감의) 기능성을 나타내지 않음, 2점=약간 기능성을 나타냄, 3점=기능성을 나타냄, 4점=강한 기능성을 나타냄.
각 소재의 평점은 12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2) 향끽미 평가
제작한 궐련 시료에 관하여 사내의 전문 평가자 4명에 의한 평점법으로 향끽미를 평가했다. 평점은 이하와 같다.
1점=(향끽미가) 나쁨, 2점=수용할 수 있음, 3점=약간 좋음, 4점=좋음.
각 시료의 평점은, 3명의 전문 평가자의 평점의 산술 평균치로 했다. 평점은 소수점 1위치까지 산출했다.
표 5에 시험 결과를 나타냈다.
Figure pat00005
표 5로부터, 궐련에의 권상 적성, 담배 부착 취기 저감 기능성, 및 향끽미를 만족하는 향료 조성물이 바람직한 도공량은 100ppm 이상 200ppm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담배살을 두루마리로 감은 궐련으로서,
    상기 두루마리는,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이 포접(包接)된 시클로덱스트린이 도공 또는 분무되어 있고,
    상기 향료 조성물은,
    α-이오논, β-이오논 및 메틸이오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오논과,
    다른 향료 성분
    을 함유하고,
    상기 다른 향료 성분이 γ-데카락톤만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γ-데카락톤의 함유율이 70 내지 80중량%이며, 상기 이오논의 함유율이 20 내지 30중량%인, 궐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클로덱스트린에 포접된 상기 향료 조성물의 두루마리에 대한 도공량이 100ppm 이상 200ppm 이하인, 궐련.
KR1020177002101A 2012-03-07 2012-03-07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KR101795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5844 WO2013132618A1 (ja) 2012-03-07 2012-03-07 たばこ付着臭気改善用の香料組成物およびシガレッ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184A Division KR20140126350A (ko) 2012-03-07 2012-03-07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599A true KR20170012599A (ko) 2017-02-02
KR101795995B1 KR101795995B1 (ko) 2017-11-08

Family

ID=49116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184A KR20140126350A (ko) 2012-03-07 2012-03-07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KR1020177002101A KR101795995B1 (ko) 2012-03-07 2012-03-07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184A KR20140126350A (ko) 2012-03-07 2012-03-07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775962B2 (ko)
KR (2) KR20140126350A (ko)
CN (1) CN104160007B (ko)
HK (1) HK1199282A1 (ko)
RU (1) RU2580682C1 (ko)
UA (1) UA108973C2 (ko)
WO (1) WO20131326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3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향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98185A (zh) * 2014-12-02 2015-04-08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杨桃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在卷烟中的应用
CN104498192A (zh) * 2014-12-15 2015-04-08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贡菊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应用
JP6888974B2 (ja) * 2016-01-27 2021-06-18 学校法人近畿大学 Cyp2a13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及びcyp2a13阻害剤
WO2018003870A1 (ja) 2016-07-01 2018-01-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香味吸引器、燃焼型熱源
CN106579533A (zh) * 2016-12-15 2017-04-26 钦州市钦南区科学技术情报研究所 一种烟草用香精及其制备方法
CN107831228B (zh) * 2017-10-26 2020-06-30 福建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测定样品中香茅醛的方法、试剂盒及其应用
GB201718033D0 (en) * 2017-11-01 2017-12-13 Nicoventures Holdings Ltd Flavoured vaporisable formulation
CN110144261A (zh) * 2019-04-11 2019-08-20 杨伟祖 一种烟用香茅草香精
JP6931018B2 (ja) * 2019-04-16 2021-09-01 花王株式会社 エアロゾル形成用香料組成物の空間噴霧方法
