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6025A -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6025A
KR20160096025A KR1020160012284A KR20160012284A KR20160096025A KR 20160096025 A KR20160096025 A KR 20160096025A KR 1020160012284 A KR1020160012284 A KR 1020160012284A KR 20160012284 A KR20160012284 A KR 20160012284A KR 20160096025 A KR20160096025 A KR 2016009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ata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4304B1 (ko
Inventor
히토시 다나카
가즈아키 하기와라
유지 구리야마
요시노리 도미도코로
준 호소다
가즈야 나라
도시야 기소
다쿠야 야마다
다이스케 오타니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03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radio transmission, e.g. via satelli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W4/008
    • H04W4/2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76/023
    • H04W76/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5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04N2201/0075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by a user operated remote control device, e.g. receiving instructions from a user via a computer terminal or mobile telephone hand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S)은,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DATA PROCESSING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RECORDED I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撮像) 장치에 의해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에 송신하거나, 휴대 단말기로부터 촬상 장치에 대하여 촬영에 관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거나 하는 경우에, Wi―Fi 통신이나 bluetooth(등록상표) 통신을 이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최근에는, 보다 저소비 전력으로 통신을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의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도록 되었다.
각각의 통신 기술에 있어서는, 통신 속도, 소비 전력, 이용할 때의 편리성 등의 특성이 상이하게 되어 있고, 각각의 특성에 따른 규약(제약)에 따라 통신을 행할 필요가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OS(Operating System)의 관리 하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의 OS에 있어서는,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 시킨 경우라도, CPU나 메모리를 적절히 이용시키기 위해,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는, OS의 규약(제약)에 따라 동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는,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고(또는 규약을 만족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킬 수 없었다. 카메라와 스마트 폰 이외의 기기(機器)의 연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 활용하고(또는 규약을 만족시키고),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態樣)은,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와,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중, 자동 화상 수신 처리 및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은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3의 휴대 단말기 및 서버의 기능적 구성 중,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13은 도 15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 및 서버가 실행하는 화상 공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에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앨범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앨범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8은 자동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카메라 측에서의 앨범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화상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1은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2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3은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중, 페어링(pairing)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도 29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도 29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다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8은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9는 Wi―Fi 설정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0은 Menu 오픈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1은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통신 시스템(S)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촬상/통신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1)와, 적어도 화상 표시/통신 기능을 가지는 정보 단말기인 휴대 단말기(2)를 구비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쪽의 조작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에 대하여, 화상 파일 레벨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 접속의 요구를 행하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 조작 기기의 조작에 따라, 다른 쪽의 기기와의 화상 파일의 송수신이나 다른 쪽의 기기가 유지하는 화상 데이터의 열람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는 것은, 서로 통신하는 상대를 지정하여 소정의 수속(negotiation)을 행함으로써, 서로 통신하는 상대를 인식하고, 그 이후는, 통신을 행할 때마다 소정의 수속을 행하지 않고, 언제라도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다. 이 상태는, 통신 접속을 해제하는 수속을 행할 때까지 유지된다. 또한, 통신 접속이 「확립」된 상태는, 전파 상태가 악화되어 일시적으로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었거나, 기기의 전원이 오프되거나 한 경우라도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2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가능한 상태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시 접속에 적절한 무선 통신 방식(이하, 「제1 통신 방식」이라고 함)과, 고속이며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무선 통신 방식(이하, 「제2 통신 방식」이라고 함)의 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통신 방식은, bluetooth low energy/bluetooth LE(상표)(이하, 「BLE」라고 함)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중 Wi―Fi(Wireless Fidelity)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는,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의 전력 소비가 크기 때문에, 다음에, 데이터 전송을 행할 때까지의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예측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때마다 통신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전력 소비를 저감시킨다. 또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상대측의 기기의 전원을 온하거나, 어플리를 기동시키거나 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전력 소비가 적은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상시 접속하여 두고, 상황에 따라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한 상시 접속은, 외부 연계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의 각각이 통신 접속 가능한 거리 범위 내에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 복수의 기기 중에서 실제로 외부 연계 기능을 이용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조합을 임의로 선택하고, 그 선택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조합을 외부 연계 기능이 해제될 때까지의 사이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복수의 기기 중에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조합을 선택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한 상시 접속을 개시하는 방법(페어링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방식인 BLE에 의해 상시 접속된 상태에 있는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화상 파일을 송신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통신 시스템(S)에 의해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예에서는, 사용자가, 한쪽의 기기로서 촬상 장치(1)를 조작함으로써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을 발휘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지시(접속 지시)를 송신한다.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접속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지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된다.
상세하게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한 접속 지시에 의해,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과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의 확립이 행해진다.
제1 통신 방식은,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주전원이 끊어져 있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상시 접속되어 있고, 주전원이 끊어져 있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에 있는) 쪽의 기기는, 다른 쪽으로부터의 제1 통신 방식을 통한 통신에 의해, 적어도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주전원을 넣는(또는 저소비 전력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과, 제1 통신 방식을 통하여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는 등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의 확립을, 휴대 단말기(2)를 조작하지 않고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할 수 있고,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화상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송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의 발휘에 의해, 일시적으로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보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 측에서의 외부 연계 기능과 휴대 단말기(2) 측에서의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송수신되는 화상 데이터의 활용으로서, 촬상 장치(1)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인터넷 상의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다른 사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기 등으로부터 열람 가능한 상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는, 자동적으로 화상 공유를 행하는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촬영이 행해지면,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휴대 단말기로의 화상의 공유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지시한다. 공유의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 촬상 장치(1)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일시적으로 보존한 후, 카메라 연계 어플리케이션 기능에 의한 지시에 의해 화상 관리 및 네트 액세스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이 발휘되어(상기 기능을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되어), 휴대 단말기(2)의 스토리지에 일시적으로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자기(自己)(화상 관리 및 네트 액세스용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있어서 관리하는 동시에, 화상 데이터를 화상 공유를 목적으로 하여, 미리 연계되어 있는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한다. 클라우드 서버에서는, 미리 연계되어 있는 다른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이용 가능한 상태로 함으로써,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되어 휴대 단말기(2)에 의해 수신한 화상의 공유를 행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는,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장치로서 구성된다.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는, 서로의 장치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인 Wi―Fi로 데이터의 교환(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예를 들면,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휴대 단말기(2)에 화상을 전송하여 휴대 단말기(2)에 화상을 취득시키는 처리나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전송시키는 처리 등의 연계한 처리(이하, 「연계 처리」라고 함)를 실행한다.
또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기 위해, 접속이 유지(상시 접속)되는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통하여, 조작을 행하는 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장치의 제2 통신 방식인 Wi―Fi를 온(ON)하여 통신 접속이 확립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통신 방식인 BLE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 등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장치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상시 접속)된다. 여기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란, 다른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여기서 말하는 전원이 오프 상태란,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 가능하지만,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이나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한 저소비 전력 상태를 포함한다). 따라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는, 다른 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의한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제1 통신 방식인 BLE를 통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여기서, 페어링(pairing)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페어링 처리란, 2대의 BLE 디바이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접속 설정을 행하는 처리이다. 접속 설정 후에, 상기 설정에 기초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가 접속된다. 또한, 페어링 처리에 의해, 접속에 필요한 상대측의 페어링 정보가 각각의 기기[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 기억된다.
본 실시형태의 BLE 방식의 통신에서는, 역할이 상이한 퍼리퍼럴(peripheral)과 센츄럴과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퍼리퍼럴은 촬상 장치(1)이며, 센츄럴은 휴대 단말기(2)이다.
이에 대하여, 퍼리퍼럴은, 자체의 존재를 알리기 위해, 전파를 사용하여 주위에 어드버타이즈(advertise) 신호를 내고(어드버타이즈 신호를 동보 송신하고), 센츄럴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한다.
센츄럴은,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는 퍼리퍼럴이 없는지 주사(走査)하고, 해당하는 퍼리퍼럴을 검출하면, 접속을 요구하고, 데이터의 교환을 시작한다. 그리고, 센츄럴은, 퍼리퍼럴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서비스)를 사용하여 어떠한 태스크(task)를 실행한다.
어드버타이즈 신호에는, 퍼리퍼럴의 이름[디바이스명: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LAN(Wi―Fi)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명인 SSID]나 제공할 수 있는 정보(서비스)를 나타내는 정보(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를 포함할 수 있다.
페어링 처리에 의해 접속 설정이 완료된 후의 BLE의 접속 시(통신 시)에는, 전세계에서 유니크(unique)(유일)의 BD 어드레스[bluetooth(등록상표) Device Address]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송신한다. 이로써, 뜻하지 않은 다른 기기와 접속되는 경우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상 장치(1)는, 예를 들면,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된다.
촬상 장치(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ROM(Read Only Memory)(12)과, RAM(Random Access Memory)(13)과, 버스(14)와, 입출력 인터페이스(15)와, 촬상부(撮像部)(16)와, 입력부(17)와, 출력부(18)와, 기억부(19)와, 제1 통신부(20)와, 제2 통신부(21)와, 드라이브(22)와, 전원부(23)를 구비하고 있다.
CPU(11)는, ROM(12)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또는 기억부(19)로부터 RAM(13)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이 CPU(11), RAM(13), ROM(12)[또는, 기억부(19)]는, 제어부를 구성한다.
RAM(13)에는, CPU(11)가 각종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데이터 등도 적절히 기억된다.
CPU(11), ROM(12) 및 RAM(13)은, 버스(14)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 버스(1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5)도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에는, 촬상부(16), 입력부(17), 출력부(18), 기억부(19), 제1 통신부(20), 제2 통신부(21), 드라이브(22) 및 전원부(23)가 접속되어 있다.
촬상부(16)는, 도시하지 않지만, 광학 렌즈부와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렌즈부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광을 집광하는 렌즈, 예를 들면, 포커스 렌즈나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된다.
포커스 렌즈는, 이미지 센서의 수광면에 피사체상을 결상(結像)시키는 렌즈이다. 줌 렌즈는, 초점 거리를 일정한 범위에서 자유롭게 변화시키는 렌즈이다.
광학 렌즈부에는 또한, 필요에 따라, 초점, 노출, 화이트 밸런스 등의 설정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주변 회로가 설치된다.
이미지 센서는, 광전 변환 소자나, AFE(Analog Front End)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는, 예를 들면,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의 광전 변환 소자 등으로 구성된다. 광전 변환 소자에는, 광학 렌즈부로부터 피사체상이 입사된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촬상)하여 화상 신호를 일정 시간 축적하고, 축적된 화상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서 AFE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AFE는, 이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A/D(Analog/Digital) 변환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각종 신호 처리에 의해, 디지털 신호가 생성되고,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와 같은 촬상부(16)의 출력 신호를, 이하, 「촬영 화상의 데이터」라고도 한다. 촬영 화상의 데이터는, CPU(11)나 도시하지 않은 화상 처리부 등에 적절히 공급된다.
입력부(17)는, 각종 버튼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지시 조작에 따라 각종 정보를 입력한다.
출력부(18)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며, 화상이나 음성을 출력한다.
기억부(19)는, 하드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며, 각종 화상의 데이터를 기억한다.
제1 통신부(20)는,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시 접속에 적절한 제1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통신 방식은, BLE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제2 통신부(21)는, 고속이며 파일의 송수신에 적절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외부 장치[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행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통신 방식은, 무선 LAN 중 Wi―Fi의 통신 규격에 따른 통신 방식을 이용한다.
드라이브(22)에는, 자기(磁氣)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착탈 가능 매체(removable medium)(31)가 적절히 장착된다. 드라이브(22)에 의해 착탈 가능 매체(31)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기억부(19)에 인스톨된다. 또한, 착탈 가능 매체(31)는,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의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도, 기억부(19)와 마찬가지로 기억할 수 있다.
전원부(23)는, 예를 들면,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의해 구성되며, 전원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촬상 장치(1)에 구동용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공급원이며, 촬상 장치(1)의 구동원으로서의 전류를 촬상 장치(1)의 각각의 구성에 공급한다. 전원부(23)는, CPU(11)에 의해 제어되고, 예를 들면,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 출력부(18) 등으로의 전원의 공급을 정지하여 표시 출력을 오프하여, 제1 통신부(20)나 제2 통신부(21) 등의 통신에서의 전원의 공급을 유지하여, 전원 오프 상태에 있어서도 화상 송신을 가능하게 제어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예를 들면, 스마트 폰으로서 구성된다.
