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91A -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4491A KR20160134491A KR1020160050090A KR20160050090A KR20160134491A KR 20160134491 A KR20160134491 A KR 20160134491A KR 1020160050090 A KR1020160050090 A KR 1020160050090A KR 20160050090 A KR20160050090 A KR 20160050090A KR 20160134491 A KR20160134491 A KR 201601344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carrier
- drum
- plane
- wall surface
- develo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87—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 G03G15/0891—Arrangements for conveying and conditioning developer in the developing unit, e.g. agitating, removing impurities or humidity for conveying or circulating developer, e.g. aug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03G21/0029—Details relating to the blade suppor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3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rush; Details of cleaning brushes, e.g. fibre density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5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roller or a polygonal rotating cleaning member; Details thereof, e.g. surface structur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02—Arrangements for agitating or circulating developer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상 담지체에 접하여, 상기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와,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와, 상기 상 담지체와 접하는 시트 부재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상기 시트 부재측에 위치하는 상기 수용부의 벽면을 갖고, 상기 벽면은, 벽면의 연직 상방이 됨에 따라 상기 직선에 가까워지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클리닝 부재가 접하는 위치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방향과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이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란,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 등의 상 담지체를 적어도 구비하고, 또한 상 담지체와, 상 담지체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적으로 구비하는 카트리지이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대해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과,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현상 수단, 대전 수단,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일체적으로 조립하여 카트리지화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식을 이용하여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LED 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상 담지체로서,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감광체, 즉, 감광체 드럼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그 다음에, 대전시킨 감광체 드럼을 선택적으로 노광시킴으로써, 감광체 드럼 상에 정전 잠상(정전 상)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서의 토너에 의해 토너 상으로서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토너 상을, 기록 용지, 플라스틱 시트 등의 기록재에 전사하고, 이어서 기록재 상에 전사된 토너 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토너 상을 기록재에 정착시킴으로써 화상 기록을 실시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토너 보급 및 각종 프로세스 수단의 유지 관리를 필요로 한다. 이 토너 보급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감광체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을 프레임 내에 일체로 조립하여 카트리지화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한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장치의 유지 관리를 유저 스스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현격히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편리함(usability)이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는, 교환 빈도를 줄이기 위해, 클리닝 수단에 의해 감광체 드럼 표면으로부터 회수된 토너를 보다 떨어진 위치로 반송하는 구성이 검토되고 있다. 이 토너를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체로서의 스크류나 브러쉬 롤러나 회수 오거(auger)를 이용하는 구성이 알려졌다(일본특허공개 평10-312142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05-301019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2012-208276호 공보).
그러나, 회수된 토너를 스크류에 의해 감광체 드럼의 상방에서 반송하는 경우, 클리닝 프레임 내에 축적된 토너에 의한 압력이 클리닝 부재와 감광체 드럼 사이의 접촉부에 가해져서, 클리닝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클리닝 프레임 내에 축적된 현상제에 의한 압력이 클리닝 부재와 감광체 드럼의 접촉부에 가해져 클리닝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현상제의 소정 반송로로의 반송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반송 장치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상 담지체에 접하여, 상기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와,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와, 상기 상 담지체와 접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벽면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상기 시트 부재가 제공되는 측에 위치하고, 상기 벽면은, 벽면의 연직 상방이 됨에 따라 상기 직선에 가까워지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와 접하는 위치의 연직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방향과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이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탑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클리닝 용기 내부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연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열고, 트레이를 끄집어 낸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열고, 트레이를 끄집어 낸 상태에서, 트레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때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구동측 위치 결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비구동측 위치 결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탑재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클리닝 용기 내부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연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열고, 트레이를 끄집어 낸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를 열고, 트레이를 끄집어 낸 상태에서, 트레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하는 때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구동측 위치 결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비구동측 위치 결정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도 2에 나타내는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의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착탈 가능하게 한, 전자사진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상 담지체인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이하, 드럼)의 회전축선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다. 