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58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588A
KR20210033588A KR1020190114798A KR20190114798A KR20210033588A KR 20210033588 A KR20210033588 A KR 20210033588A KR 1020190114798 A KR1020190114798 A KR 1020190114798A KR 20190114798 A KR20190114798 A KR 20190114798A KR 20210033588 A KR20210033588 A KR 20210033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isplay
unit
control unit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문상
최덕준
최원준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3588A/ko
Priority to US17/001,312 priority patent/US20210082344A1/en
Priority to CN202010927093.8A priority patent/CN112530333A/zh
Publication of KR2021003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5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8Timing circuits for raster scan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85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using tables for spatial correction of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5Compensation of drifts in the characteristics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3Detection of image changes, e.g. determination of an index representative of the image ch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2Frame memory hand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8Use of a frame buffer in a display terminal, inclusive of the display pan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8Details of image data interfa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controller and the data line driver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4Use of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for display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표시장치들이 제공된다. 그 중 하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제어되고,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구현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발광 표시장치(OEL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가지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장치가 표시하는 화상은 크게 정지 영상과 동영상으로 구분된다. 표시장치는 1초당 여러 개의 프레임을 나타내고, 이때 각 프레임이 가진 영상 데이터가 동일하면 정지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각 프레임이 가진 영상 데이터가 상이하면 동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는 표시 패널이 동영상을 표시할 때뿐만 아니라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에도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매 프레임마다 전송받게 되어 소비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써,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에 프레임 메모리를 내장 메모리로 추가하여 프레임 메모리가 정지 영상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 패널에 제공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를 PSR(Panel Self Refresh) 방식이라 하고,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지 않아도 되므로 그래픽 처리 장치를 비활성화 시킴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PSR 방식으로 구동하는 경우, 특히 고해상도일수록 프레임 메모리가 차지하는 공간이 추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의 크기가 커지므로 차지하는 공간이 증가하고,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 외부에 메모리가 배치된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제어되고,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구현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차동 신호 방식으로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방식으로 명령, 주소 및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FHD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구간동안 상기 명령 및 주소를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 구간동안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구간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의 핀의 수는 12개일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핀의 수는 8개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의 리소스는 64Mb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의 소비전력은 10mW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이 정지 상태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가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제공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보상 메모리, 및 상기 각 화소들의 수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잔상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보상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의 부품을 보호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정의된 표시패널, 상기 하부 기판에 부착된 연성필름, 상기 연성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보드,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 전압 및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칩 온 글라스(COG)형태로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연성필름 또는 상기 인쇄회로보드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교체 없이, 상기 메모리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는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정지 상태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가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에 