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139B1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139B1
KR102280139B1 KR1020167030131A KR20167030131A KR102280139B1 KR 102280139 B1 KR102280139 B1 KR 102280139B1 KR 1020167030131 A KR1020167030131 A KR 1020167030131A KR 20167030131 A KR20167030131 A KR 20167030131A KR 102280139 B1 KR102280139 B1 KR 102280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rver
case
columna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048A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60145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아래에 서버 트레이를 마련하였을 때에, 케이스가 서버 트레이의 위에서 미끄러져 전도하는 것을 방지한다. 케이스(3)의 바닥판(8)의 하면에, 하방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35)를 마련하며, 서버 트레이(4)의 서버 배치면(4a)에,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지는 기둥형 볼록부(36)를 마련하고, 그 기둥형 볼록부(36)와 기둥형 오목부(34)의 끼워 맞춤에 의해 케이스(3)와 서버 트레이(4)를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한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높아짐으로,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케이스의 외부에 주출하는 냉수 코크를 가지고, 이 냉수 코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언제나 맛있는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46446호 공보
그런데, 워터 서버는, 마루 등의 마루면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워터 서버로부터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그 물로 마루면이 젖으면, 마루면이 부식되거나 변색되거나 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조금씩 누수될 때(예컨대, 미량의 물이 스며나오도록 누수될 때)는, 누출된 물이 눈에 띄는 형태로서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누수의 발견이 지연되기 쉽고, 그 결과, 마루면의 부식 등이 생기기 쉽다.
그래서, 본원의 발명자는, 마루면이 젖는 것을 방지하는 대책으로서 서버 트레이를 마련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즉,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아래에 서버 트레이를 마련하고, 워터 서버로부터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그 물을 서버 트레이로 받아냄으로써, 마루면의 젖음을 방지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그러나,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아래에 서버 트레이를 마련하는 경우, 그 서버 트레이를 플라스틱(경질 수지)이나 금속 등의 비교적 미끄러지기 쉬운 재질로 형성하면, 사람이 워터 서버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하였을 때에 워터 서버의 케이스가 서버 트레이의 위에서 미끄러져, 워터 서버의 케이스가 전도할 우려가 생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워터 서버의 케이스의 아래에 서버 트레이를 마련하였을 때에, 케이스가 서버 트레이의 위에서 미끄러져 전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이하의 구성을 워터 서버에 채용하였다.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과, 그 통벽의 상부를 막도록 마련된 천장판과, 상기 통벽의 하부를 막도록 마련된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와,
상기 냉수 탱크 내의 음료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주출하는 냉수 코크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을 지지하는 서버 배치면을 갖는 서버 트레이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로서,
상기 바닥판은 수지제이며, 그 바닥판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가 마련되고,
상기 서버 트레이의 서버 배치면에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에 끼워지는 기둥형 볼록부가 마련되며, 그 기둥형 볼록부와 상기 기둥형 오목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케이스와 상기 서버 트레이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기둥형 볼록부와 기둥형 오목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케이스와 서버 트레이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하였을 때에, 케이스가 서버 트레이의 위에서 미끄러져 전도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워터 서버의 수지제의 바닥판이 보강용의 리브를 하면에 가질 때에, 그 바닥판을 추가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바닥판에 마련된 리브가, 바닥판의 보강 기능과, 케이스의 전도 방지 기능을 겸비하게 되어, 효율적이다.
상기 기둥형 볼록부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 중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서버 배치면에 2개 이상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케이스와 서버 트레이 사이에 모멘트 하중(즉 케이스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도, 케이스와 서버 트레이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트레이는, 상기 서버 배치면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둘레벽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워터 서버로부터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배치면을 둘러싸는 둘레벽부가 물을 막기 때문에, 마루면이 젖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트레이는,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를 상기 둘레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갖는 구성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둘레벽부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모인 물에 따라, 누수 인디케이터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버 트레이는, 상기 서버 배치면과 상기 둘레벽부 사이에서 상기 둘레벽부를 따라 연장되는 집수홈을 더 구비하고, 그 집수홈에 연통하도록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가 배치된 것을 채용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서버 트레이 상의 물이 집수홈을 통하여 누수 인디케이터에 도달하기 쉬워져, 조기에 누수를 발견할 수 있다.
