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481B1 -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9481B1 KR101999481B1 KR1020180042554A KR20180042554A KR101999481B1 KR 101999481 B1 KR101999481 B1 KR 101999481B1 KR 1020180042554 A KR1020180042554 A KR 1020180042554A KR 20180042554 A KR20180042554 A KR 20180042554A KR 101999481 B1 KR101999481 B1 KR 1019994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se
- pair
- block
- rods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 B62B3/1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supports specially adapted to objects of definite shape the object being of cylindrical shape, e.g. barrels, buckets, dustb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62B2203/073—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sliding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와 같은 전사장치에서 히팅 기능을 하는 무거운 중량의 드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송하기 위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블록(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쌍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면은 서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가지는 유동블록(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와;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운전봉(400,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각각의 드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블록(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쌍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면은 서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가지는 유동블록(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와;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운전봉(400,4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각각의 드럼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린터와 같은 전사장치에서 히팅 기능을 하는 무거운 중량의 드럼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송하기 위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프린터와 같은 대형 프린터를 포함한 전사장치에는 인쇄용 실린더 즉, 열방생용 대형 드럼이 사용된다.
이러한 대형 드럼은 그 크기 및 중량이 사람이 혼자 들어 옮기기에는 무거우므로 통상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린 다음 다른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드럼의 내부에는 히팅을 위한 오일이 내장되거나 가열 수단 등이 내장되는데, 크레인 등으로 옮기는 도중에 주변 물체와 충돌하여 내부 및 외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빈번하다.
또한, 그 무게가 무거워 크레인이 없는 외부에서는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이동시의 파손 등으로 작업이 번거롭게 된다.
예를 들어, 실용신안 등록 제20-0196525호에서와 같은 '이동식 손수레'를 이용하여 드럼을 이동하는 경우에도, 드럼의 고정이 어려우므로 이동 중에 드럼이 손수레의 외부로 굴러 떨어지거나, 드럼 자체의 무게로 인하여 작업자가 손수레를 손으로 끌고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봉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후로 조작하는 과정에 의해 배터리의 전원이 모터를 구동하여 바퀴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블록(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쌍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면은 서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가지는 유동블록(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와;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운전봉(400,400')과;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서로 별개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500)과; 상기 베이스(100)의 다른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0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하는 회전바퀴(31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 각각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30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운전봉(400,400')에는, 밀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구(球) 형태로 하단에 형성되는 무게추(410)와, 상기 무게추(4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운전봉(400,400')이 전후좌우로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와, 상기 지지반구(42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통전테(430)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면에는,
상기 운전봉(400,400')의 상하로 관통하는 블록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홀(112)의 일면에는 상기 통전테(430)가 자력에 의해 끌리도록 하는 영구자석(114)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홀(112)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통전테(430)와 접하여 상기 좌모터(302) 또는 우모터(302')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전극(116)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116) 일단에는 전극(116)이 상기 블록홀(112) 내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18)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는,
상기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를 지지하는 곡률지지부(120)가 상기 지지반구(420)의 하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률지지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무게추(41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추공간(1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21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쌍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단이 하단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하는 레일(212)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블록탭(202)과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와; 상기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회전스크류(214)가 회전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상기 유동블록(200)이 유동하도록 하는 회전대(21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5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510)와; 상기 연결대(510)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의 외면을 감싸는 한 쌍의 연결링(5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520)이 내경은 상기 좌운전봉(400) 및 우운전봉(40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520)은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단(4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전극(116)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블록홀(112)의 내부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블록(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유동블록이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이러한 유동블록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서로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한 쌍의 유동블록은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한 쌍의 유동블록 상측에 드럼을 놓게 되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유동블록의 상면 경사면에 의해 드럼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 안착되므로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운전봉이 각각 전후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운전봉을 전방으로 밀게 되면 운전봉에 설치된 통전체가 양(+) 및 음(-) 전극에 각각 접하게 되어 통전되므로 좌모터 또는/및 우모터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된다. 