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536B1 -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536B1
KR101061536B1 KR1020080106731A KR20080106731A KR101061536B1 KR 101061536 B1 KR101061536 B1 KR 101061536B1 KR 1020080106731 A KR1020080106731 A KR 1020080106731A KR 20080106731 A KR20080106731 A KR 20080106731A KR 101061536 B1 KR101061536 B1 KR 101061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eating device
heat transfer
water tank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7715A (ko
Inventor
탁동수
홍춘기
Original Assignee
강원도 횡성군
주식회사 이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도 횡성군, 주식회사 이레 filed Critical 강원도 횡성군
Priority to KR1020080106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5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4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4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actuated by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열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와,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수조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HEATING APPARATUS AND WATER SUPPLY APPARATUS FOR LIVESTO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력 사용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용 급수장치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실외 또는 축사 내부에 배치되어 가축의 식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축용 급수장치 중 일부에는 동절기와 같이 외기 온도가 낮은 경우에 물의 결빙, 동파 등을 방지함과 아울러 찬물의 음용에 기인한 가축의 배탈 등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가열장치로는 전력을 이용하여 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ELECTRIC(AL) HEATER)가 주로 이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가축용 급수장치에 있어서는, 물을 가열하기 위해 전기히터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전력 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원을 선택할 수 있는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고 설치가 용이한 가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물이 수용되는 수조;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벽내에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측에서 상기 수조에 결합되는 전열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배관은 보일러의 배관을 이용하거나 보 일러로부터 분기된 배관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조에는 상기 전열배관이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전열배관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열장치의 열을 상기 수조의 물에 전달하는 전열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는, 내부에 상기 온수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스; 열전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의 온수의 열을 상기 수조에 전달하는 전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는 전열면적이 증가되게 요철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열전도성부재로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외면이 가열대상에 접촉되어 온수의 열을 상기 가열대상에 전달하는 전열부재;를 포함하는 가열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는 전열면적이 증가되게 요철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를 가열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원으로 온수를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가 제공된 다. 특히, 축분을 연료로 이용하는 보일러로부터 온수를 제공받을 경우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원, 즉 온수 또는 전기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즉, 보일러를 가동하지 아니할 때는 전기히터를 이용하고, 보일러가 가동중일 때는 온수를 가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소비를 줄 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조의 제작시 수조의 벽내에 온수가 유동하면서 수조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온수유로를 형성하고, 이 온수유로에 보일러의 배관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사용하고 있는 전기식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온수를 이용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고, 가열원을 선택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사용하고 있는 가열기능을 구비하지 아니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온수를 이용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전력을 소비하지 아니하면서 물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미 사용하고 있는 가열기능을 구비하지 아니한 가축용 급수장치에 온수 및 전기히터를 가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열장치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고 가열원을 선택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하면서 물의 결빙을 방지할 수 있고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가축용 급수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수용되는 수조(110); 온수 유로(152)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1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10)는 합성수지부재(플라스틱)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의 하부에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11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는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급수관(121)이 구비되며,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배수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21)에는 상기 급수관(121)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125)는 상기 수조(110)의 내부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플로트)를 구비하여 상기 급수관(121)을 개폐하는 플로트밸브로 구성될 수 있 다. 