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580B1 -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580B1
KR102094580B1 KR1020170007254A KR20170007254A KR102094580B1 KR 102094580 B1 KR102094580 B1 KR 102094580B1 KR 1020170007254 A KR1020170007254 A KR 1020170007254A KR 20170007254 A KR20170007254 A KR 20170007254A KR 102094580 B1 KR102094580 B1 KR 102094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blade
rotating body
cartrid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409A (ko
Inventor
고 도리이
나오야 아사누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8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transversely- moving carri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6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 G03G15/0898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developer unit or parts thereof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5/08 - G03G15/0894 for preventing toner scattering during operation, e.g. se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lateral sealing at both sides of the donor member with respect to the developer carrying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카트리지는 프레임; 현상제를 담지하기 위한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부재;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1 밀봉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표면을 갖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밀봉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한다. 제1 밀봉 부재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에 개재된 부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트리지 {CARTRIDGE}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의 사용을 위한 카트리지 및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과 감광체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수단을 카트리지(유닛)로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준비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방식의 감광체 드럼과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현상 수단, 대전 수단 및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카트리지로 일체로 조립함으로써 준비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LED프린터, 레이저 빔 프린터 등), 팩시밀리 장치, 워드 프로세서 등이 포함된다.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화상 담지체로서 일반적으로 드럼형의 감광체 드럼이 전기적으로 균등하게 대전된다. 다음으로, 대전된 감광체 드럼이 선택적으로 노광됨으로써, 정전 잠상(정전 화상)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감광체 드럼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 롤러상에 담지된 현상제로서의 토너에 의해 토너 화상으로 현상된다. 그 후, 토너 화상은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기록 시트 또는 플라스틱 시트와 같은 기록재 상으로 전사되고, 그 후 기록재상에 전사된 토너에 열과 압력이 가해져서, 토너 화상이 기록재상에 정착되어 화상 기록이 행해진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일반적으로 토너 보급과 각종 프로세스 수단의 유지 보수를 필요로 한다. 토너 보급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감광체 드럼, 대전 수단, 현상 수단, 클리닝 수단 등이 프레임 내의 카트리지 (유닛)으로 일체로 조립되고,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사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실용화되었다.
이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화상 형성 장치의 유지 보수가 사용자 스스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어, 사용성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감광체 드럼 또는 현상 롤러와 같은 회전체에 접하는 블레이드의 각 단부에 있는 토너 밀봉 구성으로서, 단부 밀봉 부재가 블레이드의 에지부에 접촉되는 구성이 일본 특허 3093918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블레이드의 단부에서, 블레이드와 단부 밀봉 부재 사이의 경계로부터의 토너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 블레이드와 프레임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블레이드 밀봉 부재(제1 밀봉 부재)의 근방에서 토너가 누출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제1 밀봉 부재와 제2 밀봉 부재 사이의 경계에서 제1 밀봉 부재와 제2 밀봉 부재를 서로 강하게 밀착시킴으로써 토너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가 제공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프레임; 현상제를 담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부재;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접촉하도록,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는 제1 밀봉 부재; 상기 제1 밀봉 부재와 접촉하는 제1 표면을 갖도록,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제공되는 제2 밀봉 부재; 및 상기 프레임 상에 제공되며, 상기 제1 밀봉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밀봉 부재는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에 개재된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에서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단부 밀봉 부재와 그 근방을 각각 나타내는 분해도.
도 1b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카트리지의 단부 밀봉 부재 부착부를 나타내는, 도 14의 D-D 단면의 단면도.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의 클리닝 프레임의 내부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후 트레이가 꺼내어진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장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폐 도어가 개방된 후 트레이가 꺼내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가 트레이에 착탈될 때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사이의 구동측 위치 결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사이의 비구동측 위치 결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 내지 13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를 각각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에서,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의 현상 롤러 주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상세도.
도 15에서, (a) 및 (b)는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의 현상 롤러 주변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분해도.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에서, 단부 밀봉 부재와 그 근방을 나타내는, 도 1a의 A-A 단면의 단면도.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에서, 단부 밀봉 부재와 그 근방을 나타내는, 도 1a의 A-A 단면의 단면도.
도 18에서, (a) 및 (b)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카트리지에서 단부 밀봉 부재와 그 근방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분해도.
