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607A - 실린더 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607A
KR20160140607A KR1020167024130A KR20167024130A KR20160140607A KR 20160140607 A KR20160140607 A KR 20160140607A KR 1020167024130 A KR1020167024130 A KR 1020167024130A KR 20167024130 A KR20167024130 A KR 20167024130A KR 20160140607 A KR20160140607 A KR 20160140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ylinder
cushion ring
spli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후나토
Original Assignee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6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8Stroke limiting stops, e.g. arranged on the piston rod outside the cyl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실린더(1)는, 수축 작동 시에 스트로크 엔드에서의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의 충돌을 방지하는 환형의 쿠션 링(10)을 구비한다. 쿠션 링(10)은, 복수의 분할 링(11)이 주위 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구성되고, 분할 링(11)은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링(1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3)를 갖고,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연결부(13)는 쿠션 링(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쿠션 링(10)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된다.

Description

실린더 장치 {CYLINDER DEVICE}
본 발명은, 완충기나 액추에이터로서 사용되는 실린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JP1997-60683A에는, 급격한 차체 하중의 변동 또는 충격을 받아 댐퍼 본체(1)에 대해 피스톤 로드(2)가 압축 작동하였을 때, 댐퍼 본체에 간섭하여 변형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프 쿠션 러버(10A)를 구비하는 완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JP1997-60683A에 기재된 범프 쿠션 러버(10A)의 제1 쿠션 러버 부재(12)는 원통 형상이며, 그 축심 구멍(12a)에 피스톤 로드(2)가 삽입 관통된다. 따라서, 제1 쿠션 러버 부재(12)가 손상되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완충 장치를 분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교환이 용이한 쿠션 링을 구비하는 실린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실린더에 피스톤 로드가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실린더 장치이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로부터 연장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드 헤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 장치의 수축 작동 시에 스트로크 엔드에서의 상기 실린더 헤드와 상기 로드 헤드의 충돌을 방지하는 환형의 쿠션 링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 링은, 복수의 분할 링이 주위 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 링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쿠션 링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상기 쿠션 링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실린더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쿠션 링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분할 링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쿠션 링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분할 링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실린더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실린더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실린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린더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는 완충기(100)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100)는, 예를 들어 차량의 차체와 차축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감쇠력을 발생시켜 차체의 진동을 억제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완충기(100)는, 실린더(1)와, 실린더(1)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피스톤 로드(2)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기(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린더(1)가 상측, 피스톤 로드(2)가 하측으로 되는 방향으로 차량에 탑재된다.
피스톤 로드(2)는, 일단부에 실린더(1) 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톤이 연결되고, 타단부측이 실린더(1)의 외부로 연장된다.
실린더(1) 내는 피스톤에 의해 신장측실과 압축측실로 구획되고, 신장측실 및 압축측실에는 작동 유체로서의 작동유가 봉입된다. 또한, 실린더(1) 내에는, 실린더(1)에 대한 피스톤 로드(2)의 진입 및 퇴출에 수반되는 실린더(1) 내의 용적 변화의 보상을 행하는 기실이 설치된다.
실린더(1)의 단부에는, 피스톤 로드(2)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실린더 헤드(3)가 설치된다. 실린더 헤드(3)는, 원통 형상의 본체부(3a)와, 본체부와 비교하여 대직경의 플랜지부(3b)를 갖는다. 실린더 헤드(3)는 플랜지부(3b)가 볼트(4)에 의해 실린더(1)의 단부에 체결됨으로써, 실린더(1)에 고정된다. 실린더 헤드(3)의 본체부(3a)의 내주면에는, 피스톤 로드(2)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나, 실린더(1) 내의 작동유의 누설을 방지하는 시일 부재가 설치된다.
실린더(1)에 있어서의 실린더 헤드(3)의 반대측의 단부에는, 보텀 부재(5)가 접합된다. 보텀 부재(5)는, 완충기(1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5a)를 갖는다.
피스톤 로드(2)에 있어서의 실린더(1)로부터 연장되는 측의 단부에는, 로드 헤드(6)가 설치된다. 로드 헤드(6)는, 피스톤 로드(2)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완충기(100)의 수축 작동 시의 스트로크 엔드를 규정하는 스토퍼부(6a)와, 완충기(1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6b)를 갖는다.