그리고,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로부터 드럼이 구동력을 받는 측을 구동측이라 하고, 그 반대측을 비구동측이라고 한다. 또한, 장치 본체 A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의 카트리지 B를 제외한 부분이다.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된 때,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의 드럼(62)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3)(레이저 스캐너 유닛)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B의 아래쪽에 화상 형성 대상이 되는 기록재(이하, 시트재 P라고 기재한다)를 수납한 시트 트레이(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시트재 P의 반송 방향 D를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반송 가이드(8), 정착 장치(9), 배출 롤러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순차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9)는, 가열 롤러(9a) 및 가압 롤러(9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전체의 구성>
다음에 카트리지 B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카트리지 B의 단면도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부품을 결합할 때의 스크류에 관해서는 생략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기구(반송 장치)를 갖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가지며,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이 결합한 카트리지 B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클리닝 유닛(60)은, 드럼(62)과,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와, 이들을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71)과 클리닝 프레임(71)에 용착 등으로 고정된 덮개 부재(72)를 갖는다. 클리닝 프레임(71)과 덮개 부재(72)는, 클리닝 부재(77)로 제거한 현상제의 수용 공간이 되는 폐토너실(71b)을 형성하기 위해,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는, 각각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 부재(77)는, 탄성 재료로서의 고무로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탄성 부재인 고무 블레이드(77a)와, 고무 블레이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77b)를 갖는다. 고무 블레이드(77a)는, 드럼(62)의 회전 방향 R에 대해서 카운터 방향으로 드럼(62)에 접촉하여 있다. 즉, 고무 블레이드(77a)는, 그 선단부가 드럼(62)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을 향하도록 드럼(62)에 접촉하여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리닝 프레임(71)으로부터 폐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 부재인 드럼 접촉 시트(65)를 더 가지며, 드럼(62)에 접촉하도록 클리닝 프레임(71)의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드럼(62)은, 구동원인 본체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도면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대전 롤러(66)는,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드럼(62)의 회전축선 방향과 대략 평행)의 양 단부에 있어서, 대전 롤러 베어링(67)을 개재하여, 클리닝 프레임(71)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대전 롤러(66)는, 대전 롤러 베어링(67)이 가압 부재(68)에 의해 드럼(62)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드럼(62)에 압접되어 있다. 이에 의해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회전에 종동 회전한다.
한편, 현상 유닛(20)은, 현상 롤러(32)와, 현상 롤러(32)를 지지하는 현상 용기(23)와, 현상 용기(23)와 일체화되는 바닥 부재(22)와, 현상 블레이드(42) 등을 갖는다. 현상 롤러(32) 내에는, 자력에 의해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현상제를 담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마그넷 롤러(3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블레이드(42)는, 현상 롤러(32)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현상 롤러(32) 상의 토너층을 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현상 유닛(20)으로부터 토너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현상 롤러 접촉 시트(33)가, 현상 롤러(32)에 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2)의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상 용기(23)와 바닥 부재(22)는, 일체화되는 것에 의해 토너 T를 수용하는 토너실(29)을 형성하고 있다. 토너실(29)에는, 제1 반송 부재(43), 제2 반송 부재(44), 제3 반송 부재(50)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송 부재(43), 제2 반송 부재(44), 제3 반송 부재(50)는, 토너실(29)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함과 함께, 토너 공급실(28)로 토너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프린트 스타트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62)은 화살표 R 방향으로 소정의 원주속도(프로세스 스피드)를 갖고서 회전 구동된다. 그리고,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드럼(62)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노광 장치(3)는, 화상 정보에 따른 레이저 광 L을 출력한다. 이 레이저 광 L은 카트리지 B의 클리닝 유닛(60)(클리닝 프레임(71))에 설치된 레이저 개구(71h)를 통과하여, 드럼(62)의 외주면을 주사 노광한다. 이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대응한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B의 현상 장치로서의 현상 유닛(20)에 설치된 토너실(29) 내의 토너 T는, 제1 반송 부재(43), 제2 반송 부재(44), 제3 반송 부재(50)의 회전에 의해 교반, 반송되어, 토너 공급실(28)로 송출된다. 현상제로서의 토너 T는, 마그넷 롤러(34)(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담지된다. 토너 T는,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32) 주면상에서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그 토너 T는, 정전 잠상에 따라서 드럼(62)에 현상되어, 토너 상(현상제 상; developer image)으로서 가시상화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광 L의 출력 타이밍에 맞추어서,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에 의해,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수납된 시트재 P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송출된다. 그리고, 그 시트재 P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62)과 전사 롤러(7) 사이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 전사 위치에 있어서, 토너 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 P로 순차 전사 되어 간다.
토너 상이 전사된 시트재 P는,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되어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장치(9)로 반송된다. 그리고 시트재 P는, 정착 장치(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 사이의 닙부(nip)를 통과한다. 이 닙부에서 가압·가열 정착 처리가 행해져서, 토너 상은 시트재 P에 정착된다. 토너 상의 정착 처리를 받은 시트재 P는, 배출 롤러쌍(10)까지 반송되어, 배출 트레이(11)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사 후의 드럼(62)은,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접촉 부재 및 현상제를 회수하는 회수 부재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외주면상의 잔류 토너가 제거되어, 다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수용부인 폐토너실(71b)에 저장된다.