실시형태의 설명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화상 형성 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장착 가능한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 B라고 칭함)는 감광체 드럼과 같은 화상 담지체를 적어도 포함하는, 나아가 화상 담지체와 화상 담지체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을 일체적으로 포함하는 카트리지이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이하, 장치 본체 A라고 칭함)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카트리지 B를 제외함으로써 얻어진 부분이다. 이러한 카트리지 B는 장치 본체 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교체된다.
도 2에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전자 사진 기술을 이용한 레이저 빔 프린터이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감광체 드럼의 회전 축선 방향은 길이 방향이다. 또한, 길이 방향에 대해서, 감광체 드럼이 장치 본체 A로부터 구동력을 받는 측이 구동측이고, 그 반대측이 비구동측(non-driving side)이다. 전체 구성 및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도 2 및 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1) 전체 구성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에 장착되었을 때, 감광체 드럼(이하, 드럼이라고 칭함)(62)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디바이스(레이저 스캐너 유닛)(3)가 제공된다. 또한, 카트리지 B의 아래쪽에, 화상 형성의 대상이 되는 기록재(이하, 시트재라고 칭함) P가 수납되는 시트 (반송) 트레이(4)가 제공된다.
또한, 장치 본체 A에는, 시트재 P의 반송 방향 D를 따라,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반송 롤러쌍(5c), 전사 가이드(6), 전사 롤러(7), 급송 가이드(8), 정착 디바이스(9), 배출 롤러쌍(10), 배출 트레이(11) 등이 차례로 제공된다. 정착 디바이스(9)는 가열 롤러(9a) 및 가압 롤러(9b)로 구성된다.
2) 화상 형성 프로세스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개략을 설명한다. 인쇄 개시 신호에 기초하여, 드럼(62)은 화살표 R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주속(peripheral speed)(프로세스 속도)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드럼(62)의 외주면을 균등하게 대전시킨다.
노광 디바이스(3)는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 광 L을 출력한다. 레이저 광 L은 클리닝 프레임(71)에 제공된 레이저 개구(71h)를 통과하며, 이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이 스캐닝 노광된다. 그 결과, 드럼(62)의 외주면에는, 화상 정보에 따른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한편, 현상 디바이스로서의 현상 유닛(20)에서, 토너실(29) 내의 토너 T는 제1 반송 부재(43), 제2 반송 부재(44) 및 제3 반송 부재(50)의 회전에 의해서 교반 및 반송되어, 토너 공급실(28)로 보내어진다. 토너 T는 현상제 회전체로서의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자석 롤러(34)(고정 자석)의 자력에 의해 담지된다.
토너 T는 블레이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42)에 의해 마찰 대전되면서 현상 롤러(32)의 주위면 상의 층 두께가 규제된다. 토너 T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고, 정전 잠상을 토너 화상으로 가시화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광 L의 출력 타이밍에 동기화하여, 픽업 롤러(5a), 급송 롤러쌍(5b) 및 반송 롤러쌍(5c)에 의해 장치 본체 A의 하부에 제공된 시트 트레이(4)에 수납된 시트재 P가 시트 트레이(4)로부터 반송된다. 그 후, 시트재 P가 전사 가이드(6)를 경유하여 드럼(62)과 전사 롤러(7) 사이의 전사 위치로 반송된다. 이러한 전사 위치에서, 토너 화상은 드럼(62)으로부터 시트재 P 상으로 차례로 전사된다.
토너 화상이 전사된 시트재 P는 드럼(62)으로부터 분리된 후 반송 가이드(8)를 따라 정착 디바이스(9)로 반송된다. 그 후, 시트재 P는 정착 디바이스(9)를 구성하는 가열 롤러(9a)와 가압 롤러(9b) 사이의 닙(nip)부를 통과한다. 이러한 닙부에서, 가압 및 가열 정착 프로세스가 실시되어, 토너 화상이 시트재 P에 정착한다. 토너 화상이 정착되는 시트재 P는 배출 롤러쌍(10)으로 반송된 후, 배출 트레이(11)상으로 배출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너 화상 전사 후의 드럼(62)은, 클리닝 블레이드(77)에 의해 드럼(62)의 외주면의 잔류 토너가 제거된 후 다시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사용된다. 드럼(62)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토너는 클리닝 유닛(60)의 잔류 토너실(71b)에 저장된다.
