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213B1 -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213B1
KR102033213B1 KR1020167025827A KR20167025827A KR102033213B1 KR 102033213 B1 KR102033213 B1 KR 102033213B1 KR 1020167025827 A KR1020167025827 A KR 1020167025827A KR 20167025827 A KR20167025827 A KR 20167025827A KR 102033213 B1 KR102033213 B1 KR 102033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olution
acetate
tobacco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4188A (ko
Inventor
토모코 니와노
쇼헤이 미야고
히데키 나가에
신타로 아키야마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4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1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carbocyclic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28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 A24B15/30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 A24B15/34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carbocyclic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24B15/345Treatment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by chemical substances by organic substances containing a carbocyclic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containing condens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2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204Preliminary operations before the filter rod forming process, e.g. crimping, blooming
    • A24D3/0212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 A24D3/0216Applying additives to filter materials the additive being in the form of capsules, bea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61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containing additives entrapped within capsules, sponge-like material or the like, for further release upon smok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08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carrier or major constituent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3/00Tobacco smoke filters, e.g. filter-tips, filtering inserts;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 A24D3/06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 A24D3/14Use of materials for tobacco smoke filters of organic materials as addit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Manufacture Of Tobacco Products (AREA)
  • Cosmetics (AREA)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를 함유하는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향료 성분 A: 증기압이 2Pa 이상 210Pa 미만이고, 물/옥탄올 분배 계수가 1.5 이상 6.5 이하인 성분.
향료 성분 B: 증기압이 210Pa 이상 10000Pa 이하이고, 물/옥탄올 분배 계수가 -1 이상 3 이하인 성분.

Description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FOR IMPROVING BREATH HAVING SMELL OF CIGARETTES}
본 발명은,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 악취를 탈취하기 위해서, 담배 필터나 두루마리(卷紙)에 특정의 소취(消臭) 성분을 담지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7-250665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179708호 참조). 그러나, 이들의 기술은 모두, 담배로부터 직접 발생하는 악취를 소취하는 것이고, 담배 취구취(臭口臭)를 개선하려고 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상기의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소취 성분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만으로, 담배 취구취의 소취가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담배 취구취를 개선하는데 있어서는, 구강내에서의 향료 성분의 탈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근의 구취(口臭)에 대한 의식의 높아짐에 따라, 구취개선 향료나 소취제에 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289918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170906호,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175095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190990호 참조). 또한, 담배취를 포함한 구취를 마스킹하기 위한 향료에 관한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4-18431호 참조). 그러나, 이들의 구취 개선 향료나 소취제를 담배에 그대로 첨가하여 사용하면, 강한 방향(芳香)을 풍기는 성분을 다량으로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고,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해치게 된다. 즉, 담배에 첨가하는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에 있어서는, 극히 소량으로 담배 취구취를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끽연(喫煙) 후에 이들 구취개선 향료나 소취제를 입안에 머금는다고 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 끽연 후에 동작이 필요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담배향 끽미를 담보하면서 끽연에 따른 담배 취구취를, 끽연이라고 하는 하나의 동작 중에서 개선하는 것은 충분히는 달성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소량의 첨가로 담배 취구취를 개선할 수 있고, 게다가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해치지 않는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및 이러한 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끽연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의 향료 성분 A 및 향료 성분 B를 함유하는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향료 성분 A: 증기압이 2Pa 이상 210Pa 미만이고, 물/옥탄올 분배 계수가 1.5 이상 6.5 이하인 성분.
