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861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8612A
KR20220168612A KR1020210078037A KR20210078037A KR20220168612A KR 20220168612 A KR20220168612 A KR 20220168612A KR 1020210078037 A KR1020210078037 A KR 1020210078037A KR 20210078037 A KR20210078037 A KR 20210078037A KR 20220168612 A KR20220168612 A KR 20220168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sliding
housing
fold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미
김동현
박옥경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68612A/ko
Priority to US17/579,911 priority patent/US11789498B2/en
Priority to CN202210318761.6A priority patent/CN115482722A/zh
Publication of KR20220168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86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1 비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폴딩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확장 시 노출 면적이 증가하는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하우징, 하우징에 결합되어 하우징을 폴딩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부재, 및 표시 패널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하우징은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표시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형 전자 기기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 구부리거나, 접거나, 말 수 있는 가요성 표시 패널을 적용한 벤더블 표시 장치, 폴더블 표시 장치, 롤러블 표시 장치,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 및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언폴딩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폴딩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확장 시 노출 면적이 증가하는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폴딩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노출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힌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폴딩 부재에 결합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 면의 반대면이 배면 상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각 제2 지지 부재가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롤러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롤러 부재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 중 상기 롤러 부재와 접하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간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광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센서 모듈은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센싱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두께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 갈수록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슬라이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기판은 복수의 섬형 패턴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섬형 패턴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폴딩되며 슬라이딩 비확장된 제1 상태,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비확장된 제2 상태, 및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확장된 제3 상태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한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갈수록 상기 롤러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간의 간격이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광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센서 모듈은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센싱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지시 방향은 상기 롤러 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변화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언폴딩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하우징의 외부 개구부에 플레이트 부재가 노출되도록 하여 표시 패널을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언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언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Q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폴딩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언폴딩된 상태 및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언폴딩된 상태 및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Q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3은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슬라이딩 비확장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IX'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 또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재의 면들을 지칭함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방향으로 면하는 일면을 상면으로 지칭하고, 상기 일면의 반대면을 하면으로 지칭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부재의 상기 일면 및 상기 타면은 각각 전면 및 배면으로 지칭되거나, 제1 면 또는 제2 면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언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언폴딩된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Q1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에서 폴딩 영역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평면상에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DD)는 평면상에서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양 단변들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양 장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 장치(DD)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에는 복수의 화소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DD)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예를 들어, 블랙 매트릭스와 같은 차광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영역(DA)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고,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의 4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폴딩 또는 언폴딩이 가능한 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슬라이딩 확장 또는 비확장이 가능한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는 최대로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져 노출되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이 최대인 상태를 의미하고,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는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서, 노출되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이 최소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DP), 표시 패널(DP)을 감싸는 하우징(HS), 폴딩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 부재(HG)와 폴딩 부재(FM) 및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부재(SM)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은 제1 하우징(HS1), 제2 하우징(HS2) 및 제3 하우징(HS3)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부재(SM)는 롤러 부재(RL), 제1 지지 부재(SM1), 제2 지지 부재(SM2) 및 제3 지지 부재(SM3)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슬라이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폴딩 또는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폴딩 영역은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폴딩 또는 벤딩되지 않고 편평함 또는 평탄함을 유지하는 영역일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은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및 비확장 동작 시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제2 방향(Y)으로 배열되고, 폴딩 영역(F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폴딩 영역(FA)의 제2 방향(Y) 타측에 