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107B1 -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107B1
KR102549107B1 KR1020180027106A KR20180027106A KR102549107B1 KR 102549107 B1 KR102549107 B1 KR 102549107B1 KR 1020180027106 A KR1020180027106 A KR 1020180027106A KR 20180027106 A KR20180027106 A KR 20180027106A KR 102549107 B1 KR102549107 B1 KR 102549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ell
odor
similarity
score
sp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7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112A (ko
Inventor
문제일
이주연
배지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80027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1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lgebra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둘 이상의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의 제시된 향료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상기와 같은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따르면, 새로운 향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의 효과를 객관적이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Evaluation method for similarity in odors using perception of odors}
냄새 인지를 이용하여 냄새의 유사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냄새란 코 안에 전달된 냄새 물질이 화학감각 수용기를 자극할 때 느끼는 후각정보이다. 냄새의 발산은 수많은 방향 화합물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지며, 오감 중에 후각은 시각 및 청각에 비해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매우 강력한 기억과 연상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또, 후각은 다른 감각의 증강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냄새가 나는 물질(향료)을 활용한 제품 또는 이를 이용한 마케팅으로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다. 향료는 육안 식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향료 관련 산업을 하기 위해서는 향료에서 나는 냄새의 객관적인 측정이 필수적이고, 냄새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접 관능법이나 기기분석을 통해 냄새의 원인 성분을 알아 내는 냄새발생원에 대한 냄새유발 원인성분 규명방법이 알려져 있다(한국 공개 번호 10-2014-0137626 A). 그러나 냄새의 원인성분을 알아내어 악취를 제거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어도, 냄새의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데에는 제한이 있다. 사전적으로는 같은 향료, 즉, 같은 화합물의 냄새를 맡아도 여러 환경요인에 따라 실제 냄새를 맡는 사람이 느끼는 것은 다르다. 실제로 새로운 냄새가 아니더라도 기존의 냄새에 설명을 추가하여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냄새로 인식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새로운 냄새나 냄새에 대한 설명의 효과를 기존의 냄새와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면 향료를 개발하고, 제품에 적용하는데 용이할 것이다.
따라서, 향료의 효과로 냄새가 수요자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냄새 인지와 관련된 요인을 이용하여 냄새들의 유사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일 양상은 둘 이상의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은 향료에 대한 설명의 제시된 향료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상기와 같은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냄새(odors)"는 인간의 오감 중 하나인 후각으로 얻게 되는 정보로 코의 점막이 공기 중에 퍼진 화학 분자와 닿으면 얻을 수 있는 정보이다. 좋은 냄새인 향기 및 불쾌한 냄새인 악취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향료"는 냄새가 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냄새 인지(perception of odors)"는 하나 이상의 향료로부터 나오는 냄새를 맡고 느끼는 판단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항목은 냄새를 맡은 후, 언어적으로 떠오르는 표현을 모두 총칭할 수 있다.
일 양상은 (a) 둘 이상의 향료를 준비하는 단계; (b) 피험자가 상기 둘 이상의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의 냄새를 맡는 단계; (c) 상기 피험자가 상기 어느 하나의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를 매기는 단계; (d) 상기 둘 이상의 향료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향료를 제외한 나머지 향료에 대하여 각각 상기 (b) 단계 및 (c)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e) 상기 둘 이상의 향료에 대하여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를 분석하여 냄새 유사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a) 단계에서 상기 둘 이상의 향료는 유사하거나 전혀 다른 냄새를 발산하는 향료를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향료가 묻은 시향지 또는 향료 자체의 형태로 준비할 수 있다.
(b) 단계에서 상기 둘 이상의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의 냄새를 맡을 때에는 나머지 향료는 이와 분리하여 어느 하나의 향료의 냄새와 나머지 향료의 냄새가 섞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냄새를 맡는 방법으로 향료가 묻은 시향지를 통해 피험자가 직접 냄새를 맡을 수 있다.
(d) 단계에서 나머지 향료 중 어느 하나의 향료의 냄새를 맡게 하고, 피험자가 상기 나머지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를 매기는 단계를 반복 한다. (b), (c), (d) 단계는 실험대상인 향료가 없을 때까지 하나의 향료에 대하여 계속적으로 반복한다.
