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727B1 - 가축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727B1
KR101058727B1 KR1020110009246A KR20110009246A KR101058727B1 KR 101058727 B1 KR101058727 B1 KR 101058727B1 KR 1020110009246 A KR1020110009246 A KR 1020110009246A KR 20110009246 A KR20110009246 A KR 20110009246A KR 101058727 B1 KR101058727 B1 KR 10105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er
temperature sensor
tank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섭
Original Assignee
김광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섭 filed Critical 김광섭
Priority to KR1020110009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와 근접하여 히터의 상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와, 상기 급수관, 히터, 온도센서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부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보호덮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 내의 물이 고갈되는 경우에도 히터의 과열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히터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부담없이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급수장치 {Water-supply apparatus for domestic animals }
본 발명은 각종 가축들이 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축사 등에 설치되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동절기에 물의 결빙을 방지하면서 가축들이 취식하기에 적절한 온도로 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물부족시 발생할 수 있는 히터의 과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히터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기르는 축사 등에는 가축들이 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가축에게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가축용 급수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가축용 급수장치는 대부분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과,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물통과, 동절기와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물의 결빙을 방지하면서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하도록 물을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급수관이나 히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가축의 주둥이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커버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단수나 급수관의 손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물공급이 차단됨으로써 물통 내부의 물이 고갈되는 경우에도 히터가 계속적으로 작동되어 과열이 발생하게 되며, 그에 따라 히터가 손상되거나 불필요한 전력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일부 급수장치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된 것도 있는데, 이러한 온도센서는 히터와는 별도로 설치되어 물의 온도를 적정하게 조절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며, 따라서 물이 고갈되어 히터와 함께 대기중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히터의 열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이러한 급수장치 또한 히터의 과열에 따른 상기한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물통이 주로 고가의 스테인레스 재질로 제작되어 전체 제조비가 상승됨으로써 축산농가 등에서 가축용 급수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내의 물이 고갈되는 경우에 히터의 과열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히터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하여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제조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경제적인 부담없이 설치될 수 있는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상부가 개방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와, 상기 급수관, 히터, 온도센서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부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보호덮개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온도센서는 지지몸체에 함께 고정되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온도센서는 수온을 감지함과 함께 수조의 물이 고갈된 경우 상기 히터에서 상승되는 열을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의 근접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수조의 내부 하측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가 개시된다.
삭제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수조는 폐합성수지재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는,
온도센서가 히터의 근접된 상측에 설치됨으로써 수온을 감지함과 함께 히터의 발열을 직접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단수나 오작동 등에 의해 물이 고갈되는 경우에도 히터의 과열 작동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히터의 손상이나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하여 수조를 제조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축산농가에 부담없이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보호덮개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히터 및 온도센서가 고정된 지지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들로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는 수조(10)와, 급수관(20)과, 히터(30)와, 온도센서(40)와, 보호덮개(60)와,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수조(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게 되며, 가축들이 주둥이를 넣어 내부에 수용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그 상부는 개방이 되고, 그 바닥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10)의 내부 하측 일측면에는 후술할 히터(30)와 온도센서(40)의 장착을 위한 