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041A -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041A
KR20160129041A KR1020167027033A KR20167027033A KR20160129041A KR 20160129041 A KR20160129041 A KR 20160129041A KR 1020167027033 A KR1020167027033 A KR 1020167027033A KR 20167027033 A KR20167027033 A KR 20167027033A KR 20160129041 A KR20160129041 A KR 2016012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ogic
signal
power supply
externa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387B1 (ko
Inventor
노부유키 나카가와
료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11/18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11/18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53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in combin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e.g. from overhead contac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05Communication inte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5/00Arrangements for supplying energy stored within a vehicle to a power network, i.e. vehicle-to-grid [V2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6Charger exchanging data with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provisions for charging different types of batteries
    • H02J7/0021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3/542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the information being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16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by adding signals to the wave form of the power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Inband 통신 ECU(32)는,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통신선 L3에 출력되는 CPLT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함으로써, Inband 통신을 실행한다. Inband 통신의 실행 중이며, 아직 배터리(12)의 충전이나 역조류 처리가 개시되기 이전에 있어서,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이상이 충전이나 역조류를 행할 수 없는 것이 아닌 한, Inband 통신을 계속하여, 데이터 이상에 의해 받는 제약의 범위에서 충전이나 역조류 처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VEHICLE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의 배터리에 대해 외부로부터 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차량과 외부의 전원 장치를 충전 케이블뿐만 아니라, 충전 제어에 사용하는 컨트롤 파일럿 신호(CPLT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선을 통해 접속하는 것이 실용화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CPLT 신호의 논리 H 및 논리 L의 주기에 대한 논리 H의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외부의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 가능한 전류의 상한값을 표현함으로써 이 상한값을 차량측에 통지함으로써, 차량에서는, 충전 전류값이 상기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충전 제어를 행한다.
또한, 상기 CPLT 신호에, CPLT 신호보다 주파수가 높은 고주파 신호를 중첩함으로써, CPLT 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보다 많은 정보를 송수신하는 Inband 통신을 행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상기 Inband 통신은, CPLT 신호의 시 비율을 「5%」로 고정한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CPLT 신호의 시 비율이 「5%」인 경우, 시 비율은, 공급 가능한 전류의 상한값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Inband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특별히 설정된 값이다.
국제 공개 제2013/129038호
상기 특허문헌 1에는,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페일 세이프 처리에 대해서는 개시가 없다. 이로 인해,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Inband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방해되거나, 충전 처리 등을 개시할 수 없게 되거나 하는 사태로 되는 것이 우려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실정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차량에 적용되고,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상에 의해 발생한 사태를 신속히 타개할 수 있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한다.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당해 전력의 수수의 준비를 하기 위한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이루어지는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당해 이상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한다.
통신의 내용에 따른 처리는, 반드시 전력의 수수를 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만은 아니다. 한편, 전력의 수수에 앞서 이루어지는 쌍방향의 통신을 중단하는 경우,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을 개연성이 높다. 이로 인해, 이상이 발생함으로써 통신을 일률 종료해 버리면, 실제로는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신을 종료함으로써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장치에서는, 이상의 내용에 따라서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있을 개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상에 의해 발생한 사태를 신속히 타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이상의 내용이, 상기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것 자체는 가능한 것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결정한다.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것 자체는 가능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까지, 쌍방향의 통신을 정지하면, 쌍방향의 통신에 기초하는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도 없게 된다. 이 점, 상기 장치에서는,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것 자체는 가능한 이상인 것을 조건으로, 쌍방향의 통신을 계속함으로써,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있을 개연성을 높일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 상기 통신의 이상의 내용에 따른 서비스 제약을 받는 범위에서 상기 전력의 수수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구비한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이상의 내용이, 상기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인 경우, 상기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결정한다.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게 되는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쌍방향의 통신을 계속하고, 쌍방향의 통신에 기초하여 전력의 수수를 개시할 수는 없다. 이 점, 상기 장치에서는,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게 되는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쌍방향의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므로, 쌍방향의 통신에 기초하는 전력의 수수를 행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전력의 수수에 관한 기기의 신뢰성의 저하를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의 전류값의 정보가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출력됨으로써, 그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통신선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취득부로 송신되는 것이며,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행해진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충전하기 위해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결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종료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행하는 충전 처리부를 구비한다.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충전하기 위해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쌍방향의 통신에 기초하는 일 없이 상기 전류값의 정보에 의해 충전을 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상황으로 신속하게 이행하는 데 있어서는,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서는, 종료 처리부에 의해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축전 장치를 충전함으로써, 쌍방향의 통신에 의존하지 않고,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축전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한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의 전류값의 정보가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출력됨으로써, 그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통신선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취득부로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행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당해 전력의 수수의 준비를 하기 위한 통신을 포함한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이루어지는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종료 처리부와,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행하는 충전 처리부를 구비한다.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라도, 쌍방향의 통신에 기초하는 일 없이 상기 전류값의 정보에 의해 충전을 행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상황으로 신속하게 이행하는 데 있어서는,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에서는, 종료 처리부에 의해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축전 장치를 충전함으로써, 쌍방향의 통신에 의존하지 않고,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축전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따라서,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함으로써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는 사태를 신속하게 타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통신선의 전압을 상기 쌍방향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와는 상위한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 변경 조작을 행한 후, 당해 전압 변경 조작을 정지한다.
