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909B1 - 스탠드 - Google Patents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909B1
KR102201909B1 KR1020167023931A KR20167023931A KR102201909B1 KR 102201909 B1 KR102201909 B1 KR 102201909B1 KR 1020167023931 A KR1020167023931 A KR 1020167023931A KR 20167023931 A KR20167023931 A KR 20167023931A KR 102201909 B1 KR102201909 B1 KR 102201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lf
stand
robot
cleaning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9133A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6011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47Furniture or stationary devices with suction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89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systems, e.g. for prevention of motor over-heating or for protection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2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cap, adapted to cooperate with a feed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4Safety or war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77Electronic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 A47L2201/022Recharging of batteries

Abstract

워터 서버(1)가 배치되는 받침면부(30)와, 바닥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상기 받침면부(30)의 하방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할 수 있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는 다리부(35, 36)와, 로봇 수용 공간(5) 내에 설치되며, 자주식 청소 로봇(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을 구비하는 스탠드(4)를 구성하여, 워터 서버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가, 워터 서버 및 자주식 청소 로봇을 놓을 곳을 간단히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탠드{STAND}
본 발명은 워터 서버용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도 조정 탱크와, 그 온도 조정 탱크 내의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와, 온도 조정 탱크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코크를 갖고, 이 냉수 코크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언제나 맛있는 음료수를 이용할 수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한편, 최근, 청소에 드는 수고를 대폭 저감하는 가전으로서, 자주식(自走式) 청소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통상,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와, 바닥면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와, 내장된 충전지를 갖고, 그 충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와 집진 장치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은,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도 자동적으로 바닥면을 청소하기 때문에, 외출하고 있을 때나 다른 방에 있을 때에도, 바닥면의 청소를 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11-04644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38055호 공보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가 종료되면,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로 자동 주행에 의해 되돌아가서, 충전을 행한다. 즉, 자주식 청소 로봇은,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통상의 청소기와 같이 벽장에 수납되는 것이 아니라,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에서 대기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바닥 위에 충전 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데, 한정된 거주 공간에 있어서, 바닥에 충전 중인 자주식 청소 로봇이 있으면 방해가 되기 쉽다.
그런데,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를 모두 설치하면, 편리성을 현저히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한편으로,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 장소와 워터 서버를 놓을 곳을 각각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실내의 스페이스가 대폭 좁아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발명자는, 바닥에 놓여진 충전 터미널에서 자주식 청소 로봇의 충전을 행하고 있을 때에, 자주식 청소 로봇의 상방에 상하로 가늘고 긴 데드 스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에 주목하여, 이 데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워터 서버를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거주 공간을 매우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을 가능성을 깨달았다.
그러나, 워터 서버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는, 전술한 데드 스페이스를 간단히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워터 서버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가 워터 서버 및 자주식 청소 로봇을 놓을 곳을 간단히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온도 조정 탱크 내의 음료수를 코크로부터 외부로 주출할 수 있는 워터 서버가 배치되는 받침면부와, 바닥면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이 상기 받침면부의 하방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할 수 있는 로봇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다리부와, 상기 로봇 수용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을 구비하는 스탠드라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받침면부와 바닥면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수용할 수 있는 로봇 수용 공간을 스탠드에 의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워터 서버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는, 스탠드를 놓을 곳을 결정하고, 그 스탠드의 받침면부에 자기의 워터 서버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자기의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의 양방을 놓을 곳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받침면부 주위에 상기 받침면부로부터 낮게 패인 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봇 수용 공간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가 위치하는 쪽을 앞쪽, 상기 개구와 반대측이며 상기 충전 터미널이 배치된 쪽을 뒤쪽으로 했을 때, 상기 홈부는, 상기 홈부로 들어간 물을 앞쪽으로 