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3431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3431A
KR20170063431A KR1020167027696A KR20167027696A KR20170063431A KR 20170063431 A KR20170063431 A KR 20170063431A KR 1020167027696 A KR1020167027696 A KR 1020167027696A KR 20167027696 A KR20167027696 A KR 20167027696A KR 20170063431 A KR20170063431 A KR 20170063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ss
polyvinyl acetal
interlayer
acetal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오루 미까야마
야스하루 나가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9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silic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8Refra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중간막의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나타내는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가 -30℃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이 1.47 이상, 1.51 이하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과,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이고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 이하인 가소제를 포함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33℃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중합체층인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상기 중합체층이, 두께가 4.0㎜ 이하인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US2013/0236711A1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서는 강성이 낮은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에 사용되는 경우, 접합 유리를 고정하는 프레임이 없어, 접합 유리의 강성이 낮은 것에 기인하는 휨이 원인으로, 유리의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근년,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기 위해, 유리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진 접합 유리에 있어서, 유리판의 두께를 얇게 하면, 강성을 충분히 높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근년,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 중간막에 과잉량의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중간막에 과잉량의 가소제를 첨가함으로써,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과잉량의 가소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중간막의 표면에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에 있어서, 각 층에 사용하는 가소제의 함유량을 상이하게 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층의 중간막에서는 가소제의 함유량이 많은 층으로부터, 가소제의 함유량이 적은 층으로 가소제가 이행하여, 중간막의 표면 또는 각 층 사이의 계면에 가소제가 블리드 아웃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결과, 중간막의 탄성률이 변화되거나, 중간막의 접착성이 저하되거나,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저하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간막을 얻기 위해, 중간막을 얻기 위해 적어도 1회 사용된 회수 재료(회수 중간막)를 재이용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중간막의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나타내는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가 -30℃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이 1.47 이상, 1.51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이 5중량% 이상, 60중량% 이하,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4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500000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이 0.003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는 다른 수지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아크릴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고무 또는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아크릴 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2 층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이 가소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나타내는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가 -30℃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이 1.47 이상, 1.51 이하이므로,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굴곡 강성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은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나타내는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는 -30℃ 이상, 10℃ 이하이다.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은 1.47 이상, 1.51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에서는 상기의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중간막은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배치된다. 제1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가 얇아도,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의 두께가 얇아도,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강성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의 두께가 두꺼우면,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강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판의 두께가 얇아도, 중간막에 기인하여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일 수 있으면, 접합 유리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접합 유리가 경량이면, 접합 유리에 사용하는 재료의 양을 적게 할 수 있어,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경량인 접합 유리를 자동차에 사용하면,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환경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의 강성이 높으므로,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의 두께가 두꺼우면,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강성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차음성을 높일 수 있고, 손실 계수의 피크 주파수를 적합한 범위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실 계수의 피크 주파수를 3000 내지 8000㎐의 범위로 제어할 수 있고, 4000㎐ 이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중간막을 얻기 위해, 중간막을 얻기 위해 적어도 1회 사용된 회수 재료(회수 중간막)가 재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중간막을 얻기 위해 적어도 1회 사용된 회수 재료(회수 중간막)로서는, 중간막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중간막의 양 단부의 불필요 부분(귀(耳)),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중간막의 주위의 불필요 부분(트림),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한 접합 유리의 불량품으로부터 유리판을 분리하고, 제거하여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사용 완료의 차량 및 노후화된 건축물을 해체함으로써 얻어진 접합 유리로부터, 유리판을 분리하고, 제거하여 얻어지는 중간막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간막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해진 중간막도, 중간막을 얻기 위해 적어도 1회 사용된 회수 재료에 상당한다. 중간막 재료를 재혼련한 후의 헤이즈가 낮으면, 중간막 재료를 재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혼련 후의 헤이즈를 낮게 할 수 있어, 리사이클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거나,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거나,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에 더하여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중간막(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제1 층(1)과, 제2 층(2)과, 제3 층(3)을 구비한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에 제2 층(2)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의 제1 표면(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b)에 제3 층(3)이 배치되어 있고,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은 중간층이다. 제2 층(2) 및 제3 층(3)은 각각 보호층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제1 층(1)은 제2 층(2)과 제3 층(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따라서, 중간막(11)은 제2 층(2)과 제1 층(1)과 제3 층(3)이 이 순으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2 층(2)/제1 층(1)/제3 층(3))를 갖는다.