상기에 있어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전사 롤러(7), 클리닝 블레이드(77)가, 드럼(62)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이다.
<카트리지 착탈>
다음으로, 장치 본체 A에 대한 카트리지 B의 착탈에 대해서,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 B를 착탈하기 위해서 개폐 도어(13)를 연 장치 본체 A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B를 착탈하기 위해서 개폐 도어((13)를 열고 트레이(18)를 끄집어 낸 상태의 장치 본체 A와 카트리지 B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폐 도어(13)를 열고 트레이(18)를 끄집어 낸 상태에서, 카트리지 B를 착탈하고 있는 때의 장치 본체 A 및 카트리지 B의 사시도이다. 카트리지 B는, 트레이(18)에 대해서, 착탈 방향 E를 따라 착탈 가능하다.
장치 본체 A에는 개폐 도어(13)가 회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고, 이 개폐 도어(13)를 열면 카트리지 삽입구(1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 삽입구(17) 내에는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하기 위한 트레이(18)가 구비되어 있다. 트레이(18)는, 소정의 위치까지 끄집어 내면, 카트리지 B의 착탈이 가능하다. 카트리지 B는, 트레이(18) 위에 놓인 상태에서, 도면 중 화살표 C방향으로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장치 본체 A 내에 삽입(장착)된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에 설치된 제1 커플링(70) 및 제2 커플링(21)(도 8)에 구동을 전달하기 위한 제1 본체 구동축(14) 및 제2 본체 구동축(19)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본체 구동축(14) 및 제2 본체 구동축(19)은, 장치 본체 A의 구동원인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1 커플링(70)과 연결하고 있는 드럼(62)이 장치 본체 A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또한, 제2 커플링(21)으로부터 구동이 전달되어 현상 롤러(32)가 회전한다. 또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는, 장치 본체 A의 급전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급전된다.
<카트리지 지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를 지지하기 위한 구동측 측판(15)과 비구동측 측판(16)이 설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측판(15)에 구동측 제1 지지부(15a), 구동측 제2 지지부(15b) 및 카트리지 B의 회전 지지부(15c)가 설치되고, 비구동측 측판(16)에 비구동측 제1 지지부(16a), 비구동측 제2 지지부(16b) 및 회전 지지부(16c)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 B의 피지지부로서, 드럼 베어링(73)의 피지지부(73b), 피지지부(73d), 클리닝 프레임(71)의 구동측 보스(71a), 비구동측 돌기부(71f)와 비구동측 보스(71g)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지지부(73b)가 구동측 제1 지지부(15a)에, 피지지부(73d)가 구동측 제2 지지부(15b)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측 보스(71a)가 회전 지지부(15c)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비구동측 돌기부(71f)가 비구동측 제1 지지부(16a)와 비구동측 제2 지지부(16b)에 의해 지지되고, 비구동측 보스(71g)가 회전 지지부(16c)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카트리지 전체의 구성>
도 4는, 클리닝 프레임(71)의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의 (b)에 나타내는 카트리지 B의 O-O 단면을 도 4의 (a)에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드럼(62)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는, 폐토너 반송 부재로서의 제1 스크류(86), 제2 스크류(87), 제3 스크류(88)에 의해 반송된다. 그리고, 클리닝 프레임(71)과 덮개 부재(72)에 의해 형성된 폐토너실(71b)에 축적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폐토너 반송계에서는, 드럼(62)의 근방에 제1 스크류(86),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구동측 단부에 제2 스크류(87)를 구비한다. 제1 스크류(86)는, 회전축(86a)과, 회전축(86a)의 외측(외주)에 나선형(helical) 블레이드(반송부)(86b)와, 회전축(86a)에 구동력을 전하기 위한 구동 전달부(86s)를 구비한다.
한편, 제2 스크류(87)는, 회전축(87a)과, 회전축(87a)의 외측(외주)에 형성된 나선형 블레이드(반송부)(87b)와, 회전축(86a)으로부터 구동력을 받기 위한 피구동축(87s)을 구비한다. 여기서, 구동 전달부(86s)란, 구동원(모터)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축선(구동축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축이다. 또한, 피구동축이란 구동축으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하는 축이다.