모으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워터 서버에 누수가 발생했을 때에, 받침면부나 받침면부 주위의 홈부에 의해 물을 받아내어, 바닥면이나, 로봇 수용 공간에 수용한 자주식 청소 로봇으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받침면부 주위의 홈부가 물을 앞쪽으로 모으기 때문에, 홈부로부터 물이 넘친다고 해도 스탠드의 앞쪽으로부터가 되어, 스탠드의 뒤쪽에 배치된 충전 터미널로 넘친 물(溢水)이 흐르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홈부로 들어간 물에 의해 누수 비통지 상태로부터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를 앞쪽에 구비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홈부에 의해 누수 인디케이터 쪽으로 물을 모으고, 누수 인디케이터를 시인성이 좋은 앞쪽에서 조기에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리부는,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의 폭을 규정하는 좌우의 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는, 상기 지지 다리의 내부를 이용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누수 인디케이터를 시인하기 쉬운 스탠드의 앞쪽에 배치하는 것과, 로봇 수용 공간에 자주식 청소 로봇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의 폭을 앞쪽에서 넓게 확보하는 것을 양립시키기 쉬워진다.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가, 상기 지지 다리의 내측에 형성되는 저수(貯水) 오목부와, 상기 저수 오목부에 삽입되는 부표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로봇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길이의 지지 다리 내부에 저수 오목부를 형성하여, 부표의 수용 부분으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저수 오목부를 깊게 하여 용적을 벌어, 부표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고, 나아가서는, 부표가 물의 부력으로 상승할 때의 상승 거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표가 상승했을 때에, 부표가 저수 오목부로부터 크게 돌출되도록 하여, 누수를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로봇 수용 공간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가 위치하는 쪽을 앞쪽, 상기 개구와 반대측이며 상기 충전 터미널이 배치되는 쪽을 뒤쪽으로 했을 때, 상기 다리부는,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의 폭을 규정하는 좌우의 지지 다리와, 뒤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터미널은,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을 충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전자파를 공중에 발하는 발신부를 가지며, 상기 좌우의 지지 다리와, 상기 발신부 사이는, 상기 로봇 수용 공간으로부터 외부 공간까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좌우의 지지 다리와 발신부 사이에서는, 외부 공간까지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유도 전자파가 난반사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자주식 청소 로봇에게 있어서 유도 전자파를 인식하기 쉬워져, 로봇 수용 공간으로의 유도가 용이해진다.
상기 충전 터미널은, 상기 워터 서버의 전원 코드를 접속할 수 있는 전원 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단일의 전원 콘센트로 워터 서버용의 전원과 충전 터미널의 충전용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의 수가 적은 장소에도, 워터 서버와 스탠드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에 의하면, 스탠드를 놓을 곳을 결정하고, 그 스탠드의 받침면부에 자기의 워터 서버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자기의 워터 서버와 자주식 청소 로봇의 양방을 놓을 곳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 서버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는, 워터 서버 및 자주식 청소 로봇을 놓을 곳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서버 트레이 근방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자주식 청소 로봇과 좌우의 지지 다리와 충전 터미널의 관계를 도 5와 동일한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Ⅵ-Ⅵ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저수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누수 인디케이터의 다른 예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저수 오목부 내에 물이 들어간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일례로서, 워터 서버(1)와, 바닥면(F)을 자동적으로 주행하여 바닥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스탠드(4)를 도시한다. 스탠드(4)는, 본 발명의 일례와의 실시형태에 따른 것이다.
스탠드(4)는, 케이스(3)의 하단과 바닥면(F) 사이를 상하로 구획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케이스(3)와 바닥면(F)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자동 주행에 의해 출입하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는, 통벽(6)과, 상부판(7)과, 바닥판(8)을 포함한다. 통벽(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판(7)은, 통벽(6)의 상부에 부착된다. 바닥판(8)은, 통벽(6)의 하부에 부착된다. 바닥판(8)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통벽(6)에 고정된다. 통벽(6)은, 좌우 한 쌍의 측면판(10)과, 전면판(11)과, 후면판(12)으로 구성된다. 전면판(11)은, 측면판들(10)을 앞쪽 가장자리들끼리 연결한다. 후면판(12)은, 측면판들(10)을 뒤쪽 가장자리들끼리 연결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벽(6)은, 대략 원형의 외주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대략 사각형의 외주를 갖는 각통형으로 형성한 것을 채용해도 좋다.
상부판(7)에는,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13)가 착탈 가능하게 세팅된다. 원수 용기(13)는, 물 출구(14)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케이스(3)의 상부판(7)에 배치된다. 원수 용기(13)의 용량은, 만수(滿水) 상태에서 8리터∼20리터 정도이다. 상부판(7)에는, 물 도입관(16)이 설치된다. 물 도입관(16)은, 상부판(7) 위에 배치되는 원수 용기(13)로부터 케이스(3) 내부의 온도 조정 탱크(15)로 음료수를 도입한다. 또한, 케이스(3)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13)를 덮는 화장 커버(17)가 부착된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제1 온도 조정 탱크(15)와, 제2 온도 조정 탱크(18)가 수용된다. 제1 온도 조정 탱크(15)는,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한다. 제2 온도 조정 탱크(18)는,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한다. 온도 조정 탱크(15)에는, 냉각 장치(19)가 부착된다. 냉각 장치(19)는, 온도 조정 탱크(15)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냉각한다. 냉각 장치(19)는, 냉매관(20)과, 컴프레서(21)와, 응축기(22)를 배관(23)으로 접속하여 구성된다. 냉매관(20)은, 온도 조정 탱크(15)의 외주에 감기게 된다. 컴프레서(21)는, 바닥판(8)에 고정된다. 응축기(22)는, 케이스(3)의 후면판(12)에 고정된다. 냉매관(20)은, 컴프레서(21)의 작동에 의해 마이너스 15℃로부터 마이너스 30℃ 정도로 냉각되고, 온도 조정 탱크(15)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게 된다.