완충기(100)는, 완충기(100)의 수축 작동 시에 스트로크 엔드에서의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의 충돌을 방지하는 환형의 쿠션 링(10)도 구비한다. 쿠션 링(10)은 탄성 부재이며, 구체적으로는 경도가 높은 고무제이다.
쿠션 링(10)은, 피스톤 로드(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장착되고,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의 환형 평면부(6c) 상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2∼도 4를 참조하여, 쿠션 링(1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쿠션 링(10)은, 복수의 분할 링(11)이 주위 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링(10)이 3개의 분할 링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각각의 분할 링(11)이 동일 형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쿠션 링(10)의 사시도, 도 3에 분할 링(11)의 사시도, 도 4에 쿠션 링(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쿠션 링(10)은, 피스톤 로드(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된 내주면(10a)과,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으로 형성된 외주면(10b)과, 실린더 헤드(3)의 본체부(3a)의 단부면에 맞닿음 가능한 환형의 맞닿음면(10c)과,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에 접촉하는 환형의 적재면(10d)을 갖는다. 쿠션 링(10)의 내경 및 외경은, 전체 주위에 있어서 균일하다. 또한, 쿠션 링(10)의 양 단부면인 맞닿음면(10c) 및 적재면(10d)은 평면 형상이다.
분할 링(11)은 원호 형상 부재이며,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의 각각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분할 링(11)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3)를 갖는다.
연결부(13)는,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 중 일단부면(12a)으로부터 돌출되고, 쿠션 링(10)의 맞닿음면(10c)과 연속해서 형성되는 제1 연결부(13a)와,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 중 타단부면(12b)으로부터 돌출되고, 쿠션 링(10)의 적재면(10d)과 연속해서 형성되는 제2 연결부(13b)로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13a) 및 제2 연결부(13b)는, 본체부(12)의 두께와 비교하여 대략 절반의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체부(12)와 제1 연결부(13a), 본체부(12)와 제2 연결부(13b)는 각각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13a)와 제2 연결부(13b)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동일하다.
제1 연결부(13a)에 있어서의 맞닿음면(10c)과 반대측의 면인 제1 연결면(14a)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5a)(제1 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부(13b)에 있어서의 적재면(10d)과 반대측의 면인 제2 연결면(14b)에는,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5b)(제1 돌기부)가 형성된다.
2개의 분할 링(11)은, 한쪽의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홈부(15a)와 다른 쪽의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돌기부(15b)를 끼워 제1 연결면(14a)과 제2 연결면(14b)을 맞닿게 함으로써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와 제2 연결부(13b)는 홈부(15a)와 돌기부(15b)가 끼워짐으로써, 쿠션 링(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쿠션 링(10)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된다.
또한, 인접하는 분할 링(11)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의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단부면(16a)과 다른 쪽의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타단부면(12b)이 거의 간극 없이 대향함과 함께, 한쪽의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일단부면(12a)과 다른 쪽의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단부면(16b)이 거의 간극 없이 대향한 상태에서 연결된다.
쿠션 링(10)의 맞닿음면(10c)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각각 모따기부(20, 21)가 형성되고, 적재면(10d)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는, 각각 모따기부(22, 23)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13a)의 코너부에는, 모따기부(24a)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따기부(24a)는, 단부면(16a) 및 제1 연결면(14a)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 연결부(13b)에도, 모따기부(24b)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모따기부(24b)는 단부면(16b) 및 제2 연결면(14b)의 코너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부(13a) 및 제2 연결부(13b)의 모따기부(24a, 24b)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쿠션 링(10)의 내주면(10a)에는, 계단 형상의 제1 홈 통로(30)가 형성됨과 함께, 적재면(10d)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쿠션 링(10)의 내외주면(10a, 10b)을 연통하는 제2 홈 통로(31)가 형성된다.
