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724B1 - 가축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축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3724B1
KR100853724B1 KR1020070055169A KR20070055169A KR100853724B1 KR 100853724 B1 KR100853724 B1 KR 100853724B1 KR 1020070055169 A KR1020070055169 A KR 1020070055169A KR 20070055169 A KR20070055169 A KR 20070055169A KR 100853724 B1 KR100853724 B1 KR 100853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upply pipe
livestoc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4067A (ko
Inventor
탁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
Priority to KR102007005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72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급수장치는, 내부에 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하로 관통되고 하단이 상기 바디의 내측 저부에 연결되는 관지지부와; 상기 관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관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그 하단이 상기 바디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급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급수관의 연결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축용 급수장치{WATER SUPPLY FOR LIVESTOCK}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도 7의 Ⅷ-Ⅷ, Ⅸ-Ⅸ, Ⅹ-Ⅹ 및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7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바디 111 : 제1저부
112 : 제2저부 113 : 측벽
114,116 : 배수구 131 : 관지지부
133 : 단부수용부 135 : 급수관
145 : 기능수공급장치 150 : 보호커버
151 : 구획부 153 : 연통공
155 : 물비산방지부 161 : 히터
163 : 온도검출부
본 발명은,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손실을 줄일 수 있어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는 실외 또는 축사 내부에 배치되어 가축의 식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 급수관의 동파를 방지하고 찬물에 의한 가축의 배탈 등을 방지하기 위한 급수장치이다.
이러한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7-7772호(1997.3.27. 공개),"가축용 급수통"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가축용 급수통은 연화점이 낮은 합성수지부재로 제작되어 있어 히터의 과열에 의한 용융이 발생될 수 있고, 별도의 지지대를 제작 설치하여야하는 불편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본 출원인 명의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30406호(1998.9.1.등록),"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축산용 자동 보온 급수기는, 수조 및 외통체를 금속부재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제작 및 사용상의 불편이 있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열전달부재로 수조를 형성하고 수조의 외부에 합성수지부재로 된 수조받침통을 마련하되 수조받침통에 다리결합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작 및 취급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02603호(2000.11.15. 공고)로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수조를 열전달부재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제조에 많은 시간 및 노력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통상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부재로 형성되는 수조의 특성상 불필요한 열손실이 발생되고, 또한 수조의 외부에 히터를 배치하게 되어 히터의 용량이 크게 되어 전력소비를 증가시키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조의 중앙영역에 급수관 및 개폐밸브를 배치하고 가축과의 접촉이 방지되도록 커버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 기간이 경과될 경우 가축의 장난 등 가축과의 접촉에 의해 변형 및 고장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들이 우사에 설치되는 경우, 소가 혀를 이용하여 물을 튀기는 장난을 하게 되어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의 전방으로 물이 비산되어 바닥이 오염될 뿐만 아니라 동절기에는 물이 얼게 되어 통행 및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조가 용이하고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1저부와, 상기 제1저부의 일 측에 상기 제1저부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저부와, 상기 제1저부 및 제2저부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바디와; 상기 제1저부 및 상기 제2저부의 경계영역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에 의해 구획된 상기 바디의 내부 제2저부측 공간에 설치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가축용 급수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는 합성수지부재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강화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제작할 경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하고 강도가 우수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되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를 가지도록 제2저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저부에는 상기 바디의 내부에 물을 공급하여 가열할 수 있도록 급수관 및 히터를 배치하는 것이 작은 수량으로 상기 히터를 보호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에는 부구를 구비한 개폐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상기 바디의 내부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급수관이 개폐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저부측 공간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온도검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온도검출부의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히터가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막을 수 있고 물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어 유리하다.