온도 조정 탱크(15)의 바닥면에는, 냉수 주출관(24)이 접속된다. 냉수 주출관(24)은, 온도 조정 탱크(15)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경로로 되어 있다. 냉수 주출관(24)에는, 케이스(3)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냉수 코크(25)가 설치된다. 냉수 코크(25)를 개방함으로써 온도 조정 탱크(15)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냉수 코크(25)는, 케이스(3)의 앞쪽에 배치된다[즉, 냉수 코크(25)가 있는 쪽이 케이스(3)의 앞쪽, 그 반대측이 케이스(3)의 뒤쪽이다]. 온도 조정 탱크(15)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3)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제2 온도 조정 탱크(18)는, 제1 온도 조정 탱크(15)의 하방에 배치된다. 온도 조정 탱크(18)에는, 가열 장치(26)가 부착된다. 가열 장치(26)는, 온도 조정 탱크(18)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가열한다. 도면에서는, 가열 장치(26)에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시스 히터는, 금속제의 파이프 내부에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을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 히터는, 온도 조정 탱크(18)의 벽면을 관통하여 온도 조정 탱크(18)의 내부에서 연장되도록 부착된다. 밴드 히터는, 통전에 의해 발열하는 발열선이 매립된 원통형의 발열체이다. 이러한 밴드 히터는, 온도 조정 탱크(18)의 외주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가열 장치(26)는, 온도 조정 탱크(18)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도 조정 탱크(18)의 상면에는, 온도 조정 탱크(18)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3)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27)가 접속된다. 온수 주출로(27)에는, 케이스(3)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온수 코크(28)가 설치되고, 이 온수 코크(28)를 개방함으로써 온도 조정 탱크(18)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코크(28)는, 냉수 코크(25)와 마찬가지로 케이스(3)의 앞쪽에 배치된다. 온도 조정 탱크(18)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제1 온도 조정 탱크(15)와 제2 온도 조정 탱크(18)는 탱크 접속관(29)을 통해 연통(連通)된다. 온도 조정 탱크(18)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9)을 통해 온도 조정 탱크(15)로부터 온도 조정 탱크(18)로 유입되어, 온도 조정 탱크(18)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는, 받침면부(30)와, 둘레벽부(31)와, 홈부(32)와, 누수 인디케이터(33)를 구비한다. 받침면부(30)에는, 워터 서버(1)의 케이스(3)가 배치된다. 둘레벽부(31)는, 상방에서 보아 받침면부(30) 주위에 설치된다. 홈부(32)는, 받침면부(30) 주위에 받침면부(30)로부터 낮게 패여 있다.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둘레벽부(31)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된다.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둘레벽부(31)로 둘러싸인 영역 내에 고인 물에 의해 누수 비통지 상태로부터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한다.
받침면부(30)는, 받침면부(30)에 배치되는 케이스(3)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바닥판(8)과 동일한 면적이거나 그것보다 넓은 면적을 갖는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받침면부(30)는, 도면에서는, 바닥판(8)의 형상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케이스(3)를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수평인 평면으로 되어 있다.
둘레벽부(31)는, 받침면부(30) 주위에 걸쳐 받침면부(30)보다 높게 연속해 있다. 받침면부(30)에 배치한 케이스(3)로부터 만일 누수했을 때에, 받침면부(30)보다 높은 위치까지 물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32)는, 상방에서 보아, 받침면부(30)와 둘레벽부(31) 사이에서 둘레벽부(31)를 따라 받침면부(30)를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연장된다. 누수 인디케이터(33)는, 받침면부(30)의 앞쪽[즉, 케이스(3)의 앞쪽]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된다. 홈부(32)는, 이들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연통된다.