제1 홈 통로(30)와 제2 홈 통로(31)는, 피스톤 로드(2)와 쿠션 링(10) 사이에 고이는 흙탕물 등을 쿠션 링(10)의 외측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쿠션 링(10)의 맞닿음면(10c) 상으로부터 피스톤 로드(2)와 쿠션 링(10)의 사이로 유입된 흙탕물은, 쿠션 링(10)의 모따기부(20)로부터 쿠션 링(10)의 내주면(10a)의 제1 홈 통로(30)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되어, 쿠션 링(10)의 적재면(10d)의 제2 홈 통로(31)를 통해 쿠션 링(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체부(12)의 일단부면(12a) 및 타단부면(12b)에도, 각각 모따기부(25a, 25b)를 형성함으로써, 제1 홈 통로(30) 및 제2 홈 통로(31)를 더욱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모따기부(24a, 24b)는, 제1 연결부(13a) 및 제2 연결부(13b)의 모든 코너부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제1 연결부(13a) 및 제2 연결부(13b)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의 외주면 및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의 환형 평면부(6c)에 대향하는 코너부에 최저한 형성하면 된다.
다음으로, 쿠션 링(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완충기(100)에의 쿠션 링(10)의 장착은, 3개의 분할 링(11)을, 연결부(13)를 통해 연결시키면서 피스톤 로드(2)의 외주에 장착하고,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의 환형 평면부(6c) 상에 설치함으로써 행한다.
완충기(100)가 스트로크 엔드까지 수축 작동하면, 실린더 헤드(3)의 본체부(3a)와 로드 헤드(6)의 스토퍼부(6a) 사이에서 쿠션 링(10)이 압축되고, 이에 의해,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의 충돌이 방지된다. 쿠션 링(10)의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와 제2 연결부(13b)는 홈부(15a)와 돌기부(15b)가 끼워짐으로써, 쿠션 링(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쿠션 링(10)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는, 한쪽의 제1 연결부(13a)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상방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제2 연결부(13b)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하방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분할 링(11)은 연결부(13)를 통해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쿠션 링(10)은,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압축 부하를 받은 경우라도, 인접하는 분할 링(11)이 빠지는 일 없이, 원하는 반발력을 발생한다.
완충기(100)를 장기간 사용하고 있으면, 실린더(1) 내의 작동유나 기실의 가스가 누설되어 차고가 내려가,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쿠션 링(10)이 빈번하게 압축 부하를 받아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쿠션 링(10)이 손상된 경우라도, 쿠션 링(10)을 분할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기(100)를 분해하는 일 없이, 새로운 쿠션 링(10)으로 교환할 수 있다.
이상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발휘한다.
쿠션 링(10)은 복수의 분할 링(11)이 주위 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구성되므로, 파손되어 교환이 필요한 경우에는, 쿠션 링(10)을 분할함으로써 피스톤 로드(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링(10)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쿠션 링(10)을 교환함에 있어서, 완충기(100)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완충기(100)가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라도, 쿠션 링(10)을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와 제2 연결부(13b)는, 홈부(15a)와 돌기부(15b)가 끼워짐으로써, 쿠션 링(10)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쿠션 링(10)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쿠션 링(10)은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압축 부하를 받은 경우라도, 인접하는 분할 링(11)이 빠지는 일 없이, 원하는 반발력을 발생한다.
