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706A -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706A
KR20160145706A KR1020167031755A KR20167031755A KR20160145706A KR 20160145706 A KR20160145706 A KR 20160145706A KR 1020167031755 A KR1020167031755 A KR 1020167031755A KR 20167031755 A KR20167031755 A KR 20167031755A KR 20160145706 A KR20160145706 A KR 2016014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rver
cleaning robot
self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148B1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6014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7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84Details of arrangements of batteries or their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 거치 장소를 확보하기 쉬운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워터 서버(1)를 받쳐서 지지하는 서버 받침면(4a)과, 그 서버 받침면(4a)보다 하측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갖는, 받침대(4)를 설치하고, 그 받침대(4)의 로봇 수용 공간(5)에 충전 터미널(43)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METHOD FOR INSTALLING SELF-PROPELLED CLEANING ROBOT AND WATER SERVER}
본 발명은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었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와,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를 가지며, 이 냉수 코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언제나 맛있는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한편, 최근 청소에 드는 수고를 대폭 줄이는 가전으로서, 자주식 청소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통상,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와,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내장된 충전지를 가지며, 그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와 집진 장치를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바닥면을 청소하기 때문에, 외출했을 때나 다른 방에 있을 때에도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2).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46446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8055호 공보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가 종료하면, 바닥에 놓인 충전 터미널로 자체 주행에 의해 되돌아가 충전을 행한다. 즉,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청소기와 같이 벽장에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놓인 충전 터미널에서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바닥 위에 충전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지만, 한정된 거주 공간에 있어서, 바닥에 충전중인 자주식 청소 로봇이 있으면 거추장스러워지기 쉽다.
그런데,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를 모두 설치하면, 편리성을 현저히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한편,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 장소와 워터 서버의 거치 장소를 각각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내의 스페이스가 대폭 좁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발명자는, 바닥에 놓인 충전 터미널에서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자주식 청소 로봇의 상측에 상하로 가늘고 긴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워터 서버를 설치함으로써, 한정된 거주 공간을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생각해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 거치 장소를 확보하기 쉬운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채용했다.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를 갖는 워터 서버와,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와, 상기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상기 주행 장치 및 상기 집진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를 갖는 자주식 청소 로봇
을 설치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워터 서버를 받쳐서 지지하는 서버 받침면과, 그 서버 받침면보다 하측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을 갖는, 받침대를 설치하고,
그 받침대의 상기 로봇 수용 공간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받침대가 갖는 로봇 수용 공간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이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거치 장소를 확보하기 쉽다.
상기 받침대와 상기 워터 서버를, 양자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 수단으로 연결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사람이 워터 서버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했을 때에 워터 서버가 받침대 위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서버가 수지제의 저판을 가지며, 그 저판의 하면에,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연결 수단으로는, 예컨대,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에 끼워 넣도록 상기 받침대의 서버 받침면에 설치되는 기둥형 볼록부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수지제의 저판에 리브를 갖는 기존의 워터 서버를 추가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워터 서버의 저판에 설치된 리브가, 저판의 보강 기능과 워터 서버의 굴러 떨어짐 방지 기능을 겸비하게 되어 효율적이다.
상기 기둥형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 중의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에 각각 끼워 넣도록, 상기 받침대의 서버 받침면에 2개 이상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워터 서버와 받침대 사이에 모멘트 하중(즉 워터 서버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받침대와 워터 서버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충전 터미널은, 전원 콘센트로부터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로와, 그 전력 공급로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탭을 가지며,
그 전원 탭에, 상기 워터 서버의 전원 코드의 선단에 설치되는 삽입 플러그를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전원 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전원 콘센트로 워터 서버용 전원과 자주식 청소 로봇용의 충전용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 가능한 전원 콘센트의 수가 적은 장소에도,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양자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받침대는, 상기 서버 받침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둘레벽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워터 서버로부터 만일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받침면을 둘러싸는 둘레벽부가 물을 막아내기 때문에, 자주식 청소 로봇 및 충전 터미널의 누전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는, 물의 유무에 따라서 누수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를 상기 둘레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갖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둘레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고여 있는 물에 따라서, 누수 인디케이터가 누수의 통지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만일 누수되었을 때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져, 자주식 청소 로봇 및 충전 터미널의 누전이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은, 받침대가 갖는 로봇 수용 공간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이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거치 장소를 확보하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으로 설치한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받침대 근방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케이스의 저판을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하는 받침대를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도 4의 VIII-VIII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하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하는 누수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으로 설치한 워터 서버(1)와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도시한다.
