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873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873A
KR20230071873A KR1020210157206A KR20210157206A KR20230071873A KR 20230071873 A KR20230071873 A KR 20230071873A KR 1020210157206 A KR1020210157206 A KR 1020210157206A KR 20210157206 A KR20210157206 A KR 20210157206A KR 20230071873 A KR20230071873 A KR 2023007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width
support plate
display pane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민
안성상
서태안
양태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에이유플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주)에이유플렉스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873A/ko
Priority to US17/888,575 priority patent/US11892881B2/en
Priority to CN202211410707.0A priority patent/CN116137116A/zh
Publication of KR2023007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상시 평탄 영역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하며 굴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굴곡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고 격자 패턴이 형성된 격자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직접 접하고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접 접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의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유기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표시 화면을 접거나, 구부리거나, 슬라이드 하는 등 표시 화면을 연장하거나 줄일 수 있어 표시 장치의 부피 감소 또는 디자인 변화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슬라이딩(sliding)형 기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하부 지지를 위해 모듈 하부에는 금속 재질의 지지 플레이트 및 다관절 구조가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관절에 의해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응력(stress)을 완화하고, 소자 신뢰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상시 평탄 영역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하며 굴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굴곡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고 격자 패턴이 형성된 격자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직접 접하고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접 접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의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제1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 배치되고 격자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복수의 관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관절의 경계면인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적어도,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부착되며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되,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격자 패턴과 비중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관절의 경계면인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저면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관절에 의해 표시 패널에 인가되는 응력을 완화하고, 소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지지 모듈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지지 모듈의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지지 모듈의 관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비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 굴곡된 표시 패널 및 관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 굴곡된 표시 패널 및 관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하", "좌" 및 "우"로 지칭되는 것들은 다른 소자와 바로 인접하게 개재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재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가 확장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 및 지지 모듈의 배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슬라이드가 가능한 슬라이딩(sliding) 표시 장치 또는 슬라이더블(slidable)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양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멀티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되는 싱글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멀티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 장치(1)는 3차원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는 직육면체 또는 그와 유사한 3차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표시 장치(1)의 제1 변(가로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표시 장치(1)의 제2 변(세로변)에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각각 표기하고 있다. 이하의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방향"은 그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양측을 향하는 방향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연장하는 양 "방향"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일측을 "방향 일측"으로, 타측을 "방향 타측"으로 각각 구분하여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이 일측, 그 반대 방향이 타측으로 지칭된다.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은 서로 수직이고, 제1 방향(DR1)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수직이며, 제2 방향(DR2) 및 제3 방향(DR3)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과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은 대체로 후술하는 패널 수납 용기(SD)의 표시 패널(PNL)을 노출하는 영역과 중첩한다. 표시 장치(1)의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은 패널 수납 용기(SD)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은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굴곡되어 있고, 표시 패널(PNL)이 상기 곡률 반경에 따라 굴곡되는 영역일 수 있다.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은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의 제1 방향(DR1)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의 제1 방향(DR1) 타측에는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이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의 제1 방향(DR1) 일측에는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은 후술하는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이 굴곡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은 후술하는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이 굴곡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은 표시 장치(1)가 확장됨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면적이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 및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 사이의 간격은 멀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PNL), 지지 모듈(2000), 및 패널 수납 용기(SD)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화면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양자점 발광층을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 또는 무기 반도체를 포함하는 무기 발광 소자를 이용하는 무기 발광 표시 패널 등 어떠한 종류의 표시 패널도 본 실시예의 표시 패널(PNL)로 적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플렉시블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모듈의 패널 수납 용기(SD) 내에서 부분적으로 롤링, 벤딩 또는 휘어질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제1 방향(DR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은 후술하는 지지 모듈(2000)의 제1 지지 부재(221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영역(PNL_1)과 제2 지지 부재(2220)에 의해 지지되는 제2 영역(PNL_2) 및 제3 지지 부재(2230)에 의해 지지되는 제3 영역(PNL_3)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의 제1 영역(PNL_1)은 슬라이딩 동작과 무관하게 평탄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상시 평탄 영역일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 및 제3 영역(PNL_3)은 롤링, 벤딩 또는 휘어져 있거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롤링, 벤딩 또는 휘어진 형상과 평탄한 형상이 바뀌는 굴곡 영역 또는 굴곡 가능 영역일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표시 패널(PNL)의 제3 방향(DR3) 일측 면은 화면을 표시하는 상면이고, 제3 방향(DR3) 타측 면은 지지 모듈(2000)이 배치되는 저면일 수 있다.
