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738A -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738A
KR20160140738A KR1020167028700A KR20167028700A KR20160140738A KR 20160140738 A KR20160140738 A KR 20160140738A KR 1020167028700 A KR1020167028700 A KR 1020167028700A KR 20167028700 A KR20167028700 A KR 20167028700A KR 20160140738 A KR20160140738 A KR 2016014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transverse beam
cavity
beams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7498B1 (ko
Inventor
슈강 공
뮤 시에
인롱 콩
웨이춘 리
지안펑 장
Original Assignee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센젠 즈룬 드라이빙 테크놀러지 포 일렉트릭 비이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4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9/00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B62D29/008Superstructures, understructures, or sub-uni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predominantly of light alloys, e.g. extr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3/00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 B62D23/005Combined superstructure and frame, i.e. monocoque constructions with integrated chassis in the whole shell, e.g. meshwork, tub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사이에 연결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가 포함되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내부에는 다수의 독립 캐비티(213)가 구비되고,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에는 내부에 다수의 독립 캐비티가 구비된 다수의 가로빔이 포함되며, 또한 각각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양단에 구비된 앞 범퍼 시스템(23), 뒤 범퍼 시스템(24) 및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중부에 구비되고 B 필러를 고정하기 위한 B 필러 고정 프레임(25)이 포함되며; 알루미늄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멀티캐비티 가로빔(22)을 제작하여, 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전기 자동차 차체를 지지할 뿐 아니라 또한 프레임의 전반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가공 형성될 수 있어, 생산 공정을 크게 간략화시키고 생산 원가를 낮춘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ELECTRIC VEHICLE FRAME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순수 전기 자동차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자동차 차체 기술을 사용하는 바, 즉 프레임이 없는 셀프 서포팅 차체(새둥지와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는데, 셀프 서포팅 차체는 밀폐 링 구조를 이용하여 전반 차체가 하중을 지탱하는데 참여하고, 상하부 구조가 일체를 형성하며, 부하를 감당할 때, 전반적인 차체 케이스가 안정적인 평형 상태에 이르도록 하나, 셀프 서포팅 차체의 커버링 부품의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몰드와 용접 원가가 비교적 높다.
종래의 시중에는 일부 비 셀프 서포팅 차체(즉 프레임이 전반 차체를 베어링하는) 순수 전기 자동차가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강철 구조 용접식 일체형 세로빔 제형 프레임이기는 하지만, 무게가 무겁고 변형이 비교적 크며 또한 용접 공정이 복잡하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여, 종래 기술에서 전기 자동차가 강철 구조 용접식 일체형 세로빔 제형 프레임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무게가 비교적 무겁고 변형이 비교적 크며 또한 용접 공정이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방안으로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사이에 연결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 각각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양단에 구비된 앞 범퍼 시스템, 뒤 범퍼 시스템 및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중부에 구비되고 B 필러를 고정하기 위한 B 필러 고정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내부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그 중에는 중간 구간 및 상기 중간 구간 양단에 구비되는 만곡 구간이 포함되며, 상기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에는 내부에 다수의 독립 캐비티가 구비된 다수의 가로빔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가로빔에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앞단에 구비되는 앞 가로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뒤단에 구비되는 뒤 가로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중부에 구비되는 중부 가로빔 및 조합 가로빔이 포함되고, 상기 중부 가로빔은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조합 가로빔은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두 중부 가로빔 사이에는 다수의 제1 보강 연결 로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두 조합 가로빔 사이에는 다수의 제2 보강 연결 로드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중부 가로빔에는 단면이 거꾸로된 "
Figure pct00001
"형인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구비되는 직사각형부가 포함되며; 상기 직사각형부 내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조합 가로빔은 두 상기 중부 가로빔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조합 가로빔은 축대칭 구조이며, 상기 조합 가로빔을 구성하는 두 상기 중부 가로빔의 직사각형부는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는 또한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상기 앞 가로빔이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프레임,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상기 뒤 가로빔 교차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프레임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B 필러 고정 프레임에는 U형 기저체, 상기 U형 기저체 양단부에 구비되는 두 아크부가 포함되고, 상기 두 아크부는 모두 외측으로 만곡되고 또한 상기 두 아크부와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이 연결되며, 상기 U형 기저체의 중부에는 보강 리브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앞 범퍼 시스템에는 상기 앞 가로빔과 