상기 급수관(121) 및 상기 개폐밸브(125)의 주변에는 이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커버(13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131)는 물이 통과할 수 있게 상기 수조(110)의 내벽과 틈새를 두고 설치되거나 연통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131)의 양 측 상부영역에는 상기 수조(110)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수조(1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37)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플랜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33)에는 상기 체결부재(137)가 삽입될 수 있게 관통공(1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10)에는 상기 체결부재(137)가 결합될 수 있게 결합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조(110)의 하부에는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가열장치(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열장치(150)는 상기 수조(110)의 벽내에 온수가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되는 온수유로(152)의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온수유로(152)의 양 측에는 보일러의 온수 배관(158)과 연결되어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유입부(154) 및 유출부(156)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온수유로(152)는 상기 수조(110)의 저면부의 벽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조(110)의 저면부 및 측면부에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는 축분, 보다 구체적으로 우분을 연료로 이용하는 보일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우분을 연료로 소비함으로써 우분에 의한 토양 및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조(110)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히터의 사용을 줄일 수 있어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에는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 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축사, 또는 가옥 등 실내 난방을 위해 보일러가 구동될 때는 상기 온수를 가열원으로 하여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보일러가 구동하지 아니하고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하고자 할 때는 전기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가열장치(150)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보일러의 온수 배관(158)을 따라 유동된 온수는 상기 유입부(154)를 통해 상기 수조(110)의 가열장치(150)의 온수유로(152)로 유입된다. 상기 가열장치(150)로 유입된 온수는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과 열교환하면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가열작용을 수행한 온수는 상기 유출부(156)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보일러의 배관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보일러로 유입된 온수는 다시 가열되어 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110);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110)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에는 급수관(121), 개폐밸브(125) 및 커버(1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복수의 레그(11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200)는,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전열배관(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열배관(201)은 내부에 온수가 유동될 수 있게 양 단이 보일러(미도시)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상기 전열배관(201)이 삽입될 수 있게 전열배관수용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배관수용부(253)는 상기 수조(110)의 저부 외면으로부터 두께방향으로 상향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전열배관(201)과 상기 수조(110)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고 열교환이 촉진된다.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상기 전열배관(201)의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단열부재(20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일러에서 가열되어 유출된 온수는 상기 전열배관(201)을 따라 유동하면서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전열배관(201)에서 가열작용을 수행한 온수는 다시 보일러에 유입되어 가열 및 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가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3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110);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1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조(110)는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에는 급수관(121), 개폐밸브(125) 및 커버(13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복수의 레그(115)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250)는, 내부에 온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 배치되는 전열배관(201)과, 열전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전열배관(201)과 상기 수조(11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열배관(201)의 열을 상기 수조(110)의 내부로 전달하는 전열부재(25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배관(201)은 내부로 온수가 공급될 수 있게 보일러에 연결된다.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상기 전열부재(251)가 수용될 수 있게 전열부재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251)는 상기 수조(110)의 제조시 일체로 인서트(INSERT)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 상기 전열부재(25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251)는 알루미늄(Al)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열배관(201)의 온수의 열이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로 신속하고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251)의 저부에는 전열배관(201)이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251)에는 상기 전열배관(201)이 수용결합될 수 있게 전열배관수용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전열배관(201)과 상기 전열부재(251) 의 열 전달이 촉진될 수 있다.
상기 수조(110)의 저부에는 상기 전열배관(201) 및 전열부재(251)를 차단할 수 있게 차단부재(2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61)는 단열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261)에는 상기 수조(110)에 결합되는 체결부재265)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26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251)에는 가열가능하게 전기히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전열배관(201)을 따라 온수가 유동되면 상기 전열부재(251)는 상기 온수의 열을 전달받아 상기 수조(110)의 내부의 물에 전달하여 상기 수조(110)의 물의 온도가 보다 신속하게 상승하도록 한다.
