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980A -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 Google Patents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980A
KR20160146980A KR1020167032953A KR20167032953A KR20160146980A KR 20160146980 A KR20160146980 A KR 20160146980A KR 1020167032953 A KR1020167032953 A KR 1020167032953A KR 20167032953 A KR20167032953 A KR 20167032953A KR 20160146980 A KR20160146980 A KR 2016014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cle
quercetin
atrophy
expression
dexamethas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9500B1 (ko
Inventor
유타 오츠카
가호리 에가와
노리유키 간자키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Y10S514/90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안전하게 장기간 섭취 가능한 성분을 함유하는 새로운 근위축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식물 등에 함유되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퀘르세틴의 배당체가, 근위측에 관여하는 마이오스타틴의 발현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체내 흡수성이 우수하며, 또한 안정성이 높은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새로운 근위축 억제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MUSCLE ATROPHY INHIBITOR CONTAINING QUERCETIN GLYCOSIDE}
본 발명은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일본은 초고령 사회를 맞이하여, 중노년자의 사회 참가나 여가 보내기 방식 등에 대해서 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에선, 인구의 고령화에 수반하여 현재화 (顯在化) 되는 운동기 장애의 문제는, 그 대상수가 극히 많고, 또한 중증례나 복수의 질환이 합병되는 예가 있는 등, 지금까지의 사고 방식의 단순한 연장으로는 대응이 어려운 새로운 과제이다. 특히, 근위축에 의한 운동기 기능의 저하는, 전도 (顚倒) 리스크 상승, 골절, 장기 와상 (臥床), 추가적인 근위축과 운동기 기능 저하라는 악순환을 초래하여, 운동기 불안정증이나 운동기 증후군 등의 주요 원인의 하나로 되어 있다. 또한, 근위축성의 운동기 기능 장애는 대사 장애나 감염증의 합병 빈도를 높이는 등, 생활의 질 (퀄리티 오브 라이프 (QOL)) 뿐만 아니라 원질환의 예후까지도 악화시키는 점에서, 초고령화 사회를 맞이함에 있어서, 해결해야할 긴요한 과제이다. 현재, 상기 운동기 기능의 저하 예방의 수단으로서 재활 치료 등의 운동 요법에 추가하여, 영양학적 접근이 연구되고 있어, 근육량을 증강시킬 수 있는 성분이 발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근위축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이 알려져 있고, 특히,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레벨 상승이 근위축에 관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일종인 덱사메타손은, 근조직 내에 있어서 근육 분해에 관여하는 Atrogin-1 및 MuRF-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 점에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처리한 배양 근관세포는 근위축 모델로서 범용되고 있다. 근조직에 있어서 덱사메타손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결합 후,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 결합 영역을 갖는 유전자의 발현을 항진하고, 또한 당해 유전자 발현은 근단백의 분해 항진이나 근 전구세포인 위성세포 (satellite cells) 의 분화 억제에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1 참조). 이 덱사메타손에서 기인하는 대사적 변화는 동물이나 인간의 근위축에 있어서 보이는 변화와 유사하여, 덱사메타손 유발성 근위축 모델은 근위축의 메카니즘 해석에 범용되고 있다.
여기서 마이오스타틴 (이하, Mstn 이라고 생략한다) 은, 형질 전환 성장 인자-β (TGF-β) 패밀리에 속하고, 근육의 성장을 네거티브하게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2 참조). 이 Mstn 은, 위성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 Akt 경로 및 Foxo1 의 억제를 통해 근육 분해를 항진하는 것, 나아가 mTOR 경로를 통해 근육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 참조). 또한, Mstn 결손 마우스에서는, 덱사메타손 유발성의 근위축이 야기되지 않는 것도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4 참조). Mstn 은 근량 증가 이외에도 지방 조직의 비대화나 심기능 악화에도 관여하고 있어, Mstn 결손 마우스에서는, 야생형 마우스와 비교하여 지방 조직이 작고, 또한 스트레스 부하에 따른 심기능에 대한 부담이 경감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5 참조). 현재까지, Mstn 을 저해하는 조성물로서 홍차 추출물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식물에 풍부하게 함유되는 폴리페놀의 하나인 퀘르세틴은, 그대로 또는 배당체 (루틴, 퀘르시트린 등) 의 형태로, 감귤류, 양파, 메밀, 고삼 등의 여러 가지 식물에 함유되어 있다. 퀘르세틴이나 그 배당체는 혈소판의 응집 억제 및 접착 억제 작용, 혈관 확장 작용, 항암 작용 등, 다채로운 생리 기능을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62346 WO2011/108487 A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91608호
Yanjun, et al, PLos One, 2013, 8(13), e58554 David, et al, Med Sci Sports Exerc, 2011, 43(10), 1828-1835 Elkina, et al,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1, 2, 143-151 H. Gilson, et al, Endocrinology, 2007, 148(1), 452-460 Mellisa, et al, Journal of Endocrinology, 2012, 213, 263-275
근위축 억제제의 개발에는, 근육 분해 촉진 및 근육 합성 억제에 관여하는 Mstn 에 대한 저해 성분을 발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시점에서, 홍차 추출물에 Mstn 저해 작용이 보고되어 있을 뿐 (특허문헌 3 참조), 천연물 유래의 단일 성분에 Mstn 저해 작용이 발견된 예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안전하게 장기간 섭취 가능한 성분을 함유하는 새로운 근위축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인 덱사메타손 유발성의 근위축 모델을 사용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식물 등에 함유되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퀘르세틴 배당체가 근위축 억제 효과를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유전자 발현 평가의 결과, 퀘르세틴 배당체는 근육 분해 촉진 및 근육 합성 억제에 관여하는 Mstn 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퀘르세틴 배당체가 Mstn 의 발현 억제를 기점으로, 근육 분해 경로 및 근육 합성 경로 등의 각 인자에 작용함으로써 근위축을 억제할 수 있는 것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것에 관한 것이다.
