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104B1 -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104B1
KR940006104B1 KR1019910012878A KR910012878A KR940006104B1 KR 940006104 B1 KR940006104 B1 KR 940006104B1 KR 1019910012878 A KR1019910012878 A KR 1019910012878A KR 910012878 A KR910012878 A KR 910012878A KR 940006104 B1 KR940006104 B1 KR 940006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ts
fragrance
composition
pin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933A (ko
Inventor
노택우
민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한동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1991001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6104B1/ko
Publication of KR93000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제 1 도는 삼림 대기중의 휘산되어 있는 휘발성분의 포집장치의 설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포집장치에 의해 포집된 휘발성분의 분석장치를 보여주는 도이다.
본 발명은 삼림욕의 적소로 알려진 지리산, 설악산등 침엽수가 많은 적지를 택하여 대기중에 휘산되는 방향 성분을 포집하여 성분 분석을 통하여 재현시킨 향료를 이용한 방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피톤치드(Phythoncide)성분이라고 알려진 알파-피넨(alpha-pinene), 베타-피넨(beta-pinene), 리모넨(Limonene), 사비엔(sabinene), 파라-시멘(para-cymene), 미르센(Myrcene), 캠펜(camphene), 알파-터피넨(alpha-terpinene), 알파-펠란드렌(alpha-phellandrene),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캠퍼(camphor), 터피네올(terpineol),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실내, 자동차내 사무실등의 장소에서 삼림욕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한 방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삼림욕은 일반적으로 수목에서 발산되는 휘발성 방향성분을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하는 것으로서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뿐만 아니라 감기등 순환기 질환, 소화장애등 소화기 질환, 심신증, 불면증 등 심인성 질환등의 치유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고문헌 : 아로마 테라피-<방향 요법의 이론과 실제> ; 후레그란스 저널사, 일본, 1987].
또 피톤치드(phytoncided)라 불리는 휘발성 방향 성분은 특히 소나무, 잣나무, 자작나무, 솔송나무, 향나무, 박달나무, 가문비나무, 삼나무, 전나무등 침엽수에서 특히 강하고 효과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목의 종류에 따라 그 구성 성분도 다르고 결과적으로 그 효과도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하면, 삼림욕 성분 분석 장소는 대기 오염이 가장 적고 삼림욕의 수종이 다양한 3 내지 5부 능선의 평지로부터 3 내지 5미터 높이에서 제 1 도와 같은 장치를 가설하여 48시간 동안 대기중에 있는, 휘발성분을 포집 흡착시켜 제 2 도와 같은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방향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제 1 도의 장치를 설명하면 나무 3.5미터 위에 1 의 미니 에어 펌프를 설치, 미니 에어 펌프로부터 발생하는 에어는 3의 테네스-티.에이 컬럼(Tenax-TA Column)을 통하여 6의 삼림 대기중에 휘산되어 있는 휘발성분을 48시간 동안 포집·흡착한다.
흡착된 휘발성분을 G.C, GC-MS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제 2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담체기체 N2은 밸브-I를 통해 a방향으로 흘러 Tanax-TA 컬럼을 거쳐 6의 밸브-II에 의해 외부로 송풍된다. 이때 Tenax-TA Column에 흡착된 향기 성분은 4의 가열맨틀(Heating Mantle)에 의해 200℃의 가열을 받고 휘발되어 담체기체 N2에 의해 5의 액체질소 트랩 자(Liquid Nitrogen trap jar)로 흘러들어가 Tenax-TA 컬럼에 흡착된 휘발 성분을 코일형태의 스테인레스 강 파이프에 농축하게 된다. 이때 b방향의 담체기체 N2은 G.C내부의 컬럼을 계속 세척하게 된다. 상기 농축된 휘발 성분을 G.C, G.C-MS로 주입하기 위해서는 밸브-I을 G.C 방향으로 고정시키고 5의 액체 질소 트랩 자아를 제거한 후 휘발 성분이 농축된 코일 형태의 스테인레스 강 파이프를 핸드 드라이어로 300℃로 30초 동안 가열휘발시켜 G.C로 주입시킨 후 1의 밸브-I은 다시 원상태로 송풍시키고 G.C 로 주입된 휘발 성분 b방향의 담체기체에 의해 G.C 내부에 설치된 모세관 컬럼을 통해 MS로 전달 포집된 휘발 성분을 분석하였다.
상기 제 1 도 및 2도의 향기 성분 포집 장치 및 분석 장치에 의해 분석된 각 지역의 주요 명산의 피톤치드(phytoncide)성분은 다음과 같다.
[표 1]
[실시예 1-5]
상기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삼림욕의 효과를 갖는 향을 재현한 향료 1-5를 다음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 2]
[시험예]
상기 표 2의 조성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5의 향료를 이용하여, 키펀치(key punch) 미스와 키펀치 속도에 미치는 영향, 및 금연시와 비금연시의 회의 능률 향상 효과 등을 조사하였다.
(1) 삼림욕 재현 향료가 키펀치 미스 및 펀치 속도에 주는 영향
일정한 판넬-룸(Panel room)에서 작업하는 10명의 키펀쳐(Key puncher)을 대상으로 1개월간 실시예 1-5의 향료가 존재하는 상황과 향이 없을때의 상황에서 키펀치 미스(Key punch miss)와 키펀치 속도에 대해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가를 측정한 결과 표 3과 같다.
[표 3]
상기 표에서 볼수 있듯이 삼림욕 재현 향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기펀치 속도가 떨어지는 반면 키펀치 미스율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피로감이 있고 긴장한 상태가 향에 의해서 보다 안정되고 쾌적한 느낌으로 바뀌어 진정 작용의 효과를 나타내어 키펀치 미스율이 감소된바 이는 삼림욕 분석 조합향이 심신 안정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회의 능률 향상 효과
회의실에 상기 실시예 1-5의 향료를 분사시켜 향이 존재하지 않을때와 비교하여 금연, 비금연시로 구분하여 어느 정도 회의 능률이 향상되는가에 대해 200명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한 결과 표 4 및 5와 같다.
[표 4]
금연시의 회의 능률 항상 효과
[표 5]
비금연시의 회의 능률 항상 효과
상기 표 4 및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삼림욕 재현 조합향을 회의실에 분사하였을때가 향이 없을때보다 회의 능률이 현저하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삼림욕 재현 조합향 담배를 피울때의 흥분 작용을 진정시키고 또한 연초 취기에 대한 불쾌감을 완화시키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삼림욕 재현 향료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방향제품으로 만들 수 있으며, 휘발시키거나 분무하여 방향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삼림욕 재현 향료 이외에도 파인오일(pine oil), 라임오일(lime oil), 레몬오일(lemonoil) 등의 천연향료를 배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삼림욕 향을 갖는 향을 함유하는 방향제품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처방예 1 ]
성 분 함량
실시예 1 의 향료 10.0부
에탄올(95)부 90.0부
[처방예 2 ]
성 분 함량
실시예 3의 항료 6.0부
에탄올(95)부 45.0부
이온수 47.7부
가용화제 1.3부
[처방예 3]
성 분 함량
실시예 4의 항료 2.0부
이온수 67.2부
프로판가스 4.5부
부탄가스 25.5부
가용화제 1.8부
[처방예 4]
성 분 함량
실시예 5의 향료 3.0부
파인오일(pine oil) 2.0부
이온수 65.2부
프로판가스 4.5부
부탄가스 24.5부
가용화제 1.8부

