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2488A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2488A
KR20160092488A KR1020160004158A KR20160004158A KR20160092488A KR 20160092488 A KR20160092488 A KR 20160092488A KR 1020160004158 A KR1020160004158 A KR 1020160004158A KR 20160004158 A KR20160004158 A KR 20160004158A KR 20160092488 A KR20160092488 A KR 20160092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opening
gas
end portion
a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4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7948B1 (ko
Inventor
히데오 요시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6009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7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B65G1/0428Transfer means for the stacker crane between the a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1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 B66B5/02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being independent of the system where the abnormal operating condition is caused by an accident, e.g. f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97Wafer casset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아래쪽 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 등이 개구를 통하여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를 제공한다. 위쪽 층과 아래쪽 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바닥부(FM)에, 승강체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P)를 형성하고, 개구(P)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34)를 설치한다. 기체를 분출하는 분출부(42)를 구비한 기체 분출 장치(40)를, 방화 도어(34)보다 아래쪽에 설치한다. 분출부(42)는, 방화 도어(34)가 개구(P)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기체를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방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搬送)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된 물품 반송 설비가, 일본 공개특허 제2009―137675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물품 반송 설비에는, 위쪽 층과 아래쪽 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에, 승강체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물품 반송 설비에는, 이 개구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특허 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는, 아래쪽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화재에 의해 발생한 화염이나 연기 및 열기(이하, 열기 등 이라고 함)가 개구를 통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방화 도어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의 단부(端部)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나 승강체에 급전(給電)하는 급전 케이블 등의 형상이 복잡한 설치물이 바닥면의 개구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방화 도어의 단부의 형상을 설치물의 형상에 맞추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의 단부와 설치물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쉽다.
이와 같은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면, 아래쪽 층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화재에 의해 생긴 화염이나 연기 등이,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위쪽 층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이 대책으로서, 간극이 형성되는 개소(箇所)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를 구비하여 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화재에 의한 가열로 팽창한 팽창체에 의해 간극을 폐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간극을 막음으로써, 화염이나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화재가 발생하고 나서 팽창체가 팽창하여 간극을 막기까지는 시간차가 있다. 그러므로, 팽창체가 팽창하여 간극을 막기까지, 간극을 통하여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여 버릴 우려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9―137675호 공보
그래서, 아래쪽 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 등이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을 통하여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품 반송 설비가 요구된다.
일 태양(態樣)으로서, 물품 반송 설비는,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장치와,
상기 복수 층 중, 최상층과 최하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인 중간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와,
기체(氣體)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한 기체 분출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체 분출 장치는, 상기 방화 도어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출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기체를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체 분출 장치의 분출부가 분출된 기체는,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된다. 그리고,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유동(流動)에 의해, 이 기체가 유동하고 있는 개소보다 상부에는, 연기 등이 쉽게 상승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기체가 유동하고 있는 개소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간극을 통하여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 등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체 분출 장치로부터 분출된 기체에서의 간극의 바로 아래에서의 기류의 강도는, 연기 등에 의한 상승 기류의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반송 장치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의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승강식 반송 장치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3은 승강식 반송 장치와 통부의 광폭 부분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승강식 반송 장치와 통부의 협폭 부분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개방 상태의 방화 도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폐쇄 상태의 방화 도어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방화 도어와 기체 분출 장치를 나타낸 종단 측면도
도 8은 기체 분출 장치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에는, 복수 층의 사이에서 물품(1)을 반송하는 승강식 반송 장치(2)와, 복수 층의 각 층에 설치되고, 또한 천정 근처를 주행하여 물품(1)을 반송하는 천정 반송차(搬送車)(3)와, 복수 층의 각 층에 설치되고, 또한 바닥면 상을 주행하는 바닥면 반송차(4)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식 반송 장치(2)는, 상층(U)과 하층(D)에 걸쳐 승강체(6)를 승강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장치여.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1)으로서, 반도체 기판을 수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예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반송 설비(100)가, 상층(U), 중간층(M), 하층(D)의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당연히, 물품 반송 설비(100)는, 2층 건물의 구조라도 되고, 4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2층 건물의 경우에는, 중간층(M)은 없고, 상층(U)과 하층(D)으로 구성된다. 4층 이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하의 설명에서의 상층(U)은, 최상층에 상당하여, 하층(D)은 최하층에 상당한다. 또한, 중간층(M)은, 최상층과 최하층을 제외하고, 양 층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 층의 각각에 상당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식 반송 장치(2)는, 물품(1)을 지지하는 승강체(6)와, 승강체(6)에 접속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7)와, 승강체(6) 및 밸런스 웨이트(7)를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안내하는 스틸제의 가이드 레일(8)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U)과 하층(D)과의 사이에는, 상층(U)의 바닥부(F)와 중간층(M)의 바닥부(F)가 있다. 이들 바닥부(F)를, 하층(D)(최하층)의 바닥부(F)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중간 바닥부(FM)라고 한다. 이들 상층(U)과 하층(D)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F)[중간 바닥부(FM)]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체(6)나 밸런스 웨이트(7)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P)가 형성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물품 반송 설비(100)에는,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개구(P)를 개폐할 수 있는 방화 도어(34)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은, 개구(P)를 관통하여 상층(U), 중간층(M) 및 하층(D)에 이르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아래쪽에 층이 존재하는 층의 바닥부(F)는, 상기 층의 아래쪽 층의 천정부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층(U)의 바닥부(F)는, 중간층(M)의 천정부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중간층(M)의 바닥부(F)는, 하층(D)의 천정부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즉, 중간 바닥부(FM)는, 각각, 바로 아래층의 천정부를 겸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위쪽 층이란, 예를 들면, 화재 등이 생긴 층을 대상층으로서 상기 대상층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층이나, 화재 등에 따라 폐쇄되는 방화 도어(34)(대상 방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바닥부(F)[중간 바닥부(FM)]를 대상 바닥부로 하여, 상기 대상 바닥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층을 말한다. 또한, 아래쪽 층이란, 전술한 위쪽 층과는 반대의 개념이며, 위쪽 층에 비해 아래쪽에 위치하는 층이나, 화재가 발생하고 있는 층, 전술한 대상 바닥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층을 말한다. 따라서, 최상층[상층(U)]은 기본적으로 위쪽 층에 대응하고, 최하층[하층(D)]은 기본적으로 아래쪽 층에 대응한다. 중간층(M)은, 상황에 따라서, 위쪽 층 및 아래쪽 층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중간층(M) 중 하나에서 화재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중간층(M)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층[별개의 중간층(M) 및 하층(D)]은 아래쪽 층으로 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층(M)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층[나머지 중간층(M) 및 상층(U)]은, 위쪽 층으로 된다.