따라서, 좌바퀴 또는/및 우바퀴가 전기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운반장치가 전방으로 나아가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자동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운전봉의 하단에는 무거운 중량을 가지는 무게추가 구비되므로 사용자가 운전봉을 잡은 손을 놓게 되면 자동으로 운전봉이 수직을 이루게 원위치되고, 전극의 반대편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운전봉의 통전테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영구자석이 구비되어 운전봉이 원위치될 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봉을 잡은 손을 놓게 되면, 운전봉이 자동으로 원상으로 복귀됨과 동시에 영구자석에 의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모터의 전원이 차단되어 운반장치의 유동이 정지되는 한편, 운전봉은 영구자석에 의해 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드럼이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은 힘으로 전방으로 운반장치를 미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없이 운반장치가 이동되는 것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돌출블록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돌출블록의 상면 구성을 보인 부분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운전봉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스크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돌출블록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돌출블록의 상면 구성을 보인 부분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운전봉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스크류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돌출블록의 내부 구성 및 상면구성이 단면도와 부분 평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엔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운전봉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터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후면도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수단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회전스크류 및 레일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블록(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쌍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면은 서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가지는 유동블록(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와,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운전봉(400,400')과,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서로 별개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500)과, 상기 베이스(100)의 다른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0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하는 회전바퀴(31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 각각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30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여 하부 외관을 구성하며, 소정 두게를 가지는 사각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의 후측단(도 1에서)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블록(110)이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블록(1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무게추(410) 등이 설치될 저장 공간이 더 구비된다.
상기 돌출블록(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여기에는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면에는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관통하는 블록홀(112)이 상하로 관통되게 성형된다.
상기 유동블록(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좌우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쌍으로 설치되며, 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동블록(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즉, 상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사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상면은 좌우 양단으로부터 베이스(100)의 중앙으로 갈수록 점차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상면에 놓여지는 원통 형상의 드럼(D)이 좌우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은 상기 조절수단(210)에 의해 좌우로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상측에는 원통/원기둥 형상의 드럼(D)이 놓여지는데, 이러한 드럼(D)이 좌우로 구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드럼(D)의 저면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닿지 않은 상태로 한 쌍의 유동블록(200)에 의해 지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드럼(D)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은 거리가 서로 멀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드럼(D)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간격을 좁혀 작은 드럼(D)이 베이스(100)의 상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조절수단(21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좌우(도 1에서)로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절수단(21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쌍으로 고정 설치는 레일(212)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좌우(도 1에서)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회전스크류(214)와, 상기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상기 회전스크류(214)가 회전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유동블록(200)이 좌우(도 1에서)로 유동하도록 하는 회전대(2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212)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전후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쌍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단이 하단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212)은 상단이 하단보다 폭이 넓도록 단차지게 형성되고, 이러한 레일(212)은 고정볼트(212')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블록(200)은 상기 레일(212)을 따라 베이스(100)의 좌우(도 1에서)로는 유동 가능하나, 상방으로의 이탈은 방지된다.
상기 회전스크류(214)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스크류(214)의 나사산과 대응되는 암나사를 가지는 블록탭(20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스크류과 나사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는 고정단(204)에 의해 아이들링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대(2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스크류(214)의 끝단(도 7에서는 우측단)으로부터 우측(도 7에서)으로 연장 형성되어 'ㄴ'자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끝단을 잡은 상태에서 돌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회전대(216)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회전스크류(214)가 회전하도록 강제되어 회전스크류(214)가 상기 고정단(204)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나사결합되어 있는 상기 유동블록(200)이 좌우(도1 및 도 7에서)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는,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도 1에서)의 좌우 양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는 각각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가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로부터 연장되는 모터축이 각각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는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304)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304)의 전원이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달되면,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가 회전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 전달하여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배터리(304)의 전원은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극(116)을 통하도록 전원선이 연결된다.