연결되는 앞 가로로드, 양단이 상기 앞 가로로드와 상기 앞 가로빔과 각각 연결되는 앞 범퍼가 포함되며, 상기 앞 범퍼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앞 범퍼는 상기 앞 가로빔 및 상기 앞 가로로드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앞 범퍼는 상기 앞 가로로드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앞 범퍼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을 통하여 상기 앞 가로빔과 연결되고, 상기 앞 가로로드와 상기 중부 가로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제1 세로로드에는 제1 기둥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뒤 범퍼 시스템에는 상기 뒤 가로빔과 연결되는 뒤 가로로드, 양단이 상기 뒤 가로로드와 상기 뒤 가로빔과 각각 연결되는 뒤 범퍼가 포함되며, 상기 뒤 범퍼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뒤 범퍼는 상기 뒤 가로빔 및 상기 뒤 가로로드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뒤 범퍼는 상기 뒤 가로로드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뒤 범퍼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을 통하여 상기 뒤 가로빔과 연결되고, 상기 뒤 가로로드와 상기 조합 가로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제1 세로로드에는 제2 기둥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바, 이는 알루미늄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멀티캐비티 가로빔을 제작하여, 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전기 자동차 차체를 지지할 뿐 아니라 또한 프레임의 전반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가공 형성될 수 있어, 생산 공정을 크게 간략화시키고 생산 원가를 낮추며; 나아가,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각 가로빔의 내부에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케이블 통로, 배기 파이프라인, 통기 파이프라인 또는 전기 자동차의 유로 파이프라인 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케이블 통로 등 여러 가지 통로를 개설할 필요가 없고 전기 자동차의 전반적인 구조를 간략화시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이 더욱 간단하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 원가도 낮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입체도.
도2는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부시도.
도3은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저면도.
도4는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측면도.
도5는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앞 가로빔의 단면도.
도7은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뒤 가로빔의 단면도.
도8은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중부 가로빔의 단면도.
도9는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조합 가로빔의 단면도.
도10은 도1의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의 앞 범퍼 또는 뒤 범퍼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욱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진일보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여기에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종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좌우로 대칭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사이에 연결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가 포함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동시에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내부에는 다수의 독립 캐비티(213)가 구비되며,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에는 내부에 다수의 독립 캐비티가 구비된 다수의 가로빔이 포함되고,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각 가로빔 내부의 캐비티 단면은 직사각형, 원형 또는 다각형 등 형상일 수 있다.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가 공동으로 전기 자동차 차체의 지지구조를 구성하고, 전반 차체를 베어링하고 또한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22) 내부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어, 프레임의 전반적인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전기 자동차의 케이블 통로, 배기 파이프라인 또는 전기 자동차의 유로 파이프라인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는 또한 각각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양단에 구비된 앞 범퍼 시스템(23), 뒤 범퍼 시스템(24) 및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중부에 구비되고 B 필러를 고정하기 위한 B 필러 고정 프레임(25)이 포함되며; B 필러 고정 프레임(25)은 전기 자동차의 B 필러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고, 이의 수량은 두 개가 구비되며, 각각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의 중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은 단지 B 필러 고정 프레임만 구비하고 A 필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C 필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아, 전통적인 전기 자동차 프레임 구조에 비하여 더욱 간단하며, 앞 범퍼 시스템(23)과 뒤 범퍼 시스템(24)는 전기 자동차를 위하여 보호 기능을 제공하고, 전후로 충돌치 발생할 때 전기 자동차가 쉽게 파괴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그리고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에는 중간 구간(211) 및 중간 구간(211) 양단에 구비되는 만곡 구간(212)이 포함되고, 중간 구간(211)은 스트레이트 형상이고, 또한 위로 약간 돌출된 아크 형상일 수 있으며, 중간 구간(211)이 돌출 아크 형상일 때 전기 자동차의 통과성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은 알루미늄 합금 재료를 사용하여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멀티캐비티 가로빔을 제작하여, 지지구조를 구성하여 전기 자동차 차체를 지지할 뿐 아니라 또한 프레임의 전반적인 중량을 감소시키며, 그리고 구조가 간단하고 쉽게 가공 형성될 수 있어, 생산 공정을 크게 간략화시키고 생산 원가를 낮추며; 그리고,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각 가로빔의 내부에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를 구비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의 케이블 통로, 배기 파이프라인 또는 전기 자동차의 유로 파이프라인 등으로 사용할 수 있어, 별도로 케이블 통로 등 여러 가지 통로를 개설할 필요가 없고 전기 자동차의 전반적인 구조를 간략화시켜 전기 자동차 조립 생산이 더욱 간단하도록 하고, 아울러 생산 원가도 낮춘다.
