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57B1 - 물품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057B1
KR102572057B1 KR1020160148303A KR20160148303A KR102572057B1 KR 102572057 B1 KR102572057 B1 KR 102572057B1 KR 1020160148303 A KR1020160148303 A KR 1020160148303A KR 20160148303 A KR20160148303 A KR 20160148303A KR 102572057 B1 KR102572057 B1 KR 102572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movement
mast
work platform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441A (ko
Inventor
가즈야 오모리
다케시 아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7005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15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 general scheme of a conveying path within a fact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6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the wafers being stored in a carrier, involving loading and unloading
    • H01L21/67769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물품 반송 설비는, 이동 구간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물품 반송 장치를 구비한다. 이동 구간이, 반송용 이동 구간과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진다. 워크 플랫폼이,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가로 방향에 위치하는 궤적 외부분과, 마스트 이동 궤적 중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을 구비한다. 궤적 내부분이,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는 탑승용 위치와 마스트 이동 궤적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퇴피시킨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물품 반송 설비{ARTICLE TRANSPORT FACILITY}
본 발명은, 이동 구간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구간이, 물품을 반송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반송용(搬送用) 이동 구간과,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연속되는 구간이며 또한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용 정지(停止) 위치에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travel carriage)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 반송 설비의 종래예가, 일본 공개특허 제2007-246231호 공보(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구간이, 반송용 이동 구간과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지고 있다. 물품 반송 장치에 의해 물품을 반송할 때는 물품 반송 장치가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고,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등을 위해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시킬 때는, 물품 반송 장치가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한다.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 이동시킨 물품 반송 장치의 높은 위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는, 작업자는, 물품 반송 장치의 근처에 발판사다리(stepladder)를 설치하고, 그 발판사다리에 탑승하여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는, 발판사다리를 물품 반송 장치의 근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의 발판사다리의 이동이 번거로운 것으로 되어 있었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대형의 발판사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대형의 발판사다리의 설치에는 큰 설치 면적이 필요하므로, 발판사다리를 설치할 수 없다는 문제도 생긴다.
그래서, 퇴피용 이동 구간에 이동한 물품 반송 장치의 가로 방향에 위치하도록 워크 플랫폼(work platform)을 설치하여 둠으로써, 물품 반송 장치의 높은 위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 발판사다리를 설치할 필요를 없애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물품 반송 설비의 설치에 사용할 수 있는 바닥 면적이 제한되어 있는 경우나, 물품 반송 설비의 주위에 존재하는 다른 구조물의 영향 등에 의해, 퇴피용 이동 구간에 이동한 물품 반송 장치의 가로 방향으로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큰 워크 플랫폼을 설치하기 어렵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246231호 공보
그래서,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부분이 넓은 워크 플랫폼을 설치하기 쉬운 물품 반송 설비가 요구된다.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 설비의 특징적 구성은, 이동 구간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구간이, 물품을 반송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연속되는 구간이며 또한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용 정지 위치에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워크 플랫폼이,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한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주행 대차보다 높고 또한 상기 마스트의 상단(上端)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교차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상기 워크 플랫폼이,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 내에서의 상기 마스트의 이동 궤적(軌跡)인 마스트 이동 궤적의 외측으로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측에 위치하는 궤적 외부분과,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중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궤적 내부분이,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는 탑승용 위치와,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으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으로 퇴피시킨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퇴피용 위치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및 물품 반송 장치를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부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이 탑승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궤적 내부분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 장치의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퇴피용 위치로부터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궤적 외부분과 궤적 내부분과의 양쪽을 구비한 워크 플랫폼에 탑승하여, 물품 반송 장치의 상부에 대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궤적 내부분은 탑승용 위치에서는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궤적 내부분의 위치 이동에 의해 워크 플랫폼의 일부를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설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퇴피용 이동 구간에서의 물품 반송 장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궤적 외부분에 더하여 궤적 내부분도 이용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넓이의 워크 플랫폼을 궤적 외부분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부분이 넓은 워크 플랫폼을 설치하기가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과 장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記述)하는 이하의 예시적이고 비한정적인 실시형태의 설명에 따라서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반송용 영역의 정면도
