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160B1 - 축사용 물통 - Google Patents

축사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160B1
KR100431160B1 KR10-2001-0075144A KR20010075144A KR100431160B1 KR 100431160 B1 KR100431160 B1 KR 100431160B1 KR 20010075144 A KR20010075144 A KR 20010075144A KR 100431160 B1 KR100431160 B1 KR 100431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in body
heater
water supply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4411A (ko
Inventor
금재호
Original Assignee
금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재호 filed Critical 금재호
Priority to KR10-2001-007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1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4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4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00Watering equipment for stock or game
    • A01K7/02Automatic devices ; Medication dispensers
    • A01K7/027Drinking equipment with water heaters, coolers or means for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통 내에 이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각종 이물질 등이 물과 혼합되어 물을 더럽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축사용 물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은 상측이 개방된 채로 소정의 공간을 갖고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에서 하향 돌출된 히터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다수의 개방부를 갖는 상부거치대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내 수면 위에 부상되는 복수의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과, 상기 히터 수납부의 어느 한쪽면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의 급수 및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와,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를 보호하고, 그 단면에는 복수의 순환홀을 갖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와,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온으로부터 히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사용 물통{Water tank for animal husbandry}
본 발명은 축사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축의 물 섭취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수위 조절이 가능한 축사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사용 물통은 가축들을 가두어 기르는 축사의 일측에 가축들이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물을 담아놓는 용기로서, 현재 대부분의 물통은 축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물을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사용자가 직접 물을 공급하거나 수도시설을 설비하여 물이 자동으로 급수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축사용 물통은 가축들이 물을 먹다가 움직일 경우 물이 후방으로 뿌려지거나 물통에 저장된 물의 울렁거림이 발생되어 물이 후방으로 흘러 넘치게 되면 물통이 지저분해지고 이 물을 제거하기 위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동절기의 경우 물통에 저장된 물이 얼게 되면 이 얼음을 제거하기 위한 노동력이 많이 들고, 또한 매일 반복적으로 얼음이 생길 때마다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축도 일정한 온도 이하의 물을 마시게 되면 배탈이나 기타 질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물통내의 수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해 물통에 히터를 장착한 축사용 물통이 제안된 바 있다.
즉, 물통의 하부면 및 어느 일측면에 전기 공급에 의해 항상 물통내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데워주기 위한 히터를 설치하여, 겨울철이 되면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물이 얼지 않도록 하여 가축이 항상 일정한 온도의 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이 히터를 장착한 축사용 물통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수도설비를 설치하여 물통에 물을 공급하더라도 단수 등의 조치로 인해 물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을 경우도 있으며, 이럴 경우, 히터는 물통 내에 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가 없기 때문에 계속해서 동작함으로 인해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의 손상으로 인한 경제적인 지출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물통의 상측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축의 물 섭취시, 입안 또는 주위에 붙어있는 여물 등 각종 이물질이 물통으로 삽입되어 물이 더러워지고 오랜시간 동안 햇빛이 조사될 경우, 물통 내에 이끼 등이 발생하여 가축의 질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차단하여 물통 내에 이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각종 이물질 등이 물과 혼합되어 물을 더럽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축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축사용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은 상측이 개방된 채로 소정의 공간을 갖고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에서 하향 돌출된 히터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거치되는 다수의 개방부를 갖는 상부거치대와, 상기 개방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본체내 수면 위에 부상되는 복수의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과, 상기 히터 수납부의 어느 한쪽면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의 급수 및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와,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를 보호하고, 그 단면에는 복수의 순환홀을 갖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와,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온으로부터 히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축사용 물통에 따른 취수대야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수면위치에 따른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사시도
도 9a 내지 9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사시도
도 11a 내지 11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히터 수납부
3 : 급수 및 수위조절부 3a, 300 : 부기
4 :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 5 : 순환홀
6 : 지지대 7 : 상부 지지다리
7a,8a, 11b : 고정홀 8 : 하부 지지다리
9 : 높이조절수단 10a,10b : 결합편
11a : 높이조절홀 12a : 조정볼트
12b : 너트 31 : 수온감지센서
100 : 상부거치대 100a : 개방부
200 :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 200a : 취수대야
200b : 부기고정틀 400 : 급수수단
400a : 개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은 본체 내에 항상 소정의 물이 확보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중앙부를 하향 돌출된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하향 돌출된 부위에 히터를 수납하여 본체(1) 내의 물을 데워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은 오목한 형태의 둥글넓적한 취수(取水)대야(200a)와, 상기 취수대야(200a)의 주변에 연결되어 부기(浮機)(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굴곡부를 갖는 부기고정틀(200b)로 구성된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수면(水面) 위에 부상(浮上)되어 있다. 이때, 상기 취수대야(200a)와 부기고정틀(200b)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부기(浮機)(300)의 떠받침에 의해 수면 위에 부상되는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은 가축이 물을 섭취할 경우에는 섭취량에 상응하여 본체(1)의 아래쪽으로 내려갔다가 본체(1)에 물이 채워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수면 위에 부상되어 있어 자외선이 차단됨과 동시에 가축이 물을 섭취할 때 여물 등의 각종 이물질이 물에 섞이지 않도록 걸러준다.