가로빔에는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앞단에 구비되는 앞 가로빔(221),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뒤단에 구비되는 뒤 가로빔(222),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중부에 구비되는 중부 가로빔(223) 및 조합 가로빔(224)이 포함되는 바, 즉 중부 가로빔(223)과 조합 가로빔(224)이 모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의 중간 구간(211)과 연결되고, 앞 가로빔(221), 뒤 가로빔(222)이 각각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양단의 만곡 구간(212)과 연결된다. 상기 각 가로빔은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 사이에 구비되고, 이와 공동으로 제형 프레임 시스템의 주요 베어링 구조를 구성하여 자체 등 부품을 베어링한다.
그리고, 중부 가로빔(223)은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되며, 조합 가로빔(224)도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되며, 전기 자동차의 시트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부 가로빔(223)과 조합 가로빔(224)은 각각 전기 자동차의 상응한 앞좌석 시트와 뒤좌석 시트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앞 가로빔(221), 뒤 가로빔(222)의 완충 진동 흡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앞 가로빔(221), 뒤 가로빔(222)은 모두 멀티캐비티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앞 가로빔(221), 뒤 가로빔(222) 내에는 모두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며,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앞 가로빔(221)과 뒤 가로빔(222)의 단면도를 보여주고 또한 앞 가로빔(221)과 뒤 가로빔(222)의 외벽 상에 설치홈 또는 설치홀 등을 구비하여 기타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
두 중부 가로빔(223)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키고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2) 전반의 구조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 중부 가로빔(223) 사이에 다수의 제1 보강 연결 로드(225)를 구비하여 중부 가로빔(223) 및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바, 제1 보강 연결 로드(225)도 멀티캐비티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두 조합 가로빔(224) 사이에 다수의 제2 보강 연결 로드(226)를 구비하여, 중부 가로빔(223) 및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증가사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부 가로빔(223)에는 거꾸로된 "
Figure pct00002
"형 기저부(2231), 기저부(2231)에 구비되고 또한 기저부(2231)와 일체로 성형되는 직사각형부(2232)가 포함되며; 직사각형부(2232) 내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기저부(2231) 및 직사각형부(2232)의 내부 캐비티는 전기 자동차의 케이블 통로, 배기 파이프라인, 유로 파이프라인 등으로 사용되어, 전기 자동차의 부품이 관통 또는 통과되도록 하여, 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전기 자동차의 전반 구조를 간략화시킬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중부 가로빔(223) 내부에는 모두 8개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캐비티 단면이 직사각형, T형, 원형 등 형상일 수 있으나, 캐비티의 수량 및 단면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조합 가로빔(224)은 두 상기 중부 가로빔(223)이 마주 연결되어 구성되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중부 가로빔(223)의 외부단이 마주하는 방향으로 구비되고 또한 일체로 마주 연결됨으로써, 조합 가로빔(224)은 하나의 축대칭 구조이며, 이로써 조합 가로빔(224)의 내부에는 마찬가지로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어, 마찬가지로 전기 자동차의 케이블 통로, 배기 파이프라인, 유로 파이프라인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는 또한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앞 가로빔(221)이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프레임(26),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과 뒤 가로빔(222) 교차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프레임(27)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제1 고정 프레임(26)과 제2 고정 프레임(27)은 모두 멀티캐비티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그 내부의 캐비티는 케이블 등 부품을 수용하여 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전기 자동차의 구조를 간략화시키며, 또한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고정 프레임(26)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 앞 가로빔(221)의 두 단부에 위치하며, 제2 고정 프레임(27)은 두 개가 구비되고, 각각 뒤 가로빔(222)의 양단에 위치하며, 실제 수요에 의하여 기타 부품, 예를 들면 조향 모터 등을 고정시킬 수 있다.