표시 패널(PNL)의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PNL)의 슬라이딩 여부 및 정도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_1), 제2 표시 영역(DA_2) 및 제3 표시 영역(DA_3)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_2) 및 제3 표시 영역(DA_3)의 유무 및 면적은 슬라이딩 여부 및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되지 않은 상태(이하, "제1 상태"로 지칭함)에서 표시 패널(PNL)은 제1 면적의 제1 표시 영역(DA_1)을 갖는다. 슬라이딩 상태(이하 "제2 상태"로 지칭함)에서 표시 영역은 제1 표시 영역(DA_1) 외에 확장된 제2 표시 영역(DA_2)및 제3 표시 영역(DA_3)을 더 포함한다.
제2 표시 영역(DA_2)은 표시 패널(PNL) 제2 영역(PNL_2)과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이 중첩되는 영역이고, 제3 표시 영역(DA_3)은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과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이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_2) 및 제3 표시 영역(DA_3)의 면적은 슬라이딩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표시 장치(1)가 최대로 슬라이딩 되었을 때, 제2 표시 영역(DA_2)은 제2 면적을, 제3 표시 영역(DA_3)은 제3 면적을 가지며, 표시 영역(DA)은 상기 제1 면적, 상기 제2 면적, 및 상기 제3 면적을 합친 제4 면적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4 면적은 표시 영역(DA)이 가질 수 있는 최대 면적이 될 것이다.
제1 표시 영역(DA_1)은 표시 패널(PNL)의 제1 영역(PNL_1)과 중첩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_2)은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제3 표시 영역(DA_3)은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표시 영역(DA_1)과 제2 표시 영역(DA_2)의 경계는 제1 영역(PNL_1)과 제2 영역(PNL_2)의 경계와 일치할 수 있고, 제1 표시 영역(DA_1)과 제2 표시 영역(DA_2)의 경계는 제1 영역(PNL_1)과 제3 영역(PNL_3)의 경계와 일치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PNL)은 서브 영역(SB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표시 패널(PNL) 제1 영역(PNL_1)의 제2 방향(DR2)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구부러지거나, 휘어지거나,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이 구부러지는 경우, 서브 영역(SBA)은 제3 방향(DR3)에서 제1 영역(PNL_1)과 중첩할 수 있다. 서브 영역(SBA)은 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브 영역(SBA)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제1 영역(PNL_1)의 제1 방향(DR1)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는, 서브 영역(SBA)의 제1 방향(DR1)의 길이는 제1 영역(PNL_1)의 제1 방향(DR1)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서브 영역(SBA)의 제2 방향(DR2)의 길이는 제1 영역(PNL_1)의 제2 방향(DR2)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서브 영역(SBA)의 제3 방향(DR3) 일측 면에는 구동 회로(DC)와 회로 보드(CB)가 배치될 수 있다. 회로 보드(CB)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서브 영역(SBA)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회로 보드(CB)는 서브 영역(SBA) 상에 형성된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회로 보드(CB)는 연성 인쇄 회로 보드(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인쇄 회로 보드(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칩 온 필름(Chip on Film)과 같은 연성 필름(Flexible Film)일 수 있다. 구동 회로(DC)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 형성되어 COG(Chip on Glass) 방식, COP(Chip on Plastic)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으로 서브 영역(SBA)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또는, 구동 회로(DC)는 회로 보드(CB)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지지 모듈(2000)은 표시 패널(PNL)의 저면에 부착되어 표시 패널(PNL)을 지지하고, 표시 패널(PNL)의 제1 방향(DR1)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모듈(2000)은 표시 패널(PNL)의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100)와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2210), 제2 지지 부재(2220), 및 제3 지지 부재(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모듈(20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패널 수납 용기(SD)는 표시 패널(PNL)과 지지 모듈(2000)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수납 용기(SD)는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을 포함하는 제1 굴곡부(SD_1),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을 포함하는 제2 굴곡부(SD_3), 제1 굴곡부(SD_1)와 제2 굴곡부(SD_3)를 연결하는 측벽부(SD_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SD_1), 제2 굴곡부(SD_3), 및 측벽부(SD_2)의 내부에는 레일이 형성되어 표시 패널(PNL)의 슬라이드 동작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 모듈(2000)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제3 방향에서 바라본 지지 모듈의 지지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지지 모듈의 관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지지 모듈(2000)은 표시 패널(PNL)의 저면에 배치되는 지지 플레이트(2100)와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1 지지 부재(2210), 제2 지지 부재(2220), 및 제3 지지 부재(2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표시 패널(PNL)의 저면을 지지하고, 표시 패널(PNL)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표시 패널(PNL)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기준으로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3 방향(DR3) 일측 면은 표시 패널(PNL)의 저면과 부착되는 상면이고, 제3 방향(DR3) 타측 면은 후술하는 제1 지지 부재(2210), 제2 지지 부재(2220), 및 제3 지지 부재(2230)와 부착되는 저면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표시 패널(PNL)과 지지 플레이트(2100)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되어 표시 패널(PNL)과 지지 플레이트(210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표시 패널(PNL)의 거동에 따라 표시 장치(1) 내부에서 굴곡 되거나 슬라이드 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SUS340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표시 패널(PNL)의 프로파일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3 방향(DR3)의 폭(이하 '두께'라 칭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표시 