각 층에 있어서는, 물품(1)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차(5)로서, 천정 반송차(3)와 바닥면 반송차(4)가 운용되고 있다. 천정 반송차(3)는, 각 층의 천정부에 설치된 주행 레일(L)에 현수(懸垂) 지지되어, 상기 주행 레일(L)을 따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5)이다. 바닥면 반송차(4)는, 각 층의 바닥부(F)를 주행하는 물품 반송차(5)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100)에는, 승강체(6)가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통체(9)가, 상층(U)으로부터 하층(D)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통체(9)는, 승강체(6)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체(9)에는, 상층(U), 중간층(M) 및 하층(D)의 각각의 층과 승강체(6)와의 사이에서, 물품(1)을 출입시키기 위한 출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통체(9)는, 각 층에 대응하여 분할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체(9)는, 상층(U)에 설치된 부분과, 중간층(M)에 설치된 부분과, 하층(D)에 설치된 부분으로 3분할 구성되어 있다. 분할 구성된 부분의 각각이, 내부에 승강체(6)의 승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을 따르는 통형(筒形)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9)의 각 부분은, 수평 방향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은 광폭 부분(9a)과, 상대적으로 좁은 협폭 부분(9b)을 구비하고 있다. 즉, 협폭 부분(9b)은, 그 횡단면적이 개구(P)의 면적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광폭 부분(9a)은, 그 횡단면적이 협폭 부분(9b)의 횡단면적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광폭 부분(9a)은, 상기 층에서의 바닥부(F) 측에 설치되고, 협폭 부분(9b)은, 상기 층에서의 바닥부(F)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층에 있어서는, 광폭 부분(9a) 상에 협폭 부분(9b)이 실리는 형태로, 통체(9)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9)에서의 광폭 부분(9a)에는, 물품(1)을 탑재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14)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컨베이어(14)는, 통체(9)로부터 외부로 연신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통체(9)의 내부와 통체(9)의 외부와의 사이에서, 물품(1)을 탑재 반송한다. 통체(9)의 내부에 있어서는, 반송 컨베이어(14)는, 통체(9)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측 개소(12)와 통체(9)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측 개소(13)와의 사이에서 물품(1)을 탑재 반송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층에 있어서 상하 방향(수직 방향)과 2단의 반송 컨베이어(14)[14a, 14b]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부(F) 측에는, 제1 반송 컨베이어(14a)가 설치되고, 바닥부(F)로부터의 높이가 제1 반송 컨베이어(14a)보다 높은 위치에, 제2 반송 컨베이어(1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반송 컨베이어(14)라고 하여 설명한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 반송 컨베이어(14b)의 외부측 개소(12)에 대해서는, 천정 반송차(3)가 물품(1)의 수수(授受)를 행하고,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반송 컨베이어(14a)의 외부측 개소(12)에 대해서는, 바닥면 반송차(4)가 물품(1)의 수수를 행한다. 또한, 제1 반송 컨베이어(14a)의 내부측 개소(13) 및 제2 반송 컨베이어(14b)의 내부측 개소(13)에 대해서는, 모두 승강식 반송 장치(2)가 물품(1)의 수수를 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 컨베이어(14)는, 통체(9)로부터 외부로 연신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통체(9)의 내부와 통체(9)의 외부와의 사이에서, 물품(1)을 반송할 때, 반송 컨베이어(14)에 탑재된 물품(1)이 통과하기 위한 출입구(15)가, 통체(9)의 벽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통체(9)에는, 출입구(15)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16)도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체(9)에서의 광폭 부분(9a) 및 협폭 부분(9b)의 양쪽에, 물품(1)을 수납하는 물품 수납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통체(9) 내에는, 복수의 물품(1)을 수납할 수 있다. 천정 반송차(3) 또는 바닥면 반송차(4)에 의해 반송 컨베이어(14)의 외부측 개소(12)에 물품(1)이 탑재되면, 상기 물품(1)은, 반송 컨베이어(14)에 탑재된 상태로, 반송 컨베이어(14)에 의해 외부측 개소(12)로부터 내부측 개소(13)로 반송된다. 내부측 개소(13)에 도달한 물품(1)은, 승강식 반송 장치(2)에 의해, 내부측 개소(13)로부터 물품 수납부(18)에 이송탑재(移載; transfer)되어, 물품 수납부(18)에 수납된다. 그리고, 승강식 반송 장치(2)는, 내부측 개소(13)로부터 물품 수납부(18)에 대한 이송탑재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측 개소(13)로부터 별개의 개소에 물품을 이송탑재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18)에 수납되어 있는 물품(1)은, 승강식 반송 장치(2)에 의해, 물품 수납부(18)로부터 반송 컨베이어(14)의 내부측 개소(13)에 이송탑재된 후, 반송 컨베이어(14)에 탑재된 상태로, 반송 컨베이어(14)에 의해 내부측 개소(13)로부터 외부측 개소(12)로 반송된다. 외부측 개소(12)에 도달한 물품(1)은, 천정 반송차(3) 또는 바닥면 반송차(4)에 의해 외부측 개소(12)로부터 하강한다.