B 필러 고정 프레임(25)에는 U형 기저체(251), U형 기저체(251) 양단부에 구비되는 두 아크부(252)가 포함되고, 두 아크부(252)는 모두 외측으로 만곡되고 또한 두 아크부(252)와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21)이 연결되며, B 필러 고정 프레임(25)은 전기 자동차의 B 필러를 고정시키고, U형 기저체(251)의 중부에는 또한 보강 리브가 구비되어 B 필러 고정 프레임(25)의 강도 및 구조 안정성을 강화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은 단지 B 필러 고정 프레임(25)만 구비하고 A 필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과 C 필러를 고정하는 고정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아, 구조가 더욱 간단하고 생산 조립이 더욱 쉽다.
앞 범퍼 시스템(23)에는 앞 가로빔(221)과 연결되는 앞 가로로드(231), 양단이 앞 가로로드(231)와 앞 가로빔(211)과 각각 연결되는 앞 범퍼(232)가 포함되며, 앞 범퍼(232)는 만곡 형상이고, 이는 앞 가로빔(221) 및 앞 가로로드(221)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앞 범퍼(232)는 앞 가로로드(231)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되어, 충격을 받을 때, 외력은 우선 앞 범퍼(232)와 부딪치게 되고, 나아가 앞 범퍼(232)도 멀티캐비티 구조 로드로 구비되어 이의 완충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앞 범퍼(232)의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앞 범퍼(232)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a)을 통하여 앞 가로빔(221)과 연결되고, 앞 가로로드(231)와 중부 가로빔(22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로로드(233)가 구비되며, 본 실시예에서, 제1 세로로드(233)는 두 개가 구비되고, 제1 제1 세로로드(233)에는 또한 제1 기둥(234)이 구비되어 구조 연결 강도를 강화하며,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세로로드(233)는 두 개의 반 세로로드(2332)로 구성되고, 두 반 세로로드(2332) 사이에는 진동 흡수 접착제 기둥(b)을 이용하여 과도 연결되어 이의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뒤 범퍼 시스템(24)에는 뒤 가로빔(222)과 연결되는 뒤 가로로드(241), 양단이 뒤 가로로드(241)와 뒤 가로빔(222)과 각각 연결되는 뒤 범퍼(242)가 포함되며, 뒤 범퍼(242)는 만곡 형상이고, 뒤 범퍼(242)는 뒤 가로빔(222) 및 뒤 가로로드(222)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뒤 범퍼(242)는 뒤 가로로드(241)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되어, 전기 자동차의 뒤가 충격을 받을 때, 외력은 우선 뒤 범퍼(242)와 부딪치게 되고, 나아가 뒤 범퍼(242)도 멀티캐비티 구조 로드로 구비되어 이의 완충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앞 범퍼(232)와 뒤 범퍼(242)의 캐비티 단면 예시도를 보여주는 바, 즉 앞 범퍼(232), 뒤 범퍼(242) 내에 모두 6개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캐비티의 단면은 원형, 다각형 등 형상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제1 세로로드(233)도 멀티캐비티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제1 세로로드(233)의 캐비티 단면은 앞 범퍼(232) 및 뒤 범퍼(242)와 동일할 수 있다.