한편, 상기 취수대야(200a)의 저면에는 본체(1)내의 물을 상기 취수대야(200a)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400)이 설치되어 가축이 물을 섭취중에도 계속해서 취수대야(200a)로 물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가축이 물을 다 섭취한 이후에 본체(1)의 물이 취수대야(200a)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은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고 물을 수납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구비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바닥면 중앙부에 하향 돌출된 히터 수납부(2)와, 상기 본체(1)로 물을 공급함과 동시에 본체(1)내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급수밸브(3a)와 부기(3b)로 구성된 급수 및 수위조절부(3)와, 상기 본체(1)의 상부면에 거치되고 복수의 개방부(100a)를 갖는 상부거치대(100)와, 상기 상부거치대(100)의 개방부(100a)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1)의 수면 위에 안치되는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과,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3)를 보호하고 상기 히터수납부(2)와 대향되도록 설치된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와, 상기 히터 수납부(2)내에 설치되어 본체(1)내 수온을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1)와, 상기 온도감지부(31)에 의한 감지신호를 받아 히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은 오목한 형태의 둥글넓적한 취수대야(200a)와, 상기 취수대야(200a)의 주변을 따라 연결되어 부기(浮機)(30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굴곡부를 갖는 부기고정틀(200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부기(300)의 떠받침에 의해 수면 위에 부상되는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은 가축이 물을 섭취할 경우에는 섭취량에 상응하여 하부로 내려갔다가(도 4 참조), 본체(1)에 물이 채워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도 3 참조).
한편,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취수대야(200a)의 저면에는 급수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상기 급수수단(400)은 상기 취수대야(200a)를 관통하는 튜브로 구성하여 소량의 물이 튜브를 통해 취수대야(200a)에 공급되도록 하거나,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브를 삽입하지 않고 상기 취수대야(200a)의 저면을 십자형태로 절개하여도 무방하며, 이는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의 재질이 FRP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급수수단(400)을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개폐기(400a)가 설치된 튜브형태로 제작하여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이 취수대야(200a)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취수대야(200a)의 저면에 상부로 갈수록 확장된 홀(hole)을 뚫고, 상기 홀 내에 가축이 물을 섭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닫혀져 있어 물이 더 이상 취수대야(200a)로 공급되지 않고, 가축이 물을 섭취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본체의 물이 취수대야(200a)로 공급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개폐기(400a)가 부착된 튜브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취수대야(200a)의 저면에 형성된 홀의 단면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에 개폐기(400a)를 갖는 튜브의 외주면에는 볼트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트체결에 의해 튜브와 취수대야(200a)가 고정된다.
상기 개폐기(400a)는 취수대야(200a)의 물을 가축이 먹을 때는 개방되어 본체(1)내의 물이 튜브를 통해 취수대야(200a)로 공급되며, 상기 본체(1)내의 수위와 취수대야(200a)의 수위가 동일해지면 더 이상 물이 취수대야(200a)로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자중(自重)에 의해 닫혀지게 된다.