도 2는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
도 3은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
도 4는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퇴피용 영역의 정면도
도 5는 물품 반송 설비에서의 퇴피용 영역의 정면도
도 6은 마스트 이동 궤적 및 상단(上段) 워크 플랫폼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3개의 상단 요동(搖動) 부분의 모두를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3개의 상단 요동 부분 중 제1 상단 요동 부분만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3개의 상단 요동 부분 중 제2 상단 요동 부분만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2개의 하단(下段) 요동 부분의 양쪽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2개의 하단 요동 부분 중 제1 하단 요동 부분만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2개의 하단 요동 부분 중 제2 하단 요동 부분만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물품 반송 설비의 퇴피용 영역의 측면도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 1의 물품 반송 설비의 평면도
이하, 물품 반송 설비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으로서의 용기(W)를 수납하는 수납부(1)를 복수 구비한 물품 수납 선반(2)과, 이동 방향 X를 따라 이동하여 용기(W)를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로서의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물품 반송 설비는, 물품 수납 선반(2)이나 스태커 크레인(3) 등이 설치되는 내부 영역(13)의 측 주위를 에워싸는 벽체(K)와, 내부 영역(13)을 스태커 크레인(3)의 이동 방향 X로 분단하는 칸막이벽(5)과, 벽체(K)를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용기(W)를 탑재 반송하는 입출고(入出庫) 컨베이어(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기판을 수용하는 FOUP(Front Opening Unified Pod)를 용기(W)(물품)로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방향 X에 따른 방향의 한쪽의 방향[반송용 영역(13a)에 대하여 퇴피용 영역(13b)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1 이동 방향 X1이라고 하고, 이동 방향 X에 따른 방향의 다른 쪽의 방향[퇴피용 영역(13b)에 대하여 반송용 영역(13a)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2 이동 방향 X2라고 한다. 그리고, 제1 이동 방향 X1이 제1 방향에 상당하고, 제2 이동 방향 X2가 제2 방향에 상당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방향 X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직교하는 방향(교차하는 방향의 일례)을 가로 방향 Y라고 한다. 그리고, 가로 방향 Y에 따른 방향의 한쪽의 방향[벽(A)에 대하여 물품 수납 선반(2)이나 스태커 크레인(3)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1 가로 방향 Y1이라고 하고, 가로 방향 Y를 따르는 다른 쪽 방향[물품 수납 선반(2)이나 스태커 크레인(3)에 대하여 벽(A)이 존재하는 방향]을 제2 가로 방향 Y2라고 한다.
물품 반송 설비는, 청정 공기가 천정측으로부터 바닥측을 향해 하방향으로 통류하는 다운플로우식(downflow type)의 청정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정실의 바닥부(F)는, 하부 바닥(F2)와, 하부 바닥(F2)보다 위쪽에 설치된 상부 바닥(F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부 바닥(F2)은, 통기공을 가지지 않는 바닥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멍이 없는 형상의 콘크리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스태커 크레인(3)은 이 하부 바닥(F2) 상을 이동한다.
상부 바닥(F1)은, 그레이팅(grating) 바닥이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통기공이 복수 형성되어 있고, 작업자는 이 상부 바닥(F1) 상을 보행한다. 또한, 상부 바닥(F1)은, 하부 바닥(F2) 상을 주행하는 스태커 크레인(3)의 주행 대차(18)보다 높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바닥(F1)이, 작업자가 보행하는 보행용 바닥부에 상당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영역(13)은, 칸막이벽(5)에 의해 이동 방향 X로 배열되는 반송용 영역(13a)과 퇴피용 영역(13b)으로 구획되어 있다. 퇴피용 영역(13b)은, 반송용 영역(13a)에 대하여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영역(13)에는, 프레임재를 종횡으로 조합한 프레임 워크(7)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용 영역(13a)에서는, 프레임 워크(framework)(7)에 지지판(8)을 장착하여 물품 수납 선반(2)이 구성되어 있고, 퇴피용 영역(13b)에서는, 프레임 워크(7)에 상단 워크 플랫폼(24)이나 하단 워크 플랫폼(25)이나 사다리(26)가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태커 크레인(3)은, 주행 레일(9) 상을 이동 방향 X를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18)와, 주행 대차(18)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19)와, 마스트(19)를 따라 승강하는 승강체(20)와, 승강체(20)에 지지된 이송탑재 장치(transfer device)(21)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탑재 장치(21)는, 이송탑재 대상 개소(箇所)[수납부(1)나 입출고 컨베이어(6)의 내부 이송탑재 개소(6i)]와 자기(自己)와의 사이에서 용기(W)를 이송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송탑재 장치(21)에는, 용기(W)를 지지하는 지지부(21a)와, 상기 지지체를 승강체(20) 측으로 퇴피시킨 퇴피 위치(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위치)와 승강체(20)에 대하여 가로 방향 Y로 돌출된 돌출 위치(도시하지 않음)으로 출퇴(出退) 이동시키는 출퇴 조작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송탑재 장치(21)는, 출퇴 조작 장치를 세로 축심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부(21a)의 퇴피 위치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을 제1 가로 방향 Y1 측 또는 제2 가로 방향 Y2 측으로 택일적으로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송탑재 장치(21)는, 한 쌍의 물품 수납 선반(2)의 어느 수납부(1)에 대해서도 각각의 수납부(1)와의 사이에서 용기(W)를 이송탑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1a)를 퇴피 위치로 퇴피시킨 물품 이송탑재 장치는, 마스트(19)에 비해 가로 방향 Y에 있어서 협폭(狹幅)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트(19)의 가로 폭 내에 들어가 있다.