상기 집수홈의 홈 바닥에,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마련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집수홈에 모인 물이, 집수홈의 홈 바닥의 경사에 의해 누수 인디케이터를 향하여 유도되기 때문에, 누수된 물의 양이 적은 단계라도, 누수 인디케이터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버 트레이는, 상기 서버 배치면과 마루면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서버 배치면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그를 갖는 구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자주식 청소 로봇을 로봇 수용 공간에 수용하였을 때에,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하로 배열된 배치로 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적이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이라도, 자주식 청소 로봇와 워터 서버를 둘 곳을 확보하기 쉽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기둥형 볼록부와 기둥형 오목부의 끼워 맞춤에 의해 케이스와 서버 트레이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하였을 때에, 워터 서버의 케이스가 서버 트레이의 위에서 미끄러져 전도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에게 자주식 청소 로봇을 조합한 워터 서버 유닛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서버 트레이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케이스의 바닥판을 하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내는 서버 트레이를 상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VII-V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VIII-VIII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누수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1)에, 마루면(F)을 자동적으로 주행시켜 마루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조합한 워터 서버 유닛을 나타낸다.
워터 서버(1)는, 수평인 마루면(F)의 상방에 배치된 케이스(3)와, 케이스(3)와 마루면(F) 사이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서버 트레이(4)를 갖는다. 서버 트레이(4)와 마루면(F) 사이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자주하여 출입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터 서버(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6)과, 통벽(6)의 상부를 막도록 마련된 천장판(7)과, 통벽(6)의 하부를 막도록 마련된 바닥판(8)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를 갖는다. 통벽(6)은, 좌우 한쌍의 측면판(10)과, 측면판(10)의 앞쪽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전방면판(11)과, 측면판(10)의 뒤쪽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판(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벽(6)은, 대략 사각형의 외주를 갖는 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대략 원형의 외주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한 것을 채용하여도 좋다.
케이스(3)의 천장판(7)에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3)가 착탈 가능하게 셋트되어 있다. 원수 용기(13)는, 수출구(14)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케이스(3)의 천장판(7)에 배치된다. 원수 용기(13)의 용량은, 만수 상태로 8리터∼20리터 정도이다. 케이스(3)의 천장판(7)에는, 천장판(7)의 위에 배치한 원수 용기(13)로부터 케이스(3)의 내부의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물 도입관(1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13)를 덮는 화장 커버(17)가 부착되어 있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15)와,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18)가 수용되어 있다. 냉수 탱크(15)에는, 냉수 탱크(15)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9)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 장치(19)는, 냉수 탱크(15)의 외주에 감긴 냉매관(20)과, 케이스(3)의 바닥판(8)에 고정된 압축기(21)와, 케이스(3)의 후면판(12)에 고정된 응축기(22)를 배관(23)으로 접속하여 구성되어 있다. 냉매관(20)은, 압축기(21)의 작동에 의해 마이너스 15℃ 내지 마이너스 30℃ 정도로 냉각되어, 냉수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15)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15)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관(24)이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관(24)에는,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5)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25)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15)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냉수 탱크(15)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3)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18)는, 냉수 탱크(15)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온수 탱크(18)에는, 온수 탱크(18)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6)가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26)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의 속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며, 온수 탱크(18)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18)의 내부를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며, 온수 탱크(18)의 외주에 밀착하여 부착된다. 가열 장치(26)는, 온수 탱크(18)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18)의 상면에는, 온수 탱크(18)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27)가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3)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28)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28)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18)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에 주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온수 코크(28)는, 냉수 코크(25)와 마찬가지로 케이스(3)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온수 탱크(18)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냉수 탱크(15)와 온수 탱크(18)는 탱크 접속관(29)을 통해 연통하고 있으며, 온수 탱크(18)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9)을 통하여 냉수 탱크(15)로부터 온수 탱크(18)에 유입되어, 온수 탱크(18)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트레이(4)는, 케이스(3)의 바닥판(8)을 지지하는 서버 배치면(4a)과, 상방에서 보아 서버 배치면(4a)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둘레벽부(30)와, 서버 배치면(4a)과 둘레벽부(30) 사이에서 둘레벽부(30)를 따라 연장되는 집수홈(31)과, 서버 배치면(4a)의 중앙과 집수홈(31) 사이를 연통하도록 연장되는 제2 집수홈(32)과,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한 누수 인디케이터(33)를 갖는다.
