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206B1 -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 Google Patents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206B1
KR101578206B1 KR1020150126743A KR20150126743A KR101578206B1 KR 101578206 B1 KR101578206 B1 KR 101578206B1 KR 1020150126743 A KR1020150126743 A KR 1020150126743A KR 20150126743 A KR20150126743 A KR 20150126743A KR 101578206 B1 KR101578206 B1 KR 101578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pipe
raw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철
Original Assignee
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철 filed Critical 박수철
Priority to KR1020150126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1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ement of pressure
    • G01F23/18Indicating, recording or alarm devices actuated electrical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배수기 의 수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배수시 가축에 의해 남겨진 찌꺼기 등이 배수구에 막히지 않도록 제트사이폰배수관을 설치하여 수용된 물과 찌꺼기가 막힘없이 배출되면서 일정시간의 수조에 수용된 물이 주기적으로 급수 및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의한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는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바닥면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 일측면에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120)이 구비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의 배수구(110)와 연결 절곡되어 수조(100) 하부를 지나 절곡되어 수조(100)의 외벽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210)과 상기 제1배수관(2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절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20)로 형성되는 일체의 제트사이폰배수관(200)과, 상기 수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의 일측면에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2수위모듈(310)이 구비되는 물탱크(300)와,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와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일면에 내부의 원수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제1개폐밸브(410)가 설치되며, 타단이 수조(100)의 배수구(110)에 연결 절곡되는 제1배수관(210)의 일면에 제1배수관(210) 내부로 연통 연결되되, 상기 배수구(110)에 제1배수관(210) 단부가 절곡 연결되는 제1배수관(210)의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타단이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 일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400)과, 상기 수조(100)의 제1수위모듈(120), 물탱크(300)의 제2수위모듈(310) 및 원수공급관(400)의 제1개폐밸브(41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을 포함한다.
상기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급배수기의 수조 내의 배수구에 연결된 제트사이폰배수관이 설치되어 물탱크의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면서 배수구와 제트사이폰배수관을 통해 원수가 빠르게 제트사이폰배수관으로 배출되면서 동시에 배수구와 제트사이폰배수관 내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이 배수구를 통해 제트사이폰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어 급배수기 내의 물과 잔여물이 모두 배출되면서 동시에 잔여물이 배수구를 통해 제트사이폰배수관이 진공압과 원수의 유속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 배수구 및 제트사이폰배수관 내에 막힘없이 모든 잔여물이 배출되어 수조 내에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Automatic device of water supply and drain for livestock}
본 발명은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배수기 의 수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면서 배수시 가축에 의해 남겨진 찌꺼기 등이 배수구에 막히지 않도록 제트사이폰배수관을 설치하여 수용된 물과 찌꺼기가 막힘없이 배출되면서 일정시간의 수조에 수용된 물이 주기적으로 급수 및 배수될 수 있도록 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작업의 효율성 및 편리성이 향상되고, 가축에게 공급되는 물이 항상 청결함을 유지되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급배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급수기는 가축들을 가두어 기르는 축사의 일측에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아 놓는 용기로서, 현재 대부분의 급수기는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수도시설을 설비하여 물이 급수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축사용 급수기는 물을 공급하다 물이 후방으로 뿌려지거나, 급수기에 저장된 물의 울렁거림이 발생되거나, 용기 내의 물이 후방으로 흘러 넘치게 되면 급수기가 지저분해지고 이 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축사용 급수기의 수조에 수용된 물을 가축이 먹으면서 사료, 볏짚, 각종 목초 찌꺼기 등이 수조 내부에 물과 함께 혼합되어 장시간이 지나면 수조에서 물이 오염되어 물을 자주 교체하게 되며, 그리고 수조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물을 배출하면서 물에 혼합된 각종 잔여물이 배출되면서 상기 잔여물이 배출구의 배출라인 내부를 통과하지 못하여 막힘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물과 잔여물이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1261호(발명의 명칭 : 축사용 자동 급수기)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급배수기의 수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급배수기의 수조 내의 배수구에 제트사이폰배수관이 설치되어 급배수기 내의 수용된 물이 빠르게 외부로 배출되어 급배수기 내의 물과 잔여물이 모두 배출되면서 급배수기의 수조 내에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도록 한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바닥면 일측에 배수구가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면에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이 구비되는 수조와,
