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334A - 롤링 디바이스,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디바이스의 용도 - Google Patents

롤링 디바이스,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디바이스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334A
KR20160118334A KR1020167024595A KR20167024595A KR20160118334A KR 20160118334 A KR20160118334 A KR 20160118334A KR 1020167024595 A KR1020167024595 A KR 1020167024595A KR 20167024595 A KR20167024595 A KR 20167024595A KR 20160118334 A KR20160118334 A KR 20160118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lling device
rolling
furnit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6147B1 (ko
Inventor
롤프 리바켄
Original Assignee
휠.미 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휠.미 아에스 filed Critical 휠.미 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6011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60B33/063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by linear movement parallel to swiv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60B33/0015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characterised by adaptations made to cas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47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rolling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 B60B33/0063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wivel mechanism no swivelling action, i.e. no real ca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9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9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uated remotely, e.g. by cable or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8Ball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51Increase in versatility, e.g. usable for different purposes or differen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31User-friendl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 Actuator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위한 롤링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일 단부에서의 개구를 갖는 원통부, 및 원통부에서 상호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 피스톤이 실린더에서의 상부 위치와 실린더에서의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원통부 개구를 향하고 그리고 디바이스가 이동될 때, 표면 상에서 롤링하는,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 내에 배열되는 롤링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롤링 디바이스는 원통부에서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의 피스톤의 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링 디바이스,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디바이스의 용도 {ROLLING DEVICE,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A ROLLING DEVICE AND A USE OF THE ROLLING DEVICE}
본 발명은 플로어(floor)를 횡단하여 이동될 수 있는 표면, 예컨대 가구(a piece of furniture), 벽 등을 따라 디바이스 내로의 통합을 위한 롤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많은 예들에서, 예를 들어, 가구 아래로 그리고 가구 뒤를 세정하기 위한 접근을 획득하기 위해, 가구를 이동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가구를 이동시키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구에는 상이한 유형들의 휠들(wheels)이 제공된다. 규칙적으로 이동되는 다른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이 또한 존재하며, 그리고 따라서 이 디바이스들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허용하는 휠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내부 플로어 플랜 레이아웃(interior floor plan layout)을 변경시키기 위해 이동가능할 수 있는 경량 분할 벽들(lightweight partition walls)일 수 있다. 유사한 구조적 엘리먼트들을 이동시키는 것이 요망가능할 수 있는 많은 다른 경우들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본 출원인은 노르웨이 특허 NO 316760 B1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롤링 디바이스를 이전에 개선하였다. NO 316760 B1에서 설명되는 롤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가구의 레그(leg) 내에 배열되는 원통형 슬리브 디바이스, 및 원통형 슬리브 디바이스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볼-형상 또는 구형 휠은 피스톤 내에 배열된다. 클릭 시스템(click system)의 보조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경우, 피스톤은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피스톤이 하부 위치일 때, 가구는 가구가 서 있는 플로어를 횡단하여 롤링될 수 있는 반면에, 피스톤이 상부 위치일 때, 휠은 원통형 슬리브 디바이스 내측에 있으며, 그리고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가구의 레그는, 따라서, 플로어 상에 서 있는다. 따라서, 작은 힘들이 가구에 가해질 때, 가구는, 플로어를 횡단하여 의도하지 않게 롤링함 없이, 요망되는 위치 내에 서 있는다.
NO 316760 B1에서 설명되는 롤링 디바이스를 갖는 과제는, 피스톤이 2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가구가 리프팅되는 것을 요구하는 클릭 시스템으로, 가구가 설계되는 것이다. 이는, 가구가 사람들이 리프팅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중량이 무겁다면, 많은 사람들에게 문제가 있게 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가구가, 가구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손들로 붙잡는 것을 어렵게 하거나 또는 가구를 리프팅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방식으로 위치되는 다루기 힘든 형상을 가진다.
NO 316760 B1에서의 롤링 디바이스를 갖는 다른 문제는 구형 휠이 잠금 부품 내에서 운동에 대한 약간의 자유도를 가지는 점이며, 이 잠금 부품 내에, 구형 휠이 배열되어서, 구형 휠은 잠금 부품 내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구형 휠은 고무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는 휠이, 로딩될 때, 특정한 정도로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결과는 구형 휠이, 일부 경우들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베어링 볼들에 맞닿아 가압되어, 가구가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하게 하는 것이 어렵거나 또는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따라서, 표면을 따라 디바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들, 예컨대, 가구, 이동가능한 벽 등 내에서 통합될 수 있는 롤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리고 이 롤링 디바이스는, 물리적 조건 및 롤링 디바이스가 통합되는 상이한 디바이스들을 리프팅할 수 있는 능력과 무관하게, 모든 사람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롤링 디바이스가 통합되는 디바이스가, 이렇게 요망될 때, 표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가능해야 하고, 그리고 이렇게 요망될 때 특정한 위치에서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으로 구형 휠의 롤링 특성들을 개선시키는 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독립항 제 1 항 내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롤링 디바이스, 독립항 제 16 항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가구, 그리고 제 17 항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롤링 디바이스의 용도에 의해 달성된다. 롤링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실시예들은 종속항 제 1 항 내지 제 15 항에서 규정된다.
이에 따라, 롤링 디바이스에는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위해 제공된다.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일 단부에서의 개구를 갖는 원통부, 및 원통부에서 상호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되어, 피스톤이 실린더에서의 상부 위치와 실린더에서의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원통부 개구를 향하고 그리고 디바이스가 이동될 때, 표면 상에서 롤링하는,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 내에 배열되는 롤링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롤링 디바이스는 원통부에서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의 피스톤의 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이의 상부 위치에서,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는 너무 멀리 원통부 내로 후퇴되어서, 롤링 디바이스는 원통부 내에 있고 그리고 표면을 따라 롤링할 수 없다. 이의 하부 위치에서, 피스톤은 원통부 개구를 향하여 너무 밖으로 멀리 푸쉬되어서, 롤링 디바이스의 적어도 이러한 큰 부품은 롤링 디바이스가 표면을 따라 롤링할 수 있는 원통부 개구 외측에 있다.
롤링 엘리먼트는 바람직하게는 볼-형상 또는 구형이지만, 그러나 다른 형상들을 또한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롤링 엘리먼트는 휠로서 구성될 수 있다.
