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386A -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 Google Patents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386A
KR20160113386A KR1020150038030A KR20150038030A KR20160113386A KR 20160113386 A KR20160113386 A KR 20160113386A KR 1020150038030 A KR1020150038030 A KR 1020150038030A KR 20150038030 A KR20150038030 A KR 20150038030A KR 20160113386 A KR20160113386 A KR 20160113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
powder
mixture
flavo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771B1 (ko
Inventor
김현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15003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771B1/ko
Publication of KR20160113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08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23L1/003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8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14Dextrins, maltodextri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은,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과 액상 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이를 동결하는 제2단계; 상기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하여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혼합물 분말, 덱스트린 및, 증류수 또는 알콜을 포함하여 과립형태로 제형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형화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는 액상의 꿀이 고체 상태로 제형화된 것으로써 그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색채 및 향미 증진을 위해 오디 및 뽕잎을 사용함으로써 오디 및 뽕잎의 소비 촉진 및 보급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을 갖고 있는 꿀가루가 제조됨으로써 소비자들의 건강증진 효과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Manufacturing Method of Honey-powder for the improvement on the color and flavor, and the Honey-powder having improved color and flav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 또는 뽕잎을 이용하여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음과 동시에 기능성을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에 관한 것이다.
꿀은 각종 비타민과 미네랄을 풍부하게 간직하고 있어 설탕 대용식으로 많이 선호하고 있으나, 천연상태 또는 인공으로 양봉한 상태에서 채취하여 통상 액상의 형태로 보관되기 때문에 꿀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액상의 저장용기가 별도로 필요하다.
또한, 꿀은 사용상 장기보존이 필요함과 동시에 내재하고 있는 물리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취급상 각별한 주의도 필요하는 등 저장 및 유통에 여러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끈적이는 성분 때문에 소비자들이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는 바, 꿀제형에 대한 변형시도가 다각적으로 검토되어 오고 있으며, 이에, 꿀제품의 휴대와 복용의 간편함을 추구하기 위한 연구가 현재 시행되고 있다.
관련 공지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1672호(꿀분말제 제조방법 및 꿀분말식품)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09755호(녹차꽃 꿀설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기술들은 단순히 액상 꿀을 분말화 한다는 것일 뿐, 꿀분말의 상품적 가치를 위한 색채 및 향미의 우수성 향상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가 없으며, 이에 적용되는 제조공정이 본 발명과 다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오디 또는 뽕잎을 이용함으로써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음과 동시에 오디 또는 뽕잎이 갖고 있는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은, 오디농축액(뽕잎농축액)과 액상 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이를 동결하는 제2단계, 상기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하여 상기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혼합물 분말, 덱스트린 및, 증류수 또는 알콜을 포함하여 과립형태로 제형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형화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 제조시 액상 꿀과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을 1:0.005~0.05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단계의 동결 단계는 영하 20~90℃에서 1~3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3단계의 진공동결건조 단계는 건조실 온도 25~45℃, 진공도 2~10mTorr에서 40~6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4단계의 제형화 단계에서는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 중 어느 하나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5단계의 꿀가루 제조시 상기 건조는 20~40℃ 온도 범위에서 20~1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꿀가루는,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오디(또는 