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3274A - 워터 서버 유닛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3274A
KR20160113274A KR1020167023593A KR20167023593A KR20160113274A KR 20160113274 A KR20160113274 A KR 20160113274A KR 1020167023593 A KR1020167023593 A KR 1020167023593A KR 20167023593 A KR20167023593 A KR 20167023593A KR 20160113274 A KR20160113274 A KR 20160113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water
robot
water server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367B1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60113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3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47Furniture or stationary devices with suction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 놓을 곳을 확보하기 쉽고, 워터 서버와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을 겸비한 워터 서버 유닛을 제공한다. 워터 서버(3)와 자주식 청소 로봇(4)을 구비하고, 워터 서버(3)의 하부에,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하는 로봇 수용 개구(7)를 설치하며, 그 로봇 수용 개구(7)의 내부에 충전 터미널(37)을 설치한 워터 서버 유닛(1)이다.

Description

워터 서버 유닛{WATER SERVER UNIT}
본 발명은 워터 서버와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을 구비한 워터 서버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코크를 갖고, 이 냉수 코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언제나 맛있는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한편, 최근, 청소에 드는 수고를 대폭 저감하는 가전으로서, 자주식 청소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통상,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와,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내장된 충전지를 갖고, 그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와 집진 장치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바닥면을 청소하기 때문에, 외출하고 있을 때나 다른 방에 있을 때에도, 바닥면의 청소를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464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8055호 공보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가 종료되면,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로 자체 주행에 의해 되돌아가서, 충전을 행한다. 즉,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청소기와 같이 벽장에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에서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바닥 위에 충전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한정된 거주 공간에 있어서, 바닥에 충전 중인 자주식 청소 로봇이 있으면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런데,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를 모두 설치하면, 편리성을 현저히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한편으로,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 장소와 워터 서버를 놓을 곳을 각각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내의 스페이스가 대폭 좁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발명자는,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에서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자주식 청소 로봇의 상방에 상하로 가늘고 긴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워터 서버를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거주 공간을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깨달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 놓을 곳을 확보하기 쉽고,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을 겸비한 워터 서버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의 워터 서버 유닛을 제공한다.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를 갖는 워터 서버와,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와, 상기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상기 주행 장치 및 상기 집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갖는 자주식 청소 로봇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 서버의 하부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이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하는 로봇 수용 개구를 설치하며,
그 로봇 수용 개구의 내부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로봇 수용 개구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지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을 설치한 것인, 워터 서버 유닛.
이와 같이 하면, 워터 서버의 하부의 로봇 수용 개구 내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하로 늘어선 배치가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놓을 곳을 확보하기 쉽다.
상기 워터 서버는, 상기 냉수 탱크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로봇 수용 개구를 갖는 스탠드(臺座)를 갖고, 그 스탠드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워터 서버로부터 스탠드를 떼어냄으로써, 워터 서버 단일체(單體)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 유닛과 단일체로서의 워터 서버 사이에서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저비용이다.