상기 수조의 배수구와 연결 절곡되어 수조 하부를 지나 절곡되어 수조의 외벽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과 상기 제1배수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절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로 형성되는 일체의 제트사이폰배수관과,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내부의 일측면에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2수위모듈이 구비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내부와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일면에 내부의 원수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며, 타단이 수조의 배수구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제1배수관의 일면에 제1배수관 내부로 관통 연결되되, 상기 배수구에 제1배수관 단부가 절곡 연결되는 제1배수관의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타단이 제1배수관의 절곡면 일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과,
상기 수조의 제1수위모듈과 물탱크의 제2수위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향 연장되는 원수공급관의 일면에 원수공급관 내부로 내통되어 외부로 연결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가 수조의 상부에 형성되는 세척배관이 더 포함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물탱크와 원수공급관 사이에 제1개폐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개폐밸브의 작동을 시간차로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머제어모듈이 제어부에 더 포함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세척배관이 연결되는 원수공급관 내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의 작동이 제1수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제어하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물탱크의 내부에 UV살균램프가 설치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수조의 외면에 열매체부가 설치되어 수조 내부의 물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매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급배수기 내부로 물의 수위를 조절 공급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며, 상기 급배수기의 수조 내의 배수구에 연결된 제트사이폰배수관이 설치되어 물탱크의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면서 배수구와 제트사이폰배수관을 통해 원수가 빠르게 제트사이폰배수관으로 배출되면서 동시에 배수구와 제트사이폰배수관 내에 발생된 진공압에 의해 수조 내의 물이 배수구를 통해 제트사이폰배수관을 통해 배출되어 급배수기 내의 물과 잔여물이 모두 배출되면서 동시에 잔여물이 배수구를 통해 제트사이폰배수관이 진공압과 원수의 유속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 배수구 및 제트사이폰배수관 내에 막힘없이 모든 잔여물이 배출되어 수조 내에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또한 물탱크의 원수가 원수공급관을 통해 급배수기의 수조 내에 물을 배출하면서 수조 내에 물이 모두 배출과 동시에 원수가 배수구를 통해 수조 내로 유입되어 수조 내에 물이 자동으로 채워지게 되며, 이러한 물탱크의 원수가 이동됨에 따라 수조 내의 물이 배출과 유입이 시간차를 두고 동시에 발생됨과 제어부의 타이머제어모듈에 의해 시간차로 물탱크의 원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여 항상 수조 내의 물이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의 배수구에 연결되는 제트사이폰배수관과 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의 원수의 공급 및 배출 흐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의 시스템 구성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뒤에 설명이 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뒤에 설명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구조, 역할 및 기능 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하여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모듈",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흡입식 변기 및 진공 흡입식 변기의 작동제어방법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바닥면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 일측면에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120)이 구비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의 배수구(110)와 연결 절곡되어 수조(100) 하부를 지나 절곡되어 수조(100)의 외벽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210)과 상기 제1배수관(2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절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20)로 형성되는 일체의 제트사이폰배수관(200)과,
상기 수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의 일측면에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2수위모듈(310)이 구비되는 물탱크(300)와,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와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일면에 내부의 원수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제1개폐밸브(410)가 설치되며, 타단이 수조(100)의 배수구(110)에 연결 절곡되는 제1배수관(210)의 일면에 제1배수관(210) 내부로 연통 연결되되, 상기 배수구(110)에 제1배수관(210) 단부가 절곡 연결되는 제1배수관(210)의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타단이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 일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400)과,