패널(PNL)의 거동에 따라 굴곡 가능하도록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2100)의 두께는 0.05mm 내지 0.3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플레이트(2100)는 평판 지지 영역(2110),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은 격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고,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격자 패턴이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두께는 지지 플레이트(2100)의 각 영역에서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평판 지지 영역(2110)에서 지지 플레이트(2100)의 두께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에서 지지 플레이트(2100)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은 표시 패널(PNL)의 제1 영역(PNL_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평판 지지 영역(2110)은 표시 패널(PNL)의 제1 영역(PNL_1)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평판 지지 영역(2110)의 평면상 형상은 제1 영역(PNL_1)의 평면상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지지 영역(2110)의 평면상 형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유사한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은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은 제2 영역(PNL_2)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은 평판 지지 영역(2110)의 제1 방향(DR1)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은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이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에서 굴곡 되는 경우, 제2 영역(PNL_2)과 함께 굴곡 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제3 영역(PNL_3)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평판 지지 영역(2110)의 제1 방향(DR1)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이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에서 굴곡되는 경우, 제3 영역(PNL_3)과 함께 굴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은 격자 패턴이 형성된 복수의 격자 패턴 영역(LPR)과 격자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복수의 관절 부착 영역(ADR)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격자 패턴 영역(LPR)과 복수의 관절 부착 영역(ADR)은 번갈아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접하는 격자 패턴 영역(LPR) 사이에 관절 부착 영역(ADR)이 배치되고, 인접하는 관절 부착 영역(ADR) 사이에 격자 패턴 영역(LPR)이 배치될 수 있다.
격자 패턴 영역(LPR)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굴곡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격자 패턴 영역(LPR)은 지지 플레이트(2100)를 제3 방향(DR3)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SL)들이 이격 배치되어 이루어진 격자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슬릿(SL)은 제2 방향(DR2)의 장변을 가지고 제1 방향(DR1)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격자 패턴 영역(LPR)의 슬릿(SL)의 폭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이 굴곡되지 않은 경우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굴곡되는 경우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굴곡되는 부분에서 격자 패턴 영역(LPR)의 슬릿(SL)의 폭이 커질 수 있다. 즉,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굴곡되는 경우, 슬릿(SL)의 폭이 증가하여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늘어날 수 있으므로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의 굴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관절 부착 영역(ADR)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의 저면에 후술할 제2 지지 부재(2220) 및 제3 지지 부재(2230)의 관절(SG)이 부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관절 부착 영역(ADR)에는 슬릿(SL)이 배치되지 않아 평평한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210)는 평판 지지 영역(2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210)는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210)의 평면상 형상은 제1 영역(PNL_1)의 평면상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2210)의 평면상 형상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또는 직사각형과 유사한 평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지지 부재(2210)의 제3 방향(DR3) 타측에는 에어 갭(air gap)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2210) 하부에 상기 에어 갭이 형성됨으로써 표시 패널(PNL)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 갭은 표시 패널(PNL)의 제1 영역(PNL_1)에서 사용자의 펜(pen)과 같은 물체가 떨어지는 경우, 이에 따른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 부재(2210)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의 저면은 상기 에어 갭에 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 플레이트(2100)의 평판 지지 영역(2110)의 제3 방향(DR3) 타측에 상기 에어 갭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220)는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220)는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의 관절 부착 영역(ADR)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220)는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과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2230)는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2230)는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의 관절 부착 영역(ADR)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2230)는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과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지지 부재(2220) 및 제3 지지 부재(2230)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관절(SG)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지지 부재(2220)는 표시 패널(PNL)의 제2 영역(PNL_2) 및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에 중첩 배치되는 복수의 관절(SG)의 집합일 수 있고, 제3 지지 부재(2230)는 표시 패널(PNL)의 제3 영역(PNL_3) 및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에 중첩 배치되는 복수의 관절(SG)의 집합일 수 있다.