제공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내장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각 화소들의 수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3 메모리는 독립적인 부품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 외부에 메모리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의 크기를 줄여 데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 외부에 메모리가 배치되어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제어부와 메모리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채널을 자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제어부와 메모리부 사이의 구간별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구동 제어부(10), 표시부(20), 메모리부(30) 및 호스트 프로세서(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표시장치(1)로서, 유기발광 표시장치, 액정 표시장치, 플라즈마 표시장치, 전계 방출 표시장치 및 전기영동장치와 같은 여러 전자장치들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 제어부(10), 표시부(20), 메모리부(30) 및 호스트 프로세서(40)는 표시장치(1) 내 별개의 독릭적인 부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0), 표시부(20), 메모리부(30) 및 호스트 프로세서(40)는 각각 표시장치(1)가 요구하는 개별적인 스펙에 따라 쉽게 교체될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40)는 구동 제어부(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프로세서(40)는 시스템 온 칩으로 구현될 수 있고,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일 수도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40)는 제1 인터페이스(IF1)를 포함하며, 제1 인터페이스(IF1)를 통해 구동 제어부(10), 즉, 구동 제어부(10)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IF1)는 미피(MIPI) 인터페이스에 상응하고, 미피 연합의 디스플레이 직렬 인터페이스 표준(MIPI alliance specification for display serial interface) 및 미피 연합의 디-파이 표준(MIPI alliance specification for D-PHY)에 부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호스트 프로세서(40)와 구동 제어부(10) 사이의 통신 인터페이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터페이스(IF1)는 nHD(n-High Definition)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지원하는 직렬 고속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호스트 프로세서(40)는 데이터 로드 커맨드를 출력하고, 영상 데이터가 보상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호스트 프로세서(40)는 메모리부(30) 로부터 보상 데이터를 독출(로드)하기 위한 데이터 로드 커맨드를 제1 인터페이스(IF1)를 통해 구동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는 데이터 로드 커맨드의 패킷 구조를 메모리부(30)가 해석할 수 있는 적절한 형태로 변경하고, 이를 메모리부(30)에 제공한다. 즉, 호스트 프로세서(40)는 구동 제어부(10)를 경유하여 메모리부(30)와 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프로세서(40)는 영상 데이터 또는 보상된 영상 데이터를 제1 인터페이스(IF1)를 통해 구동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는 영상 데이터 또는 보상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표시에 적절한 형태의 데이터 신호 또는 데이터 전압으로 변경하여 표시부(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driver I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는 타이밍 제어부(11)와 타이밍 제어부(11)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1)는 제1 인터페이스(IF1)를 통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영상 표시를 위한 데이터 신호, 게이트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구동부(12)는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2)는 주사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주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부(12)는 고전위 아날로그 전압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 및 주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부(20)는 구동부(12)로부터 데이터 전압 및 주사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표시부(20)는 복수의 화소(21)들을 포함하며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각 화소(21)들은 데이터 전압 및 주사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표시부(20)는 FHD(예, 1920 by 1080)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장치(1)는 메모리부(30)와 구동 제어부(10)를 연결하는 제2 인터페이스(IF2)를 포함하며, 제2 인터페이스(IF2)를 통해 구동 제어부(10)와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인터페이스(IF2)는 T2M(T-con to memory)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메모리부(30)는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장 메모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Mobile D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FRAM, MRA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Nor Flash Memory, NAND Flash Memory, 상변환 메모리(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 저항 메모리(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RRAM), 스핀 주입 메모리(Spin Transfer Torque Random Access Memory; STTRAM), 자기메모리(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부(30)는 프레임 메모리(31),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보상 메모리(32), 화소(21)들의 수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잔상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보상 메모리(3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0) 내 프레임 메모리(31), 제1 보상 메모리(32) 및 제2 보상 메모리(33)는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31)는 구동 제어부(10)로부터 구동 제어부(10)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메모리(31)는 정지 영상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는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구동 제어부(1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0)가 동영상을 표시할 때는 프레임 메모리(31)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표시부(20)가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 프레임 메모리(31)에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레임 메모리(31)에 저장된 저장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레임 메모리(31)는 구동 제어부(10)를 통해 저장 영상 데이터를 표시부(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프레임 메모리(31)는 표시부(20)가 동영상을 표시할 때 제1 주파수를 선택하고,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 제2 주파수를 선택하도록 하는 구동 주파수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을 표시할 때는 구동 제어부(10)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1 주파수로 표시부(20)에 출력한다.