주행 대차(18)는, 마스트(19)에 비해 가로 방향 Y에 있어서 광폭(廣幅)으로 형성되어 있고, 마스트(19)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스트(19)는,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승강체(20)는, 마스트(19)에 대하여 제2 이동 방향 X2 측에 위치하고 있고, 마스트(19)에 의해 캔틸레버형(cantilever fashion)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 수납 선반(2)은,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이동 경로를 가로 방향 Y으로 끼우는 상태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물품 수납 선반(2)의 각각에는, 수납부(1)가 상하 방향 및 이동 방향 X로 배열되는 상태로 복수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수납부(1)의 각각에는, 수납한 용기(W)를 지지하는 지지판(8)이 구비되어 있다. 한 쌍의 물품 수납 선반(2) 중 제2 가로 방향 Y2 측에 위치하는 물품 수납 선반(2)에는, 수납부(1)에 수납되어 있는 용기(W)에 질소 가스를 공급하는 질소 가스 공급 장치(N)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출고 컨베이어(6)는, 벽체(K)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부 이송탑재 개소(6o)와 벽체(K)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이송탑재 개소(6i)와의 사이에서 용기(W)를 탑재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입출고 컨베이어(6)의 외부 이송탑재 개소(6o)에 대해서는, 천정 반송차(搬送車; transport vehicle)(10)가 용기(W)의 탑재 하강을 행하고,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입출고 컨베이어(6)(도시하지 않음)의 외부 이송탑재 개소(6o)에 대해서는, 작업자가 용기(W)의 탑재 하강을 행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물품 반송 설비에서는, 천정 반송차(10) 또는 작업자에 의해 입출고 컨베이어(6)의 외부 이송탑재 개소(6o)에 용기(W)가 탑재되면, 상기 용기(W)는, 입출고 컨베이어(6)에 의해 외부 이송탑재 개소(6o)로부터 내부 이송탑재 개소(6i)에 탑재 반송되고, 스태커 크레인(3)에 의해 내부 이송탑재 개소(6i)로부터 수납부(1)로 반송된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3)에 의해 용기(W)가 수납부(1)로부터 입출고 컨베이어(6)의 내부 이송탑재 개소(6i)로 반송되고, 입출고 컨베이어(6)에 의해 내부 이송탑재 개소(6i)로부터 외부 이송탑재 개소(6o)에 탑재 반송된 후, 천정 반송차(10) 또는 작업자에 의해 외부 이송탑재 개소(6o)로부터 하강된다.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이동 구간(15)은, 반송용 이동 구간(15a)과 퇴피용 이동 구간(15b)을 가지고 있다. 반송용 이동 구간(15a)은, 용기(W)를 반송할 때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구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퇴피용 이동 구간(15b)은,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연속하는 구간이며 또한 이동 방향 X에서 반송용 이동 구간(15a)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용 정지 위치(S)로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부터 이동할 때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구간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퇴피용 이동 구간(15b)은,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대하여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설명을 추가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용 영역(13a)에는 제1 차륜 스토퍼(31) 및 제2 차륜 스토퍼(32)가 설치되어 있고, 퇴피용 영역(13b)에는 제3 차륜 스토퍼(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차륜 스토퍼(31)와 제2 차륜 스토퍼(32) 사이에서의 물품을 반송할 때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범위를,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는, 제2 차륜 스토퍼(32)와 제3 차륜 스토퍼(33)와의 사이에 설정되어 있고,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부터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할 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차륜 스토퍼(32)를 분리하여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한다. 그리고, 반송용 이동 구간(15a)의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단부(端部)로부터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할 때의 범위가, 퇴피용 이동 구간(15b)으로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퇴피용 이동 구간(15b)을 부가한 구간을 이동 구간(15)으로 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이송탑재 장치(21)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심에 기초한 반송용 이동 구간(15a) 및 퇴피용 이동 구간(15b)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스태커 크레인(3)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칸막이벽(5)에는, 스태커 크레인(3)이 통과할 수 있는 개구(5a)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5a)를 개폐 가능한 도어체(5b)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5b)를 폐쇄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내부 영역(13)을 반송용 영역(13a)과 퇴피용 영역(13b)으로 분단할 수 있어, 반송용 영역(13a)으로부터 퇴피용 영역(13b)으로의 공기의 유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5b)를 개방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15b)과의 사이에서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 가능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 영역(13)의 측 주위는, 벽체(K)에서의 구멍이 없는 형상의 측벽부에 의해 에워싸져 있다. 벽체(K)의 천정벽부는, 다공형(多孔狀)으로 형성되어 있고, 건물의 천정측으로부터 내부 영역(13)에 청정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벽체(K)에서의 상부 바닥(F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또한 반송용 영역(13a)의 제1 가로 방향 Y1 측을 덮는 부분에는, 벽체(K) 내의 기체(氣體)를 벽체(K) 밖으로 배기하는 기체 배출부(11)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벽체(K)의 천정벽부에서 벽체(K) 내에 청정 공기가 유입되고, 그 유입된 청정 공기가 바닥측을 향해 하방향으로 통류(通流)하고, 수납부(1)에 수납되어 있는 용기(W)로부터 배출된 질소 가스와 함께 기체 배출부(11)로부터 벽체(K) 밖으로 배기된다.