상기 둘 이상의 향료는 3-메틸부티르산(3-Methylbutanoic acid) 또는 헵탄-1-올(Heptan-1-ol)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a) 향료 및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을 준비하는 단계; (b) 피험자가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 없이 상기 향료의 냄새를 맡는 단계; (c) 상기 피험자가 상기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를 매기는 단계; (d) 상기 피험자에게 같은 향료라는 정보 없이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고, 상기 향료의 냄새를 맡는 단계; (e) 상기 피험자가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된 상기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를 매기는 단계; 및 (f) 상기 설명이 없이 제시된 향료에 대한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와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된 상기 향료에 대한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를 분석하여 냄새 유사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a) 단계에서 향료는 향료가 묻은 시향지 또는 향료 자체의 형태로 준비할 수 있다. 향료에 대한 설명은 상기 시향지에 적어서 준비할 수 있다.
상기 향료는 3-메틸부티르산을 포함할 수 있다.
(d) 단계의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은 향료의 냄새를 맡기 전, 후 또는 동시로 그 순서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 후에 상기 향료의 냄새를 맡는 단계, 상기 향료의 냄새를 맡은 후에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 및 상기 향료를 같이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은 구술 및 서술의 방법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술은 말로 전달하는 방식을 말하며, 서술은 글로 전달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은 단어인 것일 수 있다. 용어 "단어(word)"는 자립하여 쓰일 수 있거나, 따로 떨어져서 문법적 기능을 가지는 언어의 최소 기본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 형용사, 동사, 명사, 감탄사, 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는 하나 이상의 단어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어는 냄새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는 파마산 치즈 및 구토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은 기분 좋은 정도, 강도, 친숙한 정도, 먹을 수 있는 정도 및 긴장 완화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냄새 요인(odors factor)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냄새 요인은 인지 심리(cognitive psychology)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은 향이 강한, 쓴, 시원한, 향기로운, 무거운, 가벼운, 신, 탁한, 달콤한, 따뜻한, 가벼운 향수 느낌, 가죽, 감귤, 감자, 감초, 건초, 건포도, 견과류, 계피, 고기에 뿌리는 양념, 고무 냄새, 고무 탄내, 고양이 소변, 곡물, 과일, 구역질 나는, 그을음, 금속 냄새, 기름진, 꽃, 꿀, 나무 송진, 나무껍질, 나프탈렌, 니스 냄새, 달콤한 멜론, 닭 튀김, 담배 냄새, 당밀, 더러운 옷 냄새, 도시 가스, 동물 냄새, 등유, 딸기, 땀 냄새, 땅콩 버터, 라벤더, 레몬, 마늘/양파, 마분지 냄새, 마취제 냄새, 매니큐어 리무버, 맥아, 맥주, 메이플 시럽, 민트/박하, 바나나, 바닐라, 밧줄 냄새, 배(과일), 배설물, 버섯, 버터, 복숭아, 부패한, 분필, 비누, 빵 냄새, 사과, 사향, 삼나무, 샐러리, 생고기, 생선 냄새, 석유, 세제 냄새, 소나무, 소독약, 소변, 스프, 신 우유, 신선한 달걀, 신선한 야채, 썩은 과일, 썩은 냄새, 아몬드, 아스팔트 냄새, 알코올, 암모니아, 애기 분 냄새, 약품냄새, 양배추, 양초 탄내, 오렌지, 오이, 월계수 잎, 유칼립투스, 의료용 방부제, 이스트(yeast) 냄새, 익힌 야채, 인센트(incense), 자몽, 잔디 으깰 때 나는 냄새, 잡초 으깰 때 나는 냄새, 장뇌(camphor), 장미, 정자(sperm), 정향(치과냄새), 젖은 양털/젖은 개털, 젖은 종이, 제라니움(geranium), 제비꽃, 조리한 고기 냄새, 종이 타는 냄새, 죽은 동물 냄새, 쥐, 차 잎, 참나무, 체리, 초콜릿, 치즈, 카라멜, 커피, 코르크, 코코넛, 콩, 퀴퀴한 냄새/흙 냄새/곰팡이 냄새, 탁한 담배 냄새, 탄 우유, 톡 쏘는, 파인애플, 팝콘, 페인트, 포도 주스, 피망, 하수구, 향수 같다, 향신료, 허브 딜(dill), 허브 캐러웨이(caraway), 허브/녹색/잔디 깎을 때 나는 냄새, 화학약품, 황 냄새, 후추, 훈제 냄새 및 훈제 생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냄새의 질(odors quality)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냄새의 질은 "Atlas of Character Profiles" 책에 기재된 146가지의 냄새의 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는 각 설문 항목에 대하여 1점은 전혀 아님, 5점은 중간 및 9점은 매우 맞음으로 하고, 상기 평가 방법은 1점에서 9점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수는 1, 2, 3, 4, 5, 6, 7, 8, 9점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는 상기 각 설문 항목에 대하여 0점을 모름으로 추가하고, 상기 평가 방법은 0점에서 9점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수는 0, 1, 2, 3, 4, 5, 6, 7, 8, 9점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분석은 PCA기법(주성분 분석, 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고, 상기 냄새 유사도는 PCA 기법을 통하여 %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PCA기법은 고차원의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환원시키는 기법으로, 많은 변수의 분산방식의 패턴을 간결하게 표현하는 주성분을 원래 변수의 선형결합으로서 추출하는 통계기법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PCA기법을 이용한 분석은 아래와 같은 과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석에서 상기 냄새에 대해 얻어진 데이터 행렬 X는 n개의 반복수와 p개의 결과를 나타낸다. 행렬 W는 무게 및 하중의 p차원 벡터들의 집합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1
로 정의된다. 행렬 W를 통해 선형 변환되어 새롭게 매핑된 주성분 점수는 행렬 T로 나타내고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2
로 정의된다. t의 각각 변수는 x로부터 가장 큰 분상인 데이터 집합이고, 하중 벡터 w는 단위 벡터로 제한된다.
