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028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028A
KR20160114028A KR1020160123047A KR20160123047A KR20160114028A KR 20160114028 A KR20160114028 A KR 20160114028A KR 1020160123047 A KR1020160123047 A KR 1020160123047A KR 20160123047 A KR20160123047 A KR 20160123047A KR 20160114028 A KR20160114028 A KR 20160114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ies
slit
flexible display
slot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045B1 (ko
Inventor
서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0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 기기는, 제1, 제2몸체와, 이들을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힌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한다. 힌지부는,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며 굴곡가능한 유연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지지된 고정단과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부재를 포함한다. 접힌 상태에서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접근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곡률을 제한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fold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lexible display}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접철식 전자 기기가 개시된다.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전자 기기(이하, 모바일 기기)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와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보다 작은 크기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형태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두 개의 몸체가 접철 구조에 의하여 연결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접을 수 없는 구조이므로, 두 개의 몸체 중 어느 하나에 디스플레이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는 대면적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기가 어렵다.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개발됨에 따라 접철 구조의 모바일 기기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 구조를 가로질러 두 개의 몸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으므로, 대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라 하더라도 완전히 꺽어지면(즉, 각지게 구부러지면) 소자 자체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가 접힐 때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부러지는 곡률반경을 제한할 수 있는 접철 구조가 요구된다.
접철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곡률을 제한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철 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 방향과 반대방향으로의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채용한 접철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펼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채용한 접철가능한 전자 기기로서,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며 굴곡가능한 유연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부재;를 포함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곡률을 제한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간격보다 커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제2몰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외측간격은 상기 제1, 제2슬릿부재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1, 제2슬롯부재 각각의 두께와의 합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2슬릿부재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벽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바닥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롯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웃하는 제2슬릿부재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슬릿부재가 상기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는 몰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슬릿부재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벽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롯의 바닥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롯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롯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그루브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 그루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림으로써 상기 힌지부가 상기 제1`, 제2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슬라이딩되는 도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펼침각도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2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각도조절 포스트;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위치에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를 로킹시키는 제1, 제2로킹부와 상기 제1, 제2로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제2로킹부보다 간격이 좁은 오목부를 구비하는 각도조절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꺽임을 방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힌지부를 슬라이딩 도중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몸체의 펼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펼침각도 조절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제1상태와, 상기 제1, 제2몸체가 상기 제1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2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각도조절 포스트;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를 로킹시키는 제1, 제2로킹부와 상기 제1, 제2로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제2로킹부보다 간격이 좁은 오목부를 구비하는 각도조절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며 굴곡가능한 유연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간격보다 커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웃하는 제2슬릿부재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슬릿부재가 상기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는 몰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가 접철과정에서 꺽이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일방향으로의 접철만이 허용되므로 반대방향으로의 접철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손상 및 전자 기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부와 두 몸체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므로 자연스러운 접철이 가능하다.
힌지부를 슬라이딩 도중에 로킹시킴으로써 두 몸체의 펼침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두 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가 두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로킹시킴으로써 두 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전자 기기가 소정 각도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전자 기기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전자 기기가 접철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의 힌지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이격방지부재와 이웃하는 두 슬릿부재와의 결합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이탈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힌지부가 접철 방향으로 굴곡되어 인접하는 두 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굴곡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힌지부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굴곡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힌지부와 제1, 제2몸체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A'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B-B' 단면도이다.
도 20은 전자 기기의 펼침 각도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21은 제1, 제2몸체와 힌지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제2몸체의 펼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과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과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힌지부의 처짐에 의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와 힌지부가 들뜬 상태를 도시한 전자 기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접철식 전자 기기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접철식 전자 기기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제1, 제2몸체(1)(2)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와, 힌지부(3)를 구비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에 지지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접착제,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제1몸체(1)와 제2몸체(2)에 접착될 수 있다. 힌지부(3)는 제1, 제2몸체(1)(2) 사이에 위치되며, 제1, 제2몸체(1)(2)를 접철가능하게 연결한다.
전자 기기(100)는 통신 단말기, 게임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촬영장치 등 휴대가 가능한 모바일 기기일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기기(100)는 주기능을 수행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3)의 일부(4a)가 결합되는 제1몸체(1)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일부(4b)가 결합되고 힌지부(3)에 의하여 제1몸체(1)에 대하여 접힐 수 있게 연결되는 제2몸체(2)를 구비하는 어떠한 기기라도 무방하다.
제1, 제2몸체(1)(2)에는 전자 기기(100)의 용도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유닛(미도시) 및 입출력 수단(미도시)들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자 기기(100)가 영상 및 음악을 감상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영상/음향정보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기기(100)가 통신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싱 유닛은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수단은 영상/음향 입출력부 및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통합된 터치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몸체(1)에 결합된 제1부분(4a)과 제2몸체(2)에 결합된 제2부분(4b) 및 제1몸체(1)와 제2몸체(2) 사이의 제3부분(4c)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은 힌지부(3)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구부러짐으로써 전자 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힐 수 있다. 전자 기기(100)가 접힌 상태에서 힌지부(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외측에 위치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만곡부(3a)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힌지부(3)는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각지게 완전히 꺽이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도 4는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전자 기기(10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힌지부(3)는 유연한 지지부재(310)와, 지지부재(310)에 지지된 고정단(321)과 고정단(322)으로부터 연장된 자유단(322)을 구비하는 다수의 슬릿부재(320)를 포함한다. 지지부재(310)는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고 신축성을 가진 고무 등의 엘라스토머일 수 있다. 다수의 슬릿부재(3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폭방향(도 1: W)으로 연장된 봉형상이다. 슬릿 부재(320)의 단면 형상은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다수의 슬릿부재(320)는 서로 이격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길이방향(도 1: L)으로 배열된다. 다수의 슬릿부재(320)의 피치(pitch)를 P라 하고 슬릿부재(320)의 두께를 T라 하면, 이웃하는 두 슬릿부재(320) 사이의 초기 간격(Gi)는 P-T가 된다. 슬릿부재(320)는 지지부재(3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질의 재료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릿부재(320)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금형(미도시) 내에 다수의 슬릿부재(320)를 피치(P)를 유지하면서 이격되게 배열하고,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310)의 재료가 되는 엘라스토머를 금형 내에 주입하여 성형함으로써 고정단(321)이 지지부재(310)에 지지된 다수의 슬리숩재(320)를 구비하는 힌지부(3)가 제조될 수 있다.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L)의 양단부가 제1, 제2몸체(1)(2)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310)의 길이방향(L)의 양단부가 홀더(미도시)에 지지되고, 홀더를 제1, 제2몸체(1)(2)에 고정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부재(310)는 직선 형태이며, 다수의 슬릿부재(320)의 자유단(322)들 사이의 간격과 고정단(321)들 사이의 간격은 초기 간격(Gi)으로서 동일하다.