워터 서버(1)와 바닥면(F)의 사이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갖는 받침대(4)가 설치된다. 받침대(4)는 수평한 바닥면(F) 위에 받쳐지고, 그 받침대(4)의 상부에 설치된 서버 받침면(4a) 위에 워터 서버(1)가 받쳐진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워터 서버(1)와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상하로 나란하도록, 워터 서버(1)와 바닥면(F)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 서버(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6)과, 통벽(6)의 상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상판(7)과, 통벽(6)의 하부를 막도록 설치되는 저판(8)으로 이루어진 케이스(3)를 갖는다. 통벽(6)은, 좌우 한 쌍의 측면판(10)과, 측면판(10)의 전방 가장자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전면판(11)과, 측면판(10)의 후방 가장자리들을 서로 연결하는 후면판(12)으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벽(6)은, 대략 사각형의 외주를 갖는 각진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대략 원형의 외주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채용해도 좋다.
케이스(3)의 상판(7)에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3)가 착탈 가능하게 셋팅된다. 원수 용기(13)는, 물출구(14)를 아래로 향하게 한 자세로 케이스(3)의 상판(7)에 받쳐진다. 원수 용기(13)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8∼20 리터 정도이다. 케이스(3)의 상판(7)에는, 상판(7)의 위에 받쳐지는 원수 용기(13)로부터 케이스(3)의 내부의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물도입관(16)이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3)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13)를 덮는 화장 커버(17)가 부착된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15)와,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18)가 수용된다. 냉수 탱크(15)에는, 냉수 탱크(15)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19)가 부착된다. 냉각 장치(19)는, 냉수 탱크(15)의 외주에 감기는 냉매관(20)과, 케이스(3)의 저판(8)에 고정되는 압축기(21)와, 케이스(3)의 후면판(12)에 고정되는 응축기(22)를 배관(23)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냉매관(20)은, 압축기(21)의 작동에 의해 마이너스 15℃로부터 마이너스 30℃ 정도로 냉각되고, 냉수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냉수 탱크(15)의 저면에는, 냉수 탱크(15)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관(24)이 접속된다. 냉수 주출관(24)에는,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5)가 설치되고, 이 냉수 코크(25)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15)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게 된다. 냉수 탱크(15)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3)의 용량보다 작고, 2∼4 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18)는, 냉수 탱크(15)의 하측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18)에는, 온수 탱크(18)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6)가 부착된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26)에 시스 히터를 채용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내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18)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18)의 내부에서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18)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가열 장치(26)는, 온수 탱크(18)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18)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18)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27)가 접속된다. 온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28)가 설치되고, 이 온수 코크(28)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18)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게 된다. 온수 코크(28)는, 냉수 코크(25)와 마찬가지로 케이스(3)의 앞쪽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18)의 용량은 1∼2 리터 정도이다.
냉수 탱크(15)와 온수 탱크(18)는 탱크 접속관(29)을 통해 연통되고, 온수 탱크(18)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9)을 통과하여 냉수 탱크(15)로부터 온수 탱크(18)로 유입되어, 온수 탱크(18)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4)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를 받쳐서 지지하는 서버 받침면(4a)과, 상측에서 볼 때 서버 받침면(4a)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둘레벽부(30)와, 서버 받침면(4a)과 둘레벽부(30) 사이에서 둘레벽부(30)를 따라서 연장되는 집수홈(31)과, 서버 받침면(4a)의 중앙과 집수홈(31)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연장되는 제2 집수홈(32)과,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갖는다.
