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580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580A
KR20160140580A KR1020167019542A KR20167019542A KR20160140580A KR 20160140580 A KR20160140580 A KR 20160140580A KR 1020167019542 A KR1020167019542 A KR 1020167019542A KR 20167019542 A KR20167019542 A KR 20167019542A KR 20160140580 A KR20160140580 A KR 20160140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layer
laminated glass
glass
polyvinyl ac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200B1 (ko
Inventor
고우헤이 야마구찌
류따 츠노다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2405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6014058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88Adjustment of the adherence to the glass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6Transparent parts other than made from inorganic glass, e.g. polycarbonate glaz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of such polymer
    • C08J2329/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etals or ketal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f unsaturated acetals or ketals or by after-treatment of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제1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METHOD FOR MANUFACTURING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일반적으로,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의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는,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과,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 있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가소제를 포함하는 차음층이 개시되어 있다. 이 차음층은, 단층으로 중간막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상기 차음층과 다른 층이 적층된 다층의 중간막도 기재되어 있다. 차음층에 적층되는 다른 층은 아세탈화도가 60 내지 85몰%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00중량부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 0.001 내지 1.0중량부와, 30 중량부 이하인 가소제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에는,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으로서는 K, Na 및 Mg의 염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와, 카르복실산의 금속염과, 유기산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중간막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으로서 Mg, Ca 및 Zn의 염이 예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0702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186250호 공보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낮으면, 접합 유리가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기 쉬워져 유리 파편이 비산되기 쉬워진다.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이 지나치게 높으면, 중간막과 유리판이 동시에 깨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접합 유리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을 어느 범위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을 어느 범위로 조정하는 것은, 자동차 사고 등의 때에, 탑승자 및 물품이 접합 유리에 충돌할 때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탑승자 및 물품이 접합 유리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또한 건축물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을 어느 범위로 조정하는 것은, 외부로부터의 비래물에 의하여 접합 유리가 파손되더라도 유리 파편이 비산되기 어렵게 하거나, 외부로부터의 비래물이 접합 유리를 관통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 2에서는 접착력 조정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접착력 조정제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했다고 하더라도,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력을 양호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제1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20ppm 이상 200ppm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제1 층이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금속 원소가 다가 금속 원소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또는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제1 층이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1 층이,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이 500㎜Hg 이상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제2 층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3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3 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층만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이며,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이 500㎜Hg 이상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층을 얻는 공정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넓은 국면에 따르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제1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간막」이라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함유하는 제1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제1 층만을 구비하는 단층의 중간막일 수도 있고, 제1 층과 다른 층을 구비하는 다층의 중간막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상기 제1 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결과로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높일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제1 층에 금속 원소를 포함시키는 것 외에, 제1 층에 있어서의 접촉각이 상기 범위를 만족시키도록 하면 되는 것이 본 발명자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에 있어서,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4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4°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1°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1.2° 이상이다. 중간막,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에 있어서,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43° 이하이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5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4.9°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5.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7.4° 이상이다. 중간막, 제1 층 및 제2 층의 각각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접촉각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4°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3°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62° 이하이다.
상기 접촉각은 표면층에 있어서의 외표면에서 측정된다. 측정 장치로서, 교와 가이멘 가가쿠사 제조의 「드롭 마스터(Drop Master) 500」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각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측정 환경) 온도 23℃, 상대 습도 50%
(측정 방법) 디요오도메탄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주사기에 채취하고, 바늘 끝에 2.0μL의 액적을 제작한다. 제작한 액적을 중간막에 접촉시켜, 중간막 상에 액적을 형성한다. 중간막 상에 액적을 형성한 1초 후에 액적의 화상을 촬영한다. 이 액적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θ/2법에 의하여 접촉각을 산출한다. 10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접촉각으로 한다. 또한 중간막은 측정 전에 측정 환경에서 24시간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면층 및 중간막의 표면 형상이 아니라, 표면층 및 중간층을 구성하는 물질 자체의 성질(함유 성분의 조합 및 함유 성분의 존재 상태 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상기 접촉각을 정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한 층 또는 중간막의 접촉각을 측정할 때는, 표면층 및 중간막의 표면이 평활한 상태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한 층 또는 중간막이 엠보싱 가공에 의하여 표면에 요철을 갖는 경우에, 투명 플로트 유리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접촉각을 측정하기 위한 층 또는 중간막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과 투명 플로트 유리를 이 순서대로 적층한 후, 얻어진 적층체를 가열 오븐 내에서 70℃로 가열하고 닙 롤(롤 압력 0.44㎫, 선 속도 1m/분)을 통과시킨 후, 투명 플로트 유리 및 PET 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접촉각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고, 제1 층 외에 제2 층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제2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2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이 중간층에 있어서의 일방측의 표면층이고, 제2 층이 중간층에 있어서의 타방측의 표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이 상기 제2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2 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1 층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은 직접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다른 층(후술하는 제3 층 등)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중간막은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을 수도 있으며, 제1 층 및 제2 층 외에 제3 층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3 층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이 상기 제2 층을 구비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3 층은 직접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은 직접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고,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 사이에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중간막(11)은,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은 제1 층(1)과 제2 층(2)과 제3 층(3)을 구비한다. 