배치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폴딩 영역(FA)의 제2 방향(Y)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제2 방향(Y)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영역(S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사이에 두고 폴딩 영역(FA)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연결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폴딩 또는 언폴딩 동작이 일어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과 제1 비폴딩 영역(NFA1)은 약 18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과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의 합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의 일측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연결되고, 타측은 후술하는 제3 지지 부재(SM3)에 결합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은 표시 장치(DD)의 제2 방향(Y) 타측 단부에서 벤딩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 영역(SA)의 표시면이 향하는 방향은 표시 장치(DD)의 제2 방향(Y) 타측 단부에서 반전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의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연결되는 부분의 표시면은 대체로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의 제3 지지 부재(SM3)에 결합되는 부분의 표시면은 대체로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슬라이딩 영역(SA)의 제3 지지 부재(SM3)에 결합되는 부분은 제1 하우징(HS1)의 제1 개구부(OP1)에 의해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영역(SA)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확장되면 슬라이딩 영역(SA)과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은 감소하고,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비확장되면 슬라이딩 영역(SA)과 제1 비폴딩 영역(NFA1)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은 증가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폴딩 시,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슬라이딩 영역(SA)에 중첩하도록 폴딩되거나,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슬라이딩 영역(SA)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벤딩되거나, 편평하게 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DD)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슬라이딩 영역(SA)에 대하여 약 0°초과 180°미만의 각도를 이루도록 폴딩되거나, 약 180°의 각도를 이루도록 언폴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언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폴딩 영역(FA)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편평하게 펼쳐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상호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적어도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상호 중첩되거나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의 폴딩 영역(FA) 및 2개의 비폴딩 영역(NFA1, NFA2)이 예시되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NFA1, NFA2)의 개수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를 구성하는 부재들 역시 이들이 배치되는 영역에 따라 각각 폴딩 영역(FA) 및/또는 비폴딩 영역(NFA1, NFA2)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폴딩 영역(FA)은 표시 패널(DP)이 폴딩되어 폴딩 영역(FA)에서 부분적으로 연신될 때, 함께 연신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패널(DP)은 폴딩 영역(FA)에서 스트레쳐블한 구조를 갖는 기판(SUB)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서 기판(SUB)은 복수의 섬형 패턴(IS)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섬형 패턴(IS)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BR)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기판(SUB)은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기판(SUB)을 구성하는 물질이 전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 배치된 기판(SUB)은 아일랜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서 기판(SUB)은 복수의 섬형 패턴(IS) 및 서로 이웃하는 섬형 패턴(IS)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BR)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이웃한다는 것은 일 섬형 패턴(IS)과 최단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른 섬형 패턴(IS)과의 관계를 의미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에서, 복수의 섬형 패턴(IS)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섬형 패턴(IS)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섬형 패턴(IS)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브릿지 패턴(BR)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각 섬형 패턴(IS)은 절개부(SLT)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절개부(SLT)는 평면도상 섬형 패턴(IS) 및 브릿지 패턴(BR)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절개부(SLT)는 기판(SUB)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절개부(SLT)에는 기판(SUB)을 구성하는 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기판(SUB) 구성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절개부(SLT)는 기판(SUB)의 구성 물질로 채워져 있는 부분보다 신축에 대해 그 폭이 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기판(SUB)이 부분적으로 신축할 때 절개부(SLT)에 의해 손쉽게 신축됨으로써, 기판(SUB)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각 섬형 패턴(IS)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의 언폴딩 상태의 섬형 패턴(IS)은 네 모서리가 제1 방향(X) 일측, 타측 및 제2 방향(Y) 일측, 타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섬형 패턴(IS)의 형상은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의 형상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섬형 패턴(IS)을 연결하는 브릿지 패턴(BR)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 섬형 패턴(IS)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 등의 화소(PX)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각 섬형 패턴(IS) 상에는 하나의 화소(PX)가 배치될 수 있다. 일 화소(PX)는 복수의 서브 화소(SPX1, SPX2, SPX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SPX1, SPX2, SPX3)는 제1 서브 화소(SPX1), 제2 서브 화소(SPX2) 및 제3 서브 화소(SPX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화소(SPX1) 및 제2 서브 화소(SPX2)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제3 서브 화소(SPX3)는 제1 서브 화소(SPX1) 및 제2 서브 화소(SPX2)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소(SPX1)는 적색 화소이고, 제2 서브 화소(SPX2)는 청색 화소이고, 제3 서브 화소(SPX3)는 녹색 화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각 브릿지 패턴(BR) 상에는 화소에 구동 전압, 데이터 신호, 스캔 신호 등을 공급하기 위한 각종 배선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브릿지 패턴(BR) 상에는 스캔 배선 및 데이터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이 폴딩되어 기판(SUB)이 연신되는 경우, 서로 이웃하는 섬형 패턴(IS) 사이의 간격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이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축(FX1) 및 제2 회전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기판(SUB)이 제2 방향(Y) 일측 및 타측으로 연신되는 경우, 각 섬형 패턴(IS)은 약 45 °만큼 회전하여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이웃하여 배치된 섬형 패턴(IS) 간의 간격은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섬형 패턴(IS)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섬형 패턴(IS)의 폭 및 높이는 증가 또는 감소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섬형 패턴(IS) 상에 배치되는 화소의 구조도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표시 패널(DP)이 폴딩되어 기판(SUB)이 연신되는 경우, 섬형 패턴(IS)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BR)이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이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1 회전축(FX1) 및 제2 회전축(FX2)을 기준으로 폴딩되어 기판(SUB)이 제2 방향(Y) 일측 및 타측으로 연신되는 경우,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브릿지 패턴(BR)은 일부 연신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브릿지 패턴(BR)은 휘어질 수 있다.