상기 구획부에는 상기 제2저부측 공간의 물이 상기 제1저부측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연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2저부측에서 가열된 물이 상기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1저부측 공간으로 유동되게 하는 것이 고온에 의한 화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이 상기 제2저부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에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상기 바디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자화하거나 상기 바디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의 이온이 증가하도록 하거나 상기 바디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수공급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가축의 질병을 방지하고 가축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급수관이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관상체로 된 관지지부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상기 급수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관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급수관의 절곡된 상단이 수용 지지될 수 있도록 일측으로 절취된 단부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상기 급수관의 설치가 용이하고 상기 급수관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어 부구 등의 동작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바디의 전면 상측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물이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물비산방지부를 마련하여 가축의 음수 시 또는 상기 가축의 장난 등에 의해 물이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의 비산에 기인한 주변의 오염 및/또는 동절기 비산된 물의 결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바디의 전후방향을 따라 상기 제2저부는 상기 제1저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물비산방지부는 상기 구획부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여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물비산방지부는 상기 급수관 및 상기 히터 등이 내부에 수용되게 상기 제2저부측 공간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보호커버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제작 및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좌우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저부는 상기 바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것이 여러 마리의 가축이 동시에 물을 마실 수 있고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제1저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되고 상기 제2저부측으로 연장된 수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 바디의 내부의 물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고, 또 상기 바디의 길이를 길게 하여도 동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저하되는 경우 온도 편차에 기인한 결빙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수로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수로커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바디의 내부의 물의 대류 현상이 촉진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물의 온도 편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는, 제1저부(111)와, 상기 제1저부(111)의 일 측에 상기 제1저부(111)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 저부(112)와, 상기 제1저부(111) 및 제2저부(1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113)을 구비하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바디(110)와; 상기 제1저부(111) 및 상기 제2저부(112)의 경계영역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51)와; 상기 구획부(151)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저부(112)측 공간에 상기 제2저부(11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히터(1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디(110)는 소위 에스엠씨(SMC)라고 하는 강화플라스틱을 사출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다. 바디(110)의 상부에는 바디(11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1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110)의 하부 내부 각 모서리영역에는 바디(110)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123)가 결합될 수 있도록 레그결합부(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바디(110)의 내부에는 가축이 물을 마실수 있게 사각 형상의 상향 개구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공간의 저부는 서로 높이차를 가지는 제1저부(111) 및 제2저부(112)를 구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저부(112)는 바디(1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제1저부(111)의 전방 하측에 배치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제1저부(111) 및 제2저부(112)에는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114,116)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배수구(114,116)에는 해당 배수구(114,1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115,117)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제1저부(111)와 제2저부(112)의 경계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바디(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151)를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커버(150)가 결합되어 있다. 보호커버(150)는 바디(110)와 동일한 재질 인 강화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151)는 바디(110)의 양 측 내벽에 양 측부가 밀착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구획부(151)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연통공(153)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커버(150)의 상부영역에는 바디(110)의 상단에 비해 상향 돌출되어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축의 장난 등에 의해 바디(110)의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물비산방지부(1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에는 바디(110)의 상단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57)에는 선단이 바디(110)의 상단에 일체로 결합되는 스크류(159)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15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151)에 의해 구획된 제2저부(112)측 공간에는 내부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관(135)이 상하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135)에는 이온수 또는 자화수 등 기능수를 공급하거나 물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수공급장치(145)가 결합되어 있으며, 급수관(135)의 상단은 수직하게 절곡되어 있다. 급수관(135)의 절곡된 단부(136)에는 수위에 따라 급수관(135)을 개폐하는 부구(143)를 구비한 개폐밸브(141)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관(135)의 둘레에는 급수관(135)을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관지지부(131)가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관지지부(131)의 상단에는 급수관(135)의 절곡된 상 단부(136)가 돌출될 수 있도록 일 측으로 절취된 단부수용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급수관(135)의 하단에는 급수관(135)의 상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정핀(148)이 결합되어 있다.
제2저부(112)측 공간에는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161)가 설치되 어 있으며, 히터(161)의 일 측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온도검출부(163)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61) 및 온도검출부(163)는 바디(110)의 일측에 구비된 콘트롤박스(미도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콘트롤박스에는 바디(110)의 내부의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히터(161)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 및 조작노브 등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바디(110)와 보호커버(150)가 형성되면 제2저부(112)측 공간에 히터(161) 및 온도검출부(163)를 각각 설치하고, 관지지부(131)의 상측으로부터 급수관(135)을 하향 삽입하여 절곡단부(136)가 단부수용부(133)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때, 관지지부(131)의 하측으로 돌출된 급수관(135)의 하단에 클립 등 고정핀(148)을 결합하여 급수관(135)의 상향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급수관(135)의 하단에는 수도관(136)이 연결되도록 한다. 급수관(135)이 결합되면 보호커버(150)를 결합하고, 관통공(158)에 스크류(159)를 체결하여 보호커버(150)가 바디(110)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면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수도관(136)을 따라 이동된 물은 기능수공급장치(145)를 통과하면서 자화수 또는 이온수로 되거나 이물질이 제거되어 급수관(135)을 통해 제2저부(112)측 공간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히터(161)에 전원이 인가되면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검출부(163)에 의해 물의 온도가 검출되면 도시 않은 콘트롤박스의 제어부에 의해 히터(161)가 온/오프되면서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게 된다.