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는 프레임 메모리(31)로부터 저장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제2 주파수로 표시부(20)에 출력한다. 이때, 제2 주파수는 제1 주파수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주파수는 60Hz일 수 있고, 이는 1초에 60개의 프레임을 재생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제2 주파수는 10Hz일 수 있고, 이는 1초에 10개의 프레임을 재생하여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동영상을 표시할 때보다 소비 전력이 약 6 분의 1 정도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의 주파수를 동영상을 표시할 때보다 일정 비율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프레임 메모리(31)의 추가에 따른 소비 전력의 증가분 이상으로 소비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동영상을 표시할 때는 주파수가 낮아지게 되면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나, 정지 영상을 표시할 때는 동일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프레임을 반복하여 재생하게 되므로 주파수가 낮아지더라도 이와 같은 문제점은 없다. 다만, 주파수가 낮아지면 플리커가 증가하게 되므로, 플리커가 시인되지 않을 정도로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상 메모리(32)에는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화소(21)가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동 시간 및 구동 전류량에 상응하여 화소(21)들이 열화될 수 있다. 화소(21)들이 열화되는 경우, 화소(21)들의 휘도가 저하되어 표시 품질이 낮아지거나 화면 잔상이 발생할 수 있다. 화소(21)들의 열화 보상을 위한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제1 보상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보상 메모리(33)에는 화소(21)별 수명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화소(21)가 유기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경우, 소자들 각각이 빛을 냄에 따라, 소자들 각각의 사용 빈도가 달라질 수 있고, 그 결과 소자들의 수명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접한 소자와 동일한 데이터를 출력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휘도의 빛을 방출하게 되고, 이러한 휘도 차이에 의해 화면상에 잔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화소(21)들의 수명에 따른 보상을 통해 잔상 현상이 어느 정도 저감될 수 있다. 상기 보상을 위한 화소(21)별 수명 데이터가 제2 보상 메모리(33)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30)가 구동 제어부(10) 외부에 배치됨으로써, 메모리부(30)는 낮은 리소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0)의 리소스는 약 64Mb 이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의 다른 변형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1)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20)가 정의된 표시패널(110), 연성필름(140) 및 인쇄회로보드(Printed Circuit Board, PCB)(1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표시장치(1)가 유기발광 표시장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110)은 하부 기판(111)과 상부 기판(112)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111)은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이루어진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다. 하부 기판(111)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와 연결된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기판(112)은 플라스틱 필름, 유리 기판, 또는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진 봉지 기판이나 윈도우 기판일 수 있다. 상부 기판(112)은 하부 기판(111)에 포함된 소자들을 외부의 수분이나 공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하부 기판(111)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의 주변에 마련된 비표시 영역이 화소(21)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화소(21)들이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하부 기판(111)에는 주사 신호가 인가되는 주사선들,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는 데이터선들 및 전원 신호들이 인가되는 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 또는 칩 온 플라스틱(chip on plastic, COP)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칩 온 필름은 폴리이미드(polyimide)와 같은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에 마련된 복수의 도전성 리드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휘어지거나 구부러질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표시패널(110)의 하부 기판(111)과 인쇄회로보드(150)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구동부(12)는 디스플레이 직접 구동 회로(130)의 형태로 연성필름(140)에 실장될 수 있다. 연성필름(140)은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TAB(Tape Automated Bonding) 방식으로 하부 기판(111) 상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패드들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연결되어 있어, 구동부(12)들은 주사선들 및 데이터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보드(150)는 연성필름(140)에 부착될 수 있다. 인쇄회로보드(150)는 메모리부(30)를 외장 메모리(160)의 형태로 실장할 수 있다. 인쇄회로보드(150)는 연성 인쇄회로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일 수 있다.