상기 수조(100)의 제1수위모듈(120), 물탱크(300)의 제2수위모듈(310) 및 원수공급관(400)의 제1개폐밸브(41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는 가축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수용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에 물을 자동 공급하도록 수조(10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물탱크(300)와, 상기 물탱크(300)에 수용된 물이 수조(100)로 자동 유입되도록 하는 원수공급관(400)과, 상기 수조(100)로 물탱크(300)의 물이 자동으로 급수됨과 아울러 동시에 수조(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연결되어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이 수조(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제트사이폰배수관(200) 및, 상기 물탱크(300)의 물급수, 수조(100)의 물급수 및 물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0)는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바닥면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면서 내부 일측면에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1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수위모듈(120)은 수조(100) 내부에 물이 수조(100)의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항상 채워질 수 있도록 센싱하는 것으로 통상 사용되는 공기부력장치나 물높이감지용 수위센서를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조(100)가 상부에 안착되어 수용되면서 지면에 설치되도록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제1수위모듈(120)이 공기부력장치일 경우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수조(100) 내에 유입되면서 공기부력장치(미도시)의 공기부력이 상향되면서 소정의 높이로 공기부력이 상향되어 멈추면서 동시에 수도라인(20)의 원수공급구(미도시)를 밀폐하면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되, 이때 상기 원수공급구(미도시)는 수조의 바닥면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수도라인의 끝단이 수조의 외부 저면부로 연통된 원수공급구(미도시)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수위모듈(120)이 수위감지용 수위센서일 경우 상기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수조(100)로 유입되면서 수조(100) 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수위센서가 수조(100) 내에 소정의 높이로 충진된 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센싱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에 설치된 제3개폐밸브(22)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3개폐밸브(22)가 수도라인(20)을 원수 공급을 차단하게 되며, 반대로 수위센서가 수조(100) 내의 수용된 원수가 점진적으로 수위가 낮아지게 되거나 수용된 물이 모두 배출되어 수조(100) 내의 충진된 원수가 없을 시 수위센서가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의 제3개폐밸브(22)를 열어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를 수조(100) 내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제1수위모듈(120)은 수조(100) 내부에 부착된 제1수위모듈(120)에 의해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공급되어 수조(100) 내부의 물이 채워지는 수위를 감지하여 부착된 제1수위모듈(120)의 수위감지를 통해 물이 수조(100) 내에 충진되는 물의 수위를 센싱하여 센싱된 값을 제어부(500)로 전송하여 제어부(500)가 수조(100) 내에 유입되는 수도라인(20)에 구비된 제3개폐밸브(22)의 원수의 유입 및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수조(100)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축이 섭취시 수위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수조(100) 내의 제1수위모듈(120)이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게 도며, 이때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의 제3개폐밸브(22)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3개폐밸브(22)를 개방하여 수도라인(20)을 통한 원수를 수조(100) 내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트사이폰배수관(200)은 상기 수조(100)의 배수구(110)와 연결 절곡되어 수조(100) 하부를 지나 절곡되어 수조(100)의 외벽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210)과 상기 제1배수관(2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절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2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배수관(210)의 일단이 배수구(110)와 연결되어 수조(100) 하부를 지나 절곡되어 상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210)의 타단은 수조(100) 내부의 바닥면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제1배수관(210)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어 일선상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배수관(210)의 타단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수조(100)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위치를 가지게 되며, 이때 상기 제1배수관(210)의 타단의 위치와 동일선상의 수평으로 수조 내에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120)의 위치가 설정되어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에 수용된 원수는 수조(100) 내의 가축이 물을 섭취시 사료, 볏짚 등과 같은 잔여물이 수조(100) 내에 부유 또는 가라앉아 있을 경우 수조(100) 내의 물을 배출하여 깨끗한 물로 교체해주어야 함에 이때 상기 물탱크(300)의 원수를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수조(100)의 배수구(110)를 통해 제트사이폰배수관(2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배수구(110)로 