통신선의 전압이 쌍방향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와는 상위한 전압으로 변경된 경우, 외부 전원 장치는 쌍방향의 통신을 행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쌍방향의 통신을 정지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후, 통신선의 전압이 정상적인 것으로 복귀되면, 외부 전원 장치는, 통신을 처음부터 다시 한다고 생각된다. 여기서, 쌍방향의 통신의 도중과 비교하여, 쌍방향의 통신의 개시 전의 쪽이, 쌍방향의 통신으로부터, 전류값의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로의 이행이 용이하다고 생각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장치에서는, 전압 변경 조작에 의해, 쌍방향의 통신의 개시 전의 공정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전류값의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로의 이행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압 변경 조작이 정지된 후,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인 경우,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하는 대기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는,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충전 처리부는, 상기 대기 처리부에 의한 대기의 결과,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전류값의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개시한다.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상태는, 원래는, 쌍방향의 통신을 재촉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장치에서는, 이 경우에, 쌍방향의 통신을 개시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에, 쌍방향의 통신을 하지 않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논리 신호를, 시 비율에 의해 전류값의 정보를 표현하는 신호로 변경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압 변경 조작이 정지된 후,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를 송신하도록 재촉하는 재촉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종료 처리부의 처리에 의해, 상기 논리 신호의 출력마저 정지되어 버린 경우에, 동 논리 신호의 출력을 재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의해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쌍방향의 통신을 이용하여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외부 전원 장치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에 쌍방향의 통신을 신속하게 종료시킬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리스펀스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에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에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리스펀스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며,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로서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리퀘스트 신호로서 이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에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에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통신선에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논리 신호를 송신하도록 재촉하는 재촉부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에서는,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킨 후, 논리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됨으로써, 그 송신을 재촉한다. 이로 인해, 논리 신호의 송신이 재개되는 경우에는, 쌍방향의 통신의 개시 전의 상태로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시 비율에 의해 전류값의 정보를 표현하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용이해진다.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는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는 또한,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시 비율인 경우,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하는 대기 처리부를 구비한다.
상기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인 상태는, 원래는, 쌍방향의 통신을 재촉하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장치에서는, 이 경우에, 쌍방향의 통신을 개시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에, 쌍방향의 통신을 하지 않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논리 신호를, 시 비율에 의해 전류값의 정보를 표현하는 신호로 변경하도록 재촉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CPLT 신호를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3은 Inband 통신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Inband 통신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충전, 역조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도.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9는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Inband 통신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차량(10)은, 차량 탑재 축전 장치로서의 배터리(12)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12)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 등의 2차 전지이다. 배터리(12)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12)에 충전하거나, 배터리(12)의 축전 전하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력 변환 회로인 컨버터(14)가 접속된다.
한편, 외부 전원 장치(40)는, 차량(10)의 컨버터(14)와의 사이에서 전력을 수수하는 전원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10)의 컨버터(14)와 외부 전원 장치(40)의 전원부(42)는, 전력 전송선 L1, L2를 통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차량(10)은 단자 T1, T2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 T1, T2에 전력 전송선 L1, L2가 접속된다.
차량(10)은, 외부 전원 장치(40)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통신을 행하는 회로로서, CPLT 수신 회로(2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외부 전원 장치(40)는 CPLT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CPLT 발진 회로(44)를 구비하고 있다. CPLT 발진 회로(44)는, 통신선 L3, L4를 통해 CPLT 수신 회로(22)에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차량(10)은 단자 T3, T4를 구비하고 있고, 단자 T3, T4에 통신선 L3, L4가 접속된다. 이에 의해, 단자 T3, T4에 통신선 L3, L4가 접속됨으로써, CPLT 발진 회로(44)로부터 CPLT 수신 회로(22)에, 논리 H 및 논리 L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CPLT 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신선 L4는, 기준 전위를 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로 인해, CPLT 신호의 논리 H 및 논리 L은, 통신선 L4에 대한 통신선 L3의 전위차(이하, 통신선 L3의 전압)에 의해 정의된다.
CPLT 수신 회로(2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전력의 수수를 위한 처리의 진행 상황에 따라서 변경하는 회로이다. 구체적으로는, CPLT 수신 회로(22)는 통신선 L3과 통신선 L4를 접속하는 저항체(22a)와, 저항체(22b) 및 스위칭 소자(22c)의 직렬 접속체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단자 T3, T4에 통신선 L3, L4가 접속되기 전에는, 스위칭 소자(22c)는 원칙적으로 개방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10)과 외부 전원 장치(40) 사이의 통신으로서, CPLT 신호에 의한 통신 외에, CPLT 신호에 중첩되는 고주파 신호를 사용한 Inband 통신을 행한다. Inband 통신을 행하기 위해, 차량(10)은 통신부로서의 Inband 통신 ECU(32)를 구비하고 있고, 외부 전원 장치(40)는 Inband 통신 회로(46)를 구비하고 있다. Inband 통신 ECU(32)와 Inband 통신 회로(46)는, 모두 통신선 L3, L4에 접속된다.
또한, 차량(10)은 CPLT 수신 회로(22)와 컨버터(14)를 조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2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저로부터의 지시가 입력되어 마이크로컴퓨터(24)에 전달하기 위한 입력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통신선 L3의 전압에 기초하여, CPLT 신호의 논리 H 및 논리 L의 주기에 대한 논리 H의 시간의 시 비율 D를 검출하는 신호 검지 ECU(30)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말하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CPLT 수신 회로(22)와, 마이크로컴퓨터(24)는, 충전 제어 ECU(20)로서, 단일의 기판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전원 장치(40)는, CPLT 발진 회로(44)와 Inband 통신 회로(46)를 조작하는 제어 회로(48)를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마이크로컴퓨터(24)에 의한 충전을 위한 처리의 진행 상황에 따른 통신선 L3의 전압의 변경 처리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는, 시각 t1 전에는, 단자 T3, T4에 통신선 L3, L4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통신선 L3의 전압은 최고값인 12V로 된다. 시각 t1에 있어서, 단자 T3, T4에 통신선 L3, L4가 접속되면, 통신선 L3, L4의 전압은, 중간 값인 「9V」로 저하된다. 여기서, 통신선 L3, L4가 단자 T3, T4에 접속되는 시각 t1의 전에 있어서는, 통신선 L3과 통신선 L4의 사이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이에 반해, 시각 t1에는, 스위칭 소자(22c)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통신선 L3의 전압은, 저항체(22a)와 CPLT 발진 회로(44)의 내부 저항의 분압 값이 된다. 따라서, 시각 t1 이후에서는, 통신선 L3의 전압값이 저하된다.