관절(SG)은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의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저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착부(SGa)와 부착부(SGa)의 하부에 배치된 몸통부(SG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착부(SGa)는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의 관절 부착 영역(ADR)과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관절(SG)은 격자 패턴 영역(LPR)과 비중첩하고 관절 부착 영역(ADR)과 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부착부(SGa)와 몸통부(SG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SGa)는 관절(SG)이 지지 플레이트(2100)에 부착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통부(SGb)는 관절(SG)의 강성을 보충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관절(SG)의 제1 방향(DR1)의 폭은 제3 방향(DR3)을 따라, 다시 말해 표시 패널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불연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은 몸통부(SGb)의 제1 방향(DR1) 폭(SGb_w)보다 작을 수 있다. 부착부(SGa)가 부착되는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제1 방향(DR1) 폭은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은 0.2mm 내지 1.5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부착부(SG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 폭(SGa_w)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고, 몸통부(SGb)는 제1 방향(DR1) 폭(SGb_w)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부착부(SGa)가 몸통부(SGb)의 중앙으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관절(SG)의 평면상 형상은 '철(凸)'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기준으로 관절(SG)의 제3 방향(DR3) 일측 끝단면은 지지 플레이트(2100)의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저면과 직접 접촉하는 상면이고, 제3 방향(DR3) 타측 끝단면은 상기 저면과 제3 방향(DR3)으로 대향하는 저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절(SG)의 상기 상면은 부착부(SGa)의 제3 방향(DR3) 일측 면(이하 '상면'이라 지칭함)과 동일하며, 관절(SG)의 상기 저면은 몸통부(SGb)의 제3 방향(DR3) 타측 면(이하 '저면'이라 지칭함)과 동일할 수 있다. 관절(SG)은 SUS304 등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절(SG)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방향(DR1)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관절(SG)이 이격되는 거리는 관절(SG)의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관절(SG)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관절(SG)의 몸통부(SGb)간 이격 거리는 복수의 관절(SG)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관절(SG)의 부착부(SGa)간 이격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관절(SG)의 몸통부(SGb)는 제1 방향(DR1)의 제1_1 폭(W_1a)으로 이격되고, 인접하는 관절(SG)의 부착부(SGa)는 제1 방향(DR1)의 제1_2 폭(W_1b)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_1 폭(W_1a)은 제1_2 폭(W_1b)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제1_2 폭(W_1b)은 격자 패턴 영역(LPR)의 제1 방향(DR1)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관절(SG)의 형상으로서,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제1 방향(DR1) 폭이 좁게 형성되어 격자 패턴 영역(LPR)의 제1 방향(DR1) 폭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에 격자 패턴 영역(LPR)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져 제1 패턴 지지 영역(2120) 및 제2 패턴 지지 영역(2130)이 더욱 효과적으로 굴곡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굴곡된 표시 패널(PNL)의 동작을 용이하게 보조하여 표시 패널(PNL)에 가해지는 응력을 줄이고 표시 장치(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관절(SG)의 몸통부(SGb)의 제1 방향(DR1) 폭(SGb_w)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제1 방향(DR1) 폭(SGa_w)이 좁은 부착부(SGa)의 부족한 강성을 보강할 수 있어 관절(SG)이 표시 패널(PNL)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됨에 따라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제1 방향(DR1) 폭이 좁게 형성되어 관절(SG)이 지지 플레이트(2100)에 부착되는 부착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줄어든 상기 부착 면적에 대응하여 접착력을 높여 지지 플레이트(2100)로부터 관절(SG)이 이탈되지 않도록 기구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관절(SG)과 지지 플레이트(2100)는 그 사이에 별도의 접착층이 개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2100)가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2100)의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저면과 관절(SG)의 상면을 용접하여 지지 플레이트(2100)와 관절(SG)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지지 플레이트(2100)가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2100)의 관절 부착 영역(ADR)의 저면과 관절(SG)의 상면에 열을 가해 열경화하여 지지 플레이트(2100)와 관절(SG)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100)와 