복수의 섬형 패턴(IS) 및 복수의 브릿지 패턴(BR)을 포함하는 기판(SUB)을 통해 표시 패널(DP)의 폴딩 시 섬형 패턴(IS)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발광 소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표시 패널(DP)의 구조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 시,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은 적어도 일부가 연신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표시 장치(DD)가 언폴딩된 제1 상태, 표시 장치(DD)가 폴딩된 제2 상태 및 표시 장치(DD)의 언폴딩된 상태에서 표시 장치(DD)의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된 제3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상기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자유롭게 전환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이고, 제2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고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하나의 평면 상에 나란히 배치되나 상기 제1 상태와 대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이 증가한 상태일 수 있다.
제1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은 완전히 외부에 노출되되 슬라이딩 영역(SA)은 최소한의 면적만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제2 상태는 표시 영역(DA)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제3 상태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은 완전히 외부에 노출되며 슬라이딩 영역(SA)이 최대한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슬라이딩 영역(SA)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슬라이딩 영역(SA)을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제2 하우징(HS2)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은 제1 하우징(HS1)이 제2 방향(Y)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제1 하우징(HS1)과 제2 하우징(HS2)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의 크기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확장되어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이 증가하면 제1 하우징(HS1)과 제2 하우징(HS2)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은 감소하고,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비확장되어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이 감소하면 제1 하우징(HS1)과 제2 하우징(HS2)이 중첩하는 영역의 면적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제1 하우징(HS1)이 둘러싸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과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의 비율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확장되면, 제1 하우징(HS1)이 둘러싸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의 비율은 증가하고, 제1 하우징(HS1)이 둘러싸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의 비율은 감소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비확장되면, 제1 하우징(HS1)이 둘러싸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의 비율은 감소하고, 제1 하우징(HS1)이 둘러싸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의 비율은 증가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확장되면, 제2 하우징(HS2)은 제1 개구부(OP1)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반대로,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슬라이딩 비확장되면, 제2 하우징(HS2)은 제1 개구부(OP1)와 가까워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와 제2 하우징(HS2) 간의 거리(a1)는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와 제2 하우징(HS2) 간의 거리(a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개구부(OP1)와 제2 하우징(HS2) 간의 거리(a1, a2)는 제1 개구부(OP1)를 정의하는 제1 하우징(HS1)의 에지 및 제2 하우징(HS2) 에지 간의 최소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서 제1 하우징(HS1)이 제2 하우징(HS2)을 덮으며 배치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하우징(HS2)이 제1 하우징(HS1)을 덮으며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HS1)은 표시 장치(DD)의 배면에서 표시 패널(DP)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구부(OP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 타원형 또는 다른 다격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을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는 후술하는 제3 지지 부재(SM3)를 부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에 의해 노출되는 영역은 제3 지지 부재(SM3)일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은 롤러 부재(RL)와 결합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 하우징(HS1)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롤러 부재(RL)도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힌지 부재(HG)의 제2 방향(Y)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힌지 부재(HG)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제2 방향(Y) 일측이 힌지 부재(HG)의 제2 방향(Y)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제1 하우징(HS1)과 힌지 부재(HG)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HS3)은 주로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HS3)은 힌지 부재(HG)의 제2 방향(Y)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HS3)은 힌지 부재(HG)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하우징(HS3)은 제2 