1).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2). 근위축 억제가 Mtsn 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1) 에 기재된 제 (劑).
3). 근위축 억제가 Atrogin-1, MuRF-1, Foxo1 및 Redd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4). 근육 분해 억제 작용을 갖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5). 근육 분해 억제 작용이 Atrogin-1, MuRF-1 및 Foxo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4) 에 기재된 제.
6). 근육 합성 촉진 작용을 갖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7). 근육 합성 촉진 작용이 Redd1 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6) 에 기재된 제.
8). 운동기 기능 저하 또는 운동기 장애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9). 약제 유발성 근위축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
10).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해, 퀘르세틴 배당체를 근위축 억제를 목적으로 한 제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근위축 억제의 달성은, 유병자나 고령자의 QOL 개선에 이바지하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퀘르세틴 배당체는 폴리페놀 화합물의 일종으로, 혈류 개선 작용이나 항암 작용 등의 여러 가지 생리 활성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식물 유래이기 때문에 매우 안전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은 퀘르세틴 배당체의 근위축 억제 작용 이외의 유용한 생리 작용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하고 계속 섭취 가능한 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퀘르세틴 배당체 (QG) 에 의한 덱사메타손 (DEX) 유발성 근위축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2 는, 퀘르세틴 배당체 (QG) 에 의한 Mstn 및 그 하류 유전자 발현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도 3 은, 퀘르세틴 배당체 (QG) 와 퀘르세틴 (Q) 의 덱사메타손 (DEX) 유발성 근위축 억제 효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도 4 는, 퀘르세틴 배당체 (QG) 와 퀘르세틴 (Q) 의 Mstn 의 하류 유전자 발현의 억제 효과의 비교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는, 퀘르세틴 배당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퀘르세틴 배당체」는, 폴리페놀의 일종인 퀘르세틴의 배당체를 의미하고, 이것은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X)n 은 당사슬을 나타내고, n 은 1 이상의 정수이다)
여기서, 퀘르세틴에 글리코시드 결합하는 X 로 나타내는 당사슬을 구성하는 당은, 예를 들어, 글루코오스, 람노오스, 갈락토오스, 글루쿠론산 등이고,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람노오스이다. 또한, n 은 1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8 이다. n 이 2 이상일 때, X 부분은 1 종류의 당사슬로 이루어져 있어도 되고, 복수의 당사슬로 이루어져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는, 기존 퀘르세틴 배당체를 효소 등으로 처리하여 당 전이시킨 것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퀘르세틴 배당체는, 구체적으로는, 루틴, 효소 처리 루틴, 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퀘르세틴 배당체에 포함되는 하나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퀘르세틴 배당체는, 그 유래, 제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퀘르세틴 또는 퀘르세틴 배당체를 많이 포함하는 식물로서, 메밀, 고삼, 케이퍼, 사과, 차, 양파, 포도, 브로콜리, 몰로키아, 라즈베리, 링곤베리, 크랜베리, 백년초, 엽채류, 감귤류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식물로부터 퀘르세틴 배당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퀘르세틴 배당체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농축, 정제 등의 조작에 의해 퀘르세틴 배당체를 높게 한 것, 예를 들어, 퀘르세틴 배당체 함유 추출물의 농축물 또는 정제물을 사용할 수 있다. 농축 방법 또는 정제 방법은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는, 퀘르세틴 배당체로서 루틴의 효소 처리물을 사용한다. 효소 처리 루틴의 특히 바람직한 예는, 퀘르세틴 배당체를 효소 처리하여 람노오스 당사슬 부분을 제거한 이소퀘르시트린, 이소퀘르시트린을 당전이 효소로 처리하여 글루코오스 1 ∼ 7 개로 이루어지는 당사슬이 결합한 것, 및 그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다.