롤링 엘리먼트가 휠이라면, 이 롤링 엘리먼트는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에 부착될 수 있어, 이 롤링 엘리먼트는 회전 수평 축선(horizontal axis of rotation)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스톤은 추가적으로 2 개의 부품 피스톤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부 피스톤 부품 및 하부 피스톤 부품은 회전가능하게 서로에 대해 연결되어, 하부 피스톤 부품은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스톤 및 휠은, 따라서, 원통부 내로 후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휠은 브라켓 부품 내에서 저널링될(journalled) 수 있어, 휠은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반면에, 브라켓 부품은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어, 브라켓 부품, 그리고 따라서 또한 휠은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피스톤이 원통부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이동될 때, 휠은 상호적인 운동에서의 피스톤 모션(motion)을 따를 것이다. 브라켓 부품은, 피스톤이 원통부 내로 후퇴될 때, 원통부 내로 이동하지 않거나 또는 원통부 내로 단지 부분적으로 이동하는 별도의 부품일 수 있다. 바로 전에 언급된 해결책(여기서, 브라켓 부품 및 휠은 원통부 내로 후퇴되지 않음)은, 예를 들어, 디바이스, 예컨대, 예를 들어 베드(bed)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이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둘레에서 연장하는 스커트(skirt)를 가지며, 그리고 피스톤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이 스커트 상에 디바이스가 서 있는 반면에, 피스톤이 하부 위치로 이동될 때, 디바이스는 휠 상에 서 있을 것이고, 그리고 따라서 디바이스가 서 있는 표면을 횡단하여 이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상이한 방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가압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 탱크(gas tank) 및 상기 가스 탱크와 상기 원통부 내의 원통 체적부 사이에 있고 그리고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롤링 디바이스의 밖으로의 유체 연결부(fluid connection), 그리고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 그리고/또는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입구 밸브 디바이스(inlet valve) 및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상기 출구 밸브 디바이스(outlet valve devic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구 밸브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솔레노이드(solenoid)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출입허용하고(admit) 그리고 차단하는(shut off) 밸브 멤브레인에 맞닿게 놓이는 밸브 로드(valve rod)를 포함한다. 롤링 디바이스는 상기 피스톤에 부착되는 로드(rod), 및 아암(arm)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아암은 상기 로드 및 상기 입구 밸브 디바이스의 상기 밸브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원통부에서의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밸브 로드가 상기 밸브 멤브레인에 맞닿아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맴브레인은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차단한다. 출구 디바이스는 솔레노이드 및 밸브 로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regulate) 밸브 멤브레인에 맞닿게 놓인다. 가스 탱크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이 가스 탱크가 원통부의 연장부라는 점에서 롤링 디바이스의 일체형 부품이지만, 그러나 또한, 가스가 롤링 디바이스 내에서 가스 탱크와 원통부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롤링 디바이스에 유체 연결되는 별도의 유닛(unit)일 수 있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액체를 위한, 유체 채널을 통해 유체 연결부를 통한 저장소(reservoir) 및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원통 체적부로의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pump)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electromotor)를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은 원통 체적부로부터 다시 저장소로의 액체의 유동을 출입허용할 수 있는 밸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는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는 치형 휠(toothed wheel); 상기 치형 휠을 둘러싸고 그리고 이 치형 휠에 맞물리는 볼 너트(ball nut); 및 상기 원통부에서의 피스톤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상기 피스톤의 이동을 위한 상기 볼 너트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electromotor)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성은 또한 전기모터가 직접적으로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것인데, 이는 전기 모터가 축(shaft)을 구동시키 때문이며, 이 축에는 이의 단부에서 피스톤 내에서 상응하는 스레드들과 맞물리는 스레드들(threads)이 제공된다. 전기모터는 축을 회전시킬 때, 피스톤은 축의 회전 방향을 따라 위로 또는 아래로 나사결합된다.
전기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는 롤링 디바이스 내에 배열되는 배터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배터리 용량은, 배터리가 롤링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는 동안의 예상되는 다수의 해들(number of years)에 동안 매년마다의 상승/하강 작동들의 예상되는 수로 파워를 운반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배터리는 롤링 디바이스 내에서 교체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어, 이 배터리는 필요할 때 교체될 수 있다.
전기모터에 파워를 제공하도록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충전가능한 배터리들, 및 충전가능한 배터리 또는 배터리들을 충전하기 위해 롤링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들 내에 또는 이 표면들 상에 배열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태양 전지들을 사용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햇빛은 배터리 또는 배터리들을 충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배터리들을 확인하는 것을 기억하고 그리고 배터리를 변경할 필요를 제거하며, 그리고 따라서 표면을 따라 디바이스를 이동시키는 것이 요망될 때, 배터리가 방전되는(flat) 것으로 발견되는 것을 방지한다. 무선 충전 시스템(wireless charging system)에 의해, 예를 들어, 유도적인 파워(inductive power)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가능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가능할 것이다.
대안예는 또한 전기모터에 연결되는 파워 케이블을 갖는 롤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롤링 디바이스는 메인스(mains)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의 가구들 및 다른 디바이스들은 메인스들에 보통 연결되는 다른 목적들을 위한 전원공급장치가 처음에 이미 설비된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모터들에 의해 상이한 위치들에서 설정될 수 있는 베드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가구들 및 디바이스들을 위해, 롤링 디바이스는 동일한 전원공급장치를 물론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가구 또는 디바이스 내에 동일한 전원공급장치에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장착되는 2-웨이(two-way) 네오디뮴(neodymium) 리프팅 자석을 가지는 전자기식 솔레노이드(electromagnetic solenoid)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기식 솔레노이드는 롤링 디바이스 내에 배열되는 전원 공급원, 예컨대 배터리 또는 메인스들에 연결된다. 또한, 롤링 엘리먼트 또는 피스톤은 자성이 있거나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 즉 자기장 내에 있을 때, 자화되는(magnetised) 재료로 만들어진다. 롤링 엘리먼트 또는 피스톤에는 또한 롤링 엘리먼트 내에 또는 피스톤 내에 통합되는 자성의 엘리먼트가 제공될 수 있다.
장착된 2-웨이 네오디뮴 리프팅 자석을 가지는 이러한 종류의 전자기식 솔레노이드, 및 자성의 또는 자화가능한(magnetisable) 롤링 엘리먼트, 또는 롤링 엘리먼트가 장착되는, 선택적으로 자성의 또는 자화가능한 피스톤은 롤링 디바이스와의 연결에 대해 특히 유용하며, 이 롤링 디바이스는, 노르웨이 특허 번호 제316760호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롤링 엘리먼트를 밖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엘리먼트 및 클릭 시스템을 포함한다.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 파워가 공급될 때, 솔레노이드에 부착되는 자석이 활성화되고, 그리고 롤링 디바이스가 리프팅되고 그리고 롤링 모드로 휠을 설정하는 결과에 의해, 구형 휠 내에 놓이는 자석을 끌 것이다. 자석이 전원공급장치를 절단함으로써 비활성화될 때, 리프팅 힘은 효과적인 것이 중단되며, 그리고 구형 휠은, 결과적으로, 모든 방향들로 이동될 수 있다. 구형 휠을 잠금하기 위해, 자석은 다시 활성화되며, 그리고 휠은, 그 후 잠금 모드에서 제자리로 다시 클릭될 것이어서, 이 휠은 이동될 수 없다.
롤링 디바이스가 첨부된 도면들에서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원통부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 이동하는 피스톤 내에 배열되는 롤링 엘리먼트를 포함할 때, 자성의 롤링 엘리먼트가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자석이 피스톤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전자기식 솔레노이드는 원통부 상부 측에, 바람직하게는 롤링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 배열된다. 롤링 엘리먼트가 원통부 내의 상부 위치이며, 즉 롤링 엘리먼트가 원통부 내로 후퇴될 때,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는 파워가 공급되어, 롤링 엘리먼트가, 롤링 디바이스가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될 수 있는 하부 위치일 때까지, 솔레노이드와 자성의 롤링 엘리먼트 사이의 척력(repelling force)을 야기하는 극성(polarity)이 제공되거나 또는 피스톤 내의 자석이 원통부에서 밖으로 푸쉬될 것이다. 파워가 스위치 오프될(switched off) 때,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디바이스의 중량은 일반적으로 피스톤 및 롤링 엘리먼트가 원통부 내로 다시 푸쉬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대안적으로, 파워가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 적용될 수 있어, 인력(attracting force)은 롤링 엘리먼트 또는 피스톤과 전자기식 솔레노이드 사이에서 일어나며, 그리고 피스톤 및 롤링 엘리먼트는 원통부 내로 후퇴된다.