상기 운전봉(400,400')은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돌출블록(110)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 상반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500)이 구비되어 좌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며, 이때 한 쌍의 운전봉(400,400')은 서로 별개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의 선단(도 1에서)에는 회전바퀴(310)가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0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바퀴(310)는 수레나 의자 등에 많이 설치되는 것이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운전봉(400,400')의 구성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봉(400,400')에는, 밀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구(球) 형태로 하단에 형성되는 무게추(410)와, 상기 무게추(4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운전봉(400,400')이 전후좌우로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와, 상기 지지반구(42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통전테(430)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무게추(410)는 상기 운전봉(400,400')이 전후좌우로 유동된 다음 원상으로 복귀하여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무게추(410)는 소정 크기의 구(球)로 이루어지며, 무게가 무거운 금속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반구(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이 원형으로 돌출된 반구(半球)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운전봉(400,400')의 상단을 손으로 잡과 전후좌우로 움직이면 유연하게 유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통전테(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전봉(400,400')의 외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두께로 돌출된 링(ring)으로 금속재질 등과 같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통전테(430)에 의해 아래에 설명할 양(+) 및 음(-)으로 이루어지는 두개의 전극(116)이 통전된다.
상기 통전테(430)의 상측으로는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지지단(4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단(4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링(ring)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운전봉(400,400')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연결링(52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면에는, 상기 운전봉(400,400')이 상하로 관통하는 블록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홀(112)의 일면(도 2에서는 우측, 도 3에서는 앞측)에는 상기 통전테(430)가 자력에 의해 끌리도록 하는 영구자석(114)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홀(112)의 다른 일면(도 2에서는 좌측, 도 3에서는 후측)에는 상기 통전테(430)와 접하여 상기 좌모터(302) 또는 우모터(302')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전극(116)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116) 일단(도 3에서는 후측)에는 전극(116)이 상기 블록홀(112) 내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18)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압축스프링(118)은 상기 한 쌍의 전극(116)이 상기 블록홀(112) 내부로 선단(도 3에서)이 일정 크기로 돌출되도록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하며, 탄성을 가져 상기 운전봉(400,400')에 의해 상기 전극(116)이 밀리는 경우에도 소정 탄성으로 파손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극(116)은, 도시(도 3 참조)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도 3에서는 선단)은 상기 블록홀(112)의 내부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도 3에서는 후단)은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블록(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는, 상기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를 지지하는 곡률지지부(120)가 상기 지지반구(420)의 하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률지지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무게추(41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추공간(122)이 형성된다.
상기 곡률지지부(120)는 상기 지지반구(420)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반구(420)의 하반부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추공간(122)은 상기 무게추(410)가 전후좌우로 회전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넓은 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수단(5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는 연결대(510)와, 상기 연결대(510)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의 외면을 감싸는 한 쌍의 연결링(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대(5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이루어져,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링(520)의 내경은 상기 좌운전봉(400) 및 우운전봉(40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520)은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지지단(44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연결링(520)의 내경 크기를 상기 좌운전봉(400) 및 우운전봉(40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을 별개로 전후로 조작할 수 있도로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좌운전봉(400)은 가만히 둔 상태에서 상기 우운전봉(400')만을 전방으로 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우선 도 1과 같은 상태에서는 정지 상태이므로, 이 때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상측으로 드럼(D)을 적재한다. 그리고, 이때 드럼(D)의 크기에 따라 상기 조절수단(21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유동블록(200) 간격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조절수단(210)의 회전대(216)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은 좌우로 이동하게 되고, 좌우의 유동블록(200)을 각자 조절하여 간격을 제어하면 된다. 즉, 드럼(D)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 간격을 좁게 하고, 드럼(D)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한 쌍의 유동블록(200)의 간격을 크게 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드럼(D)이 적재되고 나면, 다음으로는 상기 운전봉(400,4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운반장치를 이동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 손잡이(450)을 잡은 상태에서 동시에 전방으로 밀게 되면, 좌운전봉(400)와 우운전봉(400')이 상기 지지반구(420)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되어 통전테(430)가 상기 전극(116)에 닿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배터리(304)의 전원이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달되고, 상기 좌바퀴(300)와 우바퀴(300')가 회전하게 되어 본 발명에 의한 운반장치는 자동으로 전진하게 된다.