도 2는, 승강식 반송 장치(2)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개구(P)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방화 도어(34)(자세한 것은 후술함)의 평면도(수직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체(6)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6)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20, 21)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승강체(6)에는 상측 승강용 벨트(20)(도 2, 도 5, 도 6 참조)와, 하측 승강용 벨트(21)(도 5, 도 6 참조)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승강용 벨트(20)는 2개 형성되어 있고, 하측 승강용 벨트(21)는 1개 설치되어 있다.
상측 승강용 벨트(20)는, 승강체(6)의 승강 경로의 위쪽에 설치된 상측 회전체(도시하지 않음)에 감겨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승강용 벨트(20)의 일단부는, 승강체(6)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측 승강용 벨트(20)의 타단부는, 밸런스 웨이트(7)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측 승강용 벨트(21)는, 승강체(6)의 승강 경로의 아래쪽에 설치된 하측 회전체(도시하지 않음)에 감겨져 있다. 도시는 생략하지만, 하측 승강용 벨트(21)의 일단부는, 승강체(6)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하측 승강용 벨트(21)의 타단부는, 밸런스 웨이트(7)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측 회전체를 플러스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상측 승강용 벨트(20)를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승강체(6)는, 승강 경로를 따라 승강 이동된다.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는, 승강체(6)와 밸런스 웨이트(7)는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를 협지하는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면에서 볼 때 승강체(6)와 밸런스 웨이트(7)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을 전후 방향 X라고 하고, 가이드 레일(8)에 대하여 승강체(6)가 위치하는 측을 전후 방향 전방측 X1, 가이드 레일(8)에 대하여 밸런스 웨이트(7)가 위치하는 측을 전후 방향 후방측 X2라고 한다. 또한, 이 전후 방향 X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수평면 상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가로 폭 방향 Y라고 한다.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8)은, 통체(9) 내에 있어서, 전후 방향 X의 중앙보다 전후 방향 후방측 X2로 치우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레일(8)의 전후 방향 전방측 X1의 부분에는, 승강체(6)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안내홈)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은, 가이드 레일(8)의 전면(前面)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전후 방향 전방측 X1으로부터 전후 방향 후방측 X2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은, 횡단면의 형상이, 외부로 연통되는 연통부의 가로 폭 방향 Y에 비해 안쪽의 가로 폭 방향 Y가 광폭(廣幅)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레일(8)에서의 전후 방향 후방측 X2의 부분에는, 밸런스 웨이트(7)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이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은, 가이드 레일(8)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전후 방향 후방측 X2로부터 전후 방향 전방측 X1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은, 횡단면의 형상이,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의 가로 폭 방향 Y에 비해 안쪽의 가로 폭 방향 Y가 광폭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승강용 벨트(20) 및 하측 승강용 벨트(21)는,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를 협지하는 상태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중앙부(8a)에 대하여 전후 방향 전방측 X1에는,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이 형성되고,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는,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 승강용 벨트(20) 및 하측 승강용 벨트(21)는,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를 협지하는 상태로, 승강체(6)와 밸런스 웨이트(7)와의 사이에 가로걸쳐져 있다.