서버 받침면(4a)은, 서버 받침면(4a)에 받쳐지는 케이스(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저판(8)과 동일한 면적이거나 그것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또한, 서버 받침면(4a)은, 도면에서는 수평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부(30)는, 서버 받침면(4a)보다 높은 위치까지 돌출된 부분이 서버 받침면(4a)을 둘러싸도록 이어진 형상을 가지며, 서버 받침면(4a)에 받쳐지는 케이스(3)로부터 만일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받침면(4a)보다 높은 위치까지 물을 막아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홈(31)은, 상측에서 볼 때,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저판(8)을 둘러싸도록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제2 집수홈(32)은,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저판(8)의 바로 아래로부터 저판(8)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집수홈(31)에 연통된다.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집수홈(31)은, 이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연통하도록 배치된다. 집수홈(31)의 홈바닥 및 제2 집수홈(32)의 홈바닥은, 누수 인디케이터(33)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집수홈(31) 및 제2 집수홈(32)의 어느 부분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그 물이 각 집수홈(31, 32)의 홈바닥의 경사에 의해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하여 유도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판(8)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35)가 설치된다. 저판(8)은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된다. 각 리브(35)는, 저판(8)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드리워진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리브(35)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저판(8)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교차하는 동심원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35)를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3,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4)의 서버 받침면(4a)에는, 저판(8)의 하면의 기둥형 오목부(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 넣도록 기둥형 볼록부(36)가 설치된다. 기둥형 볼록부(36)는,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 넣었을 때에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여기서는, 기둥형 오목부(34)의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34a)에 평행한 수직면(36a)을 외주에 가지며, 이 수직면(36a)이 내면(34a)에 접촉함으로써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이며, 받침대(4)와 케이스(3)를 양자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하는 연결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기둥형 오목부(34)와 기둥형 볼록부(36) 사이의 수평 방향의 여유는 2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로 이루어진다. 또한, 기둥형 볼록부(36)는, 저판(8)의 하면의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의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 넣도록 2개 이상(도면에서는 4개) 설치된다.
도 3,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4)는, 서버 받침면(4a)과 바닥면(F)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도록 서버 받침면(4a)의 외주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어 바닥면(F)에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37, 38)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다리(37, 38)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7)와, 케이스(3)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8)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지지 다리(37, 38)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키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전측의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7)의 간격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자주식 청소 로봇(2)이 받침대(4)의 전측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7)의 사이를 통과하여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체 주행에 의해 출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받침대(4)는, 로봇 수용 공간(5)의 후측에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를 갖는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바닥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40)와, 바닥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41)와, 내장된 충전지(42)를 가지며, 그 충전지(4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40)와 집진 장치(41)를 구동시켜, 바닥면(F)을 자동적으로 주행하여 청소한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에서 봤을 때에 25∼35 cm의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바닥면(F)을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바닥면(F)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가 5∼10 cm로 이루어진다.
로봇 수용 공간(5)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충전지(4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이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43)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로봇 수용 공간(5)에 수용된 상태에서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접촉하는 위치에 충전 단자(44)가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는, 충전 터미널(43)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충전 터미널(43)을 지지한다.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와 충전 터미널(43)은, 단순히 접촉시키기만 해도 좋지만, 비스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서로 고정시키면 충전 터미널(43)의 위치가 보다 안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바닥면(F)의 청소가 종료하면 로봇 수용 공간(5)으로 자체 주행에 의해 되돌아가 충전을 행하지만, 자체 주행에 의해 되돌아가지 않을 때에는 사람이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으로 되돌아가도록 함에 의해 충전한다.