또한, 피스톤 로드(2)와 쿠션 링(10) 사이에 고이는 흙탕물을, 인접하는 분할 링(11)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13a)와 제2 연결부(13b)의 모따기부(24a, 24b)에 의해 형성된 제1 홈 통로(30)와 제2 홈 통로(31)를 통해 쿠션 링(10)의 외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쿠션 링(10)이 오염되어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쿠션 링(10)을 분할하여 피스톤 로드(2)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쿠션 링(10)을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완충기(100)가 덤프 트럭용으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완충기(100)가 대형화되고, 쿠션 링도 외경이 커져 중량이 무거워지므로, 쿠션 링의 생산성이 나빠진다. 그러나, 쿠션 링(10)은 복수의 분할 링(11)으로 이루어지므로, 중량이 작은 소형의 분할 링(11)을 제조한 후, 그들을 연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 링(10)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1) 도 5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홈부(15a)와 돌기부(15b) 외에, 제1 연결면(14a)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5c)(제2 홈부)가 형성됨과 함께, 제2 연결면(14b)에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15d)(제2 돌기부)가 형성된다. 인접하는 2개의 분할 링(11)은, 홈부(15a)와 돌기부(15b)가 끼워짐과 함께, 홈부(15c)와 돌기부(15d)가 끼워짐으로써도 연결된다. 이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분할 링(11)은 주위 방향으로 끼워짐과 함께 직경 방향으로도 끼워지므로, 쿠션 링(10)이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압축 부하를 받았을 때, 각 분할 링(11)이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2) 도 6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실린더 헤드(3)의 본체부(3a)에 있어서의 쿠션 링(10)에 맞닿는 단부면의 내측에, 환형의 홈부(3c)가 형성된다. 실린더 헤드(3)에 환형의 홈부(3c)가 형성됨으로써, 쿠션 링(10)이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압축 부하를 받았을 때에는, 쿠션 링(10)의 내측으로 압축 부하의 분력이 발생함과 함께, 홈부(3c) 내로의 쿠션 링(10)의 변형이 허용되므로, 쿠션 링(10)의 외측으로의 변형이 방지되어, 각 분할 링(11)의 빠짐이 방지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변형예에서는, 실린더 헤드(3)의 본체부(3a)에 있어서의 쿠션 링(10)에 맞닿는 단부면의 내측에, 환형의 테이퍼부(3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해도, 홈부(3c)와 마찬가지의 작동 효과가 얻어진다.
(3) 쿠션 링(10)이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 사이에서 압축 부하를 받았을 때, 외측으로 확대되어 각 분할 링(11)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쿠션 링(10)의 외주면에 환형의 밴드를 권취하도록 해도 된다.
(4)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링(10)이 3개의 분할 링(11)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쿠션 링(10)을 구성하는 분할 링(11)의 수는 3개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분할 링(11), 또는 4개 이상의 분할 링(11)으로 쿠션 링(10)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5)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분할 링(11)은, 한쪽의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단부면(16a)과 다른 쪽의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타단부면(12b)이 거의 간극 없이 대향함과 함께, 한쪽의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일단부면(12a)과 다른 쪽의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단부면(16b)이 거의 간극 없이 대향한 상태에서 연결된다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피스톤 로드(2)와 쿠션 링(10)의 사이에 고이는 흙탕물이 쿠션 링(10)의 외측으로 배출되기 쉽도록, 제1 연결부(13a)의 단부면(16a)과 본체부(12)의 타단부면(12b)의 사이, 및 본체부(12)의 일단부면(12a)과 제2 연결부(13b)의 단부면(16b)의 사이에 적극적으로 간극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6)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분할 링(11)이 동일 형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분할 링(11)은 동일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길이를 각 분할 링(11)에서 상이하도록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는, 한쪽의 제1 연결부(13a)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상방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제2 연결부(13b)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하방에 연결된다고 설명하였다. 이 대신에,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는 한쪽의 제1 연결부(13a)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상방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제2 연결부(13b)도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상방에 연결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분할 링(11)의 본체부(12)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연결부(13)는 한쪽의 제1 연결부(13a)가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2 연결부(13b)의 하방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제2 연결부(13b)도 인접하는 분할 링(11)의 제1 연결부(13a)의 하방에 연결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분할 링(11)을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분할 링(11)의 수가 짝수이면, 모든 분할 링(11)을 동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8)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쿠션 링(10)의 양 단부면인 맞닿음면(10c) 및 적재면(10d)이 평면 형상이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맞닿음면(10c) 및 적재면(10d)은 평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직경 방향으로 만곡되는 형상이어도 된다.
