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392B1 - 마그네틱 리프트 - Google Patents

마그네틱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392B1
KR102065392B1 KR1020180051896A KR20180051896A KR102065392B1 KR 102065392 B1 KR102065392 B1 KR 102065392B1 KR 1020180051896 A KR1020180051896 A KR 1020180051896A KR 20180051896 A KR20180051896 A KR 20180051896A KR 102065392 B1 KR102065392 B1 KR 102065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magnet
magnetic
unit
disposed
permanent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361A (ko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Priority to KR1020180051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39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5/00Safety gear

Abstract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연자성체 재질의 자성흡착물이 하측에 자력 결합되어 운반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하면부가 개구되되 상면부가 연자성체 재질로 구비되며, 측면부에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지지판부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되며,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이 접촉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1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1폴부; 상기 제1폴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2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극성과 상이한 방향의 극성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2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2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2폴부; 전원부,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와 각각 회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흡착물의 탈부착을 위한 흡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컨트롤러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회로 연결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자성흡착물 및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통전상태를 스위칭시키는 안전스위칭장치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그네틱 리프트{magnetic lift}
본 발명은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성이 개선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구자석 워크홀딩장치(permanent magnet workholding device)와 같은 자성체 홀딩장치는 철과 같은 자석과 접촉시 자성을 띠는 물질로 구성된 부착 대상을 자기력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로서, 오늘날 사출기의 금형 클램핑, 프레스기의 금형 클램핑, 공작 기계의 척 등에 부착되는 내부 장치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성체 홀딩장치는 기본적으로 영구자석의 강한 자기력을 이용하여 자성체인 부착 대상을 홀딩면에 부착시키게 되는데, 해제 시에는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 흐름을 제어하여 홀딩면으로 자기 흐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부착 대상을 홀딩면으로부터 떨어뜨린다.
여기서, 영구자석으로부터의 자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른 영구자석을 회전시킴으로써 자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또는 별도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자기 흐름을 제어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홀딩장치는 별도의 전자석을 설치하지 않고 일측에 코일을 배치하는 구조로 홀딩력을 얻을 수도 있으며, 홀딩 또는 해제 시의 전환 시에만 전류를 인가하여 영구자석의 자기력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부착 대상을 홀딩하지 않는 해제시에도 부착 대상을 끌어당기는 잔류 자기(residual magnetism)를 최소화하는 것이 자성체 홀딩장치의 당면 과제로 연구되고 있다. 여기서, 많은 영구자석을 사용할수록 홀딩력이 증가하나 자기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잔류 자기도 그만큼 커지게 되어 이용면에서 한계점이 되어 왔다.
한편, 상기 자성체 홀딩장치는 상하 방향 등으로 이동가능한 리프트 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자성체 홀딩장치의 흡착면에 부착 대상이 흡착된 상태로 상하방향 등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대상이 자성체 홀딩장치에 자력 결합되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실수 또는 기계의 오작동으로 인해 홀딩면 및 부착 대상에 자력이 소멸되는 경우 상호 흡착력이 제거됨에 따라 부착 대상이 추락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7970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정성이 개선되는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자성체 재질의 자성흡착물이 하측에 자력 결합되어 운반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하면부가 개구되되 상면부가 연자성체 재질로 구비되며, 측면부에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지지판부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되며,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이 접촉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1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1폴부; 상기 제1폴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2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극성과 상이한 방향의 극성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2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2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2폴부; 전원부,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와 각각 회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흡착물의 탈부착을 위한 흡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컨트롤러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회로 연결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자성흡착물 및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통전상태를 스위칭시키는 안전스위칭장치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리프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칭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리프팅장치에 연결되는 장치연결부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전상태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통전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되,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누름핀과, 상기 장치연결부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름핀과 대면 배치된 승강판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승강안내공간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판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스토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승강안내공간과 연통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은 상기 승강안내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장치연결부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판이 상기 누름핀을 가압시 상기 통전상태가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회로 연결이 차단되며, 상기 누름핀의 가압 해제시 상기 통전상태가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폴부는 상기 제1폴부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의 자력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에 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가 