향료 성분 B: 증기압이 210Pa 이상 10000Pa 이하이고, 물/옥탄올 분배 계수가 -1 이상 3 이하인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 성분 A로서, 제라니올, 카리오필렌, 아세트산게라닐, 테르피네올, 시트로넬올, 아세트산시트로넬릴, 시트랄,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피페리톤, 리날룰, 4'-메틸아세토페논, 멘톤, 3-헥센-1-올, 아세트산헥실, 페란드렌, 리모넨, 카프로산에틸, 2-아세틸-5-메틸푸란, 아세트산보르닐, 2-데세날, 메타-디메톡시벤젠, 파라-디메톡시벤젠, 2,4-디메틸아세토페논, 벤조산에틸, 2-에틸-1-헥산올, 펜콘, 2-헥센-1-올, 아세트산헥세닐, 헥실알코올, 아세트산이소보닐, 아세트산리나릴, 1-메틸-3-메톡시-4-이소프로필벤젠, 메틸아니솔, 노나논, 2-옥타논, 1-옥텐-3-올, 테르피놀렌, 3,5,5-트리메틸-1-헥산올, 2,2,6-트리메틸시클로헥산온이 예시된다. 이 중에서도, 제라니올, 카리오필렌, 아세트산게라닐, 테르피네올, 시트로넬올, 아세트산시트로넬릴, 시트랄,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피페리톤, 리날룰, 4'-메틸아세토페논, 멘톤, 3-헥센-1-올, 아세트산헥실, 페란드렌, 리모넨, 카프로산에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향료 성분 B로서 유칼립톨, 아세트산이소아밀, 이소발레르산에틸, 프로피온산에틸, 아세토인, 아밀알코올, 포름산아밀, 1-부탄올, 아세트산부틸, 부티르산에틸, 유산(乳酸)에틸, 2-부테논산에틸, 2-헵타논, 헥사날, 2-헥세날, 포름산-시스-3-헥세닐, 포름산이소아밀, 아세트산이소부틸, 이소부틸알코올, 2-프로산메틸, 이소발레르산메틸, 5-메틸-3-헥센-2-온, 4-메틸-3-펜텐-2-온,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3-온, 2-펜탄온이 예시된다. 이 중에서도, 유칼립톨, 아세트산이소아밀, 이소발레르산에틸, 프로피온산에틸이 바람직하다.
상기 향료 성분을 대신하여, 혹은 상기 향료 성분과 함께, 이들 성분을 함유하는 천연 향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천연 향료로서는 예를 들면, 스페어민트유, 페퍼민트유, 가든 민트유, 민트유, 아라만다유, 히메지소유, 스윗바질유, 목향유, 보아·드·로즈유, 로즈유, 시트로넬라유, 유자, 레몬 글래스유, 레몬버베나유, 레몬유, 제라늄유, 카낭가유, 참파카유, 클라리-세이지유, 코리앤더, 쟈스민유, 라반진유, 라벤더유, 만다린유, 네로리유, 오렌지·필유, 오렌지유, 오렌지 플라워, 페치그린유, 세이지유, 타임유, 이란·이란유, 벨가모드유, 카낭가유, 칼라민트유, 딜유, 유칼리유, 라임유, 마죠람유, 카라웨이유, 셀러리유, 그레이프 후르츠유, 페퍼, 탄제린유, 버베나유, 아니스유, 발삼·페루유, 발삼·톨유, 캠퍼유, 시다우드(Cedarwood), 카모밀유, 신나몬유, 클로브, 다바나, 펜넬유, 페네그릭, 생강유, 임모르텔, 미모사유, 오리바남유, 윈터 그린유, 로렐 리프유, 카르다몸유, 로즈메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에는, 상기 향료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다른 성분으로서는, 상기 향료 성분 이외의 지방족 쇄상 알코올류, 테르펜계 알코올류, 테르펜계 알데히드류, 테르펜계 에스테르류, 지방족 에스테르류, 테르펜계 케톤류, 방향족 케톤류, 테르펜계 탄화수소류, 테르펜계 에테르류, 지방족 에스테르류의 향료 성분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을 담지한 끽연 물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은, 통상 담배에 향료를 첨가하는 어느 공정에 있어서도 담배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은, 어느 농도로 최종 끽연 물품(궐련 등)에 첨가되어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담배재 1g에 대하여 0.5mg 이상 15mg 이하의 비율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담배재 1g에 대하여 0.5mg 이상 5mg 이하의 비율로 첨가된다. 담배재로서는, 잎담배(황색종, 버얼리종(burley), 오리엔트종 등), 시트 담배 등 어느 담배재도 사용할 수 있고, 통상, 이들 담배재는, 살의 형태로 끽연 물품에 사용된다. 살은, 팽화된 형태에 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은, 담배재, 재료품(담배 필터 등)의 어느 위치에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자들은, 담배 취구취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향료 조성물이 호기(呼氣)에 토출되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생각했다. 즉, 향료에 따라서는, 구강에 이르기 전에 휘산하는 것이나, 구강에 이른 후에 호기에 토출되는 경우 없이 입안에 머무는 것이 존재한다. 향료가 호기에 토출되지 않으면, 비록 높은 마스킹 효과를 가지고 있어도,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로서는 적합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자들은, 다수의 기존의 향료 성분에 관하여 화학분석을 실시하고, 끽연 3분 후의 호기 중으로의 향료 성분의 릴리스율 L을 측정했다.