뽕잎)이 함유된 꿀가루가 제조됨으로써 액상꿀만을 건조하여 얻은 꿀가루 대비 색채가 향상되고 향미가 증진됨과 동시에 기능성 성분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는 액상의 꿀이 고체 상태로 제형화된 것으로써 그 사용이 용이함과 동시에, 색채 및 향미 증진을 위해 오디 및 뽕잎을 사용함으로써 오디 및 뽕잎의 소비 촉진 및 보급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온 장기보관이 가능하므로 수송 및 유통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색채 및 향미가 증진됨으로써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져 식품이나 요리에 오디 또는 뽕잎의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을 갖고 있는 꿀가루가 제조됨으로써 소비자들의 건강증진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꿀가루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꿀가루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음과 동시에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그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혼합물 제조단계이다(S10). 본 단계에서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색채 향상 및 향미 증진, 그리고 기능성 성분을 갖도록 하고자 오디 또는 뽕잎을 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들을 농축액으로 제조하여 이 농축액과 액상 꿀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뽕나무는 예로부터 우리 조상이 누에를 치기 위해 많이 재배해 왔으며, 또한 한방에서는 뽕나무를 뿌리에서부터 나무, 잎, 열매에 이르기까지 한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는 다량의 비타민과 함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진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뽕나무의 열매인 오디에는 다량의 비타민과 함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노화를 방지한다고 알려진 물질인 안토시아닌이 다량으로 함유되어있다. 오디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포도, 딸기, 블루베리, 적양배추, 자색고구마 등 각종 과일이나 채소의 열매, 잎, 줄기 또는 뿌리 등에 존재하는 수용성 색소로서 식물체에 광범위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안토시아닌은 식물학적으로 각종 곤충, 조류 등을 유인하여 화분의 수분 및 종자의 확산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화억제, 당뇨병성 망막장애의 치료 및 시력개선 효과, 항산화 작용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한 천연색소 및 기능성 소재로서 각광받고 있다.
오디에는 안토시아닌 색소인 시아니딘-3-글루코사이드(cyanidin-3- glucoside, C3G), 루틴(Rutin), 가바(GABA), 디엔제이(1-DNJ), 라스베라트롤(Resveratrol) 등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들이 들어있기 때문에 건강에 이로운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C3G는 항산화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토코페롤보다 7배나 높은 노화 억제 효과를 보이며 피부 개선에도 효과가 있으며, 당뇨병성 망막장애의 치료 및 시력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뽕나무의 잎인 뽕잎은 25종의 아미노산과 뇌 속에 피를 잘 돌게하는 루틴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플라본(flavones), 스테로이드(steroids), 트리터펜(triterpenes), 아미노산, 비타민과 다량의 미네랄 성분이 존재하고 우리가 즐겨 마시는 녹차보다 섬유소가 4.7배나 많고 독성이 없는 식물성 식품이다.
특히, 뽕잎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생리활성성분 중 혈당강하 성분으로 알려진 DNJ(1-deoxynojirimycin), 혈압강하 성분인 GABA(γ-aminobutyric acid), 및 항산화성분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뽕잎의 우수한 기능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물질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오디와 뽕잎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최근 소비자 선호도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오디와 뽕잎만의 특유한 색채 및 향미를 갖고 있어 다양한 식품 및 요리 등에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도 꿀가루의 색채 및 향미를 증진시키면서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고자 여러 연구를 한바, 오디 또는 뽕잎을 농축액 상태로 제조하여 하기 건조과정 전에 먼저 액상의 꿀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 후 하기 단계들을 거치는 것이 중요함을 알아낸 것이다. 다시 말해, 꿀가루를 먼저 제조하고 그 다음 오디분말이나 뽕잎분말을 제조하여 이들을 각각의 분말상태에서 단순혼합하게 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색채 및 향미 증진의 효과는 얻기 힘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반드시 본 단계를 거친 후에 하기 과정들(동결 및 건조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얻고자 오디농축액 또는 뽕잎농축액을 사용해야 한다. 이때, 상기 오디농축액 또는 뽕잎농축액으로는 오디 또는 뽕잎에 알콜을 넣고 상온(20~30℃)에서 50분~1시간동안 총3회를 추출한 후, 이를 30~40℃에서 완전히 농축될때까지 농축시켜 액상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과정은 모두 저온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시키면서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기 위한 필수과정이다. 다시 말해, 상기 농축액 제조시 상기 시간 및 온도 조건을 벗어날 경우에는 기능성 성분이 파괴되거나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색채 및 향미 증진 효과를 얻지 못하게 된다.