외부 전원 장치(40)의 제어 회로(48)는, 상기 통신선 L3의 전압 저하에 의해 통신선 L3, L4가 접속된 것을 검지하면, CPLT 발진 회로(44)에, 논리 H의 전압을 「9V」로 하고, 논리 L의 전압을 「-12V」로 하는 CPLT 신호를 출력시킨다(시각 t2).
한편, 시각 t3에, 차량(10)측에 있어서, 배터리(12)에 대한 충전의 준비가 갖추어짐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24)는 CPLT 수신 회로(22)의 스위칭 소자(22c)를 폐쇄 조작한다. 이에 의해, CPLT 신호의 논리 「H」는, 최저 값인 「6V」로 된다. 이것은, CPLT 신호가 논리 「H」로 되는 기간에 있어서, 통신선 L3의 전압은, 저항체(22a) 및 저항체(22b)의 병렬 접속체에 있어서의 저항과 CPLT 발진 회로(44)의 내부 저항의 분압 값이 되기 때문이다.
충전의 준비는, 상기 CPLT 신호에 중첩되는 고주파 신호를 이용한 Inband 통신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Inband 통신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LT 신호의 논리 H 및 논리 L의 1주기에 대한 논리 H의 시간의 비율(시 비율 D)이 「5%」로 될 때에 실행되는 것이다. 특히, Inband 통신이 가능한 외부 전원 장치(40)에서는, 통신선 L3, L4가 접속됨으로써, CPLT 신호의 시 비율을 처음에 「5%」로 한다. 또한, Inband 통신은, 차량(10)의 Inband 통신 ECU(32)로부터 외부 전원 장치(40)의 Inband 통신 회로(46)에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의 Inband 통신 회로(46)가 리스펀스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행해진다.
덧붙여 말하면, Inband 통신을 실행하는 것은, Inband 통신 ECU(32)인 한편, CPLT 수신 회로(22)를 조작하여, CPLT 신호의 논리 「H」의 전압을 「6V」로 변경하는 것은 마이크로컴퓨터(24)이다. 이것은, Inband 통신 ECU(32)에 있어서 수신한 신호에 대해 복조 등의 처리를 실시하거나 한 후, 처리가 실시된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24)에 송신하고, 마이크로컴퓨터(24)에서 Inband 통신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전력의 수수를 실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이 우려된다. 이하에서는,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전력의 수수를 최대한 실행하기 위한 제1 실시 형태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Inband 통신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4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먼저, Inband 통신이 행해지고 있고, 또한 배터리(12)의 충전 또는 역조류의 개시 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10에 있어서 긍정 판단하는 경우, Inband 통신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S12: "예"), 그 이상이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4).
여기서,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이라 함은, Inband 통신을 할 목적으로서의 배터리(12)의 충전 처리 또는 역조류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되는 이상을 말한다.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수수되는 전력을 특정하기 위한 물리량(인가 전압 V, 전류 I 등)의 값이 과도하게 큰 이상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2)를 충전하는 경우의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차량(10)으로의 인가 전압이, 차량(10)의 컨버터(14)의 내압 Vth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 배터리(12)에의 충전을 행할 수 없는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이러한 상황은,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공급되는 인가 전압이 컨버터(14)에 실제로 적합하지 않은 경우와, Inband 통신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에 노이즈가 혼입되었기 때문에, 데이터가 이상으로 된 경우에 발생한다. 또한,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으로서는, 외부 전원 장치(40)가 역조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나, 현재, 충전 및 역조류 중 어느 쪽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이상이 발생하여, 그 정보를 특정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 장치(40)가 역조류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역조류를 하기 위해 Inband 통신을 하고 있는 경우에 한하여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으로서는, 그 밖에도, 예를 들어 컨버터(14)가 교류 및 직류 중 어느 하나에밖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외부 전원 장치(40)가 동 어느 하나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경우나, 외부 전원 장치(40)가 교류 및 직류 중 대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정상이 아닌 경우 등이 있다.
이에 반해, 크리티컬하지 않은 이상이라 함은, Inband 통신을 할 목적으로서의 배터리(12)의 충전 처리 또는 역조류 처리를 행하는 것 자체는 가능한 이상을 말한다. 크리티컬하지 않은 이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Inband 통신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관한 통신 데이터의 이상이 있다. Inband 통신에 의해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는, 배터리(12)의 충전이나 역조류를 행함에 있어서 필수는 아니다. 또한, 크리티컬하지 않은 이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시간대에 따른 전력 요금의 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이상이 있다. 단, 전력 요금이 저렴한 경우에 한하여 배터리(12)를 충전하는 취지가 입력부(26)를 통해 유저로부터 지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이상은, 크리티컬한 이상이 된다. 또한, 크리티컬하지 않은 이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외부 전원 장치(40)의 식별 코드(ID)의 이상이 있다.
Inband 통신 ECU(32)는,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S14: "아니오"), Inband 통신을 계속한다(S16).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이 경우나, 스텝 S12에 있어서 부정 판단하는 경우에는, 충전 또는 역조류 전의 통신 공정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 Inband 통신 ECU(32)는, 충전 또는 역조류 전의 통신 공정이 완료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S18: "아니오"), 스텝 S14의 처리로 복귀한다. 한편, Inband 통신 ECU(32)는, 충전 또는 역조류 전의 통신 공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경우(S18: "예"), 충전 또는 역조류 처리를 허가한다(S20).