전자석을 작동시키기 위한 파워가 롤링 디바이스 내에 배열되는 배터리에 의해, 또는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 연결되는 파워 케이블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롤링 디바이스가 메인스들에 연결되는 것을 허용한다. 배터리 용량은, 바람직하게는, 배터리가 롤링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는 동안의 예상되는 다수의 햇수들에 동안 매년마다의 상승/하강 작동들의 예상되는 수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배터리는 롤링 디바이스 내에서 교체가능하게 선택적으로 배열될 수 있어, 이 배터리는 필요할 때 교체될 수 있다.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가구 또는 디바이스에, 메인스들(예를 들어, 전에 언급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전기모터들에 의해 상이한 위치들로 조절될 수 있는 베드들)에 연결되는, 다른 목적들을 위한 전원공급장치가 이미 설비되었다면, 롤링 디바이스는 동일한 전원공급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가구 또는 장치 내에서 동일한 전원공급장치에 내부로 연결될 수 있다.
롤링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한 안테나(antenna)를 포함한다. 이는 무선으로 신호들을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다른 적합한 기술들일 수 있다. 롤링 디바이스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예를 들어, 시작 및 정지 스위치들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가능하다. 시작 및 정지 스위치(들)이 수동 버튼들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센서, 예컨대, 예를 들어, 감압성 센서(pressure-sensitive sens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가 접촉을 인식할 때, 이 센서는 롤링 디바이스가 부품인 가구 또는 장치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프로세스를 시작시킨다. 보통, 가구 또는 디바이스에는 다수의 롤링 디바이스들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베드에는 일반적으로 1 개의 롤링 디바이스가 각각의 레그 내에 제공될 것이며, 그리고 각각의 모든 단일 레그 상에서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센서를 접촉할 필요를 제거하기 위해, 롤링 디바이스들은, 이 롤링 디바이스들이, 예를 들어 위에서 언급된 블루투스에 의해, 무선으로 통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블루투스를 통해, 다른 롤링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하나의 버튼/스위치 또는 하나의 센서가 바람직하게는 사용되어, 롤링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디바이스가 센서를 접촉하거나 버튼/스위치를 누름으로써(센서 또는 버튼/스위치가 제공되는 여부에 따름) 활성화될 때, 신호는 다른 롤링 디바이스들에 전송되어, 롤링 디바이스의 롤링 엘리먼트들을 갖는 피스톤들이, 동시에, 이들의 각각의 원통부들 밖으로 푸쉬되거나 또는 이들의 각각의 원통부들 내로 끌어당겨진다.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에서 개구로부터 상기 피스톤 내측으로 연장하는 캐비티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롤링 엘리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롤링 엘리먼트는, 다시 말해, 피스톤 내에 제자리에 유지되지만, 그러나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이동시킬 때, 롤링 디바이스가 표면을 따라 롤링하는 것을 허용하며, 롤링 엘리먼트의 부품은 반드시 피스톤 개구의 외측에 필연적으로 놓여야 한다.
피스톤은 베어링 판(bearing plate)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베어링 판은 상기 캐비티 내에서 배열되고 그리고 구형 베어링 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형 베어링 표면은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응하는 구형 베어링 표면에 맞닿아 놓여, 상기 베어링 판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베어링 판은, 바람직하게는 단부 부분을 갖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그리고 베어링 판의 구형 베어링 표면은 돌출부의 단부 부분 상에 배열된다. 유사하게, 캐비티는 바람직하게는 캐비티의 구형 베어링 표면이 배열되는 오목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베어링 볼들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베어링 판과 상기 롤링 엘리먼트 사이의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베어링 판과 상기 캐비티 사이에 배열된다.
가구의 중량을 지탱하고 그리고 표면 상에 서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가구가 또한 제공되며, 여기서 지지 엘리먼트는 표면을 횡단하여 가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술되는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가구, 이동가능한 벽, 기계, 트롤리(trolley), 크레이트(crate), 콘테이너(container) 등 내에서, 표면을 따른 롤링 운동을 위한 그리고 일단 이동이 실행될 때, 안정한 위치를 차지하기(take up) 위한 전술된 바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롤링 디바이스들의 용도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부 제한되지 않은 실시예들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피스톤이 상부 위치에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단면을 예시한다.
도 2는, 피스톤이 하부 위치에 있는 경우,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롤링 디바이스를 통과하는 단면을 예시한다.
도 3은, 피스톤이 롤링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4는, 피스톤이 기계적 해결책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5는, 피스톤이 외부 소스로부터 공급되는 유체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6은, 롤링 디바이스가 가구 부품 내에 통합되는 경우 그리고 피스톤이, 롤링 엘리먼트가 표면 상에서 롤링할 수 있는, 하부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의 가구 부품을 예시한다.
제 7은 스타트 디바이스(starting device)가 제공되는 롤링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도 8은, 가구 부품에는 스타트 디바이스가 제공되는 경우, 일체형 롤링 디바이스를 갖는 가구 부품을 예시한다.
도 9는, 피스톤이 전자기식 시스템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롤링 디바이스를 예시한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롤링 디바이스의 상이한 실시예들 내에서 동일한 기술 특징들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도면들에서 사용되는 것이 우선적으로 언급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롤링 디바이스(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그리고 따라서 함께 설명될 것이다.
롤링 디바이스(10)는 한 단부에 개구(14)를 갖는 하우징(11) 및 다른 단부에 저부(38)를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원통 저부(23)로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하우징의 하부 부분은 원통부(13) 및 하우징(11)을 통해 원통 저부(13)로부터 하우징의 저부(38)로 연장하는 스템(stem)을 형성한다.
원통부(13)에서, 피스톤(15)이 배열되며, 이 피스톤은 피스톤이 바람직하게는 원통 저부(23)에 맞닿아 놓이는 상부 위치와 피스톤(15)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정지 에지들(39)에 맞닿아 놓이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은 상부 위치에서의 피스톤(15)을 도시하는 반면에, 도 2는 하부 위치에서의 피스톤을 도시한다.
피스톤(15)의 상부 측에서, 피스톤(15)과 원통 저부(23) 사이에, 원통 체적부(cylinder volume)(22)가 형성되며, 이 원통 체적부는, 피스톤이 도 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상부 위치일 때, 거의 영(zero)인 크기를 가지며, 그리고 이 원통 체적부는, 피스톤이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은 하부 위치일 때, 최대 크기이다. 피스톤(15)의 외측에서, 바람직하게는 시일(seal)(24)이 배열되며, 이 시일은, 원통 체적부(22) 내에 있는 가압된 유체가 누출되는(leaking out) 것을 방지하도록, 피스톤과 원통부(13) 사이에서 밀봉한다.
피스톤(15)은, 바람직하게는 중공형 공간 또는 캐비티(cavity)(43)로 구성된다. 캐비티(43)에서, 베어링 판 (bearing plate)(17)이 배열된다. 베어링 판(17)은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판의 돌출부(49) 상의 제 1 구형 베어링 표면(18)으로 구성된다. 피스톤(15) 내의 오목부에서, 상응하는 제 2 구형 베어링 표면(19)이 구성되며, 이 제 2 구형 베어링 표면에 맞닿아, 제 1 구형 베어링 표면(18)이 놓인다. 베어링 판(15)은, 따라서 모든 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15)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고정 부재들(holding members)(16)을 더 포함하며, 이 고정 부재들은 피스톤 내에 제자리에 롤링 엘리먼트(20)를 고정시킨다. 고정 부재들(16)은 바람직하게는 롤링 엘리먼트(20)와 고정 부재 또는 부재들(16) 사이에서 일부 틈새(clearance)가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롤링 엘리먼트(20)를 제자리 내로 미끄러지게 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고, 그리고 또한 롤링 엘리먼트(20)와 고정 부재(들)(16) 사이에 적은 마찰이 존재하여, 롤링 엘리먼트가 더 용이하게 롤링하는 것을 의미한다.
베어링 판(17)과 롤링 엘리먼트(20) 사이의, 그리고 베어링 판과 피스톤(15)의 잔여부 사이의 영역에서, 롤링 엘리먼트가 놓이는 다수의 베어링 볼들(21)이 배열된다.