그리고,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1)와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이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하드웨어를 설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1)에는, 부호의 말미에 「―1」을 부가하는 것으로 하고, 휴대 단말기(2)에는 부호의 말미에 「―2」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즉, 촬상 장치(1)는, CPU(11―1)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1)로 표기하는 것으로 하고, 휴대 단말기(2)는, CPU(11―2)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2)로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의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BLE로 통신 접속이 확립된 상태(상시 접속 상태)에서 행해진다. 즉,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BLE로 접속이 되어 있는 것이 전제로 되어 촬영 화상의 자동 송신 기능이 발휘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 장치(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도록 지시(접속 지시)를 발하여,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에서는, Wi―Fi에 있어서 메인 장치(親機)로 되도록 액세스 포인트(AP) 모드로 하고, 휴대 단말기(2)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있어서 서브 장치(子機)로 되도록 스테이션(ST) 모드로 하여,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1 대 1의 직접 통신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그리고, 1번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페어링한 경우, 상기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각 기기에 의해 유지한다. 근거리 통신을 행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파의 도달하는 범위에 있는 기기를 탐색하고, 그 중에서 유지하는 페어링 정보에 기초하여, 패스워드 등의 입력을 행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통신 접속을 확립시키는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페어링 조작에 관하여는, 먼저, 주위에 있는 접속 가능한 장치(BLE/Wi―Fi가 기동 상태의 장치)가 모두 기기명 등으로 표시되고, 그 중에서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장치를 사용자가 지정함으로써 행한다.
도 4는, 이와 같은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기능적 구성 중, 자동 화상 수신 처리 및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먼저, 자동 화상 수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화상 수신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촬상부(16)로부터 촬영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촬영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는 자동으로 화상을 수신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하, 단지 「어플리케이션」라고 함)을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나 장치에 있어서의 「기동」이란, 새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외에, 휴지중(烋止中)(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재개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한 전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이행을 수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의 수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
스텝 S1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촬영 처리가 실행되었을 때, 자동 화상 전송 모드가 설정되어 있었을 경우, 스텝 S1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어플리가 기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1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이하, 「카메라 AP 정보」라고 함)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스텝 S1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115―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8―1로 진행한다. 스텝 S118―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5―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116―1로 진행한다.
스텝 S1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timed out)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6―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5―1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6―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7―1로 진행한다.
스텝 S1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1―1로 돌아온다.
스텝 S1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영한 촬상 화상을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결과, Wi―Fi로 촬영한 촬상 화상이 송신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
스텝 S1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1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4―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7―2로 진행한다. 스텝 S117―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14―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5―2로 진행한다.
스텝 S1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4―2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6―2로 진행한다.
스텝 S116―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1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111―2로 돌아온다.
스텝 S1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접속 요구)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수신한 화상은,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송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모드 동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드 동작 처리」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REC 모드/PLAY 모드의 각종 모드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촬상 장치(1)에 실행시키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촬영 제어부(51)는, REC 모드용으로,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스루 화상이 출력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도 6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모드 동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모드 동작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
스텝 S211―1에 있어서, CPU(11)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기동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를 기동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2)로부터 기동 시의 모드 지정이 있었을 경우에는, 그 지정된 모드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S2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카메라 AP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수신한 카메라 AP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스텝 S2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2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214―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217―1로 진행한다. 스텝 S217―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4―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215―1로 진행한다.
스텝 S2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5―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4―1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5―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6―1로 진행한다.
스텝 S2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11―1로 돌아온다.
스텝 S217―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 및 통신 제어부(52)는, 스텝 S211―1에서 지정된 모드, 또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새롭게 지정된 모드로 동작한다. 즉, 지정된 모드가 REC 모드로서, 스루 화상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촬영 제어부(51)는,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하여,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취득한 스루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순차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지정된 모드가 PLAY 모드로서, 화상의 일람[썸네일(thumbnail) 화상]의 송신 요구가 있었을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
스텝 S2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에 대한 조작 등으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드를 지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모드의 지정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2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대하여,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촬상 장치(1)의 기동 시의 모드를 지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드를 지정하는 정보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through image)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지정할 수 있다.
스텝 S2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2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2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8―2로 진행한다. 스텝 S218―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2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6―2로 진행한다.
스텝 S2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5―2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2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217―2로 진행한다.
스텝 S217―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2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211―2로 돌아온다.
스텝 S2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접속 요구)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219―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사용자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모드를 확인한다.
지정된 모드가 REC인 경우에는, 스텝 S219―2에 있어서 [REC]로 되고, 처리는 스텝 S220―2로 진행한다.
스텝 S2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REC 모드로의 전환, 및 스루 화상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이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순차 송신되어 오는 스루 화상을 순차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순차 취득한 스루 화상을 순차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가 촬영하고 있는 스루 화상을 열람하면서 촬영 지시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 등에 의해 지정된 모드가 PLAY인 경우에는, 스텝 S219―2에 있어서 [PLAY]로 되고, 처리는 스텝 S221―2로 진행한다.
스텝 S2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PLAY 모드로의 전환, 및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의 송신 요구를 행하고, 이 요구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의 일람(썸네일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열람하면서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하는 화상의 선택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도 7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처리의 실행과 함께 순차 변화하는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 상태의 천이(遷移)를 나타내는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에서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의 스테이터스 표시는, 도 7의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마다 표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도 되어 있지 않고, 접속도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무><접속: 무>)에는, 스테이터스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지만,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무>)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파선(破線) 또는 반투과 상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고, 접속도 되어 있는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유>)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촬상 장치(1)는, 제2 통신부(21―1)와, 통신 제어부(52)와, 제1 통신부(20―1)와, 통신 제어부(52)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통신부(20―1)는,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여,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통신부(20―1)는, 제2 통신부(21―1)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제1 통신부(20―1)는, 제2 통신부(21―1)에 의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21―1)밤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보다 저소비 전력 상태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유지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신부(20―1)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기기 중, 어느 한쪽의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부(21―1)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의 일부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각종 상태로부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를 행할 수 있었던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 중 어느 쪽이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 또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양쪽을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기기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양쪽의 기기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20―1)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상기 촬상 장치(1)가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20―1)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1)를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제2 무선 통신에 의한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양쪽의 기기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정의 연계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어하는 제1 연계 처리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촬상 장치(1)를 제어하는 제2 연계 처리를 포함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연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제2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1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2 연계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조작에 따라 제2 무선 통신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촬상 장치(1)를 제2 연계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촬상 장치(1)로부터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제어하여 제1 연계 처리를 행하거나,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촬상 장치(1)를 제어하여 제2 연계 처리를 행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통신 제어부(52)는, 입력부(17) 등에 의한 사용자 조작을 통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이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21―1)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한다.
이로써, 특정한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를 지정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촬상 장치(1)와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의 한쪽은, 촬상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1)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2)이다.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21―1)에 의해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한다.
이로써,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연계시켜,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연계 처리와,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연계 처리를 포함한다.
이로써, 촬상 장치(1)의 조작에 따라 표시 단말기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서로 연계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현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포함한다.
촬상 장치(1)는, 제2 통신부(21―1)와, 통신 제어부(52)와, 제1 통신부(20―1)와, 통신 제어부(52)를 구비한다.
통신 제어부(52)는,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21―1)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한다.
제1 통신부(20―1)는,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인 휴대 단말기(2)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제1 통신부(20―1)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로부터 실행할 수 있는 상태로 이행하여,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소정의 연계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소정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broken) 상태에서, 제1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유지하고, 제1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제2 무선 통신으로서의 제2 통신 방식을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 상태로부터 접속한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조작을 행하지 않고 접속을 행할 수 있어,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는, 상호의 통신 상대로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는 관련 짓기 정보(association information)를 서로 기억하는 관련 짓기 수단으로 되는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으로 되는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에 의해 기억된 관련 짓기 정보에 따라,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단절된 상태로부터 접속한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관련 짓기 정보인 페어링에 관한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관련 짓기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신 제어부(52)에 의한 상호의 통신 상대로서 제1 기기로서의 촬상 장치(1)와 제2 기기로서의 휴대 단말기(2)를 관련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관련 짓기 수단인 통신 제어부(52)/통신 제어부(92)는, 기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관련 짓기의 후보로 되는 상대편의 기기명을 출력부(18)에 표시하여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스마트 폰 등의 정보 처리 장치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있어서는,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무선 통신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경우, 처음에, 이들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그 후에 소정의 원격 조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는, 이와 같은 기술의 일례로서, 카메라 조작 단말기에 의해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촬상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 참조).
그러나, 촬상 장치를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원격 조작하는 경우, 원격 조작을 행할 때마다, 이들 장치의 전원을 온으로 한 후, 무선 통신 접속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도록 각각의 장치의 역할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데 더하여,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기능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된 기능을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므로, 원격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로서는, 편리성이 높은 것이 아니었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통신을 통한 복수의 장치에 있어서의 연계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통신 시스템의 다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통신 시스템(S)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낸 시스템 구성을 전제로 하고 있고, 적어도 촬상/통신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1)와, 적어도 화상 표시/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2)와, 서버(3)를 구비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서버(3)에 전송하여, 공유용으로 화상을 보존하고, 상기 보존된 화상의 어드레스 등의 공유 정보를 공유 설정된 다른 휴대 단말기(100, 100, 100 …)에 송신한다. 다른 휴대 단말기(100)는, 수신한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서버(3)에 액세스하여 화상을 열람 등한다.
통신 시스템(S)에서는,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한쪽의 기기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하고 있는 쪽의 조작 기기로부터 다른 쪽의 기기에 대하여, 화상 파일 레벨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 접속의 요구를 행하고,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을 확립한 상태에서, 조작 기기의 조작에 따라, 다른 쪽의 기기와의 화상 파일의 송수신이나 다른 쪽의 기기가 유지하는 화상 데이터의 열람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서버(3)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N)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2)와 화상의 데이터를 교환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네트워크 상에 화상을 공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의 구성에 대해서는, 촬상 장치(1)와 촬상부(16) 및 제1 통신부(20)를 제외하고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서버(3)에서의 하드웨어를 설명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호의 말미에 「―3」을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즉, 서버(3)는, CPU(11―3) 내지 착탈 가능 매체(31―3)라고 표기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촬상 장치와 복수의 휴대 단말기 중에서 자동 화상 전송 처리의 대상이 되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하고, 이 지정된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를 페어링하는 처리를 행한다.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에 의한 촬상 장치(1)나 휴대 단말기(2)의 모드 설정 조작이나, 사용자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쪽을 조작하는지에 따라서, 연계 동작을 행할 것인지의 가부나, 자동 화상 전송 처리와 원격 조작 처리 중 어느 것을 실행할 것인지가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촬상 장치(1)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촬영이 지시되었을 때,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통상의 촬영 기록을 행하지만,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자동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계 동작이 지시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원격 조작 처리를 개시한다.
다음에, 자동 화상 전송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 화상 전송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촬상부(16)로부터 촬영 화상을 취득한 경우에,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촬영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고,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는 자동으로 화상을 수신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촬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단지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라고 함)을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그리고, 어플리나 장치에 있어서의 「기동」이란, 새롭게 어플리를 실행하는 경우 외에, 휴지중(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의 어플리의 실행을 재개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또한 전원을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의 이행을 수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의 수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도 9는,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자동 화상 수신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용이하게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전송 처리>
스텝 S3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 처리를 실행하도록 촬상부(16)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로부터 촬상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된 촬상 화상은,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된다.
스텝 S3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어플리가 기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3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이하, 「카메라 AP 정보」라고 함)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스텝 S3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3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기다려 접속을 확립한다].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315―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318―1로 진행한다. 스텝 S318―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5―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316―1로 진행한다.
스텝 S3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6―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5―1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16―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7―1로 진행한다.
스텝 S317―1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이 때, 바로 Wi―Fi를 오프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반복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11―1로 돌아온다.
스텝 S3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접속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촬영한 촬상 화상을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결과, Wi―Fi로 촬영한 촬상 화상이 송신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화상 수신 처리>
스텝 S3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통신 제어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3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3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수신한 카메라 AP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3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또는 이미 촬상 장치(1)와의 접속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14―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7―2로 진행한다. 스텝 S317―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314―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5―2로 진행한다.
스텝 S3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4―2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3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316―2로 진행한다.
스텝 S316―2에 있어서, 에러 메시지 등을 표시하고,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3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이 때, 바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 Wi―Fi를 오프하지 않고,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재접속을 시도하거나 일정 시간 동안은 자동적으로 반복 재접속을 시도하도록 해도 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11―2로 돌아온다.
스텝 S3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한다].
스텝 S3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수신한 화상은,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자동 송수신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원격 조작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원격 조작 처리」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연계 동작이 지시받아 REC 모드/PLAY 모드 등의 각종 연계 동작 모드가 선택되면,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하여, 선택된 연계 동작 모드에 대응한 동작을 촬상 장치(1)에 실행시키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장치(1) 측에 있어서 모드 동작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와, 통신 제어부(5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7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71)에는, 촬상부(16―1)로부터 취득한 촬영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촬영 제어부(51)는, REC 모드용으로,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촬상부(16―1)로부터 스루 화상이 출력된다.