원수가 진입되면서 배수구(110) 및 제트사이폰배수관(200)의 제1배수관(210)에 수용된 물과 충돌하면서 밀어 내어 제트사이폰배수관(200)의 제2배수관(220)으로 흘러가게 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동시에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이 배수구(110) 진입되면서 제트사이폰배수관(200)으로 물이 이동되는 진공압과 유속으로 수조 내의 물이 배수구(110)를 통해 제트사이폰 배수관(20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물탱크(300)는 상기 수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내부의 일측면에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2수위모듈(310)이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300) 내부에 충진되는 물인 원수는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공급되게 되며, 이때 물탱크(300)의 소정의 높이로 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물탱크(300) 내부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소정의 높이의 내부 일측면에 설치된 제2수위모듈(310)에 의한 수위를 감지해 수도라인(20)을 통한 원수의 공급을 유입 및 차단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수위모듈(310)은 공기부력장치거나 수위감지용 수위센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위모듈(310)이 공기부력장치일 경우 수조(100) 내로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라인(20)에 연결되어 연장되는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물탱크(300) 내에 유입되면서 공기부력장치의 공기부력이 상향되면서 소정의 높이로 공기부력이 상향되어 멈추면서 동시에 수도라인(20)의 원수공급구(미도시)를 밀폐하면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며, 이때 상기 원수공급구(미도시)는 물탱크(300)의 바닥면 일면에 관통 형성되어 수도라인의 끝단이 물탱크(300)의 외부 저면부로 연통된 원수공급구(미도시)에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수위모듈(310)이 수위감지용 수위센서일 경우 상기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물탱크(300)로 유입되면서 물탱크(300) 내에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 수위센서가 물탱크(300) 내에 소정의 높이로 충진된 물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센싱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21)로 신호를 전송하여 제2개폐밸브(21)가 수도라인(20)을 원수 공급을 차단하게 되며, 반대로 수위센서가 물탱크(300) 내의 수용된 원수가 배출되어 물탱크(300) 내의 충진된 원수가 없을 시 수위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신호를 보내 상기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의 제2개폐밸브(21)를 열어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를 물탱크(300) 내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후술되는 원수공급관(400)의 제1개폐밸브(410)가 개방되면서 물탱크(300)의 원수가 배출되면서 동시에 제2수위모듈(310)이 물탱크(300) 내의 수위를 감지하여 제어부(500)로 신호를 보내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의 제2개폐밸브(21)를 개방하여 물탱크(300) 내로 원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수공급관(400)은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와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타단이 수조(100)의 배수구(110)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210)의 연결 절곡되는 절곡면 일면에 내부로 연통 연결되며, 상기 제1배수관(210)의 절곡되어 연결되는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은 제1배수관(210)의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위치인 제1배수관(210) 절곡면 일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구(110)에 연결되는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을 기준으로 상기 절곡면 일면 즉, 제1배수관(210)의 절곡되어 일체로 수평 연장되는 연결부위인 제1배수관(210)이 연결되면서 상기 절곡면의 일면에 대응되는 절곡면 타면에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이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에 원수공급관(400) 타단이 연통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300) 내에 수용된 원수가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흘러가면서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에 위치한 배수구(110)에 연결된 제1배수관(210)을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유입되면서 제1배수관(210)을 통해 흘러가게 되며, 이때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이 상기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원수가 제1배수관(210)을 통해 유입되면서 상기 제1배수관(2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유속 및 유압에 의해 제1배수관(210)의 내부를 진공상태를 만들어 상기 진공상태의 진공압에 의해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이 제1배수관(21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의 유속과 유압은 물탱크(300) 내의 수용된 물의 양(중량)에 비례하여 작용하며, 상기 물탱크(300) 내의 수용된 원수가 점진적으로 양이 적어지면서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으로 배출되는 원수의 유속과 유압이 작아지면서 제1배수관(210)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되, 제1배수관(210)에 연결된 제2배수관(210)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지 않으면서 원수공급관(400)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는 배수구(110)를 통해 역류하여 수조(100) 내로 점진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수조(100) 내에는 물탱크(300)에 잔존하는 양만이 채워지면서 수조(100)로 공급되는 수도라인(20)을 통해 원수가 수조(100) 내부로 충진되게 된다.