상기 액상 꿀은 유채꿀, 아카시아꿀, 밀감꿀, 국화꿀, 싸리꿀 및 잡화꿀 등 꿀원액의 색이 밝은 연황색 띠는 것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액상 꿀과 상기 오디농축액(또는 상기 뽕잎농축액)을 1 : 0.005~0.05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오디농축액(또는 상기 뽕잎농축액)이 상기 액상 꿀 중량을 기준으로 0.005 중량비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색채 향상 및 향미 증진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상기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이 상기 액상 꿀 중량을 기준으로 0.05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오히려 과다한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의 함량으로 인해 꿀 가루의 형태로 제조하는데 과도한 건조방식이 적용되어 제품변질의 우려가 있어 상품적 가치가 있는 꿀가루의 제조 자체가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이어, 동결 단계(S20)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이를 동결한다. 본 동결단계는 혼합물이 그대로 급속히 동결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들과 비타민 등 영양성분들이 손실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진공동결건조를 위한 필수 전처리단계이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동결시키는 데, 이는 상기 혼합물 자체는 대부분 당분으로 이루어진 반면 갖고 있는 수분함량이 너무 적어 동결이 되지 않는바, 증류수를 첨가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균질화한 후 이를 동결한다. 이때 상기 증류수는 상기 혼합물 부피대비 25~100부피%를 넣고 동결시키며, 상기 증류수의 함량이 10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많아 본 단계에서 장시간의 건조시간이 투여되는 바, 오히려 영양성분의 손실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25부피% 미만으로 함유할 경우에는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여전히 동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않아 골고루 건조가 일어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동결조건으로는 영하 20~90℃에서 1~3일 동안 동결시키는 것이 좋다.
이는, 동결 온도가 영하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이 동결되지 않거나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의 유효 성분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영하 90℃ 미만으로 냉동하는 경우에는 냉동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비해 냉동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소모되는 전기 에너지가 너무 커서 비효율적이다.
본 동결단계에서 가장 바람직한 냉동온도는 영하 40~70℃일 수 있다. 이 온도범위에서 냉동시키면 오디 및 또는/뽕잎의 유효 성분이 손실되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에너지로 냉동할 수 있어 효율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냉동 시간은 상기 제시한 범위 내에서 혼합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 진공동결건조 단계(S30)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동결단계가 완료되면,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시키게 되면 상기 혼합물은 분말형태로 제조된다.
설명하면, 본 단계는 상기 혼합물을 반드시 동결시킨 다음에 수행해야 하는 것으로써 본 진공동결건조 단계는 진공동결건조기 내 콜드트랩의 온도가 영하 75~95℃로 하고, 동결된 혼합물이 들어있는 건조실의 25~45℃로 유지하여, 건조실 내부가 2~10 mTorr의 진공상태에서 40~60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진공동결건조가 25℃미만에서 40시간미만으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동결된 혼합물의 수분이 제대로 승화되지 않아 꿀가루 제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45℃초과하여 60시간초과로 이루어질 경우 동결된 혼합물이 분말형태로 건조되지 않거나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혼합물이 동결된 상태에서 건조실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어주는 이유는 동결된 혼합물 내의 수분을 바로 수증기로 승화시켜 건조하기 위해서이다. 진공동결건조는 이러한 상기 동결된 혼합물 내 수분을 얼음상태에서 바로 수증기로 승화시켜 제거함으로써,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에 다량으로 함유된 여러 가지 기능성 성분들과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 고유의 맛과 향 그리고 색채를 그대로 유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상기 동결된 혼합물을 냉동 상태 그대로 유지하면서 압력을 2~10 mTorr로 내려주면 얼음상태로 있던 수분이 바로 승화되어 수증기로 변화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콜드트랩은 진공 상태에서 승화된 수분을 잡아 냉각시켜 따로 포집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이때 승화되어 나온 수분을 급속히 냉각시켜 포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콜드트랩의 온도는 영하 75~95℃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진공동결건조 단계에서 건조실 내부의 진공도를 2~10mTorr로 유지해주어야 얼음 상태의 수분이 가장 원활히 승화될 수 있다. 진공도가 2mTorr보다 낮으면 수분의 승화효율 대비 진공상태 유지에 들어가는 에너지가 커서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일 수 있으며, 10mTorr를 초과하면 수분의 승화가 잘 일어나지 않아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가장 바람직한 진공도는 5mTorr이다. 