k번째 성분은 아래 공식과 같이 X로부터 k-1 주성분을 빼서 찾을 수 있다.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3
새로운 데이터 행렬에서 최대 분산은 아래 공식으로 추출한다.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4
상기 정의된 행렬 W를 이용하여 X의 전체 주성분 분해는 아래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5
상기 W는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6
의 고유 벡터가 열로 이루어진 p x p행렬이다.
상기 과정에 따라 변환된 데이터는 주성분 k=1에서 k=2까지 추출되어 저차원의 데이터로 환원시킬 수 있다.
환원된 데이터 Y는 T를 주성분 1~2까지 추출한 데이터로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7
으로 정의된다. 상기 Y는 각각의 주성분 값을 축으로 2차원의 좌표를 만들 수 있고, 데이터 점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8
,
Figure 112018023164087-pat00009
가 있을 때 아래 공식을 통해 점 간 거리를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8023164087-pat00010
상기 거리 d는 데이터 간 차이인 유사도를 나타내므로 거리가 멀수록 유사도가 떨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공식을 이용하여 냄새 A와 냄새 B의 유사도를 정량화할 때, 좌표가 (0,0)인 기준 냄새를 이용하여 정량화 할 수 있다.
냄새 A와 좌표(0,0)간 변환 데이터 거리를 기준 거리인 D라고 하고, 냄새 B와 A의 변환 데이터 거리를 Ds라 할 때 냄새 A와 냄새 B의 유사도는 아래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8023164087-pat00011
상기 방법은 청구 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컴퓨터 장치나 애플리케이션에 접목하여 본 발명의 평가 방법을 수행하는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장치로 활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둘 이상의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에 의하면, 새로운 향료의 냄새가 기존의 향료의 냄새와 비교하여 가지는 효과를 객관적이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향료에 대한 설명의 제시된 향료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되지 않은 상기와 같은 향료에 대하여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에 의하면, 향료에 대한 설명이 가지는 효과를 객관적이고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향료를 개발하지 않고 향료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그 효과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은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No), 헵탄-1-올이 묻은 시향지(heptanol), 파마산 치즈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P) 및 구토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V)를 맡은 피험자들의 설문조사 점수에 대하여 PCA기법을 통해 분석한 좌표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새로운 향료 및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된 향료의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피험자로 후각 관련 질병 및 냄새에 대한 알레르기가 없는 한국에 있는 남녀 총 46명(남자 30명, 여자 16명, 평균 나이 21세)을 설정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Burghart Sniffin' Sticks kit를 이용하여 후각능 테스트(냄새 역치 테스트, 냄새 구별 테스트, 및 냄새 식별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테스트 결과 냄새관련 실험을 진행하는 데 모두 적합한 피험자임을 확인하였다.
향료로서,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No), 헵탄-1-올이 묻은 시향지(heptanol), 파마산 치즈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P) 및 구토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V)를 준비하였다. 상기 MA-No는 향료에 대한 설명 없이 3-메틸부티르산을 맡은 피험자, Heptanol은 향료에 대한 설명 없이 헵탄-1-올을 맡은 피험자, MA-P는 파마산 치즈라는 설명이 제시되고, 3-메틸부티르산을 맡은 피험자 및 MA-V는 구토라는 설명이 제시되고, 3-메틸부티르산을 맡은 피험자에 대응된다.