즉, 상기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이 제1배수관(210)을 통해 모두 배출되면 배수구(11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배수구(110)와 제1배수관(210) 내에 진공상태가 해제되어 원수공급관(400) 타단으로 배출된 원수는 배수구(110)를 통해 수조(100) 내로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500)는 물탱크(300) 내에 설치된 제2수위모듈(31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수도라인(20)에 설치된 제2개폐밸브(21)를 개방 및 차단을 하게 되고, 상기 수조(100) 내에 설치된 제1수위모듈(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수신하여 물탱크(300) 내부와 연결된 원수공급관(400)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410)를 작동하여 개방 및 차단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수조(100)와 물탱크(300)에 설치된 제1, 2수위모듈(120, 310)에서 감지된 상기 수조(100)와 물탱크(300)의 수위가 고수위 이상으로 감지하여 수도라인(20)의 제2, 3개폐밸브(21, 22)를 차폐하고, 상기 수조(100)와 물탱크(300)에 설치된 제1, 2수위모듈(120, 310)에서 감지된 상기 수조(100)와 물탱크(300)의 수위가 기준수위 이하이면, 상기 수도라인(20)의 제2, 3개폐밸브(21, 22)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수위모듈(120, 310)은 전기/전자식 센서 또는 플로트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외부의 전원을 인가하여 전원을 송출하는 전원공급부(520)가 포함되어 상기 제1, 2수위모듈(120, 310), 제1, 2, 3개폐밸브(410, 21, 22), 체크밸브(610), UV살균램프(320) 및 열매체부(13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상기 열매체부(130)의 온도를 설정하도록 입력부(530)가 포함되어 상기 입력부(530)는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입력부(530)는 상기 제어부(500)와 유선/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530)는 리모컨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상기 리모컨에는 열매체부(130)의 작동유무와 열매체부(130)의 온도 설정를 위한 운전모드 신호를 입력하는 설정스위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모컨에는 작동 상태를 알려주는 디스플레이부나 알람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에, 상기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이 가축이 물을 먹으면서 수조(100) 내의 물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제1수위모듈(120)이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500)로 전송하여 제어부(500)는 수도라인(20)의 제3개폐밸브(22)의 개방하도록 신호를 전송하여 원수가 수조(100) 내로 공급되도록 하며, 그리고 수조(100) 내에 잔여물이 발생되면 사용자가 제어부(500)에 설치된 세척버튼(501) 또는 제어부(500)에 제1개폐밸브(410)의 작동을 시간차로 설정되는 타이머제어모듈(510)을 통해 원수공급관(400)에 설치된 제1개폐밸브(410)를 개방하여 물탱크(300) 내에 충진된 원수를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흘러보내 원수공급관(400) 타단을 통해 원수가 배출되면서 배수구(110) 내에 수용된 물이 제1배수관(210)을 통해 밀어 내면서 동시에 원수가 제1배수관(210)을 통해 배출되어 제2배수관(2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이 제1배수관(210)으로 배출되는 수압 및 진공압에 의해 수조(100) 내의 물이 제1배수관(210)과 제2배수관(220)을 통해 수조(100) 내의 물이 모두 빠져나가면 배수구(110) 및 제1배수관(210)의 진공압이 해제되면서 원수공급관(400)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제1배수관(210) 및 배수구(110)를 통해 역류하여 수조(100) 내로 유입되어 수조(100) 내에 원수가 일부 충진되면서 제1수위모듈(120)의 수위 감지로 인해 제어부(500)가 수조(100)로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라인(20)의 제3개폐밸브(22)의 개방하여 수조(100) 내로 원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300) 내의 수용된 원수의 양은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에 비해 더 많은 양을 수용하거나 동일한 양을 수용하게 되거나 상기 물탱크(300)의 원수가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도라인(20)의 원수가 지속적으로 제2수위모듈(310)의 감지에 의해 물탱크(300) 내로 보충되도록 하며, 상기 물탱크(300)의 수용된 원수가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 원수의 유속은 물탱크(300)의 수용된 원수의 중량에 의해 증가하여 원수공급관(400) 타단을 통해 배출되는 원수가 빠르게 배수구(110)에 수용된 물을 제1배수관(210)으로 밀어 내어 제1배수관(210)에 유압 및 진공압을 증가시켜 수조(100) 내의 물을 빠르게 제1배수관(210)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0) 내로 유입되는 수도라인(20) 단부와 수조(100) 내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1수위모듈(120)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조(100) 일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수조(100) 내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커버부(140)가 설치되며, 상기 커버부(140)의 수조(100) 내부로 연장된 단부는 수조(100) 내부의 바닥면과 들뜬상태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140)가 형성됨으로서 수조(100) 내로 