[제4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280);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28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수조(280)는 스테인레스(stainless)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80)에는 급수관(121), 개폐밸브(125) 및 커버(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80)는 외통(290)의 내부에 수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통(290)은 합성수지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통(290)은 상기 수조(280)의 저부 사이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게 상기 수조(280)에 비해 더 큰 상하폭을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통(290)의 저부에는 복수의 레그(29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300)는, 금속부재로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장치(300)는 상기 수조(280)와 열전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상기 수조(280)의 저부에 면접촉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장치(300)는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되는 바디(301)와, 상기 바디(301)의 내부에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형성되는 유입부(303) 및 유출부(305)를 구비한다. 상기 유입부(303) 및 유출부(305)에는 온수가 유동할 수 있게 보일러의 온수배관(158)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수조(280)에는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electric heater)(3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조(280)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원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보일러의 이용시에는 상기 가열장치(300), 즉 상기 유입부(303), 상기 바디(301) 및 상기 유출부(305)를 경유하여 보일러의 온수가 순환하면서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보일러를 이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히터(310)가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제5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이며, 도 8은 도 7의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전열부재의 저면도이며,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7의 전열부재 , 이너케이스 및 실링부재의 변형례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수조(280);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3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28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게 상향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조(280)는 스테인레스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280)에는 급수관(121), 개폐밸브(125) 및 커버(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80)의 외부에는 상기 수조(280)를 수용 지지할 수 있게 외통(29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장치(350)는,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된 케이스(351); 열전도성부재로 상기 케이스(351)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외면이 가열대상에 접촉되어 온수의 열을 상기 가열대상에 전달하는 전열부재(37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51)는 상향 개구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51)의 저면부에는 상기 수조(28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3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54)의 일 측에는 상기 수조(28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급수관(121)이 수용 결합될 수 있게 수용공(3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51)의 양 측부에는 온수가 유입 및 유출될 수 있게 유입부(362) 및 유출부(364)가 각각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부(362) 및 유출부(364)에는 보일러의 온수 배관(158)과 연결을 위해 연결배관(365)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51)의 측벽에는 상기 전열부재(371)를 통과한 체결부 재(368)가 각각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결합부(36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351)는 열전도성부재, 예를 들면 알루미늄(Al), 동(Cu)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51)의 외부에는 단열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351)의 외면을 단열부재로 감쌈으로써 상기 케이스(351)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는 상기 케이스(3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된다. 상기 전열부재(371)는 열전도성의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는 알루미늄(Al) 또는 동(Cu)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요철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부(373)는 상기 전열부재(37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핀으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핀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부재(371)의 판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나란하게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의 중앙영역에는 상기 수조(280)와 결합되는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게 삽입공(3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374)의 일 측에는 상기 수조(28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급수관(121)이 수용될 수 있게 수용공(376)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의 테두리에는 상기 케이스(351)의 결합부(367)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68)가 각각 삽입될 수 있게 복수의 체결공(37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51)와 상기 전열부재(37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온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실링부재(3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381)는 상기 케이스(351) 및 전열부재(37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사각 고리형상을 가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링부재(381)에는 상기 체결부재(368)가 통과할 수 있게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열부재(371) 및 케이스(351)는 상호 열전달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접촉면적이 증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열부재(371)와 상기 케이스(351)의 상호 접촉영역에 원형 단면 형상의 실링부재(오링)(383)를 개재하고, 상기 전열부재(371)와 케이스(351)에 각각 상기 실링부재(383)가 수용될 수 있게 실링부재수용부(384,385)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51)의 열이 상기 전열부재(371)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부재(371)의 내면 테두리부를 두께방향으로 소정 절취하여 절취부(387)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스(351)의 측벽 상단을 상기 전열부재(371)의 절취부(387)의 형상에 대응되게 절취하여 턱부(388)를 형성하여 상호 접촉 면적, 즉 열 전달 면적을 늘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취부(387)와 턱부(388)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원형 단면의 실링부재(O-ring)(383)를 개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케이스(351)의 열이 상기 전열부재(371)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가열장치(350)는 전기히터(31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기히터(310)는 상기 전열부재(371)를 가열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히터(310)를 상기 요철부(핀)(37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51)의 외부에 전기히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히터는 상기 수조(280)에 접촉되게 결합되어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가축에게 온수를 제공하고자 할 때는, 상기 가열장치(350)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보일러의 온수 배관(158)을 따라 유동된 온수는 상기 유입부(362)를 통해 상기 수조(280)의 가열장치(350), 즉 상기 케이스(351) 및 전열부재(371)의 내부로 유입된다.