오프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가 온되고, 상기 제어부에 비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가 온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가 오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장치연결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연결된 승강판이 상측으로 견인력이 발생되어 승강됨에 따라 누름핀을 가압하여 스위칭부가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는 간단한 기계식 안전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스위칭부가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면 동작배터리가 차단되어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통해 제어신호를 입력하더라도 각 전자석부의 작동 상태 전환이 방지되어 자성흡착물의 분리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셋째, 제1폴부의 하부는 제1영구자석부의 하면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제1영구자석부 및 자성흡착물 간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어 상호간 자력이 작용되면서도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됨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 및 상기 자성흡착물의 파손 및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리프트(100)는 하우징부(10), 제1폴부(20), 제2폴부(30), 안전스위칭장치(40), 제어부(50), 그리고 전원부(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는 하부에 연자성체 재질의 자성흡착물(1)이 결합되고, 상부에 장치연결부(2)가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와이어(3)가 상기 장치연결부(2)에 체결되어 운반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자성흡착물(1)은 자력 결합 가능한 철 등의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치연결부(2)는 기설정된 반경의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자성체라 함은 외부자계를 가하면 자화되며 잔류자화가 작은 연철 등의 금속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하우징부(10)는 하면부가 개구되되 상면부(11)가 연자성체 재질로 구비되며, 측면부에 지지판부(1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 및 측면부는 동일한 금속 재질 등으로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측면 일측에는 복수개의 조작버튼(P0,P1,P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은 상기 제어부(50) 및 상기 전원부(60)와 회선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조작버튼(P0)은 사용자가 버튼을 누름에 따라 온/오프 상태로 전환되고, 온/오프 상태에는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에 전원이 공급 및 차단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조작버튼(P0)은 도 5의 우측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회로 및 발광램프로 구비되어 온/오프 상태가 육안으로 확인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제2조작버튼(P1) 및 제3조작버튼(P2) 중 어느 하나는 누름 상태에 따라 온되는 버튼으로 구비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되는 버튼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조작버튼(P0)가 온 상태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제2조작버튼(P1) 및 상기 제3조작버튼(P2)를 누름에 따라 제1전자석부(23) 및 제2전자석부(33)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를 제어함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에 상기 자성흡착물(1)이 흡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조작버튼(P0,P1,P2)은 상술된 방법 이외의 버튼 조작 방식으로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는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러(m)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m)가 상기 제어부(50)와 무선 통신 가능하도록 상기 제어부(50) 및 상기 컨트롤러(m)에 송수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러(m)의 조작을 통해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60)에는 동작배터리가 포함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동작배터리는 상기 제어부(50)의 송수신부 및 각 상기 복수개의 조작버튼(P0,P1,P2) 내지 각 전자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작배터리는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의 스위칭부(41a)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전원부(60)에는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상기 동작배터리와는 별도로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부(10)는 하면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2폴부(30) 및 상기 제1폴부(20)가 상기 공간에 순차적으로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폴부(30)가 상기 제1폴부(20)의 상부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폴부(20)는 상기 지지판부(12)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되며, 상기 제1폴부(20)의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1)이 접촉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영구자석부(22)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상부에 제1전자석부(23)가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폴부(20)에는 제1연결몸체(21)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부(12)에 연결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몸체(21)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제1전자석부(23)가 내부로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이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몸체(21)는 비자성체 재질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몸체(21)는 상기 지지판부(12)의 내주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부(12)의 내주의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몸체(21)는 상기 지지판부(12)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판부(12)와 볼트 체결 등의 방식으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폴부(30)가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공간에 먼저 삽입된 이후에 상기 제2폴부(30)의 하부에 상기 제1폴부(20)의 상기 제1연결몸체(21)가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부(12)와 결합 및 고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폴부(20)의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1)이 접촉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영구자석부(22)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적어도 한쌍 이상의 상기 제1영구자석부(22)가 상기 제1연결몸체(21) 내부의 하측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되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N극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경우에 따라 S극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어 각 영구자석으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자계의 방향이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따라 하측 또는 상측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 및 후술되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제2영구자석부(32), 제2전자석부(33)는 각각 적어도 한쌍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서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따라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1)이 부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에 선택적으로 인력이 작용하되 직접적인 접촉은 방지되도록 상기 제1연결몸체(21)의 