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261B1 - 축사용 자동급수기 - Google Patents

축사용 자동급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261B1
KR101341261B1 KR1020120021808A KR20120021808A KR101341261B1 KR 101341261 B1 KR101341261 B1 KR 101341261B1 KR 1020120021808 A KR1020120021808 A KR 1020120021808A KR 20120021808 A KR20120021808 A KR 20120021808A KR 101341261 B1 KR101341261 B1 KR 10134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eat exchange
exchange box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0531A (ko
Inventor
최대식
Original Assignee
최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식 filed Critical 최대식
Priority to KR102012002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261B1/ko
Publication of KR20130100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0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급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소를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을 직접 데워 수조에 공급하고 온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수조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수조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축사용 자동급수기{AUTOMATIC WATER SUPPLY FOR STALL}
본 발명은 축사용 자동급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소를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을 직접 데워 수조에 공급하고 온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수조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수조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급수기는 가축들을 가두어 기르는 축사의 일측에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아놓는 용기로서, 현재 대부분의 급수기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수도시설을 설비하여 물이 급수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축사용 급수기는 물을 공급하다 물이 후방으로 뿌려지거나, 급수기에 저장된 물의 울렁거림이 발생되거나, 용기 내의 물이 후방으로 흘러 넘치게 되면 급수기가 지저분해지고 이 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의 경우 급수기에 저장된 물이 얼게 되면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한 노동력이 많이 들고, 또한 매일 반복적으로 얼음이 생길 때마다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도 일정한 온도 이하의 물을 마시게 되면 배탈이나 기타 질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급수기 내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급수기에 히터를 장착한 축사용 물통이 제안된 바 있다. 즉, 물통의 하부면 및 어느 일측면에 전기 공급에 의해 항상 물통 내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데워주기 위한 히터를 설치하여, 겨울철이 되면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물이 얼지 않도록 하여 가축이 항상 일정한 온도의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의 경우 수도설비를 설치하여 급수기에 물을 공급하더라도 단수 등의 조치로 인해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이럴 경우, 히터는 물통 내에 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동작함으로 인해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의 손상으로 인한 경제적인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히터가 용기 내에서 노출될 뿐만 아니라 물과 접촉되기 때문에 히터에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용기 내의 물을 섭취하는 가축이 감전사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급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소를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을 직접 데워 수조에 공급하고 온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수조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수조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축사용 자동급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축사용 자동급수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은,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측면들을 마감하는 측판으로 구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 외측에서 바닥부를 통해 수조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수조 외측의 공급관 외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어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을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통해 수조 내의 물을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박스와, 상기 열교환박스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열교환박스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수조 내부로 급수하고 수조 내의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열교환박스의 타측에서 상기 수조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박스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이 수조 내로 계속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온수순환관과, 상기 히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급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소를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고, 물을 직접 데워 수조에 공급하고 온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수조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수조의 물이 얼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급수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열교환박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급수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열교환박스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에서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충진공간(S)이 형성되는 수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조(100)는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충진하는 용기로하부 일측에 배수구(111)가 형성되는 바닥부(110)와, 상기 바닥부(110)의 측면들을 마감하는 측판(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100)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부식이 강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수조(100)의 상면 후방에는 외부에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 가축이 물 먹는 동안 수조 밖으로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도시된 커버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구(111)에는 배수관(112)이 연결되어 수조 내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배수관(112)의 상단에는 배수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밸브(113)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 외측에서 바닥부(110)를 통해 수조(100) 내부로 관통되는 공급관(2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공급관(200)은 외부에 설치된 수도관 및 물탱크에 연결되어 가축들이 섭취할 수 있는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수조(100) 외측의 공급관(200)의 일부에는 개폐밸브(210)가 설치되어 수조(100) 내로 공급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 외측의 공급관(200) 외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공급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3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히터(300)는 공급관 외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공급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을 직접 가열시켜 이 가열된 물을 수조(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히터(300)는 수조의 바닥부(110)과 밀착되는 공급관(200)의 외면을 감싸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데, 이는 공급관(200)의 수조(100)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저온에 제일 취약한 부분이기 때문에 내부의 물이 제일 빨리 얼게 되고, 공급관(200)의 직경이 얇기 때문에 공급되는 내부의 물이 빨리 얼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급관(200) 외면에 히터(300)를 설치하기 때문에 공급관(200) 내의 물이 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공급관(200)으로 공급되는 물을 직접적으로 가열시켜 수조 내로 공급하기 때문에 열 효율이 월등히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공급관(200)이 연결되는 열교환박스(40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박스(400)는 히터(300)를 통해 가열된 물을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통해 수조(100) 내의 물을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열교환박스(400)는 수조(100)의 바닥부(10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수조(100) 내부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으로 