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262A -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262A
KR20160127262A KR1020150058053A KR20150058053A KR20160127262A KR 20160127262 A KR20160127262 A KR 20160127262A KR 1020150058053 A KR1020150058053 A KR 1020150058053A KR 20150058053 A KR20150058053 A KR 20150058053A KR 20160127262 A KR20160127262 A KR 20160127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weight
acrylonitrile
polycarbonate resin
butadi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5132B1 (ko
Inventor
김인철
박정우
권기혜
홍창민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KR1020150058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132B1/ko
Priority to US15/133,510 priority patent/US9771476B2/en
Publication of KR20160127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관한 것으로,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 수지와의 상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도장성이 개선되어 도장 후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하나로서 플라스틱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와 같은 벌크한 분자 구조에 의해 유리전이온도(Tg)가 약 150℃에 이르게 되어, 높은 내열도를 나타내며, 카보네이트 그룹의 카보닐기는 회전 운동성이 높아 폴리카보네이트에 유연성과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비정질 고분자로 투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및 타 수지와의 상용성 등이 우수하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유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작업성 및 후가공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지와의 얼로이(alloy) 형태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 중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PC/ABS) 얼로이는 내구성, 내열도,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분야, 자동차 분야, 건축 분야 및 기타 생활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PC/ABS 얼로이는 열에 의한 변색 안정성이 낮고, 자외선 안정성이 떨어져 성형품 자체를 직접 부품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적절한 후가공, 구체적으로 도금, 도장, 수전사 등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 중 도장은 후가공 중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하고 다른 후가공 공정 등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여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장은 부품 성형, 부품 표면 에칭, 도장 용액 도포/건조 및 코팅 등의 공정 순으로 진행이 되며, 이 때 사용되는 도장 용액은 대부분 유기화합물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 사출성형 등의 성형 공정에서 발생된 부품의 결함, 즉 표면 결함(defect), 표면 웰드(weld) 혹은 흐름 자국(flow mark) 등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외관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후 부품의 잔류 응력은 유기화합물 용제로 인한 도장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외관이나 도장 결함에 의해 생기는 도장 후 표면에서의 크랙, 침식 및 도장 외관의 불균일성은 공정 상에서 일부 개선될 수 있으나, 공정이 복잡해지고 개선 정도가 미미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재 자체의 도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충격성 등 PC/ABS 얼로이의 뛰어난 특성을 유지하면서 도장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3211호
본 발명은 최적의 상용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ABS)의 상용성을 극대화시켜 도장성을 개선하여 도장 후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고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도장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45 내지 75중량%;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 10 내지 40중량%;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 10 내지 25중량%; 및 상기 상용화제(D) 3 내지 9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1:0.1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일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반복단위로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60 내지 8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0,000 내지 40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D)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D)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D)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30 내지 70중량% 및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내지 30중량%를 반복단위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품은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상용화제의 성분 및 함량을 최적화하고 상용화제로 아크릴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성형품에 흐름 자국, 웰드 라인 등의 결함이 현저히 줄어들어 도장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자체의 우수한 특성이 유지되면서,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여 도장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여 도장성이 개선됨으로써 종래의 상도층/하도층과 같은 이중 도장을 하지 않고, 단일층의 도장만으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이루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카보네이트 결합을 가진 폴리에스테르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조성물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산 에스테르, 탄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의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할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의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의 사이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0의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 에스테르기, CO, S 및 S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며, 각각의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며, 상기 "치환된"이란 수소 원자가 할로겐기, C1 내지 C30의 알킬기, C1 내지 C30의 할로알킬기, C6 내지 C30의 아릴기, C1 내지 C20의 알콕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반복단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멜라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카보네이트는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0 내지 40,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유동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제조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45 내지 75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중량%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4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 특성이 좋지 않으며, 7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가 떨어질 수 있다.
(B)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8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100중량%에 대하여,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60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공중합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의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70,000 내지 400,000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000 내지 200,000g/mol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일 수 있다.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스티렌 60 내지 80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40중량%를 공중합하여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70 내지 80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20 내지 30중량%를 공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각각의 단량체가 상기 함량 범위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내충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외관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제조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5 내지 3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장성이 떨어질 수 있다.