도 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측 승강용 벨트(20)가 승강체(6)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위치 등, 상측 승강용 벨트(20)의 부위 중,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에 위치하는 부분은,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측 승강용 벨트(20)가 밸런스 웨이트(7)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위치 등, 상측 승강용 벨트(20)의 부위 중,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보다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위치하는 부분은,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하측 승강용 벨트(21)가 승강체(6)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위치 등, 하측 승강용 벨트(21)의 부위 중,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에 위치하는 부분은,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하측 승강용 벨트(21)가 밸런스 웨이트(7)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위치 등, 하측 승강용 벨트(21)의 부위 중, 가이드 레일(8)의 중앙부(8a)보다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위치하는 부분은,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체(6)에는, 가이드 레일(8)의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에 의해 안내되는 복수의 승강체용 안내 롤러(26)가 구비되어 있다. 승강체(6)는, 복수의 승강체용 안내 롤러(26)가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에 접촉함으로써 전후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로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한다. 또한, 밸런스 웨이트(7)에는, 가이드 레일(8)의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에 의해 안내되는 복수의 웨이트용 안내 롤러(27)가 설치되어 있다. 밸런스 웨이트(7)는, 복수의 웨이트용 안내 롤러(27)가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에 접촉함으로써 전후 방향 X 및 가로 폭 방향 Y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이동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에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 및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이 형성된 가이드 레일(8)의 외측에는, 급전선이나 통신선 등의 배선(29), 및 설비 점검용의 사다리(32)가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레일(8)의 외측에서의 가로 폭 방향 Y의 한쪽(도 2에 있어서 하측)에 배선(29)이 지지되고, 다른 쪽(도 2에 있어서 상측)에 사다리(32)가 지지되어 있다. 배선(29)은, 하층(D)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의 중간부가 중간층(M)에 있어서 고정 지지되고, 연장 방향의 선단부가 승강체(6)에 접속되어 있다. 중간층(M)에 있어서는, 가이드 레일(8)의 가로 폭 방향 Y의 한쪽(도 2에 있어서 하측)에 배선(29)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30)가 지지되어 있고, 고정 부재(31)에 의해 배선(29)의 중간부가 지지 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바닥부(FM)[상층(U)]과 [하층(D)]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F)에는, 그 개구(P)를 개폐할 수 있는 방화 도어(3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화 도어(34)로서, 상층(U)의 바닥부(F)의 상면[상층(U)]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는 방화 도어(34)와 중간층(M)의 바닥부(F)의 상면[중간층(M)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있는 방화 도어(34)가 있다. 이들 방화 도어(34)는, 중간 바닥부(FM)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방화 도어(34)로서, 어느 쪽도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즉, 어느 쪽의 방화 도어(34)도, 중간 바닥부(FM)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P)의 위쪽에 상기 개구(P)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은, 방화 도어(34)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방화 도어(34)를 포함하는 중간 바닥부(FM)의 종단면도이다.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 도어(34)는, 직사각형의 개구(P)를 에워싸도록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프레임체(35)와 복수의 도어체(3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레임체(35) 및 복수의 도어체(36)는, 스틸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도어체(36)에는, 메인 도어체(36a),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 및 고정 도어체(36d)를 포함한다. 메인 도어체(36a),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 및 고정 도어체(36d)는, 수평 방향을 따라(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방향 X을 따라), 정렬되어 있다.
메인 도어체(36a)는,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의 부분을 차폐한다.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는,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의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 내를 차폐한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는,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의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를 차폐한다. 고정 도어체(36d)는,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보다 전후 방향 후방측 X2의 부분을 차폐한다. 즉, 메인 도어체(36a)는, 개구(P) 중,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한다. 그리고,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는, 개구(P)에서의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체에 상당한다.
메인 도어체(36a)는, 모터와 기어의 조합이나 다른 주지의 기구(機構)에 의해, 수평 방향을 따라(전후 방향 X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메인 도어체(36a)는, 전후 방향 X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보다 전후 방향 전방측 X1의 부분을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상기 부분을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도어체(36d)는, 개구(P) 중, 가이드 레일(8)보다 전후 방향 후방측 X2의 부분을 차폐하는 폐쇄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는,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의 안쪽인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있어서, 가로 폭 방향 Y을 따라 설치된 축심(軸心)[제1 요동축(搖動軸)(AX1)]을 요동축으로 하여 요동(搖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는, 모터와 기어의 조합이나 다른 주지의 기구에 의해, 제1 요동축 AX1을 요동축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개구(P) 중,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 내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 내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는, 개방 자세로 자세 변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승강체(6)의 승강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는,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의 개구부 측인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있어서, 가로 폭 방향 Y을 따라 설치된 축심[제2 요동축(AX2)]을 요동축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는, 모터와 기어의 조합이나 다른 주지의 기구에 의해, 제2 요동축(AX2)를 요동축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개구(P) 중,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를 폐쇄하는 폐쇄 상태와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는, 개방 자세로 자세 변경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밸런스 웨이트(7)의 승강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도어체(36a)의 선단부에는, 한 쌍의 상측 승강용 벨트(20)가 각각 끼워맞추어지는 한 쌍의 제1 오목부(38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도어체(36a)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에, 한 쌍의 상측 승강용 벨트(20)가 한 쌍의 제1 오목부(38a)에 끼워맞추어진다. 끼워맞춘 후에는,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메인 도어체(36a)가, 한 쌍의 상측 승강용 벨트(20)를 전후 방향 후방측 X2으로 가압하여 간다. 메인 도어체(36a)가 폐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메인 도어체(36a)와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와의 사이에, 한 쌍의 제1 오목부(38a)에 의한 간극이 형성되게 되지만, 이 간극은, 한 쌍의 상측 승강용 벨트(20)에 의해 차폐(遮蔽)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의 선단부에는, 하측 승강용 벨트(21)가 끼워맞추어지는 제2 오목부(38c)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도중에, 하측 승강용 벨트(21)가 제2 오목부(38c)에 끼워맞추어진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의 선단부[제2 오목부(38c) 측의 단부]는, 아래쪽 및 전후 방향 전방측 X1으로의 이동 성분을 가지고 원호를 그려 폐쇄 상태로 전환되어 가므로, 하측 승강용 벨트(21)와 제2 오목부(38c)가 끼워맞춘 후에는,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가, 하측 승강용 벨트(21)를 전후 방향 전방측 X1로 가압하게 된다.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가 폐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와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제2 오목부(38c)에 의한 간극이 형성되게 되지만, 이 간극은, 하측 승강용 벨트(21)에 의해 차폐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도어체(36a)에는, 폐쇄 상태에 있어서 고정 부재(31)에 근접하는 개소에, 열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39)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 도어체(36a)가 폐쇄 상태로 전환된 상태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을 받아 팽창체(39)가 팽창함으로써, 메인 도어체(36a)와 지지 부재(30)나 고정 부재(3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차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팽창체(39)는, 방화 도어(34)가 개구(P)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4)의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방화 도어(34)의 단부」란, 방화 도어(34)의 구성 부분(도어체)의 단부를 의미한다.
