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615B1 - 축산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축산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615B1
KR100982615B1 KR1020100012746A KR20100012746A KR100982615B1 KR 100982615 B1 KR100982615 B1 KR 100982615B1 KR 1020100012746 A KR1020100012746 A KR 1020100012746A KR 20100012746 A KR20100012746 A KR 20100012746A KR 100982615 B1 KR100982615 B1 KR 10098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mp
tank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석환
Original Assignee
임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석환 filed Critical 임석환
Priority to KR1020100012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20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 F16K15/207Check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inflatable bodies, e.g. tyres and combined with other valves, e.g. safet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물의 순환을 차단하여 가축들의 전염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집수통을 별도로 설치하여 불필요하게 큰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급수통을 포함하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는 상기 급수통(150)이 안착되게 각각 급수통안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에는 중앙부를 가로질러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물을 상기 급수통(150)에 공급하는 집수통(140)과;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주도록 상기 집수통(140)의 물을 상기 급수통(150)으로 공급하는 체크밸브(1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155)는 양측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직접 결합 또는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연결된 공급관(152)에 결합되는 관체의 연결관(156)과; 상기 연결관(156)의 내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57)과; 상기 급수통(150)과 근접되는 상기 걸림턱(157)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걸림턱(157)에 고정된 채 타단이 유동되면서 상기 연결관(156)의 유로를 개폐하는 얇은 원판형의 개폐판(158)으로 구성되며, 상기 집수통(140)의 수위로 급수통(15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산용 급수장치{A WATER FEEDING DEVICE FOR DOMESTIC ANIMALS}
본 발명은 축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염된 물의 순환을 차단하여 가축들의 전염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집수통을 별도로 설치하여 불필요하게 큰 물탱크를 구비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물을 급수할 수 있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용 급수장치는 실외 또는 축사 내부에 배치되어 가축의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급수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찬물에 의한 가축의 배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장치이다.
이러한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2-7772호(1997.3.27)의 "가축용 급수통"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가축용 급수통은 연화점이 낮은 합성수지부재로 제작되어 있어 히터의 과열에 의한 용융이 발생될 수 있고, 별도의 지지대를 제작 설치하여야하는 불편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0406호의 "축산용 자동 보온급수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축산용 자동 보온급수기는 수조 및 외통제를 금속부재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제작 및 사용상의 불편이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열전달부재로 수조를 형성하고 수조의 외부에 합성수지부재로 된 수조 받침통을 마련하되 수조받침통에 다리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신안공보 제202603호로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수조를 열전달부재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제조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통상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수조의 특성상 불필요한 열손실이 발생되고, 또한 수조의 외부에 히터를 배치하게 되어 히터의 용량이 크게 되어 전력소비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의 중앙영역에 급수관 및 개폐밸브를 배치하고 가축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커버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기간이 경과될 경우 가축의 장난 등 가축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 및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들이 우사에 설치되는 경우,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게 되어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의 전방으로 물이 비산되어 바닥이 오염될 뿐 아니라 동절기에는 물이 얼게되어 통행 및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축산용 급수장치는 급수된 물을 여러마리의 가축이 서로 공유하면서 먹기 때문에 만에하나 병원균이 감염된 가축이 발생할 경우 다른 가축들에게 까지 전염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369071호의 "축사용 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있다.