위에서 대전 롤러(66), 현상 롤러(32), 전사 롤러(7) 및 클리닝 블레이드(77)가 드럼(62)에 작용 가능한 프로세스 수단이다.
(카트리지의 착탈)
다음으로, 카트리지 B의 착탈을 도 5 및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카트리지 B의 착탈을 허용하기 위해 개폐 도어(13)가 개방되는 장치 본체 A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카트리지 B의 착탈을 허용하기 위해 개폐 도어(13)가 개방된 후 트레이(18)가 꺼내어진 상태에서의 장치 본체 A와 카트리지 B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개폐 도어(13)가 개방된 후 트레이(18)가 꺼내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 B가 착탈될 때의 장치 본체 A 및 카트리지 B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 카트리지 B는 착탈 방향 E를 따라 트레이(18)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에는 개폐 도어(1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폐 도어(13)가 개방될 때 카트리지 삽입 개구(17)가 노출된다. 카트리지 삽입 개구(17) 내에는, 카트리지 B를 장치 본체 A에 장착하기 위한 트레이(18)가 제공된다. 트레이(18)가 미리 정해진 위치까지 꺼내어질 때, 카트리지 B가 착탈 가능하다. 카트리지 B는, 카트리지 B가 트레이(18)상에 놓인 상태에서 화살표 C 방향(도 6)으로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장치 본체 A에 장착된다.
도 8에서, 제1 커플링(70) 및 제2 커플링(21)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 구동축(14) 및 제2 구동축(19)이 각각 제공된다. 제1 구동축(14) 및 제2 구동축(19)은 장치 본체 A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된다. 그 결과, 제1 커플링(70)에 연결된 드럼(62)이 장치 본체 A로부터 구동력을 받고 회전한다. 현상 롤러(32)는 제2 커플링(21)으로부터의 구동력의 전달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대전 롤러(66) 및 현상 롤러(32)에는 장치 본체 A의 급전부(미도시)에 의해 전력이 공급된다.
(카트리지의 지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 본체 A에는 카트리지 B을 지지하기 위한 구동(측) 판(15)과 비구동(측) 판(16)이 제공된다. 구동(측) 판(15)에는 구동측 제1 지지부(15a), 구동측 제2 지지부(15b) 및 카트리지 B에 대한 회전 지지부가 제공된다. 비구동(측) 판(16)에는 비구동(측) 제1 지지부(16a), 비구동측 제2 지지부(16b) 및 카트리지 B에 대한 회전 지지부(16c)가 제공된다.
한편, 카트리지 B의 피지지부로서, 드럼 베어링(73)의 피지지부(73b) 및 피지지부(73d), 클리닝 프레임(71)의 구동측 보스(71a), 비구동측 돌출부(71f) 및 비구동측 보스(71g)가 제공된다. 피지지부(73b)는 구동측 제1 지지부(15a)에 의해 지지되고, 피지지부(73d)는 구동측 제2 지지부(15b)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측 보스(71a)는 회전 지지부(15c)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비구동측 돌출부(71f)는 비구동측 제1 지지부(16a)와 비구동측 제2 지지부(16b)에 의해 지지되고, 비구동측 보스(71g)는 회전 지지부(16c)에 의해 지지되어, 카트리지 B가 장치 본체 A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카트리지의 전체 구성)
카트리지 B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3, 4 및 10 내지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카트리지 B의 단면도이고, 도 10 내지 13은 카트리지 B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카트리지 B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및 13은 도 10 및 12의 점선으로 된 원형부를 상이한 각도로 보았을 때를 각각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에서, (a)는 현상 롤러(32)와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4의 (a)의 C-C 단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부품을 결합하는 스크류를 생략하고 설명한다.
카트리지 B는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포함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은 결합 핀(69)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클리닝 유닛(60)은 드럼(62)과, 드럼(6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드럼 베어링(73) 및 드럼 축(78)과,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와, 이러한 부재들을 지지하는 클리닝 프레임(71)과, 클리닝 프레임(71)에 고정된 덮개 부재(72)를 포함한다.