물품 반송 설비(100)에서는, 승강식 반송 장치(2)에 의해 물품(1)을 반송하는 통상 시는, 방화 도어(34)는 개방 상태로 전환되어 있다. 하층(D) 등, 어느 하나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그 화재가 도시하지 않은 화재 검지기에 의해 검지된다. 물품 반송 설비(100)를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화재 검지기의 검지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식 반송 장치(2)를 제어하여, 승강체(6)를 하층(D)으로 하강 이동시킨다. 그 후, 상기 제어 장치는, 방화 도어(34)의 작동을 제어하여, 방화 도어(34)를 폐쇄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방화 도어(34)를 폐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중간 바닥부(FM)에 형성된 개구(P)를 닫을 수 있다. 그러나,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간극이 존재하면, 이 간극을 통하여, 아래쪽 층에서 발생한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할 우려가 있다. 방화 도어(34)를 폐쇄한 상태로, 그리고,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존재할 우려가 있는 간극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도어체(36a)의 단부와 가이드 레일(8)이나 고정 도어체(36d)의 단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의 단부와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및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와 가이드 레일(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 등이다.
그래서, 방화 도어(34)를 폐쇄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간극을 통하여, 연기 등이 아래쪽 층으로부터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분출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체 분출 장치(40)에는, 기체로서의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부(42)가 구비되어 있다.
기체 분출 장치(40)는, 복수 구비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중간 바닥부(FM)의 하면[각 중간층(M)의 천정면 및 하층(D)의 천정면]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분출 장치(40)는, 상층(U)의 바닥부(F)의 하면[중간층(M)의 천정면]과, 중간층(M)의 바닥부(F)의 하면[하층(D)의 천정면]에,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기체 분출 장치(40)는,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어느 기체 분출 장치(40)도, 중간 바닥부(FM)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P)의 아래쪽에서, 상기 개구(P)에 인접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개구(P)에는, 방화 도어(34)에 더하여 기체 분출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기체 분출 장치(40)는, 개구(P)에 대하여 하방측으로, 개구(P)에 인접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방화 도어(34)보다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기체 분출 장치(40)는, 방화 도어(34)가 설치된 중간 바닥부(FM)를 천정부로 하는 아래쪽 층에 설치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 분출 장치(40)는, 개구(P)에 대하여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 분출 장치(40)는, 통체(9)의 외측[통체(9)에 대하여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체 분출 장치(40)에는,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41)와, 이 흡기부(41)가 급기(給氣)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부(42)가 구비되어 있다. 흡기부(41)와, 분출부(42)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에 모터 구동의 팬(fan)나, 공기를 이동시키는 주지의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흡기부(41)는, 기체 분출 장치(40)에 대하여 승강체(6)의 승강 경로가 존재하는 측과는 반대측[전후 방향 후방측 X2]의 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한다. 분출부(42)는, 기체 분출 장치(40)에 대하여 승강체(6)의 승강 경로가 존재하는 측(전후 방향 전방측 X1)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한다. 분출부(42)가 기체를 분출하는 분출구와 상기 분출구에 대향하는 통체(9)의 외벽면[통체(9)의 전후 방향 후방측 X2의 벽면]은, 근접하여, 바람직하게는, 거의 밀착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분출부(42)와 대향하는 상기 벽면에는, 분출부(42)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를 통체(9)의 내부로 인도하기 위한 기체 유입구(43)가 설치되어 있다.
분출부(42)는, 가로 폭 방향 Y을 따라, 광폭의 밴드형으로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출부(42)가 공기를 분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기의 띠는, 도어체(36)의 가로 폭 방향 Y에 따른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즉, 분출부(42)는, 가로 폭 방향 Y에 따른 도어체(36)의 전체 폭에 걸쳐 공기를 분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기체 분출 장치(40)의 분출부(42)는, 방화 도어(34)가 개구(P)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공기를 수평 방향(전후 방향 X)을 따라 분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분출된 공기(기체)는, 상승하는 열기나 연기가 간극을 통하여 위쪽 층으로 침입하지 않도록, 연기 등이 상기 간극에 도달하기 전에, 연기 등을 수평 방향으로 날려 버린다.
또한, 통체(9)는, 상기 통체(9)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기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체용 통기부(4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체용 통기부(44)는, 각각의 중간 바닥부(FM)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 통체용 통기부(44)는, 통체(9)의 전후 방향 전방측 X1[분출부(42)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에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체용 통기부(44)는, 통체(9)의 전후 방향 전방측 X1의 면을 형성하는 부분(전방측 통 형성면)에서, 또한 분출부(42)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통체(9)에 설치되는 통체용 통기부(44)는, 수평 방향(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분출부(42)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체(9)에는, 기체 유입구(43)가 설치되어 있다. 통체용 통기부(44)는, 이 기체 유입구(43)와도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분출부(42)로부터 분출된 기체는, 기체 유입구(43), 개구(P)의 바로 아래[개구(P)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을 포함함], 통체용 통기부(44)를 빠져나간다.
가이드 레일(8)도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 X[분출부(42)의 기체 분출 방향]으로 기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레일용 통기부(4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레일용 통기부(45)는, 가이드 레일(8)에서의 승강체용 걸어맞춤홈(24)과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중앙부(8a)]에서, 또한 분출부(42)와 같은 높이로 형성된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가이드 레일(8)에 설치되는 레일용 통기부(45)는, 수평 방향(전후 방향 X)에 있어서, 분출부(42)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다.