그리고, 벽체(K)가, 스태커 크레인(3), 상단 워크 플랫폼(24) 및 사다리(26)가 설치되는 내부 영역(13)과, 이 내부 영역(13)의 외부로 되는 외부 영역(14)을 차단하는 칸막이체에 상당한다.
도 4, 도 5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체(K)에는, 작업자가 외부 영역(14)과 내부 영역(13)의 퇴피용 영역(13b)과의 사이에서 출입하기 위한 출입구(27)가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 출입구(27)로부터 내부 영역(13)의 퇴피용 영역(13b)에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출입구(27)는, 그 하단(下端)이 상부 바닥(F1)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벽체(K)에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영역(13b)에는,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상단 워크 플랫폼(24)과, 이 상단 워크 플랫폼(24)보다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단 워크 플랫폼(24)과 같이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하단 워크 플랫폼(2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단 워크 플랫폼(24)이 워크 플랫폼에 상당한다.
상단 워크 플랫폼(24)은,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한 스태커 크레인(3)의 주행 대차(18)보다 높고 또한 마스트(19)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단 워크 플랫폼(24)은, 상기 상단 워크 플랫폼(24)에 탑승한 작업자가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한 스태커 크레인(3)의 상단에 손이 닿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단 워크 플랫폼(25)은, 상부 바닥(F1)과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고, 하단 워크 플랫폼(25)의 상면과 상부 바닥(F1)의 상면이 같은 높이로 되어 있다.
상단 워크 플랫폼(24)은,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양측에 위치하는 궤적 외부분으로서의 상단 고정부(35)와, 일부가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으로서의 상단 요동부(36)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트 이동 궤적 T는, 스태커 크레인(3)이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부터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할 때의 퇴피용 이동 구간(15b) 내에서의 마스트(19)의 이동 궤적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트 이동 궤적 T는, 마스트(19)의 이동 궤적 중 폐쇄 상태의 칸막이벽(5)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부분이다.
상단 고정부(35)는, 마스트 이동 궤적 T의 외측으로서 또한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제1 가로 방향 Y1 측에 위치하는 제1 상단 고정 부분(35a)과,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제2 가로 방향 Y2 측에 위치하는 제2 상단 고정 부분(35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상단 고정 부분(35a)과 제2 상단 고정 부분(35b)과의 각각은, 프레임 워크(7)에 고정되어 있다.
상단 요동부(36)는, 탑승용 자세로 적어도 일부가 마스트 이동 궤적 T 내에 위치하고 있고, 이동 방향 X로 배열되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의 각각은, 프레임 워크(7)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은, 요동시킴으로써, 탑승면이 수평으로 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마스트 이동 궤적 T 내에 위치하는 탑승용 자세(탑승용 위치에 상당)와, 이 탑승용 자세로부터 위쪽으로 요동시켜 마스트 이동 궤적 T으로부터 가로 방향 Y로 퇴피시킨 퇴피용 자세(퇴피용 위치에 상당)로 자세 변경 가능(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마스트 이동 궤적 T 내에 위치한다는 것은, 평면에서 볼 때 마스트 이동 궤적 T와 중첩되는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은, 적어도 프레임 워크(7)에서의 가로 방향 Y로 배열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7a)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면이 수평으로 되는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제2 상단 고정 부분(35b), 하단 고정부(37)에 대해서도, 프레임 워크(7)에서의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을 연결한 가로 프레임(7a)과는 상이한 한 쌍의 가로 프레임(7a)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가 탑승하는 면이 수평으로 되는 자세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제2 가로 방향 Y2 측의 기단부(基端部)가 이동 방향 X를 따르는 축심(軸心)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 워크(7)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이 이동 방향 X를 따르는 축심 주위로 요동시킴으로써 탑승용 자세와 퇴피용 자세로 전환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의 기단부는, 프레임 워크(7)에서의 제2 상단 고정 부분(35b)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7a) 중 제2 가로 방향 Y2 측에 위치하는 가로 프레임(7a)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을 탑승용 자세로 자세 변경시킨 상태에서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의 선단부가,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이 연결되는 한 쌍의 가로 프레임(7a) 중 제2 방향 측에 위치하는 가로재에 아래쪽으로부터 지지된다.