도 5는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전자 기기(100)가 소정 각도로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재(310)는 곡률을 가지는 원호 형태가 된다. 지지부재(310)의 내주(312)의 곡률반경은 외주(311)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지지부재(310)가 유연한 부재이므로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은 원호 형상의 지지부재(310)의 중심(C)을 향하게 되며,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되어 간격(G2)이 초기 간격(Gi)보다 작아진다.
도 6은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전자 기기(100)가 완전히 접힌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촉되어, 힌지부(3)는 소정의 곡률반경(r)을 가지는 만곡부(3a)를 형성한다. 힌지부(3)에 의하여 형성되는 만곡부(3a)의 곡률반경(r)은 다수의 슬릿부재(320)의 두께(도 4: T)와 피치(도 4: P) 및 갯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힌지부(3)를 더 구부리려고 하더라도 경질의 재료로 된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으므로, 힌지부(3)는 더 이상 구부러지지 않는다.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힌지부(3)의 내측에 위치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완전히 꺽어지지 않도록 힌지부(3)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다.
도 7은 전자 기기(100)가 접철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의 힌지부(3)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10)가 유연한 부재이므로, 힌지부(3)는 접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힌지부(3)의 외측에 위치되는 방향으로 접히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제1, 제2몸체(1)(2)에 결합되어 있어서 그 길이가 늘어나지 못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는 인장력이 작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제1, 제2몸체(1)(2)로부터 이탈되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손상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힌지부(3)가 접철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은 서로 접근된다. 즉,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 사이의 간격은 초기 간격(Gi)보다 작아진다. 이에 대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3)가 접철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경우에는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은 서로 이격된다. 즉,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 사이의 간격(Go)은 초기 간격(Gi)보다 커진다. 그러므로,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함으로써 힌지부(3)가 접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 사이의 간격이 펼쳐진 상태의 간격, 즉 초기 간격(Gi)보다 커지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힌지부(3)가 접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힌지부(3)는 다수의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이격방지부재(330)를 더 포함한다. 다수의 이격방지부재(330)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이웃하는 슬릿부재(320)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격방지부재(330)는 예를 들어 이웃하는 두 개의 슬릿부재(320-1)(320-2)의 외측을 감싸는 클립 형태의 부재일 수 있다. 참조부호 340은 지지부재(310)의 길이“‡향(L)의 양단부에 위치되어 지지부재(310)를 지지하며, 제1, 제2몸체(1)(2)에 결합되는 홀더이다.
도 9는 이격방지부재(330)와 슬릿부재(320-1)(320-2)와의 결합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격방지부재(330)는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날개부(331)(332)와 날개부(331)(3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3)를 구비한다. 슬릿부재(320-1)(320-2)에는 각각 외측면(320-1a)(320-2a)으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된 제1, 제2몰입부(320-1b)(320-2b)가 마련되고, 날개부(331)(332)는 제1, 제2몰입부(320-1b)(320-2b)에 삽입된다. 제1, 제2몰입부(320-1b)(320-2b)는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으로부터 하방으로 몰입된 형태이다. 날개부(331)(332)의 외측간격(Gw)은 초기 간격(Gi)과 슬릿부재(320-1)(320-2)의 두께의 합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날개부(331)(332)의 두께가 초기 간격(Gi)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날개부(331)(332)는 도 8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재(320-1)(320-2)의 외측면(310-1a)(310-2a)에 지지되고, 날개부(331)(332)는 슬릿부재(320)들 사이의 초기 간격(Gi)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초기 간격(Gi)과 슬릿부재(320)들 간의 피치(P) 및 슬릿부재(320)들의 갯수는 접힌 상태에서의 곡룰반경(r)을 감안하여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슬릿부재(320-1)(320-2)에는 이격방지부재(330)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마련된다. 결합부는 슬릿부재(320-1)(320-2)의 내측면(320-1c)(320-2c)과 제1, 제2몰입부(320-1b)(320-2b) 사이의 격벽(320-1d)(320-2d)에 마련된 제1, 제2슬롯(320-1e)(320-2e)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33)는 슬롯(320-1e)(320-2e)에 삽입될 수 있다. 슬롯(320-1e)(320-2e)에는 연결부(333)가 삽입된 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이탈방지부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탈 방지부는 예를 들어 슬롯(320-1e)(320-2e)의 양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0-1f)(320-2f)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슬롯(320-1e)(320-2e)의 폭(W1)은 연결부(333)의 폭(W3)보다 크며, 돌출부(320-1f)(320-2f)사이의 간격(W2)은 연결부(333)의 폭(W3)보다 작다. 돌출부(320-1f)(320-2f)사이의 간격(W2)은 연결부(333)를 슬롯(320-1e)(320-2e)의 상부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힘으로 누르면 연결부(333)가 통과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슬릿부재(320-1)(320-2)가 이격방지부재(330)보다 연질의 재료로 형성된 경우, 연결부(333)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돌출부(320-1f)(320-2f) 사이의 간격(W2)이 약간 벌어지면서 연결부(333)가 돌출부(320-1f)(320-2f)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도 11은 힌지부(3)가 접철 방향으로 굴곡되어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보면,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이 자연스럽게 허용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연결부(333)와 슬롯(320-1e)(320-2e) 사이에는 유격이 필요하다. 슬롯(320-1e)(320-2e)의 폭(W1)이 연결부(333)의 폭(W3)보다 크므로, 연결부(333)는 슬롯(320-1e)(320-2e) 내에서 슬롯(320-1e)(320-2e)의 폭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20-1f)(320-2f)로부터 슬롯(320-1e)(320-2e)의 바닥(320-1g)(320-2g)까지의 깊이는 연결부(333)가 돌출부(320-1f)(320-2f)를 통과한 후에 돌출부(320-1f)(320-2f)와 바닥(320-1g)(320-2g)사이에서 상하방향(삽입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결정된다. 이에 의하여, 힌지부(3)가 접철 방향으로 굴곡될 때에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기울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는 슬롯(320-1e)(320-2e) 각각에 두 개씩의 돌출부(320-1f)(320-2f)가 형성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슬롯(320-1e)(320-2e)의 일 측벽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하나의 돌출부(320-1f)(320-2f)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간격(W2)은 돌출부(320-1f)(320-2f)와 슬롯(320-1e)(320-2e)의 돌출부(320-1f)(320-2f)와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된다.