제1 스크류(86)는, 도시하지 않은 기어에 의해 커플링(21)으로부터 구동 전달부(86s)에 전달된 구동력을 받아 회전한다. 그리고, 제2 스크류(87)는, 제1 스크류(86)로부터 피구동축(87s)으로 전달된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또한, 제3 스크류(88)는, 제2 스크류(87)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한다. 제1 스크류(86)는 드럼(62)의 근방에, 제2 스크류(87)는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 단부에, 제3 스크류(88)는 폐토너실(71b)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스크류(86), 제3 스크류(88)의 회전 축선은 드럼(62)의 회전 축선과 평행이며, 제2 스크류(87)의 회전 축선은 드럼(62)의 회전 축선과 직교하고 있다. 또한, 드럼 접촉 시트(65)는, 드럼(62)에 접촉하도록 클리닝 프레임(71)의 에지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합체하여 구성된다. 클리닝 유닛(60)에는, 클리닝 프레임(71), 덮개 부재(72), 드럼(62), 드럼(62)을 회전 지지하기 위한 드럼 베어링(73) 및 드럼축(78)이 설치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62)은, 구동측에 있어서, 구동측에 설치된 구동측 드럼 플랜지(63)가 드럼 베어링(73)의 구멍부(7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62)은, 비구동측에 있어서, 클리닝 프레임(71)에 설치된 구멍부(71c)에 압입된 드럼축(78)이, 비구동측 드럼 플랜지(64)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태로 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현상 유닛(20)은, 도 3, 도 10,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부재(22), 현상 용기(23), 구동측 현상 사이드 부재(26), 현상 블레이드(42), 현상 롤러(32)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현상 롤러(32)는,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 부재(27, 3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현상 용기(23)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결합 핀(69)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카트리지 B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현상 유닛(2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현상 용기(23)에 현상 제1 지지 구멍(23a), 현상 제2 지지 구멍(23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유닛(6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는, 클리닝 프레임(71)에 제1 걸림 구멍(hanging hole; 71i)(도 13), 제2 걸림 구멍(71j)(도 11)이 설치되어 있다. 제1 걸림 구멍(71i), 제2 걸림 구멍(71j)에 압입 고정된 결합 핀(69)과 현상 제1 지지 구멍(23a), 현상 제2 지지 구멍(23b)이 결합함으로써,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측 가압 부재(46R)의 제1 구멍부(46Ra)는 드럼 베어링(73)의 보스(73c)에 걸리고, 제2 구멍부(46Rb)가 구동측 현상 사이드 부재(26)의 보스(26a)에 걸려져 있다(도 10, 도 13). 또한, 비구동측 가압 부재(46F)의 제1 구멍부(46Fa)는 클리닝 프레임(71)의 보스(71k)에 걸리고, 제2 구멍부(46Fb)가 베어링 부재(37)의 보스(37a)에 걸려져 있다(도 11, 도 12).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측 가압 부재(46R), 비구동측 가압 부재(46F)는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유닛(20)을 클리닝 유닛(60) 쪽으로 가압한다. 이에 의해, 현상 롤러(32)를 드럼(62)의 방향으로 확실하게 눌러 붙이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도 10,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에는 간극 유지 부재(38)가 현상 롤러(32)의 양 단부에 취부되어 있고, 간극 유지 부재(38)와 드럼(62)이 접촉함으로써, 현상 롤러(32)는 드럼(62)과 미소 간극을 갖고 유지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32)의 양 단부에 취부된 간극 유지 부재(38)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드럼(62)으로부터 소정의 간극을 갖고 유지된다.
<클리닝부 상세>
다음으로, 클리닝이 행해지는 부분의 상세에 대하여, 도 1, 도 14,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14, 도 15는, 카트리지 B의 클리닝에 관련되는 구성을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71) 내에 제1 스크류(86)가 회전 가능하게, 드럼(62)의 회전 축선과 제1 스크류(86)의 회전 축선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된다. 제1 스크류(86)는, 회전축(86a)의 외측(외주)에 나선형 블레이드(86b)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스크류(86)는 클리닝 프레임(71)의 내부에서, 회전 축선 방향으로부터 보아 드럼(62)의 연직 상방의 영역 H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전사 후의 드럼(62)의 표면에 잔존한 토너는, 드럼(62)과 드럼 접촉 시트(65) 사이를 통과하여 클리닝 프레임(71)의 영역 내에 도달하고, 클리닝 부재(77)의 고무 블레이드(77a)에 의해 드럼(62)으로부터 긁어내진다.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긁어내진 토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71)과, 드럼 접촉 시트(65)와, 드럼(62)과,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규정되는 수용부(100)에 축적된다.
