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4095B1 -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4095B1
KR100814095B1 KR1020070036641A KR20070036641A KR100814095B1 KR 100814095 B1 KR100814095 B1 KR 100814095B1 KR 1020070036641 A KR1020070036641 A KR 1020070036641A KR 20070036641 A KR20070036641 A KR 20070036641A KR 100814095 B1 KR100814095 B1 KR 100814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supply
water tank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봉식
Original Assignee
황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봉식 filed Critical 황봉식
Priority to KR102007003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되,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으며, 내부의 각 모서리가 만곡되고, 담수된 물을 원활히 배수구를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수조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 측면에 내장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수조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수조의 타면에 부착되는 히터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문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수조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되, 별도의 밸브 없이 물의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수조 수위만큼 상기 몸체의 외측 상단에 걸쳐지는 주름관과, 수조의 배수구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과, 수조 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과 수위조절부는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통해 이물질이 장치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급수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내부의 이끼와 이끼포자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청소가 용이한 구조의 수조와 과다한 급수로 인한 물 넘침과 물 넘침으로 인한 전 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히터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며 급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밸브가 파손되거나 배관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된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급수장치, 수위조절, 가축사육

Description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water supply facility for live-st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11 : 수조 12 : 급수구
13 : 배수구 14 : 오버플로우관
15 : 주름관 16 : 고리
17 : 거름망 21 : 수위조절부
22 : 플로트 23 : 플로트 밸브
24 : 연결관 25 : 급수관
26 : 급수필터 31 : 온도센서
32 : 히터 33 : 컨트롤부
34 : 창문 35 : 브라켓
41 : 몸체 42 : 주름관 걸이부
43 : 지지부 51 : 자화수 장치
본 발명은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되,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으며, 내부의 각 모서리가 만곡되고, 담수된 물을 원활히 배수구를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수조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 측면에 내장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수조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수조의 타면에 부착되는 히터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문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수조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되, 별도의 밸브 없이 물의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수조 수위만큼 상기 몸체의 외측 상단에 걸쳐지는 주름관과, 수조의 배수구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과, 수조 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과 수위조절부는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통해 이물질이 장치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급수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는 용접접합을 통해 수조를 제작하 며 내부 모서리부에 각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로트밸브를 이용한 수위조절을 위한 수위조절부를 수조 내부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는 축사가 있는 실외에 설치되며 햇빛과 용존질소의 영향으로 수조에 물이 담긴 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필연적으로 물이끼 등의 번식으로 인한 오염이 수반되어 정기적인 수조 내부의 청소가 요구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기존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는 수조 내부에 위치한 수위조절부로 인해 수조 내부의 청소작업에 불편함이 있으며, 수조 내부의 모서리부와 수위조절부 내부에 이끼 포자가 잔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써 수조 청소 후에도 이끼가 빠르게 번식함으로써 오염이 빠르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에서 수조 내 수온측정을 위한 온도센서는 히터가 설치된 수조 바닥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온도센서가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수조 바닥 하부에 설치된 히터로부터 온도센서로의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히터의 과열 및 화재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겨울철에 적절한 수온 유지를 위해 설치된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가 급수장치 몸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어, 물이 수조 밖으로 흘러 넘치게 될 경우 넘친 물이 컨트롤부에 유입되어 전기장치를 파손시키고 누전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는 구조였다.
또한, 가축 음용수로 대부분 지하수를 사용하므로 지하수를 통해 유입된 불순물로 인해 수위조절부의 플로트밸브의 고장과 가축이 수조에 흘린 여물로 인한 배수구 및 주름관과 배수밸브의 막힘이 잦아 이를 정비하기 위해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었다..