제3 층(3)의 제1 표면(3a)에 제1 층(1)이 배치되어 있으며, 적층되어 있다. 제3 층(3)의 제1 표면(3a)과는 반대인 제2 표면(3b)에 제2 층(2)이 배치되어 있으며,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과 제2 층(2) 사이에 제3 층(3)이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제3 층(3)은 중간층이다. 제1 층(1)의 제1 표면(1b)측에 제3 층(3) 및 제2 층(2)이 이 순서대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 및 제2 층(2)은 각각 보호층이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표면층이다. 따라서 중간막(11)은, 제1 층(1)과 제3 층(3)과 제2 층(2)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다층 구조(제1 층(1)/제3 층(3)/제2 층(2))를 갖는다.
또한 제1 층(1)과 제3 층(3) 사이, 및 제3 층(3)과 제2 층(2) 사이에는 각각 다른 층이 배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 층(1)과 제3 층(3), 및 제3 층(3)과 제2 층(2)은 각각 직접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층을 들 수 있다.
제1 층(1)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제2 층(2)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층(1)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다. 제2 층(2)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층(2)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층(3)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하는 중간막(11A)은, 1층의 구조를 갖는 단층의 중간막이다. 중간막(11A)은 제1 층이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1A)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1A)(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중간막(11A)(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중간막(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중간막(제1 층)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을 구성하는 상기 제1 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상세, 그리고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상세를 설명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
상기 제1 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을 알데히드에 의하여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 내지 99.9몰%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로서,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가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인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며, n-부틸알데히드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각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2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아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27몰% 미만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지고,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각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에서,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각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7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아세탈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누어서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는, 아세틸화도 (a)가 8몰% 이하이고, 또한 아세탈화도 (a)가 66몰% 이상인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이거나, 또는 아세틸화도 (b)가 8몰%를 초과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일 수도 있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일 수도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틸화도 (a)는 8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몰% 이하,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 및 상기 하한 이상이면, 가소제의 이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아세탈화도 (a)는 66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1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71.5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72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3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1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9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의 수산기의 함유율 (a)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3 층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a)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틸화도 (b)는 8몰% 초과,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아세탈화도 (b)는 바람직하게는 5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8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6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4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의 수산기의 함유율 (b)는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9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31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9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 제3 층의 접착력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 (b)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은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B)는 각각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상기 제1 층(단층의 중간막을 포함함)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병용에 의하여,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층의 접합 유리 부재 또는 다른 층에 대한 접착력이 적절히 높아진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소제 (1)과 상기 가소제 (2)와 상기 가소제 (3)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1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및 데실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 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과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오일 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 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며,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차열성 화합물)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화합물은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인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한층 더 높은 수준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화합물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하여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하여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서,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 칭해지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하여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핑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핑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핑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핑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핑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핑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핑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며,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핑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는 하기 식 (X1) 또는 하기 식 (X2)로 일반적으로 표시된다. 상기 중간막에서는, 하기 식 (X1) 또는 하기 식 (X2)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적절히 사용된다.
WyOz … 식 (X1)
상기 식 (X1)에 있어서, W는 텅스텐, O는 산소를 나타내고, y 및 z는 2.0<z/y<3.0을 만족시킨다.