위 기술은 본체 자체의 내부에 물이 집수되는 물탱크가 설치되고, 물탱크에 접하여 급수조가 설치되며, 상기 급수조에 물을 일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일방향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급수조내의 물을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 기술은 물탱크에 급수조가 접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상당한 부피 및 체적을 갖는 물탱크를 구비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동절기에는 물탱크에 내장된 물을 가열하기 위해 상당한 전력을 사용하여야 하는바 열손실이 발생되고, 또한 물탱크내부의 물때 등의 청소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노동력이 들게 되며, 이에 따라 유지비용 등 전체적인 관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작은 집수통을 별도로 구비하여 몸체의 중앙부에 가로질러 설치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발생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청소시 적은 노동력으로 단시간내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축산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집수통과 급수통의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주도록 하여 급수통의 물이 부족한 경우 자동적으로 집수통의 물이 급수통으로 조금씩 공급되어 지도록 한 축산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급수통을 별도로 구비하여 일측의 급수통에 오염된 물이 타측의 급수통으로 순환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가축들의 전염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축산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급수통의 하부에 코일히터를 설치하여 동절기에 물이 얼지 않도록 함은 물론 따뜻한 물을 가축이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한 축산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급수통을 포함하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는 상기 급수통(150)이 안착되게 각각 급수통안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에는 중앙부를 가로질러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물을 상기 급수통(150)에 공급하는 집수통(140)과;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통(150)의 물이 역류되지 않은 채 상기 집수통(140)의 물이 상기 급수통(150)으로 일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체크밸브(1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집수통(140)의 수위로 급수통(15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155)는 양측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직접 결합 또는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연결된 공급관(152)에 결합되는 관체의 연결관(156)과; 상기 연결관(156)의 내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57)과; 상기 급수통(150)과 근접되는 상기 걸림턱(157)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걸림턱(157)에 고정된 채 타단이 유동되면서 상기 연결관(156)의 유로를 개폐하는 얇은 원판형의 개폐판(158)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는 고정구(172)에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51)이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151)에는 고정브라켓(170)이 관통된 채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7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통(150)을 가열하는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20)의 상단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빙둘러 배수유도턱(12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도턱(125)에는 배수유도턱(125)에 의해 유도된 물을 몸체(12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홈(1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부피가 작은 집수통을 별도로 구비하여 몸체의 중앙부에 가로질러 설치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발생된 열손실을 최소화하고, 청소시 적은 노동력으로 단시간내에 청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체크밸브를 이용하여 집수통과 급수통의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주도록 하여 급수통의 물이 부족한 경우 자동적으로 집수통의 물이 급수통으로 공급되어 지게 된다.
또한, 일측의 급수통에 오염된 물이 타측의 급수통으로 순환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가축들의 전염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급수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급수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체크밸브를 보인 단면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산용 급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축산용 급수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된 몸체(120)와, 상기 몸체(120)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급수통(15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에 중앙부를 가로질러 장착되는 집수통(140)과,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사이에 상기 집수통(140)의 물을 급수통(150)으로 일방향으로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체크밸브(155)를 더 포함하여 상기 집수통(140)의 수위로 급수통(15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120)는 내부가 빈 중공형태의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는 상기 급수통(150)이 안착되게 각각 급수통안착홈(12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사방에는 높낮이 조절가능하게 받침다리(110)가 구비되며, 전방 중앙에는 한쌍의 걸림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0)의 외측 표면에는 외부의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강력을 증대시켜 외부충격 및 온도변화에 따른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보강리브(123)가 형성되며, 상단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빙둘러 배수유도턱(12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도턱(125)에는 배수유도턱(125)에 의해 유도된 물을 몸체(12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수유도턱(125)에 의해 가축이 물을 음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급수통(150)을 넘어 물이 넘치더라도 몸체(120)의 주변에 물이 떨어지지 않게 되며, 상기 배수홈(124)에 의해 정해진 위치로 물이 배수되어 지게 되어 주변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20)의 전방에는 상기 걸림돌기(122)에 걸쳐지게 결합되어 제어부(13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커버(1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131)의 양측에는 상기 걸림돌기(122)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도록 중간에서 하부로 개방된 걸림홈(133)이 구비되는 브라켓(132)이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130)를 조작함에 있어 커버(131)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쉽게 조잘할 수 있도록 온도조절 스위치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수통(140)은 외부로부터 집수된 물을 상기 급수통(150)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상기 몸체(120)에 별도로 구비되어 설치되고, 본 발명의 상기 급수통(150)으로 공급되는 물의 높이는 상기 집수통(140)의 물높이와 동일함에 따라 상기 급수통(150)의 물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집수통(140)의 물높이를 조절하면 된다.
상기 집수통(140)의 물높이는 통상의 플로트밸브(141)를 내부에 구비하여 외부의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면 되고, 상기 플로트밸브(141)외에 상기 체크밸브(155)를 사용하여 외부의 급수원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집수통(140)은 적은 양의 물을 집수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기존의 물탱크와 같이 불필요하게 많은 양을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많은 양의 물을 가열함에 따른 열손실을 줄이고, 청소 등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노동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급수통(150)은 상기 급수통안착홈(121)의 주연부에 안착된 상태로 저면이 삽입되도록 급수통(150)의 가장자리에는 급수통안착홈(121)에 걸쳐지게 체결턱(150a)이 형성되고, 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턱(150a)을 관통하여 몸체(12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급수통(150)은 가축이 마시는 물의 용량보다 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급수통(150)의 용량보다 가축이 마시는 물의 용량이 클 경우 상기 집수통(140)을 통해 부족한 물이 계속 공급되나, 반대로 급수통(150)의 용량이 크면 가축이 마시고 남은 물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쉽게 오염되어 전염병의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체크밸브(155)는 상기 집수통(140)의 물을 급수통(150)으로 공급하여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주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체크밸브(155)는 양측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직접 결합 또는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연결된 공급관(152)에 결합되는 관체의 연결관(156)과, 상기 연결관(156)의 내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57)과, 상기 급수통(150)과 근접되는 상기 걸림턱(157)의 일측벽에 연결관(156)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판(158)으로 구성된다.