스탠드(4)와 케이스(3)는, 양자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체결 수단(34)으로 체결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바닥판(8)이, 통벽(6)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a)를 갖는다. 체결 수단(34)은, 돌출부(8a)를 사이에 두고 받침면부(30)의 상측에 대향하도록 둘레벽부(31)에 부착되는 누름판을 갖는다. 누름판이 돌출부(8a)를 누름으로써, 스탠드(4)에 대한 케이스(3)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도 5,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4)는, 다리부(35, 36)를 구비한다. 다리부(35, 36)는, 받침면부(30)를 바닥면(F)에 대해 지지하며,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한다. 로봇 수용 공간(5)은, 바닥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받침면부(30)의 하방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다리부(35, 36)가, 복수의 지지 다리(35, 36)를 포함한다. 지지 다리(35)는,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고, 케이스(3)의 앞쪽에 위치한다.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5a)는, 좌우의 지지 다리(35) 사이에 형성된다. 지지 다리(36)는, 케이스(3)의 뒤쪽에 위치한다. 각 지지 다리(35, 36)는, 받침면부(30)보다 외측의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바닥면(F)에 접촉한다. 각 지지 다리(35, 36)는, 로봇 수용 공간(5)이 형성되도록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키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5)의 간격은, 개구(5a)의 폭(W1)을 규정한다. 폭(W1)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폭(W2)보다 크게 설정된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스탠드(4)의 앞쪽으로부터 좌우 한 쌍의 지지 다리(35) 사이를 통과하여 로봇 수용 공간(5)으로 자동 주행에 의해 출입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지지 다리(35, 36)는, 상하 축 주위로 120°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예시한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바닥면(F)을 주행하기 위한 주행 장치(40)와, 바닥면(F)의 먼지를 제거하는 집진 장치(41)와, 내장된 충전지(42)를 갖고, 그 충전지(4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으로 주행 장치(40)와 집진 장치(41)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25 ㎝∼35 ㎝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자주식 청소 로봇(2)은, 바닥면(F)을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의 바닥면(F)으로부터 상면까지의 높이가 5 ㎝∼10 ㎝로 되어 있다.
로봇 수용 공간(5)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 내에 수용한 상태에서 충전지(4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이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43)에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자동 주행에 의해 로봇 수용 공간(5)에 들어갔을 때에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접촉하는 위치에 충전 단자(44)가 설치된다. 여기서,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뒤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36)와 충전 터미널(43)은, 양자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볼트 등의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체결된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개구(5a)가 위치하는 쪽을 스탠드(4)의 앞쪽, 개구(5a)와 반대측이며 충전 터미널(43)이 배치되는 쪽을 스탠드(4)의 뒤쪽으로 한다. 따라서, 이 스탠드(4)의 전후 방향이, 케이스(3)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여 사용 상태가 된다.
로봇 수용 공간(5)의 상하 방향의 폭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높이보다 0.5 ㎝∼5.0 ㎝ 정도 크게 설정된다. 0.5 ㎝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자주식 청소 로봇(2)과 스탠드(4)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5.0 ㎝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스탠드(4)의 지지 다리(35, 36)의 길이를 억제하여,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탠드(4)는, 바닥면(F)에 설치했을 때의 점유 면적을 억제하기 위해서,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한 변이 50 ㎝(바람직하게는 45 ㎝)인 가상 정사각형 내에 들어가는 크기로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터미널(43)은,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충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전자파(R)를 공중에 발하는 발신부(45)를 갖는다. 발신부(45)는, 개구(5a)의 폭(W1)의 중앙부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된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유도 전자파(R)를 수신하는 센서부(46)를 갖는다. 자주식 청소 로봇(2)은, 충전을 시도하는 자율 제어를 행할 때, 센서부(46)에 의해 유도 전자파(R)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동 주행에 의해, 개구(5a)로부터 로봇 수용 공간(5)으로 들어간다.
좌우의 지지 다리(35)와, 발신부(45) 사이는, 로봇 수용 공간(5)으로부터 외부 공간까지 개방된다. 여기서, 외부 공간은, 스탠드(4)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는 지지 다리(35, 36)와 같은 높이의 공간을 말한다. 좌우의 지지 다리(35)와 발신부(45) 사이에서는, 외부 공간까지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발신부(45)로부터 발신된 유도 전자파(R)가 난반사하기 어려워진다.
도 4에 도시된 홈부(32)는, 홈부(32)로 들어간 물을 앞쪽으로 모으는 경사를 홈 바닥에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홈부(32)의 홈 바닥은, 받침면부(30)의 뒤쪽 중앙의 위치로부터 받침면부(30)를 따라 앞쪽으로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낮아지며, 뒤쪽 전체에서의 홈 바닥이 앞쪽 전체보다 높게 되어 있다.