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힌지부(3)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슬릿부재(320)들 사이에는 초기 간격(Gi)이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힌지부(3)에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굴곡시키는 힘(F)가 작용되더라도 이격방지부재(330)에 의하여 슬릿부재(320)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있으므로, 힌지부(3)가 굴곡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 및 이에 의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손상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와 제1, 제2몸체(1)(2)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되는 경우에는 이격방지부재(330)에 의하여 구속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힘(F1)과 반대 방향의 힘(F2)가 힌지부(3)에 작용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부재(320)들의 자유단(322)들이 서로 접근되고, 힌지부(3)가 굴곡되어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진 만곡부(3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굴곡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3)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힌지부(3)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힌지부(3)의 실시예는 이격방지부재(330)가 슬릿부재(320)에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슬릿부재(320-1)의 내측면(320-1c)으로부터 슬릿부재(320-2)를 향하여 연장된 연결부(333)의 단부에 날개부(334)가 마련된다. 인접한 슬릿부재(320-2)에는 날개부(334)를 수용하는 몰입부(320-2b), 연결부(333)가 삽입되는 슬롯(320-2e), 및 연결부(333)가 슬롯(320-2e)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320-2f)가 마련된다. 슬릿부재(320-1)에는 인접한 다른 슬릿부재(미도시), 즉 슬릿부재(320-2)의 반대쪽에 위치되는 슬릿부재에 마련된 연결부 및 날개부를 수용하는 몰입부(320-1b) 및 슬롯(320-1e)이 마련되며, 연결부가 슬롯(320-1e)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320-1f)가 마련된다. 또한, 슬릿부재(320-2)에는 인접하는 다른 슬릿부재(미도시)와 결합되는 연결부(333) 및 날개부(33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힌지부(3)의 굴곡 방향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격방지부재(330)를 슬릿부재(320)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수를 줄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 공수를 줄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격방지부재(330)는 도 8 내지 도 15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격방지부재(330)는 와이어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6은 굴곡방향을 제한할 수 있는 힌지부(3)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슬릿부재(320-1)(320-2)의 외측면(320-1a)(320-2a)에는 걸림부(320-1h)(320-2h)가 마련된다. 걸림부(320-1h)(320-2h)는 슬릿부재(320-1)(320-2)의 자유단(322)으로부터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320-1h)(320-2h)는 와이어(3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와이어(330')는 두 개의 고리부(331')(33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와이어(333')를 포함한다. 와이어(330')의 양측의 고리부(331')(332')가 각각 걸림부(320-1h)(320-2h)에 걸림으로써, 슬릿부재(320-1)(320-2)는 그 자유단(332)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될 수 있다.
다시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신축성이 없으므로, 도 2에 도시된 펼쳐진 상태에서의 총 길이와 도 3에 도시된 접힌 상태에서의 총 길이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는 접힌 상태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외주측에 위치되므로, 접힌 상태에서의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의 외곽의 길이의 합은 펼쳐진 상태에서의 외곽의 길이의 합보다 커져야 한다. 제1몸체(1)와 제2몸체(2)는 일반적으로 신축될 수 없으므로, 힌지부(3)의 지지부재(310)를 신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함으로써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의 외곽의 길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제2몸체(1)(2) 중 적어도 하나와 힌지부(3)가 상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에서의 외곽의 길이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다. 도 17은 힌지부(3)와 제1, 제2몸체(1)(2)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 전자 기기(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A-A'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B-B'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몸체(1)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11)과, 제1하우징(11)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1부분(4a)이 결합되는 제1지지판(12)을 포함한다. 제2몸체(2)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21)과, 제2하우징(21)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2부분(4b)이 결합되는 제2지지판(22)을 포함한다. 힌지부(3)는 제1, 제2하우징(11)(21)에 각각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된다. 힌지부(3)는 지지부재(310)와 슬릿부재(320)를 포함하는 구조 또는 지지부재(310)와 슬릿부재(320) 및 이격방지부재(330)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을 참조하면, 지지부재(310)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홀더(340)에 지지된다. 한 쌍의 홀더(340)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341)이 마련된다. 제1, 제2몸체(1)(2)에는 가이드 레일(341)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삽입되는 슬라이딩 그루브(13)(23)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제1, 제2지지판(12)(22)의 일부(12-1)(22-1)가 제1, 제2하우징(11)(21)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어, 제1, 제2하우징(11)(21)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슬라이딩 그루브(13)(2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힌지부(3)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의 슬라이딩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도 17과 도 19를 참조하면, 규제부는 예를 들어 한 쌍의 홀더(340)에 마련되는 스토퍼(342)와 제1, 제2몸체(1)(2)에 마련되어 스토퍼(342)가 걸리는 걸림턱(14)(24)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토퍼(342)는 홀더(34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4)(24)은 제1, 제2지지판(12)(22)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힌지부(3)가 접힐 때에 제1, 제2몸체(1)(2)는 가이드 레일(341)과 슬라이딩 그루브(13)(23)에 의하여 안내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외곽의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작은 힘으로 용이하게 전자 기기(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다. 또한,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스토퍼(342)가 걸림턱(14)(24)에 걸리므로,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가 상호 슬라딩가능한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제2몸체(1)(2) 중 어느 하나와 힌지부(3)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가 상호 슬라딩 가능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접는 과정에서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의 외곽 길이가 더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으므로, 더 자연스럽게 전자 기기(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을 수 있다.