관절(SG)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관절(SG)은 지지 플레이트(2100)의 제3 방향(DR3) 타측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지지 플레이트(2100)와 관절(SG)의 경계는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의 지지 플레이트(2100) 및 관절(SG)의 거동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비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 굴곡된 표시 패널 및 관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장치 굴곡 영역에서 굴곡된 표시 패널 및 관절의 형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관절(SG)은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제2_1 폭(W_2a)을 가지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1)에서의 관절(SG)의 거동과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에서의 관절(SG)의 거동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표시 패널(PNL)이 굴곡되는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는 복수의 관절(SG)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관절(SG)의 몸통부(SGb) 이격 거리가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에서 보다 더 좁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에서 관절(SG)의 몸통부(SGb)의 제1 방향(DR1) 폭(SGb_w)이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보다 상대적으로 큼에 따라 인접하는 관절(SG)의 몸통부(SGb) 사이의 이격거리인 제1_1 폭(W_1a)은 인접하는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이격거리인 제1_2 폭(W_1b)보다 좁을 수 있다. 그런데, 표시 장치(1)가 슬라이드 되어 관절(SG)이 표시 장치 평탄 영역(PA)에서 제2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_2)으로 이동하는 경우, 인접하는 관절(SG)의 몸통부(SGb) 사이의 이격거리는 제2_1 폭(W_2a)으로 변경되고, 제2_1 폭(W_2a)은 제1_1 폭(W_1a)보다 좁을 수 있다.
만약, 관절(SG)의 몸통부(SGb)의 제1 방향(DR1) 폭(SGb_w)이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보다 좁게 형성되는 경우, 제1_1 폭(W_1a) 및 제2_1 폭(W_2a)이 필요 이상으로 넓어지게 되어 관절(SG)의 이동 자유도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므로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관절(SG)이 뒤틀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절(SG)의 뒤틀림에 의해 표시 패널(PNL)에 응력이 추가로 부가되므로 표시 장치(1)의 신뢰성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관절(SG)의 몸통부(SGb)의 제1 방향(DR1) 폭(SGb_w)이 관절(SG)의 부착부(SGa)의 제1 방향(DR1) 폭(SGa_w)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관절(SG)의 이동 자유도를 조절하여 관절(SG)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비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관절(SG`)은 표시 패널(PNL)의 저면에 부착되는 관절(SG`)의 상면의 제1 방향(DR1) 폭이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의 제1 방향(DR1) 폭보다 크게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와 차이가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는 지지 플레이트(2100)를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비교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SG`)의 상면의 제1 방향(DR1) 폭이 상대적으로 넓어짐에 따라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국부 곡률부가 형성되어 표시 패널(PNL)에 가해지는 응력이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표시 패널(PNL)은 전체적으로 제1 곡룰(K1)을 가질 수 있으나, 인접하는 관절(SG`) 사이에 제2 곡룰(K2)을 가지는 국부 곡률부가 형성되어 표시 패널(PNL)에 가해지는 응력이 증가할 수 있다. 제2 곡룰(K2)은 제1 곡룰(K1)의 3배 이상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SG)의 상면의 제1 방향(DR1) 폭이 상대적으로 좁음에 따라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인접하는 관절(SG) 사이에 국부 곡률부가 형성되지 아니하므로 국부 곡률부에 의해 표시 패널(PNL)에 가해지는 응력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칭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의 관절(SG1)은 제1 방향(DR1)의 폭이 제3 방향(DR3)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의 관절(SG1)의 평면상 형상은 윗변의 폭이 좁고 아랫변의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SG1)은 지지 플레이트(2100)의 관절 부착 영역(ADR)과 직접 접촉하는 상면(SG1a)과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SG1b)을 가지고 상면의 제1 방향(DR1)의 폭(SG1a_w)은 저면의 제1 방향(DR1)의 폭(SG1b_w)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관절(SG1)의 저면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1 폭(W1_1a)은 인접하는 관절(SG1)의 상면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2 폭(W1_1b)보다 좁을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인접하는 관절(SG1)의 저면은 제2_1 폭(W1_2a)의 이격거리로서 이격될 수 있다. 