다만,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의 실장 위치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는 각각 인쇄회로보드(150) 및 연성필름(14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구동 제어부(10)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하부 기판(111)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하부 기판(111)은 유연성(flexible)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210)은 캡톤(kapton),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R)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의 인터페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술한 제2 인터페이스(IF2, 도 1 참조)에 해당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제어부와 메모리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일 채널을 자세히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 제어부와 메모리부 사이의 구간별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타이밍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는 제2 인터페이스(IF2)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부(10)의 타이밍 제어부(11)가 메모리부(30)의 각 메모리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31)가 타이밍 제어부(11)와 송수신 하는 정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는 제2 인터페이스(IF2)를 통해 복수의 채널로 연결된 병렬 링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구동 제어부(10)가 송신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메모리부(30)가 수신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예로서 설명하나, 메모리부(30)가 송신기로서 기능을 수행하고 구동 제어부(10)가 수신기로서 기능을 수행하거나, 쌍방 송수신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아래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로부터 제2 인터페이스(IF2)를 통해 메모리부(30)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차동 신호일 수 있다. 구동 제어부(10)로부터 메모리부(30)로 전송되는 신호가 차동 신호이면 메모리부(30)는 구동 제어부(10)로부터 전송된 한쌍의 전송 신호들을 입력받고, 한쌍의 전송 신호들의 전압 차를 감지하여 수신 신호를 복원하는 차동 입력 모드 및 유사-차동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IF2)는 복수의 채널(CH1~CH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채널(CH1~CHn) 중 적어도 하나는 차동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IF2)는 데이터 신호가 전송되는 차동 신호가 전송되는 제1 핀(Pin1)들과 단일 종단 신호가 전송되는 제2 핀(Pin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핀은 채널(CH)의 일 단부를 구성하는 단자를 의미한다. 차동 입력 모드 및 유사-차동 입력 모드의 신호가 전송되는 핀은 2개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종단 신호 방식으로 신호가 전송되는 핀은 1개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입력저항(Rn)은 제1 핀(Pin2)이 연결된 입력단자의 등가 저항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로, 제2 인터페이스(IF2)는 12개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인터페이스(IF2)는 12개의 채널(CH1~CH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핀(Pin1)들의 개수가 8개이고, 제2 핀(Pin2)들의 개수가 4개일 수 있다. 다만, 제2 인터페이스(IF2)가 핀들의 개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핀(Pin1)들은 앞서 설명한 차동 입력 모드 및 유사-차동 입력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핀(Pin2)들은 단일 종단 신호 방식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2 핀(Pin2)들은 구동 제어부(10)가 메모리부(30)로 보조 신호(AUX)를 전송하는 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클럭(CLK)을 전송하는 핀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0)에 연결되는 구동 제어부(10)의 신호 전송 모드에 따라서 메모리부(30)의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예컨대, 구동 제어부(10)가 DDR3(double data rate three synchronous DRAM)와 같은 유사-차동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 메모리부(30)는 차동 모드로 설정되어서 유사-차동 모드로 동작한다. 구동 제어부(10)가 LPDDR(low power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RAM),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와 같은 차동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 메모리부(30)는 차동 모드로 설정된다.
일 실시예로, 제1 핀(Pin1)은 2개의 입력 전압이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 2개의 입력 전압들 간의 전압 차이에 따라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제1 핀(Pin1)은 고속 차동 신호(High-Speed Differential Signal)로 1-쌍의 전송 선로 당 정해진 단위 유닛의 대역폭(bandwidth)을 갖고, 전송 선로가 병렬로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위 유닛은 약 0.90Gbps 내지 약 6.00Gbps 비트 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단위 유닛은 상술한 비트 레이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단위 시구간(1ui, unit interval)에 어느 하나의 입력 전압이 제1 로직 레벨(LL1)을 갖고, 나머지 하나의 입력 전압이 제2 로직 레벨(LL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로직 레벨(LL1)과 제2 로직 레벨(LL2)의 진폭의 절대 값 크기는 동일하나 부호가 서로 다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직 레벨(LL1)은 p형 신호이고, 제2 로직 레벨(LL2)은 n형 신호일 수 있다.
차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10)의 일 구동신호 출력부(TX)와 차동 신호를 공급받는 메모리부(30)의 일 센싱신호 입력부(RX) 사이는 적어도 2개의 라인으로 연결된다.
쌍(pair)을 이루는 라인들로 연결된 일 구동신호 출력부(TX)와 일 센싱신호 입력부(RX)는 동일한 입출력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 제어부(10)와 메모리부(30) 사이의 양 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동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단일 종단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경우보다, 외부의 노이즈에 의한 방해가 감소될 수 있고, 장거리의 신호 전송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30)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30)의 소비전력은, 차동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단일 종단 신호를 송수신 하는 경우 대비, 아래의 [수학식 1]을 적용하여 약 18 분의 1 수준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P1은 차동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의 소비전력, P2는 단일 종단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의 소비전력, αT는 신호 변화율(Transition rate, Data toggling rate), CL은 라인 커패시턴스, Vswing은 차동 신호 전압 레벨, F는 주파수(frequency)에 해당한다.