또한, 제2 층(2)과 제1 층(1) 사이 및 제1 층(1)과 제3 층(3)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층(2)과 제1 층(1) 및 제1 층(1)과 제3 층(3)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제1 층(1)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제2 층(2)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한다. 제3 층(3)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을 구성하는 각 층(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사용할 수 있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상기 제1 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3 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는 아세트아세탈화된 수지가 포함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 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2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2, 3 또는 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2 또는 4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생산이 효율적이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고,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또는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35몰% 미만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7.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차음성이 높아지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제2 수지 성분과의 상호 작용이 높아져, 강인성이 높아지고, 또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아세틸화도 (a)가 8몰% 이하이고, 또한 아세탈화도 (a)가 65몰%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이거나, 또는 아세틸화도 (b)가 8몰%를 초과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이거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틸화도 (a)는 8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 및 상기 하한 이상이면,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탈화도 (a)는 6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1몰% 이상,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71.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1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9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수산기의 함유율 (a)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4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1 층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8몰%를 초과하고,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탈화도 (b)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수산기의 함유율 (b)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2 층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 또는 폴리비닐부티랄-폴리비닐아세트아세탈 수지(모두 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수지 성분)
상기 제1 층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더하여,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우수하므로, 상기 제2 수지 성분은 상기 제1 층 중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용하고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 성분은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를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는 다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특히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수지 성분은 아크릴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고무 또는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크릴 중합체 또는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아크릴 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체에는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특히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아크릴 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의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의 종류 및 배합량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유리 전이 온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는 -30℃ 이상, 10℃ 이하이다.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한층 우수하므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상, 바람직하게는 3℃도 이하이다.
강성과 차음성을 밸런스 좋게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0.00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5 이하이다.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은 1.47 이상, 1.51 이하이다. 강성과 차음성을 밸런스 좋게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은 1.47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 걸쳐서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고, 특히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8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0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00 이하이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측정에 의해 구해지는 폴리스티렌 환산에서의 분자량을 나타낸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중에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점재하고 있거나, 상기 제2 수지 성분 중에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점재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해도(海島) 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다부이고, 또한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섬부이거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바다부이고, 또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섬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연결되어 있거나(연속된 구조를 갖고 있거나), 상기 제2 수지 성분은 연결되어 있거나(연속한 구조를 갖고 있거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공연속(共連續) 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그물눈상으로 존재하고 있거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그물눈상으로 존재하고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해도 구조 또는 공연속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층이,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2 수지 성분으로 해도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인성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바다를 구성하는 해도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해도 구조에 있어서, 섬부의 직경의 평균은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이다. 1개당의 섬부의 직경은 최대 직경을 나타내고, 섬부의 직경의 평균은 복수의 섬부의 직경(최대 직경)을 평균함으로써 구해진다.
강성과 차음성을 밸런스 좋게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합계 100중량% 중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이 5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60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하),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에서 유래되는 골격의 함유량이 40중량% 이상(바람직하게는 45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중량% 이하)이다.
(가소제)
상기 제1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한다. 상기 제1 층은 가소제 (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하게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 (1)과 상기 가소제 (2)와 상기 가소제 (3)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및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1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특히,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20중량부 이상이면, 강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기계적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지고,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35중량부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효과적으로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합계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은 바람직하게는 0중량부(미사용)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므로,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가소제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가소제는 비교적 고가이므로, 가소제의 사용량을 적게 함으로써, 중간막의 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중간막의 비용을 낮게 하기 위해, 상기 함유량 (2)는 상기 함유량 (1)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3)은 상기 함유량 (1)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중간막의 비용을 낮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2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및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22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하이다.