제2_1 폭(W1_2a)은 제1_1 폭(W1_1a)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SG1)의 형상은 단면이 사다리꼴인 사각 기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절(SG1)의 가공이 비교적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의 관절(SG2)은 제1 방향(DR1)의 폭이 제3 방향(DR3)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증감 폭이 불연속적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의 관절(SG2)의 평면상 형상은 '십(十)'자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SG2)은 몸통부(SG2b) 하부의 돌출부(SG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는 몸통부(SG2b)의 중앙으로부터 제3 방향(DR3) 타측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돌출부의 제1 방향(DR1) 폭(SG2c_w)은 몸통부(SG2b)의 제1 방향(DR1) 폭(SG2b_w)보다 좁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SG2c)의 제1 방향(DR1) 폭(SG2c_w)은 부착부(SG2a)의 제1 방향(DR1) 폭(SG2a_w)과 같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몸통부(SG2b)의 제1 방향(DR1) 폭(SG2b_w)은 부착부(SG2a)의 제1 방향(DR1) 폭(SG2a_w) 및 돌출부의 제1 방향(DR1) 폭(SG2c_w)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관절(SG2)의 몸통부(SG2b)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1 폭(W2_1a)은 인접하는 관절(SG2)의 부착부(SG2a)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2 폭(W2_1b)보다 좁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SG2)에는 돌출부(SG2c)가 추가되어 관절(SG2)의 강성이 추가적으로 보강될 수 있으므로, 몸통부(SG2b)의 제1 방향(DR1) 폭(SG2b_w)을 실시예에 따라 줄일 수도 있다.
한편,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인접하는 관절(SG2)의 몸통부(SG2b)는 제2_1 폭(W2_2a)의 이격거리로서 이격될 수 있다. 제2_1 폭(W2_2a)은 제1_1 폭(W2_1a)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과 지지 모듈의 적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3)의 관절(SG3)은 제1 방향(DR1)의 폭이 제3 방향(DR3)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증가하다가 감소하되, 증감 폭이 연속적일 수 있음을 예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3)의 관절(SG3)의 평면상 형상은 사각형의 모서리가 둥근 형상, 다시 말해 타원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절(SG3)은 최소의 제1 방향(DR1) 폭(SG3a_w)을 가지고 지지 플레이트(2100)의 관절 부착 영역(ADR)과 직접 접하는 가장자리부(SG3a)와 최대의 제1 방향(DR1) 폭(SG3b_w)을 가지는 중앙부(SG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관절(SG3)의 중앙부(SG3b)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1 폭(W3_1a)은 인접하는 관절(SG2)의 가장자리부(SG3a) 사이의 이격 거리인 제1_2 폭(W3_1b)보다 좁을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SG3)의 형상은 단면이 타원과 유사한 기둥일 수 있다.
한편, 표시 장치 굴곡 영역(RA)에서 인접하는 관절(SG3)의 중앙부(SG3b)는 제2_1 폭(W3_2a)의 이격거리로서 이격될 수 있다. 제2_1 폭(W3_2a)은 제1_1 폭(W3_1a)보다 작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PNL: 표시 패널
SG: 관절
LPR: 격자 패턴 영역
ADR: 관절 부착 영역
2000: 지지 모듈
2100: 지지 플레이트
2110: 평판 지지 영역
2120: 제1 패턴 지지 영역
2130: 제2 패턴 지지 영역
2210: 제1 지지 부재
2220: 제2 지지 부재
2230: 제3 지지 부재

Claims (20)

  1.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상시 평탄 영역에 제1 방향으로 인접하며 굴곡 가능하도록 구성된 굴곡 가능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을 지지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상시 평탄 영역 및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고 격자 패턴이 형성된 격자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에 직접 접하고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저면과 직접 접하는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상시 평탄 영역과 중첩하는 평판 지지 영역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굴곡 가능 영역에 중첩하는 패턴 지지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패턴 지지 영역은 상기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복수의 격자 패턴 영역 및 상기 복수의 격자 패턴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관절 부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은 상기 격자 패턴 영역과 비중첩하고 상기 관절 부착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는 0.05mm 내지 0.3mm의 범위를 가지는 표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인접한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 하부에 배치된 몸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관절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관절의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과 동일한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의 상기 몸통부는 제1_1 폭으로 이격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제1_1 폭보다 넓은 제1_2 폭으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의 상기 몸통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굴곡 가능 영역이 굴곡되는 영역에서 상기 제1_1 폭보다 좁은 제2_1 폭으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0.2mm 내지 1.5mm의 범위를 가지는 표시 장치.