피험자에게 상기 4가지 시향지 중 임의의 1가지 시향지의 냄새를 맡게 하였다. 그 후, 하기 설문 조사 과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시향지의 냄새를 맡은 피험자에게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항목 중 냄새 요인과 관련된 기분 좋은 정도, 강도, 친숙한 정도, 먹을 수 있는 정도, 및 긴장 완화 정도 항목에 대하여 생각되는 정도를 1에서 9의 점수(기분 좋은 정도; 1점: 아주 불쾌함, 5점: 중간, 9점: 아주 좋음, 강도; 1점: 냄새 없음, 5점: 중간, 9점: 아주 강함, 친숙한 정도; 1점: 낯선, 5점: 중간, 9점: 친숙한, 먹을 수 있는 정도; 1점: 먹지 못함, 5점: 중간, 9점: 먹을 만함, 긴장 완화 정도; 1점: 긴장됨, 5점: 중간, 9점: 편안함)로 체크하도록 하여 각 설문항목에 대한 점수를 얻었다. 표 1은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항목 중 냄새 요인과 관련된 설문항목 및 그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항목 냄새요인 점수
1
기분 좋은 정도
1 2 3 4 5 6 7 8 9
아주
불쾌함
중간 아주좋음
2
강도
1 2 3 4 5 6 7 8 9
냄새없음 중간 아주강함
3
친숙한 정도 1 2 3 4 5 6 7 8 9
낯선 중간 친숙한
4
먹을 수 있는 정도 1 2 3 4 5 6 7 8 9
먹지못함 중간 먹을만한
5
긴장 완화 정도 1 2 3 4 5 6 7 8 9
긴장됨 중간 편안함
추가적으로, 상기 피험자에게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항목 중 냄새의 질과 관련된 146개 표현에 대하여 생각되는 정도를 1에서 9(1점은 전혀 아님, 5점은 중간, 9점은 매우 맞음) 또는 0(모름)의 점수로 체크하도록 하여 각 설문항목에 대한 점수를 얻었다. 표 2는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항목 중 냄새의 질과 관련된 설문항목 및 그에 대한 점수를 나타낸 것이다.
순서 표현 모름 전혀
아님
· · · · 중간 · · · · 매우
맞음
1 향이 강한 0 1 2 3 4 5 6 7 8 9
2 0 1 2 3 4 5 6 7 8 9
3 시원한 0 1 2 3 4 5 6 7 8 9
4 향기로운 0 1 2 3 4 5 6 7 8 9
5 무거운 0 1 2 3 4 5 6 7 8 9
6 가벼운 0 1 2 3 4 5 6 7 8 9
7 0 1 2 3 4 5 6 7 8 9
8 탁한 0 1 2 3 4 5 6 7 8 9
9 달콤한 0 1 2 3 4 5 6 7 8 9
10 따뜻한 0 1 2 3 4 5 6 7 8 9
11 가벼운 향수 느낌 0 1 2 3 4 5 6 7 8 9
12 가죽 0 1 2 3 4 5 6 7 8 9
13 감귤 0 1 2 3 4 5 6 7 8 9
14 감자 0 1 2 3 4 5 6 7 8 9
15 감초 0 1 2 3 4 5 6 7 8 9
16 건초 0 1 2 3 4 5 6 7 8 9
17 건포도 0 1 2 3 4 5 6 7 8 9
18 견과류 0 1 2 3 4 5 6 7 8 9
19 계피 0 1 2 3 4 5 6 7 8 9
20 고기에 뿌리는 양념 0 1 2 3 4 5 6 7 8 9
21 고무 냄새 0 1 2 3 4 5 6 7 8 9
22 고무 탄내 0 1 2 3 4 5 6 7 8 9
23 고양이 소변 0 1 2 3 4 5 6 7 8 9
24 곡물 0 1 2 3 4 5 6 7 8 9
25 과일 0 1 2 3 4 5 6 7 8 9
26 구역질 나는 0 1 2 3 4 5 6 7 8 9
27 그을음 0 1 2 3 4 5 6 7 8 9
28 금속 냄새 0 1 2 3 4 5 6 7 8 9
29 기름진 0 1 2 3 4 5 6 7 8 9
