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245A -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245A
KR20200016245A KR1020197036232A KR20197036232A KR20200016245A KR 20200016245 A KR20200016245 A KR 20200016245A KR 1020197036232 A KR1020197036232 A KR 1020197036232A KR 20197036232 A KR20197036232 A KR 20197036232A KR 20200016245 A KR20200016245 A KR 20200016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ed glass
interlayer film
mass
prefer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야 고바야시
마사아키 히라하라
다카유키 시미즈
다쓰야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200016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2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99After-treatment of the layered product, e.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ontaining temporary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7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UV absorbers or stabilizers, e.g. anti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43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r sal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superposing a plurality of layer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03Separating plastics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9/00Use of polyvinylalcohols, polyvinylethers, polyvinylaldehydes, polyvinylketones or polyvinylketal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9/14Polyvinylac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96/00Use of specified macromolecula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K2001/00 - B29K2095/00, as moulding material
    • B29K2096/005Ion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본 발명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비닐 부티랄로 대표되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조성물,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성형하여 얻어지는 시트는, 유리와의 접착성이나 투명성, 또한, 역학 강도가 우수한 점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이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단순히 「중간막」으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 친환경성과 경제성의 관점에서, 중간막이나 접합 유리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트림이나 오프스펙품을 재이용하여 중간막을 얻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와 이와는 다른 수지 성분 및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재혼련한 후의 헤이즈가 낮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특정 구조를 갖는 폴리비닐 아세탈 및 특정량의 가소제를 함유하고, 모의 리사이클 시험 후의 헤이즈가 낮은 적층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0692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4-226935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적층체는, 재이용 후의 헤이즈가 충분히 낮다고 말하기 어렵고, 예를 들어 자동차용 앞유리와 같이 매우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더욱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재이용하여 새로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을 때에, 헤이즈가 충분히 낮고 투명도가 충분히 높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은,
[1]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으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2] 상기 공정에서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원료로 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하는, [1]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3] 상기 공정은 A층과 B층의 계면을 박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4] 상기 공정은 A층 및/또는 B층을 절삭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5]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이 A층과 A층의 양면에 적층된 B층으로 이루어진,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6] A층 및/또는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7] A층 및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8] A층 및 B층이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7]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9] A층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B층이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는,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10]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
[12]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재이용하여 새로운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조했을 때에, 헤이즈가 충분히 낮고 투명도가 충분히 높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 추가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B층/A층/B층의 3층 구성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최하층을 슬라이서로 절삭하고 있는 모습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방법)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A층과 B층의 계면을 박리하는 방법, A층 및/또는 B층을 절삭하는 방법, A층 및/또는 B층을 연마하는 방법, A층 및/또는 B층을 용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행하기 위한 장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층과 B층의 계면을 박리하는 방법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방법 그 자체는,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이외의 용도로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방법을 사용하여,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접합 유리용 중간막 이외의 성형체를 제조하거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분리한 A층 및/또는 B층을 적어도 원료로 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이외의 성형체에 재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A층 및/또는 B층을 절삭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나이프 가공법, 레이저 가공법, 워터젯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절삭된 시트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쉬운 점에서, 나이프 가공법이 바람직하다. 나이프 가공법으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절삭할 때의 기구로서는, 슬릿을 갖는 평활한 반면(盤面)과, 이 슬릿으로부터 돌출된 날을 갖는 슬라이스 부재(예를 들어, 예리한 날을 구비한 나이프나 슬라이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스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반면으로부터 날의 돌출 높이(반면으로부터 날의 꼭대기부까지의 거리)는 0.10mm 이상이 바람직하고, 0.13m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나이프 가공법에서 사용하는 나이프의 형상은 편날, 양날, 비대칭 날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두께 정밀도를 내기 쉬운 관점에서 편날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반면에 대하여 힘을 가하면서 절삭함으로써, 절단 반면으로부터 날의 돌출 높이보다도 큰 두께를 갖는 A층 및/또는 B층을 분리할 수 있다. 나이프 가공법에서 사용하는 나이프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초경합금, 탄소 공구강, 합금 공구강, 고속도 공구강 등을 들 수 있다. 나이프 가공법으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절삭할 때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표면 온도는, 날에 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부착을 억제하고 절삭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20℃ 이하가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한 후의 각 층의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A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A층과 B층과 그 이외의 층으로 분리되어 있어도 좋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모든 층이 분리되어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이 B층/A층/B층이라는 3층 구성을 갖는 경우, B층과 A층/B층으로 분리하여 재이용해도 좋고, 여기서 얻어진 A층/B층을 추가로 A층과 B층으로 분리하여 재이용해도 좋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함으로써 얻어지는 A층을 포함하는 층 및 B층을 포함하는 층은, 각각 A층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 및 B층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A층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란, A층의 함유량이 60질량% 이상(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질량%)인 층을 의미한다. 또한, 「B층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이란, B층의 함유량이 60질량% 이상(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질량%)인 층을 의미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여 얻어지는 각 층이 상기 양태일 때,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가 투명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어,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은 보다 유용한 방법이 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함으로써 얻어지는 A층을 포함하는 층 및 B층을 포함하는 층 중,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제조에 사용되는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3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이다. 상기 비율이 높음으로써, 재이용의 효율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서의 적층 구성은, 접합 유리의 용도나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좋고, 예를 들면, B층/A층이라는 2층 구성, B층/A층/B층이라는 3층 구성 외에, B층/A층/B층/A층, B층/A층/B층/A층/B층, B층/A층/B층/A층/B층/A층, B층/A층/B층/A층/B층/A층/B층 등의 적층 구성이라도 좋다. 그 중에서도,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은, A층과, A층의 양면에 적층된 B층으로 이루어진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있어서, A층 및/또는 B층이 각각 2층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A층, 각 B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유리에 대한 접착성의 관점에서, 최외층 양쪽이 B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은, A층 및 B층 이외의 층(C층으로 함)을 1층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B층/A층/C층/B층, B층/A층/B층/C층, B층/C층/A층/C층/B층, B층/C층/A층/B층/C층, B층/A층/C층/B층/C층, C층/B층/A층/B층/C층, C층/B층/A층/C층/B층/C층, C층/B층/C층/A층/C층/B층/C층 등의 적층 구성이라도 상관 없다. 또한 상기 적층 구성에 있어서, A층이 2층 이상 포함되는 경우, 각 A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다. B층, C층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유리로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최외층 양쪽이 B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이 갖는 A층 및/또는 B층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A층 및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양태, 및 A층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B층이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는 양태가 특히 바람직하며, 이때 얻어지는 접합 유리 (2)는 투명성, 차음성, 역학 물성,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서, A층 및/또는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방법으로서는, A층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에서의 A층의 함유량을 높게 하는 관점에서, A층 및/또는 B층을 절삭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평균 아세탈화도는, 4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평균 아세탈화도는, 9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아세탈화도가 40몰% 이상이면 가소제 등의 용제와의 상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상기 평균 아세탈화도가 90몰% 이하이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얻기 위한 반응에 장시간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프로세스상 바람직한 경향이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평균 함유량은 3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30몰% 이하이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시에 블로킹이 일어나기 어려워, 제조하기 쉽다. 상기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평균 함유량의 하한값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0.1몰% 이상이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 알코올 단위의 평균 함유량은, 5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5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 알코올 단위의 평균 함유량은, 5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닐 알코올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5몰% 이상이면, 유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비닐 알코올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50몰% 이하이면, 내수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통상, 비닐 아세탈 단위, 비닐 알코올 단위 및 비닐아세테이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의 각 단위량은, 예를 들어, JIS K 6728 「폴리비닐 부티랄 시험 방법」이나 핵 자기 공명법(NMR)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가 비닐 아세탈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비닐 알코올의 단위량과 비닐아세테이트의 단위량을 측정하고, 이들의 양 단위량을 비닐 아세탈 단위 이외의 단위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의 비닐 아세탈 단위량에서 뺌으로써, 나머지의 비닐 아세탈 단위량을 산출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는 종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알데히드류를 사용하여 폴리비닐 알코올을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온수에 용해하고, 얻어진 수용액을 소정의 온도(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소요되는 산 촉매 및 알데히드류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아세탈화 반응을 진행시키고, 다음으로 반응 온도를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으로 올려서 반응을 완결시키고, 그 후, 중화, 수세 및 건조를 행하여,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분말을 얻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500 이상이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는 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6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가 5,000 이하이면, 성형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바람직한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는, 원료가 되는 폴리비닐 알코올의 바람직한 점도 평균 중합도의 수치와 동일하다.
