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115A -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115A
KR20160148115A KR1020150084245A KR20150084245A KR20160148115A KR 20160148115 A KR20160148115 A KR 20160148115A KR 1020150084245 A KR1020150084245 A KR 1020150084245A KR 20150084245 A KR20150084245 A KR 20150084245A KR 20160148115 A KR20160148115 A KR 20160148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river
signal
signal controller
data
characterist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8373B1 (ko
Inventor
최민수
반영일
손선규
이준표
문승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4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8373B1/ko
Priority to US15/066,502 priority patent/US20160365059A1/en
Publication of KR2016014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8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신호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는 데이터 구동부의 메이커 아이디를 수신한다. 신호 제어부는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이고, 이에 근거하여 영상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상기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부, 데이터를 스캔하는 게이트 구동부, 및 데이터 구동부와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는 서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어, 서로 필요한 정보를 양방향으로 송신 및 수신이 가능하다.
표시장치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구동부는 어느 하나의 제조회사가 독점하여 생산하지 않고, 서로 다른 회사가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 중 일부는 서로 다른 제조회사에서 만들어졌거나, 서로 같은 회사에서 만들어 졌다고 하더라도 데이터 구동부 특성이 다를 수 있다.
이와같이, 데이터 구동부가 서로 다른 제조회사에서 만들어지는 등의 이유로 그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신호 제어부가 항상 같은 영상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크로스토크(Crosstalk)나 플리커(Flicker) 현상 등과 같은 불량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 제어부가 데이터 구동부의 제조회사들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영상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신호 제어부, 데이터 구동부, 및 메모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된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부들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메이커 아이디를 상기 신호 제어부에 송신한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는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는 감마값,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공통전압, 및 색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는 n개의 물리적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개의 물리적 핀들 각각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 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부에는
Figure pat00001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서로 주고 받는 양방향 신호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된다.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신호 제어부로 전송된다.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포함한다.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발생하는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확인한다.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된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부들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은 입력단계, 제어단계, 및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메이커 아이디를 상기 신호 제어부에 송신한다. 상기 제어단계에서는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인다. 상기 출력단계에서는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제어부가 데이터 구동부의 제조회사들에 대응하여 최적화된 영상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장치에서 발생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나 플리커(Flicker) 현상 등과 같은 불량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메모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신호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에 주고 받는 양방향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메모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신호 제어부 및 메모리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DP), 게이트 구동부(100), 데이터 구동부(200), 신호 제어부(300, 예컨대 타이밍 컨트롤러), 및 메모리부(40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액정 표시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및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등의 다양한 표시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평면 상에서,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이 배치된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표시패널(DP)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및 게이트 라인들(GL1~GLn)과 교차하는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은 게이트 구동부(100)에 연결된다.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은 데이터 구동부(200)에 연결된다. 도 1에는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일부와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일부만이 도시되었다.
도 1에는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 중 일부만이 도시되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 중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 및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에 각각 연결된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표시하는 컬러에 따라 복수 개의 그룹들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화소들(PX11~PXnm)은 주요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주요색은 레드, 그린, 블루, 및 화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주요색은 옐로우, 시안, 마젠타 등 다양한 색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00) 및 데이터 구동부(200)는 신호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 된다. 신호 제어부(300)는 메인 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30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부(미도시)로부터 영상에 관련된 Input Signal 및 데이터 구동부 등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 신호는 프레임 구간들을 구별하는 신호인 수직 동기 신호, 수평 구간들을 구별하는 신호, 즉 행 구별 신호인 수평 동기 신호, 데이터가 들어오는 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데이터가 출력되는 구간 동안만 하이 레벨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록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00)는 프레임 구간들 동안에 신호 제어부(3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 개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출력한다. 게이트 신호들은 순차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00)는 박막공정을 통해 화소들(PX11~PXnm)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게이트 구동부(100)는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에 ASG(Amorphous Silicon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 또는 OSG(Oxide Semiconductor TFT Gate driver circuit) 형태로 실장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200)는 신호제어입력(SCI)을 출력하고 신호제어출력(SCO)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200)는 자신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PS)을 인가 받는다.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 전압(DV)을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제1 인터페이스(ITF1)를 통해 신호 제어부(300)와 접속되어 있다. 이 때, 제1 인터페이스(ITF1)은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제1 인터페이스(ITF1)는 신호제어출력(SCO)과 신호제어입력(SCI)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제어출력(SCO)은 신호 제어부(300)로부터 데이터 구동부(200)로 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이다. 신호제어입력(SCI)는 데이터 구동부(200)로부터 신호 제어부(300)로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이다. 신호제어출력(SCO)은 신호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제어입력(SCI)은 게이트 구동부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정보 및 메이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신호 제어부(3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이하, 데이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신호 제어부(300)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DV)들을 생성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데이터 전압(DV)들을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출력한다.