그러나 진공도는 기계 장치에 의해 작동되므로 일정 수준으로 진공도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온이 아닌 30~40℃의 낮은 온도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비타민 등 기능성 성분과 C3G 색소의 파괴가 최소화되면서도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진공동결건조 온도가 25℃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이 제대로 승화되지 않고 남거나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또한, 진공동결건조 온도가 4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물이 분말형태로 건조되지 않거나 균일하게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결된 혼합물 1kg을 기준으로 진공동결건조 시간은 40~60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동결건조 시간은 상기 제시한 범위 내에서 상기 동결된 혼합물의 양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어, 제형화 단계(S40)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진공동결건조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혼합물이 분말형태로 되고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형태를 갖는 꿀가루를 제조해야 한다. 본 단계는 제조된 꿀가루가 실온에서 보관시 caking 현상을 방지하여 장기보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수적인 단계로써, 본 제형화단계에서는 상기 혼합물 분말에 덱스트린을 넣고 혼합한 후 여기에 증류수 또는 알콜을 분사하면서 과립형태를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단시간에 제형화를 하기 위해 상기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 중 어느 하나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제형화를 위한 포함되는 덱스트린은 상기 혼합물 분말의 중량대비 0.5~1중량비로 넣는 것이 좋으며, 증류수 또는 알콜은 과립형태를 갖출때까지만 분사하면서 넣는 것으로써 상기 혼합물 분말과 덱스트린의 혼합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2~30중량%를 넣는 것이 좋으며, 나머지 추가재료들은 상기 혼합물 분말과 덱스트린의 혼합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대하여 찹쌀가루 10~50 중량%, 전분 10~50 중량%, 포도당 10~50 중량%, 당알콜류 10~50 중량%의 함량으로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덱스트린은 상기 혼합물 분말의 중량대비 0.5 중량비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에는 본 제품인 꿀가루가 상온에 보관시 caking 현상이 나타나 상온에서의 장기보관이 다소 어렵게 되며, 1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될 경우에는 과도한 덱스트린의 함량에 의해 단맛이 덜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류수 또는 알콜이 상기 혼합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2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과립형태의 제형화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증류수 또는 알콜이 3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과도한 수분함량으로 인해 하기 건조과정시 과건조과정을 거치게 되어 오히려 색채 및 향미가 변질된 꿀가루를 얻게될 우려가 있게 된다. 증류수의 함량은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상기 제시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는 각각 상기 혼합분말의 중량을 기준으로 10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그 함량이 너무 적어 추가재료의 목적인 단시간의 제형화를 이루지 못해 추가의 의미가 적합하지 않게 되며, 5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게 되면 과도한 추가재료의 함량에 의해 단맛이 덜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의 함량은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상기 제시한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건조 단계(S50)이다. 본 단계에서는 상기 제형화 단계가 완료되면, 제형화된 혼합물의 남은 수분을 제거하여 상품화가 가능한 꿀가루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제형화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향상된 색채 및 향미 및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한다.
이때, 건조기에서 20~40℃에서 20~120시간동안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건조가 불충분할 경우 분말 입자끼리 엉켜붙어 굳어버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꿀가루 상품으로서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건조가 과도하면 꿀가루가 다시 눅눅해지는(끈적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단계에서 적용되는 건조방식은 진공동결, 열풍, 냉풍, 음건 등 어떠한 건조방식을 적용하여도 무관하며, 색채 및 향미의 변질 없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적용가능한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의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1 제조
오디 1kg을 준비한 후, 이를 70%의 알콜 2ℓ에 넣은 후 이를 25℃에서 1시간씩 총 3회를 추출한 후, 농축기를 통해 40℃에서 전부 농축될때까지 농축시켜 농축액을 준비하였다.