이에 반해, Inband 통신 ECU(32)는, 크리티컬한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S14: "예"), Inband 통신을 종료한다(S22). 또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20, S22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나, 스텝 S10에 있어서 부정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이와 같이,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도 5에,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충전, 역조류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도 4의 스텝 S20의 처리에 의해 충전, 역조류 처리가 허가되고, 또한 충전, 역조류의 실행 기간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충전, 역조류의 실행 기간은, Inband 통신에 기초하여 마이크로컴퓨터(24)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다. 즉, 마이크로컴퓨터(24)는 Inband 통신에 의해 얻어지는 시간대와 전력 요금의 관계 정보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배터리(12)의 충전이나 배터리(12)의 전력의 방전 처리를 행하는 기간을 설정한다. 덧붙여 말하면, 설정된 기간의 시점이 스텝 S20의 처리가 완료되는 시각과 크게 괴리되는 경우에는, 충전 제어 ECU(20)나, Inband 통신 ECU(32), 신호 검지 ECU(30)는, 전력 소비량을 저감한 상태에서, 기간의 시점으로 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먼저, 크리티컬하지 않은 데이터 이상이 발생한 취지의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바꾸어 말하면, 도 4의 스텝 S14에 있어서 부정 판단된 이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Inband 통신 ECU(32)는, 이력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S30: "예"), 데이터 이상에 의해 제약을 받은 서비스의 범위에서, 배터리(12)의 충전 또는 역조류 처리를 실행한다(S32). 예를 들어, 데이터 이상에 의해 Inband 통신을 사용한 인터넷의 이용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충전 또는 역조류 처리의 기간에 있어서, 유저는 차량(10) 내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예를 들어, 데이터 이상에 의해 시간대와 전력 요금의 관계 정보를 취득할 수 없어, 즉시 배터리(12)의 충전을 개시한 경우에는, 전력 요금이 저렴한 시간대를 겨냥한 충전 처리를 행할 수는 없다.
한편, Inband 통신 ECU(32)는, 이력이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S30: "아니오"), Inband 통신에 의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향수하면서, 배터리(12)의 충전 처리나 역조류 처리를 실행한다(S34). 또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32, S34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기재하는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1)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이상의 내용에 따라서 Inband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판정한다(도 4). 이에 의해, 배터리(12)의 충전 또는 역조류를 실행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함으로써 Inband 통신을 일률 종료해 버림으로써 충전 또는 역조류를 실행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2) 데이터 이상이, 충전 또는 역조류 처리를 행하는 것 자체에 대해서는 가능한 것인 것을 조건으로,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결정한다(S14). 이에 의해,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있을 개연성을 높일 수 있다.
(3) 데이터 이상이 충전 또는 역조류 처리를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인 경우, 데이터 이상에 의해 제약을 받지 않는 범위에서 전력의 수수가 실행된다(S32). 이에 의해, 전력의 수수를 실행할 수 있을 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데이터 이상이 크리티컬한 이상으로서, 인가 전압 V, 전류 I의 값이 과도하게 큰 취지를 나타내는 데이터인 경우나, 외부 전원 장치(40)가 직류에 대응하는지 교류에 대응하는지의 정보를 적절하게 수신할 수 없는 이상 등을 포함하였다. 이에 의해, 전력의 수수를 실행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 Inband 통신을 종료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앞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CPLT 신호의 논리 H 및 논리 L의 1주기에 대한 논리 H의 시간의 시 비율 D가 「5%」보다 큰 경우, 시 비율 D는,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전력 전송선 L1, L2에 출력할 수 있는 전류의 상한값 정보를 나타낸다. CPLT 신호의 시 비율 D가 「5%」보다 큰 상태에서는, Inband 통신을 이용할 수 없지만, 외부 전원 장치(40)는 정해진 인가 전압으로, 시 비율 D에 의해 정해지는 전류의 상한값 이하의 전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원 장치(40)의 인가 전압은,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할 때에 정해진 것이며, Inband 통신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가 차량(10)에 통지하는 인가 전압과 동일하다고는 할 수 없다. 특히,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할 때의 인가 전압보다, Inband 통신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가 차량(10)에 통지하는 인가 전압의 쪽이 높아질 수 있다. 이로 인해,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CPLT 신호를 이용한 배터리(12)의 충전으로 전환할 수 있다면,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 Inband 통신이 실행되고 있을 때, Inband 통신에 의해,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행하도록 차량(10)으로부터 외부 전원 장치(40)에 통지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선 L3, L4에 시 비율 D가 「5%」인 CPLT 신호의 출력이 개시된 후, 차량(10)이 한 번도 Inband 통신에 의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 소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가 CPLT 신호의 시 비율 D를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한다고 생각되는 것에 착안한다. 이것은, ISO15118-3의 규격에서는, 시 비율 D가 「5%」인 CPLT 신호의 출력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내에 Inband 통신이 확립되지 않는 경우, 시 비율 D를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나타내는 값으로 변경하여, CPLT 신호를 사용한 충전을 실행 가능하게 한다고 되어 있는 것 등을 근거로 하는 생각이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것은, Inband 통신이 확립된 후라고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의 개시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의도적으로 통신선 L3이 접지에 쇼트한 상태로 하여,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시킨다. 그 후, 쇼트한 상태를 해소함으로써 Inband 통신을 개시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도 6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부재에 대응하는 것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선 L3과 통신선 L4의 사이에 릴레이(50)를 구비한다. 릴레이(50)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릴레이(50)가 폐쇄 상태로 됨으로써, 통신선 L3이 접지에 쇼트한 경우와 동일한 상태, 즉 통신선 L3의 전압이 0V로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Inband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의 전압(본 예에서는 9V)과는 상이한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 변경 조작을 행한다.