(C)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성분으로 된 중심부(코어, core)와 그 중심부를 주위로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그라프트 중합 반응시켜 쉘(shell)을 형성한 코어-쉘(core-c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어를 구성하는 고무질 중합체 성분은 특히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며, 쉘 성분은 연속상, 예를 들면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 고무질 중합체의 계면에 위치하여 계면 장력을 낮추어 분산상의 고무질 중합체입자 크기를 작게하는 한편, 계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로 명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입자의 입경에 관해서는, 계측법에 의해 수치화하여 집단의 평균 크기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지만,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포의 최대값을 나타내는 모드 직경, 적분 분포 곡선의 중앙값에 상당하는 메디안 직경, 각종 평균 직경(수평균, 길이 평균, 면적 평균, 질량 평균, 체적 평균 등)등이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평균 입경이란 수평균 직경이고, D50(분포율이 50% 되는 지점의 입경)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첨가하고 유화중합, 벌크중합 등 통상의 중합방법을 통해 그라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 내지 35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350nm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는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상기 스티렌 2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5 내지 4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 내지 60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 내지 550nm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 내지 60 중량%, 상기 스티렌 20 내지 80중량% 및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5 내지 4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가 1:0.1 내지 1:1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0.7의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간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을 가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있으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이 450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함량으로 분포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D) 상용화제
상용화제(D)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이종(異種)인 아크릴계 화합물,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의 화합물이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이종인 아크릴계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로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의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화합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 화합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70중량% 및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70 내지 30중량%를 반복단위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율로 이루어지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0,000 내지 30,000,000 g/mol 일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0 내지 10,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00 내지 7,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경우 사출성형시의 전단속도 영역에서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조성 성분간의 모폴로지(morphology)가 안정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폴리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제조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3 내지 9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용화제가 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의 상용성이 떨어지며, 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떨어져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성형품의 특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연소성을 감소시키는 물질로,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파이트(phosphi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화합물, 폴리실록산, 포스파젠(phosphazen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또는 멜라민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제는 가공·성형·압출 중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 접촉하는 금속 표면을 윤활시켜 수지 조성물의 흐름 또는 이동을 도와주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공 작업성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고온에서 혼련 또는 성형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열적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고유 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안정제는 자외선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색이 변하거나 기계적 성질이 상실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시키는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페놀형, 벤조페논형 또는 벤조트리아졸형 광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제는 통상적인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품은 상술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과 도장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내충격성 및 도장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사용된 구성 성분은 아래와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삼성SDI社의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g/mol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b)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삼성SDI社의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24중량%, 스티렌 함량 76중량%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150,000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를 사용하였다.
(c)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1)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삼성SDI社의 폴리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58중량%로 이루어진 코어와 42중량%의 쉘로 구성되며, 상기 쉘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이 각각 75중량% 및 25중량%로 이루어지고, 폴리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약 260nm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을 사용하였다.
(c-2)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폴리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 12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및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10중량%로 이루어진 쉘로 구성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78중량%의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벌크중합을 통해 제조된 삼성SDI社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였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약 500nm이고, 상기 쉘은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이 각각 76중량% 및 24중량%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90,000g/mol이고,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이 각각 76중량% 및 24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d) 상용화제
다우 케미칼(Dow chemical)社의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품인 Paraloid K125P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전체를 100중량%로 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중량%로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c-2) 성분은 본 발명의 구성성분 중 (C-2)와 (B) 성분이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여 (A), (B), (C-1), (C-2) 및 (D) 성분으로 환산한 함량을 하기 표 1에 중량%로 하여 함께 나타내었다.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건식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L/D=29, φ=45mm)의 공급부에 정량적으로 연속 투입하여 용융/혼련하였다. 이어서 이축 압출기를 통해 펠렛화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약 80℃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린더 온도 약 260℃, 금형 온도 약 60℃의 6oz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 도장성 평가용 20cm × 5cm × 0.2cm 시편을 사출성형 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실투입
성분
(a) 50 50 70 50 50 50 50 50 50 50 85 30 50
(b) 23.5 14.5 10.5 18.5 16 31 11 - 16.5 26.5 - 43.5 31
(c-1) 13.5 18.5 9.5 13.5 11 16 6 - 13.5 13.5 12 13.5 -
(c-2) 10 14 7 10 20 - 30 47 10 10 - 10 16
(d) 3 3 3 8 3 3 3 3 10 - 3 3 3
환산
구성성분
(A) 50 50 70 50 50 50 50 50 50 50 85 30 50
(B) 31.3 25.42 15.96 26.3 31.6 31 34.4 36.66 24.3 34.3 - 51.3 43.48
(C-1) 13.5 18.5 9.5 13.5 11 16 6 - 13.5 13.5 12 13.5 -
(C-2) 2.2 3.08 1.54 2.2 4.4 - 6.6 10.34 2.2 2.2 - 2.2 3.52
(D) 3 3 3 8 3 3 3 3 10 - 3 3 3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해 상온/저온 아이조드 충격강도 및 도장 후 외관을 평가하였다. 각 평가 항목의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상온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평가 >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1/8" 충격강도 평가용 시편 각각에 대하여 ASTM D256에 준하여 23℃에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저온 아이조드(Izod) 충격강도 평가 >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1/8" 충격강도 평가용 시편 각각에 대하여 ASTM D256에 준하여 -30℃에서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측정하였다.