이렇게 준비된 상기 오디농축액 25g과 액상형태의 꿀(아카시아꿀) 1000g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제조된 혼합물 1025g에 증류수를 670㎖를 넣어 균질화시킨 후, 영하 70℃에서 2일 동안 동결시킨 후에 이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시킬 건조실(35℃, 진공도 5mTorr)에서 넣고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를 시켜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 분말 850g에 동량의 덱스트린을 넣고 증류수 350㎖를 분사하면서 과립형태의 혼합물을 제조하도록 상기 혼합물 분말을 제형화하였다.
그 다음 35℃에서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하여 꿀가루1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본 발명의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2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상기 오디 대신 뽕잎을 사용하여 꿀가루2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내지 5> 꿀가루 제조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하기 표와 같은 조건으로 비교예들의 꿀가루를 제조하였다.(실시예와 차이점을 나타내는 비교예 부분은 밑줄로 표시함)
혼합물 제조 동결 진공동결건조
(1차)
제형화 건조
(2차)
실시예 1
(도2에 도시함)
오디농축액(70%의 알콜에서 25℃에서 1시간씩 총 3회 추출->40℃에서 농축)
+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실시예 2
(도2에 도시함)
뽕잎농축액(70%의 알콜에서 25℃에서 1시간씩 총 3회 추출->40℃에서 농축)
+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 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비교예 1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비교예 2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오디분말, 증류수와 혼합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비교예 3 오디즙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없이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비교예 4 오디농축액 (90%의 알콜에서 40℃에서 1시간씩 총 3회 추출->70℃에서 농축)
+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비교예 5 뽕잎농축액(증류수에서 90℃에서 1시간씩 총 3회 추출->40℃에서 농축)
+ 액상의 꿀
증류수 첨가후 영하 70℃, 2일 동안 동결 35℃, 진공도 5mTorr, 48 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덱스트린, 증류수 첨가하여 과립형태 35℃, 24시간동안 진공동결건조
< 실험예 1> 꿀가루의 색채 측정
1. 실험방법
오디꿀가루의 색채 측정을 하기 위해 상기 꿀가루 제조공정(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에 의해 완성된 각각의 꿀가루를 상온에 노출하여 색상을 관찰하였으며, 한국표준색표집(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 공저)과 대조하여 계량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한편, 뽕잎꿀가루의 경우 상기 꿀가루 제조공정(실시예 2, 비교예 5)에 의해 완성된 각각의 꿀가루를 상온에 노출하여 색상을 관찰하였으며, 한국표준색표집(공업진흥청/한국방송공사 공저)과 대조하여 계량화한 값으로 나타냈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2, 3과 같이 나타났다.
오디꿀가루 색채값
실시예 1 7.5RP-1407, 1409, 1410, 1413, 1414
비교예 2 10RP-1478, 1479, 1484, 1485, 1486
비교예 3 7.5RP-1431, 1432, 1433, 1437, 1438
뽕잎꿀가루 색채값
실시예 2 7.5GY-0561, 0562, 0564, 0565
비교예 5 2.5Y-0345, 0346, 0351, 0352
상기 표 2, 3에 나타나 있듯이, 본 발명의 꿀가루인 실시예 1이 비교예 3에서의 오디즙을 사용한 것보다 또는 오디분말을 별도로 함유한 꿀가루인 비교예 2보다 색채가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꿀가루는 명도가 높은 분홍색을 나타냈으나, 비교예 2는 명도와 채도가 모두 낮은 갈색~짙은 흑자색을, 비교예 3은 명도는 낮으면서 채도가 높은 짙은 적자색을 나타냈다.
