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8147A -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8147A
KR20160108147A KR1020160018910A KR20160018910A KR20160108147A KR 20160108147 A KR20160108147 A KR 20160108147A KR 1020160018910 A KR1020160018910 A KR 1020160018910A KR 20160018910 A KR20160018910 A KR 20160018910A KR 20160108147 A KR20160108147 A KR 2016010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mage receiving
receiving surface
liquid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6378B1 (ko
Inventor
이. 세이어 브루스
플로이드 주니어. 로렌스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0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5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roller or a polygonal rotating cleaning member; Details thereof, e.g. surfac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7Cleaning arrangements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ditioning the transfer element, e.g. clea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7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of the clean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Ink Jet (AREA)

Abstract

프린터 세척장치는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세척하며, 포움 물질에 의해 에워싸여진 천공 원통형 벽을 갖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벽은 펌프에 의해 내부 볼륨으로 펌핑된 액체를 유지하기 위한 내부 볼륨을 갖는다. 상기 롤러가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이동하면서 가압된 액체는 상기 원통형 벽을 통해 상기 포움 물질로 흘러들어간다. 상기 롤러는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을 문지르고 상기 액체를 상기 면에 공급하는 것을 돕기 위해 상기 이미지 수신면의 이동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롤러가 상기 면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면서, 상기 포움 물질은 액체의 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물질을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팽창한다. 일 실시예에서의 상기 포움 물질은 소수성(疏水性)이다.

Description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RECEIVING SURFACE IN AN INKJET PRIN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프린터들에서의 이미지 수신면들을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하는 프린터들에서의 이미지 수신면들을 세척하기 위한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하는 어떤 잉크젯 인쇄 시스템들 또는 프린터들은 다음의 인쇄 싸이클 동안 모든 표면 처리물질을 제거하지 않고서도 이미지 면으로부터 임의의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장치를 포함한다. 표면 처리물질은 잉크 이미지가 상기 표면상에 형성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매체로의 잉크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공급된 임의의 물질이다. 표면 처리물질 또는 블랭킷 코우팅(blanket coating)의 예들은 스킨 코우팅(skin coating), 액체 코우팅(fluid coating), 그 결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미 알려진 어떤 시스템들에서는, 블레이드 세척기(blade cle aner)가 상기 이미지 면으로부터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화질의 이미지들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미지 면의 능력을 보충하기 위해 이미지 면으로부터 제거된 물질들은 잉크, 표면 처리물질들, 매체 잔류물 등을 포함한다. 블레이드 세척기들은 이미징 표면상의 고압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지만, 이러한 압력들은 이미지 형성면 및 상기 블레이드 세척기의 수명의 단축을 초래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블레이드 세척기들은 상기 이미지 면을 세척하기 위해 필요한 더 높은 블레이드 부하를 필요로 한다. 상기 블레이드 세척기들은 또한 고마찰 탄성중합체 블랭킷 표면을 가로지르는 단일 세척 에지(cleaning edge)를 가지기 때문에 아주 낮은 신뢰성을 갖는다.
이미 알려진 어떤 시스템에서는, 웹 세척기(web cleaner)가 상기 이미지 면으로부터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나, 웹 세척기들은 웹 물질들의 높은 소모비용 및 상기 웹들의 처리비용을 가진다. 상기 웹상의 섬유 에지들은 블레이드에 대한 더욱 양호한 잉여 세척(redundant cleaning)을 제공하는 한편, 상기 웹(web)의 두께는 상기 웹이 세척 닙(cleaning nip)으로부터 운송되면서 분리된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적은 체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웹 세척기는 잉크가 상기 닙에 들어가는 비율보다 더 빠른 세척된 잉크가 상기 닙으로부터 운송하는 비율의 상기 닙을 통해 해석되어야 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웹 세척기는 또한 제한된 세척 능력을 가진다. 상기 웹들의 제한된 잉크 용량은 상기 웹들을 높은 잉크 밀도 상황들에서는 비실제적인 것으로 만든다.
블레이드 및 웹 세척기들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미 알려진 어떤 수성잉크 인쇄 시스템들은 상기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스크럽(scruff) 및 운송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수신면의 이동에 대해 회전하는 포움 롤러(foam roller)를 사용해 왔다. 수성잉크 인쇄 시스템들에서, 상기 포움 롤러에 의해 세척되는 상기 이미지 수신면은, 회전 드럼 또는 벨트와 같은, 끝없는 운송면 주위로 싸인 물질의 블랭킷이다. 상기 블랭킷의 표면 속성들을 향상시켜 잉크가 이미지 형성 동안 상기 블랭킷에 부착된 다음 매체로의 이송 동안 상기 잉크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은 상기 블랭킷 표면상에 스킨(skin)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다. 상기 잉크 이미지가 매체로 운송되고 이전의 이미징 싸이클로부터의 상기 스킨 및 잔류 잉크가 상기 블랭킷 표면으로부터 세척되어진 후에 이러한 표면 처리물질은 상기 블랭킷의 표면에 도포된다. 이상적으로, 상기 포움 롤러의 압력은 상기 스킨층을 수화(水化)시키는 동안에만 상기 잉크층을 분할 및 제거하여야 하므로 그것은 보충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포움 롤러에 의해 상기 블랭킷에 공급된 압력이 아주 높다면, 상기 잉크층 밑의 상기 얇은 스킨층은 또한 분열한다. 상기 스킨층의 이러한 분열은 약간의 느슨해진 잉크가 상기 블랭킷 표면에 접촉 가능하도록 하며, 이것은 잉크에 대한 친화성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잉크는 상기 블랭킷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스킨 처리물질 상의 잉크보다 제거하기가 더 어렵다. 그러므로, 상기 블랭킷의 세척은 역으로 영향을 받으며 이미지 품질은 후속적인 이미징 싸이클들에서 영향받을 수 있다.