롤링 엘리먼트(20)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 고무 재료는, 로딩될(loaded) 때, 약간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으며, 이는 롤링 엘리먼트가 측면으로 약간 변위될 수 있고 그리고 베어링 볼들(21) 상에서 가압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가 일어날 때, 롤링 엘리먼트가 롤링하지 않을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판(17) 및 피스톤(15)은 상응하는 제 1 및 제 2 구형 베어링 표면들(18, 19)로 구성되어, 베어링 판(15)은, 베어링 볼들이 롤링 엘리먼트(20)에 의해 가압될 때, 다소 휘어질(yield) 수 있다.
설명의 제 1 부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에서 지지되거나, 또는 브라켓 부품에 의해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에 체결되는 휠-형상 또는 구형 롤링 엘리먼트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여, 휠이 수평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휠이 표면 상에서 롤링하는 것을 허용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휠이 수직 축을 중심으로 또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휠이 선회하는 것을 그리고 디바이스가 표면을 횡단하여 요망되는 방향으로 롤링되는 것을 허용한다.
하부 단부 부분에서, 하우징(11)은 풋 부품(25)으로 추가적으로 구성되며, 이 풋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피스톤(15) 및 롤링 엘리먼트(20)가 원통부(13) 내에서 상부 위치일 때, 스크래치들 및 표면에 대한 다른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형 링(26)을 포함한다. 보호형 링(26)은, 예를 들어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펠트 패드들(felt pads) 등은 풋 부품(25) 아래에 제공될 수 있다.
롤링 디바이스(10)는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 원통부(13) 내에서 피스톤(15)의 운동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actuator system)을 더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롤링 디바이스(10) 내에 통합되는 가스 탱크(gas tank)(28)를 포함한다. 가스 탱크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통 저부(23)와 하우징 저부(38) 사이에서, 하우징(11)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일 단부에서 피스톤(15)에 체결되는 피스톤 로드(40)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하우징(11) 및 저부(38) 내에서 스템(12)을 통해 연장하고 그리고 이후 저부(38)로부터 돌출한다. 다른 단부에서, 피스톤 로드(40)는 횡단 엘리먼트(41)로 구성된다. 가스 채널(44)이 가스 탱크(28)로부터 피스톤 로드(41)로 이어지는 반면에, 피스톤 로드(40)와 스템(12) 사이에서, 가스 채널(44)이 가스의 관통유동(throughflow)을 위해 개방될 때, 가스가 가스 탱크(28)로부터 원통 체적부(22)로 유동할 수 있는 틈새가 존재한다. 피스톤 로드(40)로부터, 저부(38) 바로 위에서, 가스 채널(46)과 연통하는 다른 가스 채널(45)이 여기에서 이어진다. 가스 채널(46)은 롤링 디바이스(10)의 외부와 통하여, 가스 채널(45)이 가스의 관통유동을 위해 개방될 때, 가스는 원통 체적부(22)로부터 피스톤 로드(40)와 스템(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그리고 가스 채널들(45 및 46) 밖으로 유동할 수 있다. 원통 체적부(22)는 따라서 가스가 없을 수 있다.
가스 탱크(28)로부터 원통 체적부(22)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롤링 디바이스(10)에는 밸브 로드(32)를 포함하는 입구 밸브 디바이스(30)가 제공되며, 이 밸브 로드는 일 단부에서 솔레노이드(solenoid)(31)에 연결되고 그리고 중간 부분에서 숄더(shoulder)(33)로 구성된다. 밸브 로드(32)의 다른 단부는 가스 채널(44)에 걸쳐 놓이고 그리고 밸브 멤브레인(valve membrane)(34)에 맞닿게 놓이고, 그리고 가스 탱크(28)로부터의 가스의 관통유동을 차단하고 그리고 출입허용한다(admit). 아암(42)은 일 단부에서 피스톤 로드(40)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밸브 로드(32)에 미끄럼가능하게 연결된다.
원통 체적부(22)로부터 그리고 롤링 디바이스(10)의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기 위해, 롤링 디바이스(10)에는 일 단부에서 솔레노이드(35)에 연결되는 밸브 로드(36)를 포함하는 출구 밸브 디바이스(29)가 제공된다. 밸브 로드(36)의 다른 단부는 가스 채널(45)에 걸쳐 놓이고 그리고 밸브 멤브레인(37)에 맞닿게 놓이고, 그리고 원통 체적부(22)로부터의 가스의 관통유동을 차단하고 그리고 출입허용한다.
가스가 피스톤 로드(40) 둘레의 틈새 내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부(43)는 가스 채널들(44 및 45) 바로 위에 제공된다.
롤링 디바이스(11)는 특히 솔레노이드들(31 및 35)의 제어를 위한 전자기기를 갖는 안테나 및 PCB(즉,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제어 디바이스(47)를 더 포함한다. 배터리(48)는 제어 디바이스(47) 및 밸브 디바이스들(29 및 30)의 작동을 위해 필수적인 파워를 제공한다. 롤링 디바이스(10)에는 바람직하게는 롤링 디바이스의 수명에 걸쳐 지속되는 배터리가 제공되지만, 그러나 롤링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또한 물론 가능하여, 배터리를 변경할 필요가 존재할 때, 배터리들이 변경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 안테나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리모트(remote) 제어부로부터 신호들을 수용하도록 적응된다. 안테나가 신호를 수용할 때, 안테나는 수용되는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들(31 또는 35) 중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개시하는 신호를 보낼 것이다. 원통부(13) 내에서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15)의 운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센서, 예컨대, 예를 들어, 감압성 센서(pressure-sensitive sensor), 또는 버튼(button) 또는 스위치(switch)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는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되고, 그리고 더 상세하게 아래에서 설명된다.
사용 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롤링 디바이스(10)는 다음의 방식으로 작동한다. 피스톤(15) 상부 위치일 때, 롤링 엘리먼트(20)는 원통부(13) 내측에 있으며, 그리고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는 디바이스가 표면 상에 서 있다(standing). 안테나가 롤링 엘리먼트(20)를 갖는 피스톤이 원통부(13) 밖으로 나올 수 있는 신호를 수용한다면, 제어 디바이스는, 솔레노이드(31)가 밸브 로드(32)를 위로 그리고 솔레노이드(31) 내로 끌어당기는(draw) 전류 펄스(current pulse)를 수용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가스 탱크로부터의 가스 압력은, 그 후, 밸브 멤브레인(34)을 리프팅하고(lift) 그리고 가스 채널(44)를 통해, 피스톤 로드(40)와 스템(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아래로 그리고 원통 체적부(22) 내로의 가스의 유동을 출입허용한다. 밸브 멤브레인의 전체 영역은 이제 가스 압력을 받을 것이어서, 힘은 솔레노이드(31)로부터의 스프링 압력을 초과한다. 그 후, 피스톤(15)은, 피스톤(15)이 요망되는 위치(이 위치에서, 피스톤 로드(40) 상의 횡단 엘리먼트(41)가 밸브 로드(32) 상의 숄더(33)에 맞닿게 아래로 푸쉬되는 아암(42)을 그립핑함(grip))에 도달될 때까지, 원통부(13)의 밖으로 이동한다. 밸브 로드(32)는 가스 채널(44) 내의 개구를 향하여 푸쉬되는 밸브 멤브레인(34)에 맞닿게 아래로 푸쉬된다. 따라서, 가스 채널(44)은 추가적인 가스의 관통유동에 대해 차단된다. 정지 에지(39)는, 피스톤이 제어되지 않은 원통부(13)의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될 것이다.