전자 기기(1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도 2 참조)와 완전히 접힌 상태(도 3 참조)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를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슬라이딩 도중에 소정의 위치에서 슬라이딩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제1, 제2몸체(1)(2) 사이의 펼침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다. 정지 위치는 하나일 수 있으며, 둘 이상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지된 각도에 맞춘 화면 구성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적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 중에서 세워진 제1몸체(1)에 지지된 제1부분(4a)에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로서 구동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 중에서 눕혀진 제2몸체(2)에 지지된 제2부분(4b)에는 키 입력 등이 가능한 입력부로서 구동할 수 있다.
도 21은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제2몸체(1)(2)의 펼침 각도(AG)를 조절할 수 있는 전자 기기(100)의 일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2와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슬라이딩 프레임(6)과 슬라이딩 플레이트(7)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 22, 23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프레임(6)과, 슬라이딩 프레임(6)에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가 도시되어 있다. 슬라이딩 프레임(6)은 제1, 제2몸체(1)(2)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프레임(6)은 제1, 제2지지판(12)(22)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7)는 힌지부(3)와 결합된다. 예를 들어, 지지부재(310)는 길이방향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홀더(340)에 지지되고, 슬라이딩 플레이트(7)는 홀더(340)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7)의 양측부에는 길이방향(L)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71)이 마련된다. 슬라이딩 프레임(6)에는 가이드 레일(71)이 슬라이딩될 수 있게 삽입되는 가이드 그루브(63)가 마련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 프레임(6)은 양측부에 "ㄷ"자 형상부(62)가 마련된 제1부재(61)와, "ㄷ"자 형상부(62)에 배치되고 가이드 그루브(63)가 마련된 제2부재(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64)는 가이드 레일(71)과의 접촉저항을 줄일 수 있는 윤활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윤활성이 있는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오일이 함유된 플라스틱 또는 소결금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7)가 슬라이딩 프레임(6)에 대하여 슬라이딩됨으로써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가 상호 슬라이딩될 수 있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제2몸체(1)(2)가 힌지부(3)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의 슬라이딩 거리를 규제하는 규제부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규제부는, 슬라이딩 플레이트(7)의 슬라이딩 방향의 일측 단부(힌지부(3)와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단부)에 마련되어 슬라이딩 프레임(6)의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 걸치는 스토퍼(72)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토퍼(72)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 플레이트(7)의 폭방향(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플레이트(7)가 슬라이딩 프레임(6)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도중에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함으로써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와 제2몸체(2)의 펼침 각도(AG)가 조절될 수 있다. 제1몸체(1)와 제2몸체(2)의 펼침 각도(AG)를 조절하는 펼침 각도 조절부는 슬라이딩 프레임(6)에 슬라이딩 방향,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길이방향(L)으로 절개된 각도조절 슬롯(65)과, 슬라이딩 프레이트(7)에 마련되고 각도조절 슬롯(65)에 삽입되는 각도조절 포스트(73)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조절 슬롯(65)은 각도조절 포스트(73)를 로킹시키는 다수의 로킹부(65-1)(65-2)(65-3)와, 다수의 로킹부(65-1)(65-2)(65-3) 사이에 위치되고 다수의 로킹부(65-1)(65-2)(65-3)보다 간격이 좁은 오목부(65a)(65b)가 마련된다. 일 실시예로서, 각도조절 슬롯(65)는 탄력을 가진 재료로 형성되고 슬라이딩 프레임(6)에 결합되는 탄력부재(650)에 마련될 수 있다. 탄력을 가진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스프링 판재 등의 탄성 금속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각도조절 포스트(73)가 제1로킹부(65-1)에 위치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7)는 제1위치에 정지되어 로킹된다. 제1위치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제1상태)에 대응된다.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부(3)가 제1, 제2몸체(1)(2)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제1, 제2몸체(1)(2)와 힌지부(3)의 외곽 길이가 늘어나면 힌지부(3)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굴곡지게 된다. 그러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이 힌지부(3)에 의하여 지지되지 못하고 그 사이가 들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의 제3부분(4c)에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에 터치 패널 기능이 부가된 경우 제3부분(4c)의 터치감이 불량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도조절 포스트(73)가 제1로킹부(65-1)로부터 제2로킹부(65-2)로 이동되기 위하여는 오목부(65a)를 통과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는 각도 조절 포스트(73)가 오목부(65a)를 벌릴 수 있는 정도의 힘이 제1, 제2몸체(1)(2)에 가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이 정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힌지부(3)는 제1, 제2몸체(1)(2)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않으며, 제1, 제2몸체(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로 유지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4)는 힌지부(3)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각도조절 포스트(73)가 제3로킹부(65-3)에 위치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7)는 제3위치에 정지되어 로킹된다. 제3위치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접힌 상태(제3상태)에 대응된다.