MxWyOz … 식 (X2)
상기 식 (X2)에 있어서, M은 H, He,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희토류 원소, Mg, Zr, Cr, Mn, Fe, Ru, Co, Rh, Ir, Ni, Pd, Pt, Cu, Ag, Au, Zn, Cd, Al, Ga, In, Tl, Si, Ge, Sn, Pb, Sb, B, F, P, S, Se, Br, Te, Ti, Nb, V, Mo, Ta 및 Re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원소, W는 텅스텐, O는 산소를 나타내고, x, y 및 z는 0.001≤x/y≤1 및 2.0<z/y≤3.0을 만족시킨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한층 더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핑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 . 33WO3으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 직경」은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 직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 제조의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0.1g/㎡ 이상 12g/㎡ 이하의 비율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에는,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상기 차열 입자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8g/㎡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5g/㎡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g/㎡ 이상, 바람직하게는 11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9g/㎡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7g/㎡ 이하이다. 상기 비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차열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상기 비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가시광선 투과율이 한층 더 높아진다.
(금속 원소)
상기 중간막은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층은 금속 원소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층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각각, 금속염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의 사용에 의하여,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소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알칼리 금속염과 알칼리 토금속염 중 한쪽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양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알칼리 토금속염에는 마그네슘염이 포함된다.
상기 금속염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 알칼리 토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금속 원소는 다가 금속 원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각각, 알칼리 토금속염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각각, 아세트산마그네슘 또는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아세트산마그네슘과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중 한쪽만을 사용할 수도 있고 양쪽을 사용할 수도 있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과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의 양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을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양호하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금속 원소는 Mg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M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 원소의 합계의 함유량 및 Mg의 합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하이다. 상기 금속 원소의 함유량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 간의 접착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에 있어서의 Mg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ppm 이하이다. Mg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한층 더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하여,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한층 더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계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폐제,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 옥살산아닐리드계 자외선 차폐제 및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차폐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계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차폐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계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하여 표면이 피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계 자외선 흡수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328」) 등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를 들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성능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바스프(BASF)사 제조의 「시마소르브(Chimassorb) 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데카(ADEKA)사 제조의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계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호스타빈(Hostavin) B-CAP, 호스타빈(Hostavin) PR-25, 호스타빈(Hostavin) PR-31(어느 것도 클라리언트사 제조)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계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시아닐리드(클라리언트사 제조의 「산두보르(Sanduvor) 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120」) 등을 들 수 있다.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 저하를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임으로써,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 저하를 현저히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르산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스미토모 가가쿠 고교사 제조의 「스밀라이저 BHT」, 시바 가이기사 제조의 「이르가녹스 1010」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또는 제3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1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난연제, 대전 방지제, 안료, 염료,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기타 상세)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용면의 관점 및 차열성을 충분히 높이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높아진다.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각 두께(㎛)의 중간막 전체의 두께(㎛)에 대한 비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바람직하게는 0.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를 T(㎛)로 했을 때,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T 이상,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5T 이하이다.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의 각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각 층 간의 접착력 및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의 접착력이 양호해지기 쉽다. 중간막이, 제1 층과 제2 층과 제3 층의 3층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제1 층 및 제2 층의 합계 두께(㎛)의 중간막 전체의 두께(㎛)에 대한 비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상, 바람직하게는 0.9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두께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두께가 얇아져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취급성이 한층 더 높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단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막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다층의 중간막의 경우에,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 층을 각각 형성한 후에, 예를 들어 얻어진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및 각 층을 형성하기 위한 각 수지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함으로써 각 층을 적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속적인 생산에 적합하기 때문에 압출 성형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및 상기 제2 층은 각각,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이 500㎜Hg 이상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 및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을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게이지 압을 높게 설정하여 중간막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쪽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엠보싱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싱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싱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3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을 구비한다. 중간막(1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의 외측 표면(1a)(제1 표면(1b)과는 반대인 제2 표면)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제2 층(2)의 외측 표면(2a)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31A)는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와 중간막(11A)을 구비한다. 중간막(11A)은 제1 접합 유리 부재(2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2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에 제1 접합 유리 부재(2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1A)의 제1 표면(11a)과는 반대인 제2 표면(11b)에 제2 접합 유리 부재(2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으며,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고,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중 적어도 한쪽이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유리 및 선입 판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에 대용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우고 가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고 감압 흡인하거나 하여,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으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하여, 약 120 내지 150℃ 및 1 내지 1.5㎫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시에 제1 층과 제3 층과 제2 층을 적층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앞유리, 옆유리, 뒷유리 또는 천장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절히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만은 않는다.
이하의 재료를 준비하였다.