30 0 1 2 3 4 5 6 7 8 9
31 0 1 2 3 4 5 6 7 8 9
32 나무 송진 0 1 2 3 4 5 6 7 8 9
33 나무껍질 0 1 2 3 4 5 6 7 8 9
34 나프탈렌 0 1 2 3 4 5 6 7 8 9
35 니스 냄새 0 1 2 3 4 5 6 7 8 9
36 달콤한 멜론 0 1 2 3 4 5 6 7 8 9
37 닭 튀김 0 1 2 3 4 5 6 7 8 9
38 담배 냄새 0 1 2 3 4 5 6 7 8 9
39 당밀 0 1 2 3 4 5 6 7 8 9
40 더러운 옷 냄새 0 1 2 3 4 5 6 7 8 9
41 도시 가스 0 1 2 3 4 5 6 7 8 9
42 동물 냄새 0 1 2 3 4 5 6 7 8 9
43 등유 0 1 2 3 4 5 6 7 8 9
44 딸기 0 1 2 3 4 5 6 7 8 9
45 땀 냄새 0 1 2 3 4 5 6 7 8 9
46 땅콩 버터 0 1 2 3 4 5 6 7 8 9
47 라벤더 0 1 2 3 4 5 6 7 8 9
48 레몬 0 1 2 3 4 5 6 7 8 9
49 마늘, 양파 0 1 2 3 4 5 6 7 8 9
50 마분지 냄새 0 1 2 3 4 5 6 7 8 9
51 마취제 냄새 0 1 2 3 4 5 6 7 8 9
52 매니큐어 리무버 0 1 2 3 4 5 6 7 8 9
53 맥아 0 1 2 3 4 5 6 7 8 9
54 맥주 0 1 2 3 4 5 6 7 8 9
55 메이플 시럽 0 1 2 3 4 5 6 7 8 9
56 민트, 박하 0 1 2 3 4 5 6 7 8 9
57 바나나 0 1 2 3 4 5 6 7 8 9
58 바닐라 0 1 2 3 4 5 6 7 8 9
59 밧줄 냄새 0 1 2 3 4 5 6 7 8 9
60 배(과일) 0 1 2 3 4 5 6 7 8 9
61 배설물 0 1 2 3 4 5 6 7 8 9
62 버섯 0 1 2 3 4 5 6 7 8 9
63 버터 0 1 2 3 4 5 6 7 8 9
64 복숭아 0 1 2 3 4 5 6 7 8 9
65 부패한 0 1 2 3 4 5 6 7 8 9
66 분필 0 1 2 3 4 5 6 7 8 9
67 비누 0 1 2 3 4 5 6 7 8 9
68 빵 냄새 0 1 2 3 4 5 6 7 8 9
69 사과 0 1 2 3 4 5 6 7 8 9
70 사향 0 1 2 3 4 5 6 7 8 9
71 삼나무 0 1 2 3 4 5 6 7 8 9
72 샐러리 0 1 2 3 4 5 6 7 8 9
73 생고기 0 1 2 3 4 5 6 7 8 9
74 생선 냄새 0 1 2 3 4 5 6 7 8 9
75 석유 0 1 2 3 4 5 6 7 8 9
76 세제 냄새 0 1 2 3 4 5 6 7 8 9
77 소나무 0 1 2 3 4 5 6 7 8 9
78 소독약 0 1 2 3 4 5 6 7 8 9
79 소변 0 1 2 3 4 5 6 7 8 9
80 스프 0 1 2 3 4 5 6 7 8 9
81 신 우유 0 1 2 3 4 5 6 7 8 9
82 신선한 달걀 0 1 2 3 4 5 6 7 8 9
83 신선한 야채 0 1 2 3 4 5 6 7 8 9
84 썩은 과일 0 1 2 3 4 5 6 7 8 9
85 썩은 냄새 0 1 2 3 4 5 6 7 8 9
86 아몬드 0 1 2 3 4 5 6 7 8 9
87 아스팔트 냄새 0 1 2 3 4 5 6 7 8 9
88 알코올 0 1 2 3 4 5 6 7 8 9
89 암모니아 0 1 2 3 4 5 6 7 8 9
90 애기 분 냄새 0 1 2 3 4 5 6 7 8 9
91 약품냄새 0 1 2 3 4 5 6 7 8 9
92 양배추 0 1 2 3 4 5 6 7 8 9
93 양초 탄내 0 1 2 3 4 5 6 7 8 9
94 오렌지 0 1 2 3 4 5 6 7 8 9
95 오이 0 1 2 3 4 5 6 7 8 9
96 월계수 잎 0 1 2 3 4 5 6 7 8 9
97 유칼립투스 0 1 2 3 4 5 6 7 8 9
98 의료용 방부제 0 1 2 3 4 5 6 7 8 9
99 이스트(yeast) 냄새 0 1 2 3 4 5 6 7 8 9