데이터 전압(DV)들은 공통 전압에 대하여 양의 값을 갖는 정극성 데이터 전압들 및/또는 음의 값을 갖는 부극성 데이터 전압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수평 구간들 동안에 데이터 라인들(DL1~DLm)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DV)들 중 일부는 정극성을 갖고, 다른 일부는 부극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장치의 경우, 데이터 전압(DV)들의 극성은 액정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간들에 따라 반전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반전 신호에 응답하여 프레임 구간 단위로 반전된 데이터 전압(DV)들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연성회로기판(250) 상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데이터 구동부들(200)은 복수 개의 데이터 라인들(DL1~DLm) 중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들에 대응하는 데이터 신호들을 제공한다.
표시장치 제조회사는 표시장치를 조립하는 단계에서 데이터 구동부들(200)을 하나의 제조회사에서만 구입하여 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여러 회사에서 구입하다가 쓰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 구동부(200)의 제조회사들에 따라 색좌표 정보, 감마값, 및 공통전압 레벨 등이 서로 다르다. 이들은 제조회사별로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특성들로 이들의 차이를 간과하는 경우에는 크로스토크(Crosstalk)나 플리커(Flicker) 현상 등과 같은 불량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구동부(200)들은 자신의 제조회사 정보에 해당하는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에 송신한다. 신호제어입력(SCI)은 메이커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구동부(200)가 신호 제어부(300)에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5a 내지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메모리부(400)는 제2 인터페이스(ITF2)를 통해 신호 제어부(300)와 접속된다. 이 때, 제2 인터페이스(ITF2)는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메모리부(40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이다. 메모리부(400)는 데이터 구동부들(200)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한다.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은 색좌표 정보, 감마값, 및 공통전압 레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400)은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일 수 있다. EEPROM은 전기 공급이 끊긴 상태에서도 장기간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EEPROM은 기록된 데이터를 지우고 쓰는 것이 가능하다. EEPROM을 구성하는 소자의 전하를 전기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지울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300)는 데이터 구동부(200)로부터 메이커 아이디를 수신한다. 메이커 아이디는 신호제어입력(SCI)에 포함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300)는 데이터 구동부(200)로부터 수신한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200) 특성 정보를 메모리부(400)로부터 읽어들인다. 신호 제어부(300)는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Input signal로부터 영상데이터 생성한다. 또한, 신호 제어부(300)는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300)가 메모리부(400)에 읽기 명령을 전송하고, 이에 따라 메모리부(400)가 신호 제어부(300)에 데이터 구동부(200)의 특성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제2 인터페이스(ITF2)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구동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동부(200)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는 n개의 물리적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물리적 핀들 각각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 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GND)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될 수 있다. 따라서, n개의 물리적 핀들을 이용해서
Figure pat00002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200) 특성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리적 핀들이 n개인 경우, 메모리부(300, 도 3 참조)에는
Figure pat00003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n=2인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n=2인 경우,
Figure pat00004
=4개의 메이커 아이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서도 4개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DATA1 내지 DATA4)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5a를 참고하면, n=2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신호제어입력(SCI)은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를 포함한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은 각각 물리적 핀과 대응시킬 수 있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 및 제2 신호제어입력(SCI2)에는 모두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이 인가된다.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을 0,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을 1로 보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05
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a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200)는 로우레벨의 전위값(GND) 두 개를 이용하여 만든
Figure pat00006
이라는 데이터를 통해 제1 제조회사의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에 송신한다.