여기서, 상기 스탠드와 상기 케이스는, 양자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으로 체결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람이 워터 서버에 부딪치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했을 때에도, 워터 서버의 전도(顚倒)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워터 서버는, 상기 냉각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를 갖고,
상기 스탠드는, 전원 콘센트로부터 상기 충전 터미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코드와, 상기 제2 전원 코드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탭을 가지며,
그 전원 탭에, 상기 워터 서버의 전원 코드의 선단에 설치된 삽입 플러그를 접속한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전원 콘센트로 워터 서버용의 전원과 자주식 청소 로봇용의 충전용의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의 수가 적은 장소에서도, 워터 서버 유닛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 유닛은,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을 겸비한 구성이고, 워터 서버의 하부의 로봇 수용 개구 내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하로 늘어선 배치가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놓을 곳을 확보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 유닛을 전방 상부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서버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워터 서버 유닛의 스탠드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스탠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스탠드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스탠드를 앞쪽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 유닛(1)을 도시한다. 이 워터 서버 유닛(1)은,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2)로부터 음료수를 도입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워터 서버(3)와, 바닥면(F)을 자동적으로 주행하여 바닥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4)을 구비한다. 워터 서버(3)는, 상하로 가늘고 긴 통 형상의 케이스(5)와, 케이스(5)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스탠드(6)를 갖는다. 스탠드(6)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하는 로봇 수용 개구(7)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5)의 상면에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2)가 착탈 가능하게 세팅된다. 원수 용기(2)는, 물 출구(8)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케이스(5)의 상면에 배치된다. 원수 용기(2)의 용량은, 만수(滿水) 상태에서 8리터∼20리터 정도이다. 케이스(5)의 상부에는, 케이스(5)의 상면에 배치한 원수 용기(2)로부터 냉수 탱크(9)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물 도입관(10)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5)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2) 주위를 덮는 화장 커버(11)가 부착된다.
케이스(5)의 내부에는,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9)와,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12)가 수용된다. 냉수 탱크(9)에는, 냉수 탱크(9)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3)가 부착된다. 냉각 장치(13)는, 냉수 탱크(9)의 외주에 감겨진 냉매관(14)과, 케이스(5)의 바닥부(5B)에 고정된 컴프레서(15)와, 케이스(5)의 배면에 배치된 응축기(16)를 배관(17)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냉매관(14)은, 컴프레서(15)의 작동에 의해 마이너스 15℃로부터 마이너스 30℃ 정도로 냉각되고, 냉수 탱크(9)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9)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9)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5)의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관(18)이 접속된다. 냉수 주출관(18)에는, 케이스(5)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냉수 코크(19)가 설치되고, 이 냉수 코크(19)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9)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9)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2)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12)는, 냉수 탱크(9)의 하방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12)에는, 온수 탱크(1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0)가 부착된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20)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내부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12)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12)의 내부에서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12)의 외주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가열 장치(20)는, 온수 탱크(12)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12)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12)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5)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21)가 접속된다. 온수 주출로(21)에는, 케이스(5)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온수 코크(22)가 설치되고, 이 온수 코크(22)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12)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12)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냉수 탱크(9)와 온수 탱크(12)는 탱크 접속관(23)을 통해 연통(連通)되고, 온수 탱크(12)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3)을 통해 냉수 탱크(9)로부터 온수 탱크(12)로 유입되어, 온수 탱크(12)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6)는, 케이스(5)의 바닥부(5B)를 지지하는 상부판(30)과, 상부판(30)의 하측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바닥판(31)과, 상부판(30)의 후방부와 바닥판(31)의 후방부를 접속하는 측판(32)을 갖는다. 스탠드(6)의 상부판(30)과 케이스(5)의 바닥부(5B)는, 스탠드(6)와 케이스(5)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33)으로 체결된다. 체결 수단(33)으로서는, 나사 체결 부재(예컨대 볼트, 너트 등)를 사용할 수 있다. 상부판(30)과 바닥판(31) 사이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수용되는 로봇 수용 개구(7)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32)은, 로봇 수용 개구(7)가 스탠드(6)의 앞쪽으로 개구되도록, 스탠드(6)의 뒤쪽에서 상부판(30)과 바닥판(31)을 결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주식 청소 로봇(4)은, 바닥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34)와, 바닥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35)와, 내장된 충전지(36)를 갖고, 그 충전지(36)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34)와 집진 장치(35)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4)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봤을 때에 25 ㎝∼35 ㎝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4)은, 바닥면(F)을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바닥면(F)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가 5 ㎝∼10 ㎝로 되어 있다.
로봇 수용 개구(7)의 내부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을 로봇 수용 개구(7)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충전지(36)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37)이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37)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자체 주행에 의해 로봇 수용 개구(7)에 들어갔을 때에 자주식 청소 로봇(4)과 접촉하는 위치에 충전 단자(38)가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37)과 스탠드(6)는, 양자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볼트 등의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체결된다.