(차열성 화합물)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서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크고,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로 인해,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으므로,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는 하기 식 (X1) 또는 하기 식 (X2)로 일반적으로 표현된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하기 식 (X1) 또는 하기 식 (X2)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 (X1)에 있어서, W는 텅스텐, O는 산소를 나타내고, y 및 z는 2.0<z/y<3.0을 만족시킨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 (X2)에 있어서, M은 H, He,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원소, Mg, Zr, Cr, Mn, Fe, Ru,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Cd, Al, Ga, In, Tl, Si, Ge, Sn, Pb, Sb, B, F, P, S, Se, Br, Te, Ti, Nb, V, Mo, Ta 및 Re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 W는 텅스텐, O는 산소를 나타내고, x, y 및 z는 0.001≤x/y≤1 및 2.0<z/y≤3.0을 만족시킨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욱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 . 33WO3으로 표현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0.1g/㎡ 이상, 12g/㎡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g/㎡ 이상, 바람직하게는 11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g/㎡ 이하이다. 상기 비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차열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비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어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계 자외선 차폐제(금속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차폐제(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옥살산아닐리드계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및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차폐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차폐제에 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하므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데카(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 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위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및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이 병용될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상세)
접합 유리의 강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3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간막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6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및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강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강성이 높아진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중간막의 두께를 T로 한다. 상기 제1 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1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는 0.46875T 이하이거나, 0.45T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이 보다 한층 높아져,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이 보다 한층 높아져, 가소제의 블리드 아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므로,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 쪽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의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엠보싱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엠보싱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을 구비한다. 중간막(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2 층(2)의 외측 표면(2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3 층(3)의 외측 표면(3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과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고,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 판유리, 망입 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본 발명에 관한 중간막의 사용에 의해, 접합 유리의 두께가 얇아도, 접합 유리의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접합 유리를 경량화하거나, 접합 유리의 재료를 적게 하여 환경 부하를 저감하거나,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하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유리판 및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4㎜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3㎜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2㎜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7㎜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경량화에 의해 자동차의 연비를 향상시켜 환경 부하를 저감하거나 하는 관점에서는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2매의 유리판의 합계의 두께 및 2매의 접합 유리 부재의 합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6㎜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2㎜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8㎜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6㎜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4㎜ 이하,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더욱 한층 바람직하게는 1.6㎜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4㎜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우고,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고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 층과 제2 층과 제3 층을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유리, 사이드 유리, 리어 유리 또는 루프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6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8.5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800, 수산기의 함유율 34몰%, 아세틸화도 0.9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5.1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C):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4몰%, 아세틸화도 5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1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D): n-부틸알데히드를 사용,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24몰%, 아세틸화도 10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6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동일한 수치를 나타냈다.
(제2 수지 성분)
아크릴 중합체 (A): 아크릴산에틸 20중량%와, 아크릴산부틸 30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3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B): 아크릴산에틸 28중량%와, 아크릴산부틸 22중량%와, 아크릴산벤질 3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C): 아크릴산에틸 75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5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D): 아크릴산에틸 25중량%와, 아크릴산부틸 22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3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3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E): 아크릴산에틸 30중량%와, 아크릴산부틸 29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1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F): 아크릴산에틸 18중량%와, 아크릴산부틸 32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3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G): 아크릴산에틸 15중량%와, 아크릴산부틸 35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3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H): 아크릴산2-에틸헥실 60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I): 아크릴산에틸 20중량%와, 아크릴산부틸 30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5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25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J): 아크릴산2-에틸헥실 75중량%와, 아크릴산벤질 25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크릴 중합체 (K): 아크릴산에틸 60중량%와, 아크릴산부틸 30중량%와,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 10중량%를 포함하는 중합 성분을 중합시킨 아크릴 중합체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L): 아세트산 비닐 100중량%를 중합시킨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자외선 차폐제)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산화 방지제)
BHT(2,6-디-t-부틸-p-크레졸)
(실시예 1)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중량부와, 아크릴 중합체 (A) 30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2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Tinuvin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BHT) 0.2중량부를 혼합하여,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중간막의 제작: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공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제2 층(두께 330㎛)/제1 층(두께 100㎛)/제3 층(두께 330㎛)의 적층 구조를 갖는 중간막(두께 760㎛)을 제작하였다.