또한, 뽕잎꿀가루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꿀가루(실시예 2)가 명도가 높은 연녹색의 색채를 나타낸 반면, 열수 추출에 의한 비교예 5는 갈색을 나타냄으로써 비교예 5보다 실시예 2의 색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열수 공급을 위해 높은 온도로 처리를 하였기 때문에 일어나는 갈변 현상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실험예 2> 본 발명의 꿀가루의 기능성 성분 측정
1. 실험방법
오디꿀가루의 기능성 성분 중 C3G(cyanidin-3-glucoside) 함량을 측정하였다.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한 각각의 오디꿀가루(실시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g씩을 취하여 1%의 HCl을 함유한 메탄올(methanol)로 색소를 추출한 후 HPLC로 색소함량을 분석하였다.
HPLC 분석조건에 따라 Shimadzu LC system에 주입하여 538㎚에서 분석하였다. Column은 Nova-Pack C18(300×3.9㎜)을 사용하였으며, 컬럼(column)의 온도는 35℃를 유지하였다. 이동상으로는 H2O : CH3CN : HoAC : H2PO4 = 81.7 : 8.4 : 8.4 : 1.5 (V/V)를 사용하였으며, Flow rate는 1.0 ㎖/min이 되도록 하였다. 각 시료에 대한 C3G의 농도는 C3G 표준물질의 농도를 기준으로 면적비로 계산하였으며, 안토시아닌(anthocyanin) 표준물질인 C3G는 Genay France 社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뽕잎꿀가루의 기능성 성분 중 루틴(rutin) 함량을 분석하였다.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한 각각의 뽕잎꿀가루(실시예 2, 비교예 5) 1 g에 MeOH 20 ㎖을 가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환류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4℃에서 냉각시킨 후 1차 여과하였다. 여기에 MeOH을 가하여 50 ㎖이 되도록 정용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0.45 ㎛ Millipore filter 및 Sep-Pak Plus C18으로 여과하였다.
뽕잎꿀가루의 rutin 함량 분석은 Waters Nova-Pak C18 column(300×3.9 ㎜)을 사용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검출기는 Waters 486 Tunable Absorbance 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파장은 355 ㎚에서 실시하였다. 이동상으로는 2.5% acetic acid : methanol : acetonitrile = 70 : 10 : 20 (V:V:V)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였으며, flow rate는 0.6 ㎖/min이 되도록 하였다. HPLC 분석용 시료의 주입량은 20 ㎕이 되도록 하였으며, 표준품은 Sigma 社의 것을 사용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 하기 표 4, 5와 같이 나타났다.
오디꿀가루 C3G함량
실시예 1 455 ppm
비교예 2 191 ppm
비교예 3 60 ppm
뽕잎꿀가루 Rutin함량
실시예 2 500 ppm
비교예 5 52 ppm
상기 표 4, 5에 나타나 있듯이, 오디/뽕잎 농축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꿀가루(실시예 1, 실시예 2)의 기능성 성분(C3G와 rutin)의 함량이 비교예(비교예 2, 3, 5)의 함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시 말해, 오디꿀가루의 경우 본 발명(실시예 1)의 C3G 함량이 오디분말(비교예 2)이나 오디즙(비교예 3)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보다 각각 2.3배, 7.5배 높아 기능성 성분의 손실이 최소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뽕잎꿀가루의 경우 본 발명(실시예 2)에 의한 rutin 함량은 비교예 5(열수추출)보다 매우 높았다. 이로써 열수추출(비교예 5)은 높은 온도처리에 의해 뽕잎농축액의 색을 갈변시킬 뿐 아니라 기능성 성분인 rutin의 함량도 파괴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뽕잎농축액은 실온에서 알콜로 추출하는 것이 기능성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시키는 최적의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꿀가루의 색채 및 향미에 대한 관능 검사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 5에 의해 제조된 꿀가루를 준비하고, 각각의 꿀가루에 대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관능검사는 상기 꿀가루들이 나타내는 색채, 맛, 향 및 기호도로 구분하여 평가하였으며,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대 ~ 50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50명을 선발하여 관능검사를 진행하였으며, 10점 채점법(관능검사 수치가 10에 가까울수록 좋음을 의미하고 수치가 10보다 낮을수록 나쁨을 의미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5
색채 9.5 9.0 4.3 5.5 3.5
9.7 8.5 4.0 3.5 3.8
9.4 8.7 3.5 5.0 4.7