공급관(200)이 연결되어 히터(300)를 통해 가열되어 공급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가열된 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가열된 물은 후술하는 급수수단을 통해 수조(100)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열교환박스(400)는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의 열을 수조(100)에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수조(100) 내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조(100)는 내부에 공급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박스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단 상부는 후술하는 플루트의 상하이동에 따른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향 경사진 경사면(4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박스(400)의 상측에는 상기 수조(100) 내부로 열교환박스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수조 내부로 급수하고 수조 내의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수단(50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급수수단(500)은 가축들이 일정한 물을 먹으면 자동적으로 수조(100) 내에 물이 충진되도록 구성되며, 수조 내부로 지나치게 많은 양이 공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수조(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급수관(510)과, 상기 급수관(510)의 단부에 결합되고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521)를 구비하여 플로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플로트밸브(520)로 구성된다. 즉, 가축들이 수조(100)의 물을 마셔 수조의 수위가 저하되면 이로 인해 플로트(521)가 하강하게 되어, 플로트밸브(520)가 개방되면서 급수관(510)으로부터 프로트밸브(520)를 통해 물이 유입되며, 유입된 물에 의해 수조 (100)내의 수위가 상승되어 플로트(521)가 상승되면 플로트밸드(520)를 폐쇄시키므로 수조(100)는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조(10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500)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커버(52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530)는 그 상면 전방 및 후방이 상기 수조의 바닥부(110)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은 수조(100)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보호커버(530)를 수조(10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급수수단 주변 청소가 용이하고 급수수단의 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조(100)의 하면은 급수수단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조(100)로 공급되도록 수조와 연통되게 구성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호커버(530) 하측에 다수개의 물공급구멍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박스(400)의 타측에서 상기 수조(100)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급수관(200)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박스(40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히터(300)를 통해 가열된 물이 열교환박스(400) 내로 계속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온수순환관(900)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온수순환관(900)은 열교환박스(400) 내에 가열된 물이 계속 충진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 열교환박스(400)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의 열을 수조(100)에 공급되는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온수순환관(900)은 열교환박스(400)를 통해 수조(100) 내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열교환박스(400)의 물을 순환시켜 상기 히터(300)를 통해 가열된 물이 열교환박스(400) 내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의 일측에는 상기 히터(300)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히터(300)의 온/오프, 가열온도 및 작동시간을 설정하여 히터(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600)에는 미도시된 누전차단기 설치가 설치되어, 전기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히터에 공급되는 전기를 차단함으로써, 가축이 감전사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온수순환관(900)에는 온수순환관(900) 내부로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700)가 설치되고, 이 온도센서(700)는 상기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순환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3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온도센서(700)를 통해 온수순환관(900)으로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여 히터(300)의 세기를 조절하거나, 온/오프 동작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가축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조(100)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800)를 통해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800)는 상기 수조 측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810)와, 상기 수직지지대(810)의 전방과 후방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조(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820)와, 상기 수직지지대(810)와 수평지지대(820)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서 상기 수평지지대(820)가 설치되는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클램프(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수직지지대(810) 상에서 클램프(830)를 통해 수평지지대(820)가 설치되는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지지대(810)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수평지지대(820)에 안착되는 수조(100)의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이다. 여기서, 더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830)는 상기 수직지지대(810)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괘지면이 대칭상으로 형성 한쌍의 수직클램프부(831)와, 상기 수직클램프부(831)의 일측 중앙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820)의 단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괘지면이 대칭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볼트(B)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832a)이 형성된 한쌍의 수평클램프부(83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수평지지대(830)의 하측으로는 수직지지대(810)를 연결하여 지지대(800)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보조지지대(8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축사용 자동급수기는 축사의 전방에 설치되어 가축에게 물을 급수하는데, 가축들이 일정한 물을 먹으면 급수수단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조 내에 가열된 물이 충진된다. 즉,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히터를 통해 가열되어 열교환박스로 충진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들이 수조(100)의 물을 마셔 수조의 수위가 저하되면 이로 인해 플로트(521)가 하강하게 되고,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밸브(520)가 개방되면서 급수관(510)으로부터 플로트밸브(520)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수조(100) 내로 물을 충진시킴과 동시에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이 공급관(200)을 통해 열교환박스(300) 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급수관(510)을 통해 유입된 물에 의해 수조(100) 내의 수위가 상승되면서 플로트(521)가 상승되면서 플로트밸브(520)를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플로트밸브(220)를 통해 수조 내의 물이 항상 일정한 양이 담겨 있도록 물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수조(100)의 물 수위가 일정 위치가 되면 플로트밸브(220)가 폐쇄되어 수조 내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하므로 수조(100) 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가축을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00)의 물 수위가 일정 위치가 되어 수조 내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박스(400) 내부의 물이 온수순환관(900)에 의해 순환되고, 상기 히터(300)를 통해 가열된 물이 열교환박스(400) 내로 계속 공급되도록 순환된다. 따라서, 온수순환관(900)은 열교환박스(400)의 물을 순환시켜 열교환박스(400)에 히터(300)를 통해 가열된 물이 지속적으로 충진되므로, 열교환박스에서 수조(100) 내의 물이 얼지 않도록 열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히터를 통해 직접 데워 수조에 공급하고, 수조 내에 설치된 열교환박스의 온수가 계속 순환하면서 수조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조의 물이 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축의 사육상태에 따라 수조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서 상기 수평지지대(820)가 설치되는 상하 위치를 적적하게 조절한 다음, 상기 수직지지대(810)와 수평지지대(820)를 클램프(830)를 통해 서로 결합시키면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 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수조 200: 공급관
300: 히터 400: 열교환박스
500: 급수수단 600: 제어부
700: 온도센서 800: 지지대
900: 온수순환관