호기 중 릴리스율 L(%)은, 호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ex(area/mL)를 주류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ms(area/mL)로 나누고 100을 곱하는 것에 의하여 산출된다. area는 GC/MS분석에 의한 피크 적분 면적이다.
이 호기 중 릴리스율 L의 값이 0.1% 이상이면, 담배 설계상 허용되는 향료 첨가량의 범위 내에서, 담배 취구취를 개선하는데 충분한 호기 중의 향료 토출량을 담보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상기의 호기 중 릴리스율 L이 0.1% 이상인 향료 성분은, 증기압 Vp와 물/옥탄올 분배 계수 P가 일정한 범위에 있는 2개의 군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2≤Vp<210 또한 1.5≤logP≤6.5인 향료 성분 A와, 210≤Vp≤10000 또한 -1≤logP≤3인 향료 성분 B이다.
또한, 향료 성분 A 및 향료 성분 B 중에서 각각, 관능 평가에 의해 구취개선 효과가 특히 큰 성분을 선정했다(관능 평가 방법은 후술한다).
여기서 본 발명자들은,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는 그 물성이 상이한 점에서, 입안에서의 거동이 상이하고, 담배 취구취 개선에 대해서 상이한 기여를 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구체적으로는, 향료 성분 B는 증기압이 비교적 높기 때문에, 담배 취구취의 끽연 직후의 구취개선 효과(이하에서는 「상승 효과」라고 부른다)에 기여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또한, 향료 성분 A는 증기압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담배 취구취의 장기적인 구취개선 효과(이하에서는 「지속 효과」라고 부른다)에 기여하고 있다고 예상했다. 표 1에 향료 성분 A 및 향료 성분 B의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향료 성분 A 및 향료 성분 B에 포함되지 않는 성분, 즉 증기압이 비교적 높고 비교적 소수적(疎水的)인 성분은 끽연 도중에 휘산해 버려 대부분이 입안에 도달하지 못하고, 또한 증기압이 비교적 낮고 비교적 친수적인 성분은 입안에 도달하지만 입안의 수분에 녹아든 채로 호기 중에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구취개선 효과에 기여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증기압
물/옥탄올
분배계수




고(소수적)

입안 잔류성; 중간 향료 성분A 입안 잔류성; 중간
지속성; 저 지속성; 고
끽연 도중에 휘산한다. 입안 잔류성은 중간이지만, 증기압이 낮기 때문에 지속성이 높다.
저(친수적)

향료
성분
B
입안 잔류성; 고
입안 잔류성; 고
지속성; 저 지속성; 고
입안의 수분에 녹아드는 것에 의해 잔류하지만, 증기압이 높기 때문에 지속성이 낮다. 입안의 수분에 녹아든 상태가 지속된다(호기 중에 대한 토출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후술한 바와 같이, 향료 성분 A만 또는 향료 성분 B만의 조합 향료(비교예)와,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와의 조합 향료(실시예)를 각각 조제하고, 담배 취구취 개선도를 관능 평가했다. 그 결과, 향료 성분 A만 또는 향료 성분 B만의 경우와 비교하여,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를 조합하는 쪽이, 소량으로 충분한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의 선정 방법은, 주류연 중 양 및 호기 중 릴리스 양을 분석하는 공정과, 호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ex(area/mL)를 주류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ms(area/mL)로 나누고 100을 곱하는 것에 의해 산출되는 호기 중 릴리스율 L이 0.1% 이상인 향료 성분을 선택하는 공정을 가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택된 향료 성분 중, 담배 취구취의 악취 강도의 관능 평가 결과에 의해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가 있는 향료 성분을 선택하는 공정도 가진다.