따라서, 수조 내부의 이끼와 이끼포자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청소가 용이한 구조의 수조와 과다한 급수로 인한 물 넘침과 물 넘침으로 인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히터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며 급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밸브가 파손되거나 배관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된 가축사육용 급수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조 내부의 이끼와 이끼포자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청소가 용이한 구조의 수조와 과다한 급수로 인한 물 넘침과 물 넘침으로 인한 전기장치의 손상을 방지하고 급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도 히터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며 급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해 밸브가 파손되거나 배관이 막히지 않도록 구성된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되,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으며, 내부의 각 모서리가 만곡되고, 담수된 물을 원활히 배수구를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수조와, 상기 급수구를 통해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 측면에 내장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수조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수조의 타면에 부착되는 히터와, 상기 몸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문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와, 상기 수조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되, 별도의 밸브 없이 물의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수조 수위 만큼 상기 몸체의 외측 상단에 걸쳐지는 주름관과, 수조의 배수구에 이물질의 유입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과, 수조 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과 수위조절부는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통해 이물질이 장치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급수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를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100)는, 가축이 마실 물을 담는 급수구(12)와 배수구(13)를 갖는 수조(11)와, 수조(11)의 측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상기 급수구(12)를 통해 수조(11)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부(21)와, 수조(11)와 수위조절부(21)를 지탱하기 위해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41) 와, 상기 몸체(41)를 가축이 물을 먹기 알맞은 높이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43)를 포함하여 외형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의 전방에는 개폐되는 창문(24) 투명하여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고 미닫이 형식으로 개폐되는 창문(34)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창문(34)은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창문(34)을 통해 내부에 설치된 컨트롤부(33)의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100)에 있어서 수위조절부(21)b측의 구조는 수위조절부(21) 내부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트(22)와, 플로트(22)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개폐되는 플로트밸브(23), 수위조절부(21)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25)과, 급수관을 통해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필터(26)와, 상기 수조(11)와의 수위 연동을 위한 연결관(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에 따라, 본 발명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100)의 상기 수조(11) 측의 구조는 상기 수위조절부(21)와 연결관(24)을 통해 연결되어 수조(11)로 물을 주입하는 급수구(12)와, 수조(11) 내부의 물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구(13)와, 상기 배수구(13)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41) 바깥으로 물을 빼기 위한 주름관(15)과, 상기 수조(11)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조(11) 내부의 수온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온도센서(31)와, 상기 온도센서(31)의 검출온도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수조(11)의 타면에 부착되어 수조(11) 내부의 수온을 적정하게 유지하는 히터(32)와, 상기 몸체(41)의 전방에 개폐되는 창문(34)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 에 고정되는 브라켓(35)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31) 및 히터(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31)의 검출온도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히터(32)를 제어하는 컨트롤부(33)와, 상기 수조(11)의 배수구(13)에 연결되어 몸체(41)의 하부로 노출되되, 별도의 밸브 없이 물의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수조 수위 만큼 상기 몸체(41)의 외측 상단의 주름관걸이부(42)에 걸쳐지는 주름관(15)과 상기 수조(11)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급수필터(26)의 입구측에 자석의 상호 다른 자극이 상호 대향 배치되도록 배치하여 물의 공급방향과 교차하게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자화수장치(5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부식에 강한 금속 부재로 형성되며, 바닥면의 급수구(12) 측이 높고 배수구(13) 측은 낮도록 경사를 주어 배수가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수조(11) 내부의 각 모서리 부를 둥글게 처리하여 수조(11)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며 수조(11) 내부의 이끼 포자를 깨끗이 제거할 수 있어 청소 후 이끼번식으로 인한 오염을 지연시킬 수 있다.