하부가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하면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돌설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어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므로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마모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자석부(23)는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전자석부(23)가 상기 제1연결몸체(21) 내부의 상측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1전자석부(23)는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폴부(30)는 상기 제1폴부(2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2영구자석부(32)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극성과 상이한 방향의 극성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2영구자석부(32)의 상부에 제2전자석부(33)가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폴부(30)에는 제2연결몸체(31)가 구비되어 상기 제1연결몸체(21)의 상부 및 상기 지지판부(12)의 상부측 내부 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몸체(31)는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제2전자석부(33)가 내부로 배치되도록 내부 공간이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몸체(31)는 비자성체 재질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결몸체(31)는 상기 지지판부(12)의 내주에 배치되되, 상기 지지판부(12)의 내주 형상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몸체(31)는 상기 지지판부(12)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폴부(30)의 상기 제2연결몸체(31)가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공간에 먼저 삽입된 이후에 상기 제2폴부(30)의 하부에 상기 제1폴부(20)의 상기 제1연결몸체(21)가 배치되어 상기 지지판부(12)와 결합 및 고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연결몸체(31)는 상기 제1연결몸체(21)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부(12)에 접하는 상기 제2연결몸체(31)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핀(미도시) 또는 롤러(미도시) 등의 부재가 더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연결몸체(31)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폴부(30)는 상기 제1폴부(20)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공차 간격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폴부(30)의 하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상기 제2영구자석부(32)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극성과 상이한 방향의 극성으로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적어도 한쌍 이상의 상기 제2영구자석부(32)가 상기 제2연결몸체(31) 내부의 하측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되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N극이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된 경우,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S극이 상호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이와 반대되는 구성도 물론 가능하다. 여기서,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어 각 영구자석으로부터 외부로 형성되는 자계의 방향이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따라 하측 또는 상측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보다 적어도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는 상기 자성흡착물(1)이 자력 결합되는 경우에 상호간 자력 부족으로 인한 분리가 방지되도록 기설정된 크기 내지 세기의 영구자석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상기 자성흡착물(1)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상기 제1전자석부(23)와 선택적으로 자력 결합되므로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보다 적어도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요구되는 자력 세기에 대응되어 크기로 각각 구비되므로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는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따라 상기 제2폴부(30)가 하측방향으로 하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의 하면이 상기 제1전자석부(23)와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상기 제1전자석부(23) 간에 선택적으로 인력이 작용하되 직접적인 접촉은 방지되도록 상기 제2연결몸체(31)의 하부가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의 하면보다 하측방향으로 더 돌설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상기 제1전자석부(23) 간에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어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상기 제1전자석부(23) 간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면서 자력 결합되므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의 마모 및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각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의 상부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한쌍 이상의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상기 제2연결몸체(31) 내부의 상측에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되,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되어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상기 제1전자석부(23),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제어 상태에 따라 상기 제2폴부(30)가 상측방향으로 승강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상면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와 자력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 각 상기 제2전자석부(33) 및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 간에 선택적으로 인력이 작용하되 직접적인 접촉은 방지되도록 상기 제2연결몸체(31)의 상부가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상면보다 상측방향으로 더 돌설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전원부(60),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의 스위칭부(41a),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24)와 각각 회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흡착물(1)의 탈부착을 위한 흡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컨트롤러(m)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신호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과 각각 회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의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는 상기 컨트롤러(m) 또는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 등으로부터 입력되는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를 제어하여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24)의 구동상태를 제어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자력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50)에 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온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 비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온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흡착조작신호는 상기 흡착신호 및 상기 비흡착신호를 포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에 각각 회로 연결되어 회로 내의 스위치를 통해 온/오프 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온되면 상기 제1전자석부(23)는 자력 