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712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712B1
KR102018712B1 KR1020170181481A KR20170181481A KR102018712B1 KR 102018712 B1 KR102018712 B1 KR 102018712B1 KR 1020170181481 A KR1020170181481 A KR 1020170181481A KR 20170181481 A KR20170181481 A KR 20170181481A KR 102018712 B1 KR102018712 B1 KR 102018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polymer
compound
vinyl cyanide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194A (ko
Inventor
박정우
김명훈
권기혜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ublication of KR2018007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1Rubbery or elastomeric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4Polymer with special particle form or siz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하나로서 플라스틱 산업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비스페놀-A와 같은 벌크한 분자 구조에 의해 유리전이온도(Tg)가 약 150℃에 이르게 되어, 높은 내열도를 나타내며, 카보네이트 그룹의 카보닐기는 회전 운동성이 높아 폴리카보네이트에 유연성과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비정질 고분자로 투명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유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작업성 및 후가공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한 수지와의 얼로이(alloy) 형태로도 많이 사용된다.
이 중 폴리카보네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PC/ABS) 얼로이는 내구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분야, 자동차 분야, 건축 분야 및 기타 생활 소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PC/ABS 얼로이는 열에 의한 변색 안정성이 낮고, 자외선 안정성이 떨어져 성형품 자체를 직접 부품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적절한 후가공, 구체적으로 도금, 도장, 수전사 등으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다.
그 중 도장은 후가공 중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다양한 칼라의 구현이 가능하고 다른 후가공 공정 등에 비해 비교적 저렴하여 범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장은 부품 성형, 부품 표면 에칭, 도장 용액 도포/건조 및 코팅 등의 공정 순으로 진행이 되며, 이 때 사용되는 도장 용액은 대부분 유기화합물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 사출성형 등의 성형 공정에서 발생된 부품의 결함, 즉 표면 결함(defect), 표면 웰드(weld) 혹은 흐름 자국(flow mark) 등을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외관을 더욱 부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 후 부품의 잔류 응력은 유기화합물 용제로 인한 도장 결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외관이나 도장 결함에 의해 생기는 도장 후 표면에서의 크랙, 침식 및 도장 외관의 불균일성은 공정 상에서 일부 개선될 수 있으나, 공정이 복잡해지고 개선 정도가 미미하여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또한, 도장성을 향상시키고자 아크릴계 가소제를 사용하는 등의 시도도 있었으나, 도장성 개선에 한계가 있었으며, 흐름성 또한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재 자체의 도장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내충격성 등 PC/ABS 얼로이의 뛰어난 특성을 유지하면서, 유동성을 유지하고, 도장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도장성, 내충격성, 내화학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E) 상용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100,000 g/mol 내지 1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130,000 g/mol 내지 14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해,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중량% 내지 60 중량%;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8 중량% 내지 22 중량%;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7 중량% 내지 12 중량%;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15 중량%;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6 중량% 내지 12 중량%;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 중량% 내지 8 중량%; 및 (E) 상용화제 1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할로겐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E)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E)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E)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상용화제의 성분 및 함량을 최적화하고 상용화제로 아크릴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성형품에 흐름 자국, 웰드 라인 등의 결함이 현저히 줄어들어 도장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기준으로 평균 입경이 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함량을 한정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자체의 우수한 특성이 유지되면서,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여 도장성이 개선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성형품 외관이 우수하여 도장성이 개선됨으로써 종래의 상도층/하도층과 같은 이중층 도장을 하지 않고, 단일층의 도장만으로 도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공중합"이란 블록 공중합, 랜덤 공중합, 그라프트 공중합 또는 교호 공중합을 의미할 수 있고, "공중합체"란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또는 교호 공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는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E)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는 카보네이트 결합을 가진 폴리에스테르로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수지 조성물 분야에서 이용 가능한 임의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와 포스겐, 할로겐산 에스테르, 탄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30047681-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5 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할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6 사이클로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10 사이클로알킬리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 알콕실렌기, 할로겐산 에스테르기, 탄산 에스테르기, CO, S 및 S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연결기이며,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이며,
n1 및 n2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페놀류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반복단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디페놀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로퀴논, 레조시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라고도 함),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디페놀류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2종 이상의 디페놀류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분지형(branched)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는 트리멜라틱 무수물, 트리멜리틱산 등과 같은 다관능성 방향족 화합물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되는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수지는 이관능성 카르복실산을 디페놀류 및 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되는 카보네이트는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아릴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 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 g/mol 내지 2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0 g/mol 내지 40,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우수한 내충격성 및 유동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하는 유동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중량평균 분자량이 다른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제조 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40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 중량%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4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외관 특성이 좋지 않으며, 6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떨어질 수 있다.
