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502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502A
KR20160121502A KR1020167000487A KR20167000487A KR20160121502A KR 20160121502 A KR20160121502 A KR 20160121502A KR 1020167000487 A KR1020167000487 A KR 1020167000487A KR 20167000487 A KR20167000487 A KR 20167000487A KR 20160121502 A KR20160121502 A KR 2016012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laminated glass
less
polyvinyl acetal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561B1 (ko
Inventor
료우스께 고마쯔
준 사사끼
다쯔야 이와모또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4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icular extruding conditions, e.g. in a modified atmosphere or by using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4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8Plasticizers; 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바다 형상의 암부와, 복수의 섬 형상의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가 관찰되고, 상기 암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명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 유리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 비산량이 적고,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이고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 이하의 가소제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최근, 환경 부하의 저감을 위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새로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원료의 일부로서, 재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새로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원료의 일부로서 재이용하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의 존재 상태에 기인하여,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투명성이 낮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고, 더욱 구체적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병용해도,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바다 형상의 암부와, 복수의 섬 형상의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가 관찰되고, 상기 암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명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50㎚ 이상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50㎚ 이상 4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고,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이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미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이 7.8% 이하이고, 다른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이 0.5% 이상 7.8%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가소제를 포함한다.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50㎚ 이상 4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50㎚ 이상 400㎚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바다 형상의 암부와, 복수의 섬 형상의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가 관찰되고, 상기 암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명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이므로,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다층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다층의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절결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포함되는 중간막에 대해,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의 일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중간막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바다 형상의 암부와, 복수의 섬 형상의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가 관찰된다. 상기 암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명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술한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특히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투명성을 높일 수 있다. 특정한 크기의 상기 섬 형상의 명부는 투명성을 높게 유지하는 것에 크게 기여한다.
상기 투과형 전자 현미경에서의 관찰은, 예를 들어 배율 3000배로 7.29㎛×7.29㎛(정사각형)의 영역을 관찰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화상에 대해, 포토샵(Photoshop) CS4 ver.11.0(Adobe사제)을 사용하여, 역치 170으로, 2치화 처리를 행한다. 2치화 처리 후에, 명부 영역의 화소수(픽셀수)를 구한다. 픽셀수에 의해,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 및 명부의 면적률을 구한다. 또한, 2치화 처리할 때에, 포토샵을 기동하여, 「이미지」, 「색조 보정」 및 「2계조화」를 이 순서로 선택하여, 역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샘플은 이하와 같이 하여 얻어진다. 중간막을 오스뮴 염색한 후에, 중간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을, 두께 방향과는 수직 방향으로, 크라이오 미크로톰(LEICA사제: UC7)으로 두께 70㎚의 절편을 얻도록 잘라낸 것을 측정 샘플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막을 트리밍한 소편을 2% 오스뮴산 수용액으로, 60℃에서 12시간 염색한 후에 세정하고, 중간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을, 두께 방향과는 수직 방향으로, 크라이오 미크로톰(LEICA사제, 본체: UCT, 크라이오 챔버: EMFCS)에 의해, 소편 온도 -20℃에서 두께 70㎚의 절편을 잘라내어, 지지막을 펼친 시트 메쉬 위에 적재하여, 측정 샘플로 하였다.
투명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4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이다.
투명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4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 이하이다.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명부 영역의 면적률)은,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다.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7.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6%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기 위해,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합성 조건을 제어함으로써도,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수산기를 갖고,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수산기를 갖고,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해, 투명성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명부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양쪽이 반드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일 필요는 없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기 위해, 적어도 2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1) 제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1 중간막과, 제2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중간막을 사용해도 되고, 2) 제1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과, 새로운 원료로서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되고, 3) 새로운 원료로서 제1 열가소성 수지 및 제2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은 중간막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중간막의 양단부의 불필요 부분(귀),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중간막 주위의 불필요 부분(트림),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접합 유리의 불량품으로부터 유리판을 분리하고, 제거하여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사용 완료된 차량 및 노화된 건축물을 해체함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분리하고, 제거하여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등을 들 수 있다. 환경 부하를 저감시키기 위해,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중간막을 원료의 일부로서 재이용하는 대처로서,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X와, 층 X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Y가 적층된 다층 중간막을 원료의 일부로서 재이용하는 대처는 충분히 검토되어 있지 않다. 상기 다층 중간막을 원료의 일부로서 사용함으로써, 환경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투명성이 높아진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 및 실시예를 설명 함으로써 본 발명을 명백하게 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다층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부분 절결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중간막(1)은 2층 이상의 구조(적층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제1 층(2)과, 제1 층(2)의 제1 표면(2a)측에 배치된 제2 층(3)과, 제1 층(2)의 제1 표면(2a)과는 반대인 제2 표면(2b)측에 배치된 제3 층(4)을 구비한다. 제2 층(3)은 제1 층(2)의 제1 표면(2a)에 적층되어 있다. 제3 층(4)은 제1 층(2)의 제2 표면(2b)에 적층되어 있다. 제1 층(2)은 중간층이다. 제2 층(3) 및 제3 층(4)은, 예를 들어 보호층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 층(2)은 제2 층(3)과 제3 층(4)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은 제2 층(3)과 제1 층(2)과 제3 층(4)이 이 순서로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갖는다.