(9)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린더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는 완충기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린더 장치는, 건설 기계나 산업 기계에 탑재되어 유체압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작동 유체에 의해 신축 작동하여 부하를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여도 된다. 즉, 쿠션 링(10)은 액추에이터의 수축 작동 시에 스트로크 엔드에서의 실린더 헤드(3)와 로드 헤드(6)의 충돌을 방지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 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4년 4월 8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4-079447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Claims (7)

  1. 실린더에 피스톤 로드가 진퇴 가능하게 삽입된 실린더 장치이며,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있어서의 상기 실린더로부터 연장되는 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로드 헤드와,
    상기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 장치의 수축 작동 시에 스트로크 엔드에서의 상기 실린더 헤드와 상기 로드 헤드의 충돌을 방지하는 환형의 쿠션 링을 구비하고,
    상기 쿠션 링은, 복수의 분할 링이 주위 방향으로 연결되어 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 링은, 본체부와, 당해 본체부의 주위 방향 양단부에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를 갖고,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쿠션 링의 축 방향으로 서로 겹치고, 또한 상기 쿠션 링의 직경 방향으로의 서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되어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링의 상기 본체부와 상기 연결부는, 단차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분할 링은, 상기 쿠션 링의 환형의 양 단부면이 평면 형상으로 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의 상기 연결부는, 한쪽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부와, 다른 쪽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돌기부가 끼워짐으로써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분할 링의 상기 연결부는, 한쪽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부와, 다른 쪽의 상기 연결부에 형성되어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돌기부가 끼워짐으로써도 연결되는, 실린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헤드에 있어서의 상기 쿠션 링에 맞닿는 단부면의 내측에는, 환형의 홈부 또는 테이퍼부가 형성되는, 실린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헤드는, 상기 실린더 장치의 수축 작동 시의 스트로크 엔드를 규정함과 함께 상기 쿠션 링이 설치되는 스토퍼부를 갖고,
    상기 분할 링의 상기 연결부에는,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 링에 있어서의 내주면 및 상기 스토퍼부에 접촉하는 적재면에는, 상기 모따기부에 의해 홈 통로가 형성되는, 실린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분할 링은 동일 형상인, 실린더 장치.
KR1020167024130A 2014-04-08 2015-03-30 실린더 장치 KR201601406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9447A JP6340233B2 (ja) 2014-04-08 2014-04-08 シリンダ装置
JPJP-P-2014-079447 2014-04-08
PCT/JP2015/059902 WO2015156160A1 (ja) 2014-04-08 2015-03-30 シリンダ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607A true KR20160140607A (ko) 2016-12-07

Family

ID=54287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130A KR20160140607A (ko) 2014-04-08 2015-03-30 실린더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01190B2 (ko)
EP (1) EP3109506A4 (ko)
JP (1) JP6340233B2 (ko)
KR (1) KR20160140607A (ko)
CN (1) CN106104070A (ko)
CA (1) CA2941512A1 (ko)
WO (1) WO2015156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69360B2 (en) * 2014-04-23 2018-01-16 Justin Smith Multi-piece nut for use with a shock
DE102016001235B3 (de) * 2016-02-04 2017-02-02 Audi Ag Blockiervorrichtung für einen Dämpfer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10725A1 (de) * 2016-06-16 2017-12-21 Zf Friedrichshafen Ag Korrosionsschutzeinrichtung für eine Schwingungsdämpferanordnung eines Kraftfahrzeugs, sowie eine Schwingungsdämpferanordnung mit der Korrosionsschutzeinrichtung
JP7037307B2 (ja) * 2017-09-14 2022-03-16 Kybモーターサイクルサスペンション株式会社 緩衝器
GB2568225A (en) * 2017-09-25 2019-05-15 Bowman Int Ltd Seal
GB2578782A (en) * 2018-11-09 2020-05-27 Ingles Mood Geoffrey A split gasket
KR102659819B1 (ko) * 2021-09-29 2024-04-23 두산에너빌리티 주식회사 씰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머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3409A (en) * 1921-09-15 1922-04-18 Theodore H Lackman Packing ring
US2047590A (en) * 1933-10-13 1936-07-14 Madsen Tage Piston ring
US2910332A (en) * 1956-03-15 1959-10-27 Davy Robertsons Maskinfabrik A Composed packing rings, particularly in piston ring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6326306Y2 (ko) * 1979-12-27 1988-07-18
JPS5735534U (ko) * 1980-08-07 1982-02-24
JPS62172854U (ko) * 1986-04-23 1987-11-02
JPH0874918A (ja) * 1994-09-07 1996-03-19 Tokai Rubber Ind Ltd バンパスプリング
TW305915B (ko) * 1995-06-14 1997-05-21 Burckhardt Ag Maschf
JPH0960683A (ja) * 1995-08-28 1997-03-04 Kayaba Ind Co Ltd 緩衝装置
US6318237B1 (en) * 1999-03-05 2001-11-20 MüLLER HANS Arrangement for a lock cylinder for a blocking cylinder
AT411384B (de) * 2000-04-10 2003-12-29 Hoerbiger Ventilwerke Gmbh Dichtring-kombination
DE20021481U1 (de) * 2000-12-19 2001-06-13 Pp Plastic Peuker Ohg Federwegbegrenzungselement
BE1014477A6 (nl) * 2001-11-15 2003-11-04 Azimuth Internat Trading Nv Veerwegbegrenzer aangebracht in een vering en element voor het begrenzen van de veerweg voor dergelijke veerwegbegrenzer.