기호도 9.8 8.9 5.0 4.8 4.0
상기 표 6의 관능검사 결과를 살펴 볼 때, 본 발명인 실시예 1, 2의 꿀가루는 함유되는 오디농축액 또는 뽕잎농축액 고유의 맛과 향이 가공단계를 거친 후에도 여전히 잔존되어 꿀과 잘 어우러져 있어 최종제품에서도 그 맛과 향이 가미되는 바, 전반적으로 소비자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오디농축액 또는 뽕잎농축액 고유의 색채감이 가공단계에서 손실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어 시각적인 면에서도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반해, 나머지 비교예 1은 꿀만을 가지고 제조된 꿀가루인 바, 최종제품의 상태에서는 그 색상이 칙칙하며 일반 황설탕과 비슷한 색채를 나타내는 바, 전반적인 기호도는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향은 가공단계를 거침으로 인해 그 향이 손실됨으로 인해 전체적인 평가가 낮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는 미리 만들어진 꿀가루에 오디분말을 별도로 혼합하여 만든 가루인것으로써 단순혼합으로 인해서는 나타내는 색채감은 실시예들보다 시각적인 면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오히려 가미된 오디분말의 약간 쌉싸름한 맛으로 인해 전반적인 소비자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비교예 5는 뽕잎의 열수추출에 의해 생성된 꿀가루인 바, 그 색상이 갈색으로 변색이 되고 향 또한 잘나지 않아 실시예들보다 낮게 나타나는 바, 전반적인 소비자 기호도가 낮게 평가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꿀가루는 꿀이 가진 끈적끈적함에 의한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함과 동시에 사용된 오디농축액(또는 뽕잎농축액)으로 인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게 되며, 오디 또는 뽕잎의 기능성 성분도 함유되어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꿀가루는 실온에서 장기보관도 가능하여, 보관성이 우수하며, 편리성이 증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식품에 첨가하여 조리 또는 가공할 수 있으므로 오디와 뽕잎의 식품 이용 기대성을 높여 오디와 뽕잎의 소비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오디농축액과 액상 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이를 동결하는 제2단계;
    상기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하여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혼합물 분말, 덱스트린 및, 증류수 또는 알콜을 포함하여 과립형태로 제형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형화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 제조시 액상 꿀과 오디농축액을 1:0.005~0.05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동결 단계는 영하 20~90℃에서 1~3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진공동결건조 단계는 건조실 온도 25~45℃, 진공도 2~10mTorr에서 40~6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제형화 단계에서는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 중 어느 하나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꿀가루 제조시 상기 건조는 20~40℃ 온도 범위에서 20~1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7. 뽕잎농축액과 액상 꿀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상기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한 후 이를 동결하는 제2단계;
    상기 동결된 혼합물을 진공동결건조하여 혼합물 분말을 제조하는 제3단계;
    상기 혼합물 분말, 덱스트린 및, 증류수 또는 알콜을 포함하여 과립형태로 제형화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형화된 혼합물을 건조하여 기능성 성분을 갖는 꿀가루를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의 혼합물 제조시 액상 꿀과 뽕잎농축액을 1:0.005~0.05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동결 단계는 영하 20~90℃에서 1~3일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의 진공동결건조 단계는 건조실 온도 25~45℃, 진공도 2~10mTorr에서 40~60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제형화 단계에서는 찹쌀가루, 전분, 포도당, 당알콜류 중 어느 하나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꿀가루 제조시 상기 건조는 20~40℃ 온도 범위에서 20~1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오디가 함유된 꿀가루가 제조됨으로써 액상꿀만을 건조하여 얻은 꿀가루 대비 색채가 향상되고 향미가 증진됨과 동시에 기능성 성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꿀가루.