  10.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제1 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을 지지하며,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제1 방향의 슬라이딩 동작을 보조하는 지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 모듈은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에 중첩 배치되고 격자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하는 제3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복수의 관절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관절의 경계면인 상면 및 상기 상면과 상기 제3 방향으로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 패턴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관절은 상기 격자 패턴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는 0.05mm 내지 0.3mm의 범위를 가지는 표시 장치.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인접한 부착부 및 상기 부착부 하부에 배치된 몸통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착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관절의 상기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과 동일하고, 상기 몸통부의 상기 제1 방향의 폭은 상기 관절의 상기 저면의 상기 제1 방향의 폭과 동일한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관절의 상기 몸통부간 이격 거리는 상기 복수의 관절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관절의 상기 부착부간 이격 거리보다 짧은 표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 중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관절의 상기 몸통부간 이격 거리는 상기 표시 패널이 굴곡되지 않는 영역보다 상기 표시 패널이 굴곡되는 영역에서 더 좁은 표시 장치.
  17.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상기 제2 방향의 일측에 배치되는 서브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중첩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관절은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중첩 배치되는 표시 장치.
  1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저면 상에 부착되며 격자 패턴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돌출되고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관절을 포함하되,
    상기 관절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격자 패턴과 비중첩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관절의 경계면인 상면 및 상기 상면과 대향하는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면의 폭은 상기 저면의 폭보다 좁은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금속 또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두께는 0.05mm 내지 0.3mm의 범위를 가지는 표시 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절의 상기 저면은 제1_1 폭으로 이격되고 상기 복수의 관절의 상기 상면은 상기 제1_1 폭보다 넓은 제1_2 폭으로 이격되는 표시 장치.
KR1020210157206A 2021-11-16 2021-11-16 표시 장치 KR20230071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06A KR20230071873A (ko) 2021-11-16 2021-11-16 표시 장치
US17/888,575 US11892881B2 (en) 2021-11-16 2022-08-16 Display device
CN202211410707.0A CN116137116A (zh) 2021-11-16 2022-11-11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206A KR20230071873A (ko) 2021-11-16 2021-11-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873A true KR20230071873A (ko) 2023-05-24

Family

ID=86324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206A KR20230071873A (ko) 2021-11-16 2021-11-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92881B2 (ko)
KR (1) KR20230071873A (ko)
CN (1) CN116137116A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180B2 (ja) * 2006-07-24 2009-09-09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201928B1 (ko) * 2014-06-24 2021-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장치 및 그의 접이 장치
KR20190006101A (ko) * 2014-10-28 2019-01-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장치
CN104714699A (zh) * 2015-04-13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柔性显示装置
KR102533171B1 (ko) * 2016-03-11 2023-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95848B1 (ko)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12041B1 (ko) * 2016-12-30 2023-12-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421304B1 (ko) 2017-09-18 2022-07-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지지 부재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389189B1 (ko) 2017-11-29 2022-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가능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13053250B (zh) * 2017-12-28 2022-10-04 乐金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器
KR20200099054A (ko) 2019-02-12 2020-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10007773A (ko) 2019-07-12 2021-0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슬라이더블 전자 장치
CN110853520B (zh) * 2019-11-28 2022-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支撑件、显示装置
CN114023196A (zh) * 2021-11-22 2022-02-0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92881B2 (en) 2024-02-06
CN116137116A (zh) 2023-05-19
US20230152857A1 (en)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0668B2 (en) Display device
KR10217895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1412614B2 (en) Display device
KR20230086005A (ko) 패널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20200079956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223834A1 (en) Display panel
JP2019139072A (ja) 表示装置および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CN107808863B (zh) 阵列基板及显示面板
KR20230071873A (ko) 표시 장치
US2023017661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sliding display panel
KR20210083930A (ko) 폴더블 표시 장치
JP2014145843A (ja) 画像表示装置
US11846995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support module having joints
KR20220001808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용 지지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30403806A1 (en) Display device
CN114333628B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作方法
TWI581221B (zh) 顯示模組支撐組件
KR20240034903A (ko) 지지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97235A (ko) 표시 장치
US11357118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40042315A (ko) 표시 장치
KR20230116130A (ko) 표시 장치
WO2022193319A9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20240010607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30097671A (ko) 폴더블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