(B, B', B'')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 B', B'')는 시안화비닐 화합물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로는 할로겐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SAN)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안화비닐 화합물 32 중량% 내지 35 중량%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 65 중량% 내지 68 중량%가 공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100,000 g/mol 내지 1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안화비닐 화합물 27 중량% 내지 30 중량%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 70 중량% 내지 73 중량%가 공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130,000 g/mol 내지 14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시안화비닐 화합물 22 중량% 내지 25 중량% 및 방향족비닐 화합물 75 중량% 내지 78 중량%가 공중합되어 형성된 공중합체(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2 중량% 내지 2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150,000 g/mol 내지 16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외관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8 중량% 내지 22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B')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7 중량%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도장성이 떨어질 수 있다.
(C-1, C-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성분으로 된 중심부(코어, core)와 그 중심부를 주위로 아크릴로니트릴과 스티렌을 그라프트 중합 반응시켜 쉘(shell)을 형성한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어를 구성하는 고무질 중합체 성분은 특히 저온에서의 충격 강도를 향상시키며, 쉘 성분은 연속상, 예를 들면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와 고무질 중합체의 계면에 위치하여 계면 장력을 낮추어 분산상의 고무질 중합체 입자 크기를 작게하는 한편, 계면에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로 명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평균 입경이란 체적평균 직경이고,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입도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Z-평균 입경을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첨가하고 유화중합, 벌크중합 등 통상의 중합방법을 통해 그라프트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0nm 내지 350nm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는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2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스티렌 2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50nm 내지 550nm일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는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20 중량% 내지 60 중량%, 상기 스티렌 2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5 중량% 내지 4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를 혼합 후 용융혼련하여 제조하거나,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첨가하여 벌크중합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 15 중량% 내지 6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35 중량% 및 8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100 중량%에 대하여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 10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 중량부 초과로 포함되면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입경을 가지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혼합되어 있으며,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 중량% 내지 14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6 중량% 내지 12 중량%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1) 및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C-2)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함량으로 분포하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도장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일반적으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와 1,4-부탄디올 또는 그 유도체로부터 중축합반응에 의해 얻어진 수지이지만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디카르복실산이나 글리콜 등을 공중합한 것도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공중합 가능한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이소프탈산, 2-클로로 테레프탈산, 2,5-디클로로테레프탈산, 2-메틸테레프탈산, 4,4-스틸벤디카르복실산, 4,4-비페닐디카르복실산, 오르토 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비스안식향산, 비스(p-카르복시페닐) 메탄, 안트라센 디카르본산, 4,4-디페닐에테르디카르복실산, 4,4-디페녹시에탄디카르본산, 아디프산(adipic acid), 세바스산, 아젤라산, 도데칸 이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들 공중합 가능한 디카르복실산은 예를 들면 예시된 물질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된 것이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 조합된 것이 혼합되고,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공중합 가능한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트랜스-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 디올, 시스-2,2,4,4,-테트라메틸-1,3-사이클로부탄 디올, 네오펜틸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1,3-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데카메틸렌글리콜, 사이클로헥산 디올, p-크실렌 디올,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비스(2-하이드록시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중합 가능한 글리콜은 예를 들면 예시된 물질 중에서 적당하게 선택된 것이 단독으로 혹은 2 종류 이상 조합된 것이 혼합되고,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해 성형되는 성형품의 내충격성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고유점도가 0.7 내지 1.50 dl/g 일 수 있다.