얻어지는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비닐아세테이트 단위의 평균 함유량을 30몰% 이하로 설정하기 위해서, 비누화도가 70몰% 이상인 폴리비닐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비누화도가 70몰% 이상이면, 수지의 투명성이나 내열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어, 알데히드류와의 반응성도 양호해진다. 비누화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95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 알코올의 비누화도의 상한값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100몰% 이하이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점도 평균 중합도나 비누화도는, 예를 들어, JIS K 6726 「폴리비닐 알코올 시험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할 수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아세탈화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류로서는, 탄소수 1 이상 12 이하의 알데히드가 바람직하다. 알데히드의 탄소수가 12 이하이면, 아세탈화 반응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고, 또한 반응 중에서의 수지의 블록의 발생을 억제하기 쉽기 때문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합성이 용이해지는 경향이 있다.
알데히드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발레르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헵틸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신남알데히드 등의 지방족, 방향족, 지환식 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탄소수 2 이상 6 이하의 지방족 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데히드류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다관능 알데히드류나 기타 관능기를 갖는 알데히드류 등을, 전체 알데히드류의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하의 범위로 병용해도 좋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로서는,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가 가장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로서는, 비닐에스테르와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중합체를, 부틸알데히드를 사용하여 부틸화된 변성 폴리비닐 부티랄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다른 단량체란,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1-헥센 등의 α-올레핀; 푸마르산,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카복실산 또는 이들의 유도체; 아크릴산 또는 이의 염;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 n-프로필, 아크릴산이소프로필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류; 메타크릴산 또는 이의 염; 메타크릴산메틸,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 n-프로필, 메타크릴산이소프로필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타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등의 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n-프로필비닐에테르, 이소프로필비닐에테르, n-부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비닐에테르, 1,3-프로판디올비닐에테르, 1,4-부탄디올비닐에테르 등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비닐에테르; 알릴아세테이트; 프로필알릴에테르, 부틸알릴에테르, 헥실알릴에테르 등의 알릴에테르; 옥시알킬렌기를 갖는 단량체; 아세트산이소프로페닐; 3-부텐-1-올, 4-펜텐-1-올, 5-헥센-1-올, 7-옥텐-1-올, 9-데센-1-올, 3-메틸-3-부텐-1-올 등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α-올레핀; 에틸렌설폰산, 알릴설폰산, 메탈릴설폰산,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의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비닐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비닐옥시부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N-아크릴아미드메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N-아크릴아미드에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탈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기를 갖는 단량체; 비닐옥시에틸디메틸아민, 비닐옥시메틸디에틸아민, N-아크릴아미드디메틸아민, 디메틸알릴아민, 알릴에틸아민 등의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메틸디메톡시실란. 비닐디메틸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메틸디에톡시실란, 비닐디메틸에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아크릴아미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실릴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와 다른 단량체를 공중합할 때의 다른 단량체의 사용량은, 그 사용되는 목적 및 용도 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공중합에 사용되는 모든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2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소제)
A층 및 B층에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가소제를 첨가해도 좋다. A층 및 B층에서 사용되는 가소제로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1가 카복실산에스테르, 다가 카복실산에스테르 등의 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유기 아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카복실산폴리에스테르, 탄산에스테르, 폴리알킬렌글리콜 등의 고분자 가소제; 피마자유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하이드록시카복실산과 1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를 들 수 있다.
1가 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부탄산, 이소부탄산, 헥산산, 2-에틸부탄산, 헵탄산, 옥틸산, 2-에틸헥산산, 라우르산 등의 1가 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디에틸부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옥타노에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PEG#400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2-에틸헥사노에이트, 글리세린 또는 디글리세린의 2-에틸헥산산과의 완전 또는 부분 에스테르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PEG#400이란, 평균 분자량이 350 내지 45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을 나타낸다.
다가 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아디프산, 석신산, 아젤라산, 세박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트리멜리트산 등의 다가 카복실산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올, 2-에틸부탄올, 헵탄올, 옥탄올, 2-에틸헥산올, 데칸올, 도데칸올, 부톡시에탄올, 부톡시에톡시에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코올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2-에틸부틸, 아디프산디헵틸,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디2-에틸헥실, 아디프산디(부톡시에틸), 아디프산디(부톡시에톡시에틸), 아디프산모노(2-에틸헥실), 세박산디부틸, 세박산디헥실, 세박산디2-에틸부틸, 프탈산디부틸, 프탈산디헥실, 프탈산디(2-에틸부틸),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2-에틸헥실), 프탈산벤질부틸, 프탈산디도데실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계 가소제 또는 아인산계 가소제로서는, 인산 또는 아인산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헥산올, 2-에틸부탄올, 헵탄올, 옥탄올, 2-에틸헥산올, 데칸올, 도데칸올, 부톡시에탄올, 부톡시에톡시에탄올, 또는 벤질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코올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산트리메틸, 인산트리에틸, 인산트리프로필, 인산트리부틸, 인산트리(2-에틸헥실), 인산트리(부톡시에틸), 아인산트리(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카복실산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옥살산, 말론산, 석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세박산, 도데칸2산, 1,2-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1,3-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1,4-사이클로헥산디카복실산 등의 다가 카복실산과,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2-헵탄디올, 1,7-헵탄디올,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1,2-노난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2-데칸디올, 1,10-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3-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1,2-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의 다가 알코올을 교호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카복실산폴리에스테르; 글리콜산, 락트산, 2-하이드록시부티르산, 3-하이드록시부티르산, 4-하이드록시부티르산, 6-하이드록시헥산산, 8-하이드록시헥산산, 10-하이드록시데칸산, 12-하이드록시도데칸산 등의 지방족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이나, 4-하이드록시벤조산, 4-(2-하이드록시에틸)벤조산 등의 방향환을 갖는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중합체(하이드록시카복실산폴리에스테르);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δ-발레로락톤, β-메틸-δ-발레로락톤, δ-헥사노락톤, ε-카프로락톤, 락티드 등의 지방족 락톤 화합물이나, 프탈리드 등의 방향환을 갖는 락톤 화합물 등의 락톤 화합물을 개환 중합하여 얻어지는 카복실산폴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카복실산에스테르의 말단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수산기나 카복실기라도 좋고, 말단 수산기나 말단 카복실기를 1가 카복실산 또는 1가 알코올과 반응시켜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시킨 것이라도 좋다.
탄산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1,2-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필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1,4-부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2,4-펜탄디올, 1,2-헥산디올,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3-메틸-2,4-펜탄디올, 1,2-헵탄디올, 1,7-헵탄디올, 1,2-옥탄디올, 1,8-옥탄디올, 1,2-노난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2-데칸디올, 1,10-데칸디올, 1,2-도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1,2-사이클로헥산디올, 1,3-사이클로헥산디올, 1,4-사이클로헥산디올, 1,2-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1,3-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1,4-비스(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의 다가 알코올과, 탄산디메틸, 탄산디에틸 등의 탄산에스테르를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교호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탄산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이들 탄산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말단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산에스테르기 또는 수산기이면 좋다.