온도가 상승된 물은 연통공(153)을 통해 제1저부(111)측 공간으로 이동된다. 물의 공급에 따라 수위가 상승하면 부구(143)가 상승하게 되고, 일정 수위에 도달 하게 되면 부구(143)에 의해 개폐밸브(141)가 동작하여 급수관(135)을 차단하여 급수가 중지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도 7의 Ⅷ-Ⅷ, Ⅸ-Ⅸ, Ⅹ-Ⅹ 및 ⅩⅠ-ⅩⅠ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는, 제1저부(211)와, 상기 제1저부(211)의 일 측에 상기 제1저부(211)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제2저부(212)와, 상기 제1저부(211) 및 제2저부(212)의 둘레에 형성되는 측벽(213)을 구비하여 내부에 물이 수용되도록 하는 바디(210)와; 상기 제1저부(211) 및 상기 제2저부(212)의 경계영역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바디(2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225)와; 상기 구획부(225)에 의해 구획된 상기 제2저부(212)측 공간에 상기 제2저부(21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히터(29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바디(210)는 여러 마리의 가축이 동시에 물을 마실수 있도록 폭에 비해 긴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강화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어 있다. 바디(210)의 외부에는 바디(210)를 수용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개구된 바디지지부(2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지지부(240)의 하부 내부 각 모서리영역에는 레그(243)가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레그결합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바디(210)의 전후방향을 따라 전면 상단에는 바디(210)의 내부의 물이 바디(210)의 전방으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물비산방지부(251)가 결합되어 있다. 물비산방지 부(251)의 하 측 가장자리에는 바디(210)의 상부영역과 접촉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플랜지부(253) 및 수직플랜지부(2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평플랜지부(253)에는 스크류(255)에 의해 바디(21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공(254)이 형성되어 있다.
바디(210)의 내부에는 물이 저장되도록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복수의 측벽(213) 및 저부를 구비한 저수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저부는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제1저부(211) 및 제2저부(212)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저부(211)와 제2저부(212)의 경계영역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폭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구획부(225)가 형성되어 있다. 구획부(225) 및 제2저부(212)의 상측에는 바디(210)와 상호 협조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커버(231)가 결합되어 있다.
보호커버(231)의 일측에는 제1저부(211) 및 제2저부(212)의 경계영역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구획부(225) 사이를 차단함과 아울러 구획부(225)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구획부(225)와 상호 협조적으로 바디(210)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부(233)와, 바디(210)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237)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부(225)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부(233)에는 제2저부(212)측 공간의 물이 제1저부(211)측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연통공(235)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랜지부(237)에는 선단이 바디(210)에 결합되는 스크류(239)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238)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구획부(225) 및 차단부(233)에 의해 구획된 제2저부(212)측 공간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관(26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2저부(212)에는 내부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216)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216)에는 배수구(2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217)가 결합되어 있다. 급수관(261)에는 이온수 또는 자화수나 물 중의 이물질이 제거된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기능수공급장치(265)가 구비되어 있다. 급수관(261)의 하부영역에는 급수관(261)의 상향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고정핀(267)이 결합되어 있다.
제2저부(212)에는 급수관(261)이 상측에서 하향 삽입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관지지부(281)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관지지부(281)의 상단에는 급수관(261)의 절곡된 상 단부(262)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단부수용부(283)가 절취 형성되어 있다. 급수관(261)의 절곡 단부(262)에는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271)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폐밸브(271)에는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73)가 연결되어 있다.
관지지부(281)의 일 측에는 내부의 물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바디(210)의 측벽(213) 및 제2저부(212)로부터 각각 이격되게 히터(291)가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291)의 일 측에는 물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온도검출부(293)가 설치되어 있다. 히터(291) 및 온도검출부(293)는 바디지지부(240)의 일측에 구비된 콘트롤박스(245)의 내부 제어부(미도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콘트롤박스(245)에 구비된 제어부에는 바디(210)의 내부의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히터(291)에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스위치 및 조작노브 등이 구비된다.