수위조절부(21)는 수조(11)의 청소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수조(11)의 측면에 나란히 설치된다. 수조(11)의 급수구(12)는 수위조절부(21) 하부의 연결관(24)과 서로 연결되어 이를 통해 수조(11)와 수위조절부(21)의 수위는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축들이 식수를 마셔 수조(11)내의 수위가 저하되면 수위조절부(21) 내부의 수위도 함께 저하되고 이로 인해 플로트(22)가 하강하게 되 어, 플로트밸브(23)가 개방되고 급수관(25)으로부터 수위조절부(21)로 물이 유입된다. 급수관(25)을 통해 유입된 물은 연결관(24)을 통해 유동하게 되며 수조(11)내의 수위를 상승시키므로 수조(11)는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몸체(41)는 저렴하고 가공성이 뛰어난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는 뛰어난 단열 기능이 있으므로 히터(32)에서 발생하는 열의 몸체(41)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여, 내부 겨울철 배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몸체(41)는 가축이 물을 마시기 적합한 높이 유지를 위해 책상 다리형태의 지지부(43)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들린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몸체(41) 하부의 지지부(43)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에 지지부(43) 끝단을 삽입하여 설치함으로 지지부(43)의 손상시 교체가 용이한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농가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는 주로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는바 상기 수위조절부(21)의 급수관(25)에는 급수필터(26)가 설치되어 지하수와 함께 유입되는 이물질로 인해 플로트밸브(23)의 고무패킹(미도시)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있으며, 수조(11)의 배수구(13) 측에는 거름망(17)을 설치하여 가축의 여물로 형성된 이물질로 인해 배수구(13) 또는 주름관(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부(33)는 몸체(41) 내부에 위치하며, 몸체 전방에 설치되는 창문(34)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상기 창문(34)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하여 창문(34)을 닫은 상태에서도 창문(34)을 통해 내부의 컨트롤부(33)의 상 태를를 확인하고, 수위조절부(21) 내부의 수위를 점검하여 수위조절부(21)의 고장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조(11) 밖으로 물이 넘치게 될 경우 몸체(41) 내부로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이 컨트롤부(33)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온도센서(31)는 수조(11)내부 바닥면 외부 일측에 부착시켜 설치하고 "
Figure 112007028525520-pat00001
" 형상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수조(11) 바닥의 온도를 먼저 감지할 수 있으므로 수조(11) 내부에 물이 없더라도 곧바로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콘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히터(32)가 과열을 방지한다.
컨트롤부(33)는 온도센서(31)와 연동되어 히터(32)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조절장치(미도시)와 누설전류 발생시 전원을 자동적으로 차단해 주는 누전차단기(미도시)를 기본 구성으로 하게 된다.
수조(11)의 배수구(13)와 연결된 주름관(15)은 끝단에 설치된 고리(16)를 이용하여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몸체(41) 상단의 주름관걸이부(42)에 걸어 놓음으로 배수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배수밸브 없이도 간단히 배수를 중지할 수 있으며, 또한 주름관(15)의 파손 또는 막힘 시 간편하게 주름관(15)을 교체, 정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의 상부 일측에는 오버플로우관(14)을 별도로 설치하여 수조 내부로 과다한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 수조(11) 밖으로 물이 넘치기 전에 미리 가축사육용 급수장치의 몸체(41) 밖으로 물을 흘려보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기장치인 컨트롤부(33)를 보호하게 된다.
또한, 최근 각광받는 자기장형성수단을 이용한 자화수장치(51)를 추가로 급수필터(26) 입구측에 설치함으로 가축이 자화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면역력을 증대시키고 성장 및 증체를 촉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자화수장치(51)는 잔류자속 밀도가 높은 자석을 상호 다른 자극이 상호 대향 배치하여 물의 공급방향과 교차하게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할 수 있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축사육용 급수장치는,
수조내부의 청소 및 배수가 용이하고, 수조내부로 과다한 급수가 이루어질 경우 물의 넘침을 미리 방지하고, 물이 넘치더라도 전기장치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반대로 물이 없을 경우에도 히터의 과열을 방지하고, 공급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로 인한 밸브의 파손이나 배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 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한 인력과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화수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가축이 자화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면역력이 증대되고 성장 및 몸무게증가를 촉진할 수 있어 농가 소득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5)

  1. 수조와, 상기 수조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로 구성되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
    급수구와 배수구를 갖으며, 내부의 각 모서리가 만곡되고, 담수된 물을 원활히 배수구를 따라 배출시키기 위해 바닥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수조;
    상기 급수구를 통해 수조 내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몸체의 내부 측면에 내장되는 수위조절부;
    상기 수조 바닥면에 고정되어 수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의 검출온도에 의해 가동되며, 상기 수조의 타면에 부착되는 히터;
    상기 몸체의 전방에 개폐되는 문의 개방에 따라 노출될 수 있도록 내부에 고정되는 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히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의 검출온도를 비교 판단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부; 및