또한, 향료 성분 A의 중량이 향료 성분 B의 중량보다도 많은 경우(A>B)에는, 적던가 동일한 경우(A≤B)와 비교하여, 특히 큰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에 의해, 담배 본래의 향끽미를 해치는 경우 없이 담배 취구취를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1) 호기 중 릴리스율의 산출 방법
(1.1) 끽연 3분 후의 호기 중에서의 향료 성분의 릴리스율 L(%)은, 호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ex(area/mL)를 주류연 중의 향료 성분 농도 Cms(area/mL)로 나누고 100을 곱한 값이다.
(1.2) 샘플링 방법
(1.2.1) 궐련의 준비
분석에 사용한 궐련은 모두 시판 궐련 「세븐 스타·라이트·박스」이다. 향료를 분석하기 직전에 에탄올로 희석한 향료를 살에 첨가하여 시험에 사용했다. 구체적으로는, 20~30의 향료 성분을 각 100μg/10μL의 농도로 혼합한 용액 10μL를 살에 첨가했다.
(1.2.2) 호기의 포집
실험자는, 끽연 전에 물로 입을 헹구어, 세구(洗口)한다. 그 후, 궐련을 끽연한다. 끽연 간격은 30초, 끽연 퍼프(puff) 회수는 7회로 한다. 끽연 후, 포집관(TENAX-TA를 2 연결한 것)을 입에 물고, 펌프에 의해 100mL/min로 구강 내의 헤드 스페이스(토출되는 호기)를 포집한다. 호기 포집의 시간은, 끽연 종료시를 기점으로 하여 3분 후로부터 1분간으로 한다. 포집 후, 분석에 지장을 초래하는 수분을 휘산시키기 위해, 100mL/min로 질소 가스를 4분간 통기시킨다.
(1.2.3) 주류연 포집
매스 플로우 콘트롤러와 펌프로 구성한 끽연기를 사용하여 주류연를 포집한다. 끽연 간격은 30초, 끽연 유량은 55mL/2sec로 한다. 착화로부터 3퍼프 째까지는 포집하지 않는다. 4퍼프 째의 주류연를 포집관(TENAX-TA)에 통기시킨다.
(1.3)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GC/MS)
가열 탈착 시스템(TDS), 냉각 주입 시스템(CIS), 저온 트랩 시스템(CTS)을 증설한 GC/MS에서 분석했다.
(2) 향료 성분 A, B의 관능 평가법
끽연자가 끽연 후의 호기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의 백에 포집하고, 끽연자 자신이 해당 백을 다른 냄새로서 관능 평가한다. 평가법의 상세에 관하여는, 「구취 진찰 메뉴얼」제1 치과 출판, 및 「악취 간이 평가 기술의 활용에 관한 보고서」 냄새·향기 환경 협회 측정 평가 부회, 악취 간이 평가 기술 표준화 연구회를 참조할 것.
(2.1) 평가법
(2.1.1) 평가 궐련의 제작
궐련에는 시판 궐련 「세븐 스타·라이트·박스」를 이용했다. 평가 대상의 향료 성분을 에탄올로 650μg/L으로 희석한 후, 살에 10μL첨가하고, 시험에 사용했다.
(2.1.2) 백에 대한 호기의 포집법
평가자는, 끽연 전에 물로 입을 헹구어, 세구한다. 그 후, 평가 궐련을 끽연한다. 끽연 간격은 30초, 끽연 퍼프 회수는 7회로 한다. 끽연 후, 호기를 3L 용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의 백에 토출하고, 실리콘 마개로 닫는다. 호기 포집의 시간은, 끽연 종료시를 기점으로 하여 30초 후 및 3분 후로 한다.
(2.1.3) 백의 관능 평가
평가자(사내의 전문 평가자 4명)는, 평가전에 세구한다. 평가자 자신이 포집한 백의 마개를 벗기고, 백 내의 호기의 냄새를 평가한다. 평가 항목을 이하에 기재한다.
담배취의 마스킹 효과에 대해 절대 평가한다(평점법. 0점; 담배의 냄새를 억제하지 않았다. 1점; 담배의 냄새를 억제하고 있다. 2점; 담배의 냄새를 잘 억제하고 있다. 0.5점과 1.5점은 각 라벨간의 중간). 각 평가자의 30초 후 및 3분 후의 평점을 평균한 것을 각 평가자의 평점으로 하고, 4명의 평가자의 합계점이 0.5점 이상인 것을 「마스킹 효과 있음」이라고 한다. 또한, 4명의 평가자의 합계점이 4점 이상인 것을 「강한 마스킹 효과 있음」이라고 한다.