서버 배치면(4a)은, 서버 배치면(4a)에 배치된 케이스(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스(3)의 바닥판(8)과 동일한 면적이나 그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다. 또한, 서버 배치면(4a)은, 도면에서는 수평인 평면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부(30)는, 서버 배치면(4a)보다 높은 위치까지 돌출하는 부분이 서버 배치면(4a)을 둘러싸도록 연속한 형상을 가지고, 서버 배치면(4a)에 배치한 케이스(3)로부터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배치면(4a)보다 높은 위치까지 물을 막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수홈(31)은, 상방에서 보아,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바닥판(8)을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집수홈(32)은,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바닥판(8)의 바로 아래부터 바닥판(8)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집수홈(31)에 연통하고 있다.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전방측에 마련되어 있고, 집수홈(31)은, 이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집수홈(31)의 홈 바닥 및 제2 집수홈(32)의 홈 바닥은, 누수 인디케이터(33)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집수홈(31) 및 제2 집수홈(32) 중 어느 부분에 물이 유입되어도, 그 물이 각 집수홈(31, 32)의 홈 바닥의 경사에 의해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하여 유도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판(8)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리브(35)가 마련되어 있다. 바닥판(8)은, 수지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리브(35)는, 바닥판(8)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연장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를 배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리브(35)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바닥판(8)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교차하는 동심 원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35)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3,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트레이(4)의 서버 배치면(4a)에는, 바닥판(8)의 하면의 기둥형 오목부(34) 중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지도록 기둥형 볼록부(36)가 마련되어 있다. 기둥형 볼록부(36)는,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졌을 때에 수평 방향의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여기서는, 기둥형 오목부(34)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면(34a)에 평행한 수직면(36a)을 외주에 가지고, 이 수직면(36a)이 내면(34a)에 접촉함으로써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형상]으로 되고, 이 기둥형 볼록부(36)와 기둥형 오목부(34)의 끼워 맞춤에 의해 케이스(3)와 서버 트레이(4)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연결되어 있다. 기둥형 오목부(34)와 기둥형 볼록부(36) 사이의 수평 방향의 여유는 2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로 되어 있다. 또한, 기둥형 볼록부(36)는, 바닥판(8)의 하면의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지도록 2개 이상(도면에서는 4개) 마련되어 있다.
도 3,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 트레이(4)는, 서버 배치면(4a)과 마루면(F)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도록 서버 배치면(4a)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루면(F)에 접촉하는 복수의 지지 레그(37, 38)를 갖는다. 복수의 지지 레그(37, 38)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지지 레그(37)와, 케이스(3)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지지 레그(38)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지지 레그(37, 38)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키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의 좌우 한쌍의 지지 레그(37)의 간격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서버 트레이(4)의 전방측으로부터 좌우 한쌍의 지지 레그(37) 사이를 통하여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하여 출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서버 트레이(4)는, 로봇 수용 공간(5)의 후방측에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를 갖는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마루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40)와, 마루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41)와, 내장된 충전지(42)를 가지고, 그 충전지(4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40)와 집진 장치(41)를 구동시켜, 마루면(F)을 자동적으로 주행하여 청소한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25 ㎝∼35 ㎝의 직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마루면(F)을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마루면(F)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가 5 ㎝∼10 ㎝로 되어 있다.