폴리알킬렌글리콜계 가소제로서는,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틸렌옥사이드, 옥세탄 등의 알킬렌옥사이드를, 1가 알코올, 다가 알코올, 1가 카복실산 또는 다가 카복실산을 개시제로서 개환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중합체를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카복실산에스테르계 가소제로서는, 리시놀산메틸, 리시놀산에틸, 리시놀산부틸, 6-하이드록시헥산산메틸, 6-하이드록시헥산산에틸, 6-하이드록시헥산산부틸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1가 알코올에스테르; 에틸렌글리콜디(6-하이드록시헥산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6-하이드록시헥산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6-하이드록시헥산산)에스테르, 3-메틸-1,5-펜탄디올디(6-하이드록시헥산산)에스테르, 3-메틸-1,5-펜탄디올디(2-하이드록시부티르산)에스테르, 3-메틸-1,5-펜탄디올디(3-하이드록시부티르산)에스테르, 3-메틸-1,5-펜탄디올디(4-하이드록시부티르산)에스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하이드록시부티르산)에스테르, 글리세린트리(리시놀산)에스테르, L-주석산디(1-(2-에틸헥실)), 피마자유 등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이외에,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의 k개의 하이드록시카복실산 유래의 기(k는 자연수이며, 하이드록시카복실산의 다가 알코올에스테르에 존재하는 수산기의 수 이하의 수이다)를, 수산기를 포함하지 않는 카복실산 유래의 기 또는 수소 원자로 치환한 화합물도 사용 가능하며, 이들 하이드록시카복실산에스테르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들 가소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0질량부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가소제의 함유량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질량부 이하이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A층 및 B층이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A층과 B층에서 가소제의 함유량은 동일해도 좋고, 달라도 좋다. 예를 들어, A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50질량부 이상 함유하고,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가소제를 10질량부 이상 50질량부 미만으로 함유해도 좋다.
(아이오노머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 아이오노머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에틸렌 유래의 단량체 단위 및 α,β-불포화 카복실산 유래의 단량체 단위를 갖고,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적어도 일부가 금속 이온에 의해 중화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이온을 들 수 있다. 베이스 폴리머가 되는 에틸렌-α,β-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에 있어서, α,β-불포화 카복실산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α,β-불포화 카복실산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 비율은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수의 용이성의 점에서,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및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 등의 에틸렌계 아이오노머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로서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나트륨 아이오노머가 특히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란, 가열하면 연화되어 가소성을 나타내고, 냉각하면 고화되어 고무 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는 것 외에,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니트릴 고무, 부틸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클로로설폰화 폴리에틸렌 고무, 아크릴 고무, 불소 고무 등의 고무를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하드 세그먼트와 소프트 세그먼트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등/하드 세그먼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하드 세그먼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염화비닐/하드 세그먼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하드 세그먼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에테르/하드 세그먼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에스테르디올, 폴리에테르디올/하드 세그먼트; 폴리아미드<나일론 수지>), 폴리부타디엔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비정성 부틸 고무/하드 세그먼트; 신디오택틱1,2-폴리부타디엔), 아크릴계 엘라스토머(소프트 세그먼트; 폴리아크릴산에스테르/하드 세그먼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의 하드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전체량에 대하여 4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전체량에 대하여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7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하드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4질량% 이상이면, 성형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하드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30질량% 이하이면 적당한 인성을 부여할 수 있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의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전체량에 대하여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77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유량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전체량에 대하여 9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4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70질량% 이상이면, 적당한 인성을 부여할 수 있어, 얻어지는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프트 세그먼트의 함유량이 96질량% 이하이면, 성형성이 양호해진다.
상기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성형성과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과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하, 「블록 공중합체 (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바람직하고,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과 비닐 중합체 블록 또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스티렌 블록과 비닐 중합체 블록 또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과 비닐 중합체 블록 또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과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블록 공중합체 (A)를 사용하는 경우, 이러한 중합체 블록의 결합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직쇄상, 분기상, 방사상, 또는 이들 중 2개 이상이 조합된 결합 형태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직쇄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쇄상의 결합 형태의 예로서는,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을 a로, 비닐 중합체 블록 또는 공액 디엔 중합체 블록을 b로 나타냈을 때, a-b로 표시되는 디블록 공중합체, a-b-a 또는 b-a-b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 a-b-a-b로 표시되는 테트라블록 공중합체, a-b-a-b-a 또는 b-a-b-a-b로 표시되는 펜타블록 공중합체, (a-b)nX형 공중합체(X는 커플링 잔기를 나타내고, n은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낸다),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블록 공중합체 또는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트리블록 공중합체로서는, a-b-a로 표시되는 트리블록 공중합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 및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은, 블록 공중합체 (A)를 구성하는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라도 좋다. 또한, 상기 블록 공중합체 (A) 중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은,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 첨가된 것이라도 좋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 (A)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4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 (A)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3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7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3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4질량% 이상이면,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 함유량이 30질량% 이하이면, 적당한 인성을 부여할 수 있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 (A)를 합성할 때의 각 단량체의 주입비,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등의 측정 결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에 포함되는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 중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라도 좋다.
상기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을 구성하는 방향족 비닐 유래의 단량체 단위로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2-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도데실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2-에틸-4-벤질스티렌, 4-(페닐부틸)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등의 아릴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알콕시스티렌; 비닐벤조산에스테르 등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 중에는, 방향족 비닐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방향족 비닐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4-페닐-1-부텐, 6-페닐-1-헥센, 3-메틸-1-부텐, 4-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메틸-1-헥센, 4-메틸-1-헥센, 5-메틸-1-헥센, 3,3-디메틸-1-펜텐, 3,4-디메틸-1-펜텐, 4,4-디메틸-1-펜텐, 비닐사이클로헥산, 헥사플루오로프로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2-플루오로프로펜, 플루오로에틸렌, 1,1-디플루오로에틸렌, 3-플루오로프로펜, 트리플루오로에틸렌, 3,4-디클로로-1-부텐, 노르보르넨, 아세틸렌 등의 불포화 단량체 단위;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단위; 부타디엔, 1,3-펜타디엔, 1,3-헥사디엔, 이소프렌, 사이클로펜타디엔, 1,3-사이클로헥사디엔, 1,3-옥타디엔, 1,3-사이클로옥타디엔 등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방향족 비닐 중합체 블록 중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질량%라도 좋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 (A)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7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3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77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 (A)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96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4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2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70질량% 이상이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이 96질량% 이하이면, 양호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블록 공중합체를 합성할 때의 각 단량체의 주입비, 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1H-NMR 등의 측정 결과로부터 구할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 (A)에서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전체 단량 단위에 대하여,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라도 좋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을 구성하는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3-메틸-1-부텐, 4-메틸-1-부텐,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메틸-1-헥센, 4-메틸-1-헥센, 5-메틸-1-헥센, 3,3-디메틸-1-펜텐, 3,4-디메틸-1-펜텐, 4,4-디메틸-1-펜텐, 비닐사이클로헥산 등의 비닐 화합물;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사이클로펜타디엔 등의 디엔 화합물; 노르보르넨, 아세틸렌 등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유래의 단량체 단위로서는, 헥사플루오로프로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2-플루오로프로펜, 플루오로에틸렌, 1,1-디플루오로에틸렌, 3-플루오로프로펜, 트리플루오로에틸렌, 3,4-디클로로-1-부텐 등과 같이, 탄소 원자 또는 수소 원자의 일부가 헤테로 원자로 치환된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라도 좋고, 4-페닐-1-부텐, 6-페닐-1-헥센 등과 같이, 비닐기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 이외에 방향족기가 결합된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라도 좋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는, 입수 용이성이나 취급성의 관점에서, 탄소수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탄소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는, 입수 용이성이나 취급성, 합성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로서,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을 사용하는 것, 및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을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비율은, 8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98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100질량%라도 좋다.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을 구성하는 단량체 단위로서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수소 첨가된 수소 첨가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수소 첨가율은,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이다. 