도 4,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지지 다리(35)의 내부를 이용함으로써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저수 오목부(50)와, 부표(51)를 포함한다. 저수 오목부(50)는, 앞쪽에서 홈부(32)로부터 아래로 연통되며, 스탠드(4)의 상면으로 개구된다. 저수 오목부(50)는, 홈부(32)로부터 저수 오목부(50)로 물이 유입되었을 때에, 그 물이 바닥면(F)으로 새어 나오지 않도록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다. 부표(51)는, 저수 오목부(50)에 삽입된다.
저수 오목부(50)는, 앞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35)의 내측에 형성된다. 스탠드(4)의 앞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35)를 이용하여 저수 오목부(50)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시인하기 쉬운 스탠드(4)의 앞쪽에 배치하는 것과, 개구(5a)의 폭(W1)을 앞쪽에서 넓게 확보하는 것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홈부(32)의 홈 바닥은, 받침면부(30)의 뒤쪽 중앙의 위치로부터 좌우 각각의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해 낮아진다. 또한, 홈부(32)의 홈 바닥은, 받침면부(30)의 앞쪽 중앙의 위치로부터 좌우 각각의 누수 인디케이터(33)를 향해 낮아진다. 홈부(32)에 의해 누수 인디케이터(33) 쪽으로 물이 모아지기 때문에, 조기에 누수 인디케이터(33)를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부표(51)는, 헤드부(52)와, 헤드부(5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몸체부(53)를 갖는다. 저수 오목부(50)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헤드부(52)는 외부로 노출되고, 몸체부(53)는 저수 오목부(50) 내에 숨어,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는 상태가 된다.
부표(51)는, 전체로서 물보다 작은 비중을 갖도록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오목부(50)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부표(51)로서, 비발포 수지로 표면을 덮은 중공 구조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나, 발포 수지로 전체를 성형한 것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실시형태의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저수 오목부(50) 내의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즉, 누수 인디케이터(33)에 있어서, 누수의 비통지 상태란, 빈 저수 오목부(50) 내에 부표(51)가 삽입된 상태에 상당하고, 또한, 누수 통지 상태란, 부표(51)가 저수 오목부(50) 내에 고인 물에 의해 부유한 상태에 상당한다.
헤드부(52)에는, 둘레벽부(31)의 표면과 동일한 색이 부여된다. 몸체부(53)[즉 물의 부력으로 상승했을 때에 저수 오목부(50)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누수의 통지색이 부여된다. 둘레벽부(31)에, 흑색, 회색, 백색, 수색(水色), 갈색 등의 색이 부여될 때, 누수의 통지색으로서는, 둘레벽부(31)의 색과는 상이한 색을 들 수 있으며, 예컨대, 적색, 황색 등이다. 적색과 황색을 번갈아 부여해도 좋다.
저수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51)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몸체부(53)에 부여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로 보이지 않고, 누수의 비통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수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51)가 물의 부력으로 상승하여, 몸체부(53)에 부여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로 보이게 되어, 누수 통지 상태가 된 것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에는, 냉각 장치(19), 가열 장치(26), 및 이들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코드(60)가 설치된다. 충전 터미널(43)은, 전원 콘센트(61)에 접속되는 전원 코드(62)와, 전원 코드(60)를 접속할 수 있는 전원 탭(63)을 갖는다. 전원 탭(63)은, 전원 코드(62)로부터 분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전원 탭(63)에는, 전원 코드(60)의 선단에 설치되는 삽입 플러그(64)가 접속된다.
이 스탠드(4)는, 스탠드(4)를 놓을 곳을 결정하고, 그 스탠드(4)의 받침면부(30)에 자기의 워터 서버(1)를 올려놓는 것만으로, 받침면부(30)와 바닥면(F) 사이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할 수 있는 로봇 수용 공간(5)을 스탠드(4)에 의해 형성하여, 자기의 워터 서버(1)와 자주식 청소 로봇(2)의 양방을 놓을 곳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워터 서버(1)를 이미 설치한 기존 사용자는, 워터 서버(1) 및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놓을 곳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스탠드(4)는, 만일 워터 서버(1)에 누수가 발생하여, 케이스(3)로부터 물이 새기 시작했을 때에, 케이스(3)와 바닥면(F) 사이를 구획하는 받침면부(30)나 받침면부(30) 주위의 홈부(32)에 의해 물을 받아내어, 바닥면(F)이나, 로봇 수용 공간(5)에 수용한 자주식 청소 로봇(2)으로의 누수를 방지한다.