100 익힌 야채 0 1 2 3 4 5 6 7 8 9
101 인센트(incense) 0 1 2 3 4 5 6 7 8 9
102 자몽 0 1 2 3 4 5 6 7 8 9
103 잔디 으깰 때 나는 냄새 0 1 2 3 4 5 6 7 8 9
104 잡초 으깰 때 나는 냄새 0 1 2 3 4 5 6 7 8 9
105 장뇌(camphor) 0 1 2 3 4 5 6 7 8 9
106 장미 0 1 2 3 4 5 6 7 8 9
107 정자(sperm) 0 1 2 3 4 5 6 7 8 9
108 정향(치과냄새) 0 1 2 3 4 5 6 7 8 9
109 젖은 양털, 젖은 개털 0 1 2 3 4 5 6 7 8 9
110 젖은 종이 0 1 2 3 4 5 6 7 8 9
111 제라니움(geranium) 0 1 2 3 4 5 6 7 8 9
112 제비꽃 0 1 2 3 4 5 6 7 8 9
113 조리한 고기 냄새 0 1 2 3 4 5 6 7 8 9
114 종이 타는 냄새 0 1 2 3 4 5 6 7 8 9
115 죽은 동물 냄새 0 1 2 3 4 5 6 7 8 9
116 0 1 2 3 4 5 6 7 8 9
117 차 잎 0 1 2 3 4 5 6 7 8 9
118 참나무 0 1 2 3 4 5 6 7 8 9
119 체리 0 1 2 3 4 5 6 7 8 9
120 초콜릿 0 1 2 3 4 5 6 7 8 9
121 치즈 0 1 2 3 4 5 6 7 8 9
122 카라멜 0 1 2 3 4 5 6 7 8 9
123 커피 0 1 2 3 4 5 6 7 8 9
124 코르크 0 1 2 3 4 5 6 7 8 9
125 코코넛 0 1 2 3 4 5 6 7 8 9
126 0 1 2 3 4 5 6 7 8 9
127 퀴퀴한 냄새, 흙 냄새, 곰팡이 냄새 0 1 2 3 4 5 6 7 8 9
128 탁한 담배 냄새 0 1 2 3 4 5 6 7 8 9
129 탄 우유 0 1 2 3 4 5 6 7 8 9
130 톡 쏘는 0 1 2 3 4 5 6 7 8 9
131 파인애플 0 1 2 3 4 5 6 7 8 9
132 팝콘 0 1 2 3 4 5 6 7 8 9
133 페인트 0 1 2 3 4 5 6 7 8 9
134 포도 주스 0 1 2 3 4 5 6 7 8 9
135 피망 0 1 2 3 4 5 6 7 8 9
136 하수구 0 1 2 3 4 5 6 7 8 9
137 향수 같다 0 1 2 3 4 5 6 7 8 9
138 향신료 0 1 2 3 4 5 6 7 8 9
139 허브 딜(dill) 0 1 2 3 4 5 6 7 8 9
140 허브 캐러웨이(caraway) 0 1 2 3 4 5 6 7 8 9
141 허브, 녹색, 잔디 깎을 때 나는 냄새 0 1 2 3 4 5 6 7 8 9
142 화학약품 0 1 2 3 4 5 6 7 8 9
143 황 냄새 0 1 2 3 4 5 6 7 8 9
144 후추 0 1 2 3 4 5 6 7 8 9
145 훈제 냄새 0 1 2 3 4 5 6 7 8 9
146 훈제 생선 0 1 2 3 4 5 6 7 8 9
상기 시향지의 냄새를 맡은 후, 설문항목을 체크하고, 점수를 얻는 과정을 같은 피험자에게 나머지 3가지 시향지에 대하여도 차례로 실시하였다.
상기 과정에 따라 MA-No, MA-P, MA-V 및 Heptanol에 대한 설문항목의 점수를 모두 얻었다.
상기 과정을 46명의 피험자에게 모두 실시하였다.
상기 설문조사에서 얻은 점수를 가지고 PCA기법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PCA기법을 통한 분석으로 얻은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No), 헵탄-1-올이 묻은 시향지(heptanol), 파마산 치즈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시향지(MA-P) 및 구토가 적힌 3-메틸부티르산이 묻은 시향지(MA-V)에 대한 데이터(MA-No)의 좌표값은 표 3과 같다.