뒤 범퍼(242)의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뒤 범퍼(242)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a)을 통하여 뒤 가로빔(222)과 연결되고(미도시), 뒤 가로로드(241)와 조합 가로빔(224)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로로드(423)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세로로드(243)는 두 개가 구비되고, 제2 제1 세로로드(243)에는 제2 기둥(244)이 구비되며, 제2 세로로드(243)도 두 개의 반 세로로드(2432)로 구성되고 또한 두 반 세로로드(2432) 사이에도 진동 흡수 접착제 기둥(b)을 이용하여 과도 연결되어 이의 항스트라이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세로로드(243)도 멀티캐비티 구조로 제작될 수 있도, 제2 세로로드(243)의 캐비티 단면은 앞 범퍼(232) 및 뒤 범퍼(242)와 동일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 있어서, 좌우로 대칭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두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사이에 연결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료로 제작된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 각각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양단에 구비된 앞 범퍼 시스템, 뒤 범퍼 시스템 및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중부에 구비되고 B 필러를 고정하기 위한 B 필러 고정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내부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고, 그 중에는 중간 구간 및 상기 중간 구간 양단에 구비되는 만곡 구간이 포함되며, 상기 멀티캐비티 가로빔 어셈블리에는 내부에 다수의 독립 캐비티가 구비된 다수의 가로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빔에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앞단에 구비되는 앞 가로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뒤단에 구비되는 뒤 가로빔, 두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 중부에 구비되는 중부 가로빔 및 조합 가로빔이 포함되고, 상기 중부 가로빔은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되며, 상기 조합 가로빔은 두 개가 구비되고 또한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중부 가로빔 사이에는 다수의 제1 보강 연결 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조합 가로빔 사이에는 다수의 제2 보강 연결 로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부 가로빔에는 단면이 거꾸로된 "
    Figure pct00003
    "형인 기저부, 상기 기저부에 구비되는 직사각형부가 포함되며; 상기 직사각형부 내에는 다수의 독립적인 캐비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 가로빔은 두 상기 중부 가로빔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조합 가로빔은 축대칭 구조이며, 상기 조합 가로빔을 구성하는 두 상기 중부 가로빔의 직사각형부는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에는 또한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상기 앞 가로빔이 교차되는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 프레임,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과 상기 뒤 가로빔 교차 위치에 구비되고 외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 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필러 고정 프레임에는 U형 기저체, 상기 U형 기저체 양단부에 구비되는 두 아크부가 포함되고, 상기 두 아크부는 모두 외측으로 만곡되고 또한 상기 두 아크부와 상기 멀티캐비티 박스형 세로빔이 연결되며, 상기 U형 기저체의 중부에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 범퍼 시스템에는 상기 앞 가로빔과 연결되는 앞 가로로드, 양단이 상기 앞 가로로드와 상기 앞 가로빔과 각각 연결되는 앞 범퍼가 포함되며, 상기 앞 범퍼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앞 범퍼는 상기 앞 가로빔 및 상기 앞 가로로드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앞 범퍼는 상기 앞 가로로드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앞 범퍼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을 통하여 상기 앞 가로빔과 연결되고, 상기 앞 가로로드와 상기 중부 가로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제1 세로로드에는 제1 기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뒤 범퍼 시스템에는 상기 뒤 가로빔과 연결되는 뒤 가로로드, 양단이 상기 뒤 가로로드와 상기 뒤 가로빔과 각각 연결되는 뒤 범퍼가 포함되며, 상기 뒤 범퍼는 만곡 형상이고, 상기 뒤 범퍼는 상기 뒤 가로빔 및 상기 뒤 가로로드와 모두 수직으로 구비되고 또한 상기 뒤 범퍼는 상기 뒤 가로로드에 대하여 외부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뒤 범퍼의 단부는 진동 흡수 링을 통하여 상기 뒤 가로빔과 연결되고, 상기 뒤 가로로드와 상기 조합 가로빔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제1 세로로드에는 제2 기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KR1020167028700A 2014-04-01 2014-04-01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KR102207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74514 WO2015149268A1 (zh) 2014-04-01 2014-04-01 一种电动车车架系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738A true KR20160140738A (ko) 2016-12-07
KR102207498B1 KR102207498B1 (ko) 2021-01-26

Family

ID=54239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700A KR102207498B1 (ko) 2014-04-01 2014-04-01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08567B2 (ko)
EP (1) EP3127785B8 (ko)
JP (1) JP6440736B2 (ko)
KR (1) KR102207498B1 (ko)
CN (1) CN106458261B (ko)
ES (1) ES2731221T3 (ko)
PL (1) PL3127785T3 (ko)
WO (1) WO201514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35716B (zh) * 2016-04-26 2018-12-18 杭州傲拓迈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
JP6977307B2 (ja) * 2017-04-28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CN109383625A (zh) * 2017-08-11 2019-02-26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车身骨架