도 5b를 참고하면, n=2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신호제어입력(SCI)은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를 포함한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은 각각 물리적 핀과 대응시킬 수 있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이 인가되고, 제2 신호제어입력(SCI2)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이 인가된다.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을 0,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을 1로 보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07
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200)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과 로우레벨의 전위값(GND) 이용하여 만든
Figure pat00008
이라는 데이터를 통해 제2 제조회사의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에 송신한다.
도 5c를 참고하면, n=2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신호제어입력(SCI)은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를 포함한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은 각각 물리적 핀과 대응시킬 수 있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GND) 이 인가되고, 제2 신호제어입력(SCI2)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이 인가된다.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을 0,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을 1로 보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09
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c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200)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과 로우레벨의 전위값(GND) 이용하여 만든
Figure pat00010
이라는 데이터를 통해 제3 제조회사의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에 송신한다.
도 5d를 참고하면, n=2라고 가정하였으므로 신호제어입력(SCI)은 제1 신호제어입력(SCI1)과 제2 신호제어입력(SCI2)를 포함한다.
제1 신호제어입력(SCI1) 및 제2 신호제어입력(SCI2)에는 모두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이 인가된다. 로우레벨의 전위값(GND)을 0, 하이레벨의 전위값(VDD)을 1로 보고,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면
Figure pat00011
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도 5d에 도시된 데이터 구동부(200)는 하이레벨의 전위값(VDD) 두 개를 이용하여 만든
Figure pat00012
이라는 데이터를 통해 제4 제조회사의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에 송신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 구동부(200)에 메이커 아이디 송신을 위한 2개의 물리적 핀을 할당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제조회사의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에 주고 받는 양방향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신호 제어부와 데이터 구동부 간에 주고 받는 양방향 신호(SG)는 제1 신호(SG1)와 제2 신호(SG2)를 포함한다. 제1 신호(SG1)는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로부터 데이터 구동부(200, 도 1 참조)로 전송되는 신호이다.
제1 신호(SG1)는 제1 인터페이스(ITF1, 도 4 참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로써, 신호제어출력(SCO)과 대응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1 신호(SG1)는 신호 제어부(300, 도 4 참조)에서 생성된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SG2)는 제1 인터페이스(ITF1, 도 4 참조)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로써, 신호제어입력(SCI)와 대응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제2 신호(SG2)는 데이터 구동부(200, 도 1 참조)의 메이커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SG1)와 제2 신호(SG2)는 활성화 되는 타이밍이 다르다. 따라서, 신호 제어부(300, 도 4 참조)는 제2 신호(SG2)가 활성화 되는 타이밍, 즉, 제2 신호(SG2)가 발생하는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메이커 아이디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제2 신호(SG2)는 게이트 구동부 상태정보(ATD), 메이커 아이디(MID), 및 예약정보(RV)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 상태정보(ATD)는 게이트 구동부(200, 도 1 참조)의 상태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가 피드백 받아 정상 작동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다. 메이커 아이디(MID)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구동부(200, 도 1 참조)의 제조회사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다. 예약정보(RV)는 필요에 따라 할당하여 쓸수 있는 정보이다.
예를들어, 제2 신호(SG2)가 총 768Bit라면, 게이트 구동부 상태정보(ATD)는 64Bit, 메이커 아이디(MID)는 4Bit, 예약정보(RV)는 700Bit일 수 있다.