접합 유리의 제작:
세정 및 건조한 2개의 유리판(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 클리어 플로트 유리, 세로 25㎝×가로 10㎝×두께 2.5㎜)을 준비하였다. 이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얻어진 중간막을 끼워 넣고,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60㎩(20torr)의 진공도로 20분간 탈기하였다. 그 후, 탈기한 채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면서, 진공 프레스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압력 1.2㎫(12㎏/㎠)의 조건으로 20분간 압착을 행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20 및 비교예 1 내지 4)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하는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하는 배합 성분의 종류 및 배합량, 제1 층의 두께, 제2 층의 두께, 제3 층의 두께,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를, 하기의 표 1 내지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얻었다. 또한, 모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종류의 자외선 차폐제 및 산화 방지제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배합량(0.2중량부)으로 배합하였다. 또한, 공압출에 의해 중간막을 제조할 수 없는 경우는, 제1 층, 제2 층 및 제3 층을, 용액 캐스트법 또는 열 프레스법으로 각각 성형한 후에 적층함으로써, 용이하게 중간막이 얻어졌다.
(평가)
(1) 유리 전이 온도/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 층의 각 조성을 갖는 혼련물을 준비하였다. 얻어진 혼련물을 프레스 성형기로 프레스 성형하여, 두께가 0.35㎜인 수지막 A를 얻었다. 얻어진 수지막 A를 25℃ 및 상대 습도 30%의 조건으로 2시간 방치하였다. 2시간 방치한 후에, TA INSTRUMENTS사제 「ARES-G2」를 사용하여, 점탄성을 측정하였다. 지그로서, 직경 8㎜의 패러렐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3℃/분의 강온 속도로 100℃부터 -50℃까지 온도를 저하시키는 조건 및 주파수 1㎐ 및 변형 1%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하였다. 얻어진 측정 결과에 있어서,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를 유리 전이 온도 Tg(℃)로 하였다. 또한, 고온측의 피크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 유래되고, 저온측의 피크가 제2 수지 성분에서 유래되고 있었다.
(2) 굴곡 강성
얻어진 접합 유리를 준비하였다. 도 3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시험 방법으로 굴곡 강성을 평가하였다. 측정 장치로서는, 정적 3점 굴곡 시험 지그 2810을 구비한 인스트론 재팬 컴퍼니 리미티드사제의 만능 재료 시험기 5966을 사용하였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측정 온도 20±3℃, 거리 D1은 18㎝, 거리 D2는 25㎝로 하고, 변위 속도 1㎜/분으로 F의 방향으로 접합 유리에 변형을 가하고, 1.5㎜의 변위를 가했을 때의 응력을 측정하여, 굴곡 강성을 산출하였다. 굴곡 강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굴곡 강성의 판정 기준]
○: 응력이 5㎫ 이상
△: 응력이 2㎫ 이상, 5㎫ 미만
×: 응력이 2㎫ 미만
(3) 제1 층의 25℃ 및 40℃에서의 인장 특성(강성)
두께가 400㎛ 정도인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준비하고, 오토그래프(시마츠 세이사쿠쇼사제 「AG-IS」)를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min으로 인장 시험을 행하여, 25℃ 및 40℃에서의 영률을 각각 평가하였다. 인장 특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인장 특성(강성)의 판정 기준]
○○: 영률이 2㎫ 이상
○: 영률이 1㎫ 이상, 2㎫ 미만
△: 영률이 0.5㎫ 이상, 1㎫ 미만
×: 영률이 0.5㎫ 미만
(4) 차음성
접합 유리를 댐핑 시험용의 진동 발생기(신켄사제 「가진기 G21-005D」)에 의해 가진하고, 그곳에서 얻어진 진동 특성을 기계 임피던스 측정 장치(리온사제 「XG-81」)에서 증폭하고, 진동 스펙트럼을 FFT 스펙트럼 애널라이저(요코가와 휴렛 팩커드사제 「FFT 애널라이저 HP3582A」)에 의해 해석하였다. 손실 계수의 피크 주파수를 구하고, 또한 20℃에 있어서의 3000㎐에서의 접합 유리의 손실 계수를 산출하였다. 손실 계수로부터 차음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손실 계수가 0.1 이상이라면 차음성이 우수하고, 손실 계수가 0.2 이상이라면 차음성이 보다 한층 우수하다.