    상기 수조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몸체의 하부로 노출되되, 별도의 밸브 없이 물의 배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단부가 수조 수위만큼 상기 몸체의 외측 상단에 걸쳐지는 주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수조의 측면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배수구는 이물질의 유입으로 배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거름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밖으로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 상부 일측에 설치된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급수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급수관은 급수를 통해 이물질이 장치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급수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필터 입구측에 자석을 이용하여 상호 다른 자극이 상호 대향 배치 되도록 설치하여 물의 공급방향과 교차하게 자기장이 형성되도록 하는 자화수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KR1020070036641A 2007-04-13 2007-04-13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KR100814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41A KR100814095B1 (ko) 2007-04-13 2007-04-13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41A KR100814095B1 (ko) 2007-04-13 2007-04-13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4095B1 true KR100814095B1 (ko) 2008-03-14

Family

ID=393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641A KR100814095B1 (ko) 2007-04-13 2007-04-13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40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08B1 (ko) 2010-05-11 2010-08-06 박희선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101349115B1 (ko) * 2011-12-30 2014-01-23 대한민국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WO2016144221A1 (en) * 2015-03-10 2016-09-15 Thermobar Ab Control device and water tank for watering of cattle and horses
CN108541615A (zh) * 2018-06-14 2018-09-18 石台县绿丰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羊养殖供水装置
CN113647337A (zh) * 2020-10-29 2021-11-16 湖南圻鑫农牧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畜牧场母猪养殖用节能式喂水器
KR20220128186A (ko) * 2021-03-12 2022-09-20 이근원 가축용 자동 보온급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06Y1 (ko) * 1996-03-09 1998-11-02 탁동수 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
KR100454710B1 (ko) * 2002-05-24 2004-11-05 주식회사 이레 가축용 자화수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0406Y1 (ko) * 1996-03-09 1998-11-02 탁동수 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
KR100454710B1 (ko) * 2002-05-24 2004-11-05 주식회사 이레 가축용 자화수 급수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08B1 (ko) 2010-05-11 2010-08-06 박희선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101349115B1 (ko) * 2011-12-30 2014-01-23 대한민국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가축의 물섭취량 조사시스템 및 조사방법
WO2016144221A1 (en) * 2015-03-10 2016-09-15 Thermobar Ab Control device and water tank for watering of cattle and horses
EP3268704A4 (en) * 2015-03-10 2018-11-14 Thermobar AB Control device and water tank for watering of cattle and horses
CN108541615A (zh) * 2018-06-14 2018-09-18 石台县绿丰园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羊养殖供水装置
CN113647337A (zh) * 2020-10-29 2021-11-16 湖南圻鑫农牧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畜牧场母猪养殖用节能式喂水器
KR20220128186A (ko) * 2021-03-12 2022-09-20 이근원 가축용 자동 보온급수장치
KR102627042B1 (ko) * 2021-03-12 2024-01-18 이근원 가축용 자동 보온급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095B1 (ko) 가축사육용 급수 장치
US20120111280A1 (en) Automatic Water Fountain for Supplying Warm--Clean Water to Livestock
KR100982615B1 (ko) 축산용 급수장치
KR101189785B1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KR20090033946A (ko) 세정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축사용 자동 냉/온급수장치,자동 배수장치
JP2014025235A (ja) 浄化槽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8127837A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通気管の構造
KR101359397B1 (ko) 센서형 강우감지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304488B1 (ko) 수위제어식 강수량계
EP2363540A2 (en) Automatic shower tray or wet-room gulley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CN206223263U (zh) 一种短波广播发射机自动补水装置
CN204983035U (zh) 一种给排水系统
KR101373478B1 (ko) 맨홀의 무전원 배수장치
KR100974808B1 (ko)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102273915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10146981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게이트펌프와 설치구조물
CN106719038A (zh) 一种牛用饮水装置
CN207870031U (zh) 新型饮水装置
CN205369511U (zh) 一种污水收集与自动排放井
CN214574320U (zh) 一种供水房防积水系统
JP2007321546A (ja) 受水槽異常監視装置
KR102273911B1 (ko)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CN208754937U (zh) 一种电加热式饮水槽
KR101341385B1 (ko) 동파방지열선이 구비된 축사용 자동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