퀘르세틴 배당체는, 퀘르세틴에 당사슬이 글리코시드 결합한 화합물, 구체적으로는 3 위치의 하이드록시기에 1 이상의 당사슬이 글리코시드 결합한 일련의 화합물의 총칭이다. 퀘르세틴과 퀘르세틴 배당체에서는, 화학 구조적으로도 화학 특성적으로도 크게 상이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란, 근육 분해에 있어서의 중요한 인자로, 골격근에 있어서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 의존성의 단백 분해를 유발하는 부신피질 호르몬의 하나를 말한다. 합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일종인 덱사메타손은, 골격근에 있어서 근육 분해에 관여하는 Atrogin-1 및 MuRF1 의 발현을 상승시키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참조). 덱사메타손에 의해 야기되는 대사적 변화는 동물이나 환자의 근위축에 있어서 보이는 변화와 유사하여, 덱사메타손 유발성 근위축 모델은 근위축의 메카니즘 해석에 범용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유전자/단백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Akt 경로」란, 여러 가지 세포 기능의 제어에 관련되는 키나아제인 Akt 를 매개로 한 시그널 경로의 총칭이다. Akt 활성은, 영양이나 성장 인자, 운동 등의 여러 가지 자극에서 기인하여 조절된다. 활성화된 Akt 는, mTOR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을 통해서, 근육 합성에 관여하는 S6K (ribosomal protein S6 kinase) 를 활성화한다. 또한, 활성화된 Akt 는, 근육 분해를 촉진하는 Foxo1 을 저해함으로써, 근육 분해를 간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Mstn (Myostatin)」이란, TGF-β 슈퍼 패밀리에 속하는 단백질로, 근억제 인자로서 골격근이나 심근, 지방 조직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있다. Mstn 은 세포 내에서 활성체로 변환되어, Smad (small mothers against decapentaplegic) 의 인산화/활성화를 통해 Akt 를 억제함으로써, 근육 분해를 촉진하고, 또한 근육 합성을 억제한다. Mstn 은, 위성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 Akt 경로의 억제를 통해 근육 분해를 촉진하는 것, 및 mTOR 경로를 통해 근육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3 참조). 또한, Mstn 결손 마우스에서는, 덱사메타손 유발성의 근위축이 야기되지 않는 것이 알려져 있다 (비특허문헌 4 참조).
본 명세서에 있어서, 「Atrogin-1」 및 「MuRF1 (muscle RING-finger protein-1)」이란, 모두 근육 분해 경로의 하나인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에 관여하는 유비퀴틴 리가아제이고, 골격근이나 심근에 발현되고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Foxo1」이란, 포크헤드형 전사 인자 (Forkhead box protein O1) 를 말한다. Foxo1 은 통상은 인산화된 상태로 세포질에 국재하지만, 탈인산화에 따라서 핵 안으로 이행되어, 전사 인자로서 기능한다. Foxo1 의 발현 증가는 근위축에 공통적으로 인정되고,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에 의한 단백 분해, 오토파지의 항진, 나아가 단백 합성의 억제 등의 다양한 기전에 관여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Redd1」이란, regulated in development and DNA damage response 1 을 말한다. Redd1 은, 저산소 조건하 등에서 발현이 유도되고, mTOR 경로를 억제함으로써 근육 합성을 억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근위축」이란, 근육 합성과 근육 분해의 대사 회전이 분해에 치우침에 따라서 근세포가 감소 또는 축소하여, 근량이 저하되는 것을 말한다. 근위축은, 장기간의 안정 와상이나 골절 등에 의한 깁스 고정, 질병, 가령 (加齡) 등에 의한 것으로 크게 나뉜다. 따라서, 「근위축 억제」란, 상기 원인에 의한 운동기의 기능 저하나 근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근육 분해」란, Akt 경로, 카텝신계나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 오토파지계 등에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됨으로써, 근섬유 단백질의 분해/이화 (異化) 가 항진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stn 유전자나 근단백 분해 경로의 하나인 유비퀴틴-프로테아좀계에 관련된 유전자 (Atrogin-1, MuRF1 및 Foxo1 등) 의 발현 유도에 의한 근섬유 단백질 분해의 항진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근육 합성」이란, 근섬유 단백질의 합성/동화 (同化) 가 항진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Mstn 유전자나 Redd1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 의해 골격근에 있어서의 번역 제어 인자인 키나아제 복합체 mTOR 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근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는, 근육 합성 및 근육 분해 등의 근육 대사에 관련된 인자 (Mstn, Atrogin-1, MuRF-1, Foxo1 및 Redd1) 의 발현을 억제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실시예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는, 골격근 형성 억제 인자인 Mstn 의 발현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 (실시예 2). 또한,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는, Mstn 발현 억제에 수반되는 Akt 경로의 억제를 통해서, 근육 분해에 관계된 인자 Atrogin-1, MuRF-1 및 Foxo1 의 발현을 억제하여, 근육 분해를 억제한다 (실시예 2). 