그리고,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D)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3 중량% 내지 8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D)가 3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성형품에서 웰드라인이 발생하고,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등 도장성 및 외관 특성이 저하된다. 또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가 8 중량% 초과로 포함될 경우, 내열성 저하 및 색 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E) 상용화제
상용화제(E)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간의 상용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서,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반복단위로 1종 이상의 아크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이종(異種)인 아크릴계 화합물, 헤테로 고리 화합물 또는 이들의 조합의 화합물이 공중합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이종인 아크릴계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로는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은 C1 내지 C10 알킬을 의미한다. 상기 메타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중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킬 화합물,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케닐 화합물,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헤테로사이클로알키닐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헤테로 고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무수말레인산, 알킬 또는 페닐 N-치환 말레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바람직한 예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7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상기 비율로 이루어지는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상용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0 g/mol 내지 10,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0,000 g/mol 내지 10,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0 g/mol 내지 8,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00 g/mol 내지 6,000,000 g/mol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경우 사출성형 시의 전단속도 영역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조성 성분간의 모폴로지(morphology)가 안정해진다.
경우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단독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4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용화제가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상용성이 떨어지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이 떨어져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F) 기타 첨가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활제, 가소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또는 착색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최종 성형품의 특성에 따라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연소성을 감소시키는 물질로, 포스페이트(phosphate) 화합물, 포스파이트(phosphite) 화합물, 포스포네이트(phosphonate) 화합물, 폴리실록산, 포스파젠(phosphazene) 화합물, 포스피네이트(phosphinate) 화합물 또는 멜라민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활제는 가공·성형·압출 중에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접촉하는 금속 표면을 윤활시켜 수지 조성물의 흐름 또는 이동을 도와주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가공 작업성 또는 팽창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고온에서 혼련 또는 성형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열적 분해를 억제하는 물질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과 산소와의 화학적 반응을 억제 또는 차단시킴으로써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고유 물성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로, 페놀형, 포스파이트형, 티오에테르형 또는 아민형 산화방지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안정제는 자외선으로부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분해되어 색이 변하거나 기계적 성질이 상실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시키는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힌더드 페놀형, 벤조페논형 또는 벤조트리아졸형 광안정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착색제는 통상적인 안료 또는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구성 성분과 기타 첨가제들을 동시에 혼합한 후 압출기 내에서 용융 압출하는 방법에 의하여 펠렛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성형품은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과 도장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내충격성 및 도장성이 요구되는 성형품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전체를 100 중량%로 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중량%로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성분을 건식 혼합하고 이축 압출기(L/D=29, φ=45mm)의 공급부에 정량적으로 연속 투입하여 용융/혼련하였다. 이어서 이축 압출기를 통해 펠렛화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약 80℃에서 약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실린더 온도 약 260℃, 금형 온도 약 60℃의 6 oz 사출 성형기를 사용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 2mm 두께의 성형성을 검증할 수 있는 spiral flow 측정용 시편, 도장성/내화학성 평가용 20cm × 5cm × 0.2cm 시편을 사출성형 하였다.