연장된 수도라인(20)의 단부와 제1수위모듈(120)을 커버하게 되어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을 가축이 섭취시 상기 수도라인(20)의 단부와 제1수위모듈(120)을 가축으로부터 보호하게 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향 연장되는 원수공급관(400)의 일면에 원수공급관(400) 내부로 내통되어 외부로 연결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가 수조(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세척배관(600)이 더 포함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물탱크(300)의 원수가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원수공급관(400)의 타단을 통해 원수가 배출시 상기 원수공급관(400) 내부로 연통되어 원수공급관(400) 일면에 구비된 세척배관(600)을 통해 원수가 유입되면서 세척배관(600)의 단부가 수조(100) 내의 상부에 노출되어 상기 세척배관(600)으로 유입된 원수가 수조(100) 내로 유입되면서 수조(100) 내에 묻어있는 잔여물(사료 또는 볏짚 등)을 씻겨 배수구(110)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도 2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배관(600)의 단부가 수조(100) 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링형태의 관형구조를 가진 세척부(620) 일면에 내통 연결되면서 상기 세척부(620) 하면 외주에 등간격으로 연통된 세척공(621)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세척배관(600)을 통해 이동된 원수는 세척부(620) 내부로 유입되면서 세척부(620) 하부 외주에 형성된 세척공(621)을 통해 배출되어 수조(100) 내부의 내벽을 따라 흘러가면서 수조(100) 내의 내벽에 묻어 있는 잔여물을 씻겨 배수구(110)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척배관(600)의 단부 또는 세척부(620)의 세척공(610)에 연통 연결되어 원수가 확산 분산되도록 노즐(미도시)이 더 구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와 원수공급관(400) 사이에 제1개폐밸브(41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개폐밸브(410)의 작동을 시간차로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머제어모듈(510)이 제어부에 더 포함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수조(1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정해진 시간으로 물탱크(300)의 원수가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유입되면서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이 배수구(110)를 거쳐 제트사이폰배수관(200)을 통해 배출되면서 수조(100) 내에 물이 충진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500)에 포함된 타이머제어모듈(510)에 의해 시간차를 설정하여 설정된 시간차에 의해 제어부(500)가 제1개폐밸브(410)가 작동을 제어하여 물탱크(300) 내의 원수가 수조(1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물탱크(300) 내의 원수가 모두 배출되었을 때 제어부(500)는 제1개폐밸브(410)를 차단하면서 수도라인(20)의 제2개폐밸브(21)를 개방하여 원수를 물탱크(300) 내로 충진한 다음 제2수위모듈(310)에 의해 센싱된 신호를 받은 제어부(500)가 수도라인(20) 제2개폐밸브(21)를 차단하여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세척배관(600)이 연결되는 원수공급관(400) 내부에 체크밸브(610)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610)의 작동이 제1수위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제어하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상술한 수조(100) 내로 원수를 공급하는 수도라인(20)의 연결 없이 수조(100) 내로 물탱크(300)의 원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조(100) 내에 설치된 제1수위모듈(120)의 감지에 의해 수조(100) 내의 물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원수공급관(400)의 제1개폐밸브(410)가 개방되면서 동시에 원수공급관(40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가 세척배관(600)으로 유입되도록 체크밸브(610)가 세척배관(600)을 개방하면서 원수공급관(400) 하부로는 원수가 차단되도록 하여 세척배관(600)으로만 원수가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수조(100) 내의 제1수위모듈(120)이 수조(100) 내의 물이 충진된 것을 감지하면 감지된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500)가 제1개폐밸브(410)를 차단하도록 제어하면서 체크밸브(610)가 세척배관(600)을 차단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체크밸브(610)는 원수공급관(400)과 세척배관(600)의 양방향 제어하도록 각각에 개폐용 밸브가 설치된 일체의 체크밸브(610)로서 제어부(400)의 신호에 의해 양쪽 개폐용 밸브를 연동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에 UV살균램프(320)가 설치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물탱크(300) 내에 수용된 원수에 유해 미생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UV살균램프(320)를 설치하여 제어부(500)의 전원공급부(520)에 의해 전원을 공급하여 UV살균램프(320)를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조(100)의 외면에 열매체부(130)가 설치되어 수조(100) 내부의 물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매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10)를 제공한다.