그리고,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에 의한 Mstn 발현 억제에 수반하여, 근육 합성에 관여하는 mTOR 경로를 억제하는 Redd1 의 발현이 억제되어, 근육 합성이 촉진된다 (실시예 1 및 2). 즉, 본 발명은, 근육 합성 및 근육 분해라는 근육 대사의 일련의 과정에 관여하는 시그널 경로의 기점이 되는 Mstn 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비대·재생을 촉진시켜, 근력의 향상, 근량의 조절·증가, 근위축의 예방 또는 억제 등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근위축 모델에 있어서, 퀘르세틴 배당체에서 인정된 근위축 억제 효과 및 근위축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는, 퀘르세틴에서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3). 따라서, 퀘르세틴 배당체에서는, 퀘르세틴으로는 달성할 수 없었던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근위축 억제제는, 운동기 기능 저하 또는 운동기 장애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기간의 안정 와상이나 골절 등에 의한 깁스 고정, 질병, 가령 등에서 기인하는 운동기 장애나 운동기 증후군 등의 예방 또는 처치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사용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에 있어서의 사용이고, 또한 치료적 사용이어도 되며 비치료적 사용이어도 된다. 여기서 「비치료적」이란, 의료 행위, 즉 치료에 따른 인체에 대한 처리 행위를 포함하지 않은 개념이다.
본 발명의 근위축 억제제는, 약제 유발성 근위축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장기 섭취에 의한 근위축의 예방 또는 처치가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해 사용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에 있어서의 사용이고, 또한 치료적 사용이어도 되며 비치료적 사용이어도 된다.
본 발명은, 일례로서 의약품 등의 제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지만, 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는, 당해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일례로서 의약 조성물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지만, 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 동물의 먹이로서 가공한 애완동물 사료나 동물 사료 등, 및 동물용 의약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근위축 억제제 (의약 조성물 등) 에는, 제의 전체 중량에 따라서도 달라지지만, 퀘르세틴 배당체를 퀘르세틴 환산치로서 0.1 ㎎ ∼ 8000 ㎎, 바람직하게는 0.3 ㎎ ∼ 4000 ㎎ 정도의 양을 배합할 수 있다. 제 (劑) 중에 있어서의 퀘르세틴 배당체의 총배합 비율은, 제 (劑) 전체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 95 중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80 중량% 정도인 것이 좋다.
동물을 대상으로 투여하는 경우 (마우스 1 개체 당 약 20 g 에 대하여), 퀘르세틴 배당체의 총 배합량으로는, 퀘르세틴 환산치로서 0.1 ㎎ ∼ 16 ㎎, 바람직하게는 0.3 ㎎ ∼ 4 ㎎ 정도를 섭취할 수 있는 양으로 하면 된다. 특히 인간 (성인) 을 대상으로 투여하는 경우, 퀘르세틴 배당체의 총 배합량으로는, 퀘르세틴 환산치로서 0.1 ㎎ ∼ 8000 ㎎, 바람직하게는 0.3 ㎎ ∼ 4000 ㎎ 정도를 섭취할 수 있는 양으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퀘르세틴 배당체의 배합량은, 효소 처리 루틴의 섭취량이 1 개체 당, 1 일 0.1 ∼ 20 g, 바람직하게는 0.3 ∼ 10 g 이 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체중 1 ㎏ 당 섭취량은, 예를 들어 0.002 ∼ 4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6 ∼ 200 ㎎/㎏ 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 80 중량% 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위축 억제제를 의약 등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투여 형태는 경구 투여여도 되고, 주사제 등의 형태로 투여해도 되며, 각각의 투여에 적합한 제제로서 공지된 것을 적절히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제에는, 정제, 캡슐제, 산제, 과립제, 용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劑) 는, 그 형태에 따라서 퀘르세틴 배당체 외에 임의의 첨가제, 통상적인 제에 사용되는 임의의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및/또는 성분의 예로는,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비타민류, 미네랄류, 영양 성분, 향료 등의 생리 활성 성분 외에, 제제화에 있어 배합되는 부형제, 결합제, 유화제, 긴장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용해 보조제, 방부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착색제, 응고제, 코팅제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방법을 여러 가지로 변경, 수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실시예 1 : 퀘르세틴 배당체에 의한 덱사메타손 유발성 근위축의 억제 효과
BALB/c 계 수컷 마우스 (7 주령) 를 시미즈 실험 재료 주식회사로부터 구입하여, 1 주간 시험 환경하에서 순화 (馴化) 시킨 후, 순화 기간 종료일에 체중을 측정하고, 시험에는 이 기간이 만료되어 순조로운 발육을 나타낸 동물을 사용하였다. 사료는 클레아 재팬사 제조의 CE-2 (고형) 를 사용하여, 시험 기간 동안 내내 자유 섭이로 하였다. 음료수는, 순화 기간 중에는 수돗물을 자유롭게 섭취시켰다. 또, 마우스는 1 케이지 당 4 ∼ 5 마리로 하고, 케이지는 1 주일에 2 회 교환하였다.