이미 알려진 어떤 수성잉크 인쇄 시스템들에서, 상기 잉크는 상기 이미징 표면이 상기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되기 전에 매체로의 상기 잉크 이미지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반-건조 농도로 건조된다. 대부분의 경우, 상기 잉크의 밀도는 적기 때문에 상기 반-건조 잉크는 세척하기가 더 용이하다. 그러나, 어떤 경우들에서는, 상기 잉크는 과(過)-건조된다. 과-건조된 잉크는 기계 결함들에 기인하여 기계 동작에서 규칙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 조작결함들, 제어 결함들 및 다른 상황들과 같은 결함들은 인쇄 동작 동안 기계 동작정지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들의 처리는 원하는 것보다 더 길게 상기 잉크 이미지를 건조기들 밑에 남길 수 있다. 여분의 건조는 상기 건조된 잉크를 세척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과(過)건조는 또한 상기 프린터 시스템에서의 상기 세척장치로 유입되는 더욱 많은 양의 세척하기 더욱 어려운 잉크를 야기하는 상기 매체로의 상기 잉크 이미지 전송의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의 발생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 세척기는 이미 설명된 수반되는 위험들을 갖는 건조된 잉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더 높은 압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 세척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린터 세척장치는 프린터 시스템의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물질을 제거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졌다. 상기 프린터 세척장치는 상기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하는 인쇄 시스템에 포함된다. 상기 프린터 세척장치는 액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내부 볼륨 주위의 원통형 벽을 갖는 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형 벽은 상기 내부 볼륨 내의 액체가 상기 원통형 벽을 관통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들(apertures)을 갖는다. 상기 롤러는 상기 내부 볼륨이 액체의 근원에 유체학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opening)을 갖는다. 상기 롤러는 상기 원통형 벽의 세로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포움 물질(foam material)은 상기 원통형 벽 주위에 맞춰지고 상기 원통형 벽을 관통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액튜에이터는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컨트롤러는 상기 액튜에이터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면으로부터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은 프린터 시스템의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물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표면 처리로 처리했다. 상기 방법은 액체가 원통형 벽을 관통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벽에 개구들을 갖는 롤러의 원통형 벽 내의 내부 볼륨에 펌프로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벽 주위에 장착된 포움 물질을 갖는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 및 비체결 가능하도록 그리고 물질을 상기 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쪽으로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를 갖는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물질의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프린터 세척장치의 상기 특징들 및 다른 특징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첨부도면들과 관련되어 설명된다.
도 1A는 예시적인 세척장치를 예시하는 도면.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A의 세척장치가 사용되는 예시적인 프린터 시스템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세척장치의 예시적인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이미지 형성면 상의 수성잉크를 다양한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이 세척 기능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다른 포움들을 사용하는 블랭킷을 세척하기 위한 부하의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다른 포움들을 사용하는 블랭킷을 세척하기 위한 부하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다른 포움들 및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를 사용하는 블랭킷을 세척하기 위한 부하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시스템에서의 닙의 폭들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일반적인 이해를 위해, 상기 도면들에 대해 설명되어진다. 상기 도면들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표기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사용되어졌다.
도 1A는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하는 프린터에 사용된 예시적인 세척장치(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프린터 세척장치(100)는 내부 볼륨 (108)을 형성하는 천공 원통형 벽(116)을 갖는 롤러(104)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 (104)의 상기 내부 볼륨(108)은 도관(156)으로부터 수용된 액체(148)을 수용하고 유지한다. 포움(foam)(112)은 실질적으로 상기 롤러(104)의 상기 원통형 벽(116)을 에워싼다. 일 예에서, 상기 포움(foam)(112)은 상기 천공 원통형 벽(116)에 끈끈하게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볼륨(108) 내의 상기 액체(148)는 펌프(144)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액체가 상기 원통형 벽(116) 상의 작은 구멍들(perforations)을 통해 상기 포움(112)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롤러(104)의 표면 위로 이동한다.
상기 롤러(104)의 상기 포움(112)의 표면은 상기 액체(148)의 일부를 블랭킷(blanket)(124)의 위로 공급하고 상기 블랭킷(124) 상의 물질들(160)을 수화(水化)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접촉한다. 상기 포움(112)은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으로부터 임의의 물질들(160)을 방출한다. 상기 포움(112)의 상기 표면은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물질들(160)을 방출 및 세척(wipe)하기 위해 아주 작은 세척 블레이드들로서 기능하는 개방형 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들은 또한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상의 잉여 세척동작을 제공한다. 상기 포움(112)에 의한 상기 잉여 세척동작은 더욱 양호한 신뢰성 및 블레이드 세척기와 같은 다른 세척 시스템들보다 더욱 낮은 압력에서의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의 세척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과 접촉해 있는 셀들과 인접해 있는 상기 포움(112)에서의 상기 개방형 셀들은 또한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방출된 물질들(160)을 저장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상기 포움(112)은 웹 세척기(web cleaner)와 같은 다른 세척 시스템들과 비교하여 더욱 많은 양의 물질들(160)을 저장하는 능력을 가진다. 유지된 물질들(160)은 상기 포움(112)의 셀들로부터 상기 액체(148)를 사용하여 세척된다. 상기 롤러로부터 세척된 상기 물질들(160) 및 액체(148)의 결합(128)은 상기 롤러(104)를 에워싸는 하우징(152)으로 유출 또는 뚝뚝 떨어진다.
상기 블랭킷(124)이 계속적으로 상기 롤러(104)를 지나면서, 상기 액체(148)의 일부는 상기 블랭킷(124) 상에 남아 있다. 상기 롤러(104)와의 상호 접촉 후, 상기 블랭킷(124)은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과도한 액체(148)를 세척하는데 충분한 압력을 블레이드에 공급하는 와이퍼(wiper)(120)에 도달한다. 상기 와이퍼(wiper)(120)가 상기 액체(148)를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세척하면서, 그것은 다른 이미징 싸이클 이전에 다른 스킨층이 상기 블랭킷(124)에 공급되기전 상기 블랭킷(124)상의 비교적 건조한 표면을 남긴다. 상기 제거된 과도한 액체는 상기 롤러(104)쪽으로 유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52)쪽으로 유출된다.