방향(Y) 타측이 힌지 부재(HG)의 제2 방향(Y)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하우징(HS3)은 제1 하우징(HS1) 및 제2 하우징(HS2)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제1 하우징(HS1)의 가장자리는 표시 장치(DD)의 가장자리를 이루는 제3 하우징(HS3)의 가장자리와 정렬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주로 폴딩 영역(FA)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제2 하우징(HS2)과 제3 하우징(HS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 부재(HG)는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제1 회전축(FX1) 및 제2 회전축(FX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축(FX1) 및 제2 회전축(FX2)은 제2 방향(Y)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 하우징(HS2)은 힌지 부재(HG)의 제1 회전축(FX1)을 기준으로 회전하고, 제3 하우징(HS3)은 힌지 부재(HG)의 제2 회전축(FX2)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 부재(HG)는 기계식 힌지 및 탄성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힌지 부재(HG)는 힌지, 샤프트, 로터 및 캠 등과 같은 표시 장치(DD)를 폴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폴딩 부재(FM)는 표시 패널(DP)의 폴딩 영역(FA)의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폴딩 부재(FM)는 힌지 부재(HG)가 폴딩될 때 함께 폴딩될 수 있다. 폴딩 부재(FM)의 제2 방향(Y) 타측은 제1 지지 부재(SM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는 표시 패널(DP)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는 실질적으로 제1 비폴딩 영역(NFA1) 전체를 커버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지지 부재(SM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을 부분적으로 커버할 수도 있다. 제1 지지 부재(SM1)의 제2 방향(Y) 일측은 폴딩 부재(FM)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SM2)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SM2)는 복수개일 수 있다. 각 제2 지지 부재(SM2)는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적어도 일부는 롤러 부재(RL)를 둘러싸며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롤러 부재(RL)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적어도 일부는 롤러 부재(RL)와 접할 수 있다. 각각이 막대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는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 시 슬라이딩 부재(SM)에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각 제2 지지 부재(SM2)는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각 제2 지지 부재(SM2) 사이에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을 노출하는 트렌치(TR)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제1 지지 부재(SM1)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2 지지 부재(SM2)는 제1 지지 부재(SM1)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제3 지지 부재(SM3)와 가장 가까이 배치된 제2 지지 부재(SM2)는 제3 지지 부재(SM3)와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1 지지 부재(SM1) 간의 거리는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증가하고,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1 지지 부재(SM1) 간의 거리는 제1 거리(d1)를 갖고, 표시 장치(DD)가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복수의 제2 지지 부재(SM2) 중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1 지지 부재(SM1) 간의 거리는 제1 거리(d1)보다 큰 제2 거리(d2)를 가질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는 제2 지지 부재(SM2)와 힌지 부재(HG) 사이에 배치되며,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제2 방향(Y)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3 지지 부재(SM3)는 제1 하우징(HS1)의 제1 개구부(OP1)에 의해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의 두께(t1)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두께(t3)보다 크고, 제2 지지 부재(SM2)의 두께(t2)보다 클 수 있다. 제3 지지 부재(SM3)의 두께(t1)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두께(t3)와 제2 지지 부재(SM2)의 두께(t2)의 합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3 지지 부재(SM3)의 두께(t1)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두께(t3)와 제2 지지 부재(SM2)의 두께(t2)의 합보다 작거나 클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지지 부재(SM1, SM2, SM3)는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내지 제3 지지 부재(SM1, SM2, SM3)는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일부만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폴딩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 폴딩될 수 있다. 상기 인 폴딩은 표시 패널(DP)의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폴딩되고, 표시 영역(DA)은 표시 장치(DD)의 외장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우징에 의해 둘러 싸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표시면이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표시면 및 슬라이딩 영역(SA)의 표시면과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 폴딩 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의 일부가 표시 영역(DA)의 다른 일부와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폴딩되고, 표시 영역(DA)은 외부로 노출되어 표시 장치(DD)의 외장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인 폴딩 및 아웃 폴딩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폴더블 장치일 수도 있다.