드럼(62)은 구동원으로서의 본체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받음으로써, 화상 형성 동작에 따라 도 3의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측에서, 드럼(62)은, 구동측에 제공된 구동측 드럼 플랜지(63)가 드럼 베어링(73)에 제공된 홀(73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방식으로 회전 지지된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구동측에서, 클리닝 프레임(71)에 제공된 홀(71c)에 압입된 드럼 축(78)이 비구동측 드럼 플랜지(64)에 제공된 홀(64a)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클리닝 유닛(60)에서, 대전 롤러(66)와 클리닝 부재(77)의 각각은 감광 드럼(62)의 외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대전 롤러(66)는 클리닝 프레임(71)의 길이 방향(드럼(62)의 회전 축선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 에 대하여 각 단부측에서 대전 롤러 베어링(67)을 통해 클리닝 유닛(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대전 롤러(66)는, 대전 롤러 베어링(67)을 가압 부재(68)에 의해 드럼(62)을 향해 가압함으로써 드럼(62)에 압접된다. 대전 롤러(66)는 드럼(6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클리닝 부재(77)는 탄성 부재로서의 고무로 형성된 블레이드 형상의 탄성 부재인 고무 블레이드(77a)와, 고무 블레이드(77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77b)를 포함한다. 고무 블레이드(77a)는 드럼(62)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드럼(62)에 접촉한다. 즉, 고무 블레이드(77a)는, 그 자유 단부가 드럼(6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상류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드럼(62)에 접촉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프레임(71)으로부터 잔류(폐)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리셉터 시트(receptor sheet)(65)가 드럼(62)에 접촉하도록 클리닝 프레임(71)에 제공된다.
도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77)에 의해 드럼(62)의 표면에서 제거된 잔류 토너는 잔류 토너 반송 부재로서 사용되는 제1 스크류(86), 제2 스크류(87) 및 제3 스크류(88)에 의해 반송된다. 그 후, 잔류 토너는 클리닝 프레임(71)과 덮개 부재(72)에 의해 형성된 잔류 토너실(71b)에 축적된다.
구체적으로, 제1 스크류(86)는 (미도시한) 기어에 의해 도 13에 나타낸 커플링(21)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제2 스크류(87) 및 제3 스크류(88)는 제1 스크류(86) 및 제2 스크류(87)로부터 각각 구동력을 받아 회전된다. 제1 스크류(86)는 드럼(62)의 근방에 배치되고, 제2 스크류(87)는 길이 방향에 대하여 클리닝 프레임(71)의 단부에 배치되고, 제3 스크류(88)는 잔류 토너실(71b)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스크류(86) 및 제3 스크류(88)의 회전 축선(축)은 드럼(62)의 회전 축선(축)과 평행하고, 제2 스크류(87)의 회전 축선(축)은 드럼(62)의 회전 축선에 직교한다. 그 결과, 드럼(62)의 표면에서 제거된 잔류 토너는 순차적으로 제1 스크류(86), 제2 스크류(87) 및 제3 스크류(88)에 의하여 잔류 토너실(71b)로 반송된다.
한편, 현상 유닛(20)은 도 3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현상 롤러(32)와, 현상 블레이드(42)와, 구동측 현상 측판(26)과, 누출 방지 시트(33)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고정된 바닥 부재(22) 등을 포함한다.
현상 롤러(32)는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의 단부들에 제공된 베어링 부재(27, 37)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장착된다. 현상 롤러(32)는 도 3의 화살표 S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현상 롤러(32)의 내부에는, 자석 롤러(34)가 제공된다. 현상 유닛(20)에서, 현상 롤러(32) 상의 토너층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고정된다. 그 결과, 자석 롤러(34)의 자력에 의한 현상 롤러(32)의 표면에 담지된 토너의 층 두께는 현상 블레이드(42)와 현상 롤러(32) 사이의 접촉부에서 규제되고, 토너는 도 14의 (b)에 나타내는 현상 롤러(32)의 표면 상의 영역 K에서 담지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20)으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누출 방지 시트(33)가 현상 롤러(32)와 접촉하도록 바닥 부재(22)에 제공된다. 누출 방지 시트(33)는 현상 롤러(32)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영역 K의 하류에 제공되고 현상 롤러(32)와 접촉하여, 누출 방지 시트(33)는 현상 롤러 회전 방향에 대하여 하류 측으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을 방지한다.
또한, 케이싱을 구성하는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바닥 부재(22)에 의해 형성된 토너실(29) 내에 제1 내지 제3 반송 부재(43, 44, 50)가 제공된다. 제1 내지 제3 반송 부재(43, 44, 50)는 토너실(29)에 수용된 토너를 교반할 뿐만 아니라 개구부(31)를 통해 토너 공급실(28)로 토너를 반송한다.