축적된 토너의 상면이 제1 스크류(86)에 접촉하는 높이에 도달한 때, 제1 스크류(86)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는 나선형 블레이드(86b)에 의해, 축적된 토너가 수용부(100)로부터 길이 방향(도 1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 반송된다.
제1 스크류(86)는 길이 방향으로 토너를 반송함과 동시에, 축적된 토너를 나선형 블레이드(86b)에 의해 회전축(86a) 상으로 퍼올리고, 제1 스크류(86)의 회전 방향 S를 따라 반송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크류(86)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반송된 토너는, 방향 U를 따라 반송되고, 나선형 블레이드(86b)의 선단으로부터 제1 스크류(86)의 회전 방향의 하류 측으로 떨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클리닝 유닛(60)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77)와 드럼(62)의 접촉부(101)가, 제1 스크류(86)의 연직 하방의 영역 I 내에 들어가도록, 제1 스크류(86)가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1 스크류(86)는, 연직 방향(중력 방향)에서 접촉부(101)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바로 위"란, 접촉부(101)의 위치를 연직 상방으로 평행 이동시켰을 때에 제1 스크류(86)(직경에 상당하는 영역 I의 범위 내)와 중첩하는 배치 관계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스크류(86)의 회전 방향 S와 드럼(62)의 회전 방향 R이 동일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크류(86)의 배치와 회전 방향을 정함으로써,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크류(86)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는, 클리닝 부재(77)(고무 블레이드(77a))의 면(77a1)의 상부에 축적된 토너의 상면 T1 위로 더 떨어뜨려진다. 즉, 도 14에 있어서, 제1 스크류(86)에 의해 반송되는 토너는, 접촉부(101)의 상부나 접촉부(101)보다 드럼(62)의 회전 방향 R의 상류측의 드럼 표면 F의 상부에 축적된 토너 위에는 낙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제1 스크류(86)로부터 낙하한 토너에 의한 압력은, 화살표 V와 같이 드럼(62)의 회전 방향 하류측의 클리닝 부재(77)의 면(77a1) 위에 토너가 분산되도록 하여 가해지기 쉬워진다. 즉, 스크류로부터 낙하한 토너에 의한 압력이, 접촉부(101)나, 접촉부(101)보다 드럼(6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드럼 표면 F에 가해지기가 어렵다.
따라서, 접촉부(101)에 가해지는 토너에 의한 압력을 억제하는(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전사 후의 드럼(62) 표면에 잔존한 토너가 클리닝 부재(77)에서 빠져나가기 어려워지게 되고, 클리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스크류(제1 스크류(86))로부터 낙하한 토너에 의한 압력이 접촉 부(101)보다 드럼(6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드럼 표면 F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드럼(62)의 회전에 따라, 토너에 의한 압력에 의해 클리닝 부재(77)를 상방으로 변형시켜 버린다. 이에 의해, 토너가 클리닝 부재(77)를 빠져나가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생각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문제가 생기기 어렵고, 클리닝 부재(77)의 변형이 억제됨으로써, 클리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접촉 시트(65)와 드럼(62)의 접촉부(102)를, 클리닝 부재(77)와 드럼(62)의 접촉부(101)보다도 연직 하방(중력 방향에 있어서 하방)에 배치하였다. 이 때문에, 클리닝 프레임(71)의 내부에 있어서의 토너가 축적되는 영역 중에서, 접촉부(102)가 연직 방향(중력 방향)에서 가장 하방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토너에 의한 압력이, 접촉 부(101)보다도 접촉부(102)로 분산되기 쉬워져서, 접촉부(101)에 가해지는 토너에 의한 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드럼(62)의 연직 상방에 위치하는 표면 중, 정점으로부터 드럼(62)의 회전 방향의 상류측의 영역 X에, 접촉부(101)가 위치하도록, 클리닝 부재(77)가 배치된다. 즉, 접촉부(101)는, 드럼(62)의 정점 위치로부터 드럼(62)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수평면과, 드럼(62)의 주면과의 교차 위치의 범위에 있어서, 드럼(62)의 회전 방향 상류 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드럼 표면 F가, 드럼(6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을 향함에 따라 수평보다 아래 방향(Y 방향)으로 향하는 면이 되기 때문에, 토너에 의한 압력이, 접촉부(101)보다도 접촉부(102)에 대해서 보다 분산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접촉부(101)에 가해지는 토너에 의한 압력을 저하시키는 상술한 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71)의 내벽의 일부로서 벽면(71W)을 갖는다. 