차동 신호를 이용해 정지 영상 데이터를 전송 할때의 전압 레벨 수준은 단일 종단 신호를 이용할 때 전압 레벨 수준 대비 약 6 분의 1 수준이므로, 소비전력은 약 18 분의 1 수준까지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IF2)의 소비전력을 약 10mW 이하로 낮출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인터페이스(IF2)는 명령(Commend), 주소(Address), 및 영상 데이터(DATA)를 시리얼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채널(CH1)에서 제1 구간(T1)동안 명령(Commend) 및 주소(Address)가 전송될 수 있다. 명령(Commend) 및 주소(Address)가 전송된 후 제2 채널(CH2)에서 제2 구간(T2)동안 영상 데이터(DATA)가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간(T2)은 제1 구간(T1) 이후의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제1 구간(T1)과 제2 구간(T2)은 반복될 수 있다. 제1 채널(CH1)과 제2 채널(CH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제2 인터페이스(IF2)의 예시적인 채널에 해당한다.
한편 시리얼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DATA)를 전송하는 경우, 제2 구간(T2)을 기준으로 제1 구간(T1)이 지연 시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데이터(DATA)의 패킷 사이즈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병렬(parallel)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의 지연 시간과 거의 동일하게 될 수 있다. 고해상도(예, FHD 해상도 이상)의 영상 데이터(DATA)가 송수신 되는 경우, 데이터(DATA)를 시리얼 방식으로 전송하더라도 병렬(parallel) 방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의 지연 시간과 거의 동일한 수준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9와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 대비, 프레임 메모리(31)가 메모리부(30_1)가 아닌 구동 제어부(10_1)에 포함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메모리부(30_1)는 제1 보상 메모리(32)와 제2 보상 메모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프레임 메모리(31)는 구동 제어부(10_1)의 내장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3)는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 대비, 제1 보상 메모리(32)와 제2 보상 메모리(33)가 독립적인 부품으로 구현되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표시장치(3)는 독립적으로 부품으로 구현되는 제1 보상 메모리(32)를 포함하는 제1 메모리부(30_2)와 제2 보상 메모리(33)를 포함하는 제2 메모리부(30_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표시장치
10: 구동 제어부
11: 타이밍 제어부
12: 구동부
20: 표시부
30: 메모리부
31: 프레임 메모리
32: 제1 보상 메모리
33: 제2 보상 메모리
40: 호스트 프로세서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타이밍 제어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에 제어되고,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부;
    상기 구동 제어부로부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가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는 독립적인 부품으로 구현되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차동 신호 방식으로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시리얼 방식으로 명령, 주소 및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FHD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채널, 및 제2 채널을 포함하되,
    제1 구간동안 상기 명령 및 주소를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제2 구간동안 상기 정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2 채널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제2 구간은 상기 제1 구간 이후의 구간인 표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의 핀의 수는 12개인 표시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는 핀의 수는 8개인 표시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의 리소스는 64Mb 이하인 표시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의 소비전력은 10mW 이하인 표시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영상이 정지 상태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가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구동 제어부에 제공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보상 메모리, 및 상기 각 화소들의 수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잔상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보상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구동 제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표시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부를 연결하는 표시장치.
  14.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하부 기판, 및 상기 하부 기판의 부품을 보호하는 상부 기판을 포함하고,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들로 이루어진 표시부가 정의된 표시패널;
    상기 하부 기판에 부착된 연성필름;
    상기 연성필름에 부착된 인쇄회로보드;
    상기 표시부에 데이터 전압 및 주사 신호를 인가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제1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칩 온 글라스(COG)형태로 상기 하부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제1 메모리는 상기 연성필름 또는 상기 인쇄회로보드에 실장되는 표시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교체 없이, 상기 메모리를 교체할 수 있는 표시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는 얼룩 보상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는, 정지 상태에서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가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동안에 상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에 제공하는 제2 메모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모리는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내장 메모리인 표시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직접 회로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각 화소들의 수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3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모리 및 상기 제3 메모리는 독립적인 부품인 표시장치.