도 9는 언폴딩된 상태 및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언폴딩된 상태 및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의 배면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VIII-V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Q2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이 변화하는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이 변화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는 유지되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가 변화하도록 연신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가 최대 길이(SD)만큼 증가한 구조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은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의 동작 및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로 되돌아가는 동작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폴딩 영역(FA)의 면적은 유지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면적과 슬라이딩 영역(SA)의 면적의 합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은 표시 장치(DD)가 완전히 언폴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은 표시 장치(DD)가 일부 폴딩된 상태 또는 완전히 폴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동작은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 및 이를 지지하는 제1 하우징(HS1)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로부터 슬라이딩 확장 상태로의 동작은 제1 하우징(HS1)이 제2 방향(Y) 타측으로 이동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이 제2 방향(Y) 타측으로 이동하면, 제1 하우징(HS1)에 결합된 롤러 부재(RL)가 회전하여 제2 지지 부재(SM2)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1 지지 부재(SM1)는 서로 멀어지고,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3 지지 부재(SM3)는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 부재(SM2)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로부터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로의 동작은 제1 하우징(HS1)이 제2 방향(Y) 일측으로 이동하며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HS1)이 제2 방향(Y) 일측으로 이동하면, 제1 하우징(HS1)에 결합된 롤러 부재(RL)가 회전하여 제2 지지 부재(SM2)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1 지지 부재(SM1)는 서로 가까워지고, 롤러 부재(RL)와 접하는 제2 지지 부재(SM2)와 제3 지지 부재(SM3)는 서로 멀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지지 부재(SM2)에 의해 지지되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의 면적이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 의하면,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언폴딩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하우징(HS1)의 제1 개구부(OP1)에 제3 지지 부재(SM3)가 노출되도록 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DD)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 대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는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의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1)는 광 센서 모듈(CM)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센서 모듈(CM)은 카메라 모듈, 지문 인식 센서 및 안면 인식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센서 모듈(CM)은 롤러 및 제1 하우징(HS1)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센서 모듈(CM)은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또는 비확장 상태에서, 제1 하우징(HS1)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광 센서 모듈(CM)은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1 모듈(CM1) 및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CM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_1)의 슬라이딩 영역(SA)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센싱 영역(AR1)을 포함하고,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센싱 영역(A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은 부분적으로 배치된 투광 영역을 포함하여 화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투과시킬 수 있다. 광 센서 모듈(CM)은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16(a)는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 내의 화소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b)는 표시 영역(DA)에서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내의 화소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는 각각 서로 다른 색깔의 광(L)을 발광하는 제1 서브 화소(SPX1), 제2 서브 화소(SPX2), 제3 서브 화소(SPX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화소(SPX1, SPX2, SPX3)들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서브 화소(SPX1, SPX2, SPX3)들의 형상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은 복수의 화소(PX) 사이에 배치되는 투과부(T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과부(TA)는 입사되는 빛을 거의 그대로 통과시키는 영역이다. 즉, 투과부(TA)를 통해 표시 패널(DP_1)의 배면에 배치되는 사물 또는 배경을 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DP_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DP_1)이고, 투과부(TA)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DP_1)을 구성하는 버퍼막, 절연막, 보호막, 평탄화막, 봉지층 또는 전극층 등과 같은 광 투과성층이 적층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는, 투과부(TA)는 광 투과율을 높이기 위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DP_1)을 구성하는 버퍼막, 절연막, 보호막, 평탄화막, 봉지층 또는 전극층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제거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투과부(TA)가 배치되는 면적은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되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 투과부(TA)는 복수의 화소(PX)가 배치되는 영역의 코너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나, 투과부(TA)의 형상, 크기 및 배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b)를 참조하면, 표시 영역(DA)에서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을 제외한 영역은 투과부(TA)를 포함하지 않음에 따라,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가진다.
도 16(a) 내지 도 16(b)를 참조하면,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의 크기는 표시 영역(DA)에서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을 제외한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의 개수는 표시 영역(DA)에서 제1 센싱 영역(AR1) 및 제2 센싱 영역(AR2)을 제외한 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PX)의 개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모듈(CM1)은 제1 센싱 영역(AR1)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모듈(CM1)은 제1 센싱 영역(AR1)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은 제2 센싱 영역(AR2)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은 제2 센싱 영역(AR2)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은 제1 센싱 영역(AR1)과 중첩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은 제1 센싱 영역(AR1)을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SM2_1)는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모듈(CM1)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2 개구부(O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는 표시 패널(DP_1)의 제1 센싱 영역(AR1)과 중첩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2 개구부(OP2)는 제1 개구부(OP1)와 중첩할 수 있다. 즉, 제1 모듈(CM1)은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개구부(OP1), 제2 개구부(OP2) 및 제1 센싱 영역(AR1)을 통해 외부로부터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DD_1)의 폴딩 상태 및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1 하우징(HS1)의 제1 개구부(OP1)를 통해 지문 인식 또는 안면 인식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DD_1)의 잠금 해제 또는 경우에 따라 힌지 부재(HG)와 연결되어 자동 폴딩/언폴딩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개구부(OP2)는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모듈(CM2)은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2 개구부(OP2)를 통해 외부로부터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SM1_1)는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2 모듈(CM2)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3 개구부(OP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개구부(OP3)는 표시 패널(DP_1)의 제2 센싱 영역(AR2)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제2 모듈(CM2)은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 제3 개구부(OP3) 및 제2 센싱 영역(AR2)을 통해 외부로부터 광(L)을 수광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_1)의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3 개구부(OP3)는 제3 지지 부재(SM3)와 중첩할 수 있다.