제2 층(3)의 제1 층(2)측과는 반대측의 표면(3a)은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층(4)의 제1 층(2)측과는 반대측의 표면(4a)은 접합 유리 부재가 적층되는 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층(2)과 제2 층(3) 사이 및 제1 층(2)과 제3 층(4)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층(2)과 제2 층(3) 및 제1 층(2)과 제3 층(4)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제1 층(2)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제2 층(3)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제3 층(4)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다층의 중간막(1)에서는 제1 층(2), 제2 층(3) 및 제3 층(4) 중 적어도 1층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이다. 제1 층(2)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이어도 되고, 제2 층(3)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이어도 되고, 제3 층(4)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이어도 된다. 3층 구조의 다층 중간막인 경우에, 표면층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한쪽의 표면층만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이어도 되고, 양쪽의 표면층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이어도 되고, 양쪽의 표면층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을 표면층(중간막)으로서 사용해도,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부분 절결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중간막(31)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31)은 제1 층이다. 중간막(3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3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31)은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상당하는 중간막(해도 상태에 있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1) 중간막(31)과 같이 단층의 중간막으로서,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도 되고, 2) 중간막(1)과 같이 다른 중간막과 함께 다층의 중간막으로서,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도 된다.
중간막(1)에서는 제1 층(2)의 양면에 제2 층(3)과 제3 층(4)이 1층씩 적층되어 있다. 다층의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단,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2 표면측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중간막의 취급성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중간막의 양측의 표면에서, 접합 유리 부재 등에 대한 접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중간막의 상기 제2 층의 외측의 표면의 접합 유리 부재에 대한 접착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상기 중간막은 적어도 1종의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바다 형상의 암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1 열가소성 수지로 한다. 상기 섬 형상의 명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를 제2 열가소성 수지로 한다. 투명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몰% 이상이다.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이다. 투명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5몰% 이하이다.
상기의 특정한 암부 및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로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1500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바다 형상의 암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상기 바다 형상의 암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로 한다. 상기 섬 형상의 명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상기 섬 형상의 명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로 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중, 가장 함유량이 많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중, 가장 함유량이 많은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적절히 높아지고, 또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24.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적절히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접착성 및 투명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및 투명성을 보다 한층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몰%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3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에서,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6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에서 산출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므로,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아세틸화도 (2a)가 8몰% 이하이고, 또한 아세탈화도 (2a)가 70몰%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이거나, 또는 아세틸화도 (2b)가 8몰% 초과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여도 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여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의 아세틸화도 (2a)는 8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2a)가 상기 상한 이하 및 상기 하한 이상이면,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의 아세탈화도 (2a)는 7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1.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1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9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2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2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의 수산기의 함유율 (2a)은,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2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2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의 아세틸화도 (2b)는 8몰% 초과,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2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 (2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의 아세탈화도 (2b)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4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8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2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2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의 수산기의 함유율 (2b)은,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5몰% 미만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2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2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B)는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이 수산기의 함유율이 다른 적어도 2종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 중간막에 포함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 중,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미만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5.5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2중량% 이하이다.
(가소제)
상기 중간막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부 영역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명부 영역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가소제와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가소제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1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스산 알키드 및 인산 에스테르와 아디프산 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 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 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에 대해, 상기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가소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2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가소제를 가소제 (1)로 한다. 상기 암부 영역에 있어서, 제1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 (1)의 함유량을 함유량 (1)로 한다.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가소제를 가소제 (2)로 한다.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제2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가소제 (2)의 함유량을 함유량 (2)로 한다.
상기 제1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9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2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고, 또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 또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 (2)는,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2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1)과 상기 함유량 (2)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2중량부 이하이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은 필요에 따라 산화 방지제, 자외선 차폐제, 광안정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상세)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중간막을 얻는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른 중간막과 적층하여 다층의 중간막을 얻는 경우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므로,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도 3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하는 다층의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1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을 구비한다. 중간막(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의 제2 표면(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2 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3 층(4)의 외측 표면(4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 대신에, 중간막(31)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단독으로,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중간막과 함께,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고,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중 적어도 한 쪽이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유리 및 선이 그어진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우고,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고 감압 흡인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절히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PVB (1)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4몰%, 아세틸화도 0.8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8.8몰%)
PVB (2)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PVA의 평균 중합도, PVB (2)의 수산기의 함유율, 아세틸화도 및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는 하기의 표 1 참조)
상기의 폴리비닐부티랄(PVB) 수지에 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다.