(열가소성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PVB1)(평균 중합도가 17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n-부틸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수산기의 함유율 30.8몰%, 아세틸화도 0.7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68.5몰%)
또한 수산기의 함유율, 아세틸화도 및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하여 측정했을 경우에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가소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자외선 차폐제)
티누빈(Tinuvin) 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바스프(BASF)사 제조의 「티누빈(Tinuvin) 326」)
(산화 방지제)
H-BHT(2,6-디-t-부틸-4-메틸페놀, 사카이 가가쿠 고교사 제조의 「H-BHT」)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금속염)
Mg 혼합물 1(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과 아세트산마그네슘의 50:50(중량비) 혼합물)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실시예 1)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제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PVB1) 100중량부와, 가소제(3GO) 40중량부와, 자외선 차폐제(티누빈(Tinuvin) 326) 0.2중량부와, 산화 방지제(H-BHT) 0.2중량부와, Mg 혼합물 1을 얻어지는 중간막 중에서 금속 원소 농도(Mg 농도)가 70ppm이 되는 양을 믹싱 롤로 충분히 혼합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중간막의 제작: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벤트압)이 520㎜Hg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1 층(두께 760㎛)만의 단층의 중간막(두께 760㎛)을 제작하였다.
접착력 평가용의 접합 유리의 제작:
세정 및 건조한 2개의 투명 플로트 유리(세로 15cm×가로 15cm×두께 2.5㎜)를 준비하였다. 이 2개의 유리판 사이에, 얻어진 중간막을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백 내에 넣고 상온(23℃)에서 933.2h㎩의 감압도로 진공 백 내의 탈기를 행하였다. 계속해서, 탈기 상태를 유지한 채 진공 백을 100℃까지 승온하고, 온도가 100℃까지 도달한 후 20분 간 유지하였다. 그 후, 진공 백을 자연 냉각에 의하여 냉각하여 온도가 30℃까지 저하된 것을 확인하고, 압력을 대기압에 개방하였다.
상기 진공 백법에 의하여 가압착된 접합 유리를,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압력1.2㎫의 조건에서 20분 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3 및 비교예 1)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하는 배합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및 중간막의 제조 시의 벤트압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4 내지 11 및 비교예 2)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에 사용하는 배합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및 중간막의 제조 시의 벤트압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중간막을 얻었다.
접촉각 측정용의 중간막의 제작:
2개의 PET 필름(도레이사 제조의 「루미러 T60」, 세로 15cm×가로 15cm×두께 100㎛) 및, 세정 및 건조한 2개의 투명 플로트 유리(세로 15cm×가로 15cm×두께 2.5㎜)를 준비하였다. 2개의 유리판 사이에 2매의 PET 필름을 끼워 넣고, 그의 내측에, 얻어진 중간막을 더 끼워 넣어,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는 유리판/PET 필름/중간막/PET 필름/유리판의 적층 구조를 갖는다. 얻어진 적층체를 백 내에 넣고 상온(23℃)에서 933.2h㎩의 감압도로 진공 백 내의 탈기를 행하였다. 계속해서, 탈기 상태를 유지한 채 진공 백을 100℃까지 승온하고, 온도가 100℃까지 도달한 후 20분 간 유지하였다. 그 후, 진공 백을 자연 냉각에 의하여 냉각하여 온도가 30℃까지 저하된 것을 확인하고, 압력을 대기압에 개방하였다.
상기 진공 백법에 의하여 가압착된 접합 유리를, 오토클레이브를 사용하여 135℃, 압력 1.2㎫의 조건에서 20분 간 유지하고, PET 필름에 의하여 평면을 매끄러이 한 중간막을 얻었다.
(평가)
(1) 접촉각의 측정
(측정 환경) 온도 23℃, 상대 습도 50%
(측정 방법) 디요오도메탄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주사기에 채취하고, 바늘 끝에 2.0μL의 액적을 제작하였다. 제작한 액적을 중간막에 접촉시켜, 중간막 상에 액적을 형성하였다. 이때, 실시예 4 내지 11 및 비교예 2에서는, PET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중간막에, 제작된 액적을 접촉시켰다. 중간막 상에 액적을 형성한 1초 후에 액적의 화상을 촬영하였다. 이 액적의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θ/2법에 의하여 접촉각을 산출하였다. 10회의 측정의 평균값을 접촉각으로 하였다. 또한 중간막은 측정 전에 측정 환경에서 24시간 유지하였다.
측정 장치로서, 교와 가이멘 가가쿠사 제조의 「드롭 마스터(Drop Master) 500」을 사용하였다.