표 2에 「마스킹 효과 있음」 「강한 마스킹 효과 있음」이라고 평가된 구체적인 향료 성분 A, B를 나타낸다.
Figure 112016090905194-pat00001
(3) 실시예의 향료 조성물의 입안 악취 관능 평가법
끽연자가 끽연 후의 호기를 3L 용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의 백에 포집하고, 끽연자 자신이 해당 백을 다른 냄새로서 관능 평가한다. 평가법의 상세에 관하여는, 「구취 진찰 메뉴얼」제일 치과 출판, 및 「악취 간이 평가 기술의 활용에 관한 보고서」냄새·향기 환경 협회 측정 평가 부회, 악취 간이 평가 기술 표준화 연구회를 참조할 것.
(3.1) 평가법
(3.1.1) 평가 궐련의 제작
궐련에는 시판 궐련 「세븐 스타·라이트·박스」를 이용했다. 평가 대상의 향료 성분을 직경 약 4mm의 심리스 캅셀(젤라틴막)에 봉입하고, 1개의 캅셀을 필터에 충전했다.
(3.1.2) 백으로의 호기의 포집법
평가자는, 끽연 전에 물로 입을 헹구어, 세구한다. 그 후, 평가자는, 끽연 직전에 필터 내의 캅셀을 손가락으로 눌러 찌부러뜨리고 나서 평가 궐련을 끽연한다. 끽연 간격은 30초, 끽연 퍼프 회수는 7회로 한다. 끽연 후, 호기를 3L 용량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제의 백에 토출하고, 실리콘 마개로 닫는다. 호기 포집의 시간은, 끽연 종료시를 기점으로 하여 30초 후 및 3분 후로 한다.
(3.1.3) 백의 관능 평가
평가자(사내의 전문 평가자 4명)는, 평가전에 세구한다. 평가자 자신이 포집한 백의 마개를 벗기고, 백 내의 호기의 냄새를 평가한다. 이하의 항목에 대해 절대 평가한다(1점에서 4점까지의 평점법. 수치가 커지는 만큼 효과가 크다).
·상승 효과(끽연 30초 후)의 담배 냄새 마스킹 효과
·지속 효과(끽연 3분 후)의 담배 냄새 마스킹 효과
·전체의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
·끽미 수용성
표 3 및 표 4에 시험 결과를 정리해 나타낸다. 표 3 및 표 4에 있어서, ◎는 평가자 4명의 평점의 평균점이 3.5점 이상 4점 이하인 것, ○는 평가자 4명의 평점의 평균점이 2.5점 이상 3.5점 미만인 것, △는 평가자 4명의 평점의 평균점이 1.5점 이상 2.5점 미만인 것, ×는 평가자 4명의 평점의 평균점이 1.5점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에 있어서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550~650‰(퍼밀), 아세트산이소아밀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50~45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50~450‰, 아세트산이소아밀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550~65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3에 있어서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0~500‰, 3-헥센-1-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0~50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30~27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게라닐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시트랄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50~10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80~26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5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0~30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0~34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18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5에 있어서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40~200‰, 4'-메틸아세토페논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40~200‰, 아세트산헥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0~60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40~20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게라닐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시트랄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10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40~36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6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30~33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50~21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20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7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5~45‰, 아세트산게라닐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90~13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70‰, 아세트산시트로넬릴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20~460‰, 시트랄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8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3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30~19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에서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8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4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8에 있어서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90~57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6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40~36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12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9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게라닐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시트랄의 중량은 용액 전체 t내의 중량에 대하여 30~10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10~17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8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70~36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50~21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00~28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0에 있어서 아세트산헥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30~55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40~320‰, 이소발레르산에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90~140‰, 프로피온산에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0~10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14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12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360~52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70~39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2에 있어서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10~17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70~67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35~335‰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3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이르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80~74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6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50~22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6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16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4에 있어서 제라니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70~14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180‰, 시트로넬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50~21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80~280‰, 카프로산에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0~160‰, 아세트산이소아밀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40~22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5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80~740‰, 피페리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6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230~330‰, 페란드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6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16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16에 있어서 카리오필렌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게라닐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50~250‰, 테르피네올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아세트산시트로넬릴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30~230‰, 아세트산멘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20‰, 카르본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80‰, 리날룰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0~60‰, 멘톤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130~200‰, 리모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40~80‰, 유칼립톨의 중량은 용액 전체의 중량에 대하여 80~130‰의 사이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Figure 112016090905194-pat00002
Figure 112016090905194-pat00003
표 3 및 표 4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았다.