DE10228223A1 (de) * 2002-06-25 2004-01-22 Zf Sachs Ag Anschlagring für ein Kolben-Zylinderaggregat
DE10254303B3 (de) * 2002-11-21 2004-04-08 Mhw Innova Gmbh Scheibe zur Reduzierung des Federweges eines Stoßdämpfers
SE526377C2 (sv) * 2003-04-03 2005-08-30 Flow Holdings Sagl Tätning för isostatpress,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densamma, isostatpress, lock, tätningshållare samt användning av tätning
US7770895B2 (en) * 2007-05-01 2010-08-10 Eaton Corporation Segmented seal portion and assembly
AT505549B1 (de) * 2008-01-14 2009-02-15 Hoerbiger Kompressortech Hold Gasdichte kolbenringanordnung
CN101982301A (zh) * 2010-08-30 2011-03-02 兰州瑞德实业集团有限公司 紧凑型灵敏气缸
NL1038900C2 (nl) * 2011-06-27 2013-01-02 Christiaan Karel Graaf Demperrubber voor schokbrekersysteem.
US9033636B2 (en) * 2013-03-15 2015-05-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Balanced snap ring
US9695940B2 (en) * 2013-12-18 2017-07-04 Kaydon Ring & Seal, Inc. Bidirectional lift-off circumferential shaft seal segment and a shaft seal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segments
US9638326B2 (en) * 2014-12-15 2017-05-02 Kaydon Ring & Seal, Inc. Arch-bound ring seal and ring seal system including an arch-bound ring se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0233B2 (ja) 2018-06-06
CN106104070A (zh) 2016-11-09
US10001190B2 (en) 2018-06-19
JP2015200365A (ja) 2015-11-12
US20170016507A1 (en) 2017-01-19
EP3109506A1 (en) 2016-12-28
WO2015156160A1 (ja) 2015-10-15
CA2941512A1 (en) 2015-10-15
EP3109506A4 (en)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0607A (ko) 실린더 장치
RU2722581C1 (ru) Гидро(пневмо)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оршневого узла
WO2011099402A1 (ja) 流体圧シリンダ
JP6510893B2 (ja) 緩衝ストッパ
RU2717469C1 (ru) Гидро(пневмо)устройство
JP6335019B2 (ja) 緩衝器
JP6612427B2 (ja) 緩衝ストッパ
US10473123B2 (en) Metal bellows type accumulator
JP2013204799A5 (ko)
US9221315B2 (en) Cylinder unit
US10323746B2 (en) Metal bellows type accumulator
RU2692867C1 (ru)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
US10690213B2 (en) Seal arrangement with damping element
JP2015108414A (ja) 緩衝体
RU2681877C1 (ru) Гидро(пневмо)цилиндр
JP2002323134A (ja) シリンダにおけるピストン構造
WO2016001428A1 (en) Telescopic hydraulic cylinder
JP5822105B2 (ja) 流体圧シリンダのピストン軸受け構造
JP5587961B2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ー
JP7459204B2 (ja) ダンパアセンブリ
US20190219172A1 (en) Seal and seal assembly comprising the seal
JP7465163B2 (ja) 緩衝器および緩衝器の組み立て方法
JP6479574B2 (ja) 金属ベローズ型アキュムレータ
KR20180007613A (ko) 유체 커플링용 완충 커플링 장치
TW202129159A (zh) 用於軸向滑動桿的密封元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