메이커 아이디(MID)를 4Bit로 할당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예를들어 할당할 수 있다.
메이커 아이디 Bit 구분
0XXX 국내 제조회사
10XX 일본 제조회사
11XX 중국 제조회사
[표 1]과 같이 메이커 아이디(MID) 4Bit 중 첫번째 Bit가 0으로 할당되는 경우 국내 제조회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3Bit 를 사용하여 8개의 국내 제조회사들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이커 아이디(MID) 4Bit 중 첫번째 Bit가 1, 두번째 Bit가 0으로 할당되는 경우 일본 제조회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2Bit 를 사용하여 4개의 일본 제조회사들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이커 아이디(MID) 4Bit 중 첫번째 Bit가 1, 두번째 Bit가 1으로 할당되는 경우 중국 제조회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2Bit 를 사용하여 4개의 중국 제조회사들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메이커 아이디 Bit 구분
0000 국내 A사
0001 국내 B사
0010 국내 C사
1000 일본 D사
1100 중국 E사
[표 1]에 따른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표 2]과 같이 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구동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신호 제어부(300), 데이터 구동부(200), 및 메모리부(400)를 포함한다. 데이터 구동부(200)는 신호 제어부(300)와 접속된다. 메모리부(400)는 신호 제어부(300)와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부들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한다. 메모리부(400)에는
Figure pat00013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버 구동부 특성 정보가 서로 다른 어드레스 주소들에 저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러한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은 입력단계(S10), 제어단계(S20), 및 출력단계(S30)를 포함한다.
입력단계(S10)는 데이터 구동부(200)가 메이커 아이디를 신호 제어부(300)에 송신하는 단계이다.
제어단계(S20)는 신호 제어부(300)가 데이터 구동부(200)로부터 수신한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200) 특성 정보를 메모리부(400)로부터 읽어들이는 단계이다.
출력단계(S30)은 신호 제어부(300)가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제어단계(S20)를 2단계로 나누었다. 제어단계(S20)는 명령신호 제공단계(S21)와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 제공단계(S22)로 나뉜다.
명령신호 제공단계(S21)는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가 어드레스 주소들 중 데이터 구동부(200, 도 1 참조)로부터 수신한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주소를 읽기 위해 명령 신호를 메모리부(400, 도 1 참조)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 제공단계(S22)는 메모리부(400, 도 1 참조)가 명령 신호에 따라 어드레스 주소에 저장된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신호 제어부(300, 도 1 참조)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표시장치 또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통해, 데이터 구동부들의 제조회사가 다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나 플리커(Flicker) 현상 등과 같은 불량현상을 방지하여 표시품질이 우수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DP: 표시패널 100: 게이트 구동부
200: 데이터 구동부 300: 신호 제어부
400: 메모리부 IFT1: 제1 인터페이스
ITF2: 제2 인터페이스

Claims (16)

  1.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된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부들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메이커 아이디를 상기 신호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이고,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는 감마값,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공통전압, 및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들은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인 표시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는 n개의 물리적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물리적 핀들 각각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 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Figure pat00014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표시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신호 제어부와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서로 주고 받는 양방향 신호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상기 신호 제어부로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타이밍에 전송되는 제2 신호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영상데이터 및 상기 제어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는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제어부는,
    상기 제2 신호가 발생하는 구간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확인하는 표시장치.