도 7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 이상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먼저, Inband 통신이 이루어지고, 또한 통신의 내용이 배터리(12)의 충전 개시 전의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Inband 통신 ECU(32)는, 충전 개시 전이라고 판단하는 경우(S40: "예"),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2). Inband 통신 ECU(32)는,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S42: "예"), Inband 통신을 종료하고, 릴레이(50)를 폐쇄 조작함으로써, 통신선 L3을 통신선 L4에 쇼트시키는 L3 접지 처리를 행한다(S44).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쇼트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 대기한다(S46: "아니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외부 전원 장치(40)가 통신선 L3이 접지에 쇼트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고,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이 시간은, 외부 전원 장치(40)가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데 필요로 하는 시간 이상이며 최대한 짧은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band 통신 ECU(32)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S46: "예"), 릴레이(50)를 개방 조작함으로써, 상기 접지 처리를 정지하여 통신선 L3이 접지에 쇼트한 상태를 해제한다(S48: 접지 해제). 다음으로,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에 CPLT 신호가 출력되고, 또한 그 시 비율 D가 「10∼96%」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이 처리는, CPLT 신호를 이용한 배터리(12)의 충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10∼96%」라고 판단하는 경우(S50: "예"), 배터리(12)의 충전 처리를 실행한다(S52). 여기서는, 배터리(12)의 충전 전류의 상한값을 시 비율 D에 의해 규정된 값으로 하면서, 충전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컨버터(14)의 조작에 의해, 전원부(42)로부터 인입하는 전류량이 시 비율 D에 의해 규정된 상한값 이하로 되도록, 충전 전류를 제어한다.
한편,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10∼96%」가 아닌 경우(S50: "아니오"), 시 비율 D가 「5%」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4). 이 처리는, 외부 전원 장치(40)가 Inband 통신을 행하도록 재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5%」라고 판단하는 경우(S54: "예"), Inband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시 비율 D가 「10∼96%」로 될 때까지 대기하기 위해 스텝 S50으로 복귀된다. 한편, 시 비율 D가 「5%」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S54: "아니오"), 통신선 L3의 전압이 9V로 고정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6). 이 처리는, 외부 전원 장치(40)가 Inband 통신의 이상에 기인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하고, 또한 CPLT 신호의 출력 자체를 정지해 버렸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이 9V로 고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S56: "예"), 외부 전원 장치(40)에 CPLT 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도록 지시하는 토글 처리를 실행한다(S58). 구체적으로는, 스위칭 소자(22c)를 일단 폐쇄 상태로 한 후, 개방 상태로 복귀시킴으로써, 통신선 L3의 전압을 일단, 6V로 저하시킨 후, 9V로 회복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Inband 통신 ECU(32)는, 토글 처리를 실행하면, 스텝 S50의 처리로 복귀한다.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이 9V에 고정되어 있는 것도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S56: "아니오"), 외부 전원 장치(40)의 이상이라고 판정한다(S60). 또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52, S6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나, 스텝 S40, S42에 있어서 부정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5) Inband 통신에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의도적으로 통신선 L3을 접지에 쇼트한 상태로 하고(S44), 일정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그 상태를 해제한다(S48).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이 불가능해지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Inband 통신의 개시 전의 상태로 신속하게 이행시킬 수 있다.
(6) 통신선 L3을 접지에 쇼트시킨 상태를 해제한 후, 통신선 L3에 출력되는 CPLT 신호의 시 비율 D가 「5%」인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한다(S54).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이행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7) 통신선 L3을 접지에 쇼트시킨 상태를 해제한 후, 통신선 L3에 CPLT 신호가 출력되지 않게 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CPLT 신호의 출력을 재촉하는 토글 처리를 행한다(S58). 이에 의해, CPLT 신호의 출력을 재개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앞의 제2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 ECU(32)는,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통신할 수 없는 이상 상태를 설정하였다. 이에 반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 ECU(32)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지 않음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시킨다. 이 처리는, 특별한 하드웨어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3 실시 형태의 시스템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으로 한다.
도 8에,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 이상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42에 있어서 긍정 판단하는 경우,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처리를 실행한다(S70). 구체적으로는,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이것은, Inband 통신 ECU(32) 내의 Inband 통신을 위한 모뎀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행하면 된다. 무엇보다, 모뎀의 전원을 차단하는 일 없이,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할 뿐이어도 좋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CPLT 신호의 출력이 정지될 때까지 대기한다(S72: "아니오"). Inband 통신 ECU(32)는, CPLT 신호의 출력이 정지되는 경우(S72: "예"), 도 7의 스텝 S58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토글 처리를 행한다(S74). 그리고, 통신선 L3에 CPLT 신호가 출력됨으로써, Inband 통신 ECU(32)는, CPLT 신호의 시 비율 D가 「10∼96%」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6).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10∼96%」라고 판단하는 경우(S76: "예"), 스텝 S52로 이행한다.
한편,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10∼96%」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S76: "아니오"), 시 비율 D가 「5%」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8).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5%」라고 판단하는 경우(S78: "예"), Inband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이 가능한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 대기하기 위해, 스텝 S76의 처리로 복귀한다. 이에 반해, Inband 통신 ECU(32)는, 시 비율 D가 「5%」가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S78: "아니오"), 외부 전원 장치(40)의 이상이라고 판정한다(S60).
또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52, S60의 처리가 완료되는 경우나, 스텝 S40, S42에 있어서 부정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 일련의 처리를 일단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8)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S70).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행할 수 없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시키도록 하게 할 수 있다.
(9) 통신선 L3에 CPLT 신호가 출력되지 않을 때, Inband 통신 ECU(32)는 토글 처리를 실행한다(S74).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를 통신선 L3에 CPLT 신호가 송신되는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다.
(10) 토글 처리의 결과, 출력이 개시된 CPLT 신호의 시 비율 D가 「5%」인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한다(S78: "예").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할 수 없다고 하여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이 가능해지는 상태로 이행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 앞의 제3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 이상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42에 있어서 긍정 판단하는 경우, Inband 통신을 이용하여,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하도록 통지한다(S70a). 즉, CPLT 신호에 중첩시키는 고주파 신호에,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취지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도 8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CPLT 신호의 출력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한다(S72).