상기 수조(100) 내에 수용된 물이 동절기에 동파 및 어는 것을 방지하면서 가축이 섭취할 수 있는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수조(100) 외부의 외벽에 열매체부(130)를 설치하여 열을 발생하도록 하여 수조(100) 내의 수용된 물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열매체부(130)는 제어부(500)의 전원공급부(520)에 의해 전원을 전달하여 구동하는 동시에 제어부(500)에 의해 열매체부(130)에 발생되는 열을 균일하게 발생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자동 급배수기 : 10, 수조 : 100, 배수구 : 110, 제1수위모듈 : 120, 열매체부 : 130, 제트사이폰배수관 : 200, 제1배수관 : 210, 제2배수관 : 220, 물탱크 : 300, 제2수위모듈 : 310, 원수공급관 : 400, 제1개폐밸브 : 410, UV살균램프 : 320, 제어부 : 500, 타이머제어모듈 : 510, 세척배관 : 600, 체크밸브 : 610

Claims (7)

  1. 상측은 개방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내부 바닥면 일측에 배수구(110)가 형성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 일측면에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1수위모듈(120)이 구비되는 수조(100)와,
    상기 수조(100)의 배수구(110)와 연결 절곡되어 수조(100) 하부를 수평으로 지나 절곡되어 수조(100)의 외벽으로 상향 연장되는 제1배수관(210)과 상기 제1배수관(210)의 단부와 연결되어 절곡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는 제2배수관(220)로 형성되는 일체의 제트사이폰배수관(200)과,
    상기 수조(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수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면서 외부의 수도라인(2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가 충진되는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의 일측면에 내부의 바닥면과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는 제2수위모듈(310)이 구비되는 물탱크(300)와,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와 일단이 연통 연결되어 하향으로 연장되면서 연장된 일면에 내부의 원수를 개방 및 차단하도록 제1개폐밸브(410)가 설치되며, 타단이 수조(100)의 배수구(110)에 연결 절곡되는 제1배수관(210)의 일면에 제1배수관(210) 내부로 연통 연결되되, 상기 배수구(110)에 제1배수관(210) 단부가 절곡 연결되는 제1배수관(210)의 연결방향과 대면하는 방향으로 타단이 제1배수관(210)의 절곡면 일면에 연결되는 원수공급관(400)과,
    상기 수조(100)의 제1수위모듈(120), 물탱크(300)의 제2수위모듈(310) 및 원수공급관(400)의 제1개폐밸브(41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 내로 유입되는 수도라인(20) 단부와 수조(100) 내부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1수위모듈(120)을 커버하도록 상기 수조(100) 일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면서 수조(100) 내로 소정의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커버부(14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연장되는 원수공급관(400)의 일면에 원수공급관(400) 내부로 내통되어 외부로 연결 연장되면서 상기 연장된 단부가 수조(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세척배관(600)이 더 포함되고,
    상기 세척배관(600)의 단부가 수조(100) 내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링형태의 관형구조를 가진 세척부(620) 일면에 내통 연결되면서 상기 세척부(620) 하면 외주에 등간격으로 연통된 세척공(621)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00)와 원수공급관(400) 사이에 제1개폐밸브(410)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개폐밸브(410)의 작동을 시간차로 제어되도록 하는 타이머제어모듈(510)이 제어부에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배관(600)이 연결되는 원수공급관(400) 내부에 체크밸브(610)가 설치되며, 상기 체크밸브(610)의 작동이 제1수위모듈(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가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00)의 내부에 UV살균램프(3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00)의 외면에 열매체부(130)가 설치되어 수조(100) 내부의 물이 소정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열매체부(1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온도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KR1020150126743A 2015-09-08 2015-09-08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KR101578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43A KR101578206B1 (ko) 2015-09-08 2015-09-08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743A KR101578206B1 (ko) 2015-09-08 2015-09-08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206B1 true KR101578206B1 (ko) 2015-12-16