통신 제어부(5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5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1)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자동 화상 수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와, 통신 제어부(9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동과 종료 등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예를 들면,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1 통신부(20―2)에 있어서 어플리를 기동하는 지시를 수신하면, 지정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Wi―Fi에서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어플리를 기동하여, 통신 제어 기능을 발휘하게 한다.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제2 통신 방식)인 BLE(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휴대 단말기(2)에 대한 지시나 데이터 통신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예를 들면, REC 모드 시에는, 촬상부(16―1)로부터 된 스루 화상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92)는, PLAY 모드 시에는,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도 10은, 도 4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원격 조작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모드 동작 처리의 개시 상태에서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의 페어링이 완료되어 있고, 상시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통신 방식인 Wi―Fi에 대해서는, 오프 상태이지만,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서로 Wi―Fi의 설정(프로파일)을 취득하고 있고, Wi―Fi의 기동 시에는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의 사이에서 1 대 1로의 통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촬상 장치(1) 측의 원격 조작 처리>
스텝 S411―1에 있어서, 촬상 장치(1)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통한 요구에 따라 기동하는 동시에, 휴대 단말기(2)로부터 지정된 연계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계 동작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S4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에 대하여,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카메라 AP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휴대 단말기(2)에서는, 휴대 단말기(2)가 서브 장치로 되는 ST(스테이션) 모드로 Wi―Fi가 온된다.
스텝 S4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메인 장치로 되는 AP(액세스 포인트)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4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제2 통신부(21―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한 경우에는, 스텝 S414―1에 있어서 YES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417―1로 진행한다. 스텝 S417―1의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4―1에 있어서 NO인 것으로 판정하고, 처리는 스텝 S415―1로 진행한다.
스텝 S4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5―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4―1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5―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6―1로 진행한다.
스텝 S4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Wi―Fi를 오프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11―1로 돌아온다.
스텝 S417―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 및 통신 제어부(52)는, 스텝 S411―1에서 지정된 모드로 동작한다. 즉, 지정된 모드가 REC 모드의 경우에는, 촬영 제어부(51)는, 스루 화상을 촬영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하여,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취득한 스루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또한, 지정된 모드가 PLAY 모드의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11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2) 측의 원격 조작 처리>
스텝 S4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에 대한 조작 등으로, 어플리를 기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드를 지정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어플리가 기동되어, 모드의 지정 기능이 발휘된다.
스텝 S412―2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부(17)를 조작하여 REC 모드와 PLAY 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연계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하면,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통하여, 촬상 장치(1)에 대하여, 기동 및 선택된 연계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지시를 행하기 위한 지시 정보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계 동작 모드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로부터의 스루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을 행하는 REC 모드와,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 일람을 열람하는 PLAY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연계 동작 모드가 설정된다.
스텝 S4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제1 통신 방식인 BLE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카메라 AP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ST 모드로 Wi―Fi를 온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4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를 검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4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5―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8―2로 진행한다. 스텝 S418―2 이후의 처리는 후술한다.
이에 대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촬상 장치(1)가 발견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415―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6―2로 진행한다.
스텝 S4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 시간 단절로 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시간 단절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4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5―2로 돌아온다.
시간 단절로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4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417―2로 진행한다.
스텝 S417―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스텝 S411―2에서 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함으로써, 제2 통신부(21―2)에서의 Wi―Fi 통신 기능이 오프된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411―2로 돌아온다.
스텝 S418―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액세스 포인트(AP)의 촬상 장치(1)에 접속하고, 접속한 취지를 촬상 장치(1)에 통지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419―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지정한 연계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
지정한 연계 동작 모드가 REC인 경우에는, 스텝 S419―2에 있어서 [REC]로 되고, 처리는 스텝 S420―2로 진행한다.
스텝 S4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스루 화상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스루 화상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가 촬영하고 있는 스루 화상을 열람하면서 촬영 지시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지정한 모드가 PLAY인 경우에는, 스텝 S419―2에 있어서 [PLAY]로 되고, 처리는 스텝 S421―2로 진행한다.
스텝 S4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제2 통신 방식인 Wi―Fi에서의 통신을 행하고, 화상 기억부(7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취득한다. 그리고, 출력부(18―2)에 있어서 취득한 화상의 일람을 표시하게 한다. 사용자는, 촬상 장치(1)에 기억되는 화상의 일람을 열람하면서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하는 화상의 선택 등의 조작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모드 동작 처리는 종료한다.
다음에, 전파 상태나 기기의 전원 상태의 변화, 또는 연계 준비 처리(페어링 처리), 자동 화상 전송 처리 및 원격 조작 처리의 실행의 전후에서 변화하는 통신 스테이터스를 나타내는 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 스테이터스의 표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에서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에서의 통신의 스테이터스 표시는, 도 11의 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터스마다 표시를 변화시키도록 구성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도 되어 있지 않고, 접속도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무><접속: 무>)에는, 스테이터스 표시는 행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지만, 접속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무>)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파선(波線) 또는 반투과 상태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스테이터스에 있어서 페어링이 되어 있고, 접속도 되어 있는 경우(<페어링: 완료><접속: 유>)에는, 제1 통신 방식 및 제2 통신 방식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 및 서버(3)의 기능적 구성 중,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화상 공유 처리」란,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상된 화상을,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서버(3)에 송신하고,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 상기 화상을 열람 가능한 상태로 하여 화상을 공유하는 처리이다.
휴대 단말기(2) 측에 있어서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1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11)에는, 촬상 장치(1)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통신 제어부(92)는, 제2 통신부(21―2)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대하여, 화상이나 클라우드 앨범 작성이나 공유처 설정을 행하는 지시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관리 제어하고, 촬상 장치(1)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11)에 설치한 어플리 앨범에 기억시키거나 한다.
이에 대하여, 서버(3) 측에 있어서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와, 통신 제어부(132)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3의 한 영역에는, 화상 기억부(151)가 설정된다.
화상 기억부(151)에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취득한 화상의 데이터가 기억된다.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각종 어플리케이션 동작을 관리 제어하고,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을 작성하거나, 예를 들면, 공유처으로 되는 다른 휴대 단말기(100)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공유 설정을 행하거나, 휴대 단말기(2)로부터 수신한 화상을 작성한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키거나 한다.
통신 제어부(132)는, 제2 통신부(21―3)에서의 통신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92)는,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공유 설정에 기초하여, 등록한 메일 어드레스에 공유하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공유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3)를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 통지에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URL이 기재된다. 공유 통지를 받은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통지에 기재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을 열람 등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서버(3)를 통한 다른 휴대 단말기(100)와의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한 후에, 서버(3)를 통한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도 16의 플로우를 실행한다.
도 13은, 도 12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 및 서버(3)가 실행하는 화상 공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본 플로우차트는, 서버(3)를 통한 다른 휴대 단말기(100)와의 화상 공유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실행되고,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한 후에, 휴대 단말기(2)와 서버(3)와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처리이다.
<휴대 단말기(2) 측의 화상 공유 처리>
스텝 S5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대하여, 클라우드 앨범 작성의 지시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이 작성된다.
스텝 S5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공유처 설정[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처의 다른 휴대 단말기(100)의 메일 어드레스의 등록]의 지시를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공유처 설정이 행해진다.
스텝 S513―1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2)는, Wi―fi 통신으로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한다.
스텝 S514―1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함으로써, 화상 기억부(111)의 어플리케이션 앨범에 서버(3)에 대한 송신용의 화상을 기억시킨다. 그리고, 촬상 장치(1)에서는, 「송신시 리사이즈(resize when sending)」설정에 기초한 사이즈의 화상이 송신된다.
스텝 S5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에 화상을 송신한다. 이것을 받아 서버(3)에서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킨다.
<서버(3) 측의 화상 공유 처리>
스텝 S511―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클라우드 앨범 작성의 지시를 수신한다.
스텝 S5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화상 기억부(151)에 클라우드 앨범을 작성한다.
스텝 S513―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공유 설정의 지시를 수신한다.
스텝 S514―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공유 설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유처의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한다.
스텝 S515―2에 있어서, 제2 통신부(21―3)는, 휴대 단말기(2)로부터 공유용의 화상을 수신한다.
스텝 S516―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의 클라우드 앨범에 기억시킨다.
스텝 S5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공유 설정에 기초하여, 등록한 메일 어드레스에 공유하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공유 통지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공유 통지에는, 화상의 소재를 기재한 URL이 기재된다. 공유 통지를 받은 다른 휴대 단말기(100)에서는, 통지에 기재된 URL에 액세스함으로써 화상을 열람 등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통신 스텝 T에 있어서는, 카메라[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스마트 폰[휴대 단말기(2)]에 화상이 전송되고, 또한 클라우드 앨범에 화상이 보내져 자동으로 공유 상대에게 통지가 가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부터,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촬영 화상을 자동으로 전송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스마트 폰에 보존되는 것만으로, 그 앞의 공유까지 행하는 기술은 없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스텝 T에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수순에 따라 BLE로 페어링한다.
○ 페어링을 행할 때,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는 스마트 폰의 OS를 판별하여, 카메라에 그 정보를 보낸다.
○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스마트 폰에 기억시켜 두고, 스마트 폰으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자동으로 Wi―Fi 접속 가능하도록 하여 둔다.
○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하는 앨범을 작성하여 둔다.
○ 공유하는 앨범에 공유 상대를 설정하여 둔다.
○ 스마트 폰 어플리로, 카메라로부터 화상을 수신하였으면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하도록 설정하여 둔다.
○ 카메라로 촬영을 하면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여, 스마트 폰에 대하여 카메라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도록 BLE로 지시를 내린다. 이 때,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에 강제적으로 전환할 것인지의 가부의 판단을 한다.
○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BLE로 지시를 내려 클라우드 앨범의 어플리케이션도 기동한다.
○ 카메라가, 스마트 폰으로부터 Wi―Fi의 접속이 확인되었으면 촬영 화상을 스마트 폰에 전송한다. 이 때의 사이즈는 카메라의 「송신시 리사이즈」설정에 따른다.
○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는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을 수신하면, 스마트 폰의 지정된 장소에 화상을 보존하여, 클라우드 앨범에 화상을 전송한다. 스마트 폰의 OS 판별 결과에 따라, 카메라 화상 수신 어플리케이션와 클라우드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화상의 교환 방법을 바꾼다.
○ 클라우드 앨범측은 화상이 도달하면 앨범에 화상이 등록된 것을 공유자에게 통지를 낸다.
○ 통지를 받은 공유자는 그 통지를 조작함으로써, 클라우드 앨범에 액세스하여 화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의 통신 스텝 T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자동으로 촬영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
○ 스마트 폰이 자동으로 수신한 화상을, 스마트 폰을 조작하지 않고 클라우드 앨범에 공유할 수 있다.
○ 스마트 폰의 OS의 차이를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는다.
<BLE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연계 처리>
BLE에 의한 어플리케이션 연계 처리는, 도 9 및 도 13에 언급하고 있지 않은 부분이며, 도 9나 도 13 등의 처리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의 전제로 되는 OS의 제약이나, 그 제약에 관한 처리이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통지 기능을 사용하고, 복수의 어플리 사이에서 연계 동작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부터, 특정한 OS(예를 들면, iOS)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어플리에서의 연계 동작의 구성인 「URL 스킴(scheme)」은, 포어그라운드(foreground; 맨 앞면)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로부터만 사용할 수 있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어,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케이션이 「URL 스킴」을 사용하여 다른 어플리와 연계할 수 없다. 한편, BLE의 기능은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인 어플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이 동작시킨다.
· 카메라에 어플리 기동의 요구와 통지를 행하는 BLE 프로파일을 설치한다.
· 주도권을 가지는 어플리(어플리 A)가 카메라와 BLE를 접속(페어링)하고, BLE의 접속 정보를 별도인 어플리(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A와 어플리 B에 의해 BLE의 접속을 공용한다.
· 어플리 B는 BLE 접속 정보로부터 어플리 기동 통지를 취득 가능하도록 준비하여 대기한다.
· 어플리 A는 어플리 기동 요구를 실행하고, 카메라는 그것을 받아 어플리 B의 어플리 기동을 통지하고, 그것을 받은 어플리 B가 동작을 개시한다.
· 어플리 A가 카메라와의 페어링을 해제했을 때 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B는 BLE 통지의 대기를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iOS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어플리에 있어서, 백그라운드에서 동작 중이라도 연계 동작이 가능하다. 또한, 페어링을 해제한 후에 불필요하게 BLE의 통지를 대기하지 않는다.
다음에,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구성도이다.
어플리 A는, 카메라로부터 자동 송신된 화상을 보존한다.
어플리 B는, 어플리 A가 보존한 화상을 어플리 B 관리의 앨범에 등록한다는 연계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촬상 장치(1)는, BLE에서의 퍼리퍼럴이며, 어플리케이션 연계용의 BLE 프로파일을 탑재한다.
특정한 OS로 동작하는 휴대 단말기(2)는, BLE에서의 센츄럴이며, 어플리 A와 어플리 B와 BLE 접속을 공용한다.
촬상 장치(1)와 iOS 디바이스는 BLE로 접속되고, BLE 프로파일의 정보가 전달된다.
다음에,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의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서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어플리 A가 카메라와 페어링하고, 어플리 B에 BLE 접속 정보를 URL 스킴으로 통지한다. 어플리 A는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URL 스킴을 사용할 수 있다.