소멸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자력 발생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에 동일한 자계가 형성되어 자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연자성체인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에 자력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제1폴부(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폴부(30)가 상측으로 승강되어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에 자력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폴부(30)의 상부에는 자력이 발생하는 상태이고, 하부에는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됨에 따라 자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폴부(30)가 자력이 작용하는 상측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에는 상기 제2폴부(30)에서 발생하는 자력과 독립된 자계 및 자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하부로 상기 자성흡착물(1)이 배치되면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이 자력 결합되어 흡착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간의 자기흐름이 점점 약해지게 되어 최종적으로 자기흐름이 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자기흐름과,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상기 제2전자석부(33),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면부(11) 간의 자기흐름이 각각 개별적으로 발생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비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온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온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되면 상기 제1전자석부(23)는 자력 발생 상태가 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자력 소멸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제1전자석부(23)에 동일한 자계가 형성되어 자력이 발생하여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제1전자석부(23)가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와 자력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제1폴부(20) 사이에 배치된 상기 제2폴부(30)가 하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제1폴부(20)에 자력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폴부(30)의 하부에는 자력이 발생하는 상태이고, 상부에는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됨에 따라 자계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2폴부(30)가 자력이 작용하는 하측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상기 제1전자석부(23), 그리고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에 일체로 자계 및 자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의 하부로 상기 자성흡착물(1)이 배치되더라도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자력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흡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비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오프됨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상기 제1전자석부(23), 그리고 상기 제2영구자석부(33) 내부를 순환 형태로 자기 흐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와 상기 제2영구자석부(32) 간의 자기력 차이가 적을수록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을 통과하는 자기 흐름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상호 자력 결합력이 소멸되어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미세한 잔류자기에 의한 잔류자력이 발생될 수 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멸되며, 상기 잔류자력을 통해서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흡착을 위한 충분한 자력이 확보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가 개별적으로 온오프되어 자력이 발생되도록 제어함에 따라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자성흡착물(1) 간의 흡착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자력이 각각 한번 온/오프된 이후에 추가적으로 새로운 흡착조작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한번 형성된 자기 흐름이 파괴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자력 공급을 위해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에 자력이 한번 공급된 이후에는 상기 제1영구자석부(22) 및 상기 제2영구자석부(32)이 연결된 상태이므로 한번 형성된 자기 흐름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전원부(60) 및 상기 제어부(50)의 통전상태를 스위칭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는 상기 전원부(60)에 포함된 상기 동작배터리와 연결되는 기계식 스위칭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동작배터리는 상기 제어부(50)의 송수신부 및 각 상기 복수개의 조작버튼(P0,P1,P2)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의 상기 스위칭부(40a)를 경유하여 상기 제어부(50)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의 기계적 작동 상태에 대응되어 상기 동작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50) 사이의 회로가 연결 및 단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43)와, 상기 커버부(43)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기 리프팅장치에 연결되는 상기 장치연결부(2)와, 상기 커버부(43)에 구비되어 상기 통전상태를 조절하는 스위칭부(41a)와, 상기 통전상태를 전환시키도록 상기 스위칭부(41a)로부터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누름핀(41b)과, 상기 장치연결부(2)와 연결부재(42a)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름핀(41b)과 대면 배치된 승강판(42)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3)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판(4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승강안내공간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판(42)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스토퍼단턱(4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43)의 상부에 상기 승강안내공간과 연통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42)은 상기 승강안내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재(42a)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장치연결부(2)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버부(43)의 외면 일측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 형성된 상기 커버부(43)의 일측 외면에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41a,41b)가 삽입 및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41a,41b)는 함몰되지 않은 상기 커버부(40)의 일측 외면에 결합 및 고정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41a,41b)는 상기 스위칭부(41a)와 상기 누름핀(41b)을 포함하는 스위치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전체적인 장치롤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계식 리미트 스위치(41a,41b)는 상기 안전스위칭장치(40) 중에서 상기 스위칭부(41a) 및 상기 누름핀(41b)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3)는 상기 승강판(42) 및 상기 연결부재(42a)가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43)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판(42)이 걸림되도록 상기 스토퍼단턱(4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43)의 하부에는 상기 승강판(42)의 승강을 안내하도록 중앙측 하부에 승강안내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3)에는 중앙측 상부에 상기 승강안내공간과 