상기 개폐판(158)은 일단이 상기 걸림턱(157)에 고정된 채 타단이 유동되면서 상기 연결관(156)의 유로를 개폐하는 얇은 원판형의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수통(150)의 수위가 집수통(140)의 수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집수통(140)의 물이 상기 개폐판(158)을 가압하여 밀면서 상기 급수통(150)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급수통(150)의 수위가 집수통(140)의 수위와 동일하게 상승된 경우에는 상기 집수통(140)의 물이 이동되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판(158)의 타측은 자중으로 하강되면서 상기 연결관(156)의 유로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는 고정구(172)에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51)이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151)에는 고정브라켓(170)이 관통된 채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기 고정브라켓(17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통(150)을 가열하는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170)의 내부에는 상기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홈(171)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71)에 의해 상기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는 유동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축이 급수통(150)에 채워진 물을 먹게 되면, 급수통(150)의 물은 줄어들게 되고, 급수통(150)의 물이 줄어들게 되면 집수통(140)에 집수된 물이 체크밸브(155)를 통해 급수통(150)으로 이동되어 지게 된다.
이때, 가축이 먹는 속도가 집수통(140)에서 급수통(150)으로 물이 공급되는 속도보다 빠르게 되어 가축이 급수통(150)의 표면을 핥으면서 먹게 됨으로써 급수통(15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가축이 물을 먹은 후에는 급수통(150)으로 공급되는 물은 집수통(140)의 수위만큼 공급되어 지게 되고, 수위가 같아지면 체크밸브(155)의 개폐판(158)이 연결관(156)의 유로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집수통(140)은 몸체(120)에 별도로 구비됨과 아울러 급수통(150)의 사이에 설치되어짐으로써 적은용량으로도 충분히 급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집수통(140)의 수위로 급수통(150)의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 가축의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급수할 수 있게 된다.
100: 축산용 급수장치 110: 받침다리
120: 몸체 121: 급수통안착홈
122: 걸림돌기 123: 보강리브
124: 배수홈 124a: 배수유도턱
130: 제어부 131: 커버
132: 브라켓 133: 걸림홈
140: 집수통 141: 플로트밸브
150: 급수통 150a: 체결턱
151: 나선축 152: 공급관
155: 체크밸브 156: 연결관
157: 걸림턱 158: 개폐판
160: 코일히터 161: 온도감지센서
170: 고정브라켓 171: 오목홈
172: 고정구

Claims (4)

  1. 상부가 개구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 양측에 설치되는 급수통을 포함하는 축산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 양측에는 상기 급수통(150)이 안착되게 각각 급수통안착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20)의 개구된 상부에는 중앙부를 가로질러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집수된 물을 상기 급수통(150)에 공급하는 집수통(140)과;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의 물높이를 동일하게 맞춰주도록 상기 집수통(140)의 물을 상기 급수통(150)으로 공급하는 체크밸브(1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크밸브(155)는 양측이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직접 결합 또는 상기 집수통(140)과 급수통(150)에 연결된 공급관(152)에 결합되는 관체의 연결관(156)과; 상기 연결관(156)의 내부에 단턱지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림턱(157)과; 상기 급수통(150)과 근접되는 상기 걸림턱(157)의 일측벽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걸림턱(157)에 고정된 채 타단이 유동되면서 상기 연결관(156)의 유로를 개폐하는 얇은 원판형의 개폐판(158)으로 구성되며,
    상기 집수통(140)의 수위로 급수통(150)에 담겨지는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는 고정구(172)에 나선결합되는 나선축(151)이 하방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151)에는 고정브라켓(170)이 관통된 채 상기 급수통(150)의 저면에 밀착되게 구비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70)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통(150)을 가열하는 코일히터(160)와 온도감지센서(161)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20)의 상단에는 외측 가장자리를 빙둘러 배수유도턱(125)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유도턱(125)에는 배수유도턱(125)에 의해 유도된 물을 몸체(120)의 외부로 배수하도록 하나 이상의 배수홈(1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용 급수장치.