로봇 수용 공간(5)의 상하 방향의 폭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높이보다 0.5∼5.0 cm 정도 크게 설정된다. 0.5 cm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자주식 청소 로봇(2)과 받침대(4)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5.0 cm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받침대(4)의 지지 다리(37, 38)의 길이를 억제하여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대(4)는, 바닥면(F)에 설치했을 때의 점유 면적을 억제하기 위해, 상측에서 봤을 때에 한변이 50 cm(바람직하게는 45 cm)인 가상 정방형 내에 들어가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받침대(4)의 상면으로 개구되어 지지 다리(37)의 내부로 연장되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와,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에 삽입되는 물검출 플로우트(51)를 갖는다.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는, 집수홈(31)으로부터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에 그 물이 바닥면(F)에 누수되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검출 플로우트(51)는, 헤드부(52)와, 헤드부(5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본체부(53)를 갖는다.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물검출 플로우트(51)의 헤드부(52)는 외부로 노출되고,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가려져,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놓인다.
물검출 플로우트(51)는, 전체적으로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되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물검출 플로우트(51)로서, 비발포 수지로 표면을 덮은 중공 구조인 것을 채용하고 있지만, 발포 수지로 전체를 성형한 것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검출 플로우트(51)의 헤드부(52)에는, 받침대(4)의 둘레벽부(30)의 표면과 동일한 색이 부착된다. 한편,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즉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했을 때에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누수의 통지색이 부착된다. 받침대(4)의 둘레벽부(30)에, 흑색, 회색, 백색, 엷은 청색, 갈색 등의 색이 부착될 때, 누수의 통지색으로는, 받침대(4)의 둘레벽부(30)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적색, 노란색 등이다. 적색과 노란색을 교대로 부착해도 좋다.
이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물의 유무에 따라서, 누수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검출 플로우트(51)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에 부착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누수의 비통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검출 플로우트(51)가 물의 부력에 의해 상승하고,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에 부착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에서 보이게 되어, 누수의 통지 상태가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에는, 냉각 장치(19), 가열 장치(26) 및 이들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60)가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43)에는, 전원 콘센트(61)로부터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충전지(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62)가 설치된다. 또한, 충전 터미널(43)에는, 전원 코드(62)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탭(63)이 설치된다. 전원 탭(63)에는, 워터 서버(1)의 전원 코드(60)의 선단에 설치된 삽입 플러그(64)가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은, 받침대(4)가 갖는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했을 때에, 워터 서버(1)와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상하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공간이 절약된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에서도 거치 장소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받침대(4)와 워터 서버(1)를, 양자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기둥형 볼록부(36)로 연결하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1)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했을 때에 워터 서버(1)가 받침대(4) 위로부터 굴러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수지제의 저판(8)에 리브(35)를 갖는 기존의 워터 서버(1)를 추가로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워터 서버(1)의 저판(8)에 설치된 리브(35)가, 저판(8)의 보강 기능과 워터 서버(1)의 굴러 떨어짐 방지 기능을 겸비하게 되어 효율적이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받침대(4)의 서버 받침면(4a)의 기둥형 볼록부(36)가, 저판(8)의 하면의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의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 넣도록 2개 이상 설치되기 때문에, 워터 서버(1)와 받침대(4) 사이에 모멘트 하중(즉 워터 서버(1)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했을 때에도, 받침대(4)와 워터 서버(1)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복수의 전원 콘센트(61)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 전원 콘센트(61)로 워터 서버(1)의 전원과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충전용 전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 가능한 전원 콘센트(61)의 수가 적은 장소에도,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양자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워터 서버(1)로부터 만일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받침면(4a)을 둘러싸는 둘레벽부(30)가 물을 