(단위: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A) 50 50 50 50 50 52 45
(B) 14 22 14 8 14 14 14
(B') 8 - - 7 8 8 8
(B'') - - 8 7 - - -
(C-1) 13 13 13 13 13 13 13
(C-2) 9 9 9 9 9 9 9
(D) 3 3 3 3 5 1 8
(E) 3 3 3 3 1 3 3
(단위: 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A) 50 50 50 50 50 30 70
(B) 28 25 25 - - 19 8
(B') - - - - 22 13 4
(B'') - - - 22 - - -
(C-1) 13 13 13 13 13 19 8
(C-2) 9 9 9 9 9 13 4
(D) - - 3 3 3 3 3
(E) - 3 - 3 3 3 3
상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5,000g/mol인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롯데첨단소재社)
(B)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5 중량%, 스티렌 함량이 65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00,000 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롯데첨단소재社)
(B')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30 중량%, 스티렌 함량이 70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30,000 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롯데첨단소재社)
(B'') 방향족비닐 화합물- 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24 중량%, 스티렌 함량이 76 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50,000 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수지(롯데첨단소재社)
(C-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부타디엔 고무 함량이 50 중량%이고, 고무의 평균 입경이 약 350nm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롯데첨단소재社)
(C-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부타디엔 고무 함량이 12 중량%이고, 고무의 평균 입경이 약 500nm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롯데첨단소재社)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고유점도가 0.83 dl/g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Shinkong社, K001)
(E) 상용화제
에틸아크릴레이트-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Dow Chemical社, Paraloid K125P)
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1) Izod 충격강도(kgf·cm/cm): 1/8" 두께의 노치(nothed) 시편에 대하여 ASTM D256 규격에 따라 각각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2) HDT(℃): 1/4” 두께의 시편에 대하여 ASTM D648 규격에 따라 1.82MPa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3) Spiral flow length(mm):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사출 성형온도 250℃에서 사출압력과 보압을 최소화한 후, 수지 조성물의 자체의 용융 점도 특성만으로 얼마만큼 금형을 채우는지를 측정하였다. 즉 금형을 채운 길이가 길수록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4) 도장 외관: 20cm × 5cm × 0.2cm 시편을 1 gate로 일정 사출속도에서 사출성형한 후, 메탈실버 도장액(에코넷, VZ-21SV75)을 에어 건으로 도포, 60℃에서 30분 간 건조시켰다. 시편 표면에 흐름 자국, 침식 및 크랙 등의 외관의 결함 발생 정도를 비교하여, 외관의 결함 발생이 없을 경우 10, 극도로 심할 경우 1로 표시하였다.
(5) 시너 침지 후 외관: 20cm × 5cm × 0.2cm 시편을 1 gate로 일정 사출속도에서 사출성형한 후, 이 시편을 애경 페인트社의 시너(thinner)에 2분 간 침지시킨 후 건조시켰다. 시너 침지한 시편 표면에 흐름 자국, 침식 및 크랙 등의 외관의 결함 발생 정도를 비교하여, 외관의 결함 발생이 없을 경우 10, 극도로 심할 경우 1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Izod 충격강도
(23℃)
60 50 52 55 55 58 52
Izod 충격강도
(-30℃)
25 21 23 22 22 23 15
HDT 105 104 104 104 101 105 99
Spiral flow
length (250℃)
340 350 330 310 355 335 360
도장 외관 10 8 8 9 9 7 10
신나 침지 후
외관
10 9 7 8 9 8 10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Izod 충격강도
(23℃)
55 65 50 60 55 50 45
Izod 충격강도
(-30℃)
13 15 10 24 22 8 12
HDT 105 104 103 105 104 97 111
Spiral flow length (250℃) 355 340 355 275 320 320 290
도장 외관 3 5 6 6 6 2 8
신나 침지 후
외관
2 4 6 5 4 1 7
상기 표 3 및 표 4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상용화제를 최적의 함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유동성을 유지하면서, 내화학성, 내충격성 및 도장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구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4)

  1.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해,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40 중량% 내지 60중량%;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8 중량% 내지 22 중량%;
    (C-1)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200nm 내지 350nm인 제1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중량% 내지 15 중량%;
    (C-2)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경이 400nm 내지 600nm인 제2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6 중량% 내지 12 중량%;
    (D)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3 중량% 내지 8 중량%; 및
    (E) 상용화제 1 중량% 내지 5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100,000 g/mol 내지 12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130,000 g/mol 내지 14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5. 제3항에서,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상기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보다
    많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총량에 대해,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32 중량% 내지 35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8 중량% 내지 22 중량%; 및
    (B') 시안화비닐 화합물 함량이 27 중량% 내지 30 중량%인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 7 중량% 내지 12 중량%
    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서,
    상기 시안화비닐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은 할로겐 또는 C1 내지 C10 알킬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서,
    상기 방향족비닐 화합물-시안화비닐 화합물 공중합체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에서,
    상기 상용화제(E)는 아크릴계 화합물 및 상기 아크릴계 화합물과 공중합 가능한 화합물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2. 제11항에서,
    상기 상용화제(E)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서,
    상기 상용화제(E)는 상기 에틸아크릴레이트 30 중량% 내지 70 중량% 및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0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성형품.