카트리지 B는 도 10 및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을 결합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현상-제1 지지 홀(23a) 및 현상-제2 지지 홀(23b)이 현상 유닛(20)의 길이 방향의 단부들에 있는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 상에 형성된 부재들에 제공된다. 또한, 클리닝 유닛(60)의 길이 방향의 단부들에는, 제1 현수 홀(hanging hole)(71i) 및 제2 현수 홀(71j)이 클리닝 프레임(71) 상에 형성된 부재들에 제공된다. 제1 현수 홀(71i) 및 제2 현수 홀(71j)에 압입 고정된 결합 핀(69)과 제1 지지 홀(23a) 및 제2 지지 홀(23b)의 결합에 의해, 클리닝 유닛(60)과 현상 유닛(20)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구동측 가압 부재(46R)의 제1 홀(46Ra)은 드럼 베어링(73)의 보스(73c)에 걸리고, 구동측 가압 부재(46R)의 제2 홀(46Rb)은 구동측 현상 측면 부재(26)의 보스(26a)에 걸린다. 또한, 비구동측 가압 부재(46F)의 제1 홀(46Fa)은 클리닝 프레임(71)의 보스(71k)에 걸리고, 비구동측 가압 부재(46F)의 제2 홀(46Fb)은 베어링 부재(37)의 보스(37a)에 걸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측 가압 부재(46R)와 비구동측 가압 부재(46F) 각각이 인장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현상 유닛(20)이 이러한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 클리닝 유닛(60)을 향해 가압되어, 현상 롤러(32)는 확실하게 드럼(62)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현상 롤러(32)의 단부들에 제공된 갭 유지 부재(38)의 드럼(62)과의 접촉에 의해, 현상 롤러(32)는 갭 유지 부재(38) 사이의 영역에서 드럼(62)과 미리 정해진 미세한 갭으로 유지된다.
(현상 블레이드 주변의 토너 밀봉 구성)
다음으로, 현상 블레이드(42) 주변의 토너 밀봉 구성에 대해 도 1a, 1b 및 14 내지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반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현상 롤러(32)(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블레이드 부재와 접촉하여 현상제를 밀봉하기 위한 블레이드 밀봉 부재(제1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또한,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한 블레이드의 단부들 각각뿐만 아니라 블레이드 밀봉 부재와도 접촉하여 현상제를 밀봉하기 위한 단부 밀봉 부재(제2 밀봉 부재)가 제공된다.
1) 블레이드 밀봉 부재(56)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예를 들어,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 상에 제공되는 베어링 표면(24) 상에 용융된 고온 용융 수지 재료와 같은 액상 수지 재료가 도포되어 형성된다.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의 형성 후에 현상 블레이드(42)가 장착되어, 블레이드 밀봉 부재(56)가 현상 블레이드(42)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접촉하여 토너를 밀봉하도록 배치된다. 즉,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현상 블레이드(42)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되어,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 즉 현상 블레이드(4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봉으로서 현상 블레이드(42)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 사이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을 억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로서, 고온 용융 수지 재료가 예로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엘라스토머(elastomer) 수지 재료 또는 우레탄 폼(urethane foam)으로 형성된 탄성 부재일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로서, 예를 들어 펠트(felt), 엘라스토머, 고무 또는 우레탄 폼이 사용되어 유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2) 단부 밀봉 부재(55)
도 1a는 단부 밀봉 부재(55) 주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에서, (a)는 도 14에 나타낸 구성에서 현상 블레이드(42)와 현상 롤러(32)가 제거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는 단부 밀봉 부재(55)가 부착되는 베어링 표면(30)이 제공되고, 단부 밀봉 부재(55)가 베어링 표면(30)에 부착된다.
이렇게 도 1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현상 롤러(32)의 각 단부에는, 펠트 등으로 형성된 단부 밀봉 부재(55)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제공된다. 현상 롤러(32)가 베어링 부재(37)를 통해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 단부 밀봉 부재(55)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현상 롤러(32) 사이에 개재된다. 그 결과,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현상 롤러(32)의 각 단부에서, 현상 롤러(32)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 사이로부터의 토너 누출이 방지된다.