향료 성분 A만 또는 향료 성분 B만의 경우(비교예 1, 2)는, 「상승 효과」 및 「지속 효과」의 어느 하나의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가 불충분했었기 때문에, 전체의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로서도 불충분했다. 한편,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를 조합했을 경우(실시예 1-16)는, 「상승 효과」 및 「지속 효과」 동시에 높은 구취개선 효과를 볼 수 있고, 전체의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도 충분했다.
또한, 향료 성분 A의 중량을 향료 성분 B의 중량보다 많이 (A>B) 하면(실시예 1, 3-16), A<B의 경우(실시예 2)와 비교하여, 보다 양호한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와의 중량비는 5.5:4.5~9.9: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향료 성분 A와 향료 성분 B를 조합했을 경우(실시예 1-16),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담배재 1g 당 0.5mg 이상 15mg 이하, 또한 담배재 1g 당 0.5mg 이상 5mg 이하에서도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담배재 1g 당 0.5mg이라고 하는 매우 적은 첨가에서도, 충분한 담배 취구취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담배재 1g 당 0.5mg이라고 하는 첨가량은, 담배 향끽미의 관점으로부터도 바람직하다.

Claims (9)

  1. 하기 (A1), (A2), (A3), (A4), (A5), (A6), (A7), (A8), (A9), (A10) 또는 (A11)인 향료 성분 A와,
    하기 (B1) 또는 (B2)인 향료 성분 B
    를 함유하고, 또한
    상기 향료 성분 A와 상기 향료 성분 B와의 중량비가 5.5:4.5~9.9:0.1인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을 담지한 끽연 물품:
    (A1) 아세트산멘틸;
    (A2) 멘톤 및 3-헥센-1-올;
    (A3) 카리오필렌, 아세트산게라닐, 테르피네올, 시트랄,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피페리톤, 리날룰, 멘톤, 페란드렌 및 리모넨;
    (A4) 리날룰, 4'-메틸아세토페논 및 아세트산헥실;
    (A5) 카리오필렌, 아세트산게라닐, 테르피네올, 아세트산시트로넬릴, 시트랄,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피페리톤, 리날룰, 멘톤 및 리모넨;
    (A6) 카르본, 리날룰 및 멘톤;
    (A7) 아세트산헥실;
    (A8) 카리오필렌, 테르피네올,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피페리톤, 리날룰, 멘톤, 페란드렌 및 리모넨;
    (A9) 아세트산멘틸 및 멘톤;
    (A10) 제라니올, 테르피네올, 시트로넬올, 카르본, 리날룰 및 카프로산에틸;
    (A11) 카리오필렌, 아세트산게라닐, 테르피네올, 아세트산시트로넬릴, 시트랄, 아세트산멘틸, 카르본, 리날룰, 멘톤 및 리모넨;
    (B1) 유칼립톨;
    (B2) 유칼립톨, 이소발레르산에틸 및 프로피온산에틸.