또한, 각도조절 포스트(73)가 제2로킹부(65-2)에 위치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7)는 제2위치에 정지되어 로킹된다. 제2위치는 제1몸체(1)와 제2몸체(2)가 도 1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각도(AG)를 이루는 상태(제2상태)에 대응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제2몸체(1)(2)를 완전히 펼쳐진 상태, 완전히 접힌 상태, 및 두 상태 사이의 펼침 각도(AG)를 이루는 상태에서 로킹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전히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에 하나의 로킹 위치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었으나, 이에 의한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3로킹부(65-1)(65-3) 사이에 다수의 제2로킹부(65-2)를 배치함으로써 제, 제2몸체(1)(2)를 둘 이상의 펼침각도(AG)에 로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제1몸체 2...제2몸체
11, 21...제1, 제2하우징 12, 22...제1, 제2지지판
3...힌지부 310...지지부재
320...슬릿부재 330...이격방지부재
331, 332...날개부 333...연결부
340...홀더 4...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6...슬라이딩 프레임 65...각도조절슬롯
65-1, 65-2, 65-3...로킹부 65a, 65b...오목부
7...슬라이딩 플레이트 73...각도조절 포스트

Claims (28)

  1.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를 가로질러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며 굴곡가능한 유연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부재;를 포함하여,
    접힌 상태에서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접근됨으로써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곡률을 제한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간격보다 커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각각 수용하는 제1, 제2몰입부가 마련된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날개부의 외측간격은 상기 제1, 제2슬릿부재 사이의 간격과 상기 제1, 제2슬롯부재 각각의 두께와의 합 이하인 전자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슬릿부재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벽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전자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바닥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롯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결정되는 전자 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웃하는 제2슬릿부재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슬릿부재가 상기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는 몰입부가 마련된 전자 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릿부재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의 양측벽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의 상기 슬롯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부가 마련된 전자 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바닥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연결부가 상기 슬롯 내에서 삽입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결정되는 전자 기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롯부재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연결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 그루브가 마련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길이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슬라이딩 그루브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 레일이 마련된 전자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스토퍼가 걸림으로써 상기 힌지부가 상기 제1`, 제2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턱이 마련된 전자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슬라이딩되는 도중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펼침각도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 대응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2위치에서 정지시키는 전자 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각도조절 포스트;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제2위치에서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를 로킹시키는 제1, 제2로킹부와 상기 제1, 제2로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제2로킹부보다 간격이 좁은 오목부를 구비하는 각도조절 슬롯;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0. 제1, 제2몸체;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
    상기 제1, 제2몸체를 접철될 수 있게 연결하며 접철 상태에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의 꺽임을 방지하는 만곡부를 형성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자 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를 슬라이딩 도중에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몸체의 펼침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펼침각도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전자 기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제1, 제2몸체가 완전히 펼쳐진 제1상태와, 상기 제1, 제2몸체가 상기 제1상태와 완전히 접힌 상태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제2상태에서 상기 힌지부를 정지시키는 전자 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딩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펼침각도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에 마련된 각도조절 포스트;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에 마련되며, 상기 제1상태와 상기 제2상태에서 상기 각도조절 포스트를 로킹시키는 제1, 제2로킹부와 상기 제1, 제2로킹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제2로킹부보다 간격이 좁은 오목부를 구비하는 각도조절 슬롯;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
  24. 제20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제2몸체에 지지되며 굴곡가능한 유연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지지된 고정단과 상기 고정단으로부터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을 구비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슬릿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슬릿부재의 자유단들 사이의 간격이 펼쳐진 상태에서의 간격보다 커지지 않도록 차단하는 다수의 이격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이웃하는 제1, 제2슬릿부재의 자유단들이 서로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한 쌍의 날개부와, 상기 한 쌍의 날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슬릿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 기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웃하는 제2슬릿부재로 연장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2슬릿부재가 상기 제1슬릿부재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날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슬릿부재의 외측면에는 그로부터 내측으로 몰입되어 상기 날개부를 수용하는 몰입부가 마련된 전자 기기.