어플리 B는 BLE 접속 정보로부터 어플리 기동 통지[어플리 B 기동 통지 캐릭터리스틱(characteristic)의 통지]를 취득 가능하도록 준비해 BLE 통지의 대기를 개시한다.
OS를 슬립시키면, 어플리 A는 백그라운드 동작이 된다.
어플리 A가 백그라운드 동작인 채 카메라로부터 자동 송신 화상을 수신하여 보존하고, 카메라에 대하여 어플리 B의 기동 요구를 행하여(어플리 B 기동 요구 캐릭터리스틱에 데이터를 기입함), 카메라는 그것을 접수 어플리 B 기동 통지 캐릭터리스틱에 의한 통지를 행하고, 그것을 대기하고 있는 어플리 B가 기동하고, 화상을 어플리 B 관리의 앨범에 등록한다.
어플리 A가 카메라와의 페어링을 해제하면 URL 스킴으로 어플리 B에 통지하고, 어플리 B는 BLE 통지의 대기를 종료한다.
<촬상 장치측 처리>
촬상 장치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촬상 장치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 개시 후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어플리 A와)의 사이에서는, BLE 통신 및 Wi―Fi 통신의 페어링(접속)이 확립되도록 동작한다.
스텝 S6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을 행하도록 촬상부(16―1)를 제어하고, 통신 제어부(52)는, 촬상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A로부터 어플리 B의 기동 요구가 BLE 경유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통신 제어부(52)는,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B에 대하여, 기동 통지를 BLE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B가 기동하고, 송신한 화상이 앨범에 등록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와의 페어링(접속)이 해제되어, 촬상 장치측 처리는, 종료한다.
<어플리 A 측 처리>
어플리 A 및 어플리 B에서의 휴대 단말기(2) 측의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 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 개시 후에,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는,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 A에 의해 BLE 통신 및 Wi―Fi 통신의 페어링(접속)이 확립되도록 동작한다. 페어링이 확립된 경우에는, 어플리 A는, 어플리 B에 대하여, BLE의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스텝 S61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OS 슬립에 의해 어플리 A는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스텝 S6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한 경우에, 어플리 A에 의해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통신 제어부(92)는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 하에서 어플리 A에 의해, 어플리 B에 대하여, 기동 요구를 BLE 경유하여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스텝 S613―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포어그라운드에서 어플리 A를 동작시켜, 페어링 해제 조작을 한다. 그 결과, 촬상 장치(1)와의 페어링(접속)이 해제되고, 페어링 해제 통지를 어플리 B에 제공하여, 어플리 A 측 처리는, 종료한다.
<어플리 B 측 처리>
스텝 S61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어플리 A로부터 제공된 BLE 접속 정보를 받아, 어플리 B에 있어서 BLE 통지 대기를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612―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OS 슬립에 의해 어플리 B는 백그라운드 동작으로 되도록 제어한다.
스텝 S613―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촬상 장치(1)로부터의 어플리 기동 요구에 의해 포어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제어부(132)는, 화상 기억부(151)에 기억된 화상을, 클라우드 서버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클라우드 서버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화상을 기억시켜 앨범 등록을 행한다.
스텝 S614―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어플리 A로부터의 페어링 해제 통지를 받아, 어플리 B에 있어서, BLE 통지 대기를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어플리 B 측 처리는 종료한다.
<변형예>
본 예는,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스텝 S318―2에 있어서 화상을 수신하고 나서, 도 13의 화상 공유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의 다른 예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연계하는 어플리는 2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촬상 장치(1)는 아니고 별도인 기기에 어플리케이션 연계용의 BLE 프로파일을 실장해도 된다.
<자동 화상 송신 카메라에서의 앨범 등록 처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자동 화상 송신 카메라에서의 앨범 등록 기능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자동 송신 대응 카메라에 있어서, 사전에 앨범 설정을 하여 둠으로써, 자동적으로 화상을 전송하는 동시에, 네트 상의 앨범에 등록하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부터, 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종래, 무선 접속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에 화상을 송신한 후,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SNS에 등록하거나, 네트 상의 앨범 서비스에 등록하거나 해야 했다. 많은 화상을 앨범 공유하는 것은, 매우 수고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어, 특히, 이번 자동 송신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에 있어서는 많은 화상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에 맞춘 기능이 요구되고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
1. 사전에 어플리로 앨범을 선택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어플리로 앨범을 선택하고, 카메라에 대응한 모바일 단말기 측의 전송 어플리에 있어서, 카메라로 자동 송신한 화상을, 앨범에 등록하는지의 가부의 선택과 어느 앨범에 등록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도 16은,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앨범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처리의 동작으로서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전에 「앨범을 쉐어한다」를 ON으로 하여 둔 다음, 카메라를 사용하여 자동 송신하면, 이 설정에 따라 앨범에 등록된다. 그리고, 도 17은, 앨범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며, 도 18은, 자동 송신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앨범 설정 처리>
앨범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앨범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7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에 앨범 서비스 인증을 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7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와의 인증 제어의 결과, 인증을 OK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인증 OK한 경우에는, 스텝 S71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714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 OK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71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713로 진행한다.
스텝 S713에 있어서, CPU(11―2)는, 인증 NG이므로, 에러 표시하도록 출력부(18―1)를 제어한다.
스텝 S7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715에 있어서, CPU(11―2)는,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표시하도록 출력부(18―2)를 제어한다.
스텝 S716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부(17―2)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에 있어서 앨범을 선택하는 조작이 되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쉐어하는 앨범을 선택한다. 그 후, 앨범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자동 송신 처리>
그리고, 본 자동 송신 처리는, 도 9의 자동 전송 처리의 다른 예이다.
자동 송신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자동 송신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8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81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수신한 화상을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다.
스텝 S813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131)는, 앨범 쉐어 설정 ON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앨범 쉐어 설정을 ON한 경우에는, 스텝 S813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814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 ON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813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종료한다.
스텝 S8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 화상을 서버(3)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앨범 등록을 행한다. 그 후, 자동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2. 사전에 카메라로 앨범을 선택
1의 동작에서는, 어플리 측에서 앨범을 선택하는 내용이었지만, 어플리 측에서 취득한 앨범 정보를, 카메라에 통지하고, 카메라 측에서 앨범을 선택할 수도 있다.
카메라는 촬영 전에 사전에 앨범 설정을 행한다. 통신(BLE라도 Wi―Fi라도 됨)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에 의해 앨범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카메라에 통지함으로써, 그 앨범 정보를 카메라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카메라의 화면을 볼 때, 앨범을 선택하여 두고, 또한 앨범으로 쉐어할 것인지의 가부를 설정한다.
자동 송신에 있어서는, 촬영 화상에 선택한 앨범 ID를 부가하여, 모바일 단말기에 송신한다. 단말기 측에 있어서는, 수취한 화상의 앨범 ID에 따라, 앨범에 등록을 행한다.
그리고, 도 19는, 카메라 측에서의 앨범 선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며, 도 20은, 화상 등록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촬상 장치측 앨범 설정 처리>
촬상 장치(1) 측의 앨범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앨범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9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를 제어한다.
스텝 S912―1에 있어서, CPU(11―1)는,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표시하도록 출력부(18―1)를 제어한다.
스텝 S913―1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입력부(17―1)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에 있어서 앨범을 선택하는 조작이 되어,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쉐어하는 앨범을 선택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앨범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 측 앨범 일람 취득 처리>
또한,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9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에 앨범 서비스 인증을 행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912―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와의 인증 제어의 결과, 인증을 OK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인증 OK한 경우에는, 스텝 S912―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913―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인증 OK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912―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9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서버(3)로부터 앨범 일람을 취득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9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32)는, 촬상 장치(1)에 대하여, 서버(3)로부터 취득한 앨범 일람을 통지하는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일람 취득 처리는 종료한다.
<촬상 장치측 자동 송신 처리>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송신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자동 송신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011―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촬영을 행하도록 촬상부(16―1―1)을 제어한다.
스텝 S1012―1에 있어서, 촬영 제어부(51)는, 화상 기억부(71)에 촬영한 화상을 보존한다.
스텝 S10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앨범 쉐어 설정이 ON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앨범 쉐어 설정이 ON인 경우에는, 스텝 S1013―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4―1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앨범 쉐어 설정이 ON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013―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5―1로 진행한다.
스텝 S10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쉐어용으로 송신 대상이 되는 화상에 앨범 ID를 부가한다.
스텝 S10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52)는, 앨범 ID를 부가한 화상을 휴대 단말기(2)에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자동 송신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 측 앨범 등록 처리>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 측 앨범 등록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0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촬상 장치(1)로부터 화상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012―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화상 기억부(111)에 수신한 화상을 보존한다.
스텝 S1013―2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관리부(91)는, 앨범 ID가 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앨범 ID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0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014―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앨범 ID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0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0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92)는, 화상 기억부(151)에 보존한 화상을 서버(3)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기억시키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하여, 앨범 등록을 행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앨범 등록 처리는 종료한다.
3. 카메라와 어플리로 복수의 앨범을 선택
1의 동작에 있어서 복수의 앨범을 구별짓는(different purposes) 경우에 대해서는, 카메라에서는, 앨범 A, 앨범 B, 앨범 C의 3 종류와 앨범 등록하지 않은 (N/A)를 앨범 설정 화면에서 선택한다. 촬영 중(REC)에는, 선택되어 있는 앨범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에 있어서는, 앨범 A, 앨범 B, 앨범 C가 각각 구체적으로 어느 앨범에 설정되는 것인지를 사전에 선택한다.
그리고, 도 21은, 촬상 장치(1)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22는, 촬상 장치(1)에서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많은 화상을 자동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자동 송신 카메라에 있어서, 사전에 앨범 설정을 하여 둠으로써, 화상을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할뿐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앨범에도 자동적으로 송신하고,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늘 1일 전시회의 사진을 찍어, 동 료에 보고할 때 등, 편리하다. 또한, 앨범의 정보를 카메라에 통지함으로써, 카메라 본체에 의해 앨범명을 확인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측에서 간단하게 앨범을 전환하여 촬영함으로써, 복수의 테마로 앨범을 공유하는 경우에, 간편하게 앨범 공유를 행할 수 있다.
<변형예>
전술한 1∼3의 동작에 있어서, 앨범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하나였지만, 사업체의 상이한 복수의 서비스로부터, 전송 어플리케이션 측에서 선택하고,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변형예에 의하면, 복수의 서비스로부터 앨범을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카메라 측에 있어서는 복수의 서비스를 의식하지 않고, 어플리 측에서 서비스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상이한 서비스에 의한 앨범 공유를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연계 기능을 실현한다.
제1 기기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2 기기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제2 기기는,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과,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수단과, 제2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1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관리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 기기는,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제2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제2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하는 기동 통지 송신 수단과, 제2 기기의 제어 수단은, 제1 프로그램으로부터 제2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제2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여 제1 기기에 대하여 제2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이 기동 요구에 따라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제어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서는 제2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제2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제2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하다.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다.
제어 수단은,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제2 기기는,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제1 기기에 송신하는 그룹 정보 송신 수단과, 제2 기기의 제어 수단은,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제1 기기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이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하는 선택 정보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가 기억하고,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이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제1 기기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2 기기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데이터 관리 처리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3 통신 수단을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다.
제2 기기는,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한다.
제1 기기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1 기기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2 기기는,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한다.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한다.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제1 기기인 촬상 장치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수단에 의해 송신한다.
제1 기기인 촬상 장치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한다.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어, 제어 수단은, 종류에 따라, 기동의 제어를 바꾼다.
제1 무선 통신 수단은 상시 접속된 상태이며, 제2 무선 통신 수단은, 제1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접속을 확립하고, 종류에 따라, 접속의 확립 제어를 바꾼다.
종래부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와, 스마트 폰 등의 휴대 단말기를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의 일례로서, 카메라 조작 단말기에 의해 카메라를 원격 조작하는 촬상 시스템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4―230024호 공보 참조).
또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상의 화상 공유 서비스에 액세스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을 공유하는 화상 공유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등의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격 조작에 의해 카메라에 촬영을 행하게 하고, 카메라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를 휴대 단말기에 보존하고, 그 후,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시키는 동시에 각종 조작을 행함으로써, 화상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의 OS(오퍼레이팅 소프트웨어)의 종류(예를 들면, iOS나 Android 등)에 따라 상이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여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한 경우, 예를 들면,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여 화상 공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기동하는 조작을 행하거나, 기동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사양에 따라 각종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거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었다. 카메라와 휴대 단말기를 연계시키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기를 연계시킴으로써 취득한 데이터의 각종 관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동일한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기를 연계시킴으로써 취득한 데이터의 각종 관리를 행하는 경우의 편리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3 실시형태>
<페어링 접속 동작>
전술한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상세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및 2의 처리에 있어서 전제로 되어 있는 BLE 통신 규격의 제약에 관련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는, 도 9나 도 10 등의 처리의 개시 시에 실행되거나, 도 9나 도 10 등의 처리와 평행하게 실행되거나 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를 BLE로 접속할 때, 촬상 장치로부터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발하여 휴대 단말기가 그 신호를 검출하여 접속 처리를 행함으로써 bluetooth(등록상표)의 접속이 확립되지만,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내용이 모든 상태에 있어서 같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문제1 ·2·3)가 일어난다. 또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싣는 정보를 증가시키면, 신호의 데이터 사이즈가 커져, 전력적으로는 불리하게 된다.