Claims (4)

  1.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하부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측면들을 마감하는 측판으로 구성된 수조와,
    상기 수조 외측에서 바닥부를 통해 수조 내부로 관통 설치되어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과,
    상기 수조 외측의 공급관 외면을 감싸게 설치되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수조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어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을 수용하고,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통해 수조 내의 물을 얼지 않도록 열을 공급하는 열교환박스와,
    상기 열교환박스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 내부로 열교환박스 내부에 수용된 가열된 물을 수조 내부로 급수하고 수조 내의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수단과,
    상기 열교환박스의 타측에서 상기 수조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어, 상기 열교환박스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고 상기 히터를 통해 가열된 물이 열교환박스 내로 계속 공급되도록 순환시키는 온수순환관과,
    상기 히터의 동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상기 열교환박스의 상측으로 결합되어 열교환박스에 수용된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단부에 결합되고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플로트를 구비하여 플로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플로트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순환관에는 온수순환관 내부로 순환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이 온도센서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순환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히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통해 설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수조 측방에 설치되는 한쌍의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의 전방과 후방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수조의 저면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와 수평지지대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수직지지대 상에서 상기 수평지지대가 설치되는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클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클램프는 상기 수직지지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괘지면이 대칭상으로 형성 한쌍의 수직클램프부와, 상기 수직클램프부의 일측 중앙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수평지지대의 단부를 감싸도록 반원형의 괘지면이 대칭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볼트가 관통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 한쌍의 수평클램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20120021808A 2012-03-02 2012-03-02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134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808A KR101341261B1 (ko) 2012-03-02 2012-03-02 축사용 자동급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808A KR101341261B1 (ko) 2012-03-02 2012-03-02 축사용 자동급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31A KR20130100531A (ko) 2013-09-11
KR101341261B1 true KR101341261B1 (ko) 2013-12-13

Family

ID=4945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808A KR101341261B1 (ko) 2012-03-02 2012-03-02 축사용 자동급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2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1171A (zh) * 2013-12-24 2014-03-26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温控型家畜自动饮水器
KR101578206B1 (ko) 2015-09-08 2015-12-16 박수철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4388B1 (ko) 2015-06-19 2017-10-11 황근우 축사용 급수장치
CN108094249A (zh) * 2017-12-27 2018-06-01 无锡金铭祥机械有限公司 一种宠物自动供水系统
KR102627042B1 (ko) * 2021-03-12 2024-01-18 이근원 가축용 자동 보온급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899Y1 (ko) * 1986-12-23 1989-06-10 이창호 가축용 야외 보온 급수기
KR20030044411A (ko) * 2001-11-30 2003-06-09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200379929Y1 (ko) 2005-01-12 2005-03-24 유극열 보호커버를 개폐 가능한 축사용 보온 급수기
KR20100047715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이레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899Y1 (ko) * 1986-12-23 1989-06-10 이창호 가축용 야외 보온 급수기
KR20030044411A (ko) * 2001-11-30 2003-06-09 금재호 축사용 물통
KR200379929Y1 (ko) 2005-01-12 2005-03-24 유극열 보호커버를 개폐 가능한 축사용 보온 급수기
KR20100047715A (ko) * 2008-10-29 2010-05-10 주식회사 이레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51171A (zh) * 2013-12-24 2014-03-26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温控型家畜自动饮水器
KR101578206B1 (ko) 2015-09-08 2015-12-16 박수철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0531A (ko)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US4646687A (en) Animal waterer
US7853133B2 (en) Deicing system and method
WO2011007981A3 (ko) 가축용 자동 보온 청정 급수장치
KR20090033946A (ko) 세정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축사용 자동 냉/온급수장치,자동 배수장치
KR10128792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170073825A (ko) 가축용 보온 자동 급수장치
KR101180553B1 (ko) 축산용 급수장치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10089485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US8041200B2 (en) Deicing system and method
US20150296744A1 (en) Automatic watering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heating and circulating water
KR100853724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100363110B1 (ko) 축사용 물통
KR100974808B1 (ko) 축사 설치용 취수조
CN109349159A (zh) 一种智能养殖鸭箱
KR100746149B1 (ko) 히터보호수단을 갖는 가축용 물통
KR200418933Y1 (ko) 돈사용 온수 공급장치
CN217936853U (zh) 一种牛养殖用控温计量饮水装置
KR200365226Y1 (ko) 축사용 급수장치
KR20210012271A (ko) 가축용 급수장치
CN215123176U (zh) 一种热循环保温水槽
KR200263872Y1 (ko) 축사용 물통
CA3063072A1 (en) Cattle water fountain
KR100431160B1 (ko) 축사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