순화 기간 종료 후 7 일간에 걸쳐, 4.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및 수돗물 (컨트롤) 의 음수 투여 후, 7 일간의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음수 투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덱사메타손은 수돗물에 10 ㎎/ℓ 로 용해하고, 한편, 퀘르세틴 배당체는 수돗물에 1.5 g/ℓ 와 4.5 g/ℓ 의 상이한 농도로 용해하였다. 시험은 컨트롤 (수돗물 투여) 군, 덱사메타손 투여군, 덱사메타손과 1.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 및 덱사메타손과 4.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의 4 개의 군으로 나눠 실시하였다. 투여 시험 종료 후, 마우스를 경추 탈구에 의해 안락사시킨 후, 비복근의 조직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비복근 중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을 사용하여 근위축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 얻어진 수치는 평균치±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비복근 중량비의 컨트롤군과 덱사메타손 투여군과의 평균치의 차는 Student 의 t-검정 (Student's t-test),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덱사메타손과 1.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 및 4.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의 평균치의 차는 Dunnett 법에 의한 다중 비교 검정 (Dunnett's test) 을 사용하여 검정하였다.
결과를 도 1 에 나타낸다. 본 시험에 있어서, 비복근 중량비는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덱사메타손 음수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도 1). 한편, 덱사메타손 음수 투여군에 대하여,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를 병용 음수 투여함으로써, 퀘르세틴 배당체의 농도 의존적으로 비복근 중량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1). 본 결과는, 퀘르세틴 배당체가 덱사메타손 유발성 근위축에 대하여 근위축 억제 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낸다.
실시예 2 : 퀘르세틴 배당체에 의한 Mstn 및 그 하류 유전자 발현의 억제 효과
7 주령의 BALB/c 계 수컷 마우스를 1 주간 순화시킨 후, 4.5 g/ℓ 퀘르세틴 배당체 및 수돗물 (컨트롤) 을 1 주간 자유 섭수시켰다. 1 주일 후, 10 ㎎/ℓ의 덱사메타손을 4.5 g/ℓ의 퀘르세틴 배당체와 혼합하여 자유 섭수시키고, 섭수 후 1, 3, 7 일 후에 해부하여 좌우의 비복근을 채취하였다. 비복근은 액체 질소로 순간 냉각한 후, 분석시까지 -80 도의 냉동고에 보존하였다.
그 후, 상세한 분자 메카니즘을 해석하기 위해, 비복근 조직 내에 있어서 근위축에 관계된 유전자 발현의 해석을 실시하였다. 동결 보존한 비복근으로부터, ISOGEN (주식회사 닛폰 진) 및 RNeazy Mini Kit (QIAGEN) 를 사용하여 RNA 를 추출하였다. 대용량 cDNA 역전사 키트 (High-Capacity cDNA Reverse Transcriptional Kits, Applied biosystems) 를 사용하여 cDNA 합성을 실시하였다. 작성한 cDNA 로부터 TaqMan Fast Universal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를 사용한 정량적 역전사 PCR 법으로, 근위축에 관계된 유전자 (Atrogin-1, MuRF-1, Foxo1, Redd1, Mstn) 및 보정 유전자 (18 SrRNA) 의 메신저 RNA (mRNA) 량을 측정하였다. 또, 얻어진 수치는 평균치±표준오차로 나타내었다. 유전자 발현량의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의 평균치의 차는 Student 의 t-검정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5 % 이하를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2 에 나타낸다. 유전자 발현 평가의 결과,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의 병용 음수 투여 기간을 1 일간으로 설정한 시험에 있어서, 덱사메타손 음수 투여군과 비교하여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음수 투여군에 있어서, Foxo1 의 mRNA 량의 감소 경향, 및 Atrogin-1, MuRF-1 및 Redd1 의 mRNA 량의 유의한 감소가 인정되었다 (도 2). 그리고 Mstn 의 mRNA 량은,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의 병용 음수 투여에 의해 컨트롤 레벨까지 완전히 저하되었다 (도 2).