연통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부가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공간은 각 면이 각각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43)의 일측에는 상기 승강판(42)이 걸림되도록 복수개의 스토퍼단턱(43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판(42)은 일측이 상기 누름핀(41b)의 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부(10) 및 상기 커버부(43)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승강안내공간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승강판(42)의 직경은 상기 관통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안내공간 직경은 상기 승강판(42)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안내공간의 높이는 상기 승강판(42)의 높이보다 크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42)의 상측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돌설 연장되는 연결부재(42a)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42a)는 상기 장치연결부(2)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42a)는 상기 장치연결부(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개별 형성되어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42a)는 상기 승강판(42) 및 상기 장치연결부(2) 사이를 매개하는 와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42a)는 상기 관통부 내부로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부재(42a)의 외주는 상기 관통부의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부가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연결부재(42a)는 상기 관통부의 형상에 대응되어 외면이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42a)의 내부는 경량화되기 위해 중공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중실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누름핀(41b)은 상기 스위칭부(41a)로부터 하향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누름핀(41b)에 상기 승강판(42)이 누름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41a)의 통전상태가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누름핀(41b)에는 상기 누름핀(41b)에 작용하는 누름 가압력의 해제시 탄발복원되도록 복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누름핀(41b)은 상기 스위칭부(41a)로부터 상향 돌출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응되어 승강판 및 연결부재의 배치 구성이 본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41a)는 상기 커버부(43)의 외벽면에 설치 및 고정되어 상기 통전상태를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전상태는 안전스위칭상태 및 일반스위칭상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전스위칭상태 및 상기 일반스위칭상태는 상기 누름핀(41b)의 누름 상태에 대응되어 전환되는 통전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핀(41b)이 상기 승강판(42)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핀(41b)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누름핀(41b)이 상기 스위칭부(41a)에 가압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동작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50)에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상기 스위칭부(41a)에 의해 단선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더라도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 전환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에 자력 결합된 상기 자성흡착물(1)의 분리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41a)는 상기 자성흡착물(1)이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에 흡착되어 체공중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m) 또는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 전환이 방지되도록 상기 동작배터리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반대로,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동작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50)에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상기 스위칭부(41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치연결부(2) 및 상기 승강판(42)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결부재(42a)는 외부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기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3)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견인력이 전달시 상승되되, 상기 승강판(42)이 상기 스토퍼단턱(43a)에 걸림됨에 따라 상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판(42)이 상승되면 상기 승강판(42)의 테두리측에 인접한 일측이 상기 누름핀(41b)의 단부와 접촉되어 상기 누름핀(41b)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3)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견인력이 발생하면 상기 장치연결부(2)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42a) 및 상기 승강판(42)이 상측방향으로 승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판(42)이 승강됨에 따라 상기 승강판(42)이 상기 스토퍼단턱(43a)에 걸림되되, 상기 승간판(42)의 일측이 상기 누름핀(41b)을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동작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50)에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상기 스위칭부(41a)에 의해 단선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된다 함은 상기 제어부(50)에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상기 스위칭부(41a)에 의해 단선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더라도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 전환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실수로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더라도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에 자력 결합된 상기 자성흡착물(1)의 분리가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사고가 예방되어 안정성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리미트 스위치(40)는 상기 자성흡착물(1)이 상기 제1영구자석부(22)에 흡착되어 체공중인 경우 상기 컨트롤러(m) 또는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의 조작에 따른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 전환이 방지되도록 상기 동작배터리와의 연결을 차단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3)를 통해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가 지면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측방향으로의 견인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승강판(42) 및 상기 연결부재(42a)가 하강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승강판(42)이 하강되면 상기 승강판(42) 및 상기 누름핀(41b) 간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리프팅장치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3)로부터의 견인력이 해제되거나 상기 마그네틱 리프트(100)가 지면에 도달하면 상기 장치연결부(2)에 결합된 상기 연결부재(42a) 및 상기 승강판(42)이 하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41a)가 상기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동작배터리 및 상기 제어부(50)에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가 상기 스위칭부(41a)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m) 및 각 상기 조작버튼(P0,P1,P2)을 통해 입력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제어부(50)에 상기 동작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전자석부(23) 및 상기 제2전자석부(33)의 작동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폴부(20) 및 상기 제2폴부(30)가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에 배치되는 2단 구조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에 배치되는 폴부가 3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각 폴부 내부에 구비되는 영구자석부 및 전자석부의 배치는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폴부가 3단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최하단 및 최상단에 배치되는 각 폴부가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고 최하단 및 최상단 사이에 배치된 폴부가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폴부 내에 배치되는 영구자석부는 상호 동일한 극성이 대향되어 배치되되, 인접한 폴부에 배치되는 영구자석부의 극성은 상호 상이하게 배치되어 각 전자석부의 제어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자성흡착물이 흡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마그네틱 리프트 1: 자성흡착물