이상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상기 (9), (10)의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가 더 얻어지게 된다.
(11)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하도록 통지한다(S70a).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종료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제5 실시 형태에 대해, 앞의 제3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 이상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 8에 나타낸 처리에 대응하는 처리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스텝 S42에 있어서 긍정 판단하는 경우, 리퀘스트 신호 대신에, 원래 송신해야 할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이며, 외부 전원 장치(40)에서 이상 신호라고 판단되는 에러 신호를 의도적으로 송신한다. 이 처리는,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하도록 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도 8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CPLT 신호의 출력이 정지할 때까지 대기한다(S72).
이상 설명한 제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상기 (9), (10)의 효과 외에, 이하의 효과가 더 얻어지게 된다.
(12) 데이터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리퀘스트 신호를 의도적으로 에러 신호로서 송신한다(S70b).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Inband 통신을 행할 수 없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시키도록 하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하, 제6 실시 형태에 대해, 앞의 제1 실시 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 ECU(32)는, 데이터 이상이 크리티컬한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Inband 통신을 종료하고, 충전 처리를 단념하였다. 그러나, Inband 통신에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라도, 제2∼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예시한 요령으로, CPLT 신호를 이용하여 배터리(12)를 충전할 수는 있다고 생각된다. 즉,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 처리에 있어서는, Inband 통신 ECU(32)는, CPLT 신호의 시 비율 D에 의해, 충전 전류의 상한값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 처리에 있어서는,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차량(10)에 공급되는 인가 전압이 미리 정해져 있다. 이로 인해, 가령 크리티컬한 이상이, Inband 통신을 이용한 충전 처리에 있어서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차량(10)에 공급되는 인가 전압이 컨버터(14) 등의 내압을 초과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었다고 해도,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행하는 것은 가능해질 수 있다. 이 점에 비추어,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배터리(12)를 충전하기 위해 Inband 통신을 개시한 바,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을 실행한다.
도 11에,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데이터 이상 시의 페일 세이프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처리는,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예를 들어 소정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도 4에 나타낸 처리에 대응하는 것에 대해서는, 편의상,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일련의 처리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S14: "예"), Inband 통신을, 배터리(12)의 충전을 하기 위해 행하고 있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이 처리는,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 처리로 이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을, 충전을 하기 위해 행하고 있었다고 판단하는 경우(S80: "예"), 도 7∼도 10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 의해, CPLT 신호를 이용한 충전 처리를 행한다(S82). 또한, Inband 통신 ECU(32)는, 역조류를 행하기 위해 Inband 통신을 행하고 있었던 경우에는(S80: "아니오"), CPLT 신호를 이용하여 역조류 처리를 행할 수는 없으므로, 스텝 S22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하,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기재된 구성 요건과, 상기 실시 형태의 대응 관계를 기재한다.
외부 전원 장치…40, 차량 탑재 축전 장치…12, 통신부…32, 결정부…32, 쌍방향의 통신…Inband 통신, 실행부…32, 전류값의 정보…시 비율 D에 포함되는 정보, 취득부…30, 통신선…L3, L4, 종료 처리부…32, 충전 처리부…32, 논리 신호…CPLT 신호, 재촉부…32.
<그 밖의 실시 형태>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된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Inband 통신(쌍방향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의 전압(본 예에서는 9V)과는 상이한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 변경 조작을 행하였다. 구체적으로,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0V로 고정하였다.
이러한 전압 변경 조작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12V」로 고정하는 것이어도 된다. CPLT 신호의 논리 L이 「-12V」인 것을 감안하면, 통신선 L3의 전압이 「-12V」로 고정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는 CPLT 발진 회로(44)의 논리 L의 전압원과 통신선 L3이 쇼트하는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한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그 후, Inband 통신 ECU(32)는, 통신선 L3의 전압을 정상 시의 전압 「9V」로 복귀시킴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에 CPLT 신호의 발진 개시 처리로부터 다시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선 L3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를 생성하기 위해, 고정하는 전압의 값으로서는, 「0V」나 「-12V」에도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통신선 L3의 전압을 고정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CPLT 신호의 1주기보다 짧은 시간이며, 또한 CPLT 신호의 논리 H를 포함하는 기간에 걸쳐, 통신선 L3의 전압을 주기적으로 「0V」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통신선 L3의 전압은, 「-12V」와 「0V」로 주기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되므로, 외부 전원 장치(40)에서는,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 ECU(32)가, Inband 통신을 종료하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종료 처리부로서 기능하였다.
이 대신에, 마이크로컴퓨터(24)가 종료 처리부로서 기능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단자 T3, T4 사이에, 저항체(22a)에 직렬로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24)는, 통신선 L3, L4가 접속된 것이 검지되었을 때 스위칭 소자를 폐쇄 조작하고, Inband 통신의 이상 시에 스위칭 소자를 개방 조작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의 개방 조작에 의해 통신선 L3의 전압이 「12V」로 상승하므로, 외부 전원 장치(40)에서는, 통신선 L3, L4의 접속이 해제되었다고 판단한다. 이로 인해, 그 후, 스위칭 소자를 폐쇄 조작함으로써, 외부 전원 장치(40)에서는, 통신선 L3, L4가 새롭게 다시 접속되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이에 의해, 외부 전원 장치(40)에, CPLT 신호의 발진 개시 처리로부터 다시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Inband 통신을 종료하기 위한 처리는, 통신선 L3, L4가 유지된 채 실행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선 L3, L4의 접속을 일단 절단한 후, 다시 접속하도록 유저에게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실제로 통신선 L3, L4의 접속을 일단 절단한 후, 재접속하였을 때, 시 비율 D가 「5%」인 CPLT 신호가 발진되는 경우, Inband 통신의 신호를 Inband 통신 ECU(32)가 송신하는 일 없이 대기함으로써, 시 비율 D가 변경되는 것을 대기하면 된다.