  2. 제1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담배재 1g 당 0.5mg 이상 15mg 이하로서, 향료 조성물이 끽연 물품의 담배재, 재료품의 어느 위치에 첨가된, 끽연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담배재 1g 당 0.5mg 이상 5mg 이하인, 끽연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담배 라드와, 상기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을 봉입한 캅셀을 충전한 담배 필터를 가지는 궐련인, 끽연 물품.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7025827A 2012-01-25 2012-01-25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KR102033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1524 WO2013111281A1 (ja) 2012-01-25 2012-01-25 たばこ臭口臭改善香料組成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319A Division KR20140116531A (ko) 2012-01-25 2012-01-25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188A KR20160114188A (ko) 2016-10-04
KR102033213B1 true KR102033213B1 (ko) 2019-10-16

Family

ID=488730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827A KR102033213B1 (ko) 2012-01-25 2012-01-25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KR1020147023319A KR20140116531A (ko) 2012-01-25 2012-01-25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3319A KR20140116531A (ko) 2012-01-25 2012-01-25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860904B2 (ko)
KR (2) KR102033213B1 (ko)
CN (2) CN109480330A (ko)
HK (1) HK1198258A1 (ko)
RU (1) RU2592351C2 (ko)
UA (1) UA110881C2 (ko)
WO (1) WO20131112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2038B2 (en) * 2010-03-26 2015-02-10 Philip Morris Usa Inc. Inhibition of undesired sensory effects by the compound camphor
JP6559950B2 (ja) * 2014-12-11 2019-08-14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燻煙剤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燻煙剤使用後の刺激臭緩和方法
JP6888974B2 (ja) * 2016-01-27 2021-06-18 学校法人近畿大学 Cyp2a13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及びcyp2a13阻害剤
CN106307602A (zh) * 2016-09-12 2017-01-11 三峡大学 一种清新口气的电子烟液
CN107446700B (zh) * 2017-09-14 2020-10-16 皖西学院 一种表现出霍山石斛鲜花香味的香料组合物及应用
CN107802030A (zh) * 2017-09-19 2018-03-16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细支滤棒中香线用丁香香精及其应用
CN107668771A (zh) * 2017-09-19 2018-02-09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细支滤棒中香线用茴香香精及其应用
KR102549107B1 (ko) * 2018-03-07 2023-06-3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CN109315820A (zh) * 2018-08-10 2019-02-12 杨福荣 香烟原料、其制备方法以及使用其的香烟
CN110144261A (zh) * 2019-04-11 2019-08-20 杨伟祖 一种烟用香茅草香精
CN110484366A (zh) * 2019-07-09 2019-11-22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爆珠用茴香香精及其制备方法、爆珠和卷烟
CN110452773A (zh) * 2019-07-09 2019-11-15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爆珠用香橙香精及其制备方法、爆珠和卷烟
JPWO2021182538A1 (ko) * 2020-03-10 2021-09-16
JP2022025045A (ja) * 2020-07-28 2022-02-09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香料組成物
CN112063454A (zh) * 2020-09-07 2020-12-11 泛亚(武汉)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烟用爆珠的荷花薄荷复配香精及其制备方法
WO2022091317A1 (ja) * 2020-10-30 2022-05-05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エアロゾルを用いて行う口腔内洗浄に使用される洗口液、カートリッジ、口腔内洗浄用エアロゾル発生装置、及び口腔内洗浄方法
CN116507220A (zh) * 2020-11-06 2023-07-28 学校法人近畿大学 血管疾病治疗用组合物、血管疾病预防用组合物、高血压治疗用组合物和高血压预防用组合物
WO2023210481A1 (ja) * 2022-04-28 2023-11-02 学校法人近畿大学 カリオフィレン含有組成物
GB202211859D0 (en) * 2022-08-12 2022-09-28 Nicoventures Trading Ltd Aeroslisable materia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264A (ja) * 2001-12-25 2003-07-08 Kiyomitsu Kawasaki 環境用芳香消臭組成物及び該環境用芳香消臭組成物を含有する環境用芳香消臭剤
JP2005013138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香辛料フレーバーの製造方法
WO2011152316A1 (ja) * 2010-05-31 2011-12-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およびシガレッ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0496U (ja) * 1990-12-25 1992-09-25 テル 鈴木 香料入りタバコ