(가소제)
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다른 성분:
T-326 (자외선 차폐제,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바스프(BASF)사제 「티누빈(Tinuvin) 326」)
BHT (산화 방지제, 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중간막의 제작:
PVB (1) 100중량부와, PVB (2) 0.87중량부와, 가소제 (3GO) 4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티누빈 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함으로써, 중간막(두께 800㎛)을 얻었다.
접합 유리의 제작:
얻어진 중간막을, 세로 80㎜×가로 80㎜로 잘라냈다. 다음에, 2매의 투명한 플로트 유리(세로 80㎜×가로 80㎜×두께 2.5㎜)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고, 진공 라미네이터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적층체에 있어서, 유리로부터 밀려나온 중간막 부분을 잘라 떨어뜨리고,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12 및 비교예 1)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종류 및 함유량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작하였다.
(평가)
(1)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에서의 관찰
중간막을 트리밍한 소편을 2% 오스뮴산 수용액으로, 60℃에서 12시간 염색한 후에 세정하고, 중간막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을, 두께 방향과는 수직 방향으로, 크라이오 미크로톰(LEICA사제, 본체: UCT, 크라이오 챔버: EMFCS)에 의해, 소편 온도 -20℃에서 두께 70㎚의 절편을 잘라내고, 지지막을 부착한 시트 메쉬 위에 적재하여, 측정 샘플로 하였다.
얻어진 측정 샘플에 대해, 투과형 전자 현미경(JEOL사제 「JEM-2100」)을 사용하여, 배율 3000배로 7.29㎛×7.29㎛(정사각형)의 영역을 관찰하였다. 상기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된 화상에 대해, 포토샵 CS4 ver.11.0(Adobe사제)을 사용하여, 역치 170으로, 2치화 처리를 행하였다. 2치화 처리 후에, 명부 영역의 화소수(픽셀수)를 구한다. 픽셀수에 따라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 및 명부의 면적률을 구하였다.
해도 상태인지 여부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암부 영역의 면적과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명부 영역의 면적률을 평가하였다. 또한,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과,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을 구하였다. 또한,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란, 관찰된 영역에 확인된 모든 명부의 긴 직경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란, 관찰된 영역에 확인된 모든 명부의 긴 직경을 작은 순으로 배열했을 때의 중앙값을 의미한다. 또한, 암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수산기의 함유율이 높은 열가소성 수지(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포함되므로, PVB (1)이 포함되고, 명부 영역에는 상대적으로 수산기의 함유율이 낮은 열가소성 수지(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포함되므로, PVB (2)가 포함되어 있었다.
[해도 상태]
A: 해도 상태이다
B: 해도 상태가 아니다
(2) 투명성
얻어진 접합 유리에 대해, 변각 광도계(무라카미 컬러 리서치 랩(Murakami color research Lab)사제 「GONIOPHOTOMETER GP-200」)를 사용하여, 검출기 각도 30°, 하이 볼트(High Volt) 900, 감도 900의 조건으로, 산란값을 측정하였다. 산란값이 낮을수록, 흐림의 정도가 적고,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또한, 산란값은 1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또한,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 포함되는 중간막에 대해,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화상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1 : 중간막(다층의 중간막)
1a : 제1 표면
1b : 제2 표면
2 : 제1 층(중간막)
2a : 제1 표면
2b : 제2 표면
3 : 제2 층(중간막)
3a : 외측의 표면
4 : 제3 층(중간막)
4a : 외측의 표면
11 : 접합 유리
21 :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 중간막(단층의 중간막)

Claims (14)

  1. 투과형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에, 바다 형상의 암부와, 복수의 섬 형상의 명부를 갖는 해도 상태가 관찰되고,
    상기 암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명부 영역에 열가소성 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4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50㎚ 이상 400㎚ 이하이거나, 또는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50㎚ 이상 4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다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고,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높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암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부 영역에 포함되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5몰% 미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이 7.8%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부 영역의 면적과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의 전체에서 차지하는 상기 명부 영역의 면적이 0.5% 이상 7.8%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산술 평균값이 50㎚ 이상 4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부의 긴 직경의 중앙값이 50㎚ 이상 4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4.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67000487A 2014-02-20 2015-02-2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38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0890 2014-02-20
JP2014030890 2014-02-20
PCT/JP2015/054840 WO2015125932A1 (ja) 2014-02-20 2015-02-20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502A true KR20160121502A (ko) 2016-10-19
KR102338561B1 KR102338561B1 (ko) 2021-12-14

Family

ID=53878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487A KR102338561B1 (ko) 2014-02-20 2015-02-2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60347035A1 (ko)
EP (1) EP3109214B1 (ko)
JP (2) JP5855801B1 (ko)
KR (1) KR102338561B1 (ko)
CN (1) CN105377788B (ko)
MX (1) MX2016010768A (ko)
RU (1) RU2666563C2 (ko)
WO (1) WO20151259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85657C2 (ru) * 2014-03-31 2019-04-22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ко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межуточной пленки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кол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WO2017135470A1 (ja) * 2016-02-05 2017-08-10 株式会社クラレ 積層体
JP6949836B2 (ja) * 2017-03-31 2021-10-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8181748A1 (ja) * 2017-03-31 2018-10-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10438575B2 (en) 2017-11-20 2019-10-08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Multilayer film, interlayer film comprising the multilayer film and laminated glass and sound-insulating glass laminate comprising the interlayer fil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KR20100098562A (ko) * 2007-12-18 2010-09-0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합판 유리용 중간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US20110049434A1 (en) * 2008-11-13 2011-03-03 Kenichi Ootsuki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JP5507839B2 (ja) * 2007-05-17 2014-05-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含有樹脂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8182B2 (ja) * 1980-04-14 1985-1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組成物
DE69107117T2 (de) * 1990-05-14 1995-09-21 Sekisui Chemical Co Ltd Zwischenlagen zur Verwendung in schallisolierenden Verbundgläsern.