막아내기 때문에, 자주식 청소 로봇(2) 및 충전 터미널(43)의 누전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고여 있는 물에 따라서,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누수의 통지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워터 서버(1)의 케이스(3)로부터 조금씩 누수될 때(예컨대, 미량의 물이 스며 나와 누수될 때)에는, 누수된 물이 눈에 보이는 형태로서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누수의 발견이 지연되기 쉬워, 자주식 청소 로봇(2) 및 충전 터미널(43)이 부지중에 누전이나 고장날 우려가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여, 자주식 청소 로봇(2) 및 충전 터미널(43)의 누전이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서버 받침면(4a)과 둘레벽부(30) 사이에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연통하는 집수홈(31)이 형성되기 때문에, 서버 받침면(4a)에 유출된 물이 집수홈(31)을 통과하여 누수 인디케이터(33)에 도달하기 쉬워,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실시형태의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설치 방법에서는, 집수홈(31)의 홈바닥 및 제2 집수홈(32)의 홈바닥에, 누수 인디케이터(33)에 근접함에 따라서 점차 낮아지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집수홈(31, 32)에 고여 있는 물이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하여 유도되어, 누수된 물의 양이 적은 단계에서도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매우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도 11에, 누수 인디케이터(33)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는 흡수성 폴리머(54)가 설치된다. 물검출 플로우트(51)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의 내저면(50a)과 대향하는 하단면(51a)을 갖는다. 흡수성 폴리머(54)는, 물검출 플로우트(51)의 하단면(51a)과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의 내저면(50a)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성 폴리머(54)는, 물을 흡수하여 자체 중량의 100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흡수성 폴리머(54)로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 누수 인디케이터(33)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물의 유무에 따라서, 누수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검출 플로우트(51)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에 부착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아, 누수의 비통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 내의 흡수성 폴리머(54)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그 팽창한 흡수성 폴리머(54)가 물검출 플로우트의 하단면(51a)을 밀어 올림으로써 물검출 플로우트(51)가 상승하고, 물검출 플로우트(51)의 본체부(53)에 부착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에서 보이게 되어, 누수의 통지 상태가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하면, 흡수성 폴리머(54)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물검출 플로우트(51)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물의 부력에 의해 물검출 플로우트(51)를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물검출 플로우트(51)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물검출 플로우트(51)가 흡수성 폴리머(54)에 의해 밀려 올라갔을 때에, 물검출 플로우트(51)가 플로우트 수용 오목부(50)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누수를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수 인디케이터(33)로서, 물검출 플로우트를 이용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형식의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물에 젖으면 색이 변하는 소재를 이용한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3)로부터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1)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수도로부터 정수 필터를 통해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 워터 서버 2 : 자주식 청소 로봇
4 : 받침대 4a : 서버 받침면
5 : 로봇 수용 공간 8 : 저판
15 : 냉수 탱크 19 : 냉각 장치
25 : 냉수 코크 30 : 둘레벽부
34 : 기둥형 오목부 35 : 리브
36 : 기둥형 볼록부 40 : 주행 장치
41 : 집진 장치 42 : 충전지
43 : 충전 터미널 60 : 전원 코드
61 : 전원 콘센트 62 : 전원 코드
63 : 전원 탭 64 : 삽입 플러그
F : 바닥면

Claims (7)

  1.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15)와, 그 냉수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19)와, 상기 냉수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25)를 갖는 워터 서버(1)와,
    바닥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40)와, 상기 바닥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41)와, 상기 주행 장치(40) 및 상기 집진 장치(41)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지(42)를 갖는 자주식 청소 로봇(2)
    을 설치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으로서,
    상기 워터 서버(1)를 받쳐서 지지하는 서버 받침면(4a)과, 그 서버 받침면(4a)보다 하측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갖는, 받침대(4)를 설치하고,