KR102022909B1 (ko) * 2019-06-19 2019-09-1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부류연 개질 기술이 적용된 흡연물품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케이스
CN110484366A (zh) * 2019-07-09 2019-11-22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爆珠用茴香香精及其制备方法、爆珠和卷烟
CN112457914A (zh) * 2020-10-27 2021-03-09 四川三联新材料有限公司 改善加热卷烟吸味舒适性的辛香香基及其用途
WO2024013785A1 (ja) * 2022-07-11 2024-01-1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加熱型香味吸引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4964A (en) * 1991-03-14 1992-09-08 Philip Morris Incorporated Smoking compositions containing a flavorant-release additive
JP3801854B2 (ja) * 2000-11-06 2006-07-26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タバコ臭気消臭剤
KR100572243B1 (ko) * 2000-11-06 2006-04-19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담배취의 소취조성물, 담배취 소취제 및 부류연기취가적은 궐련 및 담배 패키지
JP3708815B2 (ja) * 2000-11-06 2005-10-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副流煙臭気の少ないシガレットおよびタバコパッケージ
JP5342727B2 (ja) * 2001-03-16 2013-11-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煙草臭消臭性香料組成物
JP2006025706A (ja) * 2004-07-16 2006-02-02 Kiyomitsu Kawasaki ナッツ様フレーバー組成物
CN100584229C (zh) * 2005-03-02 2010-01-27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香烟制造装置
JP2009179711A (ja) * 2008-01-30 2009-08-13 Japan Tobacco Inc タバコ臭気消臭剤
JP2009179708A (ja) * 2008-01-30 2009-08-13 Japan Tobacco Inc タバコ臭気消臭用香料組成物、シガレットおよびタバコパッケージ
JP2011012016A (ja) * 2009-07-01 2011-01-20 Kose Corp 化粧料賦香用キッ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9453A1 (ko) * 2018-07-05 2020-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성분을 포함하는 흡연 물품 및 향미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99282A1 (en) 2015-06-26
CN104160007A (zh) 2014-11-19
KR20140126350A (ko) 2014-10-30
JP5775962B2 (ja) 2015-09-09
JPWO2013132618A1 (ja) 2015-07-30
KR101795995B1 (ko) 2017-11-08
WO2013132618A1 (ja) 2013-09-12
UA108973C2 (uk) 2015-06-25
RU2580682C1 (ru) 2016-04-10
CN104160007B (zh)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995B1 (ko) 담배 부착 취기 개선용의 향료 조성물 및 궐련
KR102033213B1 (ko)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CN109152408A (zh) 用于烟草行业产品的胶囊
CN108523205B (zh) 一种用于加热方式发烟膜材及其制备方法
JP2009240334A (ja) ビタミンeを有するタバコ製品
SU585799A3 (ru)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 органолептических свойств изделий
KR20150010945A (ko) 쿨링제 포접 착체를 가진 흡연 물품 마우스피스
WO2022135180A1 (zh) 一种去腥提鲜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558282A (zh) 电子烟液及包含所述电子烟液的雾化装置
JPH10263064A (ja) 消臭剤
CN113117500A (zh) 一种有去除异味功效的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666764B (zh) 一种薄荷型卷烟凉味香精组合物
TWI484920B (zh) 菸草附著臭氣改善用的香料組成物及香菸
DE2737525A1 (de) Riechstoffe und aromamittel
CN111621363A (zh) 一种烟用糯米香香精爆珠及其制备方法
CN110959903A (zh) 风味组合物及包含所述风味组合物的电子烟液
KR102410960B1 (ko) 방향 탈취용 조성물
JP2019104696A (ja) 蚊取線香
JP2010022728A (ja) タバコ臭気用の消臭剤、およびタバコ臭気の消臭機能を有する飲食品、消臭添加剤
CN111518619B (zh) 一种凸显卷烟花香特征的功能性组群及其应用
JP2009179708A (ja) タバコ臭気消臭用香料組成物、シガレットおよびタバコパッケージ
CN110506982B (zh) 风味组合物及包含所述风味组合物的电子烟液
JP7052152B2 (ja) 持続性蚊取線香
TW202408384A (zh) 含酸的吸煙製品
JPH10167903A (ja) 蚊取線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