도 15는, 현상 롤러(32)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 밀봉 부재(55)는 현상 블레이드(42)의 대향 단부면(42a)과 미세한 갭을 갖는 위치에 부착된다. 그 후, 현상 롤러(32)(도 15에 미도시)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고, 베어링 부재(37)가 현상 롤러(32)의 단부로부터 중앙부를 향해 F 방향으로 삽입된다. 베어링 부재(37)는, 베어링 부재(37)의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면(37b)이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 단부면(23c)에 접할 때까지 삽입된다.
이 때, 베어링 부재(37)의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면(37b)이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 단부면(23c)에 접하기 전에, 베어링 부재(37)에 형성된 가압부(37a)가 단부 밀봉 부재(55)의 단부(면)(55a)에 접촉한다. 베어링 부재(37)가 더욱 삽입되면, 단부 밀봉 부재(55)의 단부(55a)가 가압부(37a)로부터 F 방향으로 가압력을 받아, 단부 밀봉 부재(55)가 현상 블레이드(42)를 향해 가압된다.
도 15에서, (b)는 베어링 부재(37)가 F 방향으로 삽입된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베어링 부재(37)의 길이 방향의 위치 결정면(37b)이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 단부면(23c)에 접할 때까지 삽입되면, 단부 밀봉 부재(55)의 단부(면)(55b)가 현상 블레이드(42)의 단부면(42a)에 접촉한다. 그 결과, 현상 블레이드(42)와 단부 밀봉 부재(55) 사이의 경계로부터의 토너의 누출이 방지된다.
3) 단부 밀봉 부재(55)와 블레이드 밀봉 부재(56) 사이의 경계에서의 상세한 구성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단부 밀봉 부재(55)는,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도록 연장하고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와 대향하며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와 접촉면을 구성하는 경사면(제1 표면)(55c)을 갖는다. 한편,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은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단부 밀봉 부재(55)의 경사면(55c)의 근방에서 단부 밀봉 부재(55)의 경사면(55c)과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면(25a)(제2 표면)을 갖는 벽(25)을 포함한다. 도 1a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55c)과 표면(25a)의 각각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도 1a의 (b)를 참조하여,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과 벽(25)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에서 (b)는 도 1a의 (a)의 A-A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서의 단부 밀봉 부재(55)의 부착부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표면(24) 상에는 벽(25)이 제공된다. 벽(25)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과 중첩되는 영역 I를 포함한다. 즉,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에 대향하는 위치에 벽(25), 즉 표면(25a)이 제공된다. 도 1a에서, (c)는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도 1a의 (a)의 B-B 방향을 따라 절단된 단면에서의 단부 밀봉 부재(55)의 부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a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단부 밀봉 부재(55), 블레이드 밀봉 부재(56) 및 벽(25)(표면(25a))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베어링 표면(24)에 고온 용융 수지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블레이드 밀봉 부재(56)가 형성되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벽(25)에 의해, 고온 용융 재료의 주입 중에 고온 용융 수지 재료가 베어링 표면(24)을 넘어 화살표 G 방향으로 고온 용융 수지 재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온 용융 수지 재료가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과 벽(25)의 표면(25a) 사이에 축적되어, 블레이드 밀봉 부재(56)가 형성되므로,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은 이들 사이에 갭을 두지 않고 서로 밀착 접촉한다. 그 결과, 단부 밀봉 부재(55)와 블레이드 밀봉 부재(56) 사이의 경계에서의 토너 밀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의 단부가 표면(55c)에 접촉하는 구성이 채용된다.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조립될 때,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화살표 J 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조립된다. 현상 블레이드(42)가 조립된 후의 상태가 도 17에 나타내어진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블레이드(42)가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과 조립되어,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도 16에 나타낸 두께 t1로부터 도 17에 나타낸 두께 t2까지 압축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25)이 베어링 표면(24)에 비해 현상 블레이드(42)를 향해 돌출되지만, 현상 블레이드(42)와 접촉하지 않는다.