설치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12)이 형성된 일측면의 외측으로는 후술할 제어부(70)의 장착을 위한 설치패널(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10)의 전체적인 형상은 도시된 것처럼 반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안정적으로 수조(10)를 지지하기 위한 다리(14)가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형상은 일 예시로서 특별하게 제한될 필요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수조(10)는 폐비닐 등을 재활용한 폐합성수지재를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폐합성수지재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일체로 제작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급수관(20)은 상기 수조(10)의 중앙부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수조(10)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급수관(20)에는 부구(21)를 구비한 개폐밸브(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수조(10) 내부의 수위가 변동됨에 따라 자동으로 물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구(21) 및 개폐밸브(22)의 구성은 종래 급수장치에도 다양하게 채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히터(30)는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온도센서(40)는 수조(10) 내부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히터(30)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함과 함께 수조(10) 내부의 물이 고갈된 경우에는 히터(30) 자체의 발열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터(30)는 수조(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온도센서(40)는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히터(30)와 근접된 상태에서 히터(30)의 상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온도센서(40)가 히터(30)에 근접하여 위쪽에 위치되면, 수조(10) 내부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는 물속에 잠긴 채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되고, 수조(10) 내부의 물이 고갈되어 대기중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아래쪽의 히터(30)로부터 상승되는 열을 직접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구조를 이루는 히터(30)와 온도센서(40)는 지지몸체(50)에 함께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몸체(50)는 상기 수조(10)에 형성된 설치공(12)을 통해 장착되는데, 이 때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상기 지지몸체(50)는 볼트 체결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몸체(50)는 전면에 상기 히터(30)와 온도센서(40)가 고정된 헤드부(51)와, 상기 헤드부(51)의 후면에 돌출 형성된 볼트부(52), 및 상기 볼트부(52)에 체결되는 너트부(53)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을 통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볼트부(52)가 상기 수조(10)의 설치공(12)을 관통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수조(10)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부(52)에 상기 너트부(53)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히터(30)와 온도센서(40)가 간편하게 수조(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너트부(53)만을 분리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수조(10)로부터 이탈시켜 히터(30)와 온도센서(40)에 붙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청소하는 등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덮개(60)는 상기 수조(10)의 개방된 상부 중앙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수조(10) 내부에 구비되는 급수관(20), 히터(30), 온도센서(40)를 그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축들의 주둥이와 상기 기기들이 접촉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보호덮개(60)는 그 상면부의 양단이 수조(10)의 개방된 상부에 나사 체결을 통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양측면부와 수조(10)의 내부면과의 사이에는 물이 통행할 수 있도록 간극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온도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30)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70)는 상기 수조(10)의 설치패널(13)에 장착될 수 있으며, 온도설정을 위한 조작레버(7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와 함께 안전장치로서 누전차단기(도면 미도시)가 상기 설치패널(13)에 더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된 부호 80은 가축들이 물을 마실 때 물이 밖으로 튀지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조(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물튐방지부재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의 작동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수관(20)을 통해 수조(10) 내부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물이 공급됨에 따라 수조(10) 내부에 일정한 양의 물이 채워지게 되면 급수관(20)에 구비된 부구((21) 및 개폐밸브(22)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물의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그리고 조작레버(71)를 통해 가축에 적합한 수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어부(70)의 설정온도를 세팅한 후, 히터(30)를 작동시켜 수조(10)에 채워진 물을 가열시킨다.
상기 히터(30)의 가열에 따라 물의 온도가 상승하여 설정 수온에 다다르면, 온도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70)에 의해 히터(30)의 발열작동이 제어되며, 가축은 적정 수온의 물을 마실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축이 물을 마시게 됨에 따라 수위가 감소되면 다시 부구((21) 및 개폐밸브(22)의 작동에 따라 자동으로 급수관(20)을 통해 물이 재공급되며, 재공급에 따라 수온이 하강되면 역시 온도센서(40)의 감지에 따라 다시 히터(30)가 발열 작동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물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의 작동과정이 반복되게 된다.
한편, 갑작스런 단수, 급수관(20)이나 개폐밸브(22)의 오작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상기와 같은 정상적인 물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가축이 물을 마시게 됨에 따라 수조(10) 내부의 물이 고갈될 수 있다.