[문제1 ]
페어링 설정된 휴대 단말기와 별개의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시큐리티 상의 문제가 있다[강탈(强奪) 문제].
페어링 설정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있고, 2개의 거리가 먼 등에 의해 BLE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상황이고, 촬상 장치는 어드버타이즈 신호를 내고,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려고 한다. 이 때 별개의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조작을 행하면,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연결되어 일부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촬상 장치의 전원이 들어간 상태라면 BLE 신호의 내용(Wi―Fi의 SSID, 패스워드)이 휴대 단말기(C)에 보내진다.
[문제2 ]
이전에 페어링 설정한 휴대 단말기가 있으면, 촬상 장치에서 페어링 조작을했을 때 그 휴대 단말기가 페어링 처리를 자동으로 실행하므로, 다른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처리를 행할 수 없다(휴대 단말기 변경 문제).
페어링 설정된 촬상 장치와 휴대 단말기가 있고, 촬상 장치의 조작에 의해 페어링 해제한다. 별개의 휴대 단말기와 촬상 장치를 페어링하려고, 촬상 장치를 조작하면, 휴대 단말기(B)는 자동으로 촬상 장치와 접속되어 버린다. 이 때 휴대 단말기는 페어링 처리를 계속할 수 없게 된다.
[문제3 ]
휴대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페어링 처리에 의해 리스트 업(list up)되는 촬상 장치에, 페어링 가능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혼재하고 있다(리스트 정리).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서는, 다음과 같은 대책이 채용된다.
휴대 단말기(2)와 접속하는 촬상 장치(1)의 접속 상태(페어링의 유무)에 의해, 디바이스명을 변화시켜, 그 변화를 이용하여 스마트 폰으로 처리를 행한다. 즉, 촬상 장치(1)의 페어링 정보인 BLE 접속 정보(페어링의 유무)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 문자를 부가하여 차이를 부여하여, 그 상위에 따라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접속 제어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S)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데이터에 들어가 있는 디바이스명을 촬상 장치(1)의 페어링의 상태에 따라 변화시켜, 디바이스명에 의해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의 처리를 분기한다. 그리고, 페어링할 수 있는 것이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에 의해 1 대 1로 되는 것이 전제로 된다. 또한, 휴대 단말기(2)는, 접속 확립 후에는, 페어링 상대인 촬상 장치(1)를 디바이스명은 아니고 BD 어드레스로 식별한다.
<촬상 장치(1)가 페어링하고 있지 않는 상태>
디바이스명은 Wi―Fi의 SSID에 의해 말미에 스페이스가 없는 것으로 한다.
예: "ZR1600―01ACDC"(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
· 페어링하고 있어도 자동으로 재접속하지 않음 ([문제2 ]를 회피).
(그러므로, 페어링 조작을 거치지 않으면 접속되지 않음)
<촬상 장치(1)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
디바이스명의 마지막에 스페이스를 부가하는 것으로 한다.
예: "ZR1600―01ACDC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음)
· 페어링하고 있지 않은 스마트과는 접속하지 않음([문제1 ]을 회피).
[페어링한 휴대 단말기(2)와만 접속함]
· 페어링할 수 있는 후보의 리스트에 표시하지 않음([문제3 ]을 회피).
(페어링하고 있지 않은 디바이스만 표시함)
도 23은,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의 기능적 구성 중,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페어링 접속 처리란, 촬상 장치(1)와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BLE 통신 규격에 있어서, 페어링을 행하여 접속을 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말한다.
촬상 장치(1)와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1)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와,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와, 통신 제어부(173)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1)의 한 영역에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가 설정된다.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는, 페어링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페어링 정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선 LAN(Wi―Fi)에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명인 SSID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정보]나 접속 처리의 결과 얻어지는 접속 정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BD 어드레스)가 기억된다. 페어링 정보는, 페어링 처리 등에 사용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서의 디바이스명과 페어링 처리 종료 후의 접속 시에 사용하는 BD 어드레스이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 기억되는 페어링 정보를 참조(페어링 정보의 유무를 참조)하여, 페어링의 상황을 판정한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페어링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상황(이하, 「미페어링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하고, 페어링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상황(이하, 「페어링 완료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에 의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생성 시에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의 판정 결과가 미페어링 상태인가, 페어링 완료 상황인지의 가부로,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부가하는 정보(이하, 「어드버타이징 정보」라고 함)를 변경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미페어링 상황인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정보를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디바이스명만)」이라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하고, 페어링 완료 상황인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정보를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음」으로 하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통신 제어부(173)는,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173)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거나,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를 실행하거나 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리고,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의 결과, 취득한 페어링 정보나 BD 어드레스는, 통신 정보 기억부(191)에 기억된다.
휴대 단말기(2)와 페어링 접속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와,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와,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가 기능한다.
또한, 기억부(19―2)의 한 영역에는, 통신 정보 기억부(231)가 설정된다.
통신 정보 기억부(231)에는, 페어링했을 때 얻어지는 페어링 정보가 기억된다. 페어링 정보는, 페어링 처리 등에 사용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서의 디바이스명과, 페어링 처리 종료 후의 접속 시에 사용하는 BD 어드레스이다.
통신 제어부(211)는,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거나, 페어링 처리나 접속 처리를 실행하거나 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통신 정보 기억부(231)에 기억되는 페어링 정보를 참조(페어링 정보의 유무를 참조)하여, 페어링의 상황을 판정한다.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페어링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지 않는 상황(이하, 「미페어링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하고, 페어링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상황(이하, 「페어링 완료 상황」이라고 함)으로서 판정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검출한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나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없음(디바이스명만)의 경우에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 것으로 판정하고, 어드버타이징 정보가 디바이스명+스페이스 있는 경우에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 것으로 판정한다.
도 24는, 도 23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촬상 장치(1) 및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촬상 장치측]페어링 접속 처리>
촬상 장치(1)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111―1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171)는, 미페어링의 상황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미페어링의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1―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2―1로 진행한다.
스텝 S1112―1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가 없는 정보를 부가한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스텝 S11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생성한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1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와의 사이에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1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후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미페어링의 상황이 아닌, 페어링을 행하고 있는 페어링이 완료된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1―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6―1로 진행한다.
스텝 S1116―1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172)는, 디바이스명에 스페이스가 있는 정보를 부가한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생성한다.
스텝 S11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생성한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118―1에 있어서,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후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 측]페어링 접속 처리>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1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그 결과, 제1 통신부(20―1)에서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다.
스텝 S1112―2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미페어링의 상황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미페어링의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2―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3―2로 진행한다.
스텝 S1113―2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미페어링 사양은 아니고 페어링이 완료된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4―2로 진행한다.
스텝 S11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스텝 S11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 후,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미페어링은 아니고 페어링이 완료된 상황인 경우에는, 스텝 S1112―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6―2로 진행한다.
스텝 S1116―2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페어링 완료 사양은 아니고 미페어링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6―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페어링 완료 사양의 어드버타이징 신호의 경우에는, 스텝 S1116―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117―2로 진행한다.
스텝 S11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에 의해 행해진 접속 설정에 기초하여,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한다. 그 후,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변형예>
「문제1 」의 회피를 강화하기 위해 소정의 OS(Operating System)의 사양(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iOS 전용)으로 특화하여, 디바이스명의 캐릭터리스틱을 설치하고, BLE를 일단 접속하여 취득하고, 상기한 어드버타이징 데이터의 디바이스명에 의한 접속 여부 판단와 마찬가지로 판단하고, 접속을 유지할 것인지, 단절할 것인지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플로우차트에 본 변형예의 기능을 부가하면, 도 25와 같이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5는, 도 23의 기능적 구성을 가지는 도 3의 휴대 단말기(2)가 실행하는 페어링 접속 처리의 다른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휴대 단말기 측 페어링 접속 처리>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페어링 접속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전제로서 처리 개시 시에는, 휴대 단말기(2)의 BLE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스텝 S12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결과, 제1 통신부(20―2)에서는, 촬상 장치(1)로부터 송신된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다.
스텝 S1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접속 처리를 개시하고, 촬상 장치(1)와의 사이에서 BLE 접속을 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스텝 S1213에 있어서, 페어링 상황 판정부(212)는, 페어링 처리를 행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페어링 처리를 행한 경우에는, 스텝 S1213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4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페어링 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213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9로 진행한다.
스텝 S1214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4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214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5로 진행한다.
스텝 S12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스텝 S1216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6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8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캐릭터리스틱 디바이스명을 판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16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17로 진행한다.
스텝 S1217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218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단절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219에 있어서, 어드버타이징 신호 판정부(213)는,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1219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20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어드버타이징 디바이스명을 판단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219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220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페어링 접속 처리는 종료한다.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휴대 단말기(2)(스마트 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백그라운드 동작에는 시간적인 제약이 있어, 시간 내에 화상 송신을 보내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종래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스마트 폰의 조작 없이 카메라의 조작만으로 송신하기 위해, 어플리를 bluetooth를 사용한 기동 통지를 보냄으로써,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의해 기동하고, 스마트 폰이 슬립 상태라도 화상을 수신하는 구성을 실현하고 있다.
iOS에서는 백그라운드 동작에 시간 제한이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모든 데이터를 보낼 수가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시킨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7은, 자동 송신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1. 카메라로부터 스마트 폰에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2. 스마트 폰으로 화상 수신용의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상승한다.
3.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를 상승, 스마트 폰과 Wi―Fi로 접속한다.
4. 카메라로부터 어플리케이션에 송신하는 파일의 리스트를 보낸다.
5. 어플리는 파일 리스트의 파일을 카메라로부터 취득한다.
6A―1.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이 끝났을 경우, 카메라에 성공을 전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스마트 폰을 슬립 상태로 되돌린다.
6A―2. 카메라는 다음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6B―1.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이 종료가 되지 않을 경우, 카메라에 실패를 전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스마트 폰을 슬립 상태로 되돌린다.
6B―2. 카메라는 보낼 수 없었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6C―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예고 없이 종료한 경우, 어플리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6C―2. 카메라는 통신의 단절을 검출하고, 보낼 수 없었던 파일 리스트를 보내기 위해 다시 BLE에 의한 프로세스 기동 통지를 행한다.
그리고, 송신에 실패한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의 입도(粒度)를 변경하여 리트라이한다.
<[촬상 장치측]파일 전송 처리>
촬상 장치(1)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에의 [촬상 장치측] 파일 전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31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31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의 ON/OFF를 판정한다.
Wi―Fi가 ON의 경우에는, 스텝 S1312―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4―1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Wi―Fi가 OFF의 경우에는, 스텝 S1312―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3―1로 진행한다.
스텝 S131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액세스 포인트를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314―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HTTP 통신을 확립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315―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 리스트를 작성한다.
스텝 S1316―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 리스트를 송신한다.
스텝 S1317―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파일을 송신한다.
스텝 S1318―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318―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1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휴대 단말기(2)에 있어서 타임 아웃을 검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18―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9―1로 진행한다.
스텝 S1319―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통신 완료 통지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320―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송신이 성공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송신이 성공한 경우에는, 스텝 S1320―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2―1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송신이 성공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20―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1로 진행한다.
스텝 S132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송신 데이터량을 재설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322―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다음 송신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323―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다음 데이터가 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다음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323―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221로 돌아온다.
이에 대하여, 다음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1323―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촬상 장치(1)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휴대 단말기 측]파일 전송 처리>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2)로의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31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BLE 통지를 수신하도록 제1 통신부(20―2)를 제어한다.
스텝 S1312―2에 있어서, CPU(11)는,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BG)에서 기동한다.
스텝 S1313―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Wi―Fi와 미접속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Wi―Fi와 미접속인 경우에는, 스텝 S1313―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4―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Wi―Fi와 미접속이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313―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5―2로 진행한다.
스텝 S1314―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촬상 장치(1)의 AP에 접속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315―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HTTP 통신을 확립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316―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 리스트를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317―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을 수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스텝 S1318―2에 있어서, CPU(11)는,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하였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한 경우에는, 스텝 S1318―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OS에 의한 프로세스가 종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18―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9―2로 진행한다.
스텝 S1319―2에 있어서, CPU(11)는,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 예고를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 예고한 경우에는, 스텝 S1319―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OS에 의한 프로세스의 종료를 예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319―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0―2로 진행한다.
스텝 S1320―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파일의 수신이 완료된 경우에는, 스텝 S1320―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21―2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파일의 수신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20―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317―2로 돌아온다.