여기서, 수소 첨가율이란, 수소 첨가 반응 전후의 블록 공중합체의 요오드가를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수소 첨가 반응에서의 수소압이나 반응 온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수소 첨가율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의 결합 형태는 복수 있고, 예를 들어, 이소프렌 단위에는, 1,4-결합, 1,2-결합, 3,4-결합이 있고, 부타디엔 단위에 대해서는, 1,4-결합과 1,2-결합이 있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예를 들면, 이소프렌 단위 및 부타디엔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이소프렌 단위의 1,2-결합 및 3,4-결합의 함유량 및 부타디엔 단위의 1,2-결합의 함유량의 합계는, 20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30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40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계는, 10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몰%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에 이소프렌 단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85몰%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75몰%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에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가 포함되고, 또한 이소프렌 단위가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90몰% 이상 포함되는 경우, 공액 디엔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이소프렌 단위의 1,2-결합 및 3,4-결합의 함유량의 합계가 3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계는 7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에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가 포함되고, 또한, 부타디엔 단위가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90몰% 이상 포함되는 경우,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부타디엔 단위의 1,2-결합의 함유량은, 2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5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유량은 100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에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가 포함되고, 또한, 이소프렌 단위 및 부타디엔 단위의 합계 함유량이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에 대해 90몰% 이상이고, 이소프렌 단위와 부타디엔 단위의 질량비(이소프렌 단위/부타디엔 단위)가 10/90 내지 90/10인 경우,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공액 디엔 유래의 단량체 단위의 합계량에 대한 이소프렌 단위 및 부타디엔 단위의 1,2-결합 및 3,4-결합의 함유량의 합계는, 20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몰%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몰%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합계는 95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5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에는, 소량이면,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가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예로서는, 「방향족 비닐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예」로서 예시한 단량체 단위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이외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량은,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중합체 블록 중의 전체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2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질량%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0질량%라도 좋다.
블록 공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의 역학 특성,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30,0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이의 역학 특성, 성형 가공성의 관점에서, 400,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Mw/Mn)는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 공중합체 (A)의 중량 평균 분자량과 수 평균 분자량의 비(Mw/Mn)는 2.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에 의해 구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고, 수 평균 분자량이란, GPC 측정에 의해 구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수 평균 분자량이다.
블록 공중합체 (A)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음이온 중합법, 양이온 중합법, 라디칼 중합법 등의 상기 분야에서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 중합의 경우, 구체적으로는,
(i) 알킬리튬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공액 디엔 단량체, 이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순차 중합시키는 방법;
(ii) 알킬리튬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고, 방향족 비닐 단량체, 공액 디엔 단량체를 순차 중합시키고, 이어서 커플링제를 첨가하여 커플링하는 방법;
(iii) 디리튬 화합물을 개시제로서 사용하고, 공액 디엔 단량체, 이어서 방향족 비닐 단량체를 순차 중합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족 불포화 탄화수소 단량체로서 공액 디엔을 사용하는 경우, 음이온 중합시에 유기 루이스 염기를 첨가함으로써, 블록 공중합체 (A) 중의 1,2-결합량 및 3,4-결합량을 늘릴 수 있고, 상기 유기 루이스 염기의 첨가량에 따라, 블록 공중합체 (A) 중의 1,2-결합량 및 3,4-결합량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유기 루이스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등의 에스테르; 트리에틸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MEDA), N-메틸모르폴린 등의 아민; 피리딘 등의 함질소 복소환식 방향족 화합물;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디옥산 등의 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설폭사이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미수첨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수소 첨가 반응에 부치는 경우, 수소 첨가 촉매에 대하여 불활성인 용매에, 얻어진 미수첨된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용해시키거나, 또는, 미수첨된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반응액으로부터 단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여, 수소 첨가 촉매의 존재 하, 수소와 반응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수소 첨가 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라니 니켈; Pt, Pd, Ru, Rh, Ni 등의 금속을 카본, 알루미나, 규조토 등의 단체(單體)에 담지시킨 불균일계 촉매; 전이 금속 화합물과 알킬알루미늄 화합물, 알킬리튬 화합물 등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지글러계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첨가 반응은, 통상, 수소 압력 0.1MPa 이상 20MPa 이하, 반응 온도 20℃ 이상 250℃ 이하, 반응 시간 0.1시간 이상 100시간 이하의 조건으로 행할 수 있다.
(기타 첨가 성분)
A층 및/또는 B층에는, 기타 성분으로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 차열 재료, 블로킹 방지제, 안료, 염료, 기능성 무기 화합물 등이 필요에 따라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계 화합물, 인계 화합물, 유황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에서도 페놀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알킬 치환 페놀 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페놀계 화합물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2-t-부틸-6-(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2,4-디-t-아밀-6-(1-(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에틸)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2,6-디-t-부틸-4-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옥타데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4-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6-t-부틸-m-크레졸),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비스(3-사이클로헥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메탄, 3,9-비스(2-(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1,1,3-트리스(2-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1,3,5-트리스(4-ter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알킬 치환 페놀계 화합물; 1,3,5-트리스(2,6-디메틸-3-하이드록시-4-t-부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6-(4-하이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하이드록시-3,5-디메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6-(4-하이드록시-3-메틸-5-t-부틸아닐리노)-2,4-비스-옥틸티오-1,3,5-트리아진, 2-옥틸티오-4,6-비스-(3,5-디-t-부틸-4-옥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기 함유 페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페닐디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디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t-부틸-4-메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포스파이트, 트리스(사이클로헥실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10-(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10-옥사이드, 10-데실옥시-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등의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닐-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 4,4'-이소프로필리덴-비스(페닐-디-알킬(C12 내지 C15)포스파이트)4,4'-이소프로필리덴-비스(디페닐모노알킬(C12 내지 C15)포스파이트), 1,1,3-트리스(2-메틸-4-디-트리데실포스파이트-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포스파이트 등의 디포스파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모노포스파이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유황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디라우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스테아릴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β-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3,9-비스(2-도데실티오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화 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충분한 산화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에이트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5-메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2-(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디-t-부틸페닐-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충분한 자외선 흡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광 안정제)
광 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의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카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 「아데카스타브 LA-57(상품명)」, 치바 스페셜티 케미컬즈 카부시키가이샤 제조 「티누빈 622(상품명)」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광 안정제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광 안정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부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광 안정제의 배합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1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부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질량부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광 안정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충분한 광 안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접착력 조정제)
유리와의 접착력을 조정하기 위해,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유리와 접하는 층에 접착력 조정제를 첨가해도 좋다. 접착력 조정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탄산, 헥산산, 2-에틸부탄산, 2-에틸헥산산, 헵탄산, 옥틸산, 노난산, 데칸산, 네오데칸산, 라우르산 등의 유기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실란 커플링제 등이 사용된다. 이들은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은, 사용하는 접착력 조정제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하게 결정하면 좋고, 통상,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이, 펌믈 시험(Pummel test; 국제공개 제03/033583호 등에 기재)에서, 3 내지 10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 유리에 높은 내관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력이 3 내지 6이 되도록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높은 유리 비산 방지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착력이 7 내지 10이 되도록 함유량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유리 비산 방지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접착력 조정제를 첨가하지 않는 것도 유용한 방법이다. 통상,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유리와 접하는 층의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으로서는, 상기 층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 질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05 내지 0.1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1 내지 0.03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서 인접하는 A층과 B층의 접착력을 조정하기 위해, A층 또는 B층에 접착력 조정제를 첨가해도 좋다. 이러한 인접하는 층간의 접착력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접착력 조정제로서는, 카복실기, 카복실기의 유도체기, 에폭시기, 보론산기, 보론산기의 유도체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기의 유도체기 등의 접착성 관능기를 갖는 폴리올레핀류를 들 수 있다.