  14. 청구항 7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어, 뽕잎이 함유된 꿀가루가 제조됨으로써 액상꿀만을 건조하여 얻은 꿀가루 대비 색채가 향상되고 향미가 증진됨과 동시에 기능성 성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꿀가루.
KR1020150038030A 2015-03-19 2015-03-19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KR101719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030A KR101719771B1 (ko) 2015-03-19 2015-03-19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030A KR101719771B1 (ko) 2015-03-19 2015-03-19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386A true KR20160113386A (ko) 2016-09-29
KR101719771B1 KR101719771B1 (ko) 2017-04-03

Family

ID=57073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030A KR101719771B1 (ko) 2015-03-19 2015-03-19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7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20A (ko) * 2018-05-25 2020-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건조시간이 단축된 숙지황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숙지황 분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3935A (ko) 2021-10-15 2023-04-24 농업회사법인 (주)영글어농장 뭉침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꿀가루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꿀가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672A (ko) * 2003-12-04 2004-04-13 (주)지벡파마 꿀분말제 제조방법 및 꿀분말식품
KR20050117807A (ko) * 2004-06-11 2005-12-15 제주도(농업기술원) 천연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35200A (ko) * 2009-09-30 2011-04-06 송춘종 꿀과 죽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508A (ko) * 2013-08-14 2015-02-25 박해양 복분자 꿀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1672A (ko) * 2003-12-04 2004-04-13 (주)지벡파마 꿀분말제 제조방법 및 꿀분말식품
KR20050117807A (ko) * 2004-06-11 2005-12-15 제주도(농업기술원) 천연꿀차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35200A (ko) * 2009-09-30 2011-04-06 송춘종 꿀과 죽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9508A (ko) * 2013-08-14 2015-02-25 박해양 복분자 꿀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0320A (ko) * 2018-05-25 2020-05-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건조시간이 단축된 숙지황 분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숙지황 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771B1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hat et al. Coriander (Coriandrum sativum L.): Processing, nutritional and functional aspects
Binici et al. The effect of different drying methods o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activity of purslane (Portulaca oleracea)
KR101719771B1 (ko)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어 향상된 색채 및 향미를 갖는 꿀가루
Bhise et al. Antioxidant property and health benefits of grape byproducts
Yang et al. New insights of fig (Ficus carica L.) as a potential function food
KR102120463B1 (ko) 비타민나무가 첨가된 칼국수 면발의 제조 방법
KR100938006B1 (ko) 유자의 과육과 과피를 이용한 유자차의 제조방법
KR101587072B1 (ko) 아로니아가 함유된 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1463B1 (ko) 녹차꽃차의 제조 방법
KR20140019076A (ko) 대추잎과 녹차잎을 이용한 혼합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310019B1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396974B1 (ko) 혼합 건나물 제조 방법
KR102107424B1 (ko) 발효 호박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374692B1 (ko) 진공동결건조를 이용한 c3g 색소 안정성이 향상된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건조 오디
KR101809836B1 (ko) 이슬송이버섯 조성물을 이용한 소금 제조방법
KR101703912B1 (ko) 블루베리로부터 안토시아닌을 추출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추출된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품
KR101620288B1 (ko) 단감나무 신초 차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876000A (zh) 一种仙尾凤茶
KR101686424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c3g 색소 안정성이 향상되며, 형태가 유지되는 반건조 오디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건조 오디
Minh et al. Production of dried tea from Erythrineme orientalis
KR20100063673A (ko) 올리브잎, 연꽃씨, 연잎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80070037A (ko) 땅콩새싹의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발효 커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1665B1 (ko) 베리류를 활용한 매실 절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