로봇 수용 공간(5)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 내에 수용한 상태로 충전지(4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이 설치되어 있다. 충전 터미널(43)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로봇 수용 공간(5)에 수용된 상태로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접촉하는 위치에 충전 단자(44)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는, 충전 터미널(43)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충전 터미널(43)을 지지하고 있다. 충전 터미널 지지 부재(39)와 충전 터미널(43)은, 단순히 접촉시킬 뿐이어도 좋지만, 비스 등의 고정 수단으로 서로 고정하면 충전 터미널(43)의 위치가 보다 안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마루면(F)의 청소가 종료하면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하여 복귀하여, 충전을 행하지만, 자주하여 복귀하지 않을 때는, 사람이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에 복귀시킴으로써 충전한다.
로봇 수용 공간(5)의 상하 방향의 폭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높이보다 0.5 ㎝∼5.0 ㎝ 정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0.5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서버 트레이(4)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5.0 ㎝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서버 트레이(4)의 지지 레그(37, 38)의 길이를 억제하여,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서버 트레이(4)는, 마루면(F)에 설치하였을 때의 점유 면적을 억제하기 위해,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한변이 50 ㎝(바람직하게는 45 ㎝)인 가상 정사각형 내에 들어가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서버 트레이(4)의 상면에 개구하여 지지 레그(37)의 내부로 연장되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와,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에 삽입된 물 검출 플로트(51)를 갖는다. 플로트 수용 오목부(50)는, 집수홈(31)으로부터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에 물이 유입되었을 때에 그 물이 마루면(F)에 누출되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 검출 플로트(51)는, 머리부(52)와, 머리부(5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몸통부(53)를 갖는다.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물 검출 플로트(51)의 머리부(52)는 외부에 노출되고,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숨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물 검출 플로트(51)는, 전체로서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물 검출 플로트(51)로서, 비발포 수지로 표면을 덮은 중공 형상 구조의 것을 채용하고 있지만, 발포 수지로 전체를 성형한 것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 검출 플로트(51)의 머리부(52)에는, 서버 트레이(4)의 둘레벽부(30)의 표면과 동일한 색이 붙어 있다. 한편,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즉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였을 때에 플로트 수용 오목부(50)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누수 통지색이 붙어 있다. 서버 트레이(4)의 둘레벽부(30)에, 흑색, 회색, 백색, 하늘색, 갈색 등의 색이 붙어 있을 때, 누수 통지색으로서는, 서버 트레이(4)의 둘레벽부(30)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들 수 있고, 예컨대, 적색, 황색 등이다. 적색과 노란색을 교대로 붙여도 좋다.
이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검출 플로트(51)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에 붙은 누수 통지색이 외부에 보이지 않아, 누수의 비통지 상태로 된다. 그리고,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검출 플로트(51)가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여,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에 붙은 누수 통지색이 외부에 보이게 되어, 누수 통지 상태로 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에는, 냉각 장치(19), 가열 장치(26) 및 이들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 회로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60)가 마련되어 있다. 충전 터미널(43)에는, 전원 콘센트(61)로부터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충전지(42)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6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충전 터미널(43)에는, 전원 코드(62)로부터 분기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탭(63)이 마련되어 있다. 전원 탭(63)에는, 워터 서버(1)의 전원 코드(60)의 선단에 마련된 삽입 플러그(64)가 접속된다.