(차열 재료)
A층 및/또는 B층이, 차열 재료(예를 들면, 적외선 흡수능을 갖는, 무기 차열성 미립자 또는 유기 차열성 재료)를 포함함으로써,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 차열 기능을 부여하고, 접합 유리로 했을 때에, 근적외광의 투과율을 낮출 수 있다. 무기 차열성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주석 도프 산화인듐(ITO),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ATO),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AZO), 안티몬산아연(ZnSb2O5), 6붕화란탄, 일반식 MmWOn(M은 금속 원소를 나타내고, m은 0.01 이상 1.0 이하, n은 2.2 이상 3.0 이하이다)으로 표시되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ITO나 ATO,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의 일반식 중의 M으로 표시되는 금속 원소로서는, 예를 들면 Cs, Tl, Rb, Na, K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Cs가 바람직하다. 차열성의 관점에서 상기 일반식 중의 m은, 0.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 무기 차열성 입자가 포함되는 경우, 그 함유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질량부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2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무기 차열성 미립자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근적외광의 투과율을 효과적으로 낮추면서,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무기 차열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nm 이하인 것이 투명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무기 차열성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레이저 회절 장치로 측정되는 것을 말한다.
유기 차열성 재료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차열성 재료는 추가로 차열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금속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Na, K, Li, Cu, Zn, Fe, Co, Ni, Ru, Rh, Pd, Pt, Mn, Sn, V, Ca, Al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Ni가 바람직하다.
유기 차열성 재료의 함유량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구성하는 층을 형성하는 전체 구성 성분의 총량에 대하여, 0.00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차열성 재료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근적외광의 투과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차열 재료는, 1종만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막 두께는, 0.0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막 두께는,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막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라미네이트가 용이해져, 비용도 저감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서의 A층의 막 두께는, 0.01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A층의 막 두께는, 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A층의 막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라미네이트가 용이해져, 비용도 저감되므로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중에 A층이 복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A층 전체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1개의 단층의 A층의 두께가, 0.01mm 이상 0.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mm 이상 0.4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서의 B층의 막 두께는, 0.04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m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B층의 막 두께는, 7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B층의 막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이면, 접합 유리를 제작할 때에 라미네이트가 용이해져, 비용도 저감되므로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중에 B층이 복수 포함되는 경우에는, B층 전체의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충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어도 1개의 단층의 B층의 두께가, 0.04mm 이상 1.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0mm 이상 0.4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C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고, C층은 공지의 수지로 구성되는 층이라도 좋다. C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우레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테트라플로로에틸렌,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레이트, 액정 폴리머, 폴리이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소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접착력 조정제, 차열 재료, 블로킹 방지제, 안료, 염료, 기능성 무기 화합물 등이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A층 및/또는 B층에 사용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또는 아이오노머 수지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자외선 흡수제 등의 A층을 구성하는 모든 성분을 혼합한 조성물을 균일하게 혼련한 후, 압출법, 캘린더법, 프레스법, 캐스팅법, 인플레이션법 등 공지의 제막 방법에 의해 A층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B층을 제작하고, 이들을 프레스 성형 등으로 적층시켜도 좋고, A층, B층 및 기타 필요한 층을 공압출법에 의해 성형해도 좋다.
공지의 제막 방법 중에서도, 특히 압출기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을 제조하는 방법이 적합하게 채용된다. 압출시의 온도(조성물의 온도)는, 150℃ 이상이 바람직하고, 17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시의 온도(조성물의 온도)는, 2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3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시의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이면,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지 등의 분해를 일으키기 어렵고, 압출기로부터의 토출을 안정시킬 수 있다. 휘발성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압출기의 벤트구에서 감압에 의해,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표면에 용융 파단(melt fracture), 엠보스 등,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파단, 엠보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그대로 재이용해도 좋고, 가공한 후에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재이용해도 좋다.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원료로 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한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만을 사용해도 좋고,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만을 사용해도 좋고,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 양쪽을 사용해도 좋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이 B층/A층/B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성인 경우, b층/a층/b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성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할 때에, a층용 원료로서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하고, b층용 원료로서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 이외의 원료(예를 들어, 새로 조제한 수지 조성물)를 사용해도 좋고, a층용 원료로서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하고, b층용 원료로서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 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사용하여, 단층 구성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해도 좋다. 또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할 때에,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 및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 이외의 원료를 추가로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b층/a층/b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성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할 때에, b층의 원료로서 새롭게 조제한 수지 조성물과 상기 B층을 포함하는 층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a층의 원료로서 새롭게 조제한 수지 조성물과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과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할 때의 적어도 원료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T다이에 도입하는 방법,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다이에 도입하여 펠릿을 얻은 후, 상기 펠릿을 벤트식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T다이에 도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T다이에 도입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50 내지 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30℃), 토출량 1 내지 100,000kg/시간(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00kg/시간)의 조건으로, 150 내지 250℃(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230℃)의 T다이에 도입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2))
본 발명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고,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원료로서 사용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도 본 발명의 하나이다. 또한,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원료로 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방법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층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층이라도 좋고, a층/b층으로 이루어진 2층 구성, a층/b층/a층으로 이루어진 3층 구성, 4층 이상의 다층 구성, a층 및 b층 이외의 층(c층으로 함)을 포함하는 층 구성이라도 좋다. c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한 C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층 구성 이외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바람직한 형태는, 상기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바람직한 형태와 동일하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제조에서 원료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유래의 수지 조성물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총량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산출된다.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은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6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고, 80% 이상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100%라도 좋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이 상기 범위 내일 때,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은 친환경성과 경제성이 보다 우수하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적어도 2장의 유리의 사이에 배치한 접합 유리도 또한 본 발명의 하나이다. 본 발명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사용함으로써, 투명성이 우수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자동차용 앞 유리, 자동차용 옆 유리, 자동차용 선루프, 자동차용 뒷 유리 또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유리, 건축용 유리 등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구성을 내부에 갖는 접합 유리가 헤드 업 디스플레이용 유리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 형상은, 한쪽 단면측이 두껍고, 다른쪽 단면측이 얇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단면 형상은, 한쪽의 단면측으로부터 다른쪽의 단면측으로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전체가 쐐기형인 형상이라도 좋고, 한쪽의 단부로부터 상기 단면과 다른쪽의 단부의 사이의 임의의 위치까지는 동일한 두께이고, 상기 임의의 위치로부터 다른쪽의 단부까지 점차적으로 얇아지는, 단면의 일부가 쐐기형인 것이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mm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적어도 2장의 유리가 동일한 두께라도 좋고, 다른 두께라도 좋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플로트판 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등의 무기 유리 외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종래 공지의 유기 유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무색, 유색, 또는 투명, 불투명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사용하는 유리의 형상에 특별히 제한은 없고, 단순한 평면상 판유리라도, 자동차용 선루프 유리 등의 곡률을 갖는 유리라도 좋다.
본 발명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투명 유리 2장 사이에 배치한 접합 유리에 대하여, JIS K 7105에 준하여 측정한 헤이즈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헤이즈가 10을 초과하는 것은, 접합 유리를 통한 시인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접합 유리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라미네이터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 진공 백을 사용하는 방법, 진공 링을 사용하는 방법, 닙 롤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압착 후에 오토 클레이브 공정에 투입하는 방법도 추가적으로 행할 수 있다.