본 시험에서는, 퀘르세틴 배당체가 Mstn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 또한 그 하류에 존재하는 근육의 분화, 합성, 분해에 관여하는 인자에 작용하여 그 결과적으로 근위축이 억제됨이 나타났다.
실시예 3 : 퀘르세틴 배당체와 퀘르세틴의 덱사메타손 유발성 근위축 억제 효과의 비교
7 주령의 BALB/c 계 수컷 마우스를 1 주간 순화시킨 후, 10 ㎎/ℓ 의 덱사메타손를 자유 섭수시켜 음수 투여하였다. 한편, 200 ㎎/㎏ 의 퀘르세틴 배당체 및 루틴 환산한 퀘르세틴 배당체와 등량의 퀘르세틴을 0.5 % 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염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 을 함유하는 밀리 Q 워터에 현탁시켜, 5 일간 (월요일부터 금요일) 까지 강제 경구 투여하였다. 또한, 금요일부터 10 ㎎/ℓ 의 덱사메타손의 음수 투여를 시작하였다. 그 다음주로부터, 다시 퀘르세틴 배당체 및 퀘르세틴의 강제 경구 투여 (월요일부터 목요일) 를 덱사메타손의 음수 투여와 병행하여 실시하고, 금요일에 해부하였다. 투여 시험 종료 후의 시료 회수, 비복근 중량비에 의한 근위축의 평가 및 비복근 조직에서의 유전자 발현량의 측정은 실시예 1 및 2 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유전자 발현량의 덱사메타손 투여군과 덱사메타손과 퀘르세틴 배당체 병용 투여군 및 퀘르세틴 병용 투여군과의 평균치의 차는 두네트의 티 검정 (Dunnett's test) 을 사용하여 검정하고, 5 % 이하를 유의한 것으로 하였다.
결과를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다. 강제 경구 투여 시험의 결과, 덱사메타손 투여에 의해 컨트롤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저하된 비복근 중량비가, 퀘르세틴 배당체의 강제 경구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도 3). 한편에선, 퀘르세틴의 강제 경구 투여에서는, 덱사메타손 투여에 의해 저하된 비복근 중량비의 개선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도 3). 유전자 발현 평가의 결과, 덱사메타손 음수 투여에 의해 증대된 근위축 관련 유전자 MuRF-1, Foxo1 및 Redd1 이, 퀘르세틴 배당체의 강제 경구 투여에 의해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도 4). 한편, 퀘르세틴의 강제 경구 투여에서는, 덱사메타손 투여에 의해 증대된 근위축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 효과는 인정되지 않았다 (도 4). 본 결과는, 퀘르세틴 배당체에서는, 퀘르세틴에 있어서 인정되지 않은 근위축 억제 효과가 얻어짐을 나타낸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근위축 억제제는, 체내 흡수성이 우수한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함으로써, 저복용량/저섭취량으로 기대하는 생리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퀘르세틴 배당체는 식물 유래 성분이기 때문에 매우 안전성이 높아, 복용/섭취에 따르는 예기치 않은 유해 사상 (事象) 의 발현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는, 우수한 근위축 억제 효과를 저용량으로 또한 안전하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근위축 등에서 기인하는 운동기 장애의 예방 및 처치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

Claims (10)

  1.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근위축 억제가 Mstn 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근위축 억제가 Atrogin-1, MuRF-1, Foxo1 및 Redd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육 분해 억제 작용을 갖는 제.
  5. 제 4 항에 있어서,
    근육 분해 억제 작용이 Atrogin-1, MuRF-1 및 Foxo1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제.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육 합성 촉진 작용을 갖는 제.