제2 개구부(OP2)의 일측 단부 및 제3 개구부(OP3)의 일측 단부 간의 거리는 표시 장치(DD_1)의 최대 슬라이딩 이동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개구부(OP2)의 일측 단부 및 제3 개구부(OP3)의 일측 단부 간의 거리는, 슬라이딩 비확장 상태에서와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간의 표시 장치(DD_1)의 제2 방향(Y)으로의 길이 차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1)에 의하면,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언폴딩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하우징(HS1)의 제1 개구부(OP1)에 제3 지지 부재(SM3)가 노출되도록 하여 표시 패널(DP_1)을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1)는 제3 방향(Z) 타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1 모듈(CM1) 및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CM2)을 포함하는 광 센서 모듈(C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표시 장치(DD_1)는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제3 방향(Z)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수광하여 센싱하며, 동시에 제3 방향(Z) 타측으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수광하여 센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1)는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제3 방향(Z) 일측으로부터 제공되는 광(L)을 제2 모듈(CM2)을 통해 수광하여 센싱할 수 있다.
도 18은 슬라이딩 비확장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XIX-XIX'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슬라이딩 확장 상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XXI-XIX'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는 다른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HS1_1)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와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에서 제2 방향(Y) 타측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1 하우징(HS1_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에서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제2 방향(Y) 타측 및 제3 방향(Z) 일측을 향하는 곡면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HS1_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곡면부(SA_C)의 중심각은 예각일 수 있다. 제1 하우징(HS1_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곡면부(SA_C)의 중심각은 슬라이딩 영역(SA)에서 제1 하우징(HS1_1)과 비중첩하는 곡면부(SA_C)의 최소 중심각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하우징(HS1_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노출되는 슬라이딩 영역(SA)의 곡면부(SA_C)의 중심각은 직각이거나 또는 둔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HS1_1)은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며 제1 개구부(OP1)를 포함하는 저면부(HS11_1) 및, 상기 저면부(HS11_1)의 제2 방향(Y) 타측 단부로부터 제3 방향(Z) 일측을 향해 절곡된 측벽부(HS12_1)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부(HS12_1)의 높이(h1)는 롤러 부재(RL)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측벽부(HS12_1)의 높이(h1)는 저면부(HS11_1)의 하면으로부터 측벽부(HS12_1)의 상면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롤러 부재(RL)의 높이(h2)는 저면부(HS11_1)의 하면으로부터 롤러 부재(RL)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측벽부(HS12_1)의 높이(h1)는 롤러 부재(RL)의 높이(h2)보다 작거나 같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에 의하면, 폴딩된 상태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언폴딩된 상태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의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확장 상태에서 제1 하우징(HS1_1)의 제1 개구부(OP1)에 제3 지지 부재(SM3)가 노출되도록 하여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_2)는 표시 패널(DP)의 슬라이딩 영역(SA)의 에지 부분을 노출하는 제1 하우징(HS1_1)을 포함하여 표시 패널(DP)의 보다 넓은 영역에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DD: 표시 장치
DP: 표시 패널
HS: 하우징
SM: 슬라이딩 부재
OP1: 제1 개구부

Claims (20)

  1. 제1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일측에 배치된 제2 비폴딩 영역,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 사이에 배치된 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폴딩 영역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슬라이딩 확장 시 노출 면적이 증가하는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폴딩시키도록 구성된 힌지 부재; 및
    상기 표시 패널에 결합된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은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둘러싸며, 상기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노출면의 면적을 변화시키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과 부분적으로 중첩하며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힌지 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하우징의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을 둘러싸며 배치되는 제3 하우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폴딩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폴딩 부재에 결합되는 제1 지지 부재,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 면의 반대면이 배면 상에 배치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갖는 복수의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3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각 제2 지지 부재가 연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롤러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롤러 부재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 중 상기 롤러 부재와 접하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 간의 거리는,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 갈수록 증가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광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센서 모듈은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센싱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지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표시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부재의 두께는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두께 또는 상기 표시 패널의 두께보다 큰 표시 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표시 장치.