KR1020170181481A 2016-12-30 2017-12-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187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4152 2016-12-30
KR20160184152 2016-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194A KR20180079194A (ko) 2018-07-10
KR102018712B1 true KR102018712B1 (ko) 2019-09-04

Family

ID=6270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481A KR102018712B1 (ko) 2016-12-30 2017-12-27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1978B2 (ko)
JP (1) JP7078626B2 (ko)
KR (1) KR102018712B1 (ko)
CN (1) CN110139898B (ko)
WO (1) WO2018124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48A1 (ko)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220045768A (ko) * 2020-10-06 2022-04-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474096B1 (ko) * 2020-10-27 2022-12-06 주식회사 삼양사 내충격성과 접합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22122754A1 (en) 2020-12-11 2022-06-16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Thermoplastic composition with good plating performan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73B1 (ko) 2009-07-31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3151A3 (en) 1986-12-30 1989-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Low temperature impact resistant polycarbonate/poly (cyclohexane-dimethylene terephthalate)/core-shell acrylate copolymer compositions
NL9300069A (nl) 1993-01-14 1994-08-01 Gen Electric Polymeermengsel samengesteld uit een aromatisch polycarbonaat, een polyalkyleentereftalaat en een entcopolymeer.
JP2000080227A (ja) 1998-09-04 2000-03-21 Ube Cycon Ltd 耐薬品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131398A (ja) 1999-11-02 2001-05-15 Techno Polymer Co Ltd 耐熱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5068301A (ja) 2003-08-25 2005-03-17 Techno Polymer Co Ltd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6045337A (ja) 2004-08-04 2006-02-16 Umg Abs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DE102005018472A1 (de) 2005-04-21 2006-10-26 Bayer Materialscience Ag Polycarbonat-Formmassen
KR100680338B1 (ko) 2005-12-07 2007-0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저광택 폴리카보네이트계 얼로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5314311B2 (ja) 2008-03-28 2013-10-1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CN101508833A (zh) 2008-11-28 2009-08-19 上海锦湖日丽塑料有限公司 一种耐化学品性优异的pc/abs合金
KR101174089B1 (ko) 2009-06-12 2012-08-14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DE102009059076A1 (de) 2009-12-18 2011-06-22 Bayer MaterialScience AG, 51373 Kratzfeste, schlagzähe Polycarbonat-Formmassen mit guten mechanischen Eigenschaften I
JP2011153294A (ja) 2009-12-28 2011-08-11 Toray Ind Inc 強化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KR101531613B1 (ko) 2011-11-24 2015-06-25 제일모직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30070051A (ko) * 2011-12-19 2013-06-27 제일모직주식회사 흠 저항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4693750A (zh) 2013-12-10 2015-06-10 青岛同创节能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耐热增强改性pc/pbt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799638B1 (ko) 2014-08-18 2017-11-21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외장용 성형품
KR101772259B1 (ko) 2014-11-26 2017-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 얼로이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781681B1 (ko) 2014-12-10 2017-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고광택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
KR101795132B1 (ko) * 2015-04-24 2017-11-08 롯데첨단소재(주)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8124748A1 (ko) 2016-12-30 2018-07-05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673B1 (ko) 2009-07-31 2012-12-1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39898A (zh) 2019-08-16
KR20180079194A (ko) 2018-07-10
JP7078626B2 (ja) 2022-05-31
JP2020503407A (ja) 2020-01-30
CN110139898B (zh) 2022-06-10
WO2018124748A1 (ko) 2018-07-05
US11161978B2 (en) 2021-11-02
US20190352499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1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18712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9588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9677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80079200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826474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使用其的模制品
KR1020014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10964303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和使用其制造的模制品
US11352494B2 (en) Anti-static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JPH041261A (ja) 靱性および加水分解耐性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ポリエステル配合物
KR20190066391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56651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02935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182995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TWI674290B (zh) 具尺寸穩定性之聚碳酸酯-聚對酞酸伸烷基酯模塑料
US20210332234A1 (en) Composition and thermoplastic molding compound having reduced gloss and good chemical resistance
KR20180078891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4299672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CA1225774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JPH0892469A (ja)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S636050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20706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20130073538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