Family

ID=5508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743A KR101578206B1 (ko) 2015-09-08 2015-09-08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20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47372A (zh) * 2017-06-13 2017-08-18 王成志 一种鸭用饮水装置
KR101814327B1 (ko) 2017-02-08 2018-01-03 김호용 축사용 물통장치
CN111522367A (zh) * 2020-05-26 2020-08-11 宝钢化工湛江有限公司 一种轻质油的自动排水系统
KR102182626B1 (ko) * 2019-12-03 2020-11-25 포테닛 주식회사 자동세척기능을 구비한 축사용 음용수 자동공급장치
KR20220030794A (ko) * 2020-09-03 2022-03-11 문진철 가축용 위생 급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수방법
CN116171882A (zh) * 2023-04-04 2023-05-30 山西永济市超人奶业有限责任公司 一种奶牛饲养用投喂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43A (ko) * 2001-09-14 2003-03-26 차영배 축사용 물통장치
KR200362961Y1 (ko) * 2004-07-08 2004-09-22 서정춘 축사용 물통장치
KR200406147Y1 (ko) * 2005-09-02 2006-01-20 임석환 축사용보온살균급수대
KR20120039841A (ko) * 2010-10-18 2012-04-26 정주영 가축용 급수대
KR101341261B1 (ko) 2012-03-02 2013-12-13 최대식 축사용 자동급수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943A (ko) * 2001-09-14 2003-03-26 차영배 축사용 물통장치
KR200362961Y1 (ko) * 2004-07-08 2004-09-22 서정춘 축사용 물통장치
KR200406147Y1 (ko) * 2005-09-02 2006-01-20 임석환 축사용보온살균급수대
KR20120039841A (ko) * 2010-10-18 2012-04-26 정주영 가축용 급수대
KR101341261B1 (ko) 2012-03-02 2013-12-13 최대식 축사용 자동급수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4327B1 (ko) 2017-02-08 2018-01-03 김호용 축사용 물통장치
CN107047372A (zh) * 2017-06-13 2017-08-18 王成志 一种鸭用饮水装置
KR102182626B1 (ko) * 2019-12-03 2020-11-25 포테닛 주식회사 자동세척기능을 구비한 축사용 음용수 자동공급장치
CN111522367A (zh) * 2020-05-26 2020-08-11 宝钢化工湛江有限公司 一种轻质油的自动排水系统
KR20220030794A (ko) * 2020-09-03 2022-03-11 문진철 가축용 위생 급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수방법
KR102475510B1 (ko) 2020-09-03 2022-12-07 문진철 가축용 위생 급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급수방법
CN116171882A (zh) * 2023-04-04 2023-05-30 山西永济市超人奶业有限责任公司 一种奶牛饲养用投喂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8206B1 (ko) 축사용 자동 급배수기
US10194637B2 (en) Drinking apparatus for pets
KR101679167B1 (ko) 전자동 밥솥
EP2908621B1 (en) Animal watering device
US8104431B2 (en) Self-filling and self-draining watering device
JP6266633B2 (ja) 動物給水装置、及び動物給水装置を制御する方法
US20020108638A1 (en) Automated kitchenware washer
US8464661B1 (en) Automated animal watering apparatus
KR20090116574A (ko) 축사용 자동냉온수 급수기
CN215914461U (zh) 清洁机器人基站和清洁机器人系统
KR101189785B1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KR20090033946A (ko) 세정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축사용 자동 냉/온급수장치,자동 배수장치
KR101732367B1 (ko) 가축용 위생 물공급장치
KR20170073825A (ko) 가축용 보온 자동 급수장치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10220356B2 (en) Chemical solution feeder and method
KR101814327B1 (ko) 축사용 물통장치
KR20160011766A (ko) 목장용 자동 보온 급수기
JP2008183276A (ja) 食器洗い機
CA2735092A1 (en) Flow through humidifier recirculating pump
JP2019058224A (ja) 浴槽洗浄装置
KR20160051426A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US6910444B1 (en) Heated milk supply system for livestock
WO2003066534A1 (en) Water chlorinating device
KR20220061372A (ko) 애완 동물용 물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