조건 좌표값
MA-No (3.668, -2.295)
Heptanol (-13.92, 0.7258)
MA-P (6.338, 5.115)
MA-V (3.918, -3.547)
상기 좌표를 이용하여 기준 냄새의 좌표(0,0)에서 MA-No까지의 거리는 4.327이고, Heptanol까지의 거리는 13.939이다. 상기 좌표를 이용하여 MA-No와 Heptanol의 거리를 기준 거리인 D로 두었을 때, 3-메틸부티르산과 헵탄-1-올의 유사도와 비교하여 MA-No와 다른 두 조건 MA-P, MA-V 간의 유사도를 %로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조건 거리 유사도
D (|MA-No - heptanol|) 17.846 0%
|MA-No - MA-P| 7.876 56%
|MA-No - MA-V| 1.277 93%
도 1은 좌표상에서 상기 표 3 및 표 4의 좌표값 및 거리를 나타낸다.
도 1 및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향료에 대한 설명이 없는 3-메틸부티르산과 헵탄-1-올은 좌표의 거리가 멀어 유사성이 없었고, 그 유사도와 비교하여 보았을 때, 3-메틸부티르산과 구토라는 설명이 있는 3-메틸부티르산은 유사도가 93%로 가장 유사하였다. 반면 이와 비교하여 3-메틸부티르산과 파마산치즈라는 설명이 있는 3-메틸부티르산은 유사도가 56%로 상대적으로 유사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같은 3-메틸부티르산 향료임에도 어떠한 설명을 제시하느냐에 따라 냄새 유사도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유사도 차이를 수치화된 %로 정량화함으로써 냄새 인지를 이용하여 냄새 간의 유사도를 평가하였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컴퓨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에게 향료에 대한 설명 없이 제시된 상기 향료에 대하여 상기 피험자에 의해 평가된 냄새 인지와 관련한 설문 항목의 점수인 제1 점수와, 이후에 상기 피험자에게 같은 향료라는 정보 없이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이 제시된 상태에서 상기 피험자에 의해 평가된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의 점수인 제2 점수를 분석하여 냄새 유사도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냄새 유사도를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향료에 대한 상기 제1 점수와 상기 제2 점수와의 유사도를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되, 상기 피험자에게 같은 향료라는 정보 없이 향료에 대한 제1 설명이 제시된 상태에서 평가된 제2 점수와의 유사도와, 동일 방법으로 상기 제1 설명과는 다른 제2 설명이 제시된 상태에서 평가된 제2 점수와의 유사도를 개별적으로 평가하며,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은 단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향료에 대한 제1 설명은 제1 단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설명은 상기 제1 단어와 상이한 제2 단어로 이루어진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3-메틸부티르산을 포함하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료에 대한 설명은 구술 및 서술의 방법으로 전달되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6. 삭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어는 파마산 치즈 및 구토를 포함하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은 기분 좋은 정도, 강도, 친숙한 정도, 먹을 수 있는 정도 및 긴장 완화 정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냄새 요인에 대한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냄새 인지와 관련된 설문 항목은 향이 강한, 쓴, 시원한, 향기로운, 무거운, 가벼운, 신, 탁한, 달콤한, 따뜻한, 가벼운 향수 느낌, 가죽, 감귤, 감자, 감초, 건초, 건포도, 견과류, 계피, 고기에 뿌리는 양념, 고무 냄새, 고무 탄내, 고양이 소변, 곡물, 과일, 구역질 나는, 그을음, 금속 냄새, 기름진, 꽃, 꿀, 나무 송진, 나무껍질, 나프탈렌, 니스 냄새, 달콤한 멜론, 닭 튀김, 담배 냄새, 당밀, 더러운 옷 냄새, 도시 가스, 동물 냄새, 등유, 딸기, 땀 냄새, 땅콩 버터, 라벤더, 레몬, 마늘/양파, 마분지 냄새, 마취제 냄새, 매니큐어 리무버, 맥아, 맥주, 메이플 시럽, 민트/박하, 바나나, 바닐라, 밧줄 냄새, 배(과일), 배설물, 버섯, 버터, 복숭아, 부패한, 분필, 비누, 빵 냄새, 사과, 사향, 삼나무, 샐러리, 생고기, 생선 냄새, 석유, 세제 냄새, 소나무, 소독약, 소변, 스프, 신 우유, 신선한 달걀, 신선한 야채, 썩은 과일, 썩은 냄새, 아몬드, 아스팔트 냄새, 알코올, 암모니아, 애기 분 냄새, 약품냄새, 양배추, 양초 탄내, 오렌지, 오이, 월계수 잎, 유칼립투스, 의료용 방부제, 이스트(yeast) 냄새, 익힌 야채, 인센트(incense), 자몽, 잔디 으깰 때 나는 냄새, 잡초 으깰 때 나는 냄새, 장뇌(camphor), 장미, 정자(sperm), 정향(치과냄새), 젖은 양털/젖은 개털, 젖은 종이, 제라니움(geranium), 제비꽃, 조리한 고기 냄새, 종이 타는 냄새, 죽은 동물 냄새, 쥐, 차 잎, 참나무, 체리, 초콜릿, 치즈, 카라멜, 커피, 코르크, 코코넛, 콩, 퀴퀴한 냄새/흙 냄새/곰팡이 냄새, 탁한 담배 냄새, 탄 우유, 톡 쏘는, 파인애플, 팝콘, 페인트, 포도 주스, 피망, 하수구, 향수 같다, 향신료, 허브 딜(dill), 허브 캐러웨이(caraway), 허브/녹색/잔디 깎을 때 나는 냄새, 화학약품, 황 냄새, 후추, 훈제 냄새 및 훈제 생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냄새의 질에 대한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는 각 설문 항목에 대하여 1점은 전혀 아님, 5점은 중간 및 9점은 매우 맞음으로 하고, 상기 평가 방법은 1점에서 9점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설문 항목의 점수는 각 설문 항목에 대하여 0점을 모름으로 추가하고, 상기 평가 방법은 0점에서 9점의 점수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냄새 유사도는 PCA 기법을 통하여 %로 나타내는 것인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KR1020180027106A 2018-03-07 2018-03-07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KR102549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06A KR102549107B1 (ko) 2018-03-07 2018-03-07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7106A KR102549107B1 (ko) 2018-03-07 2018-03-07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12A KR20190106112A (ko) 2019-09-18