<도장 후 외관 평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8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20cm × 5cm × 0.2cm 시편을 일정 사출속도로 사출성형한 후 금속실버 도장액(에코넷, VZ-21SV75 제품)을 에어건(air gun)으로 도포하고, 60℃에서 30분간 건조시킨 후 시편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시편 외관을 평가하여 흐름 자국, 침식 및 크랙(crack) 등의 외관불량 발생여부를 비교 후 외관불량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를 10, 극도로 심하게 발생한 경우를 1로 표시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1 2 3 4 5 6 7 8
상온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60 65 60 60 60 60 45 20 60 58 70 40 30
저온 아이조드
충격강도
(kgf·cm/cm)
15 20 12 15 18 6 18 15 16 16 10 14 10
도장 후 외관 10 7 8 8 8 9 5 3 5 5 3 6 4
상기 표 1 및 표 2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의 경우 상온/저온 내충격성 및 도장성이 모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모든 구성 성분을 포함하더라도 각 구성 성분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면 도장성이 현저히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과 같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 중 (C-1) 성분만을 사용한 경우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떨어지고, 비교예 3 및 8과 같이, (C-2) 성분만을 사용한 경우에는 내충격성이 떨어질뿐만 아니라, 도장 후 외관도 좋지 않게 평가되어, 사용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의 종류 및 함량이 내충격성 및 도장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용화제(D)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5의 경우 도장 후 외관이 좋지 않게 평가되었으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6의 경우에도 도장 후 외관이 낮게 평가되었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상용화제를 최적의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내충격성과 도장성이 동시에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13)

  1.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D)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45 내지 75중량%;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 10 내지 40중량%;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 10 내지 25중량%; 및
    상기 상용화제(D) 3 내지 9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는,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1:0.1 내지 1: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할로겐 또는 알킬 치환 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방향족비닐 화합물을 60 내지 80중량%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방향족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70,000 내지 400,000g/mol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D)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D)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D)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30 내지 70중량% 및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내지 30중량%를 반복단위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50058053A 2015-04-24 2015-04-2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795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53A KR101795132B1 (ko) 2015-04-24 2015-04-2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5/133,510 US9771476B2 (en) 2015-04-24 2016-04-20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053A KR101795132B1 (ko) 2015-04-24 2015-04-2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262A true KR20160127262A (ko) 2016-11-03
KR101795132B1 KR101795132B1 (ko) 2017-11-08

Family

ID=5714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053A KR101795132B1 (ko) 2015-04-24 2015-04-24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71476B2 (ko)
KR (1) KR10179513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48A1 (ko) *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9200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58884B1 (ko) * 2017-12-29 2019-03-1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9117587A1 (ko) * 2017-12-11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포일러
KR20190082073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263031A1 (ko) * 2019-06-28 2020-12-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941290B2 (en) 2017-12-29 2021-03-0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100888B4 (en) * 2016-06-30 2018-03-22 Ptt Global Chemical Public Company Limited Polycarbonate composition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WO2019112239A1 (ko) * 2017-12-04 2019-06-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225311B1 (ko) * 2017-12-04 2021-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059754B1 (ko) * 2017-12-29 2019-12-26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N110698831A (zh) * 2019-10-16 2020-01-17 江苏沃特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填充高抗冲高耐候环保阻燃pc/abs复合材料
WO2022141602A1 (zh) * 2020-12-31 2022-07-07 佳易容聚合物(上海)有限公司 高耐化学品 pc/abs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211A (ko) 2006-05-31 2009-02-04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882C (zh) * 2000-03-09 2004-10-13 拜尔公司 含有接枝橡胶的聚碳酸酯模塑组合物
US20100160481A1 (en) * 2008-12-22 2010-06-24 Cheil Industries Inc. Blend Composition of Polycarbonate Resin and Vinyl-Based Copolymer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KR101423175B1 (ko) 2009-12-31 2014-07-28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4004331A (zh) * 2014-05-05 2014-08-27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低散发性的pc/abs合金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3211A (ko) 2006-05-31 2009-02-04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스 아이피 비.브이. 열가소성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4647B2 (en) 2016-12-30 2021-09-21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KR20180079200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9194A (ko) * 2016-12-30 2018-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8124790A3 (ko) * 2016-12-30 2018-11-2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8124748A1 (ko) *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1161978B2 (en) 2016-12-30 2021-11-02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US11214673B2 (en) 2017-12-11 2022-01-04 Lg Chem, Ltd. Heat-resistant resin composition and automobile spoile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WO2019117587A1 (ko) * 2017-12-11 2019-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포일러
WO2019132221A1 (ko) * 2017-12-29 2019-07-04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941290B2 (en) 2017-12-29 2021-03-09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20190082073A (ko) * 2017-12-29 2019-07-09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1180652B2 (en) 2017-12-29 2021-11-23 Lotte Chemical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KR101958884B1 (ko) * 2017-12-29 2019-03-1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20263031A1 (ko) * 2019-06-28 2020-12-30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2026A1 (en) 2016-10-27
US9771476B2 (en) 2017-09-26
KR101795132B1 (ko) 2017-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500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1012525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arts using the same
KR10145377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22697B1 (ko) 외관 특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1007946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1124647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KR10201871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0876200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N110964303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其制造的模制品
EP3722370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JP201001360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品
US10941290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KR1023655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40008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EP388921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KR10201871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01987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90082425A (ko)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140086738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성형품
KR20170076346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038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4003080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180066735A (ko)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