[차음성의 판정 기준]
○: 손실 계수가 0.2 이상
△: 손실 계수가 0.1 이상, 0.2 미만
×: 손실 계수가 0.1 미만
(5) 굴절률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제2 수지 성분을 각각 굴절률계(ERMA사제 「ER-7MW」)에 의해 측정함으로써,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을 구하였다.
(6) 재혼련 후의 헤이즈의 측정
얻어진 중간막을 130℃에서 10분간 재혼련하고, 재혼련 후의 조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중간막과 동일한 두께가 되도록, 재혼련 후의 조성물을 프레스 성형하여, 재혼련 후의 중간막을 얻었다. 재혼련 후의 중간막을 두께 2㎜의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끼워 넣어, 접합 유리를 얻었다. 헤이즈 미터(도쿄 덴쇼쿠사제 「TC-HIIIDPK」)를 사용하여, JIS K6714에 준거하여, 얻어진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재혼련 후의 헤이즈를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재혼련 후의 헤이즈의 판정 기준]
○: 재혼련 후의 헤이즈가 0.5% 미만
△: 재혼련 후의 헤이즈가 0.5% 이상, 0.8% 미만
×: 재혼련 후의 헤이즈가 0.8% 이상
상세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4에 나타낸다. 또한, 모든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층 중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은 상용하고 있지 않았다. 실시예 1에서는 제1 층 중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은 공연속 구조를 형성하고 있고, 실시예 2 내지 20에서는 제1 층 중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은 해도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하기의 표 1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제2 수지 성분 및 가소제 이외의 배합 성분의 기재는 생략하였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1 : 제1 층
1a : 제1 표면
1b : 제2 표면
2 : 제2 층
2a : 외측의 표면
3 : 제3 층
3a : 외측의 표면
11 : 중간막
11a : 제1 표면
11b : 제2 표면
21 :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 접합 유리

Claims (10)

  1. 제1 층과,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배치된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제2 수지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나타내는 손실 정접의 피크 온도가 -30℃ 이상, 10℃ 이하이고,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이 1.47 이상, 1.51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합계 100중량% 중,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이 5중량% 이상, 60중량% 이하,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함유량이 4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 이상, 500000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의 굴절률의 차의 절댓값이 0.003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는 다른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아크릴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실리콘 중합체, 고무 또는 아세트산 비닐 중합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제2 수지 성분이 아크릴 중합체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상기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배치된 제3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3 층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이 가소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층이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0.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67027696A 2014-09-30 2015-09-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0634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2616 2014-09-30
JPJP-P-2014-202613 2014-09-30
JP2014202614 2014-09-30
JPJP-P-2014-202616 2014-09-30
JPJP-P-2014-202614 2014-09-30
JP2014202613 2014-09-30
PCT/JP2015/077863 WO2016052671A1 (ja) 2014-09-30 2015-09-30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431A true KR20170063431A (ko) 2017-06-08

Family

ID=556306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695A KR20170063430A (ko) 2014-09-30 2015-09-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0167027696A KR20170063431A (ko) 2014-09-30 2015-09-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695A KR20170063430A (ko) 2014-09-30 2015-09-30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70266927A1 (ko)
EP (2) EP3202736A4 (ko)
JP (2) JPWO2016052670A1 (ko)
KR (2) KR20170063430A (ko)
CN (2) CN106660867A (ko)
BR (2) BR112017003540A2 (ko)
MX (2) MX2017002639A (ko)
WO (2) WO201605267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43A3 (ko) * 2019-05-31 2021-0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적층체
KR102253130B1 (ko) 2019-11-13 2021-05-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중간막,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09009B2 (en) * 2014-12-08 2017-11-07 Solutia Inc. Multiple layer interlayer having improved optical and sound insulation properties
JP6949836B2 (ja) * 2017-03-31 2021-10-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8181748A1 (ja) * 2017-03-31 2018-10-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134957B2 (ja) * 2017-06-08 2022-09-12 クラレイ ユーロップ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再利用方法
JP6974212B2 (ja) * 2018-02-27 2021-12-0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188889B2 (ja) * 2018-02-27 2022-12-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9147706A (ja) * 2018-02-27 2019-09-0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8397098A (zh) * 2018-04-18 2018-08-14 山东科耀隔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隔声玻璃及装有隔声玻璃的隔声屏障