  12.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비확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확장된 상태로 갈수록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표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 및 상기 슬라이딩 영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기판은 복수의 섬형 패턴 및 서로 이웃하는 상기 복수의 섬형 패턴을 연결하는 복수의 브릿지 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폴딩되며 슬라이딩 비확장된 제1 상태,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비확장된 제2 상태, 및 언폴딩되며 슬라이딩 확장된 제3 상태를 갖는 표시 장치로서,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제2 지지 부재, 및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에 의해 둘러싸이는 롤러 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재; 및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며, 제1 개구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3 상태로 갈수록 상기 롤러 부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된 광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광 센서 모듈은 제1 방향 타측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제1 개구부와 중첩하는 제1 모듈 및 상기 제1 방향 일측을 향해 배치되는 제2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1 센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은 주변보다 낮은 광 투과율을 갖는 제2 센싱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며,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표시면의 반대면인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3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을 부분적으로 노출하는 제3 개구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제1 센싱 영역과 중첩하고,
    상기 제3 개구부는 상기 제2 센싱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모듈은 상기 제1 개구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고,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3 개구부 및 상기 제2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며,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제2 개구부 및 상기 제1 센싱 영역을 투과한 광을 수광하는 표시 장치.
  19.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곡면부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하는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영역의 표시면의 지시 방향은 상기 롤러 부재를 따라 이동하며 변화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078037A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KR202201686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37A KR20220168612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US17/579,911 US11789498B2 (en) 2021-06-16 2022-01-20 Display device
CN202210318761.6A CN115482722A (zh) 2021-06-16 2022-03-29 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037A KR20220168612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612A true KR20220168612A (ko) 2022-12-26

Family

ID=8442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037A KR20220168612A (ko) 2021-06-16 2021-06-16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89498B2 (ko)
KR (1) KR20220168612A (ko)
CN (1) CN115482722A (ko)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9493A (ko) * 2010-12-23 2012-07-13 주식회사 팬택 휴대 단말기
KR101273182B1 (ko) * 2011-02-18 2013-06-17 주식회사 팬택 연성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63728B1 (ko) * 2013-08-26 2016-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소자를 구비한 접철식 전자 기기
KR102210047B1 (ko) * 2014-03-05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798836B2 (en) * 2016-08-10 2020-10-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ed hinge mechanisms
KR102578589B1 (ko) * 2016-09-30 2023-09-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95848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JP6707184B2 (ja) * 2017-03-31 2020-06-1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KR102292302B1 (ko) * 2017-04-10 2021-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09046B1 (ko) * 2018-02-02 2023-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60471B1 (ko) * 2018-03-27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1292B1 (ko) 2018-04-13 2022-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820433B2 (en) * 2019-01-31 2020-10-27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03217B2 (en) * 2019-01-31 2021-05-11 Lg Electronics Inc.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48185B1 (ko) 2019-04-03 2024-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1151A (ko) * 2019-04-1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TWI726651B (zh) * 2020-03-11 2021-05-01 宏碁股份有限公司 折疊式螢幕與可攜式電子裝置
WO2021215557A1 (ko) * 2020-04-23 2021-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1190629B1 (en) * 2020-08-17 2021-11-30 Wei Hu Koh Sectioned wearable smartphone devices
KR20220121270A (ko) * 2021-02-24 2022-09-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404866A1 (en) 2022-12-22
CN115482722A (zh) 2022-12-16
US11789498B2 (en)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7663B2 (en) Display device having at least four overlapping display panels
US10575415B2 (en) Hinged support member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72272B2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1011127B2 (en) Display apparatus
US9173287B1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US11297723B2 (en) Display device
US20230296943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170524B2 (en) Display device
KR100706676B1 (ko) 접철식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
US7439939B2 (en)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image display units
CN106486010A (zh) 用于柔性显示器的支撑框架和包括其的柔性显示装置
GB2537774A (en) Foldable display apparatus
CN107919061B (zh) 显示装置
US11729932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11106239B2 (en) Display device
JP2007156126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20220168612A (ko) 표시 장치
CN113314027A (zh) 显示装置
KR20130103345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US20230213972A1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20220238626A1 (en) Display device
US20220346252A1 (en) Display device
Wu et al. 45‐1: Invited Paper: Multi‐Spliced LCDs for Foldable Mobile Device‐Seamless Technology and Applications
KR202300491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