한편, 제1저부(211)에는 제2저부(212)측으로 물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하방 향을 따라 하향 함몰되고 제2저부(212)측으로 연장된 수로(3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로(310)의 일 측 영역에는 내부의 물을 배수할 수 있도록 배수구(324)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324)에는 배수구(32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개(325)가 결합되어 있다. 수로(310)에는 수로(310)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도록 수로커버(311)가 결합되어 있으며, 수로(310)의 내부에는 수로커버(3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커버지지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수로커버(311)는 수로(310)에 비해 축소된 길이를 가지며 제1저부(211)측 단부에는 절곡부(3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절곡부(313)에는 수로(310)에 수집된 물이 통과함과 아울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관통공(3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급수관(261)을 통해 물이 공급되고 히터(291)에 전원이 공급되면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온도가 상승된 물은 연통공(235)을 통해 제1저부(211)측 공간으로 이동된다. 제1저부(211)측 공간으로 이동된 물 중 온도가 하강된 물은 대류현상에 의해 저부로 이동되고 저부의 물은 수로(310)를 따라 제2저부(212)측 공간으로 유동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바디(210)의 내부의 물의 온도편차가 크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높이차를 가지는 제1저부 및 제2저부와 측벽에 의해 내부에 상향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와, 제1저부 및 제2저부의 경계에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바디와, 바디의 내부 제2저부측 공간에 배치되는 히터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온수 공급이 가능하여 가축 의 배탈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히터의 용량을 줄임과 아울러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는 가축용 급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관에 이온수 또는 자화수 등의 기능수를 공급하거나 물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수공급장치를 결합하여 기능수를 공급할 수 있어 가축의 질병을 억제하고 가축의 건강을 증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의 내부에 급수관이 상하방향을 따라 하향 삽입결합되어 지지되는 관지지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급수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의 제1저부에 제2저부를 향해 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수로를 형성함으로써 바디의 내부의 물의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어 물의 온도 편차에 기인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고, 좌우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어 동시에 여러 마리의 가축이 물을 마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의 전방영역에 상향 돌출되게 물비산방지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장난에 의해 물이 전방으로 비산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 비산된 물이 결빙되어 미끄러짐 등에 기인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관을 수용 지지하는 관지지부를 마련함으로써 급수관의 설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관지지부의 상단에 급수관의 절곡된 단부가 수용지지될 수 있도록 단부지지부를 더 마련하면 급수관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어 회전에 기인한 부구의 동작 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내부에 물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측 저부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고 내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지지부와;
    상기 관지지부의 상측에서 상기 관지지부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단이 상기 관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하단이 상기 바디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의 상단부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관지지부의 상단에는 상기 급수관의 절곡된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일 측이 절취되어 상기 급수관의 절곡된 단부를 수용 지지하는 단부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하측으로 노출된 상기 급수관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급수관의 상향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구비하여 상기 급수관의 절곡된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급수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070055169A 2007-06-05 2007-06-05 가축용 급수장치 KR100853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69A KR100853724B1 (ko) 2007-06-05 2007-06-05 가축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169A KR100853724B1 (ko) 2007-06-05 2007-06-05 가축용 급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819A Division KR100835253B1 (ko) 2006-05-26 2006-05-26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067A KR20070114067A (ko) 2007-11-29
KR100853724B1 true KR100853724B1 (ko) 2008-08-25

Family

ID=39091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169A KR100853724B1 (ko) 2007-06-05 2007-06-05 가축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7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13A (ko) 2018-10-01 2020-04-09 송석문 가축용 보온 급수기
KR20210105713A (ko) 2020-02-19 2021-08-27 정순태 설치가 용이한 프리폼 결정화 성형기의 홀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10Y1 (ko) * 2010-12-30 2013-04-30 박희선 축사 취수조용 밸브유닛
KR101502728B1 (ko) * 2014-06-05 2015-03-13 하선식 양계용 급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6Y1 (ko) * 2004-07-22 2004-10-15 김태섭 축사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226Y1 (ko) * 2004-07-22 2004-10-15 김태섭 축사용 급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13A (ko) 2018-10-01 2020-04-09 송석문 가축용 보온 급수기
KR20210105713A (ko) 2020-02-19 2021-08-27 정순태 설치가 용이한 프리폼 결정화 성형기의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067A (ko)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615B1 (ko) 축산용 급수장치
US7267078B2 (en) Combination major appliance and pet watering system
KR100853724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20140151359A1 (en) Washable electric kitchen appliance
KR100835253B1 (ko) 가축용 보온 급수장치
KR101693746B1 (ko) 가축용 급수장치
US4883022A (en) Animal waterer
US20150189856A1 (en) Pet watering device
KR101257483B1 (ko) 냉각기능이 개선된 수유식 튀김기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200202603Y1 (ko) 축산용 보온 급수장치
KR101180553B1 (ko) 축산용 급수장치
KR102148457B1 (ko) 제빙기 및 제빙방법, 제빙기를 구비한 수처리장치
KR20160011766A (ko) 목장용 자동 보온 급수기
US20230093538A1 (en) Cattle water fountain
KR20160145048A (ko) 워터 서버
KR101061536B1 (ko)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KR20180068631A (ko) 압력밥솥
KR100746149B1 (ko) 히터보호수단을 갖는 가축용 물통
KR20000071903A (ko) 축사용 물통
KR200331693Y1 (ko) 축사용 보온 급수기의 수조와 수조 받침통 결합구조
JP4994127B2 (ja) 加湿装置
KR102602389B1 (ko) 냉수 공급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음용수 제공 장치
JP2014522346A (ja) 冷温水器のウォーターガード
KR102273911B1 (ko) 점검커버가 구비된 가축용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