이렇게 수조(10) 내부의 물이 고갈되면 수조(10) 하측에 구비된 히터(30)와 온도센서(40)가 대기중으로 노출이 되는데, 이 때 온도센서(40)가 히터(30)에 근접하여 바로 위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발열 작동하는 히터(30)의 열기를 직접 감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센서(4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70)가 히터(30)의 발열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히터(30)의 과열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는 정상적으로 물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히터의 과열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히터의 손상이나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는 전력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폐합성수지재를 재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과 함께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수조
20: 급수관
30: 히터
40: 온도센서
50: 지지몸체
60: 보호덮개
70: 제어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며 급수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 및 온도센서와, 상기 급수관, 히터, 온도센서를 내측에 수용하도록 상기 수조의 개방된 상부 중앙부분에 결합되는 보호덮개와,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히터의 발열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와 온도센서는 지지몸체에 함께 고정되어 일체로 구비되되, 상기 온도센서는 수온을 감지함과 함께 수조의 물이 고갈된 경우 상기 히터에서 상승되는 열을 직접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히터의 근접된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수조의 내부 하측 일측면에 형성된 설치공을 관통하여 볼트 체결됨으로써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수조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폐합성수지재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KR1020110009246A 2011-01-31 2011-01-31 가축용 급수장치 KR10105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46A KR101058727B1 (ko) 2011-01-31 2011-01-31 가축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246A KR101058727B1 (ko) 2011-01-31 2011-01-31 가축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727B1 true KR101058727B1 (ko) 2011-08-22

Family

ID=44933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246A KR101058727B1 (ko) 2011-01-31 2011-01-31 가축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7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8994C2 (ru) * 2011-10-13 2013-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зово-Черномо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гроинженерная академия" (ФГБОУ ВПО АЧГАА) Групповая автопоилка
CN103548710A (zh) * 2013-11-14 2014-02-05 北京国农基业畜牧科技有限公司 节能型防冻饮水器及使用方法
CN103651171A (zh) * 2013-12-24 2014-03-26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温控型家畜自动饮水器
CN107318685A (zh) * 2017-07-31 2017-11-07 山东中医药大学 一种智能动物饮水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11502A (ko) 2019-03-19 2020-09-29 (주)태림이엔지 가축용 급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03Y1 (ko) 2000-06-27 2000-11-15 탁동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
KR200379929Y1 (ko) 2005-01-12 2005-03-24 유극열 보호커버를 개폐 가능한 축사용 보온 급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603Y1 (ko) 2000-06-27 2000-11-15 탁동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
KR200379929Y1 (ko) 2005-01-12 2005-03-24 유극열 보호커버를 개폐 가능한 축사용 보온 급수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488994C2 (ru) * 2011-10-13 2013-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Азово-Черноморская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агроинженерная академия" (ФГБОУ ВПО АЧГАА) Групповая автопоилка
CN103548710A (zh) * 2013-11-14 2014-02-05 北京国农基业畜牧科技有限公司 节能型防冻饮水器及使用方法
CN103651171A (zh) * 2013-12-24 2014-03-26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温控型家畜自动饮水器
CN107318685A (zh) * 2017-07-31 2017-11-07 山东中医药大学 一种智能动物饮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318685B (zh) * 2017-07-31 2020-08-14 山东中医药大学 一种智能动物饮水装置及其使用方法
KR20200111502A (ko) 2019-03-19 2020-09-29 (주)태림이엔지 가축용 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8104431B2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US7267078B2 (en) Combination major appliance and pet watering system
KR101344971B1 (ko) 습식 자동사료급여기
US7853133B2 (en) Deicing system and method
KR20090116574A (ko) 축사용 자동냉온수 급수기
WO2011007981A3 (ko) 가축용 자동 보온 청정 급수장치
US7624702B1 (en) Automatic pet watering apparatus
US8464661B1 (en) Automated animal watering apparatus
CN111066675A (zh) 一种智能户外宠物喂水器
KR101287925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1189785B1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CN103651171A (zh) 一种温控型家畜自动饮水器
KR20170073825A (ko) 가축용 보온 자동 급수장치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0814095B1 (ko)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US8041200B2 (en) Deicing system and method
KR100974808B1 (ko)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20160051426A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CN210900887U (zh) 一种羊养殖用防冻饮水系统
KR100746149B1 (ko) 히터보호수단을 갖는 가축용 물통
US20100170448A1 (en) e-PAWS electronic pet automated watering system
KR200261107Y1 (ko) 축사용 물통
KR101341385B1 (ko) 동파방지열선이 구비된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0809128B1 (ko) 돈사용 온수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