이 때, 압축된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벽(25)에 의해 도 1a의 (a)의 화살표 G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도 1a의 (a)의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때, 연장된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에 의해 수용되므로, 블레이드 밀봉 부재(56)는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에 강하게 밀착된다. 그 결과, 단부 밀봉 부재(55)와 블레이드 밀봉 부재(56) 사이의 경계에서의 토너 밀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도 1a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25)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에 대향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 때문에, 단부 밀봉 부재(55)의 단부(55a)가 가압부(37a)로부터의 화살표 F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받으면, 블레이드 밀봉 부재(56)가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c)과 벽(25) 사이에 개재된다. 이에 의해, 단부 밀봉 부재(55)는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와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토너 밀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b는 단부 밀봉 부재(55)가 포함되는, 도 14의 D-D 단면의 단면도이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37a)가 단부 밀봉 부재(55)를 가압하는 영역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현상 블레이드(42)와 중첩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그 결과, 단부 밀봉 부재(55)의 표면(55b)이 현상 블레이드(42)의 단부면(42a)에 확실히 접촉된다.
또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가압부(37a)는 현상 블레이드(42)의 장착 베어링 표면(35)을 피하면서 단부 밀봉 부재(55)의 경사면(55c)에 근접한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단부 밀봉 부재(55)가 블레이드 밀봉 부재(56)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토너 밀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밀봉 부재와 제2 밀봉 부재가 이들 사이의 경계에서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토너 밀봉력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는 다른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르게 특정하지 않는 한, 구성 요소의 재료, 형상 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 또는 기호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블레이드 밀봉 부재(57)는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교차하도록 연장되고 단부 밀봉 부재(155)와 대향되는 단부 밀봉 부재(155)와의 접촉면을 구성하는 표면(제1 표면)(155c)을 갖는다. 한편,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은 블레이드 밀봉 부재(57)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해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의 근방에,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과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평행인 표면(제2 표면)을 갖는 벽(125)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8의 (b)를 참조하여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과 벽(125)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서, (b)는 도 18의 (a)의 E-E 단면에서의 단부 밀봉 부재(155)의 부착부의 단면도이다.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현상 디바이스 프레임(23)에 제공된 벽(125)과 중첩하는 영역 I를 포함한다. 즉,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에 대향하는 위치에 벽(125)이 제공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단부 밀봉 부재(155)는 베어링 부재(37)에 제공된 가압부(37a)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42)를 향해 가압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42)와 단부 밀봉 부재(155) 사이의 경계를 밀봉한다. 또한, 도 1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125)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하여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에 대향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 때문에, 단부 밀봉 부재(155)의 단부(155a)가 가압부(37a)로부터의 화살표 F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받으면, 블레이드 밀봉 부재(57)가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과 벽(125) 사이에 개재된다.
그 결과, 단부 밀봉 부재(155)는 블레이드 밀봉 부재(57)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토너 밀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압부(37a)가 단부 밀봉 부재(155)를 가압하는 영역은 현상 롤러(32)의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 현상 블레이드(42)와 중첩하는 영역에 제공된다. 그 결과, 가압부(37a)는 단부 밀봉 부재(155)의 표면(155c)에 근접하는 영역을 가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부 밀봉 부재(155)는 블레이드 밀봉 부재(57)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어, 토너 밀봉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변형 실시 형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성의 다양한 변형 및 변화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
(변형 실시 형태 1)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체로서의 현상 롤러(32)와 블레이드 부재로서의 현상 블레이드(42)를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동일한 토너 밀봉 구성이 회전체로서 드럼(62)이 사용되고 블레이드 부재로서 클리닝 블레이드(77)가 사용되는 구성에 적용될 수도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77)는 드럼(62)의 표면에 부착된 토너 또는 종이 가루(파우더)와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도 3에 나타낸 현상 유닛(20) 및 클리닝 유닛(60)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일 수 있고, 현상 유닛(20) 및 클리닝 유닛(6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일 수도 있다. 그 경우, 현상 유닛(20)만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서는, 본 발명은 회전체로서 현상 롤러(32)만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부재로서 현상 블레이드만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리닝 유닛(60)만을 포함하는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본 발명은 회전체로서 감광체 드럼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부재로서 클리닝 블레이드만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현상 유닛(20) 및 클리닝 유닛(60)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본 발명은 회전체로서 현상 롤러(32) 및 감광체 드럼을 포함하고 블레이드 부재로서 현상 블레이드 및 클리닝 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동등한 구성과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3)

  1.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로서,
    프레임;
    현상제를 담지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와 접촉하는 블레이드 부재;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블레이드 부재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1 밀봉 부재로서, 그 길이방향 단부에서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밀봉 부재; 및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교차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회전체 및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여 상기 회전체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간극을 밀봉하도록 구성된 제2 밀봉 부재로서,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상기 연장부와 접촉하는 제1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밀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으로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연장부를 가로지르는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상기 제1 표면의 반대 측에 제2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상기 제1 표면과 함께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연장부를 사이에 끼우고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부재를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연장부를 향해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봉 부재의 상기 제1 표면이 연장되는 방향과,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2 표면이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는 탄성 부재인, 카트리지.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화상 담지체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 롤러이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체 상의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인, 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감광체 드럼이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블레이드인, 카트리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담지체로서 감광체를 더 포함하는, 카트리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인, 카트리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표면이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회전체의 상기 회전 축선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인,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밀봉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표면과, 상기 베어링 표면보다 상기 블레이드 부재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2 표면이 형성되는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벽과 상기 블레이드 부재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봉 부재의 연장부는 상기 제2 밀봉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카트리지.