이 스탠드(4)는, 받침면부(30) 주위의 홈부(32)가 홈부(32)로 들어간 물을 앞쪽으로 모으는 경사를 갖기 때문에, 홈부(32)로부터 물이 넘친다고 해도 스탠드(4)의 앞쪽으로부터가 되어, 스탠드(4)의 뒤쪽에 배치된 충전 터미널(43)로 넘친 물이 흐르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스탠드(4)는, 홈부(32)로 들어간 물을 앞쪽으로 모으고, 앞쪽에 설치된 누수 인디케이터(33)가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케이스(3)로부터 조금씩 누수할 때(예컨대, 미량의 물이 스며나오도록 누수할 때)에는, 새어 나온 물이 눈에 보이는 형태로서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에, 누수의 발견이 늦어지기 쉽고, 그 결과, 바닥면(F)의 부식 등이 발생하기 쉬우나, 이러한 경우에도, 조기에 누수를 발견하여, 바닥면(F)의 부식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스탠드(4)는, 개구(5a)를 규정하는 앞쪽의 지지 다리(35)의 내부를 이용함으로써 누수 인디케이터(33)가 설치되기 때문에,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시인하기 쉬운 스탠드(4)의 앞쪽에 배치하는 것과, 로봇 수용 공간(5)에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5a)의 폭(W1)을 앞쪽에서 넓게 확보하는 것을 양립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이 스탠드(4)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는 길이의 지지 다리(35)의 내부에 저수 오목부(50)를 형성하여, 부표(51)의 수용 부분으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수 오목부(50)를 깊게 하여 용적을 벌고, 부표(51)의 길이를 길게 설정할 수 있으며, 부표(51)가 물의 부력으로 상승할 때의 부표(51)의 상승 거리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표(51)가 물의 부력으로 상승했을 때에, 부표(51)가 저수 오목부(50)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누수를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전기식의 누수 인디케이터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누수 인디케이터(33)의 구성이 단순하기 때문에 고장나기 어려워, 동작의 신뢰성이 우수하다.
또한, 이 스탠드(4)는, 앞쪽에 위치하는 좌우의 지지 다리(35)와, 뒤쪽에 위치하는 충전 터미널(43)의 발신부(45) 사이가 로봇 수용 공간(5)으로부터 외부 공간까지 개방되기 때문에, 발신부(45)로부터 발신된 유도 전자파(R)가 지지 다리(35)와 발신부(45) 사이에서 난반사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자주식 청소 로봇(2)을 로봇 수용 공간(5)으로 유도하기 쉽다.
또한, 이 스탠드(4)는, 워터 서버(1)의 전원 코드(60)를 접속할 수 있는 전원 탭(63)을 충전 터미널(43)에 갖기 때문에, 단일의 전원 콘센트(61)로 워터 서버(1)용의 전원과 충전 터미널(43)의 충전용 전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전원 콘센트(61)의 수가 적은 장소에도, 워터 서버(1)와 스탠드(4)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워터 서버(1)는, 스탠드(4)와 케이스(3)가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양자가 체결 수단(34)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사람이 워터 서버(1)의 케이스(3)에 부딪치거나, 지진이 일어나거나 했을 때에도, 워터 서버(1)의 케이스(3)가 넘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전성이 우수하다.
도 9, 도 10에, 누수 인디케이터(33)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저수 오목부(50) 내에는, 흡수성 폴리머(54)가 설치된다. 부표(51)는, 저수 오목부(50)의 내측 바닥면(50a)과 대향하는 하단면(51a)을 갖는다. 흡수성 폴리머(54)는, 하단면(51a)과 내측 바닥면(50a) 사이에 배치된다. 흡수성 폴리머(54)는, 물을 흡수하여 자중(自重)의 100배 이상으로 팽창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흡수성 폴리머(54)로서, 예컨대, 폴리아크릴산나트륨을 들 수 있다.