상기 하우징(152)은 상기 액체 결합(128) 또는 상기 제거된 과도한 액체 (148)를 상기 하우징(152)의 바닥에서의 콜렉션 드레인(160)쪽으로 보낸다. 상기 결합(128) 및 과도한 액체(148)는 상기 드레인(160)을 통해 흐르며 상기 액체(148)로부터 상기 물질들(160)을 분리하기 위해 필터(136)를 통해 운송된다. 펌프(144)는 여과된 액체(148)를 다시 상기 롤러(104)의 내부 볼륨(108)으로 펌핑한다. 다른 근원(미도시)으로부터의 부가적인 액체(148)는 상기 롤러(104)의 내부 볼륨(108)쪽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필터(136)로부터의 분리된 물질들(160)은, 예컨대, 상기 필터(136), 상기 필터(124) 내의 필터 매체, 개별적인 컨테이너(140) 등 내의 처리를 위해 수집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액튜에이터(110)는 상기 롤러(104)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컨트롤러(114)는 상기 액튜에이터(110)를 동작시키고 상기 블랭킷(124)의 이동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롤러(104)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액튜에이터(11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양자 택일적으로, 상기 롤러(104)는 상기 블랭킷(blanke t)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상기 롤러(104)는 상기 블랭킷의 이동방향으로 회전한다. 다른 액튜에이터(111)는 상기 와이퍼(12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트롤러(114)는 상기 액튜에이터(111)를 동작시키고 상기 와이퍼(120)를 상기 블랭킷(124)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블랭킷(124)과 체결하지 않도록 이동시키도록 상기 액튜에이터(111)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물질들은 상기 블랭킷(112)이 이미지를 매체로 운송하는 닙(nip)을 관통한 후에 상기 블랭킷(112)의 상기 표면에 의해 운송되는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상의 물질들(160)의 예들은 수성잉크, 반-건조된 수성잉크, 표면처리 물질층들 또는 스킨층들, 잔류물, 그 결합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잉크는 매체에 운송되는 이미지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공급된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액체(116)는 잉크 또는 표면 처리물질과 같은 물질을 수화시키는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액체(148)의 예들은 물, 솔벤트, 물을 갖는 솔벤트의 팽창액(dilate solution), 계면활성제와 같은 화학물질들을 갖는 솔벤트의 팽창액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에 공급되는 상기 액체(148)는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상의 잉크의 접착력을 감소시킨다. 부가적으로, 상기 포움(112)의 개방형 셀 벽 에지들은 상기 포움(112)이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을 가로지르면서 문지름 동작(scrubbing action)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블랭킷 (124)의 상기 표면상에 접선력(接線力)을 가한다. 이러한 힘은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잉크를 분리시키며 상기 분리된 잉크를 상기 포움(112)쪽으로 그리고 상기 포움(112)의 개방형 셀 구조의 볼륨쪽으로 운송한다. 상기 액체(148)는 그 다음으로 상기 잉크를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세척해낸다.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분리시키는 이러한 힘은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과의 상기 롤러(104)의 간섭을 증가시키는 것, 상기 포움(112)에서의 구멍들(pores)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 상기 포움(112)의 강성도를 증가시키는 것, 상기 롤러(104)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기술들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분리된 잉크를 흡수하기 위한 상기 포움(112)의 능력은 상기 포움(112)에서의 구멍들(pores)의 밀도를 변화시키는 것, 상기 포움(112) 및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 사이의 간섭, 상기 포움(112)의 상기 개방형 셀 벽의 두께, 및 상기 롤러(104)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임의의 기술들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104)의 회전속도는 또한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에 대한 효율적인 세척 닙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액체(148)에 첨가된 계면활성제와 같은 임의의 화학물질들은 또한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과의 잉크 또는 다른 물질들(160)의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잉크의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이러한 화학물질들은 또한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세척하는 능력을 개선시킬 수도 있다.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세척하는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요소들은 사용된 액체(148)의 화학성, 상기 포움(112)을 통한 상기 액체(148)의 유속, 상기 포움(112)에 대한 상기 잉크의 접착력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포움(112)에 대한 잉크의 상기 접착력은 상기 잉크 및 상기 포움(112)의 화학성과 같은 요소들에 의존한다. 일 실시예에서, 수성잉크가 소수성(疏水性) 포움에 대해 접착력을 갖는 것보다 수성잉크가 친수성(親水性) 포움에 대해 더 높은 접착력을 갖기 때문에 포움 (112)은 소수성(疏水性) 포움이다. 결과적으로, 수성잉크는 친수성(親水性) 포움으로부터보다 소수성(疏水性) 포움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제거된다. 아래의 예 1 및 도 4는 이러한 결론을 지지하는 데이터를 설명하고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포움(112)의 표면적은 또한 상기 포움(112)에 유지된 액체(148)의 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움(112)의 물질은 상기 액체(148) 및 상기 물질들(16 0)에 화학적으로 불활성일 수 있어 잉크 및 스킨과 같은, 상기 물질들(160)은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용이하게 세척된다. 만일 상기 물질들(160)은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용이하게 헹구어질 수 있다면, 상기 물질들(160)의 더 느린 증가가 시간에 따라 발생하며 이러한 속성은 상기 롤러(104)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부가적으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움(112)의 물질은 상기 액체(148)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만일 액체(148)가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아주 용이하게 흘러나온다면, 상기 액체(148)는 상기 롤러(104)의 바닥으로부터 바닥날 수도 있고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에 대한 적절한 수화(水和)를 제공하지 않는다. 만일 상기 액체(148)가 상기 포움(112)에 거의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액체(148)의 과도한 분사가 상기 롤러(104)의 높은 회전속도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임의의 포움 물질들은 상기 액체(148)를 적절히 유지하는 상기 롤러 (104)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구멍 밀도(pore density)를 갖는 포움은 더욱 낮은 구멍 밀도(pore density)를 갖는 포움보다 상기 액체(148)를 더 양호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상기 포움(112)의 강도는 상기 롤러(104)가 티어링(tearing)을 피하고 상기 롤러(104)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도와줄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포움 물질들의 예들은 양호한 강도 및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는 폴리우레탄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포움(112) 및 상기 물질(160) 또는 상기 블랭킷 (124)의 상기 표면 사이의 마찰계수는 또한 상기 롤러(104)의 수명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더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포움이 더 적은 응력을 가지므로 상기 롤러(104)의 수명은 연장된다. 상기 롤러(104)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토크의 양 및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상의 스티어링력(steering forces)은 또한 더욱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포움에 대해 더욱 낮다. 더욱 낮은 토오크는 상기 포움 (112)을 상기 천공 원통형 벽(116)에 결합하는데 사용된 접착력에 대한 강도 필요조건들을 감소시킨다. 실리콘 포움들과 같은 물질들은 우레탄 포움들과 같은 물질들보다 더욱 낮은 마찰계수를 제공할 수 있지만, 상기 실리콘 포움들은 대개 폐쇄된 셀들로 만들어진다.