로봇 수용 개구(7)의 상하 방향의 폭은, 자주식 청소 로봇(4)의 높이보다 0.5 ㎝∼5.0 ㎝ 정도 크게 설정된다. 0.5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자주식 청소 로봇(4)과 상부판(30)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5.0 ㎝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스탠드(6)의 높이를 억제하여, 워터 서버(3)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6)는, 바닥면(F)에 설치했을 때의 점유 면적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방에서 봤을 때에 하나의 변이 50 ㎝(바람직하게는 45 ㎝)인 가상 정사각형 내에 들어가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서버(3)는, 냉각 장치(13), 가열 장치(20), 및 이들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40)를 갖는다. 스탠드(6)에는, 전원 콘센트(41)로부터 충전 터미널(3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42)가 설치된다. 또한, 충전 터미널(37)에는, 전원 코드(42)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탭(43)이 설치된다. 전원 탭(43)에는, 워터 서버(3)의 전원 코드(40)의 선단에 설치되는 삽입 플러그(44)가 접속된다.
이 워터 서버 유닛(1)은, 워터 서버(3)의 하부의 로봇 수용 개구(7) 내에 자주식 청소 로봇(4)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3)와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상하로 늘어선 배치가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놓을 곳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이 워터 서버 유닛(1)은, 워터 서버(3)로부터 스탠드(6)를 떼어냄으로써, 워터 서버(3)를 단일체로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워터 서버 유닛(1)과 단일체로서의 워터 서버(3) 사이에서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어, 저비용이다.
또한, 이 워터 서버 유닛(1)은, 스탠드(6)와 케이스(5)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33)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3)에 부딪치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했을 때에도, 워터 서버(3)의 전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 유닛(1)은, 복수의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전원 콘센트(41)로 워터 서버(3)용의 전원과 자주식 청소 로봇(4)용의 충전용의 전원을 확보한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41)의 수가 적은 장소에서도, 워터 서버 유닛(1)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5)의 하부를 폐색하는 바닥부(5B)에, 바닥부(5B)와는 별개의 스탠드(6)를 고정하고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6)는, 스탠드(6) 그 자체가 케이스(5)의 하부를 폐색하도록[즉, 스탠드(6) 그 자체가 케이스(5)의 바닥부가 되도록] 설치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2)로부터 냉수 탱크(9)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3)를 사용한 워터 서버 유닛(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수도로부터 정수 필터를 통해 냉수 탱크(9)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3)를 사용하여 워터 서버 유닛(1)을 구성해도 좋다.
도 6 내지 도 8에, 스탠드(6)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스탠드(6)는, 케이스(5)의 바닥부(5B)를 지지하는 상부판(30)과, 상부판(30)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F)에 접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50, 51)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다리(50, 51)는, 상부판(30)의 앞쪽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50)와, 상부판(30)의 뒤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51)로 이루어진다. 상부판(30)의 앞쪽의 지지 다리(50)와, 상부판(30)의 뒤쪽의 지지 다리(51)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부판(30)과 바닥면(F) 사이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수용되는 로봇 수용 개구(7)가 형성된다. 로봇 수용 개구(7)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50) 사이로부터 스탠드(6)의 앞쪽으로 개구되며, 스탠드(6)의 앞쪽으로부터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스탠드(6)를 채용하면, 자주식 청소 로봇(4)이 로봇 수용 개구(7)를 출입할 때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닥판(31)을 타고 내리지 않고 바닥면(F) 위만을 주행하여 출입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식 청소 로봇(4)의 출입이 원활하다. 또한, 상부판(30)의 앞쪽의 지지 다리(50)와, 상부판(30)의 뒤쪽의 지지 다리(51) 사이에 전후 방향의 공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자주식 청소 로봇(4)과 충전 터미널(37) 사이에서 양자의 상대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을 행할 때에, 로봇 수용 개구(7)의 내부에서의 적외선의 난반사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적외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자주식 청소 로봇(4)이 로봇 수용 개구(7)로 되돌아가는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1: 워터 서버 유닛 3: 워터 서버