  7. 제 6 항에 있어서,
    근육 합성 촉진 작용이 Redd1 의 발현 억제에서 기인하는 것인 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동기 기능 저하 또는 운동기 장애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제.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 유발성 근위축의 예방 또는 처치를 위해서 사용되는 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167032953A 2014-04-28 2015-04-24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KR102459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2855 2014-04-28
JP2014092855 2014-04-28
PCT/JP2015/062533 WO2015166887A1 (ja) 2014-04-28 2015-04-24 ケルセチン配糖体を含有する筋萎縮抑制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980A true KR20160146980A (ko) 2016-12-21
KR102459500B1 KR102459500B1 (ko) 2022-10-26

Family

ID=5435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53A KR102459500B1 (ko) 2014-04-28 2015-04-24 퀘르세틴 배당체를 함유하는 근위축 억제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20170042924A1 (ko)
EP (1) EP3138570A4 (ko)
JP (2) JP6849433B2 (ko)
KR (1) KR102459500B1 (ko)
CN (1) CN106255504A (ko)
AU (1) AU2015254309B2 (ko)
CA (1) CA2946825C (ko)
MY (1) MY194893A (ko)
RU (1) RU2016146115A (ko)
SG (2) SG11201608760WA (ko)
TW (1) TWI757228B (ko)
WO (1) WO201516688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818A (ko) * 2019-08-16 2021-02-24 고려제약주식회사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44929A1 (ko) * 2021-05-21 2022-11-24 애니머스큐어 주식회사 이노토디올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849A (ko) * 2021-05-21 2022-11-29 애니머스큐어 주식회사 이노토디올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1139B2 (en) 2015-11-30 2024-04-09 Seed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the likelihood of osteoporosis
US11844720B2 (en) 2011-02-04 2023-12-19 Seed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to reduce the likelihood of dental caries and halitosis
US11951140B2 (en) 2011-02-04 2024-04-09 Seed Health, Inc. Modulation of an individual's gut microbiome to address osteoporosis and bone disease
US9730967B2 (en) 2011-02-04 2017-08-15 Katherine Rose Kovarik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cancer cachexia
US10314865B2 (en) 2011-02-04 2019-06-11 Katherine Rose Kovarik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cancer and other age-related diseases by extending the healthspan of a human
US11839632B2 (en) 2013-12-20 2023-12-12 Seed Health, Inc. Topical application of CRISPR-modified bacteria to treat acne vulgaris
US11833177B2 (en) 2013-12-20 2023-12-05 Seed Health, Inc. Probiotic to enhance an individual's skin microbiome
US11826388B2 (en) 2013-12-20 2023-11-28 Seed Health, Inc. Topical application of Lactobacillus crispatus to ameliorate barrier damage and inflammation
US11969445B2 (en) 2013-12-20 2024-04-30 Seed Health, Inc. Probiotic composi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cess weight, obesity, NAFLD and NASH
US11980643B2 (en) 2013-12-20 2024-05-14 Seed Health, Inc. Method and system to modify an individual's gut-brain axis to provide neurocognitive protection
SG10201909412RA (en) * 2015-04-27 2019-11-28 Suntory Holdings Ltd Composition for suppressing muscular fatty change
US10751357B2 (en) * 2015-11-17 2020-08-25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Compositions and methods using a polyphenol for musculoskeletal health
WO2017186954A1 (en) * 2016-04-28 2017-11-02 Legacy Healthcare Ltd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speed and endurance capacity
JP2018087175A (ja) * 2016-11-30 2018-06-07 花王株式会社 筋萎縮抑制剤
CA3055164A1 (en) * 2017-03-10 2018-09-13 Suntory Holdings Limited Composition for inhibiting myofibrosis
TW202216145A (zh) * 2020-06-30 2022-05-01 日商東麗股份有限公司 伴隨代謝異常之疾病或症候群中的肌力低下症狀之改善劑或預防劑
CN116648145A (zh) * 2020-12-18 2023-08-25 三得利控股株式会社 肌肉柔软性改善用组合物
JPWO2022255276A1 (ko) * 2021-06-03 2022-12-08
CN117298077B (zh) * 2023-11-29 2024-02-13 山东海之宝海洋科技有限公司 Trifuhalol A在改善肌肉萎缩中的应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894A (ko) * 2004-02-10 2006-12-1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근장력 증강제
JP2009062346A (ja) 2007-09-10 2009-03-26 Mie Univ 筋肉増加剤
WO2011108487A1 (ja) 2010-03-01 2011-09-09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筋萎縮阻害剤
JP2012012327A (ja) * 2010-06-30 2012-01-19 Morinaga & Co Ltd 筋肥大促進のための食品、補助食品、及びサプリメント
JP2013091608A (ja) 2011-10-25 2013-05-16 Kao Corp ミオスタチン/Smadシグナル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6294A (ja) * 2006-12-25 2008-07-10 Lion Corp 筋芽細胞活性化剤
JP2009007313A (ja) * 2007-06-29 2009-01-15 Lion Corp 筋萎縮抑制剤
MX2012004118A (es) * 2009-10-09 2012-05-08 Nestec Sa Metodos para prevenir o tratar sarcopenia y atrofia muscular en animales.