(2) 침지 헤이즈
접촉각의 측정에 사용한 중간막을 23℃의 이온 교환수에 10시간 침지시키고, 취출하여 수분을 닦아 내고 헤이즈미터(도쿄 덴쇼쿠사 제조의 「TC-HⅢDPK」)를 사용하여, JIS K6714에 준거하여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측정을 2회 행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침지 헤이즈의 값으로 하였다.
(3) 접착력(펌멜(Pummel))
얻어진 접합 유리를 -18℃±0.6℃에서 16시간 보관하였다. 보관 후의 접합 유리의 중앙부(세로 15cm×가로 15cm의 범위)를, 헤드부가 0.45㎏인 해머로 타격하여, 분쇄된 유리의 입자 직경이 6㎜ 이하가 되기까지 분쇄하였다. 접합 유리의 중앙부(세로 15cm×가로 15cm의 범위)를 분쇄한 후, 중간막의 노출도(면적%)를 측정하고, 하기 표 1에 의하여 펌멜값을 구하였다. 6회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펌멜값으로서 채용하였다.
Figure pct00002
상세 및 결과를 하기 표 2,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또한 1층 구조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더라도, 제1 층이 상술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1층 구조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1 층에 상술한 구성을 채용하고, 또한 제2 층에 있어서의 접촉각을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한층 더 효과적으로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1: 제1 층
1a: 외측의 표면(제2 표면)
1b: 제1 표면
2: 제2 층
2a: 외측의 표면
3: 제3 층
3a: 제1 표면
3b: 제2 표면
11: 중간막
11A: 중간막(제1 층)
11a: 제1 표면
11b: 제2 표면
21: 제1 접합 유리 부재
22: 제2 접합 유리 부재
31: 접합 유리
31A: 접합 유리

Claims (15)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제1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1 층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중의 상기 금속 원소의 함유량이 20ppm 이상 200pp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염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제1 층이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원소가 다가 금속 원소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트산마그네슘 또는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의 첨가에 유래하여 상기 제1 층이 상기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이,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이 500㎜Hg 이상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중간막에 있어서의 표면층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포함하는 제2 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층의 제1 표면측에 상기 제2 층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이 금속 원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디요오도메탄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40.1°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이거나, 또는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액적법으로 측정한 접촉각이 54.2°보다 큰 값을 나타내는 제2 층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3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열가소성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제3 층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층과 상기 제2 층 사이에 상기 제3 층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층의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며,
상기 제1 층만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고,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고,
상기 제2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제3 층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이며,
벤트식 압출기를 사용하여, 진공 벤트의 게이지 압이 500㎜Hg 이상인 조건에서 압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제1 층을 얻는 공정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KR1020167019542A 2014-03-31 2015-03-31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KR102363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74517 2014-03-31
JPJP-P-2014-074517 2014-03-31
PCT/JP2015/060212 WO2015152275A1 (ja) 2014-03-31 2015-03-31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580A true KR20160140580A (ko) 2016-12-07
KR102363200B1 KR102363200B1 (ko) 2022-02-15

Family

ID=54240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542A KR102363200B1 (ko) 2014-03-31 2015-03-31 접합 유리용 중간막,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 방법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14339B2 (ko)
EP (1) EP3127881A4 (ko)
JP (2) JP5855796B1 (ko)
KR (1) KR102363200B1 (ko)
CN (1) CN106132892B (ko)
AU (1) AU2015242931B2 (ko)
CA (1) CA2942139A1 (ko)
MX (1) MX2016012621A (ko)
RU (1) RU2666434C2 (ko)
WO (1) WO2015152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52275A1 (ja) * 2014-03-31 2015-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6198897B1 (ja) * 2016-06-30 2017-09-20 株式会社大一商会 遊技機
KR20200016245A (ko) * 2017-06-08 2020-02-14 주식회사 쿠라레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KR102096722B1 (ko) 2018-12-10 2020-04-0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유리접합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250A (ja) 1992-01-13 1993-07-2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0211952A (ja) * 1999-01-25 2000-08-0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163640A (ja) * 1999-10-01 2001-06-1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3635635B2 (ja) * 1998-09-30 2005-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13091793A (ja) * 2011-03-29 2013-05-16 Kuraray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484A (ja) * 1993-12-03 1995-08-08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JPH10310741A (ja) 1997-05-12 1998-11-24 Nippon Paint Co Ltd 塗膜の被塗物への密着方法
EP1022261B1 (en) 1997-07-17 2002-07-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US6372352B1 (en) 1998-03-04 2002-04-1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 Delamination-resistant laminated glass structures