안테나가 이제 롤링 엘리먼트(20)를 갖는 피스톤이 원통부(13) 내로 이동할 수 있는 신호를 수용한다면, 제어 디바이스(47)는, 솔레노이드(35)가 밸브 로드(36)를 위로 그리고 솔레노이드(31) 내로 끌어당기는 전류 펄스(current pulse)를 수용하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원통 체적부(22)로부터의 가스 압력은, 그 후, 밸브 멤브레인(37)을 리프팅하고, 그리고 원통 체적부(22)로부터 피스톤 로드(40)와 스템(12) 사이의 틈새를 통해 그리고 추가적으로 가스 채널(45) 내에서 밖으로 그리고 가스 채널(46) 내에서 밖으로의 가스의 관통유동을 허용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3 개의 다른 액추에이터 시스템들이 도시되며, 이 액추에이터 시스템들은,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롤링 디바이스(10)의 실시예와 같이, 원통부(13)에서의 상부 위치(상부 위치에서, 롤링 엘리먼트(20)가 원통부(13) 내측에 있음)와 원통부(13)에서의 하부 위치(하부 위치에서, 롤링 엘리먼트(20)가 원통부(13)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함) 사이에서 피스톤(15)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어,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는 디바이스는 이 디바이스가 서 있는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11) 내측에 배열되는 전기모터(electromotor)(50)을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도시한다. 전기모터(50)는 펌프(52)를 구동시키는 축(shaft)(51)에 연결된다. 롤링 디바이스(11)는 액체를 위한 저장소(61) 및 펌프에 그리고 그 후 원통 체적부(22)에 저장소(61)를 연결시키는 액체 채널(53)을 또한 포함한다. 피스톤(15)이 원통부(13)의 밖으로 이동될 때, 전기모터는 제어 디바이스(도 3에서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신호로 시작하고, 그리고 저장소(61)로부터 원통 체적부(22)로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51)를 구동시킨다. 피스톤(15)은, 따라서, 원통부(13)의 밖으로 이동된다. 피스톤이 다시 원통부 내로 이동될 때, 액체는 액체 채널(53)을 다시 통과될 수 있다.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는 디바이스의 중량은 피스톤을 원통부 내로 그리고 액체를 원통 체적부의 밖으로 그리고 다시 저장소(61)로 가압할 것이다.
도 4에서, 하우징(11) 내에서 배열되는 전기모터(50)를 포함하는 다른 액추에이터 시스템이 도시된다. 축(51)은 전기모터(50) 및 치형 휠(toothed wheel)(54)에 연결된다. 치형 휠(54)는 볼 너트(55)와 맞물린다. 볼 너트(55)는 피스톤(15)에 체결되는 볼 나사(56)를 둘러싼다. 전기모터(50)가 축(51)을 회전시킬 때, 치형 휠(54)은 볼 너트(55)를 회전할 것이며, 따라서, 이 볼 너트는, 축(51)의 회전 방향에 따라, 볼 나사(56) 및 피스톤(15)을 원통부(13) 밖으로 또는 원통부(13) 내로 나사결합한다(screw).
도 3 및 도 4과 관련되어 위에서 설명되는 전기모터들(50)는 배터리(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될 것이다. 배터리는, 롤링 디바이스의 수명 동안 기대되는 다수의 운동들에 상응하여, 원통부(13)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의 피스톤(15)의 특정한 다수의 운동들을 위한 파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치수형성될(dimensioned) 수 있다. 배터리는 또한 롤링 디바이스 내에서 교체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배터리가, 다시 롤링 디바이스 내에 넣기 전에, 제거되고 그리고 충전되기 때문이거나, 또는 롤링 디바이스가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외부 전원공급장치, 예를 들어, 메인스(mains) 또는 발전기에 연결되기 때문에, 배터리는 또한 충전가능할 수 있다. 설명의 제 1 부분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배터리들은 대안적으로 충전가능할 수 있고 그리고 롤링 디바이스의 외부 표면 내에 또는 이 표면 위에 배열되는 태양 전지들을 사용하여 또는 유도 전류와 같이 와이어리스 충전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롤링 디바이스에는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될 수 있어, 롤링 디바이스는 파워 케이블에 의해 메인스에 연결될 수 있다. 가구 또는 디바이스에 복수의 롤링 장치들이 제공된다면, 모든 롤링 디바이스들은, 바람직하게는, 롤링 디바이스들의 작동을 위한 메인스로부터 전기적 파워의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될 것이다. 특히,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한 점의 가구 또는 디바이스에 다른 목적(예를 들어, 조명이 제공되는 베드 기초부 또는 가구들 그리고 디바이스들의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전기 모터들을 사용하는 베드들(beds))을 위해 전원공급장치가 제공된다면, 롤링 디바이스가 메인스들로부터 파워를 수용하는 가구 또는 디바이스 내의 동일한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또한 허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의 전기모터(50)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디바이스가 신호를 수용할 때, 리모트 제어부 또는 스타트 디바이스(62)(도 7 및 도 8을 참조)로부터 무선으로, 또는 스타트 디바이스(62)(도 7 및 도 8을 참조)로부터 신호 케이블을 통해 선택적으로, 전기모터는 롤링 엘리먼트(20)가 표면과 접촉하는 위치로 피스톤(15)을 푸시할 것이어서, 롤링 디바이스(10), 및 이 롤링 디바이스가 배열되는 가구 또는 장치가 표면에 걸쳐, 또는 롤링 엘리먼트(20)가 원통부(13) 내로 끌어당겨지는 위치로 롤링될 수 있어, 풋 부품(25)이 표면과 접촉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서의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원통부(13) 내에 배열되는 피스톤(15)을 갖는 롤링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유체 채널(62)은 하우징의 외측에 하우징을 통해 배열된다. 롤링 디바이스 내에 일체형 가스 탱크를 가지는 대신에,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체 채널(57)이 도시되며, 이 유체 채널은, 예를 들어, 유체 채널(62)의 출구에 연결되는 출구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호스(57)의 단부로부터 원통 체적부(22)로의 연속적인 유체 채널을 형성한다. 유체 채널(57)은, 따라서 외부 가스 탱크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외부 가스 탱크는 가스 탱크의 교체를 간소화한다. 일반적으로, 가스 탱크는, 원통부(13) 안으로 그리고 밖으로의 피스톤(15)의 주어진 다수의 운동들로 예상되는 다수의 해들(number of years) 동안 기능하기 위해, 롤링 디바이스를 위한 충분한 가스로 충전될 것이다. 그러나, 가구들 또는 디바이스들은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고, 매우 종종 이동되는 경우, 케이스들(cases)이 고려가능하며, 그리고 따라서 도 5에서 도시되는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가스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6에서, 전형적인 가구 부품, 예를 들어, 베드, 테이블, 소파 등의 레그(leg)가 도시되며, 이 레그 내에, 롤링 디바이스(10)가 장착된다. 가구 부품은 롤링 디바이스(10)의 외부 치수들, 그리고 가구에 가구 부품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디바이스에 적응되는 캐비티(58)에 의해 구성된다. 롤링 디바이스(10)는 캐비티(58) 내로 도입되며, 그 후에, 유지 엘리먼트들(retaining elements)(27)은 롤링 디바이스(10)가 캐비티(58)의 밖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원통부(13) 내에서 이의 하부 위치의 피스톤(15)을 도시하며, 여기서 롤링 엘리먼트(20)는 롤링 디바이스로부터 돌출하고 그리고 표면 상에 놓이고 그리고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할 수 있다. 가구 부품(60)이 체결되는 가구는, 이제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될 수 있다. 피스톤(15)이 원통부(13) 내에서 이의 상부 위치로 이동될 때, 롤링 엘리먼트(20)는 따라서 표면 상에 서 있는 풋 부품(25) 바로 위에 있을 것이다. 가구 부품(60)이 체결되는 가구는, 따라서 표면 상에 안정되게 서 있을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가구 또는 장치가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될 때 원통부 밖으로, 또는 가구 또는 장치가 요망되는 위치로 롤딩될 때 원통부 안으로 피스톤(15)의 운동을 시작하기 위한 리모트 제어부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대안예를 도시하며, 그리고 가구 또는 디바이스가 안정한 위치를 가져야 하며, 즉, 요망되는 위치 밖으로 롤링할 가능성을 가지지 않아야 하는 것이 요망된다. 피스톤(15)이 원통부(13) 내로 이동할 때, 롤링 엘리먼트는 원통부 내로 또한 끌어당겨질 것이며, 그리고 풋 부품(25)은 궁극적으로 표면 상에 안정되게 서 있을 것이다.