벽면(71W)은, 드럼(62)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폐토너실(71b)의 개구부와, 나선형 블레이드(86b)가 형성된 영역 내의 적어도 일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벽면(71W)은, 연직 방향(중력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제1 스크류(86)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제1 스크류(86)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경사진 면으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벽면(71W)은, 드럼(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드럼(62)의 회전 중심과 제1 스크류(86)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P-P 직선에 대해서 드럼 접촉 시트(65)측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벽면(71W)은, 벽면의 상방으로 됨에 따라, P-P 직선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71W)은, 도 15에 나타내는, 드럼(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1 스크류(86)보다도 드럼 접촉 시트(65)측, 또한 제1 스크류(86)보다도 연직 하방의 영역 K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벽면(71W)은,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제1 스크류(86)측에 가까워지는 방향 L로 기울어지는 단일의 평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벽면(71W)이 이와 같은 단일의 평면을 따라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평면을 따른 토너의 흐름에 의해 토너의 손실을 억제하면서 제1 스크류(86)로 토너를 접근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71W)을 따라 제1 스크류(86)로 향하는 토너의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벽면(71W)을 단일의 평면으로 했지만, 토너의 흐름에 따른 면이면 좋고, 예를 들면, 토너의 흐름에 따른 홈을 갖는 면으로 해도 좋다.
즉, 벽면(71W)은, 드럼(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축선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1 스크류(86)보다도 드럼 접촉 시트(65)측(클리닝 부재(77)와 반대측)에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77)의 면(77a1)이, 클리닝 부재(77)로부터 드럼 접촉 시트(65)측으로 향하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 하방이 되는 방향(Z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력에 의한 낙하 작용이 일어나기 때문에, 면(77a1) 상의 토너의 체류를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토너의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클리닝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히 재차 기재하지 않는 한은, 재질, 형상 등은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그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71)의 내벽의 일부로서 벽면(71w)이 설치되어 있다. 벽면(71w)은, 드럼(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제1 스크류(86)보다도 드럼 접촉 시트(65)측, 또한 제1 스크류(86)보다도 연직 하방의 영역 K 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벽면(71w)은, 제1 평면(71w1)과, 제1 평면(71w1)에 연결되는 제2 평면(71w1)으로 구성된다. 제1 평면(71w1)은, 제2 평면(71w2)보다도 연직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1 평면(71w1)과 제2 평면(71w2)은 각각,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제1 스크류(86)측에 가까워지는 방향 L로 기울어지는 단일의 평면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평면(71w1)과 제2 평면(71w2)은 각각, 드럼(62)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드럼(62)의 회전 중심과 제1 스크류(86)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P-P 직선에 대해 드럼 접촉 시트(65)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1 평면(71w1)과 제2 평면(71w2)은 각각, 벽면의 상방으로 됨에 따라, P-P 직선에 가까워지도록 기울어져 설치된다. 또한 제2 평면(71w2)과 수평면 Q이 이루는 각, 예각(71w2t)은, 제1 평면(71w1)과 수평면 Q이 이루는 각, 예각(71w1t)보다도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클리닝 부재(77)(고무 블레이드(77a))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가장 제1 평면(71w1)측에 있는 변부(77a2)를 갖는다. 여기서, 연직 방향에 있어서, 제1 스크류(86)의 최하점과, 변부(77a2)의 상방에 위치하는 정점, 즉 클리닝 부재(77)(고무 블레이드(77a))의 상방으로 노출된 면의 최하점과의 사이의 영역을, 영역 G라고 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직 하방으로부터 순서대로, 제1 평면(71w1)과, 접합점(71w3)과, 제2 평면(71w2)를 갖고, 제1 평면(71w1)과 제2 평면(71w2)을 접합하는 접합점(71w3)을 영역 G에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벽면(71w)을 따른 토너의 흐름의 손실을 억제하고 제1 스크류(86)에 접근함과 함께, 영역 J의 토너가 흐르는 유로를 넓힐 수가 있기 때문에, 벽면(71w)을 따라 제1 스크류(86)로 향하는 토너의 반송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역 J는, 변부(77a2)보다 연직 하방이고 또한, 클리닝 부재(77)와 감광체 드럼의 접촉부(101)보다 연직 상방의 영역이다.