EP1060074B1 (en) 1998-03-04 2004-07-2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Delamination-resistant laminated glass structures
JP2000103654A (ja) 1998-09-30 2000-04-11 Sekisui Chem Co Ltd 中間膜用組成物、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7491440B2 (en) * 2003-12-26 2009-02-17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 glass and laminate glass
US7125607B2 (en) * 2004-03-16 2006-10-24 Solutia Incorporated Polymer sheets and methods of controlling adhesion of polymer sheets to glass
CA2576890C (en) * 2004-09-02 2012-08-28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layer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BRPI0516834A (pt) 2004-10-01 2008-09-23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do e folha de resina termoplástica
JP2006297728A (ja) * 2005-04-19 2006-11-02 Kaneka Corp ベント口の圧力を制御した押出方法
US8576211B2 (en) 2006-01-24 2013-11-05 Ricoh Company, Ltd. Electronic element, current control device, arithmetic device, and display device
JP5428128B2 (ja) 2006-01-24 2014-02-2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素子、電流制御装置、演算装置及び表示装置
EP1997785B1 (en) * 2006-03-23 2011-10-12 Bridgestone Corporatio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laminated glass
CN101652393B (zh) 2007-03-30 2012-09-05 可乐丽股份有限公司 聚乙烯醇缩丁醛树脂颗粒及其制备方法
EP1977887A1 (en) 2007-04-05 2008-10-08 Kuraray Europe GmbH Interlayer films for laminated glazing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US8216683B2 (en) 2007-08-03 2012-07-10 Solutia Inc. Interlayers comprising stabilized tungsten oxide agents
JP2011026184A (ja) * 2009-02-17 2011-02-10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2822250B (zh) * 2010-03-31 2015-11-25 可乐丽股份有限公司 聚乙烯醇缩醛膜及其用途
RU2436748C1 (ru) * 2010-06-11 2011-12-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чреждение "12 Централь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Министерства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для остекл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2012083748A (ja) * 2010-09-17 2012-04-26 Sekisui Chem Co Ltd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シート、調光シート、調光体、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06079752B (zh) * 2010-09-30 2018-01-0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MX362361B (es) * 2010-12-09 2019-01-1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capa para vidrio laminado y vidrio laminado.
CN105008304A (zh) * 2013-09-30 2015-10-28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6262976B2 (ja) * 2013-09-30 2018-01-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組成物
CN105939980B (zh) * 2014-03-28 2019-03-22 积水化学工业株式会社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WO2015152275A1 (ja) 2014-03-31 2015-10-0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6250A (ja) 1992-01-13 1993-07-27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3635635B2 (ja) * 1998-09-30 2005-04-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0211952A (ja) * 1999-01-25 2000-08-02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1163640A (ja) * 1999-10-01 2001-06-19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7070200A (ja) 2005-09-09 2007-03-22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13091793A (ja) * 2011-03-29 2013-05-16 Kuraray Co Ltd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系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42191A (ru) 2018-05-04
AU2015242931B2 (en) 2018-12-06
RU2666434C2 (ru) 2018-09-07
CN106132892B (zh) 2020-03-17
CA2942139A1 (en) 2015-10-08
KR102363200B1 (ko) 2022-02-15
AU2015242931A1 (en) 2016-09-22
US20170001416A1 (en) 2017-01-05
JP6676357B2 (ja) 2020-04-08
RU2016142191A3 (ko) 2018-07-03
JP5855796B1 (ja) 2016-02-09
JPWO2015152275A1 (ja) 2017-04-13
US11014339B2 (en) 2021-05-25
MX2016012621A (es) 2017-01-09
EP3127881A1 (en) 2017-02-08
EP3127881A4 (en) 2018-01-10
WO2015152275A1 (ja) 2015-10-08
JP2016108239A (ja) 2016-06-20
CN106132892A (zh)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0869B (zh) 夹层玻璃用中间膜以及夹层玻璃
JP7021082B2 (ja) 合わせガラス
KR20160114058A (ko)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의 설치 방법
KR102560885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17006343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JP6676357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
JP201518965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64114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66671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8198678A1 (ja) 合わせガラス
CN107406315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及夹层玻璃
JP201706600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661309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518965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624001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WO201704362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6539313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7071530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