도 7은 전술된 바와 같은 롤링 디바이스(10)를 도시하며, 여기서 하우징(11)에는 롤링 디바이스가 풋 부품(25) 상에 서 있을 때 피스톤(13)에서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의 피스톤(15)의 운동을 시작시키기 위한, 또는 롤링 디바이스가 롤링 엘리먼트(20) 상에 서 있을 때 원통부(13)에서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의 피스톤(15)의 운동을 시작시키기 위한 스타트 디바이스(62)가 제공된다. 스타트 디바이스(62)는 바람직하게는 센서, 예를 들어 압력-감지 센서를 포함하며, 이 센서는 사용자가 센서를 접촉하는 것을 인식한다. 스타트 디바이스(62)는,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예를 들어 블루투스 기술의 사용을 통해, 또는 선택적으로 스타트 디바이스(62)와 제어 디바이스(47)를 연결시키는 케이블(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47)와 통신한다. 사용자가 스타트 디바이스(62)에서 접촉-감응식 센서를 접촉할 때, 신호가 제어 디바이스(47)에 보내질 것이며, 그리고 롤링 엘리먼트(20)가 표면과 접촉하여,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는 가구 또는 장치는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할 수 있는 경우, 피스톤(13)이 원통부(13) 내에서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이동될 것이며, 또는 롤링 엘리먼트(20)는 이의 전체가 원통부(13) 내로 끌어당겨지며, 그리고 풋 부품(25)은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 이 피스톤은 원통부(13) 내에서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 이동될 것이다.
센서 대신에, 스타트 디바이스(62)는, 그렇게 요망된다면,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 또한 언급되어야 한다. 스타트 디바이스(62)는, 센서가 사용될 때와 동일한 방식으로 무선으로 또는 신호 케이블에 의해 제어 디바이스(47)와 통신한다.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사용자는 롤링 엘리먼트(20)가 표면과 접촉하고 그리고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할 수 있거나 또는 원통부 내측으로 끌어당겨져 풋 부품(25)이 표면과 접촉하는 위치로의 원통부에서의 피스톤의 운동을 시작시킬 것이다.
도 8은, 도 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구 부품(60)의 캐비티(58) 내에 배열되는 롤링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롤링 디바이스(10)가, 도 6 및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구 부품 내에서 일체로 배열될 때, 가구 부품(60)에는 위에서 도 7과 연결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외측에서의 스타트 디바이스(62)가 제공된다. 스타트 디바이스(62)는, 바람직하게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무선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신호 케이블(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이 스타트 디바이스(62)와 제어 디바이스(47)를 연결시킴으로, 제어 디바이스(47)와 통신하는 센서 또는 선택적으로 스위치 또는 버튼을 포함한다. 감압성 센서가 접촉될 때, 선택적으로 스위치 또는 버튼이 눌려진다면, 제어 디바이스(47)는, 피스톤이 상부 또는 하부 위치인 여부에 따라, 원통부(13) 내에서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의 또는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의 피스톤(15)의 운동을 액추에이팅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스일 것인 가구 또는 디바이스에 복수의 롤링 디바이스들(10)이 제공된다면, 도 6 및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롤링 디바이스가 가구 부품들 내에 일체로 배열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롤링 디바이스 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가구 부품에는 스타트 디바이스(62)가 제공된다. 하나의 스타트 디바이스(62)는, 그 후,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스타트 디바이스(62)가 배열되는 롤링 디바이스 내에서 제어 디바이스(47)를 통해 모든 롤링 디바이스들(62)에서의 제어 디바이스들(47)과 통신한다. 스타트 디바이스(62)가 배열되는 롤링 디바이스(10) 내에 제어 디바이스(47)가 있게 하고 그리고 모든 다른 롤링 디바이스들(10)(가구 또는 디바이스에는 이 롤링 디바이스들이 제공됨)을 제어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스타트 디바이스들의 감압성 센서가 접촉되고, 선택적으로 스위치가 눌러질 때, 모든 롤링 디바이스들(10) 내의 피스톤들(15)은, 따라서, 원통부(13) 내에서 상부 위치로부터 하부 위치로 또는 원통부(13) 내의 하부 위치로부터 상부 위치로 동시에 이동될 것이다.
도 9는, 바람직하게는 원통부(13)의 상부 측 상에서 하우징(11) 내에 배열되는 전자기식 솔레노이드(65)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갖는 롤링 디바이스(10)를 도시한다. 솔레노이드(65)에는, 바람직하게는, 전자기식 솔레노이드(65)가 가할 수 있는 자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네오디뮴 자석(neodymium magnet)(66)이 제공된다. 전자기식 솔레노이드(65)는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 파워를 켜고(turn on) 그리고 끌(turn off) 수 있는 스위치를 갖는 배터리(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전자기식 솔레노이드는 제어 디바이스(47)에 의해 제어되며, 이 제어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바와 같은 동일한 방식으로 리모트 제어부 또는 센서로부터 신호들을 수용한다. 대안적으로, 전자기식 솔레노이드(65)는 전기 케이블들에 의해 메인스들에 연결된다. 피스톤(15) 내에, 도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자석(67)이 배열된다. 전류가 솔레노이드(65)를 통해 보내지고, 그리고 피스톤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솔레노이드(66)는 자석(67)에 척력(repelling force)을 유발하는 자기장을 설정할 것이어서, 피스톤 및 롤링 엘리먼트(20)는 롤링 디바이스(10)가 표면을 횡단하여 롤링될 수 있는 하부 위치로 이동한다. 전자기식 솔레노이드에 대한 파워가 스위치 오프될(switched off) 때, 리펠링 자기장(repelling magnetic field)이 사라질 것이며, 그리고 롤링 엘리먼트(20)를 갖는 피스톤은 상부 위치로 푸쉬될 것인데, 이는 롤링 디바이스(10)가 배열되는 가구 또는 디바이스의 중량 때문이다. 대안적으로, 솔레노이드(65)를 통한 전류의 방향이 터닝될(turned) 수 있어, 자기장이 형성되며, 이 자기장은 피스톤(15)에서 자석(67)을 끌어, 피스톤 및 롤링 엘리먼트는 원통부(13)에서 상부 위치로 후퇴된다(retracted).