KR102549107B1 true KR102549107B1 (ko) 2023-06-30

Family

ID=68071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106A KR102549107B1 (ko) 2018-03-07 2018-03-07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1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9609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Mizkan Holdings 嗜好性評価方法、嗜好性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2489A (ko) * 2010-10-25 2012-05-03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식품의 주요 관능적 특성 평가를 위한 표준척도 및 이를 이용한 관능적 특성 평가방법
RU2592351C2 (ru) * 2012-01-25 2016-07-2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Ароматиз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лучшения табачного запаха выдыхаемого воздуха
KR101796154B1 (ko) * 2016-02-05 2017-11-10 (주)더페이스샵 프리지아 샤이니 골드 향기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9609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Mizkan Holdings 嗜好性評価方法、嗜好性評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112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hloff et al. Scent and chemistry: the molecular world of odors
Dravnieks Odor quality: semantically generated multidimensional profiles are stable
Aisala et al. Odor-contributing volatile compounds of wild edible Nordic mushrooms analyzed with HS–SPME–GC–MS and HS–SPME–GC–O/FID
Zarzo et al. Understand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in perfumers’ odor perception space as a basis for developing meaningful odor maps
Harper et al. Odour qualities: A glossary of usage
Brattoli et al. Gas chromatography analysis with olfactometric detection (GC-O) as a useful methodology for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odorous compounds
Cain et al. Odor identification: perceptual and semantic dimensions
Reineccius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Majid et al. Odors are expressible in language, as long as you speak the right language
De Rovira Sr Dictionary of flavors
Galán-Soldevilla et al. Development of a preliminary sensory lexicon for floral honey
Schirack et al. Characterization of aroma‐active compounds in microwave blanched peanuts
Márquez et al. Characterization of aroma-impact compounds in yerba mate (Ilex paraguariensis) using GC–olfactometry and GC–MS
Asensio et al. Sensory attribute preservation in extra virgin olive oil with addition of oregano essential oil as natural antioxidant
De Guzman et al. Plant resources of South-East Asia.
DONNELL et al. Development and learning process of a sensory vocabulary for the odor evaluation of selected distilled beverages using descriptive analysis
KR102549107B1 (ko) 냄새 인지를 이용한 냄새 유사도 평가 방법
Thiboud Empirical classification of odours
Bertuccioli et al. The sensory quality of extra‐virgin olive oil
Mani‐López et al. Principles of sensory evaluation in foods containing essential oil
Sanchez et al. Sensory and analytical evaluation of hop oil oxygenated fractions
Baker IV Flavor formation and sensory perception of selected peanut genotypes (Arachis hypogea L.) as affected by storage water activity, roasting, and planting date
Kerth et al. Effects of feeding juniper as a roughage on feedlot performance, carcass measurements, meat sensory attributes, and volatile aroma compounds of yearling Rambouillet wethers
Frey Natural flavors and fragrances: chemistry, analysis, and production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