이 워터 서버(1)는, 기둥형 볼록부(36)와 기둥형 오목부(34)의 끼워 맞춤에 의해 케이스(3)와 서버 트레이(4)의 상대 이동이 제한되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1)에 기대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하였을 때에, 케이스(3)가 서버 트레이(4)의 위에서 미끄러져 전도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기존의 워터 서버(1)의 수지제의 바닥판(8)이 보강용의 리브(35)를 하면에 가질 때에, 그 바닥판(8)을 추가 가공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의 바닥판(8)에 마련된 리브(35)가, 바닥판(8)의 보강 기능과, 케이스(3)의 전도 방지 기능을 겸비하게 되어, 효율적이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서버 트레이(4)의 서버 배치면(4a)의 기둥형 볼록부(36)가, 바닥판(8)의 하면의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지도록 2개 이상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케이스(3)와 서버 트레이(4) 사이에 모멘트 하중[즉 케이스(3)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시키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에도, 케이스(3)와 서버 트레이(4)가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서버 배치면(4a)을 둘러싸는 둘레벽부(30)가 물을 막기 때문에, 마루면(F)이 젖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서버 트레이(4)의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모인 물에 따라,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만약 누수되었을 때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워터 서버(1)의 케이스(3)로부터 조금씩 누수될 때(예컨대, 미량의 물이 스며나오도록 누수될 때)는, 누출된 물이 눈에 띄는 형태로서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누수의 발견이 지연되기 쉽고, 그 결과, 마루면(F)의 부식 등이 생기기 쉽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여, 마루면(F)의 부식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서버 배치면(4a)과 둘레벽부(30) 사이에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연통하는 집수홈(3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서버 트레이(4) 상의 물이 집수홈(31)을 통하여 누수 인디케이터(33)에 도달하기 쉬워,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집수홈(31)의 홈 바닥 및 제2 집수홈(32)의 홈 바닥에, 누수 인디케이터(33)에 근접함에 따서 점차로 낮아지는 경사가 마련되기 때문에, 각 집수홈(31, 32)에 모인 물이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하여 유도되어, 누수한 물의 양이 적은 단계라도,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한다. 그 때문에, 매우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서버 배치면(4a)과 마루면(F) 사이의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였을 때에, 워터 서버(1)와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상하로 배열된 배치로 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적이다. 그 때문에, 한정된 거주 공간이라도,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를 둘 곳을 확보하기 쉽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복수의 전원 콘센트(61)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전원 콘센트(61)로 워터 서버(1)의 전원과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충전용의 전원을 확보하고 있다. 그 때문에, 사용 가능한 전원 콘센트(61)의 수가 적은 장소에도,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양자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 도 11에, 누수 인디케이터(33)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는, 흡수성 폴리머(54)가 마련되어 있다. 물 검출 플로트(51)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의 내측 바닥면(50a)과 대향하는 하측 단부면(51a)을 갖는다. 흡수성 폴리머(54)는, 물 검출 플로트(51)의 하측 단부면(51a)과 플로트 수용 오목부(50)의 내측 바닥면(5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폴리머(54)는, 물을 흡수하여 자신의 중량의 100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흡수성 폴리머(54)로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 누수 인디케이터(33)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 검출 플로트(51)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에 붙은 누수 통지색이 외부에 보이지 않아, 누수의 비통지 상태로 된다. 그리고,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트 수용 오목부(50) 내의 흡수성 폴리머(54)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그 팽창한 흡수성 폴리머(54)가 물 검출 플로트의 하측 단부면(51a)을 밀어 올림으로써 물 검출 플로트(51)가 상승하여, 물 검출 플로트(51)의 몸통부(53)에 붙은 누수 통지색이 외부에 보이게 되어, 누수 통지 상태로 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하면, 흡수성 폴리머(54)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물 검출 플로트(51)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물의 부력으로 물 검출 플로트(51)를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물 검출 플로트(51)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물 검출 플로트(51)가 흡수성 폴리머(54)로 밀어 올려졌을 때에, 물 검출 플로트(51)가 플로트 수용 오목부(50)로부터 크게 돌출하여, 누수를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수 인디케이터(33)로서, 물 검출 플로트를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형식의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물에 젖으면 색이 변하는 소재를 이용한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3)로부터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수도로부터 정수 필터를 통해 냉수 탱크(15)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워터 서버