  10. 신호 제어부,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된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신호 제어부와 접속되고 데이터 구동부들의 메이커 아이디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가 메이커 아이디를 상기 신호 제어부에 송신하는 입력단계;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데이터 구동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이는 제어단계; 및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읽어들인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에 근거하여 영상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는 감마값, 상기 데이터 구동부의 공통전압, 및 색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복수의 단자들을 포함하는 집적회로이며,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일부는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인 표시장치 구동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커 아이디를 송신하기 위한 단자는 n개의 물리적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n개의 물리적 핀들 각각에는 하이레벨의 전위값 또는 로우레벨의 전위값 중 어느 하나가 인가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Figure pat00015
    개의 제조회사에 대응하는 데이버 구동부 특성 정보가 서로 다른 어드레스 주소들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신호 제어부가 상기 어드레스 주소들 중 상기 메이커 아이디에 대응하는 어드레스 주소를 읽기위해 명령 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어드레스 주소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구동부 특성 정보를 상기 신호 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구동방법.
  16.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계가 활성화 되는 타이밍과 상기 출력단계가 활성화 되는 타이밍은 서로 다른 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0150084245A 2015-06-15 2015-06-15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KR10244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45A KR102448373B1 (ko) 2015-06-15 2015-06-15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US15/066,502 US20160365059A1 (en) 2015-06-15 2016-03-10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245A KR102448373B1 (ko) 2015-06-15 2015-06-15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15A true KR20160148115A (ko) 2016-12-26
KR102448373B1 KR102448373B1 (ko) 2022-09-29

Family

ID=57517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245A KR102448373B1 (ko) 2015-06-15 2015-06-15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65059A1 (ko)
KR (1) KR1024483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465A (ja) * 1999-02-26 2000-09-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10021274A (ko) * 1999-08-12 2001-03-15 야스카와 히데아키 표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표시 유닛의검사방법
KR20040089400A (ko) * 2003-04-14 2004-10-2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압보상회로
KR20090096999A (ko) *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콘트롤러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사이의 전송 채널주파수를 감소시킨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303224A1 (en) * 2008-06-04 2009-12-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timing controller and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6474B2 (en) * 2003-12-11 2009-09-08 Lg Displa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80180415A1 (en) * 2007-01-30 2008-07-31 Himax Technologies Limited Driving system of a display panel
DE102007049150A1 (de) * 2007-10-12 2009-04-16 Robert Bosch Gmbh Klopferkennungssystem sowie Verfahren für eine Verstärkungsregelung für ein Klopfsigna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465A (ja) * 1999-02-26 2000-09-1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10021274A (ko) * 1999-08-12 2001-03-15 야스카와 히데아키 표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전자기기 및, 표시 유닛의검사방법
US6657648B1 (en) * 1999-08-12 2003-12-02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unit,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display unit
KR20040089400A (ko) * 2003-04-14 2004-10-21 비오이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전압보상회로
KR20090096999A (ko) * 2008-03-10 2009-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이밍 콘트롤러와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사이의 전송 채널주파수를 감소시킨 디스플레이 장치
US20090303224A1 (en) * 2008-06-04 2009-12-10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ith a timing controller and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8373B1 (ko) 2022-09-29
US20160365059A1 (en)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6894B (zh) 液晶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與資料驅動電路
US10163386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8244925B2 (en)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es changing EDID information
KR101733381B1 (ko) 표시 장치의 구동방법
WO2016140158A1 (ja) 表示装置
JP4544326B2 (ja) 集積回路装置、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2172976A1 (ja) 半導体集積装置、表示装置、および半導体集積装置のデバッグ方法
KR20090049777A (ko) 표시 장치
KR20170081047A (ko) 클럭 리커버리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선로 점검 방법 및 그 표시 장치
KR201600874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197929A1 (en) Driving apparatus of display pane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3003205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2448373B1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 구동방법
KR20210033588A (ko) 표시장치
KR10160983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90243981A1 (en) Driving module of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extending lifetime of the driving module
KR20170050620A (ko)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438484B1 (ko) 쓰기 방지 회로,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및 이들의 구동 방법
KR102531409B1 (ko) 표시 장치
KR1024238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56566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컨트롤 인쇄회로기판
KR20170037300A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200034884A (ko) 타이밍 제어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796616B2 (en) Inspection system, method of multi-time programming in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9378708B2 (en) Driving devi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