스텝 S132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11)는, 통신 완료 통지를 송신하도록 제2 통신부(21―2)를 제어한다. 그 후, 휴대 단말기(2) 측의 파일 전송 처리는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복수회로 분할한 송신 프로세스 모두에서 bluetooth의 통지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시간 제한이 있는 통신 기능으로, 많은 데이터를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료 타이밍이 불명한 프로세스로, 송신할 수 없었던 데이터로부터 다시 송신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접속 파라미터를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에 적응적으로 설정하고, 접속 안정성과 전력 절약화를 양립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에는, BLE의 접속 파라미터의 접속 인터벌의 시간이 짧을수록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높아지지만, 소비 전류가 커진다.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이 짧을수록 BLE가 단절된 것으로 판단해 재접속 처리를 행할 때까지의 시간이 짧아져 실제로 통신할 수 없는 시간이 짧아지지만, 사용자로부터는 단절되기 쉬운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28은,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에 적응적으로 BLE의 접속 파라미터를 변경한다.
· 카메라 전원 ON시는, 접속 인터벌과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을 짧게 한다.
· 카메라 전원 OFF시는, 접속 인터벌과 접속 감시 타임 아웃의 시간을 길게 한다. 즉, 카메라 전원 ON시와 OFF시로 분기하고, BLE의 접속 파라미터 설정을 변경한다.
즉,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411에 있어서, CPU(11)는, 카메라 전원을 OFF 했는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카메라 전원을 OFF 한 경우에는, 스텝 S1411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413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카메라 전원을 OFF 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1411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412로 진행한다.
스텝 S14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접속 인터벌←40 ms」, 「접속 감시 타임 아웃←3.01 s」로 설정을 변경한다. 그 후,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41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접속 인터벌←1000 ms」, 「접속 감시 타임 아웃← 5s」로 설정을 변경한다. 그 후, BLE 접속 파라미터 적응 설정 처리는 종료한다.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 카메라 전원 ON시는, 데이터 전송 레이트가 높아, 통신할 수 없는 시간이 짧아진다.
· 카메라 전원 OFF시는, 전력 절약으로 동작하고, 다소 통신이 끊어져도 단절이라고 인식하지 않는다.
(카메라 전원 OFF시는 데이터 전송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 레이트가 낮아도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촬상 장치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bluetooth에 의해 페어로 하면, Wi―Fi 접속이 용이해지고, 이 상태로부터 Wi―Fi 설정을 변경하여 버리면 접속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카메라 측에서 페어가 있는지의 가부에 의해, Wi―Fi 설정의 변경 기능에 제한을 거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페어가 있는지의 가부에 의해 동작이 상이한 것으로 되도록 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에는, 카메라와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카메라로 촬영한 후, 자동적으로 촬영 화상을 단말기 측으로 송신한다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자동으로 송신하기 위해 카메라와 스마트 폰을 BLE로 페어링하고, BT를 통하여 카메라의 Wi―Fi 설정을 스마트 폰에 보내고 있다. 스마트 폰은 이 때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한다.
그러나, 액세스 포인트의 SSID나 패스워드는 설정의 값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변경되면 카메라와 스마트 폰이 Wi―Fi로 접속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29는,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 카메라는 BLE 페어링시에 카메라의 Wi―Fi 액세스 포인트의 SSID, 패스워드를 BT의 통신에 실어 스마트 폰에 송신한다.
· 스마트 폰은 수신한 SSID, 패스워드를 자체의 Wi―Fi 설정에 추가한다.
· 카메라는 페어 성립의 정보를 기록하고, 이후 Wi―Fi 패스워드의 변경 메뉴를 마스크하여, 사용자에게 실행할 수 없게 한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페어링의 유무에 따라 Wi―Fi 패스워드 변경의 가능/불가를 전환하고 있다.
즉,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Wi―Fi 설정 제어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5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5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SS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WiFi AP를 기동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513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로 SSID와 패스를 송신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5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접속을 검출했는지의 가부를 측정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WiFi 접속을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515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WiFi 접속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514에 있어서 대기 상태로 된다.
스텝 S15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정보를 보존한다. 그 후, 촬상 장치(1) 측의 Wi―Fi 설정 제어 처리는 종료한다.
도 30은, Menu 오픈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Menu 오픈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6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링 정보를 취득한다.
스텝 S16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1612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613으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페어 설정이 끝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612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종료한다.
스텝 S1613에 있어서, CPU(11)는, 메뉴를 마스크한다. 그 후, Menu 오픈 처리 개시는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 측의 설정 변경에 의해 자동 송신이 행해지지 않는, 또 다른 통신 기능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Wi―Fi 패스워드 이외에도 페어의 유무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고 있는 기능은 이하와 같이 된다.
· 자동 화상 송신
페어 있음: 실행 가능
페어 없음: 실행 불가(ON으로 설정하는 것도 불가)
· 수동 화상 송신
페어 있음: 모두 실행 가능
페어 없음: 어플리가 백그라운드에서의 송신 불가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BLE의 요인에 의해 카메라가 기동한 경우에는, 바로 통상 기동하지 않고 카메라의 BLE 통신 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동하는 모드를 판단하고, 필요에 따라 전원 OFF를 행함으로써 카메라의 불필요한 처리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으로부터의 카메라 기동을 행한 경우 등 의도적인 조작에 의해서만 카메라가 정상(正常) 동작으로 이행하고, 불필요한 기동 처리가 행해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종래부터, HW의 구성에 의해, 카메라의 전원 OFF로 한 상태라도 BLE의 접속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BLE를 살린 채로 카메라의 전원 OFF 상태에 어떤 때는, BLE의 다양한 이벤트를 BLE의 HW로 검지하고, 그것을 요인으로 카메라의 전원 ON를 행하는 것이 가능했었다. 단, BLE로 기동하는 경우의 요인으로서, BLE의 단절, 접속, 스마트로부터의 BLE Read/Write 요구 등 다양한 요인으로 기동할 수 있으므로, 단순하게 모든 요인으로 카메라의 전원을 통상에 착수해 해버리면 불필요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전력적이게도 불리하게 된다. 또한, 카메라가 BLE 기동했을 때, 어느 BLE 이벤트로 기동되었는지의 정보를 남기는 것이 어렵다(카메라는 전원 OFF이기 때문에, BLE 접속의 내용이 RAM 등에 남길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31은, BLE 통신에 의한 카메라 기동의 모드 판단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그리고, [전제 조건]으로서, 카메라의 BLE가 어드버타이즈인가 접속중인 상태의 경우에는, BLE 모듈을 Sleep으로 설정하여, 카메라의 전원을 떨어뜨려, BLE의 출력을 유지한 채 전원을 떨어뜨리는 처리가 필요로 한다.
1) 어느 BLE 이벤트에 의해, 카메라가 기동된다.
이 때 BLE의 요인으로 카메라가 일으켜졌다는 것만은 기동 요인으로서 파악되어 있다.
2) 카메라는 BLE 기동 대기 상태로서 전용(專用)의 기동을 행한다(LED만 점등).
BLE를 재기동하여 어드버타이즈의 상태로 하여 타이머를 기동한다(5초).
그리고, 타이머(5초) 이내의 사이에 BLE 접속이 없는 경우에는 BLE 단절 이벤트라고 판단한다.
그대로 BLE의 Sleep을 설정하여, 카메라를 파워 오프로 한다.
→PowerOff[1]
3) 타이머의 시간 내에 BLE의 접속이 있었던 경우에는, 타이머를 삭제하여 다음의 처리에.
BLE 접속 처리 완료 후에 고쳐서 타이머를 기동한다(5초).
그리고, 타이머(5초) 이내의 사이에, BLE 신호에 의한 Wi―Fi 접속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이 상태인 채 Sleep을 설정하여, 카메라를 파워 오프로 한다.
4) 타이머 시간 내에 BLE 신호가 통지된 경우에는 스마트로부터 의도적으로 기동되었다고 판단하여 카메라를 Wi―Fi 모드에 의해 기동한다.
즉, 모드 판단 처리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7―1)로의 모드 판단 처리 개시의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스텝 S1711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의 Sleep중(어드버다이즈 또는 접속 중)으로 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712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이벤트(접속·단절· WiFi 모드 기동)를 발생시키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713에 있어서, CPU(11)는, 카메라 기동 처리(필요 최저한의 처리)를 한다.
스텝 S171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오픈 처리(BLE 접속 대기 타이머 설정)를 하도록 제1 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스텝 S1715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타이머 대기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타이머 대기인 경우에는, 스텝 S1715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6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타이머 대기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715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8로 진행한다.
스텝 S1716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BLE 접속 처리[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요구 대기 타이머]를 하도록 제어한다.
스텝 S1717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타이머 대기인지의 가부를 판정한다.
타이머 대기인 경우에는, 스텝 S1717에 있어서 YES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9로 진행한다.
이에 대하여, 타이머 대기가 아닐 경우에는, 스텝 S1717에 있어서 NO라고 판정되어, 처리는 스텝 S1718로 진행한다.
스텝 S1718에 있어서, CPU(11)는, BLE Sleep 처리를 행하여 카메라 파워를 오프한다. 그 후, 모드 판단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 S1719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WiFi 기동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720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73)는, 휴대 단말기(2)와의 WiFi 접속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2 통신부(21―1)를 제어한다.
스텝 S1721에 있어서, CPU(11)는, 휴대 단말기 지정 모드로 의한 NET 모드를 기동(리모트 촬영·사진을 보는 등)하는 제어를 행한다. 그 후, 모드 판단 처리는 종료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카메라가 BLE의 이벤트로 일으켜졌을 경우에 필요 최저한의 처리만을 행함으로써, BLE 이벤트에 의한 카메라 처리의 전지 소모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BLE의 단절에 의한 기동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는, 어드버타이징의 간격을 길게 하는 등의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보다 전력 절약으로 되도록 한 처리를 넣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무선 통신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소정의 연계 처리의 대상이 되는 복수의 기기의 조합을,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지정하고, 그 조합을 나타내는 페어링 정보를 서로의 기기에 기억시키는 페어링 처리를 실행하는 페어링 수단을 포함한다.
제1 기기는, 자체의 존재 및 자체의 제공하는 기능을 무선 통신에 의해 다른 기기에 알리는 신호인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과, 페어링 수단에 의해 기억한 페어링 정보에 따라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자체의 식별명을 변화시키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2 기기는,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에 의해 송출되고 있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고, 소정의 연계 처리에 관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로부터의 송출 였던 경우에, 그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 접속 수단과, 페어링 수단에 의해 기억한 페어링 정보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의 변화 상태에 기초하여,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확립하는지의 가부를 제어하는 접속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통신 시스템(S)에 있어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뜻하지 않은 기기끼리가 오접속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여, 적절히 통신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1 기기는 촬영 기능을 가지는 촬상 장치이며, 제2 기기는 표시 기능을 가지는 정보 단말기이다.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가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정보 단말기에 송신하여 표시하는 처리이다.
무선 통신은, BLE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다.
제1 기기는 BLE 규격의 퍼리퍼럴이며, 제2 기기는 BLE 규격의 센츄럴이다.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은, 어느 하나의 기기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어느 기기와도 통신 접속이 행해져 있지 않은 경우에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 제어 수단은, 어느 기기와도 페어링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말미에 스페이스를 부가하고 있지 않은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고, 어느 하나의 기기와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말미에 스페이스를 부가한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하도록 어드버타이징 신호 송출 수단을 제어한다.
접속 제어 수단은,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이 제1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 카메라와 페어링이 끝난 상태라도 재접속하지 않고,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한 경우에는, 이 제2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송출한 카메라와 페어링이 끝난 상태인 경우에 재접속하고, 페어링이 끝난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재접속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정보 단말기의 접속 제어 수단은, 페어링 조작시에 페어링을 행하는 동시에 접속을 개시하고, 그 후, 페어링한 채로 접속을 종료한 경우에는, 다시 접속 가능한 상태로 되어도 접속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제1 통신 방식에 의한 제1 통신 수단과,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제2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송신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에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식별명에 포함되는 기기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 접속을 확립시키는 제2 접속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한다.
제1 통신 방식은,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다.
제2 통신 방식은, Wi―Fi 규격에 따른 무선 통신이며, 식별 정보는 SSID이다.
종래부터, 스마트 폰 등의 정보 단말기가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속(페어링)한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경우에, 한 번 접속(페어링)한 상대측 기기의 정보를 기억해 두고, 다시 같은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를 접속(페어링)하는 경우에는, 기억하고 있는 상대측 기기의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 조건 등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 제2015―5889호 공보 참조).
또한,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의 접속을 확립한 채의 상태에서는 전지가 소모되므로, 통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접속을 단절하도록 한 제어가 행해지고 있고, 최근에는, BLE(bluetooth Low Energy)(상표) 등의 저소비 전력의 통신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에 있어서는, 과거에 접속한 같은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를 재차 접속한 후의 촬영 조건 등의 설정은 용이하게 되지만, 한 번 접속한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와의 접속을 단절한 후에, 다시 같은 촬상 장치와 스마트를 재접속하려는 경우나, 페어링을 변경하여 재접속하려는 경우 등에, 접속 가능한 촬상 장치나 정보 단말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뜻하지 않은 상대에게 오접속 해 버리거나 시큐리티 상의 문제가 생겨 버리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촬상 장치와 정보 단말기 이외의 기기의 조합으로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다.