참고로, 도 6b는 도 6a의 부분적 상세구성도로서, 튜브내에 개폐기(400a)가 설치된 급수수단(400)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는 상기 상부거치대(100)의 소정의 개방부(100a)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본체의 중앙부위를 가로질러 본체(1) 내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등분 면에는 상기 히터에 의해 데워진 물을 좌, 우로 순환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순환홀(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6)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상부 지지다리(7) 및 하부 지지다리(8)는 높이조절홀(11a) 및 고정홀(11b)이 각각 형성된 2개의 결합편(10a)(10b)에 의해 지지결합 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다리(7) 또는 하부 지지다리(8)에도 고정홀(7a)(8a)이 형성된다. 따라서, 조정볼트(12a) 및 너트(12b)를 적절히 체결함으로써 본체(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는 본체(1)의 둘레에서 받쳐주는 보강 프레임이 보강작용을 하도록 하고, 상기 보강 프레임의 하측에 수직으로 상부 지지다리(7)를 형성하여 세워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지부(6) 및 상, 하부 지지다리(7)(8)는 모두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강재로 이루어진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의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되, 물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바닥면에는 배출구멍이 고무캡(40)에 의해 선택적으로 밀봉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다리(7)와 하부 지지다리(8)가 분할된 상태에서 조정볼트(12a) 및 너트(12b)에 의해 결합되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즉, 상기 지지부(6)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다리(7) 및 하부 지지다리(8)의 끝단에는 고정홀(7a)(8a)이 각각 형성되고, 2개의 결합편(10a)(10b)으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9)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높이조절홀(11a) 및 고정홀(11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수단(9)에 상부 지지다리(7)와 하부 지지다리(8)의 일부가 끼워지는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결합편(10a)(10b)의 높이조절홀(11a)에는 상부 지지다리(7)의 고정홀(7a)이 일치하도록 하면서 결합편(10a)(10b)의 고정홀(11b)에는 하부 지지다리(8)의 고정홀(8a)이 일치하도록 하여 조정볼트(12a) 및 너트(12b)로 결합하여 안정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10a)(10b)에 다수 형성된 높이조절홀(11a)의 위쪽이나 아래쪽에 상부 지지다리(7)의 고정홀(7a)이 일치하도록 하여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축사의 가축들이 편안하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본체(1)의 바닥면 중앙부에 형성된 히터 수납부(2)는 동절기에 물을 데워주는 히터(2a)를 수납하며, 상기 히터 수납부(2)가 바닥면의 중앙부에서 하향 돌출된 구조를 가지므로 적어도 상기 히터 수납부의 체적만큼 항상 물을 수납할 수가 있다.
상기 히터(2a)는 히터 수납부(2)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며,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하여 물을 데우는데, 히터 수납부(2)가 본체(1)의 바닥면에 비해 하향 돌출되어 있어 급수가 중단된 상태에서 히터가 계속적으로 동작하더라도 히터 수납부(2)에는 최소한의 물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히터(2a)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히터 수납부(2)에는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31)가 추가로 배치되어, 수온감지센서(31)에 의해 감지된 수온에 따라 히터(2a)의 동작여부가 결정된다. 실제로, 이러한 일련의 동작은 제어부(미도시)에서 제어하는데, 일 예로, 수온감지센서(31)가 본체에 수납된 현재의 수온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로 출력하면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수온이 적정온도 이하라고 판단될 경우 히터(2a)로 전원을 공급하여 히터가 물을 데울 수 있도록 하고, 현재의 수온이 적정온도 또는 그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히터(2a)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더 이상 히터(2a)가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중앙부위를 가로질러 본체(1) 내부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는 가축이 물을 마시기 위해 본체(1)로 접근할 때 수위조절을 위한 부기(3a)나 급수밸브(3b)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히터(2a)에 의해 데워진 물이 본체(1)의 전영역에 걸쳐 골고루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순환홀(5)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된 히터(2a)에 의해 물이 데워지면, 데워진 물은 윗쪽으로 상승하게 되며 수면쪽의 차가운 물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전체적으로 물의 상하 순환에 의해 골고루 데워진다. 이때, 만일 순환홀(5)이 없다면 본체(1)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 안쪽에만 데워진 물이 존재하게 될 것이고,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의 바깥쪽에는 계속해서 차가운 물이 존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이러한 문제는 상기 순환홀(5)에 의해 얼마든지 해결할 수가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의 사시도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상부거치대(100)에 복수의 개방부(100a)가 형성되고, 각 개방부(100a)와 대향되도록 복수의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형성된 구조로서, 하나의 부기고정틀(200b)에 하나의 취수대야(200a)가 연결되어 본체(1) 내의 수면 위에는 복수의 부기고정틀(200b)이 부상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대형 부기고정틀(200b)에 다수의 취수대야(200a)가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은 급수 및 수위조절부(3)의 위치가 본체(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면에 형성된 것 이외에는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나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 및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의 저면에 위치한 급수수단(400)의 구조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바, 이하에서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도 9a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에서 가축이 물을 섭취함에 따라 수면이 내려갔을 때의 단면도로서,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수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갔음을 알 수 있고, 도 9b는 본체에 다시 물을 공급하였을 경우,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물통내 물을 골고루 데워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제 2 실시예는 히터수납부(2)가 물통의 중앙에만 설치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히터 수납부(2)가 물통의 길이 방향에 따라 양쪽단부에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이를 위해서는 본체(1)의 바닥면이 제 1, 제 2 실시예와는 달리 중앙에서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구조를 갖도록 설계하여야 하며,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 단부에 하향 돌출된 히터 수납부(2)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히터 수납부(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본체(1)에 물을 공급하고 수위를 조절하기 위해 급수밸브(3a) 및 부기(3b)로 구성된 급수 및 수위조절부(3)가 더 설치되고,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3)를 보호하기 위한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4)가 더 설치된다.