그러다가, 사용자가 운전봉(400,400')의 손잡이(450)를 놓거나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운전봉(400,400')은 상기 무게추(410)에 의해 원위치하여 수직을 유지하게 되며, 이때 상기 통전테(430)는 영구자석(114)에 밀착되어 다시 도 1 및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에는 상기 좌바퀴(300)와 우바퀴(300')에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운반장치는 정지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좌측으로 회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운전봉(400)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우운전봉(400')만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우운전봉(400')의 통전테(430)만 상기 전극(116)에 닿게 되어 우모터(302')를 작동시켜 우바퀴(300')만 회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운반장치는 좌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상기 우운전봉(400')을 놓거나 뒤로 당기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위치하여 운반장치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0. 베이스 110. 돌출블록
200. 유동블록 210. 조절수단
300. 좌바퀴 300'. 우바퀴
302. 좌모터 302'. 우모터
304. 배터리 400. 좌운전봉
400'. 우운전봉 410. 무게추
420. 지지반구 430. 통전테
440. 지지단 450. 손잡이
500. 연결수단 D. 드럼
200. 유동블록 210. 조절수단
300. 좌바퀴 300'. 우바퀴
302. 좌모터 302'. 우모터
304. 배터리 400. 좌운전봉
400'. 우운전봉 410. 무게추
420. 지지반구 430. 통전테
440. 지지단 450. 손잡이
500. 연결수단 D. 드럼
Claims (2)
-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0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블록(1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쌍으로 설치되어 슬라이딩 유동하며, 상면은 서로 대칭되게 경사면을 가지는 유동블록(200)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베이스(100)의 상면을 따라 유동 가능하도록 조절하는 조절수단(210)과;
상기 베이스(100)의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전후 회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와;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의 전진 운동을 제어하여 상기 베이스(100) 및 돌출블록(110)의 이동을 제어하는 한 쌍의 운전봉(400,400')과;
상기 한 쌍의 운전봉(400,400')이 서로 별개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수단(500)과;
상기 베이스(100)의 다른 일단에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10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회전 지지하는 회전바퀴(310)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바퀴(300) 및 우바퀴(300')에 각각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와;
상기 베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모터(302) 및 우모터(302')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30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운전봉(400,400')에는,
밀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구(球) 형태로 하단에 형성되는 무게추(410)와, 상기 무게추(4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운전봉(400,400')이 전후좌우로 유동하도록 지지하는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와, 상기 지지반구(420)의 상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통전테(430)와, 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50)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블록(110)의 상면에는,
상기 운전봉(400,400')이 상하로 관통하는 블록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홀(112)의 일면에는 상기 통전테(430)가 자력에 의해 끌리도록 하는 영구자석(114)이 구비되고, 상기 블록홀(112)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통전테(430)와 접하여 상기 좌모터(302) 또는 우모터(302')에 전원이 제공되도록 하는 한 쌍의 전극(116)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전극(116) 일단에는 전극(116)이 상기 블록홀(112) 내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을 가하는 압축스프링(118)이 더 구비되고;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는,
상기 반구(半球) 형태의 지지반구(420)를 지지하는 곡률지지부(120)가 상기 지지반구(420)의 하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곡률지지부(120)의 하측에는 상기 무게추(410)가 전후좌우로 유동 가능하도록 하는 추공간(12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210)은,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쌍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단이 하단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이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하는 레일(212)과;
상기 베이스(100)의 상면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유동블록(200)의 저면에 형성되는 블록탭(202)과 나사 체결되는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와;