·종료 처리부로서의 Inband 통신 ECU(32)(또는 마이크로컴퓨터(24))가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처리를 행한 후의 처리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처리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도 9)에 있어서, Inband 통신 ECU(32)가 Inband 통신을 종료하는 취지를 외부 전원 장치(40)에 통지한 후, 외부 전원 장치(40)가 Inband 통신을 종료하면서도 CPLT 신호의 송신을 계속하기 위해, 스텝 S70a의 이후의 처리를, 도 7의 스텝 S50∼S60의 처리로 변경해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Inband 통신 ECU(32)는, Inband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력 전송선 L1에 대한 인가 전압 V나 전력 전송선 L1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 I가 과도하게 큰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한다. 그러나, Inband 통신 ECU(32)는, 예를 들어 인가 전압 V나 전류 I가 과도하게 작은 경우,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출력된 신호의 신뢰성이 낮다고 하여, 크리티컬한 이상이라고 판단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유저 인증에 기초하여, 미리 등록해 둔 계좌로부터 전력 사용량에 따른 요금이 자동 납부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 인증에 관한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Inband 통신 ECU(32)는,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하여 Inband 통신을 종료해도 된다. 이에 의해, 크리티컬한 이상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Inband 통신을 계속하고, 컨버터(14)를 조작함으로써 충전 처리를 개시한 후에, 외부 전원 장치(40)로부터 전력 공급을 강제적으로 정지하는 처리가 이루어지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전력의 수수를 위한 통신은, Inband 통신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이외의 통신이라도, 예를 들어 부가적인 서비스에 관한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 서비스를 향수하지 않는 제약의 범위에서, 배터리(12)의 충전 처리나, 배터리(12)의 전력의 외부에의 공급 처리(역조류 처리)를 실행하는 것은 유효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동일한 통신선에 있어서, 부가적인 서비스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모드와, 최소한의 충전 처리가 가능한 제2 통신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전환 가능한 것이라면, 제2 통신 모드의 신호는, 제1 통신 모드의 신호에 중첩되는 것인 것은 필수는 아니다. 즉, 중첩되는 것이 아니어도, 제2∼제6 실시 형태의 요령으로, 제1 통신 모드의 이상 시에 제2 통신 모드로 이행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은 유효하다.
·도 4∼도 11에 나타내는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전 제어 ECU(20)에 의해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신호 검지 ECU(30)와 Inband 통신 ECU(32)를 동일한 기판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CPLT 수신 회로(22)를 충전 제어 ECU(20)와는 별도의 기판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CPLT 수신 회로(22)를 신호 검지 ECU(30)나 Inband 통신 ECU(32)와 동일 기판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충전 제어 ECU(20), 신호 검지 ECU(30) 및 Inband 통신 ECU(32)를 단일의 기판에 형성해도 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를 공유화하거나 함으로써, 충전 제어 ECU(2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단위, 신호 검지 ECU(30)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단위 및 Inband 통신 ECU(32)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단위간의 통신(CAN 통신 등)이 불필요해진다.

Claims (14)

  1.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당해 전력의 수수의 준비를 하기 위한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이루어지는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당해 이상의 내용에 따라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계속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이상의 내용이, 상기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것 자체는 가능한 것인 것을 조건으로, 상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을 결정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결정된 경우, 상기 통신의 이상의 내용에 따른 서비스 제약을 받는 범위에서 상기 전력의 수수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이상의 내용이, 상기 전력의 수수를 행할 수 없게 되는 것인 경우, 상기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로 전력을 공급할 때의 전류값의 정보가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출력됨으로써, 그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통신선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취득부에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충전하기 위해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결정부에 의해 상기 통신을 계속하지 않는 것을 결정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종료 처리부와,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행하는 충전 처리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6. 외부 전원 장치와의 사이에서 전력의 수수를 행하는 차량 탑재 축전 장치와, 상기 전력의 수수를 위한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를 구비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때의 전류값의 정보가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출력됨으로써, 그 전류값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통신선을 통해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취득부에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선을 통해 행해지는 것이며, 또한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당해 전력의 수수의 준비를 하기 위한 통신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의 수수에 앞서 이루어지는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하는 종료 처리부와,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는 전류값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행하는 충전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통신선의 전압을 상기 쌍방향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을 때와는 상위한 전압으로 변경하는 전압 변경 조작을 행한 후, 당해 전압 변경 조작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압 변경 조작이 정지된 후,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인 경우,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하는 대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는,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충전 처리부는, 상기 대기 처리부에 의한 대기의 결과,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전류값의 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차량 탑재 축전 장치의 충전을 개시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전압 변경 조작이 정지된 후,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를 송신하도록 재촉하는 재촉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에 의해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종료하는 것을 상기 외부 전원 장치에 통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리스펀스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통신부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리스펀스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는,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로서, 상기 리퀘스트 신호로서 이상 신호를 송신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종료 처리부에 의해 상기 종료시키는 처리가 이루어진 후, 상기 통신선에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되는 것을 조건으로, 상기 논리 신호를 송신하도록 재촉하는 재촉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값의 정보는, 논리 H 및 논리 L이 교대로 출현하는 논리 신호에 있어서의, 논리 H가 되는 기간과 논리 L이 되는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1주기의 시간에 대한 논리 H가 되는 시간의 시 비율에 의해 표현되는 것이고,