2 자주식 청소 로봇
3 케이스
4 서버 트레이
4a 서버 배치면
5 로봇 수용 공간
6 통벽
7 천장판
8 바닥판
15 냉수 탱크
25 냉수 코크
30 둘레벽부
31 집수홈
33 누수 인디케이터
34 기둥형 오목부
35 리브
36 기둥형 볼록부
37, 38 지지 레그
F 마루면

Claims (7)

  1.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벽(6)과, 그 통벽(6)의 상부를 막도록 마련된 천장판(7)과, 상기 통벽(6)의 하부를 막도록 마련된 바닥판(8)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스(3)와,
    그 케이스(3)의 내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15)와,
    상기 냉수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상기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코크(25)와,
    상기 케이스(3)의 바닥판(8)을 지지하는 서버 배치면(4a)을 갖는 서버 트레이(4)
    를 포함하는 워터 서버로서,
    상기 바닥판(8)은 수지제이며, 그 바닥판(8)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개구하는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보강용의 리브(35)가 마련되고,
    상기 기둥형 오목부(34)는,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상기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직선형의 상기 리브(35)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기둥형 오목부(34)는, 상기 바닥판(8)의 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의 복수의 상기 리브(35)와, 이들 리브(35)에 교차하는 동심원형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기 리브(35)로 형성되고,
    상기 서버 트레이(4)의 서버 배치면(4a)에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오목부(34)에 끼워지는 기둥형 볼록부(36)가 마련되며, 그 기둥형 볼록부(36)와 상기 기둥형 오목부(34)의 끼워 맞춤에 의해 상기 케이스(3)와 상기 서버 트레이(4)가 수평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상하로 연결되는 것인 워터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볼록부(36)는, 상기 복수의 기둥형 오목부(34) 중 떨어진 위치에 있는 2개 이상의 기둥형 오목부(34)에 각각 끼워지도록, 상기 서버 배치면(4a)에 2개 이상 마련되는 것인 워터 서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트레이(4)는, 상기 서버 배치면(4a)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둘레벽부(30)를 갖는 것인 워터 서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트레이(4)는,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상기 둘레벽부(30)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갖는 것인 워터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트레이(4)는, 상기 서버 배치면(4a)과 상기 둘레벽부(30) 사이에서 상기 둘레벽부(30)를 따라 연장되는 집수홈(31)을 더 포함하고, 그 집수홈(31)에 연통하도록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배치되는 것인 워터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홈(31)의 홈 바닥에,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33)에 근접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인 워터 서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트레이(4)는, 상기 서버 배치면(4a)과 마루면(F)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도록 상기 서버 배치면(4a)의 외주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지지 레그(37, 38)를 갖는 것인 워터 서버.
KR1020167030131A 2014-04-15 2014-04-18 워터 서버 KR1022801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3320 2014-04-15
JP2014083320A JP5583296B1 (ja) 2014-04-15 2014-04-15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CT/JP2014/061025 WO2015159423A1 (ja) 2014-04-15 2014-04-18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048A KR20160145048A (ko) 2016-12-19
KR102280139B1 true KR102280139B1 (ko) 2021-07-20

Family

ID=5161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131A KR102280139B1 (ko) 2014-04-15 2014-04-18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83296B1 (ko)
KR (1) KR102280139B1 (ko)
CN (1) CN106163975B (ko)
TW (1) TWI647167B (ko)
WO (1) WO2015159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71267B1 (ja) * 2014-04-15 2014-08-13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自走式掃除ロボットとウォーターサーバーの設置方法
JP6641684B2 (ja) * 2014-11-10 2020-02-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7154901B2 (ja) * 2018-09-10 2022-10-18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767B2 (ja) * 1994-04-08 2001-03-07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バルブ開度センサ