분출부(42)로부터,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수평 방향(전후 방향 X)으로 분출된 기체는, 기체 유입구(43), 레일용 통기부(45), 통체용 통기부(44)를 통하여, 통체(9) 중에서 통체(9)의 외부로 흐른다. 예를 들면, 통체(9)의 내부를 연기 등이 상승해 와도, 상기 간극으로부터 중간 바닥부(FM)를 넘어 연기가 상승하지 않도록, 그 연기를 통체(9)의 외부로 분출할 수 있다. 즉, 방화 도어(34)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기체를 분출함으로써, 이 기체의 유동에 의해, 연기 등의 상승을 방지하여 연기 등이 간극을 통하여 보다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체 분출 장치(40)의 분출부(42)로부터 분출된 공기가 통체용 통기부(44)나 레일용 통기부(45)를 지남으로써, 통체(9)의 내부에 있어서 공기의 유동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다. 따라서, 연기 등의 상승을 방지하여, 연기 등이 간극을 통하여 보다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기 용이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설명에서는, 기체 분출 장치(40)로서, 후방(전후 방향 후방측 X2)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하는 흡기부(41)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흡기부(41)는, 기체 분출 장치(40)의 위쪽[바닥부(F)와 기체 분출 장치(40)와의 사이의 공간]이나 아래쪽으로부터 공기를 흡인해도 된다.
(2)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개구(P)의 가로 폭보다 광폭의 공기의 층을 형성하도록, 분출부(42)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상기 공기의 층의 가로 폭은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8)의 가로 폭에 지지 부재(30)의 가로 폭을 부가한 폭 정도의 공기의 층을 형성하도록, 분출부(42)로부터 공기를 분출하여, 평면에서 볼 때, 개구(P)에서의 가이드 레일(8)의 주위나 배선(29)의 주위에만 공기를 분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3) 상기에 있어서는, 분출부(42)로부터 공기를 분출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분출부(42)로부터 질소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분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4) 상기에 있어서는, 방화 도어(34)를, 메인 도어체(36a)와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36b)와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와 고정 도어체(36d)와의 4개의 도어체(36)를 구비하여 구성하는 형태를 예시했다. 그러나, 방화 도어(34)는, 3개 이하 또는 5개 이상의 도어체(3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를 구비하지 않고 웨이트용 걸어맞춤홈(25) 내를 폐쇄되지 않도록 하여 도어체(36)의 개수를 감소시켜도 된다. 또한, 메인 도어체(36a) 대신에 제1 도어체와 제2 도어체를 구비하여, 메인 도어체(36a)에 의해 폐쇄하고 있었던 부분을 제1 도어체와 제2 도어체로 닫도록 하여 도어체(36)의 개수를 증가시켜도 된다.
(5) 또한, 방화 도어(34)의 개폐 구조도,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메인 도어체(36a)를, 권취 및 송출함으로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웨이트측 서브 도어체(36c)를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6) 상기에 있어서는, 방화 도어(34)의 단부와 배선(29)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폐색(閉塞)하기 위해, 방화 도어(34)의 단부 개소에 팽창체(39)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했다. 그러나, 이 간극으로부터의 연기 등의 침입을, 예를 들면, 기체 분출 장치(40) 등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경우 등에서는, 팽창체(39)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7)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승강체(6)의 승강 경로를 에워싸는 통체(9)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승강체(6)의 승강 경로를 국소적으로 청정화할 필요가 없는 경우 등에서는, 통체(9)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8)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승강체(6)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8)을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했지만, 상하 방향으로 신축되고, 또한 선단부에 승강체를 지지한 신축(伸縮) 암(arm)을 구비하여, 신축 암의 신축에 의해 승강체(6)를 승강 이동시키는 경우 등에서는, 가이드 레일(8)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9) 상기에 있어서는, 기체 분출 장치(40)는, 통체(9)의 외측[통체(9)에 대하여 전후 방향 후방측 X2]에 형성되어 있고, 분출부(42)와 대향하는 통체(9)의 외벽면에는, 분출부(42)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를 통체(9)의 내부로 인도하기 위한 기체 유입구(43)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했다. 그러나, 기체 분출 장치(40)가, 통체(9)의 내측에 설치되는 형태를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기체 유입구(43)는, 통체(9)의 내벽면에 있어서, 기체 분출 장치(40)의 흡기부(41)와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
이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물품 반송 설비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1개의 태양으로서, 물품 반송 설비는,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 장치와,
상기 복수 층 중, 최상층과 최하층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인 중간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와,
기체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한 기체 분출 장치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기체 분출 장치는, 상기 방화 도어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출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기체를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체 분출 장치의 분출부가 분출된 기체는,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된다. 그리고,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유동에 의해, 이 기체가 유동하고 있는 개소보다 상부에는, 연기 등이 쉽게 상승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기체가 유동하고 있는 개소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간극을 통하여 연기 등이 상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기 등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기체 분출 장치로부터 분출된 기체에서의 간극의 바로 아래에서의 기류의 강도는, 연기 등에 의한 상승 기류의 강도보다 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체 분출 장치가, 상기 방화 도어보다 아래쪽 층의 공기를 흡기하는 흡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부가, 상기 흡기부가 흡입한 공기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체 분출 장치는, 흡기부에 의해 아래쪽 층의 공기를 흡인하여, 그 공기를 분출부로부터 분출한다. 아래쪽 층의 공기는, 화재의 발생에 의해 산소의 함유율이 낮아져 있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산소의 함유율이 낮은 공기를 분출부로부터 분출함으로써, 화재가 심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간극을 통해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체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경로 형성용의 통체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복수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물품 출입용의 출입구와 상기 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기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체용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용 통기부는, 상기 통체에서의,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출입구에 반입(搬入)된 물품을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여 별개의 출입구로부터 반출(搬出)하도록 하여,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해 물품을 복수의 층에 걸쳐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으로서 반도체 등의 기판을 수용하는 용기를 반송하는 경우 등에서는, 이동 경로의 환경을 클린(clean)한 