Claims (17)

  1. 표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디바이스(device)를 위한 롤링 디바이스(rolling device)로서,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이의 일단부에서의 개구를 갖는 원통부, 및 피스톤이 원통부 내에서의 상부 위치와 원통부 내에서의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원통부에서 상호적으로(reciprocally) 이동가능하게 배열되는 피스톤(piston)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원통부 개구를 향하는 상기 피스톤의 제 1 단부 부분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디바이스가 이동될 때 표면 상에서 롤링하는 롤링 엘리먼트(rolling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상기 원통부 내에서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피스톤을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actuator system)을 더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가압된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가스 탱크(gas tank); 상기 가스 탱크와 상기 원통부 내의 원통 체적부 사이에 있고 그리고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롤링 디바이스의 밖으로의 유체 연결부(fluid connection); 및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 그리고/또는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롤링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입구 밸브 디바이스(inlet valve) 및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상기 출구 밸브 디바이스(outlet valve device)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밸브 디바이스는 솔레노이드(solenoid) 및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출입허용하고(admit) 그리고 차단하는(shut off) 밸브 멤브레인(valve membrane)에 맞닿게 놓이는 밸브 로드(valve rod)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는 로드(rod), 및 아암(arm)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상기 로드 및 상기 입구 밸브 디바이스의 상기 밸브 로드에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원통부에서의 이의 하부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밸브 로드가 상기 밸브 멤브레인에 맞닿아 가압되며, 이에 의해 상기 맴브레인은 상기 가스 탱크로부터 상기 원통 체적부로의 가스의 유동을 차단하는,
    롤링 디바이스.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디바이스는 솔레노이드 및 밸브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원통 체적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롤링 디바이스 밖으로의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regulate) 밸브 멤브레인에 맞닿게 놓이는,
    롤링 디바이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탱크는 상기 롤링 디바이스의 일체형 부품인,
    롤링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액체를 위한, 유체 채널을 통해 유체 연결부를 통한 저장소(reservoir) 및 상기 저장소로부터 상기 원통부의 원통 체적부로의 액체를 펌핑하는 펌프(pump)를 구동시키는 전기모터(electromotor)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은 원통 체적부로부터 다시 상기 저장소로의 액체의 유동을 출입허용하도록 개방될 수 있는 밸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은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는 상기 피스톤에 체결되는 볼 나사(ball screw); 상기 볼 나사를 둘러싸고 그리고 상기 볼 나사에 맞물리는 볼 너트(ball nut); 및 상기 피스톤을 상기 원통부에서의 이의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볼 나사를 회전시키는 전기모터(electromotor)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디바이스는 상기 액추에이터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신호 전송을 위한 안테나(antenna)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의 상기 제 1 단부 부분 내의 개구로부터 상기 피스톤으로 연장하는 캐비티로 구성되며,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기 롤링 엘리먼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롤링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베어링 판(bearing plate)을 더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 판은 상기 캐비티 내에서 배열되고 그리고 구형 베어링 표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형 베어링 표면은 상기 캐비티 내에서 상응하는 구형 베어링 표면에 맞닿아 놓여, 상기 베어링 판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링 디바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판은 단부 부분을 갖는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베어링 판의 상기 구형 베어링 표면은 상기 돌출부의 상기 단부 부분에 배열되며, 그리고 상기 캐비티는 상기 캐비티의 상기 구형 표면이 배열되는 오목부(recess)를 포함하는,
    롤링 디바이스.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베어링 볼들이, 상기 캐비티 내에, 상기 베어링 판과 상기 롤링 엘리먼트 사이의 영역에서 그리고 상기 베어링 판과 상기 캐비티 사이에 배열되는,
    롤링 디바이스.
  16. 하나 이상의 지지 엘리먼트(support element)를 포함하는 가구(a piece of furniture)로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는 상기 가구의 중량을 지탱하고 표면 상에 서 있는, 가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 엘리먼트는 상기 표면을 횡단하여 상기 가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롤링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가구.
  17. 가구, 이동가능한 벽, 기계, 트롤리(trolley), 크레이트(crate), 콘테이너(container) 등 내에서, 표면을 횡단하는 롤링 운동을 위한 그리고 일단 운동이 실행된다면, 안정한 위치를 차지하기(take up)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롤링 디바이스들의 용도.
KR1020167024595A 2014-02-06 2015-02-06 롤링 장치, 롤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장치의 용도 KR102296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140145 2014-02-06
NO20140145 2014-02-06
NO20140520A NO20140520A1 (no) 2014-02-06 2014-04-28 Rulleinnretning
NO20140520 2014-04-28
PCT/IB2015/050907 WO2015118492A1 (en) 2014-02-06 2015-02-06 Rolling device, a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a rolling device and a use of the roll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334A true KR20160118334A (ko) 2016-10-11
KR102296147B1 KR102296147B1 (ko) 2021-08-31

Family

ID=5069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595A KR102296147B1 (ko) 2014-02-06 2015-02-06 롤링 장치, 롤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장치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759222B2 (ko)
EP (1) EP3102429B8 (ko)
JP (2) JP6774336B2 (ko)
KR (1) KR102296147B1 (ko)
CN (1) CN106068191B (ko)
CA (1) CA2937860C (ko)
ES (1) ES2964594T3 (ko)
NO (1) NO20140520A1 (ko)
RU (1) RU2666097C2 (ko)
WO (2) WO201511849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657A (ko) * 2016-11-17 2019-09-20 휠.미 아에스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KR20190129847A (ko) * 2017-01-27 2019-11-20 휠.미 아에스 통합되는 롤링 장치에 의해 기기의 위치를 자율적으로 바꾸기 위한 롤링 장치 및 방법
KR20210042506A (ko) * 2019-10-10 2021-04-20 주준철 무소음 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9216B2 (en) * 2015-08-21 2018-05-15 Tome, Inc. Intelligent caster system with occupancy detection and optional solar panel for use with a furniture component
KR102450985B1 (ko) * 2016-03-10 2022-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캐스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US10106005B2 (en) * 2016-05-20 2018-10-23 Tai-Her Yang Carrier device capable of varying contact damping with pressured displacement
EP3260618B1 (en) 2016-06-22 2019-06-12 Wheel.me AS Movable wall element and movable wall system
CN106388385A (zh) * 2016-11-21 2017-02-15 湖南善林轩信息技术有限公司 组合式多功能沙发
IL250854A0 (en) * 2017-03-01 2017-04-30 Shlomo Aharon Foot with recoil ball
GB2565771A (en) * 2017-08-16 2019-02-27 Campbell Trevor Height-adjustable wheel assembly
CN107840070A (zh) * 2017-10-31 2018-03-27 刘箴星 一种浮动式可调节万向球装置
DE202018003146U1 (de) * 2018-07-06 2019-04-05 Impekoven, Özkilic GbR (vertretungsberechtigte Gesellschafter: Alexander Impekoven, 53859 Niederkassel und Baris Özkilic, 51107 Köln) Smarte Möbelrolle
KR101954031B1 (ko) * 2018-09-21 2019-03-04 강규화 소파의 선별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캐스터