US20210394491A1 (en) * 2018-11-30 2021-12-23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Laminated glass for vehicle
KR20210100105A (ko) * 2018-12-05 2021-08-13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표면보호필름
EP3894219A1 (en) * 2018-12-11 2021-10-20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having reduced color
CN114787284B (zh) * 2019-12-11 2023-08-29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树脂组合物、由该树脂组合物形成的树脂膜、具备该树脂膜的玻璃叠层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104B2 (en) * 1997-07-31 2003-11-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Acrylic resin film and laminated film comprising the same
US6432522B1 (en) * 1999-02-20 2002-08-13 Saint-Gobain Vitrage Transparent acoustical and mechanical barrier
JP2002326844A (ja) * 2001-04-27 2002-11-1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7070200A (ja) *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WO2008143195A1 (ja) * 2007-05-17 2008-11-27 Sekisui Chemical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含有樹脂
EP2360207B1 (en) * 2008-11-13 2013-10-09 Sekisui Chemical Co., Ltd.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
JP5793498B2 (ja) * 2010-08-23 2015-10-14 株式会社クラレ 太陽電池用封止材およ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FR2964100B1 (fr) * 2010-08-24 2015-10-16 Saint Gobain Procede de selection d'un intercalaire pour un amortissement vibro-acoustique, intercalaire et vitrage comprenant un tel intercalaire
EP2759527B1 (en) * 2011-09-21 2018-01-2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6073590B2 (ja) * 2012-01-27 2017-02-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形成用シート製造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形成用シート
US10173396B2 (en) * 2012-03-09 2019-01-08 Solutia Inc. High rigidity interlayers and light weight laminated multiple layer panels
CN104884558B (zh) * 2012-10-17 2016-11-23 株式会社普利司通 固化片、具有固化片的层叠体和层叠体的制造方法
JP6096220B2 (ja) * 2012-12-17 2017-03-15 株式会社クラレ ゴム含有グラフト重合体粉体、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太陽電池用封止材及び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2014214211A (ja) * 2013-04-25 2014-11-1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形成用シート製造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形成用シート
JP6370073B2 (ja) * 2013-04-26 2018-08-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組成物
RU2646641C2 (ru) * 2013-09-30 2018-03-06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ого стекла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2143A3 (ko) * 2019-05-31 2021-0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접합용 적층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투과적층체
KR102253130B1 (ko) 2019-11-13 2021-05-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플라스틱 중간막,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US11648756B2 (en) 2019-11-13 2023-05-16 Skc Co., Ltd. Plastic intermediate film, laminate including same, and mobility means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02728A4 (en) 2018-06-27
JPWO2016052671A1 (ja) 2017-07-13
MX2017002652A (es) 2017-05-30
WO2016052671A1 (ja) 2016-04-07
EP3202736A4 (en) 2018-06-27
KR20170063430A (ko) 2017-06-08
MX2017002639A (es) 2017-06-07
EP3202728A1 (en) 2017-08-09
CN106470955A (zh) 2017-03-01
WO2016052670A1 (ja) 2016-04-07
JPWO2016052670A1 (ja) 2017-07-13
US20170266928A1 (en) 2017-09-21
BR112017003531A2 (pt) 2017-12-05
BR112017003540A2 (pt) 2017-12-05
CN106660867A (zh) 2017-05-10
US20170266927A1 (en) 2017-09-21
EP3202736A1 (en) 201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0383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630760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7006343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132706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13495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6012411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KR2017011356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WO2017171043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606927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64114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6014058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JPWO2017171042A1 (ja)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アイオノマー樹脂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90002737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24001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3931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80052594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