내부로 유입된 온수는 상기 케이스(351), 전열부재(371)와 접촉되어 열교환되고, 상기 케이스(351) 및 전열부재(371)로 전달된 열은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전열부재(371)의 요철부(373)에 의해 열교환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상기 온수의 열이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에 보다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가열작용을 수행한 온수는 상기 유출부(364)를 통해 유출되고 상기 보일러의 온수배관(158)을 따라 이동되어 보일러로 유입된다. 상기 보일러로 유입된 온수는 다시 가열되어 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상기 수조(280)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가축용 급수장치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확대도,
도 8은 도 7의 케이스의 평면도,
도 9는 도 7의 전열부재의 저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7의 전열부재, 이너케이스 및 실링부재의 변형례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 : 급수관 125 : 개폐밸브
131 : 커버 280 : 수조
290 : 외통 350 : 가열장치
351 : 케이스 352 : 온수유로
354,374 : 삽입공 356,376 : 수용공
362 : 유입부 364 : 유출부
371 : 전열부재 373 : 요철부
381 : 실링부재

Claims (12)

  1. 물이 수용되는 수조;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와 상기 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가열장치의 열을 상기 수조의 물에 전달하는 전열부재;
    를 포함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벽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장치는 상기 수조의 외측에서 상기 수조에 결합되는 전열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전열배관이 수용될 수 있게 함몰된 전열배관수용부가 형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6. 삭제
  7. 물이 수용되는 수조;
    온수 유로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의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가열장치는, 내부에 상기 온수유로가 형성되는 케이스; 열전도성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수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케이스의 온수의 열을 상기 수조에 전달하는 전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는 전열면적이 증가되게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물을 가열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10. 내부에 온수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열전도성부재로 상기 케이스의 일 영역에 배치되고, 외면이 가열대상에 접촉되어 온수의 열을 상기 가열대상에 전달하는 전열부재;
    를 포함하는 가열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는 전열면적이 증가되게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부재를 가열할 수 있게 배치되는 전기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가열장치.
KR1020080106731A 2008-10-29 2008-10-29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KR101061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731A KR101061536B1 (ko) 2008-10-29 2008-10-29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731A KR101061536B1 (ko) 2008-10-29 2008-10-29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715A KR20100047715A (ko) 2010-05-10
KR101061536B1 true KR101061536B1 (ko) 2011-09-01

Family

ID=42274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731A KR101061536B1 (ko) 2008-10-29 2008-10-29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5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2713A (zh) * 2016-08-26 2017-01-25 尹小军 一种养牛用自动补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261B1 (ko) * 2012-03-02 2013-12-13 최대식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1852070B1 (ko) * 2018-02-02 2018-04-25 권혁상 온수호스를 이용한 축사용 온수 급수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683A (en) * 1992-11-04 1995-09-26 Dan J. Schleppe Animal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683A (en) * 1992-11-04 1995-09-26 Dan J. Schleppe Animal drinking water supply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42713A (zh) * 2016-08-26 2017-01-25 尹小军 一种养牛用自动补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715A (ko) 2010-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536B1 (ko) 가열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축용 급수장치
KR101991688B1 (ko) 온풍 발생 기능을 갖는 저탕식 전기 온수기
KR101852404B1 (ko) 열교환기의 드레인장치
KR100393917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전기보일러
KR20180137275A (ko) 순간 저탕식 구조를 갖는 전기 온수기
KR100967948B1 (ko) 2중 파이프형 인덕션 열교환기
KR20050090031A (ko) 중형 전기보일러
KR200389074Y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장치
KR101298900B1 (ko) 고효율 열교환기
KR101758012B1 (ko) 전기 온수기 겸용 온풍기
KR101216807B1 (ko) 급기공기를 이용한 연소실 냉각구조
CN214791953U (zh) 一种并联式热交换器
KR20070114067A (ko) 가축용 급수장치
KR20020040230A (ko) 심야전기를 이용한 온수기의 열교환기
JP2022548161A (ja) 液体処理装置、熱交換装置、熱交換ボックスおよび液体加熱器具
KR20120003351U (ko) 폐열회수기
RU2089793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водо- и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KR101258059B1 (ko) 보일러 시스템
KR200406352Y1 (ko) 전기히터봉 삽입식 히트파이프
KR200212142Y1 (ko) 히터파이프를 이용한 순간온수기
JP3132813U (ja) 食器洗浄機用廃熱エネルギー再活用装置
KR100889825B1 (ko) 냉온수용 파이프
CN212157668U (zh) 一种油桶加热装置
KR100837240B1 (ko) 냉온수용 파이프 구조
CN102679564A (zh) 太阳能饮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