이 누수 인디케이터(33)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물의 유무에 따라, 누수 통지 상태와 비통지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구체적으로는, 저수 오목부(50) 내에 물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51)가 하강해 있어, 몸체부(53)에 부여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로 보이지 않고, 누수의 비통지 상태가 된다. 저수 오목부(50)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 오목부(50) 내의 흡수성 폴리머(54)가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그 팽창한 흡수성 폴리머(54)가 하단면(51a)을 밀어올림으로써 부표(51)가 상승하여, 몸체부(53)에 부여된 누수의 통지색이 외부로 보이게 되어, 누수 통지 상태가 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하면, 흡수성 폴리머(54)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부표(51)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물의 부력으로 부표(51)를 상승시키는 경우보다, 부표(51)를 크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부표(51)가 흡수성 폴리머(54)에 의해 밀어올려졌을 때에, 부표(51)가 저수 오목부(50)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누수를 확실하게 통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누수 인디케이터(33)로서, 누수 검지 부표를 이용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식의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물에 젖으면 색이 변하는 소재를 이용한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교환식의 원수 용기(13)로부터 온도 조정 탱크(15)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1)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수도로부터 정수 필터를 통해 온도 조정 탱크(15)로 음료수를 도입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워터 서버 2: 자주식 청소 로봇
3: 케이스 4: 스탠드
5: 로봇 수용 공간 5a: 개구
15, 18: 온도 조정 탱크 25: 냉수 코크
28: 온수 코크 30: 받침면부
32: 홈부 33: 누수 인디케이터
35, 36: 지지 다리 43: 충전 터미널
50: 저수 오목부 51: 부표
54: 흡수성 폴리머 60: 전원 코드
63: 전원 탭 F: 바닥면

Claims (7)

  1. 온도 조정 탱크(15, 18) 내의 음료수를 코크(25, 28)로부터 외부로 주출할 수 있는 워터 서버(1)가 배치되는 받침면부(30)와,
    바닥면(F)을 청소하는 자주식 청소 로봇(2)이 상기 받침면부(30)의 하방으로 출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수용할 수 있는 로봇 수용 공간(5)을 형성하는 다리부(35, 36)와,
    상기 로봇 수용 공간(5) 내에 설치되며,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에 충전을 행하는 충전 터미널(43)을 구비하고,
    상기 받침면부(30) 주위에 상기 받침면부(30)로부터 낮게 패인 홈부(32)를 구비하는 것인, 스탠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수용 공간(5)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5a)가 위치하는 쪽을 앞쪽, 상기 개구(5a)와 반대측이며 상기 충전 터미널(43)이 배치된 쪽을 뒤쪽으로 했을 때, 상기 홈부(32)는, 상기 홈부(32)로 들어간 물을 앞쪽으로 모으는 경사를 갖는 것인, 스탠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32)로 들어간 물에 의해 누수 비통지 상태로부터 누수 통지 상태로 변화하는 누수 인디케이터(33)를 앞쪽에 구비하는 것인, 스탠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5a)의 폭을 규정하는 좌우의 지지 다리(35)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33)는, 상기 지지 다리(35)의 내부를 이용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인, 스탠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 인디케이터(33)가, 상기 지지 다리(35)의 내측에 형성되는 저수 오목부(50)와, 상기 저수 오목부(50)에 삽입되는 부표(51)를 포함하는 것인, 스탠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 수용 공간(5)에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출입시키기 위한 개구(5a)가 위치하는 쪽을 앞쪽, 상기 개구(5a)와 반대측이며 상기 충전 터미널(43)이 배치된 쪽을 뒤쪽으로 했을 때, 상기 다리부는,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개구(5a)의 폭을 규정하는 좌우의 지지 다리(35)와, 뒤쪽에 위치하는 지지 다리(36)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터미널(43)은, 상기 자주식 청소 로봇(2)을 충전 위치로 유도하기 위한 유도 전자파를 공중에 발하는 발신부(45)를 가지며,
    상기 좌우의 지지 다리(35)와, 상기 발신부(45) 사이는, 상기 로봇 수용 공간(5)으로부터 외부 공간까지 개방되는 것인, 스탠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터미널(43)은, 상기 워터 서버(1)의 전원 코드(60)를 접속할 수 있는 전원 탭(63)을 갖는 것인, 스탠드.
KR1020167023931A 2014-02-12 2014-02-28 스탠드 KR102201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4279 2014-02-12
JP2014024279A JP5543042B1 (ja) 2014-02-12 2014-02-12 台座
PCT/JP2014/055059 WO2015122023A1 (ja) 2014-02-12 2014-02-28 台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133A KR20160119133A (ko) 2016-10-12
KR102201909B1 true KR102201909B1 (ko) 2021-01-11

Family

ID=51409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931A KR102201909B1 (ko) 2014-02-12 2014-02-28 스탠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64800A1 (ko)
JP (1) JP5543042B1 (ko)
KR (1) KR102201909B1 (ko)
CN (1) CN106163974B (ko)
TW (1) TWI633864B (ko)
WO (1) WO2015122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4883A1 (de) * 2015-09-04 2017-03-09 RobArt GmbH Identifizierung und Lokalisierung einer Basisstation eines autonomen mobilen Roboters
DE102015119501A1 (de) 2015-11-11 2017-05-11 RobArt GmbH Unterteilung von Karten für die Roboternavigation
FR3046245B1 (fr) * 2015-12-24 2018-02-16 Partnering 3.0 Systeme de surveillance de qualite d'air et station d'accueil pour robot mobile equipe de capteurs de qualite d'air
US11163311B2 (en) 2015-12-24 2021-11-02 Partnering 3.0 Robotic equipment including a mobile robot,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of such mobile robot, and mobile robot docking station
CH712822A1 (de) * 2016-08-17 2018-02-28 Delica Ag Vorrichtung zur Zubereitung eines Getränkes.