추가하여, 상기 히터 수납부(2)가 본체(1)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었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급수 및 수위조절부(3)도 양쪽에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한쪽에만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대형 물통의 경우, 물을 데워주는 히터(2a)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2)를 본체의 양쪽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본체(1)에 수납된 물을 골고루 데워줄 수가 있다.
참고로,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에서 가축이 물을 섭취함에 따라 수면이 내려갔을 때의 단면도로서, 자외선 및 이물질차단수단(200)이 수면을 따라 아래로 내려갔음을 알 수 있고, 도 11b는 본체에 다시 물을 공급하였을 경우,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사용 물통은 본체(1)의 바닥면이 드러날 정도 물론, 바닥면이 드러나지 않더라도 가축이 어느 정도 물을 섭취함으로서 줄어드는 수위를 감안하여 일정한 양이 줄어들면 자동적으로 본체(1) 안으로 급수가 될 것이고 어느 정도 채워지면 급수 및 수위조절부(3)의 부기(3a)에 의해 더 이상 급수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체(1)의 바닥면이 들어난 상태에서는 급수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단수(斷水)조치로 인해 급수가 중단되었을 경우, 상기 히터 수납부(2)의 구조가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에서 하향 돌출된 구조가 아니라면(종래의 구조) 히터는 수위 및 수온에 관계없이 계속해서 열을 발생하게 될 것이고, 이러한 시간이 지속되면 본체(1)내의 물은 모두 증발하게 될 것이며 종국에는 히터의 가열로 인해 히터의 손상 나아가서는, 화재까지로 이어질 수가 있다.
하지만,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가 하향 돌출된 구조를 갖고, 그 내부에 히터(2a)가 설치되므로 단수된 상태라 할지라도 적어도 히터 수납부(2)가 차지하는 체적만큼의 물은 계속 유지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감지센서(31)가 히터 수납부(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단수된 상태에서 상기 히터 수납부(2)에 수납된 물이 오랜 시간 데워질 경우, 자동적으로 제어부가 히터로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시켜 더 이상 히터가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수면위에는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부상되어 있기 때문에 가축이 물을 마실 때 여물 등 각종 이물질이 물과 혼합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200)이 본체(1) 내로 입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사용 물통은 수면(水面) 위에 항상 자외선 및 이물질 차단수단이 부상(浮上)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본체 내에 이끼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가축이 물을 먹을 때 여물찌꺼기 등의 각종 이물질이 물과 혼합되지 않도록 걸러줌으로써 가축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여 질병에 걸릴 염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체의 바닥면 일부를 하향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고, 그 곳에 히터와 수온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적어도 본체에는 상기 하향 돌출된 형태가 갖는 체적에 상응하는 만큼 항상 물이 남아 있도록 함으로써 물의 존재유무와 무관하게 관리자가 전원을 중단시키지 않는 한 계속해서 히터가 동작함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히터의 과열로 인한 손상, 나아가 화재 발생의 위험을 제거할 수가 있다.