KR1020190114798A 2019-09-18 2019-09-18 표시장치 KR2021003358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98A KR20210033588A (ko) 2019-09-18 2019-09-18 표시장치
US17/001,312 US20210082344A1 (en) 2019-09-18 2020-08-24 Display device
CN202010927093.8A CN112530333A (zh) 2019-09-18 2020-09-07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798A KR20210033588A (ko) 2019-09-18 2019-09-18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588A true KR20210033588A (ko) 2021-03-29

Family

ID=7486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798A KR20210033588A (ko) 2019-09-18 2019-09-18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082344A1 (ko)
KR (1) KR20210033588A (ko)
CN (1) CN1125303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81625A (zh) * 2020-06-23 2020-09-18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驱动电路、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4360461A (zh) * 2022-03-14 2022-04-15 南京初芯集成电路有限公司 Tcon芯片及oled面板驱动架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5585B2 (ja) * 2001-05-11 2006-03-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コントローラ、表示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JP4829806B2 (ja) * 2007-01-30 2011-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453074B1 (ko) * 2008-04-08 2014-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디스플레이 시스템
US8810589B1 (en) * 2009-11-12 2014-08-19 Marvell Israel (M.I.S.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display
US8847968B2 (en) * 2011-07-12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Displaying static images
DE102012107954A1 (de) * 2011-09-02 2013-03-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nzeigetreiber, Betriebsverfahren davon, Host zum Steuern des Anzeigetreibers und System mit dem Anzeigetreiber und dem Host
KR20130103859A (ko) * 2012-03-12 2013-09-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드라이버의 동작 방법 및 디스플레이 제어 시스템
US9830958B2 (en) * 2012-05-03 2017-11-28 Nvidia Corporation Time-multiplexed communication protocol for transmitting a command and address between a memory controller and multi-port memory
KR102229970B1 (ko) * 2014-06-27 202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불휘발성 메모리, 랜덤 액세스 메모리 및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KR102241693B1 (ko) * 2014-08-25 2021-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406206B1 (ko) * 2015-01-20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043543B2 (en) * 2015-07-07 2021-06-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Touch sensor and touch panel
KR102274038B1 (ko) * 2015-08-03 2021-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업 기능을 갖는 메모리 모듈
KR102430561B1 (ko) * 2015-09-11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포트 디램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KR20170059239A (ko) * 2015-11-20 2017-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 메모리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US9940984B1 (en) * 2016-09-28 2018-04-10 Intel Corporation Shared command address (C/A) bus for multiple memory channels
KR102407410B1 (ko) * 2017-08-11 2022-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10902B1 (ko) * 2018-01-17 2023-03-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열화 보상 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의 열화 보상방법
KR102565948B1 (ko) * 2018-08-27 2023-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82344A1 (en) 2021-03-18
CN112530333A (zh)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10299B (zh) 一种显示面板、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US11004385B1 (e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1137359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3450717A (zh) 像素电路
US8860711B2 (en) Timing controll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10166496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과 제조방법
CN112599055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538379B2 (en) Foldable display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10082344A1 (en) Display device
JP2024056866A (ja) 表示装置
KR20170081046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샘플 홀드 회로
KR102646000B1 (ko) 채널 제어 장치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40134532A (ko)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클록신호 발생회로
KR20210083946A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40033711A (ko) 화소 및 표시 장치
KR102650360B1 (ko)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US9953599B2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board
KR101009641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KR20210033732A (ko) 표시장치와 그 불량 감지 방법
CN220604307U (zh) 像素电路和包括该像素电路的显示装置
KR102212219B1 (ko) 표시장치
KR102673949B1 (ko) 게이트 드라이버,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192288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riving method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2652558B1 (ko) 표시장치
US20230215363A1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