또한,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에는, 퇴피용 자세로 전환했을 때 걸어맞춤구(40)에 걸어맞추어지는 피걸어맞춤부(41)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퇴피용 자세로 이동시킴으로써 피걸어맞춤부(41)가 걸어맞춤구(40)에 걸어맞추어져,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이 퇴피용 자세로 유지된다. 또한, 퇴피용 자세의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탑승면이 연직(沿直) 자세보다 제2 가로 방향 Y2로 경사진 자세로 되어 있고,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의 자중(自重)에 의해 걸어맞춤구(40) 측으로 가압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을 퇴피용 자세로부터 탑승용 자세 측으로 조작함으로써, 그 조작력에 의해 걸어맞춤구(40)가 탄성 변형되어 걸어맞춤구(40)에 의한 피걸어맞춤부(41)에 대한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또한,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에는, 상기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의 자세 변경 조작을 어시스트하는 가스 스프링(42)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에 대해서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워크(7)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의 각각에 피걸어맞춤부(41)가 구비되어 있고,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의 각각에 가스 스프링(42)이 연결되어 있다.
하단 워크 플랫폼(25)은, 마스트 이동 궤적 T의 외측으로서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제1 가로 방향 Y1 측에 위치하는 하단 고정부(37)와, 적어도 일부가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위치하는 하단 요동부(38)로 구성되어 있다.
하단 고정부(37)는,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제1 가로 방향 Y1 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워크(7)에 고정되어 있다.
하단 요동부(38)는, 이동 방향 X로 배열되는 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하단 요동 부분(38a),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의 각각은, 탑승면이 수평으로 되는 탑승용 자세(탑승용 위치에 상당)와 이 탑승용 자세로부터 위쪽으로 요동시킨 퇴피용 자세(퇴피용 위치에 상당)로 자세 변경 가능(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단 요동 부분(38a) 및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에 대해서는, 기단부가 연결되는 가로 프레임(7a)이나 탑승용 자세로 선단부를 지지하는 가로 프레임(7a)이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등의 가로 프레임(7a)과는 상이할뿐,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등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상단 워크 플랫폼(24)의 상단 요동부(36) 및 하단 워크 플랫폼(25)의 하단 요동부(38)의 배치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이하에서는, 통상의 스태커 크레인(3)에 더하여, 반전(反轉) 스태커 크레인(3R)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란, 스태커 크레인(3)을 전후의 방향을 바꿔 넣은(reversed) 상태로 물품 반송 설비에 설치된 스태커 크레인(3)이다. 그러므로, 통상의 스태커 크레인(3)은,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마스트(19)가 세워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은,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마스트(19)가 세워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단 워크 플랫폼(24)의 상단 요동부(36) 및 하단 워크 플랫폼(25)의 하단 요동부(38)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 이동 구간(15)을 이동하는 것을 상정하여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시킨 상태를 설명하지만,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 실제로 물품 반송 설비에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통상의 스태커 크레인(3)이 제1 물품 반송 장치에 상당하고,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 제2 물품 반송 장치에 상당한다. 그리고, 이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주행 대차(18), 마스트(19) 및 승강체(20)의 각각이, 제2 주행 대차, 제2 마스트, 제2 승강체에 상당한다.
상단 워크 플랫폼(2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 고정부(35)에 더하여, 이동 방향 X로 배열되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은, 평면에서 볼 때,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과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에 협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8 및 도 9를 모두 참조).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에 대하여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은, 평면에서 볼 때,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위치에서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8을 참조).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은,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에 대하여 제2 이동 방향 X2 측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은, 평면에서 볼 때,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의 위치에서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9를 참조).
또한,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이, 마스트 이동 궤적 T 중 스태커 크레인(3)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있는 상태에서의 마스트(19)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에 상당한다.
그러므로, 상단 요동부(36)[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은, 도 7,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할 수 있다.