    상기 쌍방향의 통신은, 상기 시 비율이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에, 상기 논리 신호에 고주파 신호를 중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것이고,
    상기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비율이 되는 경우, 상기 논리 신호는 상기 전류값의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상기 논리 신호가 송신되어 당해 논리 신호의 시 비율이 상기 소정의 시 비율인 경우, 상기 쌍방향의 통신을 행하는 일 없이 대기하는 대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KR1020167027033A 2014-03-07 2015-01-29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KR1019403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5206A JP6024687B2 (ja) 2014-03-07 2014-03-07 車両用電力授受制御装置
JPJP-P-2014-045206 2014-03-07
PCT/JP2015/052567 WO2015133210A1 (ja) 2014-03-07 2015-01-29 車両用電力授受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41A true KR20160129041A (ko) 2016-11-08
KR101940387B1 KR101940387B1 (ko) 2019-01-18

Family

ID=5405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033A KR101940387B1 (ko) 2014-03-07 2015-01-29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131231B2 (ko)
EP (1) EP3116092B1 (ko)
JP (1) JP6024687B2 (ko)
KR (1) KR101940387B1 (ko)
CN (1) CN106104961B (ko)
BR (1) BR112016020108B1 (ko)
MY (1) MY178084A (ko)
RU (1) RU2657014C2 (ko)
WO (1) WO20151332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6074B2 (ja) * 2015-03-11 2018-10-17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方法
JP6569122B2 (ja) * 2015-08-05 2019-09-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充電システム
DE102017110956A1 (de) * 2017-05-19 2018-11-22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Energie und Information über ein Ladekabel für ein Elektrofahrzeug
JP2019018612A (ja) * 2019-02-05 2019-0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BE1029123B1 (de) * 2021-02-18 2022-09-12 Phoenix Contact E Mobility Gmbh Ladedose mit fahrzeuginternem Datenbusanschluss
JP2024002616A (ja) * 2022-06-24 2024-01-1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電源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075A (ja) * 2007-05-18 2008-11-27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車両の故障診断方法
US20090222143A1 (en) * 2008-03-03 2009-09-03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s and apparatus using hierarchical priority and control algorithms for grid-integrated vehicles
JP2011234471A (ja) * 2010-04-27 2011-11-17 Denso Corp 車両用充電装置
JP2013048518A (ja) * 2011-08-29 2013-03-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WO2013129038A1 (ja) 2012-02-28 2013-09-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給電装置及び車両
JP2013187968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5843964B2 (ja) * 2012-06-21 2016-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力線通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205A (ja) * 1993-06-01 1994-12-13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JPH06343202A (ja) * 1993-06-01 1994-12-13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充電装置
CA2598012C (en) * 2007-08-13 2013-01-08 Glenn Rosendahl Controlling power supply to vehicles through a series of electrical outlets
US9754300B2 (en) * 2010-02-18 2017-09-05 University Of Delaware Electric vehicle station equipment for grid-integrated vehicles
JP2013026953A (ja) * 2011-07-25 2013-02-04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充電システム
US8988042B2 (en) * 2011-08-25 2015-03-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TWI450471B (zh) * 2012-03-02 2014-08-21 Ship & Ocean Ind R & D Ct 直流充電系統之多方通訊控制系統及其充電流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5075A (ja) * 2007-05-18 2008-11-27 Toyota Motor Corp 車両および車両の故障診断方法
US20090222143A1 (en) * 2008-03-03 2009-09-03 University Of Delaware Methods and apparatus using hierarchical priority and control algorithms for grid-integrated vehicles
JP2011234471A (ja) * 2010-04-27 2011-11-17 Denso Corp 車両用充電装置
JP2013048518A (ja) * 2011-08-29 2013-03-0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充電装置、充電線通信システム
WO2013129038A1 (ja) 2012-02-28 2013-09-0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給電装置及び車両
JP2013187968A (ja) * 2012-03-07 2013-09-19 Toyota Motor Corp 車両の充電制御装置
JP5843964B2 (ja) * 2012-06-21 2016-01-13 三菱電機株式会社 車載電力線通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16092A1 (en) 2017-01-11
BR112016020108B1 (pt) 2022-05-10
US10131231B2 (en) 2018-11-20
RU2657014C2 (ru) 2018-06-08
MY178084A (en) 2020-10-02
BR112016020108A2 (ko) 2017-08-15
WO2015133210A1 (ja) 2015-09-11
CN106104961A (zh) 2016-11-09
JP2015171248A (ja) 2015-09-28
KR101940387B1 (ko) 2019-01-18
EP3116092A4 (en) 2017-05-17
US20170057358A1 (en) 2017-03-02
EP3116092B1 (en) 2019-09-25
JP6024687B2 (ja) 2016-11-16
CN106104961B (zh) 2019-08-06
RU2016138317A (ru) 201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87B1 (ko) 차량용 전력 수수 제어 장치
US9649949B2 (en) Connector converter and vehicle charging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JP4917494B2 (ja) 電圧調整装置
JP2006020438A (ja) 充電スタンド
JP6221836B2 (ja) 車両用電力管理装置
AU2009202248A1 (en) Charging system and vehicle and charge controller for the charging system
JP6003908B2 (ja) 充電装置および車載機
KR101926195B1 (ko) 병렬 팩 배터리 시스템의 릴레이 융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20160297313A1 (en) Power system, vehicle and power equipment
JP5931694B2 (ja) 制御システム
US9153972B2 (en)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JP6296071B2 (ja)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及び送電装置
JP2017022876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非接触充電制御システム
JP5398866B2 (ja) 充放電制御装置
JP6156124B2 (ja) 車載通信制御装置
US20080218122A1 (en) Battery charging method for an electric golf car
JP2015220882A (ja) 車載制御システム
JP7372160B2 (ja) 移動体及び充電制御装置
EP3604019A1 (en) Electrical control system
JP2020190476A (ja) 電力供給装置および溶着絶縁診断方法
JP5696640B2 (ja) 車両および外部電源装置
JP2019146458A (ja) バッテリ装置および充電終了検知方法
US20190280487A1 (en) Control method for the charging of a battery of a vehicle
CN106004490A (zh) 电动车无线充电通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