JP2012183063A (ja) * 2011-02-14 2012-09-27 Suntory Holdings Ltd ケルセチン配糖体配合容器詰め飲料
EP2580967A1 (en) * 2011-10-11 2013-04-17 Nestec S.A. Accelerating muscle recovery after immobilization-induced muscle atrophy
JP5948871B2 (ja) * 2011-12-28 2016-07-06 株式会社東洋新薬 ポリフェノール含有組成物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894A (ko) * 2004-02-10 2006-12-13 아사히비루 가부시키가이샤 근장력 증강제
JP2009062346A (ja) 2007-09-10 2009-03-26 Mie Univ 筋肉増加剤
WO2011108487A1 (ja) 2010-03-01 2011-09-09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筋萎縮阻害剤
JP2012012327A (ja) * 2010-06-30 2012-01-19 Morinaga & Co Ltd 筋肥大促進のための食品、補助食品、及びサプリメント
JP2013091608A (ja) 2011-10-25 2013-05-16 Kao Corp ミオスタチン/Smadシグナル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azil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48, n. 4 (2012)* *
David, et al, Med Sci Sports Exerc, 2011, 43(10), 1828-1835
Elkina, et al, J Cachexia Sarcopenia Muscle, 2011, 2, 143-151
H. Gilson, et al, Endocrinology, 2007, 148(1), 452-460
J. Nat. Prod. 2010, 73, 1708-1710* *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21 (2010) 1~13* *
Mellisa, et al, Journal of Endocrinology, 2012, 213, 263-275
PLOS ONE, Volume 7, Issue 9 (2012)* *
Yanjun, et al, PLos One, 2013, 8(13), e5855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818A (ko) * 2019-08-16 2021-02-24 고려제약주식회사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33995A1 (ko) * 2019-08-16 2021-02-25 고려제약주식회사 초과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감소 관련 질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44929A1 (ko) * 2021-05-21 2022-11-24 애니머스큐어 주식회사 이노토디올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7849A (ko) * 2021-05-21 2022-11-29 애니머스큐어 주식회사 이노토디올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94893A (en) 2022-12-22
AU2015254309A1 (en) 2016-11-10
US20170042924A1 (en) 2017-02-16
JPWO2015166887A1 (ja) 2017-04-20
TWI757228B (zh) 2022-03-11
CN106255504A (zh) 2016-12-21
RU2016146115A (ru) 2018-05-28
AU2015254309B2 (en) 2020-02-27
SG10201809153WA (en) 2018-11-29
EP3138570A4 (en) 2017-12-20
EP3138570A1 (en) 2017-03-08
JP2019210299A (ja) 2019-12-12
WO2015166887A1 (ja) 2015-11-05
KR102459500B1 (ko) 2022-10-26
CA2946825C (en) 2022-08-23
JP6849433B2 (ja) 2021-03-24
JP6942165B2 (ja) 2021-09-29
TW201625271A (zh) 2016-07-16
SG11201608760WA (en) 2016-11-29
CA2946825A1 (en) 2015-11-05
NZ725458A (en)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165B2 (ja) ケルセチン配糖体を含有する筋萎縮抑制剤
KR101800632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감퇴, 약화 및 근위축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식품첨가제
KR20090097922A (ko) 스테로이드 요법에 있어서의 부작용의 개선·억제용 조성물
CA2982645C (en) Composition for suppressing muscular fatty change
JP2022079551A (ja) 筋線維化抑制用組成物
KR102239075B1 (ko) IF1 (ATPase inhibitory factor 1)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감소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6735224B2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KR20200116226A (ko) 타트체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117115A (ko) 진토닌을 포함하는 근위축 또는 악액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3091608A (ja) ミオスタチン/Smadシグナル阻害剤
JP2021151223A (ja) マイオカイン産生促進剤、筋出力増強剤、および筋芽細胞の分化促進剤
JP5985292B2 (ja) Trpv4活性抑制剤
KR102361657B1 (ko) 14-디옥시-11,12-디디히드로안드로그라폴라이드 석시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듀센형 근이영양증을 포함한 유전성 근육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erman et al. New Trends to Treat Muscular Atrophy: Systematic Review
NZ725458B2 (en) Muscle atrophy inhibitor containing quercetin glycoside
JP2018177748A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WO2017130638A1 (ja) アストロサイトのグルコース代謝活性化剤
JP6374682B2 (ja) 筋萎縮抑制剤
JP6267557B2 (ja) 筋萎縮抑制剤
JP2015071584A (ja) 筋萎縮抑制剤
German et al. Epicatechin Supplementation on Muscular Atrophy: Systematic Review.
WO2013058194A1 (ja) Srfシグナル活性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