2: 장치연결부 10: 하우징부
20: 제1폴부 30: 제2폴부
40: 안전스위칭장치 41: 누름핀
42: 승강판 50: 제어부
60: 전원부

Claims (5)

  1. 연자성체 재질의 자성흡착물이 하측에 자력 결합되어 운반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틱 리프트에 있어서,
    하면부가 개구되되 상면부가 연자성체 재질로 구비되며, 측면부에 지지판부가 구비되는 하우징부;
    상기 지지판부의 하부에 연결 및 고정되며, 하면에 상기 자성흡착물이 접촉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1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어 각각 배치되고, 각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1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1폴부;
    상기 제1폴부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도록 배치되며, 하면에 적어도 한쌍 이상의 제2영구자석부가 동일한 극성이 상호 대향되되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극성과 상이한 방향의 극성으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제2영구자석부의 상부에 제2전자석부가 각각 배치되는 제2폴부;
    전원부,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와 각각 회로 연결되며, 상기 자성흡착물의 탈부착을 위한 흡착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컨트롤러에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신호 연결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회로 연결이 선택적으로 차단되어 상기 자성흡착물 및 상기 제1영구자석부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통전상태를 스위칭시키는 안전스위칭장치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스위칭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리프팅장치에 연결되는 장치연결부와,
    상기 커버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전상태를 조절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통전상태를 전환시키도록 구비되되,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승강되도록 하향 돌출되는 누름핀과,
    상기 장치연결부와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름핀과 대면 배치된 승강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리프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 상기 승강판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안내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승강안내공간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판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스토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상기 승강안내공간과 연통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은 상기 승강안내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관통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장치연결부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리프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판이 상기 누름핀을 가압시 상기 통전상태가 안전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의 회로 연결이 차단되며,
    상기 누름핀의 가압 해제시 상기 통전상태가 일반스위칭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제어부가 회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리프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폴부는 상기 제1폴부의 상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력 승강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흡착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제1전자석부 및 상기 제2전자석부의 자력이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에 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가 오프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가 온되고,
    상기 제어부에 비흡착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1전자석부가 온되고 상기 제2전자석부가 오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 리프트.
KR1020180051896A 2018-05-04 2018-05-04 마그네틱 리프트 KR102065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96A KR102065392B1 (ko) 2018-05-04 2018-05-04 마그네틱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896A KR102065392B1 (ko) 2018-05-04 2018-05-04 마그네틱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61A KR20190127361A (ko) 2019-11-13
KR102065392B1 true KR102065392B1 (ko) 2020-01-13

Family

ID=6853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896A KR102065392B1 (ko) 2018-05-04 2018-05-04 마그네틱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603B1 (ko) * 2020-06-25 2020-09-10 주식회사 상영마그네트 마그네틱 리프트 장치의 제어 회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0B1 (ko) 2010-09-20 2012-03-21 최태광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706B1 (ko) * 2000-11-07 2003-04-11 주식회사 우성마그네트 마그네틱 리프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280B1 (ko) 2010-09-20 2012-03-21 최태광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결합한 자성체 홀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361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147B1 (ko) 롤링 장치, 롤링 장치를 포함하는 가구 및 롤링 장치의 용도
US20210296039A1 (en) Electromagnet-switchable permanent magnet device
CN204345458U (zh) 一种可升降灯具装置
CN103107457B (zh) 电连接器套件
KR102065392B1 (ko) 마그네틱 리프트
WO2007125596A1 (ja) 射出成形機
KR102004983B1 (ko)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JP6321371B2 (ja) 電磁弁装置
CN201473170U (zh) 永磁电磁铁
JP2012140214A (ja) 非常止め装置の誤動作防止装置
KR100891101B1 (ko) 자동 개방형 샤클 조립체
KR101942509B1 (ko) 디씨 구동 원형 타입 마그네틱 리프트 및 그 제어 장치
JP4925117B2 (ja) 金型落下防止付き型締装置
CN101859653B (zh) 一种单稳态永磁机构
CN104979108B (zh) 一种操动机构及使用该操动机构的机车
US20130278365A9 (en) Magnetic climbing system
KR20070006601A (ko) 전자 액츄에이터
CN211137197U (zh) 一种电磁推拉式电磁吸附装置
KR20160144603A (ko) 탈착이 용이한 케이블 로봇용 엔드 이펙터
KR102232739B1 (ko) 고전압 수배전반 도어락 장치
WO2019194050A1 (ja) マグネットチャック
KR20180087975A (ko) 자성을 이용한 신발 방향 자동 회전형 정리기
CN220033712U (zh) 电梯安全钳
CN109809285B (zh) 磁力吸盘、具有其的磁力吊具和起重机
KR102269293B1 (ko) 육면체 타입의 자기이동경로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