TW574161B (en) * 2000-03-02 2004-02-01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2002104878A (ja) * 2000-09-29 2002-04-10 Sekisui Chem Co Ltd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用スラリー組成物及びグリーンシート
JP2002326844A (ja) * 2001-04-27 2002-11-1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TWI269709B (en) * 2001-12-06 2007-01-01 Toray Industries Laminated film and process for producing laminated film
WO2005068577A1 (ja) * 2004-01-20 2005-07-2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制振材料および制振金属板
TWI294904B (en) * 2004-05-11 2008-03-21 Hitachi Chemical Co Ltd Adhesive film, lead frame with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device using same
EP1887026B1 (en) * 2005-06-03 2017-07-26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queous resin dispers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coating material, and multilayer body
EP2223965B1 (en) * 2007-12-20 2013-03-27 Kuraray Co., Ltd. Thermoplastic polymer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composed of the same
CA2708523C (en) * 2008-01-23 2016-03-0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5244437B2 (ja) * 2008-03-31 2013-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紫外線吸収剤組成物
EP2330090B2 (en) * 2008-09-30 2019-10-23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EP2415731B1 (en) * 2009-03-31 2015-02-25 Sekisui Chemical Co., Ltd. Method for producing slurry composition
CN103282324B (zh) * 2010-12-28 2019-09-27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5890651B2 (ja) * 2011-10-27 2016-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再生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6073590B2 (ja) * 2012-01-27 2017-02-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形成用シート製造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形成用シート
EP2977403B1 (en) * 2013-03-22 2021-01-27 Kuraray Co., Ltd. Polyvinyl acetal composition
WO2014147841A1 (ja) * 2013-03-22 2014-09-25 株式会社クラレ 透明性に優れる組成物
JP2014214211A (ja) *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形成用シート製造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形成用シート
US20140363651A1 (en) * 2013-06-10 2014-12-11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improved optical properties
JP6262976B2 (ja) * 2013-09-30 2018-0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組成物
RU2646641C2 (ru) * 2013-09-30 2018-03-06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5507839B2 (ja) * 2007-05-17 2014-05-2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含有樹脂
KR20100098562A (ko) * 2007-12-18 2010-09-07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합판 유리용 중간층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합판 유리
US20110049434A1 (en) * 2008-11-13 2011-03-03 Kenichi Ootsuki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25932A1 (ja) 2017-03-30
EP3109214A4 (en) 2017-09-13
JP6411319B2 (ja) 2018-10-24
JP5855801B1 (ja) 2016-02-09
CN105377788A (zh) 2016-03-02
EP3109214A1 (en) 2016-12-28
EP3109214B1 (en) 2020-11-11
US20200269550A1 (en) 2020-08-27
US11274200B2 (en) 2022-03-15
MX2016010768A (es) 2016-11-29
RU2016137309A3 (ko) 2018-03-21
KR102338561B1 (ko) 2021-12-14
US20160347035A1 (en) 2016-12-01
RU2016137309A (ru) 2018-03-21
WO2015125932A1 (ja) 2015-08-27
JP2016064984A (ja) 2016-04-28
CN105377788B (zh) 2019-09-27
RU2666563C2 (ru) 201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8357B1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KR102542802B1 (ko) 접합 유리
US11274200B2 (en)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TW201710358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KR2017006343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64974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WO2017170727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TWI781097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JP5855796B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504658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90002737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40501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JP201706600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661309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05032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2016153350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05259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2017071530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