Claims (2)

  1. 알파-피넨(alpha-pinene) 20부 내지 80부, 리모넨 1부 내지 20부, 베타-피넨(beta-pinene)5부 내지 30부, 사비엔(sabinene)1부 내지 10부, 파라-시멘(para-cymene)1부 내지 10부, 미르센(myrcene)1부 내지 10부, 보닐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1부 내지 10부, 1,8-시네올(1,8-cineole) 1부 내지 10부, 시스-3-헥센올(cis-3-hexenol) 0.1부 내지 5부, 시스-3-헥세닐아세테이트(cis-3-hexenyl acetate) 1부 내지 5부, 오시멘(ocimene) 1부 내지 5부, 카로펠렌(caryophellene) 0.1부 내지 5부, 알파-펠란드렌(alpha-phellandrene) 0.1부 내지 5부 및 저마크렌-디(germacrene-D) 0.1부 내지 5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인오일(pine oil), 라임오일(lime oil) 또는 레몬오일(lemon oil)을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용 조성물.
KR1019910012878A 1991-07-26 1991-07-26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KR940006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78A KR940006104B1 (ko) 1991-07-26 1991-07-26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2878A KR940006104B1 (ko) 1991-07-26 1991-07-26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33A KR930001933A (ko) 1993-02-22
KR940006104B1 true KR940006104B1 (ko) 1994-07-06

Family

ID=1931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2878A KR940006104B1 (ko) 1991-07-26 1991-07-26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6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92351C2 (ru) * 2012-01-25 2016-07-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з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лучшения табачного запаха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KR102081579B1 (ko) * 2014-11-10 2020-02-26 (주)아모레퍼시픽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933A (ko) 199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the formation of formaldehyde and secondary organic aerosols in an aromatherapy environment
JP4974015B2 (ja) モミの木の抽出物での脳の精神的安定化材料
CN109480330A (zh) 烟臭口气改善香料组合物
Shamspur et al. The effects of onion and salt treatments on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Rosa damascena Mill
US9969953B2 (en) Fragrance composition
Satou et al. Anxiolytic effect and tissue distribution of inhaled Alpinia zerumbet essential oil in mice
KR940006104B1 (ko) 삼림욕 향을 갖는 방향용 조성물
Zoghbi et al. Volatile constituents from Adenocalymma alliaceum Miers and Petiveria alliacea L., two medicinal herbs of the Amazon
JP6770864B2 (ja) スプレー型芳香剤
Sefidkon et al. The composition of Thymus serpyllum L. oil
CN110495631B (zh) 电子烟液
Pélissier et al. Volatile components of leaves, stems and bark of Cinnamonum camphora Nees et Ebermaier
CN114085711B (zh) 一种用于电子雾化液的植物香精及其制备方法
JP2015109832A (ja) 茶葉芳香蒸留物
KILIÇ Chemical composition of two Inula sp.(Asteraceae) species from Turkey
Arsanjani et al. Comparative chemical evalu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mint hydrosols produced in Fars Province, Iran
Pace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essential oil of a wild Italian endemic sage: Salvia officinalis L. var. angustifolia Ten.(Labiatae)
LI et al. Research progress of beneficial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released from plants
Javidnia et al. Chemical composition of the volatile oil of aerial parts of Valeriana sisymbriifolia Vahl. grown in Iran
CN106804584A (zh) 长效空气清新剂
Kim et al. Spatial releasing properties and mosquito repellency of cellulose-based beads containing essential oils and vanillin
JPS63152304A (ja) 加熱蒸散用殺虫マット
Allah et al. Identification of the volatile constituents of the Egyptian lemongrass oil. Part I.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Choi Headspace analyses of fresh leaves and stems of Angelica gigas Nakai, a Korean medicinal herb
JP7249196B2 (ja) 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4001653; OPPOSITION DATE: 19940905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O063 Decision on refusal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