본 실시형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복수의 기기를 통신 접속하는 경우에, 뜻하지 않은 기기끼리가 오접속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적절히 통신 접속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데이터 처리 장치는,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 통신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제2 통신부는,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제1 통신부에 의한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은, 제2 통신부에 의한 제2 통신 방식의 통신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제1 통신부는, 제2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한다.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신부는,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 상태, 또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제2 통신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는,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쪽이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양쪽을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는, 다른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다른 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제1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따라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다른 기기를 제1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켜, 제2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른 기기의 조작에 따라 제1 통신부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2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는,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하고, 제1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이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2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하고, 제1 통신부에 의해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제2 통신부에 의한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 중 한쪽은, 촬상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표시 단말기이다.
소정의 연계 처리는,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에 의해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촬상 장치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은,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이다.
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제1 통신부와, 제2 통신부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 통신부는, 복수의 기기가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제2 통신부는,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한다.
제어부는,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에 의해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를 포함한다.
제1 기기는,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2 기기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와,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의 기억부는,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더 기억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프로그램 및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의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제2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로부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제1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2 프로그램으로부터 제1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1 기기에 대하여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이 기동 요구에 따라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신부는, 제2 통신부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다.
제어부는, 제2 통신부의 통신에서는 제1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제1 통신부의 통신에 의해 제1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이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가 기억한다.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이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부를 구비한다.
데이터 관리 처리는,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서버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2 기기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켜,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에 송신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서버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한다.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이 화상 데이터를 제2 통신부에 의해 송신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다.
제어부는, 종류에 따라, 기동의 제어를 바꾼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통신부는 상시 접속된 상태이다.
제2 통신부는, 제1 통신부를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종류에 따라, 통신 접속의 확립 제어를 바꾼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S)은,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전송 가능하게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로부터 다른 쪽의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OS(Operating System)의 제어에 의해 중단될 때마다, 상기 한쪽의 장치로부터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다른 쪽의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었던 어플리를 기동하여, 중단된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1 통신 방식과 제2 통신 방식을 연계시킴으로써,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를, 상대측의 장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신 요구를 교환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 송신을 행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는,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 별로, 상이한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조건 하에서, 상기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할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장치를 통하여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에 의해 상기 다른 어플리를 기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진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전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의 기억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버의 기억처를 상기 한쪽의 장치에서 기억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한쪽의 장치는, 다른 쪽의 장치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여,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장치 간의 페어링 상태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변화 상태에 따라 접속의 유무를 제어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를 소정 타이밍에서 감시한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감시를 행하는 장치의 전원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따라서,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의 감시의 인터벌 시간을 변화시킨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설정 변경을 금지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 시스템(S)에서는,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한쪽의 장치에서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쪽의 장치로부터의 의도적인 요구였던 것을 조건으로, 상기 한쪽의 장치의 전원을 ON한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S)에서는, 각각의 제약 하에 있어서, 통신의 특성 또는 OS의 기능을 유효하게 활용하여(또는 규약을 만족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형태의 전제 조건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Wi―Fi 통신은, 1개의 기기로 동시에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대는 복수 대 가능하며, 복수의 어플리가 쉐어하면서 Wi―Fi 통신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AP에 PC나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8대 접속하여 동시에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화상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AP[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1대만으로 구성된다.
· Wi―Fi 통신에 있어서,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데이터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는 보증은 없다.
· 이에 대하여, BLE 통신은, 1개의 기기로 동시에 통신 접속이 가능한 상대는 복수 대가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센츄럴은 복수의 퍼리퍼럴을 접속 가능하지만, 퍼리퍼럴은 1개의 센츄럴 밖에 접속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
또한, BLE 통신은, 각 어플리케이션는 자기(自己) 전용의 통신 접속을 독점할 수 있다. 즉, BLE의 물리적인 접속은 1개며, 그 물리적인 접속을 쉐어하여 독자적인 논리적인 접속을 독점할 수 있다.
· 또한, BLE 통신에 있어서,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라도, 소정 조건으로 통신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 소정 조건이란, 통신 접속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의 인터벌 간격마다 행해지는 단속적(斷續的) 통신이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 이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는 경우로서는, 예를 들면, 기기 사이의 거리가 이격되는 등에 의해 전파 상황이 악화되었을 경우나, iOS가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CPU 파워나 메모리 영역을 내주기(free up) 위해 강제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BLE 통신을 행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중단하는 경우 등이 있다. 즉, 거리가 이격된 경우에는 물리적인 접속이 단절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이 중단된 경우에는, 물리적인 접속은 유지되고, 논리적인 접속에 의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된다.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 가능하다.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가 백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실행 중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개시하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의 Wi―Fi 통신은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데이터 통신)을 실행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Wi―Fi 통신을 개시한 경우, 백그라운드의 어플리의 Wi―Fi 통신이 반드시 중단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iOS의 경우에는, 제한 시간 내이면,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통신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페어링되고 있는 상대와의 BLE 통신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지 않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포어그라운드에서 다른 상대와 BLE 통신을 개시하는 것은 없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관계없는 어플리케이션이 BLE 통신을 하는 것은 가능하게 구성된다.
·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Wi―Fi 통신과 비교한 경우의 BLE 통신의 상시 접속성이란, 2개의 의미가 있다.
· 하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동안은, 저소비 전력 상태라도 통신 접속이 유지된다는 의미이다.
· 또 하나는, 소정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해 통신 접속이 차단된 경우라도, 접속 상대(페어링과는 조금 다른 개념 )를 변경하지 않는 한계는, 같은 상대와 용이하게 재접속할 수 있는 의미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BLE의 페어링은 BLE 접속의 확립을 가리키지만,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페어링은 BLE 접속의 확립에 더하여,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이 카메라의 BD 어드레스를 기록하는 것과 Wi―Fi 접속을 한 번은 확립하는(iOS의 경우에는 Wi―Fi 프로파일의 등록) 것을 포함한다.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어플리케이션이 BD 어드레스를 기억함으로써, BLE 단절 후의 재접속 시에 전에 접속하고 있었던 카메라와 접속 가능하게 된다.
·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OS는, 전술한 제약 하에서 운용하는, 예를 들면, iOS의 버전(8)을 탑재하고 있다.
·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제로 하므로, Wi―Fi 통신에서는 미리 통신 상대를 고정적으로 등록(페어링)해 둘 수 없게 구성할 수 있고, BLE 통신에 있어서는, 미리 통신 상대를 고정적으로 등록(페어링)해 두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 전력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에는, Wi―Fi를 상시 접속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으로 Wi―Fi 접속하는 상대를 기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BLE 사용의 장점은, Wi―Fi 접속 시의 사용자 조작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것이며, SSID와 PW의 입력을 불필요하게 하고, 카메라인 촬상 장치(1)와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 중 어느 쪽인가 한쪽의 조작에 의해 Wi―Fi 접속을 할 수 있는 것에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BLE 통신은, 저소비 전력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동작으로서, 퍼리퍼럴[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센츄럴[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가 검출하여 접속을 개시하고, 접속을 개시한 후에는,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용의 전원의 ON와 OFF를 반복하면서 단속적 통신을 행한다.
이와 같은 BLE 통신의 규약(제약)으로서,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은, 통신의 접속 상태가 유지되지만, 어떠한 요인으로 소정의 인터벌 시간마다 통신을 행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는, 통신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다. 통신의 접속 상태가 해제된 경우, 재접속하기 위해서는, 다시 퍼리퍼럴[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과 센츄럴[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스캔으로부터 시작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어떠한 요인이란, 예를 들면, 기기 사이의 거리가 이격됨으로써 전파가 약해지거나 기기의 OS(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제약에 의한 것이었거나 등이 있다.
OS의 제약에는, 예를 들면, iOS의 경우, 각 어플리는, 백그라운드 실행으로 BLE 디바이스와의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CPU 파워나 메모리를 공유시키기 때문에, 연속하여 동작 가능한 시간이 제한되어 있고, BLE 통신의 실행 중이라도 접속이 중단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iOS를 전제로 하는 것의 경우에는,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BLE를 전제로 하는 것 경우에는, 복수의 기기를 연계하여 동작시키는 경우에, 저소비 전력의 통신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연계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BLE와 Wi―Fi를 연계시킴으로써,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한쪽의 조작만으로 다른 쪽의 기동이나 제어를 행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BLE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신 요구를 교환하여, Wi―Fi 통신을 이용하여, 실제의 화상 송신을 행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의 OS 종류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변화시킨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미리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 측에 설정하여 둔 조건 하에서 클라우드 앨범으로의 자동 등록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는 다른 어플리와 연계할 수 없기 때문에, 카메라인 촬상 장치(1)를 통하여 BLE에 의해 다른 어플리를 기동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에 의해 촬영하는 것만으로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를 통하여 촬영 화상을 클라우드 앨범에 자동 등록하는 경우에, 사전에 등록해야 할 앨범을 카메라인 촬상 장치(1) 측에서 선택하고, 이 선택 정보를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기억시켜 둔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어드버타이징 신호를 검출하여 BLE 접속(재접속)을 행하는 경우에, 페어링 상태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변화 상태에 따라 접속의 유무를 제어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에 대한 데이터 전송 중에,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동작이 iOS의 제어에 의해 중단될 때마다, 카메라인 촬상 장치(1)로부터 BLE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재차 기동하여, 중단된 데이터 전송을 재개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자체의 전원이 ON 상태인지 OFF 상태인지에 따라서, BLE의 접속 감시의 인터벌 시간을 변화시킨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BLE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서는, Wi―Fi의 설정 변경을 금지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인 촬상 장치(1)는, BLE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서, BLE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스마트 폰인 휴대 단말기(2)로부터의 의도적인 요구였던 것을 조건으로 카메라인 촬상 장치(1)의 전원을 ON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 개량 등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기기는, 스마트 폰으로 구성되는 휴대 단말기(2)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태블릿(tablet) 단말기, PC(Personal Computer), 다른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전자 기기, 또는 서버라도 된다. 또한, 통신 방식은 근거리형 통신의 NFC(Near Field Co㎜unication), 공중 회선 등 다른 무선 통신이라도, 또한 유선이라도 되고, 송신처는 복수라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촬상 장치(1)는, 디지털 카메라, 휴대 단말기(2)는 스마트 폰을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전술한 처리 기능을 가지는 전자 기기를 일반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노트북형의 퍼스널 컴퓨터, 프린터, 텔레비전 수상기, 비디오 카메라, 휴대형 네비게이션 장치, 휴대 전화기, 스마트 폰, 휴대용 게임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 등에 네트워크나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컴퓨터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라도 된다. 또한, 컴퓨터는,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예를 들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는,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장치 본체와는 별도로 배포되는 도 3의 착탈 가능 매체(31)에 의해 구성될뿐 아니라,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 등으로 구성된다. 착탈 가능 매체(31)는, 예를 들면, 자기 디스크(플로피 디스크를 포함함),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디스크는, 예를 들면, 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Blu―ray(등록상표) disc(블루 레이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된다. 광자기 디스크는, MD(Mini―Disk)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장치 본체에 미리 내장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도 3의 ROM(12)이나, 도 3의 기억부(19)에 포함되는 하드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을 기술(記述)하는 스텝은, 그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행해지는 처리는 물론, 반드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지 않아도, 병렬적 또는 개별적으로 실행되는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의 용어는, 복수의 장치나 복수의 수단 등으로 구성되는 전체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이나 치환 등 각종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는 동시에,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촬상부, 입력부, 출력부, 기억부, 제1 통신부, 제2 통신부, 등을 전자 회로로 구성하고, 촬상 제어부, 통신 제어부, 어플리케이션 관리부, 페어링 상황 판정부, 어드버타이징 신호 생성부, 등을 소프트 웨어(RAM 또는 ROM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CPU에 실행시키는)로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소프트 웨어로 실현하거나, 소프트 웨어로 실현되고 있는 각종 기능의 일부 또는 모두를 전자 회로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46)

  1. 다른 기기(機器)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1 통신 방식의 통신은,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제2 통신 방식의 통신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유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확립된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상태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부터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란,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 또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지 않는 상태, 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기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어느 쪽이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 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양쪽을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의해 다른 기기를 제어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다른 기기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다른 기기를 상기 제1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른 기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송신되어 오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를 상기 제2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준비가 되어 있는 상태로 이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게 하는 다른 기기를 지정 기기로서 임의로 지정하고,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고, 상기 통신 접속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해제한 상태로 하고,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지정 기기를 지정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한 상기 지정 기기와의 통신 접속을 개시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상기 다른 기기 중 한쪽은, 촬상(撮像)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이며, 다른 쪽은, 화상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표시 단말기이며,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상기 표시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하는 화상 전송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는, 상기 촬상 장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1 데이터 처리와, 상기 표시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상 전송 처리를 개시하는 제2 데이터 처리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