4: 자주식 청소 로봇 5: 케이스
6: 스탠드 7: 로봇 수용 개구
9: 냉수 탱크 13: 냉각 장치
19: 냉수 코크 33: 체결 수단
34: 주행 장치 35: 집진 장치
36: 충전지 37: 충전 터미널
40: 전원 코드 41: 전원 콘센트
42: 전원 코드 43: 전원 탭
44: 삽입 플러그 F: 바닥면

Claims (4)

  1.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9)와, 그 냉수 탱크(9) 내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3)와, 상기 냉수 탱크(9)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19)를 갖는 워터 서버(3)와,
    바닥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34)와, 상기 바닥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35)와, 상기 주행 장치(34) 및 상기 집진 장치(35)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36)를 갖는 자주식 청소 로봇(4)을 구비하고,
    상기 워터 서버(3)의 하부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4)이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하는 로봇 수용 개구(7)를 설치하며,
    그 로봇 수용 개구(7)의 내부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4)을 로봇 수용 개구(7)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지(36)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37)을 설치한 것인, 워터 서버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3)는, 상기 냉수 탱크(9)를 수용하는 케이스(5)와, 상기 로봇 수용 개구(7)를 갖는 스탠드(6)를 갖고, 그 스탠드(6)가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5)의 하단에 부착되는 것인, 워터 서버 유닛.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6)와 상기 케이스(5)는, 양자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33)으로 체결되는 것인, 워터 서버 유닛.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3)는, 상기 냉각 장치(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40)를 갖고,
    상기 스탠드(6)는, 전원 콘센트(41)로부터 상기 충전 터미널(37)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경로(42)와, 그 전원 공급 경로(42)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탭(43)을 가지며,
    그 전원 탭(43)에, 상기 워터 서버(3)의 전원 코드(40)의 선단에 설치된 삽입 플러그(44)를 접속하는 것인, 워터 서버 유닛.
KR1020167023593A 2014-01-31 2014-02-24 워터 서버 유닛 KR1021963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16711 2014-01-31
JP2014016711A JP5543041B1 (ja) 2014-01-31 2014-01-31 ウォーターサーバーユニット
PCT/JP2014/054300 WO2015114841A1 (ja) 2014-01-31 2014-02-24 ウォーターサーバー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3274A true KR20160113274A (ko) 2016-09-28
KR102196367B1 KR102196367B1 (ko) 2020-12-29

Family

ID=51409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593A KR102196367B1 (ko) 2014-01-31 2014-02-24 워터 서버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60331202A1 (ko)
JP (1) JP5543041B1 (ko)
KR (1) KR102196367B1 (ko)
CN (1) CN106163973B (ko)
DE (1) DE112014006313T5 (ko)
TW (1) TWI643806B (ko)
WO (1) WO2015114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14763B1 (ja) * 2014-10-07 2015-05-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6199307A (ja) * 2015-04-13 2016-12-01 Next Innovation合同会社 スタンド
AU2018204467A1 (en) 2017-06-27 2019-01-17 Bissell Inc. Supply and/or disposal system for autonomous floor cleaner
JP7177428B2 (ja) * 2018-06-01 2022-11-24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8436921B (zh) * 2018-06-14 2020-04-24 广东盈科机器人产业有限公司 一种扫地机器人智能控制方法
CN110693394A (zh) * 2018-07-10 2020-01-17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及家用电器系统
WO2021194945A1 (en) 2020-03-22 2021-09-30 Ecolab Usa Inc. Docking station with undercarriage cleaning functionality for floor cleaning machine