즉,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요동부(36)를 구성하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과의 모두를 퇴피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시켰을 때는, 상단 요동부(36)에서의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이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을, 퇴피용 자세로부터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이, 마스트 이동 궤적 T 중 스태커 크레인(3)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있는 상태에서의 마스트(19)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정지 위치(S)으로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을 이동시켰을 때는, 상단 요동부(36)에서의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이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을, 퇴피용 자세로부터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스태커 크레인(3)이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을 이동시키고 있지 않을 때는,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과의 모두를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워크 플랫폼(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 고정부(37)에 더하여, 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은, 평면에서 볼 때,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위치에서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를 모두 참조).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은,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에 대하여 제2 이동 방향 X2 측으로 배열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은, 평면에서 볼 때,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의 위치에서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경우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및 도 12를 모두 참조).
또한,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이, 마스트 이동 궤적 T 중 스태커 크레인(3)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있는 상태에서의 마스트(19)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탑승용 위치와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제2 워크 플랫폼에 상당한다.
그러므로, 하단 요동부(38)[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은, 도 10,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 요동부(38)를 구성하는 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과의 양쪽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시켰을 때는, 하단 요동부(38)에서의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이 스태커 크레인(3)의 마스트(19)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을, 퇴피용 자세로부터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을 이동시켰을 때는, 하단 요동부(38)에서의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이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의 마스트(19)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을, 퇴피용 자세로부터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스태커 크레인(3)이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을 이동시키고 있지 않을 때는, 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과의 양쪽을 탑승용 자세로 전환할 수 있다.
도 4의 (도 6도 참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26)는, 가로 방향 Y에서, 마스트 이동 궤적 T와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이나 출입구(27)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27)는, 벽체(K)에서의 퇴피용 영역(13b)의 제1 가로 방향 Y1 측을 덮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출입구(27)는, 벽체(K)에서의 상단 워크 플랫폼(24)보다 낮은 높이이고 또한 사다리(26)와 가로 방향 Y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사다리(26)는, 이동 방향 X으로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태커 크레인(3)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나 제1 상단 요동 부분(36a)만이 탑승용 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라도, 사다리(26)의 제2 이동 방향 X2 측의 부분을 이용하여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나 제2 상단 요동 부분(36c)만이 탑승용 자세로 전환되어 있는 상태라도, 사다리(26)의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부분을 이용하여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에 승강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26)는, 출입구(27)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하부 사다리 부분(26a)과 출입구(27)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사다리 부분(26b)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사다리 부분(26a)은, 출입구(27)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에서 중첩되는 사용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이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단 워크 플랫폼(24)보다 높고 또한 벽체(K)의 천정 부분보다 낮은 위치에 난간(43)이 설치되어 있다. 난간(43)은, 평면에서 볼 때 상단 워크 플랫폼(24)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난간(4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다리(26)로부터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으로 오를 때나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으로부터 사다리(26)로 내릴 때, 작업자가 난간(43)을 잡기 쉽도록, 난간(43)은, 하부측으로 갈수록 마스트 이동 궤적 T 측으로 팽출(膨出)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난간(43)은,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프레임 워크(7)에 연결되어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방향 Y를 따르는 사용 자세와, 이동 방향 X를 따르는 저장 자세(도시하지 않음)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워크(7)에서의 퇴피용 영역(13b)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작업자가 상단 워크 플랫폼(24) 상을 이동할 때 잡는 손잡이(44)가 고정되어 있다. 이 손잡이(44)는, 스태커 크레인(3)이 이동하는 이동 궤적보다 위쪽에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퇴피용 영역(13b)은, 건물의 기둥(P)에 대하여 가로 방향 Y로 배열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건물의 기둥(P)은, 건물의 벽(A)에 대하여 제1 가로 방향 Y1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므로, 퇴피용 영역(13b)에서의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제2 가로 방향 Y2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가로 방향 Y1에 위치하는 부분에 비하여 가로 방향 Y로 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퇴피용 영역(13b)의 이동 방향 X의 길이는, 스태커 크레인(3)의 이동 방향 X의 길이에 비해 10%~20% 정도 긴 길이로 되어 있다. 상단 워크 플랫폼(24) 및 하단 워크 플랫폼(25)은, 퇴피용 영역(13b)의 이동 방향 X의 전체 폭 및 가로 방향 Y의 전체 폭에 이르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퇴피용 영역(13b)에서의 제1 상단 고정 부분(35a)과 제2 상단 고정 부분(35b)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영역은, 가로 방향 Y에 비해 이동 방향 X로 긴 영역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 영역에 있어서 탑승용 자세의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의 각각이 설치되는 영역은, 이동 방향 X에 비해 가로 방향 Y로 긴 영역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제2 상단 요동 부분(36c), 제1 하단 요동 부분(38a) 및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의 각각을 퇴피용 자세로 전환함으로써, 예를 들면, 마스트(19)의 상부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필요가 생긴 경우 등에, 스태커 크레인(3)을 반송용 이동 구간(15a)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15b)의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태커 크레인(3)을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후에,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제2 상단 요동 부분(36c) 및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을 탑승용 자세로 전환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단 워크 플랫폼(24)에 대해서는 상단 고정부(35)와 상단 요동부(36)에서의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에 탑승할 수 있고, 하단 워크 플랫폼(25)에 대해서는 하단 고정부(37)와 하단 요동부(38)에서의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에 탑승할 수 있다.