상기 포움(112)의 압축 강도는 또한 상기 롤러(104)의 효율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세척 부하는 세척 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롤러(104)상의 상기 포움(11 2)을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에 대해 압축함으로써 발생된다. 더욱 견고한 포움은 더욱 연한 포움보다 더욱 좁은 닙 폭으로 상기 블랭킷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부하를 발생시킨다. 상기 포움(112)의 압축 강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은 포움 물질의 계수, 상기 포움에서의 구멍들(pores)의 밀도, 상기 포움의 셀 벽들의 두께,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포움(112)이 액체(148)로 포화될 때, 상기 포움(112)의 임의의 압축은 상기 액체(148)를 상기 포움(112)으로부터 내밀어낸다. 한 예에서, 상기 롤러(104)가 상기 세척 닙에 들어가면서, 상기 포움(112)은 압축되므로 상기 액체(148)는 내쫓아진다. 상기 롤러(104)가 상기 세척 닙을 떠나면서, 상기 포움(112)은 확장하며 공동(void)을 상기 포움(112)의 셀들로 채우기 위해 액체를 유입시키려고 시도한다. 상기 액체(148)는 상기 물질들(160)이 상기 롤러(104)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포움(112)을 통해 상기 내부 볼륨(108) 내부로부터 펌핑된다. 더욱 큰 세척 닙은 상기 포움(112)의 더욱 큰 볼륨을 압축하며 상기 롤러(104)를 통한 상기 액체(148)의 더욱 많은 흐름을 요구한다. 이와 같이, 여과되는 소비된 액체(148)의 볼륨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세척 닙의 폭은 여전히 양호한 세척을 유지하면서도 최소화될 수도 있다. 더욱 견고한 포움(112)은 상기 시스템의 여과 필요조건들을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천공 원통형 벽(116)을 통한 그리고 상기 포움(112) 쪽으로의 상기 액체(148)의 흐름의 저항은 또한 상기 롤러(104)의 효율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상기 롤러(104)를 통한 상기 액체(148)의 흐름의 저항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들은 상기 포움(112)의 두께,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천공 홀들(perforation holes)의 크기,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상기 천공 홀들(perforation holes)의 간격, 상기 포움(112)에서의 구멍들(pores)의 밀도, 상기 포움(112)에서의 구멍들(pores)의 내부 구조(예컨대, 상기 구멍들(pores)의 두께 및 표면적)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한 예에서,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구멍들(perforations)로부터 흐르는 상기 액체(148)의 균일한 분포는 효율적인 롤러 (104)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일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상기 천공 홀들(perforation holes)의 간격이 너무 작으면, 상기 원통형 벽(116)은 상기 포움(112)을 상기 원통형 벽(116)에 신뢰성 있게 접착하는데 불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너무 많은 천공 홀들(perforation holes)은 상기 원통형 벽(116)이 약해지도록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만일 그것이 상기 롤러(104)가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에 대해 로우딩하면서 굽어진다면, 상기 원통형 벽(116)은 균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만일 상기 포움(112)의 흐름의 저항이 너무 낮으면, 상기 액체(148)는 많은 퍼짐(spreading) 없이도 상기 천공 홀들(p erforation holes)로부터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원통형 벽(116)에서의 상기 천공 홀들(perforation holes)을 통한 상기 액체(148)의 균일한 흐름은 달성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만일 상기 포움(112)의 흐름의 저항이 너무 높으면, 과도한 압력이 상기 롤러(104)를 통한 상기 액체(148)의 원하는 유속을 달성하는데 필요할 수도 있다. 상기 포움(112)의 더 높은 흐름 저항은 또한 상기 원통형 벽(116)과 접착하는 상기 포움(112)의 실패 또는 상기 포움의 티어링(tearing)으로 이끌어질 수 있는 상기 포움(112)의 두께에 걸친 부가적인 응력을 부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상기 롤러(104)에서의 상기 액체(148)의 흐름은 아주 낮은 압력들에서 비교적 높다. 원하는 액체(148) 및 상기 롤러(104)에 대한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시스템(100)을 구성하는데 다른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독자는 이해해야 한다.