또한 예각(71w2t)은, 45°에서 8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각(71w2t)을 45° 이상으로 마련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토너가 벽면(71w)으로부터 받는 항력의 연직 방향(M 방향)의 성분을, 수평 방향(N 방향)의 성분 이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2 평면(71w2)으로부터 받는 항력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예각(71w2t)을 84° 이하로 함으로써, 토너가 예각(71w2t)으로부터 받는 항력의 수평 방향(N 방향)의 성분을, 연직 방향(M 방향)의 성분의 10% 이상의 크기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벽면(71w)에 의해 토너를 제1 스크류(86)에 충분히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배치 관계 및 벽면(71w)의 형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부에 당해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전역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배치 관계 및 벽면(71w)의 형상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기능,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본 발명의 범위를 그러한 것만으로 한정하려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변형예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부재의 배치 관계 및 벽면(71W)의 형상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일부에 제공됨으로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전역에 제공되는 것이라도 좋고, 보다 확실하게 그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변형예 2)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 반송 부재로서 제1 스크류(86), 제2 스크류(87)를 이용하는 기구를 설명하였지만, 현상제 반송 부재는 스크류로 한정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축에 대해서 가요성 시트를 설치하고, 지름 방향으로 현상제를 반송하는 현상제 반송 부재여도 좋다.
(변형예 3)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스크류 부재에 관한 구성은, 폐토너 반송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현상 장치에 있어서의 현상제의 반송에 이용해도 좋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담지체로서 현상제 상을 담지하는 상 담지체인 드럼(62)을 갖고, 드럼(62)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가 클리닝 부재(77)인 클리닝 장치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담지체로서 드럼(62)에 공급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현상 롤러(32)를 갖고, 현상 롤러(32)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가 현상 블레이드(42)이며, 반송 장치가 현상제를 수용부로부터 현상 롤러(32)로 반송하는 현상 장치여도 좋다. 이 경우, 드럼(62)에 접촉하는 시트 부재(드럼 접촉 시트(65))에 상당하는 시트 부재가, 현상 롤러(32)에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삽입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드럼(62)을 포함하고, 상기 반송 장치와, 상기 클리닝 장치, 상기 현상 장치 중에서 적어도 1개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 하여도 좋다.
(변형예 4)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삽입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었지만,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이라도 좋다.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들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등가의 구조 그리고 기능을 아우르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 현상제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로서,
상 담지체에 접하여, 상기 상 담지체 상의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 부재와;
제거된 상기 현상제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현상제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부재와;
상기 상 담지체와 접하는 시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벽면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과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 상기 시트 부재가 제공되는 측에 위치하고,
상기 벽면은, 벽면의 연직 상방이 됨에 따라 상기 직선에 가까워지고,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와 접하는 위치의 연직 상방에 제공되고,
상기 반송 부재의 회전 방향과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이 동일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연직 하방으로부터 제1 평면과 제2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 각각은, 벽면의 연직 상방이 됨에 따라 상기 직선에 가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과 수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은,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수평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평면은, 수평면과 이루는 각이 45°내지 8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제1 평면과 상기 제2 평면이 서로 접합되는 접합점을 갖고,
상기 접합점은,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의 최하점과, 상기 클리닝 부재의 연직 상방으로 노출된 면의 최하점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제공된 나선형(helical)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스크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개구부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가 형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위치가,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위치보다 연직 하방의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위치가, 상기 상 담지체의 연직 상방의 정점 위치보다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방향 상류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클리닝 부재로부터 상기 시트 부재의 측으로 향하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 하방이 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부재는,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클리닝 부재가 접하는 위치를 연직 상방으로 평행 이동시켰을 때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은, 상기 수용부를 구비하는 프레임의 벽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삽입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상 담지체와,
제1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 담지체에 공급하는 현상제를 담지하는 현상제 담지체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 담지체와,
제1항에 기재된 반송 장치와,
상기 상 담지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노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반송 장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 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지 않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5099904 | 2015-05-15 | ||
JPJP-P-2015-099904 | 2015-05-15 | ||