KR1020160123047A 2013-08-26 2016-09-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1995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47A KR101995045B1 (ko) 2013-08-26 2016-09-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1292A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3-08-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0160123047A KR101995045B1 (ko) 2013-08-26 2016-09-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292A Division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3-08-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945A Division KR102121267B1 (ko) 2019-06-25 2019-06-2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028A true KR20160114028A (ko) 2016-10-04
KR101995045B1 KR101995045B1 (ko) 2019-07-02

Family

ID=52480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292A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3-08-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0160123047A KR101995045B1 (ko) 2013-08-26 2016-09-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1292A KR101663728B1 (ko) 2013-08-26 2013-08-2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9811119B2 (ko)
EP (3) EP3039504B1 (ko)
KR (2) KR101663728B1 (ko)
CN (2) CN105659187B (ko)
ES (1) ES2810776T3 (ko)
WO (1) WO201503043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64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KR20180119197A (ko) * 2017-04-24 2018-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092820A (ko) * 2018-01-31 2019-08-08 황종수 각 변환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패널
KR20190096026A (ko) * 2018-02-08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9182380A1 (ko) * 2018-03-21 2019-09-26 (주)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제조 방법
US11537173B2 (en) 2019-02-19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4010143A1 (ko) * 2022-07-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711B1 (ko) * 2013-05-28 2020-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D745006S1 (en) * 2013-07-10 2015-12-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1486470S (ko) * 2013-07-12 2016-12-05
JP1486469S (ko) * 2013-07-12 2016-12-05
JP1488013S (ko) * 2013-07-12 2016-12-26
USD761254S1 (en) * 2013-07-12 2016-07-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GB2517782B (en) * 2013-09-02 2020-08-19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GB2520271A (en) * 2013-11-13 2015-05-20 Nokia Corp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KR102065419B1 (ko) * 2013-12-02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클립형 이동 단말기
US9588549B2 (en)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CN105359064B (zh) * 2014-04-09 2019-11-08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用于计算设备的具有可弯曲支撑机制的输入设备
USD788726S1 (en) * 2014-06-0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KR20160016333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2252032B1 (ko) * 2014-09-04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255710B1 (ko) * 2014-10-07 202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JP2016081051A (ja) * 2014-10-10 2016-05-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機能パネル、装置、情報処理装置
US9541962B2 (en) * 2014-10-16 2017-01-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a flexible hinge structure
JP1528852S (ko) * 2014-10-28 2015-07-13
JP1528851S (ko) * 2014-10-28 2015-07-13
EP3254448B1 (en) * 2015-02-06 2021-03-03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2423893B1 (ko) 2015-03-31 2022-07-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04851365B (zh) 2015-05-28 2017-07-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US10681194B2 (en) 2015-06-08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765121B1 (ko) * 2015-06-10 2017-08-04 (주) 프렉코 연동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힌지 장치
WO2016209247A1 (en) * 2015-06-26 2016-12-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inge for a foldable display unit
KR102385232B1 (ko) * 2015-06-30 2022-04-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D794634S1 (en) * 2015-07-01 2017-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terminal
USD788774S1 (en) * 2015-07-0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Tablet computer
KR102366516B1 (ko) * 2015-08-31 2022-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539978B2 (en) 2015-09-08 2020-0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CN106502319B (zh) * 2015-09-08 2022-02-22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0551880B1 (en) 2015-09-11 2020-02-04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CN106550566B (zh) * 2015-09-16 2022-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具有刚性容置空间的可弯曲装置及电子设备
US10071302B2 (en) * 2015-10-01 2018-09-11 Augusto Sala Folding longboard based on an indivisible flexible element
USD814435S1 (en) * 2015-10-26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USD814455S1 (en) 2015-10-26 2018-04-0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electronic device
KR102421579B1 (ko) * 2015-11-16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US9964989B2 (en) * 2015-12-24 2018-05-08 Intel Corporation Orbiting hinge
CN105516409B (zh) * 2015-12-29 2018-03-0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WO2017113393A1 (zh) * 2015-12-31 2017-07-0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可弯折移动终端
DK3716005T3 (da) 2016-01-06 2023-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ktronisk anordning med fleksibelt displayvindue
KR102248593B1 (ko) * 2016-01-06 2021-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그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505878B1 (ko) 2016-01-29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361385B2 (en) 2016-02-12 2019-07-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505879B1 (ko) * 2016-03-24 2023-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88988A2 (en) * 2016-04-29 2017-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structures
CN106061154B (zh) * 2016-05-27 2019-01-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壳体及显示装置
US10301858B2 (en) * 2016-06-14 2019-05-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US10501973B2 (en) 2016-06-14 2019-12-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with free-stop function
US9971382B2 (en) * 2016-07-01 2018-05-15 Intel Corporation Super-elastic hinge for flexible display
KR102460466B1 (ko) * 2016-07-06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접철식 전자 장치
KR102520575B1 (ko) * 2016-07-13 2023-04-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061359B2 (en) * 2016-07-28 2018-08-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with living hinge
USD857645S1 (en) * 2016-08-23 2019-08-27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JP6838721B2 (ja) * 2016-09-01 2021-03-03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多軸ヒンジ並びにこの多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2636648B1 (ko) * 2016-09-13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전자 장치
CN107846484B (zh) * 2016-09-20 2020-01-10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的折叠机构及移动终端
WO2018061119A1 (ja) * 2016-09-28 2018-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628024B1 (ko) * 2016-10-07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85361B1 (ko) 2016-10-13 2023-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2718B1 (ko) * 2016-11-03 2023-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6351941B (zh) * 2016-11-17 2024-02-27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转轴组件及电子设备
KR20180056444A (ko) * 2016-11-18 2018-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09510B1 (ko) * 2016-11-30 2023-12-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CN108133664B (zh) * 2016-12-01 2020-08-14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及其承载结构