환경으로 할 필요가 있지만, 통체 내를 국소적으로 클린하게 하는 것만으로 되는 등,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해 물품을 반송할 때의 환경을 물품에 적절한 환경으로 하기 용이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통체를 설치한 경우에는, 기체 분출 장치의 분출부로부터 분출되어 간극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기체가 통체의 내면에 닿음으로써 기류가 흐트러져 버려, 연기 등이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통체에서의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되는 개소에 통체용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간극의 바로 아래를 통과한 기체가 통체용 통기부를 통과하여 통체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로써,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기 등이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통체에서의 분출부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소에 통체용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통체용 통기부가, 상기 통체에서의,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또한 상기 기체 분출 장치가, 상기 분출부가 상기 통체의 벽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통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통체의 벽면에는, 상기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를 상기 통체의 내부로 인도하기 위한 기체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체의 외부로부터 분출부에 의해, 기체 유입구를 통하여 통체의 내부에 기체가 분출되고, 분출된 기체는, 통체 통기부를 통하여 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즉,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 간극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기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극을 통해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에 이르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으로 기체를 통기 가능한 레일용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승강체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면서 승강 이동하므로, 승강체를 승강 경로를 따라 적절히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을 설치한 경우에는, 기체 분출 장치의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가 가이드 레일에 닿음으로써 기류가 흐트러져 버려, 연기 등이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가이드 레일에,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으로 기체를 통기 가능한 레일용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기체가 레일용 통기부를 통과하도록 된다. 이로써,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연기 등이 간극을 통과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하기 용이해진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에서의 분출부의 정면에 위치하는 개소에 레일용 통기부를 구비함으로써, 분출부로부터 분출된 기체의 흐름이 흐트러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승강체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이,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보다 안쪽부 측이 광폭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에서의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체와, 상기 개구에서의 상기 안내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구에서의 안내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서브 도어체에 의해 폐쇄하고, 개구에서의 안내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서브 도어체에 의해 폐쇄함으로써, 단일의 도어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폐 도어의 단부와 가이드 레일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작게 하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체를 원활하게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체에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승강용 벨트는, 중간 바닥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복수의 층에 걸쳐 연장되게 된다. 여기서,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한 경우, 승강용 벨트가 방화 도어와 개구와의 사이에 협지되어, 불필요한 간극을 형성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의하면, 방화 도어의 단부에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한 경우라도, 그와 같은 불필요한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방화 도어가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승강용 벨트를 가지는 경우에도, 방화 도어에 의해 개구를 폐쇄한 경우에 불필요한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그와 같은 간극을 통해 연기 등이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가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팽창체에 의해 방화 도어의 단부에 형성되는 간극이 물리적으로 폐쇄됨으로써, 아래쪽 층의 화재에 의해 발생한 화염이나 연기 등이 간극으로부터 위쪽 층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물품
2; 물품 반송 장치(승강식 반송 장치)
6; 승강체
8; 가이드 레일
9; 통체
24; 승강체용 걸어맞춤홈(안내홈)
34; 방화 도어
36a; 메인 도어체
36b; 승강체측 서브 도어체(서브 도어체)
39; 팽창체
40; 기체 분출 장치
41; 분출부
42; 흡기부
44; 통체용 통기부
45; 레일용 통기부
F; 바닥부
FM; 중간 바닥부
P; 개구

Claims (17)

  1. 복수 층에 걸쳐,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승강 이동시키는 물품 반송(搬送) 장치;
    상기 복수 층 중,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부인 중간 바닥부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가 상하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방화 도어; 및
    기체(氣體)를 분출하는 분출부를 구비한 기체 분출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 분출 장치는, 상기 방화 도어보다 아래쪽에 설치되고,
    상기 분출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단부(端部)에 형성되는 간극의 바로 아래를 향해 기체를 수평 방향을 따라 분출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출 장치가, 상기 방화 도어보다 아래쪽 층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출부는, 상기 흡기부가 흡입한 공기를 분출하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경로 형성용의 통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복수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물품 출입용의 출입구; 및
    상기 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기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체용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용 통기부는, 상기 통체에서의,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되는 개소(箇所)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가 승강 이동하는 승강 경로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경로 형성용의 통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통체는,
    상기 복수 층의 각각에 대응하여 형성된, 물품 출입용의 출입구; 및