US11794141B2 (en) * 2021-01-25 2023-10-24 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 Multiuse home station
CN107065662A (zh) * 2017-03-29 2017-08-18 广西喜爱家饮水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远程控制的饮水机器人
PT3838096T (pt) * 2018-06-22 2021-11-29 Bissell Inc Aparelho de limpeza de superfícies
CN108784564B (zh) * 2018-08-29 2023-08-11 珠海一微半导体股份有限公司 一种储水箱和智能扫地机器人
KR102656269B1 (ko) * 2018-11-13 2024-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9875399A (zh) * 2019-04-17 2019-06-14 安徽信息工程学院 含漏水检测装置的饮水机托盘
EP3725206B1 (de) 2019-04-18 2023-06-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reinigungssystems, basisstation und filtereinrichtung
DE102019002827A1 (de) * 2019-04-18 2020-10-22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asisstation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Basisstation
WO2021194945A1 (en) 2020-03-22 2021-09-30 Ecolab Usa Inc. Docking station with undercarriage cleaning functionality for floor cleaning machi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455A (zh) 2014-02-07 2016-11-30 株式会社宇宙生命 饮水机及饮水机用的饮水机托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011Y1 (ko) * 1995-09-18 1999-02-18 전영호 다기능 냉,온수 급수기
US6926170B2 (en) * 2002-12-12 2005-08-09 R. Clay Groesbeck Drink dispensing cart and water packaging and supply system
US7332890B2 (en) * 2004-01-21 2008-02-19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robot auto-docking and energy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JP4916266B2 (ja) * 2006-04-10 2012-04-11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集塵装置を備える建物
US20080035241A1 (en) * 2006-08-14 2008-02-14 Wittbold Edward H Multiple function liquid dispenser
US8459503B2 (en) * 2007-05-10 2013-06-11 R. Clay Groesbeck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KR20090074933A (ko) * 2008-01-03 2009-07-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청소기 보관부를 갖는 냉장고
JP4909930B2 (ja) * 2008-03-28 2012-04-0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自走式掃除システム
CN101607399A (zh) * 2008-06-19 2009-12-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充电装置
JP4677508B2 (ja) * 2009-07-28 2011-04-27 慎一 矢野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106882758B (zh) * 2010-02-24 2020-04-07 目的株式会社 饮用水供应装置
KR101192540B1 (ko) * 2010-12-20 2012-10-17 (주)마미로봇 무선 청소기용 다기능 충전기
JP2013013539A (ja) * 2011-07-04 2013-01-24 Panasonic Corp 室内用集塵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WO2014055966A1 (en) * 2012-10-05 2014-04-10 Irobot Corporation Robot management systems for determining docking station pose including mobile robots and methods u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70455A (zh) 2014-02-07 2016-11-30 株式会社宇宙生命 饮水机及饮水机用的饮水机托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64800A1 (en) 2017-06-15
JP5543042B1 (ja) 2014-07-09
CN106163974A (zh) 2016-11-23
TWI633864B (zh) 2018-09-01
KR20160119133A (ko) 2016-10-12
JP2015150038A (ja) 2015-08-24
CN106163974B (zh) 2017-12-19
TW201540238A (zh) 2015-11-01
WO2015122023A1 (ja) 2015-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909B1 (ko) 스탠드
KR102275111B1 (ko) 워터 서버 및 워터 서버용의 서버 트레이
KR102196367B1 (ko) 워터 서버 유닛
US9245438B2 (en) Water leak detector for a pipe having a retention reservoir
KR102146148B1 (ko) 자주식 청소 로봇과 워터 서버의 설치 방법
KR102280139B1 (ko) 워터 서버
JP6359346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06687600U (zh) 自动检测水箱位置的饮水器
CN210512141U (zh) 一种电热开水器
CN219021058U (zh) 洗碗机防泄漏系统及橱柜
CN220708494U (zh) 一种烟机油盒液位检测组件及集成灶
JP2010185175A (ja) 吐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