상기 롤러(104)에서의 상기 포움(112)의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 y)은 또한 상기 롤러(104)의 효율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포움들(112)은 다른 액체들(148)에 의해 다른 정도로 부푼다. 카푸-셀(Capu-Cell)과 같은, 포움들은 물로 포화될 때 상당히 부풀 수 있다. 이러한 포움이 건조할 때, 상기 포움은 그 원래의 크기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한 예에서, 상기 롤러(104)는 부푸는 양을 고려함으로써 구성된다. 독자는 부푸는 양이 시간에 따라 변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롤러(104)에서의 상기 포움(112)은, 잉크 및 스킨과 같은, 물질들(160)을 누적하며, 상기 포움(112)의 부품 특성은 변할 수도 있다. 충분한 누적된 물질들(160)에 의해, 상기 롤러(104)에서의 상기 포움 (112)은 상기 포움(112)이 건조할 때 그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포움에서의 상기 물질들(160)의 누적은 또한 상기 포움(112)의 강성도(stiff ness)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와이퍼(120)의 예들은 탄성중합체 고무 롤러 블레이드(elastomer sque egee blade), 신첵 238707 70 쇼어 어 듀로메타(Synztec 238707 70 Shore A durom eter)와 같은 폴리우레탄 블레이드, 전자 복사 블레이드(xerographic blade), 우레탄 블레이드, 더욱 높은 경도계(硬度計) 폴리우레탄 블레이드(higher durometer po lyurethane blade), 우레탄 블레이드, 상기 블랭킷(124)에 대한 더욱 낮은 마찰을 갖는 다른 탄성중합체들 또는 폴리머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 예에서, 상기 와이퍼(120)는 간섭 로우딩(interference loading)을 갖는 상기 와이퍼(120)를 동작시키는 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거나 상기 와이퍼(120)는 상기 블랭킷(124)에 대한 힘 로우딩(force loading)을 갖는 피보팅 홀더(pivoting holder)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120)는 과도한 액체(148)를 상기 블랭킷(124)으로부터 씻어내기 때문에, 상기 블랭킷(124)에 대한 상기 와이퍼(120)의 부하는 잉크와 같은 물질(160)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부하에 대해 더욱 낮아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136)는 액체(148)의 결합(128) 및 물질들(148)로부터 상기 물질들을 분리하기 위해 미량 여과(micro-filtration), 한외 여과(ultra -filtration), 나노 여과(nano-filtration), 역삼투(reverse osmosis), 그 결합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필터(136)는 상기 결합(128)으로부터 상기 물질들을 분리하기 위해 아주 작은 구멍(pore) 크기들을 갖는 다공성 필터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예에서, 구멍(pore) 크기들을 변화시키는 다른 필터 매체들은 상기 결합(128)으로부터 다른 물질들을 여과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136)는 약 0.01 μm 미만의 구멍(pore) 크기와 같은 아주 작은 구멍(pore) 크기들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136)는 또한 약 10 μm 미만의 구멍(pore) 크기를 갖는 스킨 필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1 μm의 필터는 약간 더 작은 스킨 성분들이 통과 가능하도록 하며 여과되는 더욱 큰 성분들을 비교적 빠르게 막는다. 스킨의 성분들은 더욱 크고 잉크를 여과하는데 필요한 상기 구멍(pore)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큰 구멍(pore) 크기는 상기 스킨을 여과하는데 필요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일련의 점진적으로 더욱 작은 구멍(pore) 크기 필터들은 상기 결합(128)으로부터 다른 물질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필터(136) 내에 위치한다. 독자는 이러한 매개변수들은 예시적이며 다른 구멍(pore) 크기들 또는 필터 물질들이 상기 결합(128)으로부터 상기 물질들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한 예에서, 상기 펌프(144)는 상기 롤러(104)의 내부 볼륨(108)으로부터 여과된 액체를 밀어내고 상기 필터(136)를 통해 상기 필터를 역-세척(back-flush)하고 상기 필터 매체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필터 매체로부터 여과된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역으로 동작할 수 있다. 양자 택일적으로, 상기 필터는, 기계를 사용하는 것, 외부의 매축(埋築)공정(reclamation process), 또는 상기 필터 매체를 제거 및 세척하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다른 기술들에 의해 역-세척될 수 있다.
롤러(104)가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독자는 다른 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들 성분들의 예들은 상기 액체(148)가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에 뚝뚝 떨어지고, 분사되며, 또는 떨어지도록(dip) 가능하게 하기 위해 포움 패드(foam pad), 분사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포움(11 2)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지만, 독자는 다른 물질들(112)이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을 문지르고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물질들(160)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와이퍼(120)가 설명되어 있지만, 독자는 다른 성분들이 과도한 액체(148)를 상기 블랭킷(124)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닦거나 건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B는 수성잉크로 이미지들을 형성하는 프린터에서 사용된 세척장치의 선택적인 실시예(1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프린터 세척장치(100')는 상기 블랭킷(124)으로부터 뚝뚝 떨어질 수도 있는 액체(128)를 포착하기 위해 용기 내에 위치하는 분사기(122)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128)는 여과를 위해 상기 필터(136)에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122)는 액체(148)를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의 상기 물질들(160)을 수화하기 위해 액체(148)를 상기 블랭킷(124) 상에 분사한다. 상기 분사된 액체의 압력은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의 상기 물질들을 수화하고 임의의 물질들(160)을 상기 블랭킷(124)으로부터 제거하는데 충분하다. 물질들(160) 및 액체(148)의 결합(128)은 하우징(152)으로 흘러들어가거나 뚝뚝 떨어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액튜에이터(110)는 상기 분사기(122)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며 컨트롤러(114)는 상기 분사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액튜에이터(110)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다. 와이퍼(120)는 상기 하우징(152)으로 뚝뚝 떨어지는 상기 블랭킷(124)으로부터의 액체(148)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과 접촉해 있다. 상기 블랭킷(124)이 상기 와이퍼(120)를 관통한 후, 에어 나이프(air knife), 가열된 건조기들 등과 같은 성분들(164)이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을 부가적으로 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2)의 바닥에서의 드레인(162)은 상기 액체(148)로부터 상기 잉크 및 표면 처리물질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거된 결합(128)을 필터(136)쪽으로 전환시킨다. 펌프(120)는 상기 여과된 액체(148)를 상기 분사기(122)로 다시 보낸다.
도 2는 세척장치(100)가 사용되는 예시적인 프린터 시스템(200)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코우터(coater)는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의 스킨을 형성하는 표면 처리물질의 층을 도포한다. 상기 블랭킷(124) 및 상기 도포된 물질은 건조기(208)에 의해 임의의 정도로 건조된다. 건조기(208)는 에어 나이프(air knife), 공기나 열을 상기 블랭킷(124) 상에 향하게 하는 가열된 건조기, 그 결합들 등으로 구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블랭킷(124)은 잉크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잉크를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에 위치시키는 이미저(imager)(204)를 관통한다. 다른 건조기(220)는 잉크 이미지를 임의의 정도로 건조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분적으로 건조된 잉크 이미지(216)는 그 다음으로 상기 블랭킷(124)에 형성된 닙(nip)으로 들어가며 상기 잉크 이미지가 상기 닙을 관통하면서 상기 닙을 관통하도록 동기화된 매체에 상기 잉크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롤러(232)에 들어간다. 상기 블랭킷(124)은 그 다음으로 상기 세척장치(100)의 부분(106)을 관통하며, 이것은 위에 설명된 세척장치(100)의 포움, 하우징 및 와이퍼와 유사하다. 상기 포움은 액체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 상에 위치시키며 상기 액체 및 잉크의 일부를 상기 이미지 수신장치로부터 제거하고 와이퍼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킷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제거한다. 상기 편향된 액체 및 물질(128)은 상기 하우징(152)의 바닥에서의 드레인(162)에서 수집되며 펌프(144)는 상기 제거된 액체 및 물질을 상기 드레인(16 2)으로부터 밀어내며 상기 잉크 및 스킨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거된 액체 및 물질을 필터(136)를 통해 밀어내고, 이것은 폐기물 수집기(waste collecto r)(140)으로 보내진다. 상기 여과된 액체는 세척부(106)의 용기로 되돌려진다. 상기 필터(136)는 또한 상기 분리된 물질들을 상기 필터로부터 역-세척하고 그것들을 폐기물 컨테이너(140)로 향하게 하기 위해 세척액(148)을 액체원(228)으로부터 받는다. 전송롤러 유지 시스템(102)은 세척액을 전송 롤러(232)로 공급하며 상기 세척부(106)로부터 수집된 상기 액체 및 물질과 함께 여과되도록 드레인(162)에서 수집되는 상기 롤러로부터의 잔류물질을 제거한다.