진공 라미네이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태양 전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여, 1×10-6MPa 이상 3×10-2MPa 이하의 감압 하, 100℃ 이상 200℃ 이하에서, 특히 130℃ 이상 170℃ 이하의 온도에서 라미네이트된다. 진공 백 또는 진공 링을 사용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제1235683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고, 예를 들어 약 2×10-2MPa의 압력 하, 130℃ 이상 145℃ 이하에서 라미네이트된다.
닙 롤을 사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포함되는 수지의 유동 개시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1회째의 가압착을 한 후, 추가로 유동 개시 온도에 가까운 조건에서 가압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적외선 히터 등으로 30℃ 이상 100℃ 이하로 가열한 후, 롤로 탈기하고, 추가로 50℃ 이상 150℃ 이하로 가열한 후 롤로 압착하여 접착 또는 가접착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구성을 접합 유리 내부에 갖도록, B층을 도포한 유리를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양면에 합쳐서 적층하여, 접합 유리로 해도 좋다.
가압착 후에 부가적으로 행해지는 오토 클레이브 공정은, 접합 유리의 두께나 구성에도 따르지만, 예를 들어, 1MPa 이상 15MPa 이하의 압력 하, 120℃ 이상 160℃ 이하의 온도에서, 0.5시간 이상 2시간 이하로 실시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질량%」를 의미한다.
1.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의 산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률은 하기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W2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질량이고, WA, WB는 각각, 접합 유리용 중간막 (2)의 제조(즉,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의 재이용)에서 사용된 a층용 수지 및 b층용 수지 중,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얻어진 A층 및 B층 유래의 수지의 질량이다.
재이용률(%) = (WA+WB)×100/W2
2. 접합 유리의 헤이즈의 측정
시판의 투명 유리(세로 50mm×가로 50mm×두께 2mm) 2장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또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끼우고, 진공 백법(조건: 30℃로부터 160℃로 60분간 승온시키고, 그 후 160℃에서 30분간 유지)에 의해 접합 유리를 제작했다. 그 후, 헤이즈 미터 「HZ1」(스가 시켄키 카부시키가이샤 제조)을 사용하고, JIS K 7105에 준하여, 상기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20℃에서 측정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제조)
<TPE-1>
질소 치환하여, 건조시킨 내압 용기에, 용매로서 사이클로헥산 50kg, 음이온 중합 개시제로서 sec-부틸리튬의 10.5질량% 사이클로헥산 용액 130g(sec-부틸리튬으로서 13.9g)을 주입하고, 루이스 염기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90g을 주입했다. 내압 용기 내를 50℃로 승온시킨 후, 스티렌 1.8kg을 더하여 1시간 중합시키고, 계속해서 이소프렌 13.2kg을 더하여 2시간 중합시키고, 추가로 스티렌 1.8kg을 더하여 1시간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상기 반응액에, 옥틸산니켈 및 트리메틸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지글러계 수소 첨가 촉매를 수소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고, 수소 압력 1MPa, 80℃의 조건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방랭 및 방압시킨 후, 수세에 의해 상기 촉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하, TPE-1로 함)을 얻었다.
<TPE-2>
질소 치환하여, 건조시킨 내압 용기에, 용매로서 사이클로헥산 50kg, 음이온 중합 개시제로서 sec-부틸리튬의 10.5질량% 사이클로헥산 용액 76g(sec-부틸리튬으로서 8.0g)을 주입하고, 루이스 염기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13g을 주입했다. 내압 용기 내를 50℃로 승온시킨 후, 스티렌 0.5kg을 더하여 1시간 중합시키고, 계속해서 이소프렌 8.2kg 및 부타디엔 6.5kg으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더하여 2시간 중합시키고, 추가로 스티렌 1.5kg을 더하여 1시간 중합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부타디엔)-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을 얻었다.
상기 반응액에, 옥틸산니켈 및 트리메틸알루미늄으로 형성되는 지글러계 수소 첨가 촉매를 수소 분위기 하에서 첨가하여, 수소 압력 1MPa, 80℃의 조건에서 5시간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액을 방랭 및 방압시킨 후, 수세에 의해 상기 촉매를 제거하고, 진공 건조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폴리(이소프렌/부타디엔)-폴리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수소 첨가물(이하, TPE-2로 함)을 얻었다.
<TPE-3>
TPE-1과 TPE-2를 질량비 1:1로 220℃에서 용융 혼련하여, TPE-3을 얻었다.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의 제조)
<PVB-1>
환류 냉각기, 온도계, 앵커형 교반 날개를 구비한 5리터 유리 용기에, 이온 교환수 4,000g, 폴리비닐 알코올(점도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2몰%) 400g을 주입하고, 95℃로 승온시켜 폴리비닐 알코올을 완전히 용해시켰다. 얻어진 용액을 120rpm으로 교반 하, 10℃까지 약 30분에 걸쳐서 서서히 냉각 후, 부틸알데히드 231g 및 20% 염산 수용액 200mL를 첨가했다. 그 후, 60분에 걸쳐서 70℃까지 승온시켜, 70℃에서 100분간 유지한 후, 실온까지 냉각했다. 얻어진 수지를 이온 교환수로 세정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잔존하는 산을 중화하고, 추가로 과잉의 이온 교환수로 세정, 건조하여 폴리비닐 부티랄(이하, PVB-1로 한다)을 얻었다. PVB-1을 JIS K 6728에 따라서 분석한 바, 평균 부티랄화도(평균 아세탈화도)는 74몰%, 평균 잔존 비닐에스테르기량의 함유량은 7몰%이었고, 평균 잔존 수산기량은 19몰%이었다.
<PVB-2>
PVB-1의 제조에 있어서, 폴리비닐 알코올을 점도 평균 중합도 1,700, 비누화도 99몰%로 변경하고, 또한 부틸알데히드의 사용량을 228g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게 하여, 폴리비닐 부티랄(이하, PVB-2로 한다)을 얻었다. PVB-2를 JIS K 6728에 따라서 분석한 바, 평균 부티랄화도(평균 아세탈화도)는 69몰%, 평균 잔존 비닐에스테르기량은 1몰%이었고, 평균 잔존 수산기량은 30몰%이었다.
<실시예 1>
[i] PVB-1을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6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2.5kg/시간의 조건으로, 18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PVB-2를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4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B층용 조성물을,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10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nip)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30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을 얻었다.
[ii] 표면 온도가 23℃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두께 0.30mm의 B층 단층의 시트-1(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A층/B층(0.15mm/0.30mm)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2를 얻었다.
[iii] PVB-1을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6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2.5kg/시간의 조건으로, 18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1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10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여,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30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를 얻었다.
<실시예 2>
PVB-1을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6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2.5kg/시간의 조건으로, 18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실시예 1의 [ii]에서의 시트-1을 100질량부, PVB-2를 7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28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07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14질량부를 배합한 b층용 조성물을,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10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여,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30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을 얻었다.
<실시예 3>
PVB-1을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6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2.5kg/시간의 조건으로, 18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실시예 1의 [ii]에서의 시트-1을 100질량부, PVB-2를 2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8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2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4질량부를 배합한 b층용 조성물을,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10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30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4를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ii]에서의 시트-1을 100질량부,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12.5kg/시간의 조건으로, 170℃의 T다이(싱글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두께 0.75mm의 단층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5를 얻었다.
<실시예 5>
[i]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4kg/시간의 조건으로, 210℃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PVB-2를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폴리에스테르폴리올(카부시키가이샤 쿠라레 제조, 쿠라레 폴리올 P-510; 폴리[(3-메틸-1,5-펜탄디올)-alt-(아디프산)]) 4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B층용 조성물을,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8.3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6을 얻었다.