CN114504275B (zh) * 2022-01-28 2023-05-05 安克创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集尘站和清洁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11Y1 (ko) * 1995-09-18 1999-02-18 전영호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JP2007301344A (ja) * 2006-04-10 2007-11-22 Toyota Motor Corp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2009238055A (ja) 2008-03-28 2009-10-15 Hitachi Appliances Inc 自走式掃除システム
JP2011046446A (ja) 2009-07-28 2011-03-10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82412A1 (de) * 2001-04-09 2002-10-17 Kenosha Watercooler Vertriebs- Und Service Ag Wasserspender
KR100674564B1 (ko) * 2005-09-08 2007-01-2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액체공급 스테이션을 구비한 이동로봇 시스템 및액체공급방법
TWI330071B (en) * 2007-10-04 2010-09-11 Univ Kao Yuan Platform for replacing battery and dust-collecting box of a cleaning robot
CN101482754B (zh) * 2009-02-04 2011-06-15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机器人制约系统及制约方法
CN101502406B (zh) * 2009-02-20 2012-05-30 泰怡凯电器(苏州)有限公司 地面处理系统及地面处理装置与充电座的快速对接方法
US8316499B2 (en) * 2010-01-06 2012-11-27 Evolution Robotics, Inc. Apparatus for holding a cleaning sheet in a cleaning implement
KR101021267B1 (ko) * 2010-09-20 2011-03-11 주식회사 모뉴엘 청소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TWM412591U (en) * 2011-03-23 2011-09-21 Micro Star Int Co Ltd Electrodes storage structure for cleaning robot
JP5487164B2 (ja) * 2011-07-08 2014-05-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および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空気殺菌チャンバ
CN202821218U (zh) * 2012-10-09 2013-03-27 上海锍铧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扫地机充电座
CN203340098U (zh) * 2013-01-21 2013-12-11 上海科斗电子科技有限公司 红外中转智能家居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11Y1 (ko) * 1995-09-18 1999-02-18 전영호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JP2007301344A (ja) * 2006-04-10 2007-11-22 Toyota Motor Corp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2009238055A (ja) 2008-03-28 2009-10-15 Hitachi Appliances Inc 自走式掃除システム
JP2011046446A (ja) 2009-07-28 2011-03-10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43806B (zh) 2018-12-11
DE112014006313T5 (de) 2016-10-27
CN106163973B (zh) 2018-06-12
CN106163973A (zh) 2016-11-23
KR102196367B1 (ko) 2020-12-29
US20160331202A1 (en) 2016-11-17
JP5543041B1 (ja) 2014-07-09
JP2015143111A (ja) 2015-08-06
TW201532944A (zh) 2015-09-01
WO2015114841A1 (ja) 2015-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13274A (ko) 워터 서버 유닛
US9307888B2 (en) System for charging a power supply in a closure element of a household appliance
AU764056B2 (en) Dish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n electric-hydraulic functional unit
KR101188513B1 (ko) 냉장고
KR100982615B1 (ko) 축산용 급수장치
WO2015122023A1 (ja) 台座
KR20170085506A (ko) 이동형 식기 세척기
JPS61502237A (ja) 廃エネルギ−の回収ユニツトおよび方法
CN104833158A (zh) 冰箱
KR20160119132A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JP2010065974A (ja) 冷蔵庫
KR20160145706A (ko)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US2849588A (en) Mop bucket
US5513667A (en) Parts washing apparatus
EP3699138A1 (en) Water based liquid supply system
AU20194183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in chilled condition
US5950647A (en) Parts washing apparatus
KR101056854B1 (ko) 음수공급장치의 온수 취수 및 정수통의 살균장치
CN211560025U (zh) 厨卫清洁装置及水槽组件
CN203379353U (zh) 家用桑拿机
KR20140106331A (ko)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GB2509689A (en) Portable shower
US20050236022A1 (en) Ostomy bag cleaning device
US201202407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lting and maintaining temperature of semi-solid cooking media
WO2015166593A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