NO345499B1 (en) * 2019-06-27 2021-03-08 Wheel Me As Roller device with eccentric wheel axle
NO345547B1 (en) 2019-06-27 2021-04-12 Wheel Me As Wormscrew for displacement of wheel
US20210021188A1 (en) * 2019-07-15 2021-01-21 The Trustees Of The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Magnetically Coupled Ball Drive for Actuation of Spherical Surfaces
NO345579B1 (en) * 2019-12-06 2021-04-26 Wheel Me As Releasable wheel element
DE102020110160A1 (de) 2020-04-14 2021-10-14 Marcel Leber Möbelsystem, Möbel und Verfahrvorrichtung
NO20201025A1 (en) 2020-09-18 2022-03-21 Wheel Me As Transportation assembly and interface device
WO2022159489A1 (en) * 2021-01-19 2022-07-28 Gross Point Woods LLC Retractable furniture caster system
US11833105B1 (en) * 2021-01-24 2023-12-05 Jeffrey C. Roach LLC Omnidirectional safety walker
NO346559B1 (en) * 2021-03-22 2022-10-03 Wheel Me As A rolling device for displacing a wheel
EP4313734A1 (en) 2021-03-22 2024-02-07 Wheel.me AS Adjustable transportation body and a method thereof
NO20210365A1 (en) 2021-03-22 2022-08-29 Wheel Me As A rolling device with releasably arranged wheel
ES2967201T3 (es) * 2021-06-28 2024-04-29 Vorwerk Co Interholding Dispositivo para el posicionamiento de un robot de cocina, aparato de base con el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el uso del aparato de base
NO346956B1 (en) 2021-08-19 2023-03-20 Wheel Me As Mecanum wheel with easily replaceable rollers
WO2023057063A1 (de) * 2021-10-07 2023-04-13 Marcel Leber Möbelsystem, möbel und verfahrvorrichtung
NO20220905A1 (en) 2022-08-24 2024-02-26 Wheel Me As System for mounting and releasing a wheel to and from a wheel support
WO2024099986A1 (en) 2022-11-08 2024-05-16 Wheel.Me As A rolling device for a device to enable moving the device along a su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01A (ja) * 1984-12-11 1986-06-26 Kazuo Morita キヤスタ−付パレツト
JPS63312201A (ja) * 1987-06-12 1988-12-20 Sharp Corp ボ−ルキヤスタ
WO2007019970A2 (de) * 2005-08-12 2007-02-22 Wanzl Metallwarenfabrik Gmbh Transportwagen
JP2007308046A (ja) * 2006-05-19 2007-11-29 Isuzu Motors Ltd ボールベアリングキャスタ
KR20080091650A (ko) * 2007-04-09 2008-10-14 엘지엔시스(주) 이동바퀴 장치 및 작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0641A (en) * 1920-09-21 1923-01-02 Stevens Sidney Spherical ball-bearing caster
US2671242A (en) * 1951-04-06 1954-03-09 Gilbert L Lewis Hydraulic caster lift
US2687546A (en) * 1952-05-16 1954-08-31 Oppenheimer Jess Caster
US2937879A (en) 1956-07-19 1960-05-24 Lion Jean Container for the transportation of various goods
GB882129A (en) * 1959-06-04 1961-11-15 Henri Blanc Arrangement for shifting a load
US3739894A (en) * 1971-03-15 1973-06-19 Western Gear Corp Ball transfer unit
US4108455A (en) * 1975-12-22 1978-08-22 The Boeing Company Cargo pallet incorporating retractable ball units
JPS621124Y2 (ko) * 1981-05-18 1987-01-12
US4657104A (en) * 1983-07-23 1987-04-14 Cybermation, Inc. Concentric shaft mobile base for robots and the like
JPS6024685U (ja) * 1983-07-28 1985-02-20 日立造船株式会社 大型構造物用走行装置
JPH0240828Y2 (ko) * 1985-05-01 1990-10-31
US4660994A (en) * 1986-04-23 1987-04-28 Camillo Masciarelli Anti-friction element
US6164429A (en) * 1998-10-14 2000-12-26 Masciarelli, Jr.; Camillo Modular pneumatic pop-up units for conveyor system
DE60036212D1 (de) * 2000-09-14 2007-10-11 Masciarelli Camillo Wälzlagervorrichtung
JP2003239952A (ja) * 2002-02-12 2003-08-27 Takai Corporation:Kk 確実に回転するボールを持ったツバ付きボールプランジャー
NO316760B1 (no) 2002-07-30 2004-04-26 Rolf Libakken Rulle-/fotanordning
DE102004030113B4 (de) 2004-06-22 2021-03-04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Hubwagen mit einer höhenverstellbaren Schwenkrolle
KR101113927B1 (ko) * 2007-04-20 2012-02-29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방향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방향 이동차
AU2010200240B2 (en) * 2009-01-22 2016-06-16 Babyhugs Developments Pty Ltd Leg assembly for infant enclosure
CH701817A1 (de) * 2009-08-31 2011-03-15 Alstom Technology Ltd Rollelement zum allseitigen Verfahren eines Fahrzeugs sowie Fahrzeug mit einem solchen Rollelement.
GB2496365B (en) * 2011-09-04 2016-08-31 Edmond Glaser Alan Motorised Braking System for a chair movable on castors
US8196944B1 (en) * 2011-12-01 2012-06-12 Vondrak Kenneth S Maneuvering wheel for a wheel chair or similar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9501A (ja) * 1984-12-11 1986-06-26 Kazuo Morita キヤスタ−付パレツト
JPS63312201A (ja) * 1987-06-12 1988-12-20 Sharp Corp ボ−ルキヤスタ
WO2007019970A2 (de) * 2005-08-12 2007-02-22 Wanzl Metallwarenfabrik Gmbh Transportwagen
JP2007308046A (ja) * 2006-05-19 2007-11-29 Isuzu Motors Ltd ボールベアリングキャスタ
KR20080091650A (ko) * 2007-04-09 2008-10-14 엘지엔시스(주) 이동바퀴 장치 및 작동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657A (ko) * 2016-11-17 2019-09-20 휠.미 아에스 가구 또는 디바이스를 위한 안정화 디바이스
KR20190129847A (ko) * 2017-01-27 2019-11-20 휠.미 아에스 통합되는 롤링 장치에 의해 기기의 위치를 자율적으로 바꾸기 위한 롤링 장치 및 방법
KR20210042506A (ko) * 2019-10-10 2021-04-20 주준철 무소음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47549A (ja) 2019-09-05
RU2666097C2 (ru) 2018-09-05
JP2017513750A (ja) 2017-06-01
EP3102429C0 (en) 2023-11-15
RU2016135026A3 (ko) 2018-06-19
JP6774336B2 (ja) 2020-10-21
CA2937860A1 (en) 2015-08-13
KR102296147B1 (ko) 2021-08-31
RU2016135026A (ru) 2018-03-13
US10759222B2 (en) 2020-09-01
US20160339742A1 (en) 2016-11-24
EP3102429A1 (en) 2016-12-14
CN106068191A (zh) 2016-11-02
WO2015118493A1 (en) 2015-08-13
CA2937860C (en) 2021-12-28
CN106068191B (zh) 2018-09-11
ES2964594T3 (es) 2024-04-08
EP3102429B1 (en) 2023-11-15
NO20140520A1 (no) 2014-04-30
EP3102429B8 (en) 2023-12-20
WO2015118492A1 (en)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147B1 (ko) 롤링 장치, 롤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장치의 용도
US105687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a patient transport apparatus
US10391013B2 (en) Powered ambulance cot with an automated cot control system
KR102508120B1 (ko) 통합되는 롤링 장치에 의해 기기의 위치를 자율적으로 바꾸기 위한 롤링 장치 및 방법
CN203185990U (zh) 升降脚轮
US20180370028A1 (en) Autonomous Robotic Aide
WO2018005304A1 (en) Autonomous robotic aide
WO2016121938A1 (ja) 可搬型吸着装置
CN206284846U (zh) 烹饪器具及其上盖组件
KR101999481B1 (ko)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CN105539632A (zh) 自动化控制电动车支撑脚架及其使用方法
KR102065392B1 (ko) 마그네틱 리프트
CN105213171B (zh) 一种足浴器
KR20160144603A (ko) 탈착이 용이한 케이블 로봇용 엔드 이펙터
NO20150176A1 (no) En stempelinnretning, en rulleinnretning omfattende en slik stempelinnretning, samt et møbel omfattende en slik stempelinnretning eller rulleinnretning
JP3205433U (ja) 走行式介護用リフト
KR20090083023A (ko) 운전 기능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CN214355359U (zh) 一种水面救治平台的锁地系统
CN210000965U (zh) 一种环卫垃圾桶
CN105883253A (zh) 智能无线遥控移动式垃圾回收桶
CN116672172A (zh) 患者转运装置和患者转运系统
CN202875673U (zh) 护理病床
KR20210042506A (ko) 무소음 의자
JP2021151435A (ja) キャリーケース
KR20170075197A (ko) 캐리어 무인이송 전자볼 바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