US10368452B2 (en) * 2016-12-30 2019-07-30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10268237B2 (en) * 2017-01-26 2019-04-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Hous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CN106603773B (zh) * 2017-01-26 2023-04-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装置及移动终端
CN106886253A (zh) * 2017-02-21 2017-06-2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盖板、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KR20180097356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아웃 폴딩(out-foldable) 가능한 전자 장치 및 아웃 폴딩 가능한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JP6707184B2 (ja) * 2017-03-31 2020-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N107102692B (zh) 2017-04-26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式显示装置
KR102426694B1 (ko) 2017-05-02 2022-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8210191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EP3624430B1 (en) 2017-05-17 2022-05-1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terminal
EP3627805A4 (en) 2017-05-17 2020-05-2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MOBILE DEVICE
WO2018210196A1 (zh) *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可折叠移动终端
WO2018210187A1 (zh) 2017-05-17 2018-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折叠机构组件及可折叠移动终端
KR102227165B1 (ko) 2017-05-17 2021-03-12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폴더블 이동 단말
KR102362096B1 (ko) * 2017-05-29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0559B1 (ko) 2017-07-04 2022-11-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215507B (zh) * 2017-07-07 2021-08-27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US11453193B2 (en) * 2017-07-17 2022-09-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vature limiting film
CN110809794A (zh) * 2017-08-03 2020-02-1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
CN107437378B (zh) * 2017-09-20 2020-09-11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
CN107654484A (zh) * 2017-09-26 2018-02-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连接部件及柔性显示屏、柔性电子设备
KR102402183B1 (ko) * 2017-09-29 2022-05-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JP6453413B1 (ja) * 2017-10-04 2019-01-1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07731102A (zh) * 2017-10-31 2018-02-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曲面显示屏的组立方法及曲面显示屏
KR102438259B1 (ko) * 2017-12-04 2022-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29148B1 (ko) *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572695B (zh) * 2018-01-25 2021-06-2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连接件、连接机构、显示器及终端
KR102509046B1 (ko) 2018-02-02 2023-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3233B1 (ko) * 2018-02-12 2023-09-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074892A (zh) * 2018-03-12 2020-12-11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弯折机构与柔性显示装置
WO2019223014A1 (zh) * 2018-05-25 2019-11-28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框架模组及可弯曲终端
KR102460471B1 (ko) 2018-03-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TWI664475B (zh) * 2018-04-30 2019-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式顯示器
US11081660B2 (en) 2018-05-03 2021-08-0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support film structure for display device
USD961586S1 (en) 2018-05-11 2022-08-23 Lenovo (Beijing) Co., Ltd. Flexible display
KR102085235B1 (ko) * 2018-05-28 2020-03-05 (주) 프렉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712538B (zh) * 2018-07-27 2021-06-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设备及安装方法
KR102293734B1 (ko) * 2018-08-24 2021-08-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장치
JP2020046541A (ja) * 2018-09-19 2020-03-26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CN109189305B (zh) * 2018-09-26 2020-09-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铰链、电子设备及电子设备控制方法
TWI670696B (zh) 2018-09-28 2019-09-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顯示裝置
KR20200040057A (ko) * 2018-10-08 2020-04-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9166462B (zh) * 2018-10-15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折叠式显示装置及其折叠方法
TWD200860S (zh) * 2018-10-16 2019-11-11 南韓商樂金顯示科技股份有&#x9 顯示器
KR102608435B1 (ko) * 2018-11-02 2023-1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521840B (zh) * 2018-11-13 2020-03-10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9545084B (zh) * 2018-11-15 2020-03-1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器面板框架
CN111245979B (zh) * 2018-11-29 2021-04-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可折叠设备及显示区域确定方法
CN109559639B (zh) * 2018-11-29 2022-04-05 广州国显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545088B (zh) * 2018-12-06 2020-1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可动态弯折的显示装置
US11392176B2 (en) 2019-01-04 2022-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screen adjustments via rails
KR102643282B1 (ko) * 2019-01-16 202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9616018A (zh) * 2019-01-17 2019-04-12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柔性显示装置
USD901419S1 (en) * 2019-01-28 2020-11-10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Foldable mobile phone
USD894144S1 (en) * 2019-01-28 2020-08-25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Foldable mobile phone
US11003217B2 (en) 2019-01-3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93338B2 (en) * 2019-01-31 2021-04-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EP3944596B1 (en) * 2019-03-19 2024-05-0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D921601S1 (en) * 2019-03-22 2021-06-08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Foldable mobile phone
US11137802B2 (en) * 2019-04-21 2021-10-05 Lenovo (Singapore) Pte. Ltd. Anti-warp bezel for foldable device
KR20200126449A (ko) * 2019-04-29 2020-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351930B2 (ja) * 2019-05-13 2023-09-27 フレックシゴ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フレキシブル素材の360度双方向フォールディング耐久性評価装置
KR20200139292A (ko) * 2019-06-03 2020-1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20200140126A (ko) * 2019-06-05 2020-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US11977420B2 (en) * 2019-07-17 2024-05-07 Google Llc Slidable hinge mechanism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US11249520B2 (en) * 2019-07-19 2022-02-15 Google Llc Hinge device and foldable device having same
CN111739426B (zh) * 2019-07-26 2023-01-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装置
TWI742519B (zh) * 2019-07-26 2021-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可撓性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WO2021016752A1 (zh) * 2019-07-26 2021-02-04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一种弯折装置和柔性装置
US11425833B2 (en) 2019-07-26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11169580B2 (en) * 2019-07-29 2021-11-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20210025747A (ko) * 2019-08-27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557481B (zh) * 2019-08-28 202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649058B (zh) * 2019-09-27 2022-11-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柔性显示装置
JP6884189B2 (ja) * 2019-10-29 2021-06-09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59445A (ko) * 2019-11-15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67292A (ko) 2019-11-29 2021-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10068722A (ko) 2019-12-02 2021-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20210073253A (ko) * 2019-12-10 2021-06-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EP4073614A1 (en) * 2020-01-29 2022-10-19 Huawei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support structure for a sliding flexible display
CN111489650A (zh) * 2020-05-13 2020-08-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屏支撑装置和柔性显示终端