[ii] 표면 온도 23℃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6으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B층 단층 시트와, A층/B층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로 분리하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두께 0.25mm의 B층 단층의 시트-3(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2장과, 두께 0.25mm의 A층 단층의 시트-4(육안으로 확인한 바, B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1장을 얻었다.
[iii]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4kg/시간의 조건으로, 210℃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3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8.3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7을 얻었다.
<실시예 6>
[i]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아이오노머 100질량부(듀퐁사 제조, SentryGlas(등록 상표))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을 얻었다.
[ii] 표면 온도 23℃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B층 단층의 시트와, A층/B층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로 분리하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두께 0.25mm의 B층 단층의 시트-5(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2장과, 두께 0.25mm의 A층 단층의 시트-6(육안으로 확인한 바, B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1장을 얻었다.
[iii]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5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9를 얻었다.
<실시예 7>
a층용 수지로서 실시예 6의 [ii]에서의 시트-6 100질량부를,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실시예 6의 [ii]에서의 시트-5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0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ii]에서의 시트-5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12.5kg/시간의 조건으로, 190℃의 T다이(싱글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두께 0.75mm의 단층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1을 얻었다.
<실시예 9>
[i] TPE-2를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아이오노머 100질량부(듀퐁사 제조, SentryGlas(등록 상표))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2를 얻었다.
[ii] 표면 온도 23℃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2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B층 단층의 시트와, A층/B층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로 분리하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두께 0.25mm의 B층 단층의 시트-7(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2장과, 두께 0.25mm의 A층 단층의 시트-8(육안으로 확인한 바, B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1장을 얻었다.
[iii] TPE-2를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7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3을 얻었다.
<실시예 10>
[i] TPE-3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아이오노머 100질량부(듀퐁사 제조, SentryGlas(등록 상표))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4를 얻었다.
[ii] 표면 온도 23℃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4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B층 단층의 시트와, A층/B층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로 분리하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두께 0.25mm의 B층 단층의 시트-9(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2장과, 두께 0.25mm의 A층 단층의 시트-10(육안으로 확인한 바, B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1장을 얻었다.
[iii] TPE-3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9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5를 얻었다.
<실시예 11>
[i] TPE-3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0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아이오노머 100질량부(듀퐁사 제조, SentryGlas(등록 상표))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8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7mm/0.21mm/0.27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6을 얻었다.
[ii] 표면 온도 23℃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6으로부터,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하여, B층 단층의 시트와, A층/B층이라는 2층 구성인 시트로 분리하고, 추가로 A층과 B층의 계면을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두께 0.27mm의 B층 단층의 시트-11(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2장과, 두께 0.21mm의 A층 단층의 시트-12(육안으로 확인한 바, B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 1장을 얻었다.
[iii] TPE-3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시트-11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7mm/0.21mm/0.27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7을 얻었다.
<실시예 12>
TPE-3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실시예 11의 [ii]에서의 시트-11을 100질량부, 및 아이오노머 100질량부(듀퐁사 제조, SentryGlas(등록 상표))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7mm/0.21mm/0.27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8을 얻었다.
<실시예 13>
표면 온도가 13℃인, 실시예 1의 [i]에서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을 적층 방향에 대하여 0도 각도로 누르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서(반면으로부터 날의 돌출 높이: 0.15mm, 날의 재질: 초경합금)를 사용하여,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의 적층 방향에 대하여 90도의 각도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슬라이스하여, 두께 0.23mm의 B층 단층의 시트-13(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B층/A층/B층(0.07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14를 얻었다.
시트-1 대신에 시트-1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9를 얻었다.
<실시예 14>
실시예 1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의 표면 온도가 18℃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슬라이스하여, 두께 0.25mm의 B층 단층의 시트-15(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와, B층/A층/B층(0.05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16을 얻었다.
시트-1 대신에 시트-1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0을 얻었다.
<실시예 15>
슬라이서에 있어서, 반면으로부터 날의 돌출 높이가 0.12mm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슬라이스하여, 두께 0.17mm의 B층 단층의 시트-17(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B층/A층/B층(0.13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18을 얻었다.
시트-1 대신에 시트-1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1을 얻었다.
<실시예 16>
시트-1 대신에 시트-1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2를 얻었다.
<실시예 17>
시트-1 대신에 시트-1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3을 얻었다.
<실시예 18>
시트-1 대신에 시트-1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4를 얻었다.
<실시예 19>
실시예 5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슬라이스하여, 두께 0.21mm의 B층 단층의 시트-19(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와, B층/A층/B층(0.04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20을 얻었다.
시트-3 대신에 시트-19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5를 얻었다.
<실시예 20>
실시예 6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라이스하여, 두께 0.17mm의 B층 단층의 시트-21(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B층/A층/B층(0.08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22를 얻었다.
시트-5 대신에 시트-2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6을 얻었다.
<실시예 21>
시트-5 대신에 시트-21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7을 얻었다.
<실시예 22>
실시예 9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라이스하여, 두께 0.19mm의 B층 단층의 시트-23(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B층/A층/B층(0.06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24를 얻었다.
시트-7 대신에 시트-23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9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8을 얻었다.
<실시예 23>
실시예 10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라이스하여, 두께 0.18mm의 B층 단층의 시트-25(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와, B층/A층/B층(0.07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26을 얻었다.
시트-9 대신에 시트-25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9를 얻었다.
<실시예 24>
실시예 11의 [i]에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슬라이스하여, 두께 0.17mm의 B층 단층의 시트-27(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과, B층/A층/B층(0.10mm/0.21mm/0.27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28을 얻었다.
시트-11 대신에 시트-2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0을 얻었다.
<실시예 25>
시트-11 대신에 시트-27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1을 얻었다.
<실시예 26>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표면 온도가 13℃인 시트-14를 사용하여, B층 중 실시예 13에서 시트-13이 슬라이스된 층과 반대측의 층, 즉, 0.30mm의 두께가 있는 층의 표면이 반면에 접하도록 설치했다.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슬라이스하여, 두께 0.23mm의 B층 단층의 시트-32(육안으로 확인한 바, A층의 부착은 보이지 않았다)와, B층/A층/B층(0.07mm/0.15mm/0.07mm)이라는 3층 구성인 시트-33을 얻었다.
100질량부의 시트-13 대신에 50질량부의 시트-13과 50질량부의 시트-32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4를 얻었다.
<비교예 1>
PVB-1을 100질량부, 가소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6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70℃, 토출량 2.5kg/시간의 조건으로, 18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실시예 1의 [i]에서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10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30mm/0.15mm/0.30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5를 얻었다.
<비교예 2>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4kg/시간의 조건으로, 210℃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실시예 5의 [i]에서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6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00℃, 토출량 8.3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6을 얻었다.
<비교예 3>
TPE-1을 100질량부, 산화 방지제로서 2,6-디-t-부틸-4-메틸페놀 0.1질량부, 자외선 흡수제로서 2-(5-클로로-2-벤조트리아졸릴)-6-tert-부틸-p-크레졸 0.2질량부를 배합한 a층용 조성물을, 20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220℃, 토출량 3.6kg/시간의 조건으로, 205℃의 T다이(멀티 매니폴드 타입: 폭 400mm)에 도입했다. 한편, b층용 수지로서 실시예 6의 [i]에서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 100질량부를, 26mmφ 벤트식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온도 190℃, 토출량 7.2kg/시간의 조건으로, 상기 T다이에 도입했다. 상기 T다이로부터 공압출된 성형물을, 표면 온도를 15℃로 한 2개의 금속 엠보스 롤에 의해 닙하고, 인취 속도 0.5m/min으로, b층/a층/b층(0.25mm/0.25mm/0.25mm)이라는 3층 구성이 되는, 두께 0.75mm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7을 얻었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실시예 1 내지 2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고,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원료로 하여 제조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는, 접합 유리 제작시의 헤이즈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과 동등하다. 한편으로, 비교예 1 내지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지 않고,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그대로 재이용하여 제조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는, 접합 유리 제작시의 헤이즈가 크고, 투명성이 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은, 재이용 전의 투명성을 유지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얻어지기 때문에, 유용한 방법이다.