또한,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을 퇴피용 정지 위치(S)로 이동시킨 후에,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및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을 탑승용 자세로 전환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상단 워크 플랫폼(24)에 대해서는 상단 고정부(35)와 상단 요동부(36)에서의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에 탑승할 수 있고, 하단 워크 플랫폼(25)에 대해서는 하단 고정부(37)와 하단 요동부(38)에서의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에 탑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탑승용 자세와 퇴피용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한 제1 상단 요동 부분(36a),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을 구비함으로써, 퇴피용 이동 구간(15b)에서의 스태커 크레인(3)의 이동을 퇴피용 자세로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상단 고정부(35)에 더하여 요동 부분(36a, 36b, 36c) 중 탑승용 자세로 되는 것을 이용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탑승용 자세의 요동 부분(36a, 36b, 36c)은, 모두 마스트 이동 궤적 T 내에 위치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유지보수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물품 반송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퇴피용 이동 구간(15b)에 대하여 이동 방향 X에서 한쪽에만 반송용 이동 구간(15a)을 설정하였으나, 퇴피용 이동 구간(15b)에 대하여 이동 방향 X에서 양측에 반송용 이동 구간(15a)을 설정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구간(15)이, 제1 스태커 크레인(3A)이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과, 제2 스태커 크레인(3B)이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과, 제1 스태커 크레인(3A)이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으로부터 퇴피용 정지 위치(S)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과, 제2 스태커 크레인(3B)이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로부터 퇴피용 정지 위치(S)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을 가지고 있다.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은,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 및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에 대하여 제2 이동 방향 X2 측에 설정되어 있고,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은,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 및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에 대하여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 및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은,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과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은,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에 연속되어 있고,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은,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에 연속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이송탑재 장치(21)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심에 기초한 제1 반송용 이동 구간(15aA), 제2 반송용 이동 구간(15aB),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 및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과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은 중복되어 있지 않지만,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제1 스태커 크레인(3A)과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제2 스태커 크레인(3B)은, 이동 방향 X와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제1 스태커 크레인(3A)의 이동 방향 X의 중심과 퇴피용 정지 위치(S)에 정지하고 있는 제2 스태커 크레인(3B)의 이동 방향 X의 중심이 이동 방향 X와 같은 위치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스태커 크레인(3A)의 퇴피용 정지 위치(S)와 제2 스태커 크레인(3B)의 퇴피용 정지 위치(S)는 같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의 제1 이동 방향 X1 측의 단부와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의 제2 이동 방향 X2 측의 단부가 이동 방향 X와 같은 위치로 되도록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과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을 설정해도 된다. 또한, 제1 퇴피용 이동 구간(15bA)과 제2 퇴피용 이동 구간(15bB)을 일부가 중복되도록 설정해도 된다. 그리고, 이동 구간(15)[반송용 이동 구간(15a) 및 퇴피용 이동 구간(15b)]에 대해서는, 마스트(19)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등, 스태커 크레인(3)의 기준으로 하는 위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제1 스태커 크레인(3A)은, 상기 실시형태의 스태커 크레인(3)과 마찬가지로, 주행 대차(18), 마스트(19), 승강체(20) 및 이송탑재 장치(21)를 구비하고,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마스트(19)가 세워 설치된 것이라도 된다.
제2 스태커 크레인(3B)은, 상기 실시형태의 반전 스태커 크레인(3R)과 마찬가지로, 주행 대차(18), 마스트(19), 승강체(20) 및 이송탑재 장치(21)를 구비하고,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2 이동 방향 X2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마스트(19)가 세워 설치된 것이라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스태커 크레인(3)을 1대 설치했지만,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스태커 크레인(3)을 2대 이상 설치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2대의 스태커 크레인(3)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반송용 이동 구간(15a)에, 이동 방향 X를 따라 2개의 한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과 다른 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을 형성하고, 한쪽의 스태커 크레인(3)을 한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고, 다른 쪽의 스태커 크레인(3)을 다른 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한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과 다른 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 방향 X와 중첩되지 않는 상태로 형성해도 되고, 또한 한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과 다른 쪽 측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 방향 X에 중첩되는 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2대의 스태커 크레인(3) 중 한쪽이 반전 스태커 크레인(3R)이라도 된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요동부(36)를, 제1 상단 요동 부분(36a)과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과의 3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하였지만, 하단 요동부(38)와 마찬가지로, 상단 요동부(36)를, 2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되고, 예를 들면,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과 제2 상단 요동 부분(36c)과의 2개의 요동 부분만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단 요동부(36)를, 4개 이상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되고,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또는 제2 상단 요동 부분(36c)의 한쪽만으로 구성하는 등에 의해 1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하단 요동부(38)를, 제1 하단 요동 부분(38a)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과의 2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하였지만, 상단 요동부(36)와 마찬가지로, 하단 요동부(38)를, 3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되고, 또한 4개 이상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하단 요동부(38)를, 제2 하단 요동 부분(38b)만으로 구성하는 등에 의해 1개의 요동 부분으로 구성해도 된다.