  11.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기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1 기기와,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구비한 제2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기는,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기기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부; 및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기억부는,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2 프로그램을 더 기억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그램 및 상기 제2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와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신하고, 그 후, 취득한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의 상기 제1 프로그램이 정지하고, 상기 제2 프로그램이 기동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그램이 실행하는 데이터 수신 처리에 의해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상기 소정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제2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통지를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직접 기동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제1 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1 프로그램의 기동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기동 요구에 따라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기동 통지에 의해 상기 제1 프로그램을 정지 상태로부터 기동 상태로 전환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제2 통신부보다 저속이지만 전력 절약이 가능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통신부의 통신에서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 통신부의 통신에 의해 상기 제1 프로그램을 기동 가능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는, 지정된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 중 어느 하나로 나누어 관리하는 처리이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수신한 데이터를 그룹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여 데이터 관리 처리를 실행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에 의해 관리 가능한 복수의 그룹에 관한 그룹 정보를 상기 제1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시키고,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가 기억하고,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새로운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기억하고 있는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그룹 선택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그룹으로 나누어 관리하게 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상기 제2 기기로부터 수신한 그룹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그룹을 일람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사용자 조작에 기초한 그룹 선택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제3 통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관리 처리는, 상기 제1 기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제3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데이터 공유 서비스는, 복수의 데이터를 복수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공유시키는 서비스이며,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공유 대상으로 지정하여 상기 서버에 송신하여 공유시킬 때, 상기 그룹 선택 정보로 지정되는 그룹을 지정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상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상기 제2 기기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취득한 화상을 공유할 것인지의 가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고, 상기 그룹 선택 정보와 함께, 공유의 가부 정보를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제2 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공유가 가능한 경우에,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의 제어부는,
    데이터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상이한 네트워크 상의 서비스를 선택하고,
    상기 제2 기기의 제어부는,
    수신한 데이터를, 선택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는,
    촬영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촬상 장치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자동 송신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새로운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부에 의해 송신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기인 촬상 장치의 제어부는,
    그룹 선택 정보를 기억 및 갱신하고,
    라이브 뷰 화면 상에 현재의 선택되어 있는 그룹을 표시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2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기는, 복수의 상이한 종류가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종류에 따라, 상기 기동의 제어를 변경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시 접속된 상태이며,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하는 접속 요구에 따라 통신 접속을 확립하고,
    상기 종류에 따라, 상기 통신 접속의 확립 제어를 변경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1.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고,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 전송 가능하게 동작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쪽의 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쪽의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의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에서의 데이터 전송 동작이 OS(Operating System)의 제어에 의해 중단될 때마다, 상기 한쪽의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다른 쪽의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행하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중단된 데이터 전송을 재개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방식과, 상기 제2 통신 방식을 연계시킴으로써, 상기 한쪽의 장치와 상기 다른 쪽의 장치를, 상대측의 장치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소정의 제어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의 송신 요구를 교환하고,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을 이용하여, 화상 송신을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지고,
    상기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키고,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는,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 별로, 상이한 동작을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지고,
    상기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켜,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서 미리 설정한 조건 하에서, 상기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7. 제31항에 있어서,
    백그라운드에서 기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할 수 없는 사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다른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에 의해 상기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지고,
    상기 한쪽의 장치에 있어서 촬영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촬영한 화상을 송신하여,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한 화상을 서버에 기억시키고, 서버로의 자동 등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사전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에 있어서, 서버로의 기억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서버의 기억처를 상기 한쪽의 장치에서 기억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39.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장치는, 상기 다른 쪽의 장치의 어드버타이징(advertising)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2 통신 방식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 장치 간의 페어링(pairing) 상태 및 어드버타이징 신호에 포함되는 디바이스명의 변화 상태에 따라 접속의 유무를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를 소정 타이밍에서 감시하고,
    감시를 행하는 장치의 전원이 온(ON) 상태인지 오프(OFF) 상태인지에 따라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접속 상태의 감시의 인터벌 시간을 변화시키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41. 제26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설정 변경을 금지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4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페어링이 확립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쪽의 장치에서 상기 제2 통신 방식에서의 통신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다른 쪽의 장치로부터의 의도적인 요구였던 것을 조건으로, 상기 한쪽의 장치의 전원을 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
  43. 역할이 상이한 복수의 기기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처리;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처리; 및
    상기 복수의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처리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기기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
    를 실행시키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4.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는 처리; 및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키는 처리;
    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방법.
  45. 다른 기기와 연계하여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가 상기 소정의 데이터 처리를 실행 가능한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1 통신 기능;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다른 기기와의 통신 접속이 유지되는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행하는 제2 통신 기능;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2 통신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을 행함으로써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에 있지 않은 것에 기인하여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에 의해 상기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소정의 통신을 행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다른 기기를 상기 소정의 동작 상태로 이행시킨 후에, 상기 소정의 연계 처리를 실행시키는 제어 기능;
    을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46. 복수의 장치 간에서 데이터를 교환하여,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어하는 컴퓨터로 하여금,
    한쪽의 장치와, 다른 쪽의 장치는, 복수의 상이한 통신 방식으로 접속하는 처리; 및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 중에, 상기 데이터 전송이 중단된 경우에, 제2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방식을 확립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1 통신 방식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재개시키는 처리;
    를 실행시키는,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KR1020160012284A 2015-02-04 2016-02-01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KR102524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0704 2015-02-04
JPJP-P-2015-020704 2015-02-04
JPJP-P-2015-056242 2015-03-19
JPJP-P-2015-056243 2015-03-19
JP2015056242 2015-03-19
JP2015056243 2015-03-19
JP2015216558A JP6217731B2 (ja) 2015-02-04 2015-11-04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JP-P-2015-216559 2015-11-04
JPJP-P-2015-216558 2015-11-04
JP2015216559A JP6278031B2 (ja) 2015-02-04 2015-11-04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6025A true KR20160096025A (ko) 2016-08-12
KR102524304B1 KR102524304B1 (ko) 2023-04-20

Family

ID=570083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84A KR102524304B1 (ko) 2015-02-04 2016-02-01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KR1020160012291A KR102538118B1 (ko) 2015-02-04 2016-02-01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291A KR102538118B1 (ko) 2015-02-04 2016-02-01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6278031B2 (ko)
KR (2) KR102524304B1 (ko)
CN (1) CN111083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33397B2 (ja) * 2016-08-12 2021-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6652115B (zh) * 2016-09-30 2018-04-06 广东京奥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服务器平台的视频门禁监控系统
JP6737126B2 (ja) * 2016-10-21 2020-08-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連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連携方法および連携プログラム
JP6971733B2 (ja) * 2017-09-13 2021-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407241B2 (ja) * 2016-12-06 2018-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8105422A1 (ja) * 2016-12-06 2018-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102271876B1 (ko) * 2016-12-09 2021-06-30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핫스팟 접속 구축 방법 및 단말 장치
JP6976689B2 (ja) * 2017-01-26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49413B1 (ko) 2017-04-24 2021-05-0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이미지 공유 방법 및 전자 디바이스
KR102210020B1 (ko) * 2017-06-29 2021-02-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91072B2 (ja) * 2017-08-09 2021-06-1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受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24281B2 (ja) * 2017-09-25 2022-02-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被制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92825B2 (ja) * 2017-12-19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40538B2 (ja) * 2018-04-26 2022-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7059120B2 (ja) 2018-06-25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7222190B2 (ja) * 2018-07-12 2023-02-1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機器、通信システム、通信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7135578B2 (ja) * 2018-08-20 2022-09-1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ホスト装置
JP7052641B2 (ja) * 2018-08-27 2022-04-12 村田機械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2323656B1 (ko) * 2019-06-04 2021-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어플라이언스 제어 장치 및 방법, 홈 어플라이언스 및 홈 어플라이언스 동작 방법
KR20240045640A (ko) * 2022-09-30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특정 공간을 주행하는 로봇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516A (ja) * 2002-02-19 2003-08-29 Sony Corp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遠隔操作装置および撮像遠隔操作方法
KR20060017500A (ko) * 2003-04-23 2006-02-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70031448A (ko) * 2007-02-09 2007-03-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데이터 표시 프로그램 및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2007306201A (ja) * 2006-05-10 2007-1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140080416A (ko) * 2012-12-20 2014-06-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무선 단말기, 휴대 정보 단말기의 기동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 매체
JP2014230024A (ja) 2013-05-21 2014-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操作端末、カメラ、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09451B1 (en) * 2003-05-30 2008-08-05 Aol Llc, A Delaware Limited Liability Company Switching between connectivity types to maintain connectivity
CN1969569B (zh) * 2004-03-30 2012-02-15 基诺马公司 接口协商设备及方法
JP4275027B2 (ja) * 2004-06-30 2009-06-1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装置、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WO2006055784A2 (en) * 2004-11-19 2006-05-26 The Trustees Of The 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access terminal wiht capability for simultaneous connectivity to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JP4612865B2 (ja) * 2005-05-20 2011-0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JP2007020037A (ja) * 2005-07-11 2007-01-25 Nikon Corp 電子カメラ
US8559350B2 (en) * 2005-12-20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sm to convey discovery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JP5334184B2 (ja) * 2009-05-22 2013-11-06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912568B2 (en) * 2009-06-24 2018-03-06 Provenance Asset Group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roken path in peer-to-peer network
JP2011211391A (ja) * 2010-03-29 2011-10-20 Nikon Corp 撮影依頼端末、撮像装置、撮影依頼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2404093A (zh) * 2010-09-10 2012-04-04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数据传输方式的管理方法和数据传输设备
US20120240062A1 (en) * 2011-03-14 2012-09-20 Celly, Inc. Text-based messaging application cloud
US9548869B2 (en) * 2011-04-08 2017-01-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implementing multicasting using personal area network “pan” wireless technology
WO2013118487A1 (ja) * 2012-02-08 2013-08-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装置
TW201243604A (en) * 2012-07-11 2012-11-01 Cal Comp Electronics & Comm Co Data transfer method
CN108173574B9 (zh) * 2012-10-19 2021-11-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控制文件传输的方法及终端
EP2725774A2 (en) * 2012-10-29 2014-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ireless connection method
CN102984393B (zh) * 2012-12-12 2015-06-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之间传输文件的方法及移动终端
JP6062239B2 (ja) * 2012-12-27 2017-01-18 株式会社ザクティ 電子機器
JP5792753B2 (ja) * 2013-01-18 2015-10-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装置動作状態移行方法
US9204353B2 (en) * 2013-03-15 2015-12-01 Qualcomm Incorporated Receiver-only tune-away
US9408149B2 (en) * 2013-03-18 2016-08-02 Mediatek Inc. Method of managing communication traffic for multiple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JP2014207650A (ja) * 2013-03-21 2014-10-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335437B2 (ja) * 2013-04-26 2018-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514816A (en) * 2013-06-05 2014-12-10 Nordic Semiconductor Asa Digital radio communication
JP6330265B2 (ja) * 2013-06-24 2018-05-3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55347B2 (ja) * 2014-02-20 2015-07-2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03916975A (zh) * 2014-04-11 2014-07-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络连接管理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4516A (ja) * 2002-02-19 2003-08-29 Sony Corp 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撮像遠隔操作装置および撮像遠隔操作方法
KR20060017500A (ko) * 2003-04-23 2006-02-2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통신시스템, 및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306201A (ja) * 2006-05-10 2007-11-22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情報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20070031448A (ko) * 2007-02-09 2007-03-1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데이터 표시 방법, 정보 처리 시스템,데이터 표시 프로그램 및 데이터 표시 프로그램을 기록한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40080416A (ko) * 2012-12-20 2014-06-30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시스템, 무선 단말기, 휴대 정보 단말기의 기동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기록 매체
JP2014230024A (ja) 2013-05-21 2014-1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操作端末、カメラ、撮像システム、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083685A (zh) 2020-04-28
JP6217731B2 (ja) 2017-10-25
KR102524304B1 (ko) 2023-04-20
JP6669151B2 (ja) 2020-03-18
JP2016174348A (ja) 2016-09-29
JP2016174347A (ja) 2016-09-29
JP6278031B2 (ja) 2018-02-14
JP2018038081A (ja) 2018-03-08
KR102538118B1 (ko) 2023-05-26
CN111083685B (zh) 2023-12-05
KR20160096026A (ko) 2016-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4304B1 (ko) 데이터 처리 장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
US11050891B2 (en) Data processing system executing predetermined data processing by plurality of apparatuses linking
US982602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90191074A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image capture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1004389A (ja) 通信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US1108948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in a selected procedure from among a plurality of procedures to establish wireless connection, control method for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WO2016013119A1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7093179B2 (ja) 通信装置、電子機器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
JP641523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014282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ng with external apparatus b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463050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0512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132602A (ja) 画像機器を導入しリンクする方法
JP201709264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86862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433231B2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1150365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711610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7097694B2 (ja)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7085518A (ja)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23125841A (ja) 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93069A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