상기 한 쌍의 회전스크류(214)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기 회전스크류(214)가 회전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상기 유동블록(200)이 유동하도록 하는 회전대(216)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수단(500)은,
일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대(510)와;
상기 연결대(510)의 좌우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의 외면을 감싸는 한 쌍의 연결링(52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520)의 내경은 상기 좌운전봉(400) 및 우운전봉(40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520)은 상기 좌운전봉(400)과 우운전봉(400')에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단(44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전극(116)은,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블록홀(112)의 내부로 돌출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돌출블록(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돌출블록(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554A KR101999481B1 (ko) | 2018-04-12 | 2018-04-12 |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42554A KR101999481B1 (ko) | 2018-04-12 | 2018-04-12 |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481B1 true KR101999481B1 (ko) | 2019-07-11 |
Family
ID=6725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42554A KR101999481B1 (ko) | 2018-04-12 | 2018-04-12 |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48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41193A (zh) * | 2020-09-30 | 2020-12-29 | 韩朝辉 | 一种燃气管道平板运输车 |
CN115402386A (zh) * | 2022-10-08 | 2022-11-29 | 江西嘉盛精密纺织有限公司 | 一种化纤喷丝板生产用转运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394A (ja) * | 1995-08-30 | 1997-03-11 |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 鋼管の現場溶接作業装置および溶接作業方法 |
KR200196525Y1 (ko) | 2000-04-17 | 2000-09-15 | 주식회사전홍 | 이동식 손수레 |
JP4471744B2 (ja) * | 2004-06-16 | 2010-06-02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ベッド電動搬送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
JP2012148610A (ja) * | 2011-01-17 | 2012-08-09 | Kyb Co Ltd | 電動アシスト台車 |
-
2018
- 2018-04-12 KR KR1020180042554A patent/KR1019994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66394A (ja) * | 1995-08-30 | 1997-03-11 |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 鋼管の現場溶接作業装置および溶接作業方法 |
KR200196525Y1 (ko) | 2000-04-17 | 2000-09-15 | 주식회사전홍 | 이동식 손수레 |
JP4471744B2 (ja) * | 2004-06-16 | 2010-06-02 |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 ベッド電動搬送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
JP2012148610A (ja) * | 2011-01-17 | 2012-08-09 | Kyb Co Ltd | 電動アシスト台車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141193A (zh) * | 2020-09-30 | 2020-12-29 | 韩朝辉 | 一种燃气管道平板运输车 |
CN115402386A (zh) * | 2022-10-08 | 2022-11-29 | 江西嘉盛精密纺织有限公司 | 一种化纤喷丝板生产用转运装置 |
CN115402386B (zh) * | 2022-10-08 | 2024-04-05 | 江西嘉盛精密纺织有限公司 | 一种化纤喷丝板生产用转运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9481B1 (ko) | 전사장치용 드럼 운반장치 | |
CN205220493U (zh) | 一种适用于agv小车的电磁托盘 | |
CN208820276U (zh) | 一种具有可调支撑装置的低压配电柜 | |
CN108750693B (zh) | 一种上下移动装置 | |
CN109394378B (zh) | 一种新型的家禽保定手术台 | |
CN207634943U (zh) | 一种市政用电脑显示器高度调整设备 | |
US10155319B2 (en) | Tools for actuating magnetically-controlled connectors and methods of use | |
CN210007259U (zh) | 一种电缆敷设拉线机 | |
CA1039322A (en) | Apparatus utilizing magnetic means for transferring articles to and from predetermined positions | |
CN215643916U (zh) | 一种耐油耐水的振动电磁铁 | |
CN108639779B (zh) | 桶换位倾斜装置 | |
KR100820589B1 (ko) | 롤이송 핸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이송장치 | |
CN105633709A (zh) | 一种移动机器人充电结构 | |
CN213377398U (zh) | 一种皮卡车车厢盖加工用喷涂装置 | |
JP2001333566A (ja) | 推力制御可能なアクチュエータ | |
CN109466063B (zh) | 一种用于3d打印机的调平机构及其调平方法 | |
CN215414980U (zh) | 一种针对电接触材料的视觉检测设备 | |
CN206744397U (zh) | 一种煎饼机的刮板提升装置 | |
CN219069708U (zh) | 一种便于设计绘图的绘图架 | |
CN213691026U (zh) | 一种大数据互动教学实训平台 | |
CN216625020U (zh) | 一种开关柜安装移动装置 | |
CN221854828U (zh) | 夹持机构及具有其的电镀设备 | |
CN215928616U (zh) | 升降式可调换管道支架 | |
CN215981773U (zh) | 一种用于全过程造价的快速检测测绘仪器 | |
CN219590489U (zh) | 一种线路板短路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