즉, 하향 돌출된 부분에는 항상 물이 고여있기 때문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히터가 동작할 염려가 없고, 뿐만 아니라 수온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적정한 수온이 되면 자동적으로 히터의 발열이 중단되므로 히터의 과열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상측이 개방된 채로 소정의 공간을 갖고 바닥면이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바닥면 중앙부에 하향 돌출되어 히터를 수납하는 히터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거치되며 다수의 개방부를 갖는 상부거치대와,
    오목형태의 둥글넓적하고 저면에 상기 본체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급수수단을 가지며, 둘레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부기가 고정된 부기고정틀을 구성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승하강면서 자외선 및 이물질을 차단하는 취수대야와,
    상기 히터 수납부의 어느 한쪽면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의 급수 및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와,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를 보호하고, 그 단면에는 복수의 순환홀을 갖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와,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온으로부터 히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물통.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은 튜브이며, 상기 취수대야의 저면을 관통하여 끼워지거나 상기 취수대야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물통.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내부에 개폐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물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는 본체의 중앙부에서 상기 히터 수납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본체를 이등분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물통.
  7. 상측이 개방된 채로 소정의 공간을 갖고 바닥면이 중앙에서 양쪽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쪽단부에 각각 하향 돌출되어 히터를 수납하는 히터 수납부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거치되며 개방부를 갖는 상부거치대와,
    오목형태의 둥글넓적하고 저면에 상기 본체의 물을 유입시키기 위한 급수수단을 가지며, 둘레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부기가 고정된 부기고정틀을 구성하여 상기 본체 내에서 수위에 따라 상기 개방부를 향하여 승하강면서 자외선 및 이물질을 차단하는 취수대야와,
    상기 히터 수납부의 어느 한쪽면에 설치된 수온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양쪽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서 상기 히터 수납부와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로의 급수 및 급수된 물의 수위를 조절하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와,
    상기 급수 및 수위조절부를 보호하고, 그 단면에는 복수의 순환홀을 갖는 급수 및 수위조절부 보호커버와,
    상기 수온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수온으로부터 히터의 동작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본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용 물통.
KR10-2001-0075144A 2001-11-30 2001-11-30 축사용 물통 KR10043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44A KR100431160B1 (ko) 2001-11-30 2001-11-30 축사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144A KR100431160B1 (ko) 2001-11-30 2001-11-30 축사용 물통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55U Division KR200266974Y1 (ko) 2001-11-30 2001-11-30 축사용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411A KR20030044411A (ko) 2003-06-09
KR100431160B1 true KR100431160B1 (ko) 2004-05-17

Family

ID=2957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144A KR100431160B1 (ko) 2001-11-30 2001-11-30 축사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99B1 (ko) * 2007-09-20 2009-10-01 김기철 애완동물용 식기.
KR100982615B1 (ko) 2010-02-11 2010-09-15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261B1 (ko) * 2012-03-02 2013-12-13 최대식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2376871B1 (ko) * 2021-06-17 2022-03-21 주식회사 선진 축사용 급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099B1 (ko) * 2007-09-20 2009-10-01 김기철 애완동물용 식기.
KR100982615B1 (ko) 2010-02-11 2010-09-15 임석환 축산용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4411A (ko) 200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5245C (en) High density housing for aquatic animals
US4646687A (en) Animal waterer
US7975649B2 (en) Livestock waterer
US4708091A (en) Animal watering apparatus
ES2225594T3 (es) Aparato de entrenamiento del comportamiento de un animal.
KR100431160B1 (ko) 축사용 물통
KR101189785B1 (ko) 가축사육용 급수장치
KR200348736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1058727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200266974Y1 (ko) 축사용 물통
US4309962A (en) Livestock watering station
KR101341261B1 (ko) 축사용 자동급수기
KR100913646B1 (ko) 양돈용 수위조절 급수장치
KR100363110B1 (ko) 축사용 물통
KR200263872Y1 (ko) 축사용 물통
KR200151145Y1 (ko) 축사용 소독장치
KR200369071Y1 (ko) 축사용 급수장치
KR100974808B1 (ko) 축사 설치용 취수조
KR100891028B1 (ko) 축사용 급수기
US11412707B1 (en) Food and water dispensing system
KR200418933Y1 (ko) 돈사용 온수 공급장치
KR100746149B1 (ko) 히터보호수단을 갖는 가축용 물통
KR102590147B1 (ko) 자동으로 물이 공급되고 순환되는 축사용 급수장치
KR200223540Y1 (ko) 가축용 급수통
CN207544020U (zh) 一种养殖场自动饮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