    그 받침대(4)의 상기 로봇 수용 공간(5)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을 설치하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와 상기 워터 서버(1)를, 양자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 수단으로 연결하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서버(1)가 수지제의 저판(8)을 가지며, 그 저판(8)의 하면에는, 하측으로 개구된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35)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의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 넣도록 상기 받침대(4)의 서버 받침면(4a)에 설치되는 기둥형 볼록부(36)인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볼록부(36)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의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 넣도록, 상기 받침대(4)의 서버 받침면(4a)에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터미널(43)은, 전원 콘센트(61)로부터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충전지(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로(62)와, 그 전력 공급로(62)로부터 분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탭(63)을 가지며,
    그 전원 탭(63)에, 상기 워터 서버(1)의 전원 코드(60)의 선단에 설치된 삽입 플러그(64)를 접속하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상기 서버 받침면(4a)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둘레벽부(30)를 갖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물의 유무에 따라서 누수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상기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갖는 것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KR1020167031755A 2014-04-15 2014-04-17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KR1021461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3318 2014-04-15
JP2014083318A JP5571267B1 (ja) 2014-04-15 2014-04-15 自走式掃除ロボットとウォーターサーバーの設置方法
PCT/JP2014/060931 WO2015159406A1 (ja) 2014-04-15 2014-04-17 自走式掃除ロボットとウォーターサーバーの設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706A true KR20160145706A (ko) 2016-12-20
KR102146148B1 KR102146148B1 (ko) 2020-08-19

Family

ID=5142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755A KR102146148B1 (ko) 2014-04-15 2014-04-17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71267B1 (ko)
KR (1) KR102146148B1 (ko)
CN (1) CN106132866B (ko)
TW (1) TWI667006B (ko)
WO (1) WO2015159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1766A (zh) * 2017-03-29 2017-08-22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家庭监控的饮水机器人
CN108879807A (zh) * 2017-07-10 2018-11-23 北京石头世纪科技有限公司 充电桩及应用该充电桩的寻桩方法以及充电控制系统
TWI675528B (zh) 2018-06-28 2019-10-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便於回歸對位的機器人系統
CN109434857A (zh) * 2019-01-17 2019-03-08 临沂大学 一种应用于图书馆的图书馆服务机器人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841A (ja) * 2004-01-30 2005-08-11 Yoshitoshi Maeda 漏水防止装置を備えた浄水器
JP3143767U (ja) * 2008-04-09 2008-08-07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US20090134074A1 (en) * 2007-11-28 2009-05-28 Doran Paul S Water Purification, Enhancement, and Dispensing Appliance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2009238055A (ja) 2008-03-28 2009-10-15 Hitachi Appliances Inc 自走式掃除システム
JP2011046446A (ja) 2009-07-28 2011-03-10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60119132A (ko) * 2014-02-07 2016-10-12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767B2 (ja) * 1994-04-08 2001-03-07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バルブ開度センサ
JP4916266B2 (ja) * 2006-04-10 2012-04-1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CN106882758B (zh) * 2010-02-24 2020-04-07 目的株式会社 饮用水供应装置
CN103359673A (zh) * 2012-04-02 2013-10-23 丸米株式会社 机械肘和液体倾倒设备
JP5583296B1 (ja) * 2014-04-15 2014-09-0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841A (ja) * 2004-01-30 2005-08-11 Yoshitoshi Maeda 漏水防止装置を備えた浄水器
US20090134074A1 (en) * 2007-11-28 2009-05-28 Doran Paul S Water Purification, Enhancement, and Dispensing Appliance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2009238055A (ja) 2008-03-28 2009-10-15 Hitachi Appliances Inc 自走式掃除システム
JP3143767U (ja) * 2008-04-09 2008-08-07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JP2011046446A (ja) 2009-07-28 2011-03-10 Shinichi Yano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160119132A (ko) * 2014-02-07 2016-10-12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1267B1 (ja) 2014-08-13
CN106132866A (zh) 2016-11-16
CN106132866B (zh) 2017-11-10
TW201544065A (zh) 2015-12-01
KR102146148B1 (ko) 2020-08-19
TWI667006B (zh) 2019-08-01
JP2015202887A (ja) 2015-11-16
WO2015159406A1 (ja)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3864B (zh) 台座
TWI636946B (zh) 飲水機及飲水機用之飲水機托盤
JP5543041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ユニット
KR20160145706A (ko)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US20150083251A1 (en) Water dispenser
KR102280139B1 (ko) 워터 서버
TW201538412A (zh) 附底座之飲水機
JP635934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11041253U (zh) 一种空调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