KR1020170007254A 2016-01-18 2017-01-16 카트리지 KR1020945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07070 2016-01-18
JP2016007070A JP6671973B2 (ja) 2016-01-18 2016-01-18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409A KR20170086409A (ko) 2017-07-26
KR102094580B1 true KR102094580B1 (ko) 2020-03-27

Family

ID=59313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254A KR102094580B1 (ko) 2016-01-18 2017-01-16 카트리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037000B2 (ko)
JP (1) JP6671973B2 (ko)
KR (1) KR102094580B1 (ko)
CN (1) CN1069802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8751B2 (en) 2018-08-29 2021-02-23 Canon Kabushiki Kaisha 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and cartridge
JP7187305B2 (ja) 2018-12-28 2022-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EP3982200B1 (en) 2019-09-17 2023-07-19 Canon Kabushiki Kaisha Toner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029770A (ja) * 2020-08-05 2022-02-18 株式会社リコー 粉体用収容ケース、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36A (ja) * 2002-03-18 2003-09-25 Fuji Xerox Co Ltd ブレード部材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91951A (ja) 2008-10-10 2010-04-22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2013029766A (ja) 2011-07-29 2013-02-07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2014081620A (ja) 2012-09-27 2014-05-08 Canon Inc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918B2 (ja) 1993-11-25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
JP3936582B2 (ja) * 2001-12-25 2007-06-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9346A (ja) * 2003-12-24 2005-07-14 Brother Ind Ltd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35701B2 (ja) 2005-04-27 2011-02-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34099A1 (en) * 2005-08-10 2007-02-15 Lexmark International, Inc. Seal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356673B2 (ja) 2005-09-28 2009-11-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剤収容ケースとそれ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と画像形成装置
JP5127584B2 (ja)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283986B2 (ja) 2008-06-20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0318B2 (ja) 2008-07-3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128780B2 (ja) * 2012-09-05 2017-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
EP3051360B1 (en) 2015-01-30 2022-05-25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23694B2 (ja) 2015-07-0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0936A (ja) * 2002-03-18 2003-09-25 Fuji Xerox Co Ltd ブレード部材の取り付け構造並びにそれを用いた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091951A (ja) 2008-10-10 2010-04-22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2013029766A (ja) 2011-07-29 2013-02-07 Brother Ind Ltd 現像装置
JP2014081620A (ja) 2012-09-27 2014-05-08 Canon Inc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37000B2 (en) 2018-07-31
JP6671973B2 (ja) 2020-03-25
JP2017129618A (ja) 2017-07-27
KR20170086409A (ko) 2017-07-26
CN106980251B (zh) 2023-09-15
US20170205764A1 (en) 2017-07-20
CN106980251A (zh)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6466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094580B1 (ko) 카트리지
JP6465631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154952A1 (en)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985572B1 (ko) 반송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EP3502782B1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33402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76035A (ja) カートリッジ
JP2021107866A (ja) 現像装置
JP663918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765806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および離間部材
JP6887792B2 (ja) 現像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7072735A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7076036A (ja) 電子写真感光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及びフランジ部材
US9513578B2 (en)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8084706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4085648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96376B2 (ja)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22377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01671A (ja) 現像装置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ブッシュ部材
JP6576100B2 (ja) 現像剤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7076013A (ja) 搬送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H10239996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