도 3은 상기 세척장치(100)를 사용하는 예시적인 과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액체(148)는 롤러(104)의 내부 볼륨(108)으로 펌핑된다(단계 304). 컨트롤러(114)는 상기 액체(148)의 일부를 상기 블랭킷(124)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블랭킷 (124)의 표면을 상기 롤러(104)와 체결하기 위해 액튜에이터(110)를 동작시킨다(단계 308). 상기 롤러(104)는 상기 위치된 액체(148)가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상의 물질들을 수화하고 임의의 물질들(160)을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에 대해 회전을 계속한다(단계 312). 부가적으로, 와이퍼(108)는 아마도 상기 블랭킷(124)의 표면으로부터 임의의 과도한 액체(116)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거된 액체(148) 및 물질들 (160)의 결합(128)은 수집되어 하우징(152)의 바닥에서의 드레인(162)으로 향한다. 상기 제거된 결합(128)은 필터(136)를 통해 운반된다. 상기 필터(136)는 상기 액체 (148)를 상기 물질들(160)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여과된 액체(148)는 그 다음으로 재사용을 위해 펌프(144)를 사용하여 상기 롤러(104)로 다시 공급된다. 상기 분리된 물질들은 그 다음으로 폐기물 처리장치(140)로의 처리를 위해 제거된다.
도 4는 상기 이미지 형성면 상의 상기 수성잉크를 다양한 정도로 건조시키는 것이 세척 기능에 대해 갖는 효과를 예시하는 그래프이다. 특히, 블레이드 세척기의 부하에 대한 블랭킷 표면상의 잉크를 건조시키는 것의 효과가 테스트되었다. 도 4에서의 라인(404)은 과-건조된 잉크를 나타내며, 라인(408)은 반(半)-건조된 잉크를 나타내고, 라인(412)은 건조되지 않은 잉크를 나타내며, 라인(416)은 물을 나타낸다. 도 4에서의 그래프의 수직축은 g/cm 단위의 블레이드 부하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수평축은 각도 단위의 블레이드 작용각을 나타낸다. 이미 알려진 수성잉크 인쇄 시스템들에서, 기계공들은 물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과건조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이소프로필 알콜이 젖은 래그들(soaked rags)을 사용한다. 그러나, 도 4에서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건조된 잉크(404)가 손에 의해 블랭킷으로부터 세척될 때 잉크를 제거하는데 필요한 노력이 상당히 발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미징 표면의 세척을 가능하게 하는 잉크젯 프린터들에서의 개선들이 바람직하다.
예들
프린터 세척장치(100)의 다음의 예는 성격상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 1
도 5는 울트라-파인(Ultra-Fine)(FFULRG) 포움 및 카푸-셀(Capu-Cell) 친수성(親水性) 포움을 사용하여 상기 블랭킷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부하의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울트라-파인(Ultra-Fine)(FFULRG) 포움 및 카푸-셀(Capu-Cell) 친수성(親水性) 포움과 함께 사용되었다.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상의 상기 잉크는 2분 동안 70℃의 온도에서 반-건조된 상태로 건조되었다. 상기 구성의 x-축은 포움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구성의 y-축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g/mm2 단위의 부하를 나타낸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랭킷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부하는 울트라-파인(Ultra-Fine)(FFULRG) 포움 및 카푸-셀(Capu-Cell) 친수성(親水性) 포움에 대해 더욱 높다. 상기 2개의 포움들의 구멍 밀도들(pore densities)이 유사하기 때문에, 부하를 세척함에 있어서의 차이는 상기 울트라-파인(Ultra-Fine)(FFUL RG) 포움보다는 친수성(親水性) 카푸-셀(Capu-Cell) 포움을 사용하여 잉크의 더 높은 접착력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예 2
도 6은 다른 포움들을 사용하여 블랭킷을 세척하기 위한 부하의 예시적인 다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FCOS60 포움, FFULTRG 포움, FCOS80 포움, 카푸-셀(Capu-Cell) 포움, 및 골드(Gol d) 포움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러한 포움들은 60분 동안 70℃에서 과-건조된 상태(라인 604)로 건조되었던 잉크 및 2분 동안 70℃에서 반-건조 상태로 건조되었던 잉크로 2분 동안 70℃에서 테스트되었다(라인 608). 상기 구성의 x-축은 포움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구성의 y-축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g/cm 단위의 부하를 나타낸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포움들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세척하는데 필요한 다른 부하들을 제공한다. 도 6에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를 과-건조시키는 것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세척하는데 필요한 부하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잉크를 세척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든다.