1 날
2 슬릿
3 반면
4 접합 유리용 중간막 (1)
h 반면으로부터 날의 돌출 높이

Claims (12)

  1.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에서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적어도 원료로 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2)를 제조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A층과 B층의 계면을 박리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은 A층 및/또는 B층을 절삭하는 방법에 의해 행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 (1)이 A층과 A층의 양면에 적층된 B층으로 이루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 및/또는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 및 B층이 폴리비닐 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A층 및 B층이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층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B층이 아이오노머 수지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제10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적어도 2장의 유리 사이에 배치되어서 이루어지는 접합 유리.
  12. 적어도 A층과 B층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로부터 A층을 포함하는 층과 B층을 포함하는 층을 분리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분리한 A층을 포함하는 층 및/또는 B층을 포함하는 층을 원료로서 사용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제조방법.
KR1020197036232A 2017-06-08 2018-06-08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KR202000162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13557 2017-06-08
JP2017113557 2017-06-08
PCT/JP2018/022076 WO2018225860A1 (ja) 2017-06-08 2018-06-08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再利用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245A true KR20200016245A (ko) 2020-02-14

Family

ID=64566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232A KR20200016245A (ko) 2017-06-08 2018-06-08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18147B2 (ko)
EP (1) EP3636612A4 (ko)
JP (1) JP7134957B2 (ko)
KR (1) KR20200016245A (ko)
CN (1) CN110650932A (ko)
WO (1) WO20182258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08558B1 (en) 2019-10-17 2022-01-12 Kuraray Europe GmbH Process for splitting plasticized pvb films
MX2023007758A (es) * 2021-01-11 2023-07-07 Solutia Inc Un metodo para reciclar poli(vinil butiral) de las laminas de poli(vinil butiral) de multiples capas.
MX2023011767A (es) 2021-05-28 2023-10-10 Solutia Inc Metodos y dispositivos para separacion mecanica de capas intermedias de multiples capas.
WO2024006630A1 (en) * 2022-06-29 2024-01-04 Solutia Inc. Method of recycling poly(vinyl butyral) from multilayer poly(vinyl butyral) sheets
WO2024073285A2 (en) 2022-09-28 2024-04-04 Soluti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mechanical separation of multilayer tapered interlayers
CN115635746B (zh) * 2022-10-24 2024-01-19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不同可见光透过率的夹层玻璃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935A (ja) 2013-10-21 2014-12-08 株式会社クラレ 層間接着性に優れる積層体
JP2016069279A (ja) 2014-09-30 2016-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1280A (en) * 1978-08-02 1980-02-15 Hitachi Zosen Corp Trimming compact recovery unit of multilayer resin
JP3137504B2 (ja) * 1993-06-08 2001-02-2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から中間膜を回収する方法
JPH1148248A (ja) * 1997-08-01 1999-02-23 Ain Kosan Kk 積層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再生処理方法及び装置
JPH11277537A (ja) * 1998-03-31 1999-10-12 Hitachi Ltd 積層樹脂材料の剥離装置及び方法
DE69913693T2 (de) * 1998-05-06 2004-12-0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Polymer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polyvinylbutyral und polyvinylchlorid
DE19951444A1 (de) 1999-10-25 2001-04-26 Huels Troisdorf Verfahren und Folie zur Herstellung von Verbundsicherheitsscheiben
DE10150091A1 (de) 2001-10-11 2003-04-17 Huels Troisdorf PVB-Folie für Verbundsicherheitsglas und Verbundsicherheitsglas
JP2003285042A (ja) * 2002-01-24 2003-10-07 Tsuruoka:Kk 廃合わせガラスの処理方法および中間膜用ポリビニルブチラール樹脂の再生方法
JP2005029083A (ja) * 2003-07-10 2005-02-03 Safety Technical Union 自動車用窓ガラス
US7361292B2 (en) * 2004-11-08 2008-04-22 Dow Global Technologies Inc. High modulus, nonconductive adhesive useful for installing vehicle windows
JP5230905B2 (ja) * 2006-03-23 2013-07-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それを用いた合わせ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99143A1 (en) * 2006-10-25 2008-05-01 Pixiu Solutions Inc. Method for reclaiming a layer of plastic material from a laminated sheet
WO2009118426A1 (es) * 2008-03-27 2009-10-01 L'urederra Fundación Para El Desarrollo Tecnológico Y Social Procedimiento para el reciclado de polivinilbutiral
JP5521280B2 (ja) 2008-04-28 2014-06-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姿勢調整装置及び車両用運転姿勢調整方法
JP2013134336A (ja) * 2011-12-26 2013-07-08 Fujifilm Corp 積層フィルム、偏光板、液晶表示装置及び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046737B2 (ja) * 2012-11-01 2016-12-21 株式会社クラレ 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5944880B2 (ja) * 2012-12-07 2016-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体
EP2969549A1 (en) * 2013-03-14 2016-01-2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for fabricating and cutting flexible glass and polymer composite structures and apparatus
KR102104230B1 (ko) * 2013-03-22 2020-04-24 주식회사 쿠라레 폴리비닐 아세탈 조성물
WO2015059829A1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5469286B1 (ja) * 2013-10-25 2014-04-16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WO2015059831A1 (ja) * 2013-10-25 2015-04-30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JP5469288B1 (ja) * 2013-10-25 2014-04-16 株式会社クラレ 複層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
EP2883694A1 (en) * 2013-12-12 2015-06-17 Agfa Graphics Nv Laminated Safety Glass
RU2666434C2 (ru) * 2014-03-31 2018-09-07 Секисуй Кемикал Ко., Лтд. Промежуточная пленка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ко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межуточной пленки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стекол и многослойное стекло
US11041054B2 (en) * 2014-03-31 2021-06-22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method for producing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PL2930031T3 (pl) * 2014-04-09 2018-07-31 Akzenta Paneele + Profile Gmbh Panel dekoracyjny WPC z krawędzią o niskiej porowatości oraz sposób jego wytwarzania
JPWO2016052670A1 (ja) * 2014-09-30 2017-07-13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US9849654B2 (en) * 2014-10-29 2017-12-26 Solutia Inc. Polymer interlayers comprising a compatibilizer
KR20170084185A (ko) 2014-11-10 2017-07-19 주식회사 쿠라레 합판 유리용 중간막 및 합판 유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26935A (ja) 2013-10-21 2014-12-08 株式会社クラレ 層間接着性に優れる積層体
JP2016069279A (ja) 2014-09-30 2016-05-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25860A1 (ja) 2018-12-13
CN110650932A (zh) 2020-01-03
EP3636612A1 (en) 2020-04-15
US20200147933A1 (en) 2020-05-14
EP3636612A4 (en) 2021-03-17
JP7134957B2 (ja) 2022-09-12
JPWO2018225860A1 (ja) 2020-05-21
US11518147B2 (en)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956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KR20200016245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재이용 방법
JP2019535620A (ja) 楔形多層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190008570A (ko) 수지 조성물, 필름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
JP6903569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6792614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18154519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22096007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JP2019077582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および合わせガラス
CN113454041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和夹层玻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