CN110406594A (zh) * 2018-04-26 2019-11-05 重庆金康新能源汽车有限公司 车架及汽车
CN108674486B (zh) * 2018-05-29 2023-11-17 上驰汽车有限公司 一种eva型电动车安全车体架构
CN114644050A (zh) * 2020-12-17 2022-06-21 中车时代电动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客车用前段车架
CN115158488B (zh) * 2022-06-27 2023-11-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通风管道的座椅安装梁总成及汽车
CN115432067A (zh) * 2022-10-14 2022-12-06 重庆骏普康实业有限公司 一种便于高效生产的汽车车架总成
CN118082975A (zh) * 2022-11-16 2024-05-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下车体布置结构和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902A (en) * 1994-09-28 1996-10-08 Cosma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adder 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09040316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Motor Corp フレーム付車両の車体構造
JP2013112168A (ja) * 2011-11-29 2013-06-10 Ntn Corp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963A (en) * 1933-08-11 1935-07-30 Frederick C Matthaei Automobile chassis frame
JPH04362480A (ja) * 1991-06-11 1992-12-1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車体組立方法
US5813266A (en) * 1995-10-31 1998-09-29 Greenville Tool & Die Company Method of forming and piercing a tube
US6769178B1 (en) * 1998-02-18 2004-08-03 Dana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vehicle frame assembly including hydroformed side rails having integrally formed mounting areas
JP2002356177A (ja) * 2001-03-28 2002-12-10 Kobe Steel Ltd 車体フレーム用アルミニウム合金材の接合方法及びアルミニウム合金製車体フレーム
JP2003011845A (ja) * 2001-06-29 2003-01-15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体構造
CA2528282C (en) * 2004-11-29 2016-05-10 Magna International Inc. Fluid forming of oriented thermoplastics
KR20090023758A (ko) * 2007-09-03 2009-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차량의 샤시 프레임
DE102008020694B4 (de) * 2008-04-24 2012-11-2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Kraftfahrzeugrahmen
JP5354154B2 (ja) * 2008-08-21 2013-11-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レーム構造
CN201437374U (zh) * 2009-05-19 2010-04-14 上海华普汽车有限公司 汽车车架
KR101220768B1 (ko) * 2010-12-28 2013-01-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자동차용 언더 바디
FR2972169B1 (fr) * 2011-03-01 2013-11-08 Courb Chassis modulaire a longerons cintres pour vehicule electrique
JP5737119B2 (ja) * 2011-10-06 2015-06-1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CN203237289U (zh) * 2013-04-24 2013-10-1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轻量化车架
CN103231738B (zh) 2013-04-28 2015-11-18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架及具有该车架的汽车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902A (en) * 1994-09-28 1996-10-08 Cosma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ladder fram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JP2009040316A (ja) * 2007-08-10 2009-02-26 Toyota Motor Corp フレーム付車両の車体構造
JP2013112168A (ja) * 2011-11-29 2013-06-10 Ntn Corp 電気自動車の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8261B (zh) 2019-06-18
KR102207498B1 (ko) 2021-01-26
US9908567B2 (en) 2018-03-06
EP3127785B8 (en) 2019-05-22
US20170129546A1 (en) 2017-05-11
EP3127785A1 (en) 2017-02-08
JP6440736B2 (ja) 2018-12-19
PL3127785T3 (pl) 2019-09-30
EP3127785B1 (en) 2019-03-20
WO2015149268A1 (zh) 2015-10-08
JP2017512701A (ja) 2017-05-25
EP3127785A4 (en) 2017-11-15
ES2731221T3 (es) 2019-11-14
CN106458261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0738A (ko) 전기 자동차 프레임 시스템
JP6421766B2 (ja) フレーム車の骨格構造
US9725122B2 (en)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US9650074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EP3020618B1 (en) Subframe for vehicle
US10239560B2 (en) Subframe for vehicle
US9902348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CN108327796B (zh) 车辆前部结构
US10252750B2 (en) Vehicular frame
US1148541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EP3050782B1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EP3127784A1 (en) Electric vehicle chassis and electric vehicle using same
US20150115655A1 (en) Suspension tower structure
JP6600228B2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CA2873002A1 (en) Shock absorbing member
JP2016022793A (ja) 車両後部構造
JP6641695B2 (ja) 燃料電池車
EP4063240A1 (en) Vehicle body frame using component integration type rear lower
JP2015123886A (ja) バンパリインフォースメント及び車体前部構造
JP2018199430A (ja) 車体前部構造
US11745800B2 (en) Subframe structure
KR20240074452A (ko) 차량의 언더바디
KR20210035460A (ko) 차량의 휀더에이프런 어셈블리
JP2020199892A (ja) 電動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