예 3
도 7은 다른 포움들 및 와이퍼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블랭킷을 세척하기 위한 부하의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우레탄 세척 블레이드, FCOS70 포움, FFULTRG 포움, FCOS80 포움, Capu-Cell 포움, 및 Gold 포움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러한 포움들 및 블레이드는 60분 동안 70℃에서 과-건조된 상태로 건조되었던 잉크(라인 704) 및 2분 동안 70℃에서 반-건조된 상태로 건조되었던 잉크(라인 708)로 테스트되었다. 상기 구성의 x-축은 포움 형태를 나타내며 상기 구성의 y-축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g/cm 단위의 부하를 나타낸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반-건조 상태로 건조되어진 잉크에 대해(즉, 70℃에서 2분), 상기 블레이드는 약 75 g/cm의 부하를 요구한다. 약 100ppi(pores/inch)보다 더욱 큰 구멍 밀도(pore den sity)를 갖는, 상기 골드(Gold) 및 카푸-셀(Capu-Cell) 포움들은 세척하는데 상당히 더 적은 부하를 요구한다. 상기 FCOS70 포움은 그 낮은 구멍 밀도(pore densit y), 이것은 약70ppi일 수 있는, 에 기인하여 세척하는데 아주 높은 부하를 요구한다. 상기 FCOS 80 포움은 그 더 높은 구멍 밀도(pore density), 이것은 약 80ppi일 수 있는, 에 기인하여 상기 블레이드보다 세척하기 위한 약간 더 낮은 부하 및 상기 FCOS70 포움보다 아주 더 낮은 부하를 가진다. 약 100ppi보다 더 큰 구멍 밀도(pore density)를 갖는, 상기 FFULTRG 포움은 상기 블레이드보다 더 높은 세척 부하를 갖는다.
예 4
도 8은 예시적인 시스템(100)에서의 닙의 폭을 예시하는 예시적인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여기에 설명된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상기 닙의 다른 폭을 사용하여 골드(Gold) 포움과 함께 사용되었다. 이 포움은 46mm의 닙폭들 (라인 804), 38mm의 닙폭(라인 808), 및 22mm의 닙폭(라인 812)으로 테스트되었다. 상기 구성의 x-축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g/mm2 단위의 부하를 나타내며, 상기 구성의 y-축은 상기 블랭킷의 상기 표면을 세척하는데 필요한 g/cm 단위의 부하를 나타낸다. 평평한 포움 패드들(foam pads)은 닙폭들로서 사용되었다. 이러한 평평한 포움 패드들은 다른 회전속도로 동작하는 고정 닙 롤러와 동등하였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더욱 높은 세척 부하들은 가장 낮은 닙폭, 22mm(라인 812)에서 세척하는데 필요하다. 46mm 및 38mm의 상기 2개의 더욱 높은 닙폭들은 유사한 세척 부하들을 가진다. 도 8에 추가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닙폭이 충분히 커질 때, 적은 이익이 추가적인 닙폭 증가들에 기인하여 세척 부하 감소로부터 발생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상기 포움의 용량을 유지하는 상기 잉크에 기인할 수 있다. 짧은 닙은 잉크로 채워지며 일부의 잉크가 상기 닙을 관통 가능하도록 한다. 짧은 닙으로 세척하기 위해서, 상기 부하는 잉크를 추가로 포움 구멍들로 밀어내고 상기 블랭킷에 대한 상기 포움의 증가된 압축에 의해 효율적인 구멍 밀도를 증가시키도록 증가될 수 있다. 더욱 긴 닙폭은 더욱 낮은 포움 압축에서의 더욱 큰 잉크 유지용량, 즉, 부하, 를 제공한다. 효율적인 구멍 밀도 및 닙폭을 증가시키는 다른 방법은 상기 블랭킷의 이동방향에 대해 상기 롤러를 더욱 높은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일 수 있다. 상기 더욱 높은 속도는 상기 블랭킷이 상기 롤러 닙을 통해 이동하면서 상기 블랭킷 상의 점이 경험하는 구멍들(pores)의 수를 증가시키며 잉크가 상기 닙으로부터 취해지는 비율을 증가시킨다.

Claims (10)

  1. 이미지 수신면을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하는 인쇄 시스템에 포함된 프린터 세척장치로서, 상기 세척장치는:
    액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내부 볼륨 주위의 원통형 벽을 갖는 롤러로서, 상기 원통형 벽은 상기 내부 볼륨 내의 상기 액체가 상기 원통형 벽을 관통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개구들(apertures)을 갖고, 상기 롤러는 상기 롤러의 상기 내부 볼륨이 액체의 근원에 유체학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하는 구멍(opening)으로 구성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원통형 벽의 세로축 주위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롤러;
    상기 롤러의 상기 원통형 벽 주위에 맞춰지고 상기 롤러의 상기 원통형 벽을 관통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포움 물질(foam material);
    상기 롤러를 상기 인쇄 시스템 내의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롤러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액튜에이터;
    상기 액튜에이터와 동작 가능하도록 연결된 컨트롤러로서, 상기 포움 물질 및 상기 포움 물질에서의 상기 액체가 상기 인쇄 시스템의 상기 면으로부터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지 않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프린터 세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액체를 상기 롤러에서의 상기 구멍(opening)을 통해 상기 롤러의 상기 내부 볼륨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펌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터 세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추가로:
    상기 포움 물질로부터의 상기 액체의 일부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 상으로 방출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대해 압축하기 위해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의 액체 및 물질을 팽창 및 흡수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인쇄 시스템의 상기 면과의 체결로부터 상기 롤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프린터 세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추가로:
    상기 액체가 상기 포움 물질로부터의 상기 흡수된 액체 및 물질의 일부를 씻어내기 위해 상기 롤러의 상기 원통형 벽을 관통 가능하게 하는 압력으로 상기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프린터 세척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세척된 액체 및 물질을 상기 포움 물질로부터 수용하도록 위치된 용기; 및
    액체를 물질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용기 내에 위치한 필터;
    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터 세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신면이 상기 롤러를 통과한 후 액체 및 물질을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와이퍼;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도록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지 않도록 상기 와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와이퍼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액튜에이터;
    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터 세척장치.