JP2016078267A JP6723800B2 (ja) | 2015-05-15 | 2016-04-08 | 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JPJP-P-2016-078267 | 2016-04-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4491A true KR20160134491A (ko) | 2016-11-23 |
KR101985572B1 KR101985572B1 (ko) | 2019-06-03 |
Family
ID=5575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0090A KR101985572B1 (ko) | 2015-05-15 | 2016-04-25 |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007225B2 (ko) |
EP (1) | EP3093716B1 (ko) |
KR (1) | KR101985572B1 (ko) |
CN (1) | CN106154796B (ko) |
RU (1) | RU2638905C2 (ko) |
SG (1) | SG10201603586R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9050B1 (ko) | 2017-12-13 | 2023-02-14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카트리지 |
PL3982202T3 (pl) | 2019-09-17 | 2024-01-22 | Canon Kabushiki Kaisha | Wkład z tonerem i urządzenie tworzące obraz |
JP2023010003A (ja) * | 2021-07-08 | 2023-01-20 |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 | フレームに対して付勢される弾性板状部材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0048A (en) * | 1997-03-21 | 1999-03-30 | Minolta Co., Ltd. | Cleaning device |
JP2001222199A (ja) * | 2000-02-10 | 2001-08-17 | Toshiba Tec Corp |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
US20020110748A1 (en) * | 2000-12-11 | 2002-08-15 | Takeo Oshiba | Image forming method |
JP2006139084A (ja) * | 2004-11-12 | 2006-06-01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70689A (en) * | 1981-06-02 | 1984-09-11 | Canon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
JPH06317960A (ja) | 1993-04-28 | 1994-11-15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 |
JPH06317953A (ja) | 1993-04-28 | 1994-11-15 | Canon Inc | フレーム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
JPH06314001A (ja) | 1993-04-28 | 1994-11-08 | Canon Inc | ギア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JPH06317954A (ja) | 1993-04-28 | 1994-11-15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の組み立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及び外装カバーの取り付け方法 |
JPH10312142A (ja) | 1997-05-14 | 1998-11-24 | Ricoh Co Ltd |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
JP2000235336A (ja) * | 1999-02-16 | 2000-08-29 | Konica Corp | 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装置 |
JP4357774B2 (ja) * | 2001-09-20 | 2009-11-04 | 京セラミタ株式会社 |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2005301019A (ja) | 2004-04-14 | 2005-10-27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画像形成装置 |
US7979006B2 (en) * | 2005-02-28 | 2011-07-12 |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movable cartridge |
JP4623102B2 (ja) * | 2008-02-05 | 2011-02-0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100899350B1 (ko) * | 2008-02-22 | 2009-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현상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현상장치의토너공급방법 |
JP2011007822A (ja) * | 2009-06-23 | 2011-01-13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2012208276A (ja) | 2011-03-29 | 2012-10-25 | Fuji Xerox Co Ltd | 画像形成装置 |
JP6066841B2 (ja) | 2012-09-10 | 2017-0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6033103B2 (ja) | 2013-01-25 | 2016-11-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2016
- 2016-04-18 EP EP16165718.4A patent/EP3093716B1/en active Active
- 2016-04-25 KR KR1020160050090A patent/KR10198557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28 RU RU2016116783A patent/RU2638905C2/ru active
- 2016-05-03 US US15/144,978 patent/US10007225B2/en active Active
- 2016-05-06 SG SG10201603586RA patent/SG10201603586RA/en unknown
- 2016-05-06 CN CN201610296603.XA patent/CN106154796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90048A (en) * | 1997-03-21 | 1999-03-30 | Minolta Co., Ltd. | Cleaning device |
JP2001222199A (ja) * | 2000-02-10 | 2001-08-17 | Toshiba Tec Corp |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
US20020110748A1 (en) * | 2000-12-11 | 2002-08-15 | Takeo Oshiba | Image forming method |
JP2006139084A (ja) * | 2004-11-12 | 2006-06-01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007225B2 (en) | 2018-06-26 |
RU2638905C2 (ru) | 2017-12-18 |
SG10201603586RA (en) | 2016-12-29 |
EP3093716A1 (en) | 2016-11-16 |
EP3093716B1 (en) | 2020-09-30 |
KR101985572B1 (ko) | 2019-06-03 |
CN106154796B (zh) | 2020-10-23 |
RU2016116783A (ru) | 2017-11-02 |
CN106154796A (zh) | 2016-11-23 |
BR102016010192A2 (pt) | 2016-11-16 |
US20160334753A1 (en) | 2016-1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4305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7454098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KR102094580B1 (ko) | 카트리지 | |
JP4635701B2 (ja) |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KR101985572B1 (ko) |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6667249B2 (ja) | カートリッジ | |
US9857767B2 (en) |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06814575B (zh) | 盒与成像设备 | |
JP646825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6723800B2 (ja) | 搬送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6765806B2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離間部材 | |
JP6887792B2 (ja) |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JP6381378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CN107340702B (zh) | 盒与成像装置 | |
JP7451080B2 (ja) | 画像形成装置で用いるカートリッジ | |
JP2018084706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
JP2017223770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1085994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6218134A (ja) |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17076013A (ja) |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