KR940006104B1 (ko) * 1991-07-26 1994-07-06 주식회사 태평양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CN1076844A (zh) * 1992-03-31 1993-10-06 武汉市一轻工业科学研究所 特种烟用香精
US6631722B2 (en) * 1993-09-30 2003-10-14 British-American Tobacco Company Limited Tobacco smoke filter elements
JP3184864B2 (ja) * 1997-10-24 2001-07-0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たばこ副流煙臭気を改善する香料を担持するたばこ巻紙、およびシガレット
DE19920147A1 (de) * 1999-05-03 2000-11-09 Haarmann & Reimer Gmbh Minz- und/oder Fruchtaromakompositionen
CA2427988C (en) * 2000-11-06 2009-06-16 Japan Tobacco Inc. Tobacco odor deodorizing perfume composition, tobacco odor deodorant, cigarette low in sidestream smoke odor, and tobacco package
DK1336345T4 (da) * 2000-11-06 2014-02-03 Japan Tobacco Inc Anvendelse af parfumesammensætninger som middel til at formindske siderøgslugt i cigaretter
CN1500477A (zh) * 2002-11-13 2004-06-02 丛繁滋 带有植物芳香气息的速效气雾剂及其制备方法
CN1590522A (zh) * 2003-09-05 2005-03-09 上海百润香精香料有限公司 一种烤烟香精
WO2005041151A2 (en) * 2003-10-02 2005-05-06 Vector Tobacco Ltd. Tobacco product labeling system
JP4782478B2 (ja) * 2005-06-07 2011-09-28 花王株式会社 香料組成物
JP2007289221A (ja) * 2006-04-21 2007-11-08 Kao Corp 消臭剤組成物
US8602036B2 (en) * 2006-08-03 2013-12-10 Philip Morris Usa Inc. Smoking articles enhanced to deliver additives incorporated within electrospun microfibers and nonofibers, and related methods
ITVA20060056A1 (it) * 2006-09-06 2008-03-07 Giuseppe Elia Filtro per togliere le sostanze nocive dal fumo del tabacco
US20080253976A1 (en) * 2007-04-16 2008-10-16 Douglas Craig Scott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n Antimicrobial Blend of Essential Oils or Constituents Thereof
WO2009142159A1 (ja) * 2008-05-19 2009-11-26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香料含有材料、その製造方法およびシガレット
CA2722682C (en) * 2008-06-25 2013-04-30 Japan Tobacco Inc. Smoking article
CN101558860B (zh) * 2009-05-18 2012-07-25 广州市凯虹香精香料有限公司 一种复合型槟榔专用香精
RU107025U1 (ru) * 2011-04-04 2011-08-10 Марсиль Робертович Ахметшин Конструкция капсулы для сигаретного фильтра (вариант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0264A (ja) * 2001-12-25 2003-07-08 Kiyomitsu Kawasaki 環境用芳香消臭組成物及び該環境用芳香消臭組成物を含有する環境用芳香消臭剤
JP2005013138A (ja) * 2003-06-27 2005-01-20 Kiyomitsu Kawasaki 香辛料フレーバーの製造方法
WO2011152316A1 (ja) * 2010-05-31 2011-12-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シガレット用フィルターおよびシガレ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80898A (zh) 2014-10-01
UA110881C2 (uk) 2016-02-25
RU2014134518A (ru) 2016-03-20
KR20140116531A (ko) 2014-10-02
HK1198258A1 (en) 2015-03-20
KR20160114188A (ko) 2016-10-04
WO2013111281A1 (ja) 2013-08-01
RU2592351C2 (ru) 2016-07-20
CN109480330A (zh) 2019-03-19
JPWO2013111281A1 (ja) 2015-05-11
JP5860904B2 (ja) 201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3213B1 (ko) 담배 취구취 개선 향료 조성물
CA2923091C (en) Improved terpene-based compositions, processes, methodologies for creation and products thereby
JP7164097B2 (ja) 天然植物素材を含有する機能性タバコフィルター、タバコ、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430551A (zh) 尼古丁颗粒封壳
JP2023120434A (ja) エアロゾル化された配合物
JP2022506102A (ja) エアロゾル化可能な配合物
JP2023120433A (ja) エアロゾル化された配合物
WO2017073478A1 (ja) エアゾール型芳香剤
CN111109647A (zh) 风味组合物及包含所述风味组合物的电子烟液
CN112911950A (zh) 可气雾化配制品
US20090016966A1 (en) Air-Freshening Device
CN113558282A (zh) 电子烟液及包含所述电子烟液的雾化装置
CN110495631B (zh) 电子烟液
JP4758654B2 (ja) 消臭方法
TW201032738A (en) Cigarette
JP2001303090A (ja) 化学的消臭香料組成物
EP1872831A1 (de) Riechstoffhaltige Zusammensetzungen umfassend deliqueszente Stoffe
TWI457437B (zh) 菸臭口臭改善香料組成物
JP4782478B2 (ja) 香料組成物
CN111296884A (zh) 电子烟液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KR102410960B1 (ko) 방향 탈취용 조성물
JP2015100423A (ja) 消臭剤
KR20160099398A (ko) 체취 마스킹용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JP2009179708A (ja) タバコ臭気消臭用香料組成物、シガレットおよびタバコパッケ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