KR20210153260A (ko) * 2020-06-10 2021-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006669A (ko) * 2020-07-08 2022-0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2054996A1 (ko) * 2020-09-14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060605A (ko) * 2020-11-04 2022-05-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17373A (ko) * 2021-02-15 2022-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202239293A (zh) * 2021-03-17 2022-10-01 達運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金屬背板及使用該背板的可摺疊顯示裝置
KR20220147772A (ko) * 2021-04-27 2022-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68612A (ko) * 2021-06-16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785730B2 (en) * 2021-07-28 2023-10-10 Tpk Advanced Solutions Inc.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hain and at least one elastic padding
KR20230021209A (ko) * 2021-08-04 2023-02-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30071873A (ko) * 2021-11-16 2023-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3113197A1 (ko) * 2021-12-15 2023-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강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083275B (zh) * 2022-06-20 2023-12-2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可调节连接机构、可卷曲的显示装置和电子设备
US11887519B1 (en) * 2022-08-16 2024-01-30 Lenovo (Singapore) Pte. Ltd. Rollable OLED with custom curvature
CN117662600A (zh) * 2022-08-22 2024-03-08 荣耀终端有限公司 转轴装置以及折叠屏设备
CN117978897A (zh) * 2022-10-26 2024-05-03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组件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3783A1 (en) * 2009-09-14 201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JP2011119830A (ja) * 2009-12-01 2011-06-16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US20120162876A1 (en) * 2010-12-23 2012-06-28 Pantech Co., Ltd. Mobile device
US20120307423A1 (en) * 2011-06-03 2012-12-06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004688D0 (en) * 2000-02-28 2000-04-19 Radley Smith Philip J Bracelet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US20070097014A1 (en) * 2005-10-31 2007-05-03 Solomon Mark 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screen
JP4327180B2 (ja) * 2006-07-24 2009-09-0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JP2008228249A (ja) * 2007-03-16 2008-09-25 Sanyo Electric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KR100867608B1 (ko) * 2007-08-21 2008-11-10 한국과학기술원 접이식 휴대용 단말기
US20090126155A1 (en) * 2007-11-16 2009-05-21 Motorola, Inc. Coupling assembly for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US7762391B2 (en) * 2008-07-10 2010-07-27 Jager Todd G Conveyor chain
KR20110100936A (ko) * 2010-03-05 201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I383343B (zh) * 2010-05-21 2013-01-21 Wistron Corp 可提供顯示面板平面支撐之電子裝置
KR101148397B1 (ko) * 2010-08-17 2012-05-2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US20120110784A1 (en) * 2010-11-10 2012-05-10 Chia-Hao Hsu Portable device and hinge with a flexible tube
US8982542B2 (en) *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CN202009534U (zh) * 2011-01-20 2011-10-12 瀚斯宝丽显示科技(南京)有限公司 柔性线路板防折损加强结构
DE102011004200A1 (de) * 2011-02-16 2012-08-16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Nadellager mit bordlosem Innenring
US8804324B2 (en) * 2011-06-03 2014-08-12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overcenter assembly
US20120314399A1 (en) 2011-06-07 2012-12-13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oldable assembly
EP2546721B1 (en)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2546720B1 (en) * 2011-07-11 2018-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8711566B2 (en) * 2011-09-02 2014-04-29 Microsoft Corporation Expandable mobile device
EP2595029A1 (en) * 2011-11-15 2013-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a flexible display
KR101346146B1 (ko) * 2011-12-23 2013-12-31 주식회사 세네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용 힌지모듈
US8804349B2 (en) *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US9348362B2 (en) * 2013-02-08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portable terminal
GB2520271A (en) * 2013-11-13 2015-05-20 Nokia Corp A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n apparatus comprising a bendable portion
US10975603B2 (en) * 2014-06-12 2021-04-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display computing device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3783A1 (en) * 2009-09-14 2011-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terminal
KR20110028893A (ko) * 2009-09-14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JP2011119830A (ja) * 2009-12-01 2011-06-16 Sharp Corp 折畳み式携帯端末
US20120162876A1 (en) * 2010-12-23 2012-06-28 Pantech Co., Ltd. Mobile device
JP2012134971A (ja) * 2010-12-23 2012-07-12 Pantech Co Ltd 携帯端末機
US20120307423A1 (en) * 2011-06-03 2012-12-06 Microsoft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flexure assembl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70764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WO2018070778A1 (ko) * 2016-10-11 2018-04-19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KR20180040481A (ko) * 2016-10-11 2018-04-20 박현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힌지구조
KR20180119197A (ko) * 2017-04-24 2018-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157100B2 (en) 2017-04-24 2021-10-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KR20190092820A (ko) * 2018-01-31 2019-08-08 황종수 각 변환 가능한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패널
KR20190096026A (ko) * 2018-02-08 2019-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9182380A1 (ko) * 2018-03-21 2019-09-26 (주)파인테크닉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프레임 및 제조 방법
US11537173B2 (en) 2019-02-19 2022-1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14780B2 (en) 2019-02-19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62433B2 (en) 2019-02-19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nge module and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4010143A1 (ko) * 2022-07-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93832B1 (en) 2023-03-01
EP4170463A1 (en) 2023-04-26
WO2015030432A1 (en) 2015-03-05
US20230359246A1 (en) 2023-11-09
EP3693832A1 (en) 2020-08-12
CN108628406B (zh) 2021-09-03
US20210311525A1 (en) 2021-10-07
US11726528B2 (en) 2023-08-15
EP3039504B1 (en) 2020-06-10
KR101663728B1 (ko) 2016-10-07
CN108628406A (zh) 2018-10-09
CN105659187A (zh) 2016-06-08
US20150055287A1 (en) 2015-02-26
US11048302B2 (en) 2021-06-29
ES2810776T3 (es) 2021-03-09
EP3039504A4 (en) 2017-09-20
KR101995045B1 (ko) 2019-07-02
US9811119B2 (en) 2017-11-07
CN105659187B (zh) 2018-06-08
US20180024593A1 (en) 2018-01-25
KR20150024172A (ko) 2015-03-06
EP3039504A1 (en)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04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20190077292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345995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1971232B1 (ko) 접철식 기기
KR102014445B1 (ko) 착용형 기기
KR101921496B1 (ko) 케이스 장치
TWI479298B (zh) 可攜式電子裝置
US9750144B2 (en) Connecting system of multi-section housing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at connecting system
EP3282341A1 (en) Foldable device
US850893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486947Y1 (ko) 휴대폰 이동장치
KR100822694B1 (ko)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20190057567A (ko) 탄성력을 이용한 카메라 커버 장치
KR20050118909A (ko) 레일을 따라 가변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781590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슬림형 슬라이딩 타입휴대폰
KR20210016138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널 폴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16486698A (zh) 折叠式显示装置及其支撑组件
KR20110001623A (ko) 힌지 모듈
KR20110091237A (ko) 와이드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