KR1020100012746A 2010-02-11 2010-02-11 축산용 급수장치 KR10098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46A KR100982615B1 (ko) 2010-02-11 2010-02-11 축산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746A KR100982615B1 (ko) 2010-02-11 2010-02-11 축산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615B1 true KR100982615B1 (ko) 2010-09-15

Family

ID=43010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746A KR100982615B1 (ko) 2010-02-11 2010-02-11 축산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61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553B1 (ko) 2011-09-05 2012-09-06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KR20160126511A (ko) 2015-04-24 2016-11-02 최규철 가축용 급수장치
KR20200111502A (ko) 2019-03-19 2020-09-29 (주)태림이엔지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71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85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80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조립식 가축용 급수장치
KR20220101974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축산용 급수장치
KR20220101971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축산용 급수대
KR20220101977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사육 개체별 수분 섭취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축산용 급수 시스템
KR20220144040A (ko)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레테크 가축용 자동 급수기
WO2022242311A1 (zh) * 2021-05-21 2022-11-24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用饮水机
KR102475563B1 (ko) 2022-05-17 2022-12-07 최규철 가축용 급수장치
KR20230126995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이레테크 자동청소 스마트급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70Y1 (ko) 1999-12-30 2000-06-15 이상철 가축용 급수장치
KR20030023943A (ko) 2001-09-14 2003-03-26 차영배 축사용 물통장치
KR100431160B1 (ko) 2001-11-30 2004-05-17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100891028B1 (ko) * 2008-09-24 2009-03-31 최대식 축사용 급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6470Y1 (ko) 1999-12-30 2000-06-15 이상철 가축용 급수장치
KR20030023943A (ko) 2001-09-14 2003-03-26 차영배 축사용 물통장치
KR100431160B1 (ko) 2001-11-30 2004-05-17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100891028B1 (ko) * 2008-09-24 2009-03-31 최대식 축사용 급수기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0553B1 (ko) 2011-09-05 2012-09-06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KR20160126511A (ko) 2015-04-24 2016-11-02 최규철 가축용 급수장치
KR101693746B1 (ko) * 2015-04-24 2017-01-06 최규철 가축용 급수장치
KR20200111502A (ko) 2019-03-19 2020-09-29 (주)태림이엔지 가축용 급수장치
KR102273911B1 (ko) 2019-07-24 2021-07-05 구영남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85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80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조립식 가축용 급수장치
KR102273915B1 (ko) * 2019-07-24 2021-07-05 구영남 가축용 급수장치
KR20210012271A (ko) 2019-07-24 2021-02-03 구영남 가축용 급수장치
KR102273914B1 (ko) * 2019-07-24 2021-07-05 구영남 조립식 가축용 급수장치
KR20220101974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축산용 급수장치
KR20220101971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축산용 급수대
KR20220101977A (ko) 2021-01-12 2022-07-19 주식회사 아이팜 사육 개체별 수분 섭취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축산용 급수 시스템
KR20220144040A (ko) 2021-04-19 2022-10-26 주식회사 이레테크 가축용 자동 급수기
WO2022242311A1 (zh) * 2021-05-21 2022-11-24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用饮水机
KR20230126995A (ko)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이레테크 자동청소 스마트급수기
KR102475563B1 (ko) 2022-05-17 2022-12-07 최규철 가축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615B1 (ko) 축산용 급수장치
US8104431B2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US7267078B2 (en) Combination major appliance and pet watering system
KR101201545B1 (ko) 자동 사료 급이기판 물공급장치
EP2908621B1 (en) Animal watering device
KR101693746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4883022A (en) Animal waterer
AU2010271637A1 (en) Automatic warm and clean water supply apparatus for livestock
US8464661B1 (en) Automated animal watering apparatus
KR101180553B1 (ko) 축산용 급수장치
KR10128792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090033946A (ko) 세정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축사용 자동 냉/온급수장치,자동 배수장치
KR101151948B1 (ko) 울타리 일체형 식수공급장치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089485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0853724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20070113919A (ko)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
KR101245239B1 (ko) 축사용 급수통의 세척 및 배수 조절장치와 그 조절방법
KR102273915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100974808B1 (ko)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101341385B1 (ko) 동파방지열선이 구비된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0418933Y1 (ko) 돈사용 온수 공급장치
KR20130129535A (ko) 양돈용 자동 물공급방법
KR102273914B1 (ko) 조립식 가축용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