  7.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액체가 롤러의 원통형 벽을 관통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벽에 개구들(apertures)을 갖는 상기 롤러의 상기 원통형 벽 내의 내부 볼륨에 펌프로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벽 주위에 장착된 포움 물질을 갖는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상기 액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 및 비체결 가능하도록 그리고 물질을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 쪽으로 그리고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를 갖는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과 체결하는 동안 상기 이미지 수신면이 이동하고 있는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를 갖는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의 상기 액체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 수신면에 대해 상기 포움 물질을 압축하도록 상기 컨트롤러를 갖는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움 물질이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의 액체 및 물질을 팽창 및 흡수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롤러를 상기 이미지 수신면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도록 상기 컨트롤러를 갖는 상기 액튜에이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처리물질로 처리된 이미지 수신면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KR1020160018910A 2015-03-04 2016-02-18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86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38,239 US9581954B2 (en) 2015-03-04 2015-03-04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receiving surface in an inkjet printer
US14/638,239 2015-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8147A true KR20160108147A (ko) 2016-09-19
KR102286378B1 KR102286378B1 (ko) 2021-08-04

Family

ID=5673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910A KR102286378B1 (ko) 2015-03-04 2016-02-18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1954B2 (ko)
JP (1) JP6581916B2 (ko)
KR (1) KR102286378B1 (ko)
CN (1) CN105936189B (ko)
DE (1) DE1020162024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1487B2 (ja) * 2016-12-27 202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970541B2 (ja) * 2017-07-04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液吸収装置及び制御方法
JP2022529593A (ja) * 2019-04-26 2022-06-23 トーンジェット リミテッド 円筒形物体であって、その上に装飾するための円筒形物体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621A1 (en) * 2002-01-16 2005-02-17 Mcneil Kevin Bens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with supply of release agent through a porous printing surface
US20070212128A1 (en) * 2006-01-23 2007-09-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317555A1 (en) * 2008-06-24 2009-12-24 Hisamitsu Hori Liquid application method, liquid applic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002405A (ko) * 2008-06-30 2010-01-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쇄공정에서의 그라비아 롤 세정 장치 및 방법
US20120256979A1 (en) * 2011-04-06 2012-10-11 Xerox Corporation Gel maintenance cycle for a release agent appl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3544A (de) 1963-12-06 1968-10-15 Giori Gualtiero Reinigungsvorrichtung für Wischzylinder in Ein- oder Mehrfarbenstahlstichdruckmaschinen
GB1244901A (en) * 1968-01-18 1971-09-02 Tokyo Shibaura Electric Co An electrostatic recording apparatus
JPS5882277A (ja) 1981-11-11 1983-05-17 Ricoh Co Ltd 湿式現像装置
JPH11105311A (ja) * 1997-10-08 1999-04-2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KR20030068329A (ko) 2002-02-15 2003-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습식 프린터의 감광드럼 클리닝장치
JP3835549B2 (ja) 2003-03-07 2006-10-18 株式会社ミヤコシ 潜像保持体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9029047A (ja) * 2007-07-27 2009-02-12 Fuji Xerox Co Ltd 清掃装置、液滴吐出装置及び清掃方法
JP4960814B2 (ja) * 2007-09-18 2012-06-2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362286B2 (ja) * 2007-09-20 2013-12-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装置
JP5042797B2 (ja) * 2007-12-13 2012-10-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の清掃方法
JP5037325B2 (ja) * 2007-12-21 2012-09-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中間転写体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4445546B2 (ja) 2007-12-27 2010-04-07 株式会社ミヤコシ 電子写真印刷機の感光ドラムクリーニング装置
US8695502B2 (en) 2009-04-01 2014-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eaning station
US8303102B2 (en) 2009-08-04 2012-11-06 Xerox Corporation Beveled edge doctor blade for drum maintenance
US20120237276A1 (en) * 2011-03-18 2012-09-20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14702B2 (en) * 2011-04-27 2014-05-06 Xerox Corporation Assisted maintenance for printhead faceplate surfa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34621A1 (en) * 2002-01-16 2005-02-17 Mcneil Kevin Benso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act printing with supply of release agent through a porous printing surface
US20070212128A1 (en) * 2006-01-23 2007-09-13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317555A1 (en) * 2008-06-24 2009-12-24 Hisamitsu Hori Liquid application method, liquid applica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002405A (ko) * 2008-06-30 2010-01-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쇄공정에서의 그라비아 롤 세정 장치 및 방법
US20120256979A1 (en) * 2011-04-06 2012-10-11 Xerox Corporation Gel maintenance cycle for a release agent appl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36189A (zh) 2016-09-14
US20160257147A1 (en) 2016-09-08
JP6581916B2 (ja) 2019-09-25
CN105936189B (zh) 2019-02-26
DE102016202427A1 (de) 2016-09-08
KR102286378B1 (ko) 2021-08-04
US9581954B2 (en) 2017-02-28
JP2016159631A (ja)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701B2 (en) Belt cleaning system for laser cutting device
US6511152B2 (en) Inkjet printer with cleaning means
KR102286378B1 (ko)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이미지 수신면의 세척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39295B1 (ko) 인쇄공정에서의 그라비아 롤 세정 장치 및 방법
JP2016159631A5 (ko)
KR101338812B1 (ko) 기판 세정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기판 세정 장치
JP2019134692A (ja) 海苔脱水用スポンジの洗浄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海苔脱水用スポンジの洗浄方法
JP6957840B2 (ja) ヘアラインフィルムの毛羽除去装置および方法
US96369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n image receiving surface in an inkjet printer
JP4485491B2 (ja) メダル清掃装置
CN115191878A (zh) 用于清洁地布的装置
CN110682686A (zh) 头部清洗装置、图像形成装置及其头部清洗方法
US20200201236A1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3778337B2 (ja) ろ布走行型脱水機におけるろ布の洗浄装置
JP2001162774A (ja) 印刷機の自動洗浄方法と該方法に用いる自動洗浄装置
JPS6336283B2 (ko)
WO2011083656A1 (ja) 抄紙装置および製紙装置
JP2020157590A (ja) クリーニング装置、ヘッドクリーニング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形成装置
JP2020175547A (ja) インク吐出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装置、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吐出ヘッドのメンテナンス方法
WO2011109853A1 (en) Printhead wiping system
JPH0682161A (ja) 微細孔を有する板状物の脱液装置、及びその脱液方法
JP2007090612A (ja) プリンタ及び印刷ヘッド装置
JPS6336284B2 (ko)
JPH11333345A (ja) ガムアップ防止装置
JP2001092318A (ja) シートクリー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