    상기 통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기체를 유통시키는 것이 가능한 통체용 통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체용 통기부는, 상기 통체에서의,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에서 하류측으로 되는 개소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출 장치는, 상기 분출부가 상기 통체의 벽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통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통체의 벽면에는, 상기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를 상기 통체의 내부로 인도하기 위한 기체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출 장치는, 상기 분출부가 상기 통체의 벽면에 대향하는 상태로, 상기 통체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통체의 벽면에는, 상기 분출부로부터 분출되는 기체를 상기 통체의 내부로 인도하기 위한 기체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를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최상층과 상기 최하층에 이르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분출부의 기체 분출 방향으로 기체를 통기 가능한 레일용 통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승강체를 상하 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안내홈을 구비하고,
    상기 안내홈이,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부보다 안쪽부 측이 광폭(廣幅)으로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에서의 상기 안내홈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서브 도어체; 및
    상기 개구에서의 상기 안내홈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을 개폐하는 메인 도어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遮蔽)되는, 물품 반송 설비.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되는, 물품 반송 설비.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되는, 물품 반송 설비.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가 위치하는 간극 개소에, 가열되는 것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체가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되는, 물품 반송 설비.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상승 또는 하강 시에 상기 승강체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견인하는 승강용 벨트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 방화 도어의 상기 단부에는, 상기 승강용 벨트와 끼워맞추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방화 도어가 상기 개구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벨트에 의해 차폐되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60004158A 2015-01-27 2016-01-13 물품 반송 설비 KR102477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13469 2015-01-27
JP2015013469A JP6304057B2 (ja) 2015-01-27 2015-01-27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488A true KR20160092488A (ko) 2016-08-04
KR102477948B1 KR102477948B1 (ko) 2022-12-14

Family

ID=56433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4158A KR102477948B1 (ko) 2015-01-27 2016-01-13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59860B2 (ko)
JP (1) JP6304057B2 (ko)
KR (1) KR102477948B1 (ko)
CN (1) CN105819136B (ko)
TW (1) TWI681921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6489A (ko) * 2017-09-27 2019-04-04 타이완 다이후쿠 컴퍼니 리미티드 물품 반송 설비
KR20190134656A (ko) * 2017-04-06 2019-12-04 다이후쿠 아메리카 코퍼레이션 수직 이송 장치를 포함한 보관 시스템
KR2021002028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30007180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7675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4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3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1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6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7672B2 (ja) * 2016-07-12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06479B2 (ja) * 2016-07-19 2021-01-06 株式会社三共 遊技機
JP6870542B2 (ja) * 2017-08-31 2021-05-12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065601B2 (ja) * 2017-12-28 2022-05-12 住友重機械搬送システム株式会社 自動倉庫システム
CN109230134B (zh) * 2018-09-20 2024-04-02 绍兴舜仓科技有限公司 一种可移动的自动化立体库操作台及其操作方法
JP7222337B2 (ja) 2019-09-17 2023-02-15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184003B2 (ja) * 2019-09-17 2022-12-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259799B2 (ja) * 2020-04-21 2023-04-1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JP7287382B2 (ja) * 2020-12-22 2023-06-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657A (ja) * 1992-08-25 1994-03-1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防煙装置
KR20090058450A (ko) * 2007-12-04 2009-06-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반송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593U (ko) * 1973-05-28 1975-02-08
JPS51130700U (ko) * 1975-04-14 1976-10-21
US6719100B2 (en) * 2000-09-01 2004-04-13 Pri Automation, Inc. Interfloor vertical transport and horizontal closure system
JP5012593B2 (ja) 2008-03-11 2012-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放熱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2657A (ja) * 1992-08-25 1994-03-1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防煙装置
KR20090058450A (ko) * 2007-12-04 2009-06-0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반송 설비
JP2009137675A (ja) 2007-12-04 2009-06-25 Daifuku Co Ltd 搬送設備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656A (ko) * 2017-04-06 2019-12-04 다이후쿠 아메리카 코퍼레이션 수직 이송 장치를 포함한 보관 시스템
KR20190036489A (ko) * 2017-09-27 2019-04-04 타이완 다이후쿠 컴퍼니 리미티드 물품 반송 설비
KR20210020281A (ko) * 2019-08-14 2021-02-24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KR20230007180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수직반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14831A1 (en) 2016-07-28
TWI681921B (zh) 2020-01-11
JP6304057B2 (ja) 2018-04-04
JP2016137967A (ja) 2016-08-04
CN105819136B (zh) 2019-04-30
TW201637981A (zh) 2016-11-01
US10159860B2 (en) 2018-12-25
CN105819136A (zh) 2016-08-03
KR102477948B1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2488A (ko) 물품 반송 설비
US10242900B2 (en) Storage facility for semiconductor containers
KR102424033B1 (ko) 물품 보관 설비
KR102572057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432628B1 (ko) 물품 지지 장치
KR20160008462A (ko) 층간 반송 설비
JP4688000B2 (ja) 物品収納設備
TWI439409B (zh) 搬送設備
JP4378659B2 (ja) 物品保管庫及びクリーンルーム用の物品保管設備
KR102500718B1 (ko) 물품 보관 설비
KR101110541B1 (ko) 정화공기 통풍식의 물품보관설비
JP5447937B2 (ja) 物品搬送設備
JP2009208897A (ja) 物品収納設備
KR102428865B1 (ko) 물품 수납 설비
KR20080065903A (ko) 판형상 물품용 반송차
KR101184316B1 (ko) 물품 수납 설비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JP4811677B2 (ja) 物品収納設備
JP3801495B2 (ja) 立体駐車場における入庫姿勢補正装置
JP2009007125A (ja) 物品搬送車
JP2009113942A (ja) 垂直搬送機
JP2023174412A (ja) 機械式駐車装置
JP6219204B2 (ja) 搬送装置
JP2012126574A (ja) 物品収納設備
KR20130007241A (ko) 클린 룸용 순환식 승강 반송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