US20040112917A1 (en) * 2002-12-12 2004-06-17 Groesbeck R. Clay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CN1948662A (zh) * 2006-09-08 2007-04-18 赖英光 具有架高底座的木地板及地毯
US20090134074A1 (en) * 2007-11-28 2009-05-28 Doran Paul S Water Purification, Enhancement, and Dispens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747A (en) * 1988-08-15 1990-09-25 Sheets Kerney T Bottled water dispenser
US5833096A (en) * 1995-08-31 1998-11-10 Dasan C&I Co. Ltd. Water dispenser
TW422215U (en) * 1998-10-22 2001-02-11 Ohu Hee Bum Water dispenser for upright stand type water bottles
US20060027598A1 (en) * 2004-05-21 2006-02-09 Pepsico, Inc. Integrated beverage and ice dispenser assembly
CN2845661Y (zh) * 2005-10-21 2006-12-13 陈士礼 饮水机漏水全自动断水断电安全装置
JP4916266B2 (ja) * 2006-04-10 2012-04-1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US8276787B1 (en) * 2007-12-10 2012-10-02 Gremillion Paul J Combination beverage and water dispenser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3143767U (ja) * 2008-04-09 2008-08-07 株式会社フジヤマ 飲料水用サーバー
JP4677508B2 (ja) 2009-07-28 2011-04-27 慎一 矢野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20120186457A1 (en) * 2009-07-30 2012-07-26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machine with antivibration drip tray assembly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CN202457897U (zh) * 2011-12-21 2012-10-03 莆田市清华园电器发展有限公司 防漏水饮水机
JP5529186B2 (ja) * 2012-02-14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647636B2 (ja) * 2012-03-02 2015-01-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190B2 (ja) * 2012-03-02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647640B2 (ja) * 2012-03-23 2015-01-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201B2 (ja) * 2012-04-02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199B2 (ja) * 2012-04-02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2013216335A (ja) * 2012-04-05 2013-10-24 Muramoto Kosakusho: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トレイ
JP5529206B2 (ja) * 2012-06-05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529209B2 (ja) * 2012-06-14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184673B2 (ja) * 2012-10-11 2017-08-23 エア・ウォーター株式会社 飲料水ディスペンサの水報知機構
CN102929165B (zh) * 2012-10-29 2015-09-02 深圳市汇清科技有限公司 一种直饮水设备的控制系统
CN202947287U (zh) * 2012-12-03 2013-05-22 滁州天成有机硅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空调接水盘
CN203115213U (zh) * 2013-02-01 2013-08-07 慈溪市润鑫电器有限公司 一种漏水保护装置
CN103411370A (zh) * 2013-08-16 2013-11-27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冰箱冷冻室排水结构
CN203442426U (zh) * 2013-08-27 2014-02-19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支撑底座和显示设备
CN204111380U (zh) * 2014-10-08 2015-01-21 王锦林 托盘式净水器防漏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767B2 (ja) * 1994-04-08 2001-03-07 愛三工業株式会社 スロットルバルブ開度センサ
US20040112917A1 (en) * 2002-12-12 2004-06-17 Groesbeck R. Clay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CN1948662A (zh) * 2006-09-08 2007-04-18 赖英光 具有架高底座的木地板及地毯
US20090134074A1 (en) * 2007-11-28 2009-05-28 Doran Paul S Water Purification, Enhancement, and Dispens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202888A (ja) 2015-11-16
JP5583296B1 (ja) 2014-09-03
TWI647167B (zh) 2019-01-11
TW201538413A (zh) 2015-10-16
WO2015159423A1 (ja) 2015-10-22
CN106163975B (zh) 2019-02-15
CN106163975A (zh) 2016-11-23
KR20160145048A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909B1 (ko) 스탠드
KR102275111B1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KR102280139B1 (ko) 워터 서버
KR102196367B1 (ko) 워터 서버 유닛
KR102146148B1 (ko)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KR102042575B1 (ko) 정수기
CN106491061B (zh) 一种加热管防干烧装置、洗碗机以及防干烧的方法
JP5623667B1 (ja) 台座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35934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10051213B (zh) 一种蒸汽加热用烹饪器具及蒸汽饭煲
CN209546575U (zh) 一种温度可调的塑料电加热水槽
JPS5937249Y2 (ja) 洗浄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