(4)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단 고정부(35)를,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양쪽 측에 설치했지만, 상단 고정부(35)를,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한쪽에만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단 고정부(37)를,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한쪽에만 설치했지만, 하단 고정부(37)를, 마스트 이동 궤적 T에 대하여 가로 방향 Y의 양쪽 측에 설치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궤적 내부분으로서의 중앙 상단 요동 부분(36b) 및 제2 상단 요동 부분(36c) 및 제2 워크 플랫폼로서의 제2 하단 요동 부분(38b)을, 이동 방향 X를 따르는 축심 주위의 요동에 의해 퇴피용 자세와 탑승용 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의 요동이나 수평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퇴피용 자세와 탑승용 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상단 요동 부분(36a)이나 제1 하단 요동 부분(38a)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을 따르는 축심 주위의 요동이나 수평 방향을 따른 이동에 의해 퇴피용 자세와 탑승용 자세로 전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6)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사다리(26)를, 가로 방향 Y와 마스트 이동 궤적 T와 궤적 외부분으로서의 제1 상단 고정 부분(35a)과의 사이에 설치했지만, 예를 들면,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에서의 제2 가로 방향 Y2 측의 단부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거나, 또는 제1 상단 고정 부분(35a)에 대하여 제1 가로 방향 Y1 측에 인접하는 상태로 벽체(K)의 외부에 설치하는 등, 사다리(26)의 설치 위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또한, 하부 사다리 부분(26a)을 출입구(27)와 가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중복되지 않도록 설치해도 된다. 또한, 하부 사다리 부분(26a)이 가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출입구(27)와 중첩되지 않을 경우나 출입구(27)와 중첩되는 경우라도 작업자가 출입구(27)의 출입의 방해가 되지 않을 경우 등에서는, 하부 사다리 부분(26a)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지 않아도 된다.
(7)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또는 제2 이동 방향 X2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만 마스트(19)를 세워 설치하였지만,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에 마스트(19)를 세워 설치하거나, 또는 주행 대차(18)에서의 이동 방향 X의 중앙보다 제1 이동 방향 X1 측과 제2 이동 방향 X2 측과의 양쪽에 마스트(19)를 세워 설치하는 등, 주행 대차(18)에서의 마스트(19)를 세워 설치하는 위치는 적절히 변경해도 된다.
(8)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단 워크 플랫폼(25)를 상부 바닥(F1)과 같은 높이에 설치하였으나, 상부 바닥(F1)보다 높고 또한 상단 워크 플랫폼(24)보다 낮은 높이에 하단 워크 플랫폼(25)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바닥부와 작업자가 이동하는 바닥부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서는, 하단 워크 플랫폼(25)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의 개요]
본 실시형태의 물품 반송 설비는, 이동 구간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구간이, 물품을 반송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연속되는 구간이며 또한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용 정지 위치에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지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와, 상기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에 있어서,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워크 플랫폼이,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한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주행 대차보다 높고 또한 상기 마스트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교차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서, 상기 워크 플랫폼이,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 내에서의 상기 마스트의 이동 궤적인 마스트 이동 궤적의 외측으로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측에 위치하는 궤적 외부분과,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중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궤적 내부분이,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는 탑승용 위치와,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으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으로 퇴피시킨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특징적 구성에 의하면,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퇴피용 위치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및 물품 반송 장치를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부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이 탑승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궤적 내부분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 장치의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퇴피용 위치로부터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워크 플랫폼의 궤적 내부분을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자는, 궤적 외부분과 궤적 내부분과의 양쪽을 구비한 워크 플랫폼에 탑승하여, 물품 반송 장치의 상부에 대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궤적 내부분은 탑승용 위치에서는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므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때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궤적 내부분의 위치 이동에 의해 워크 플랫폼의 일부를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설치 가능하게 함으로써, 퇴피용 이동 구간에서의 물품 반송 장치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면서, 물품 반송 장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궤적 외부분에 더하여 궤적 내부분도 이용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같은 넓이의 워크 플랫폼을 궤적 외부분만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의 확대를 억제하면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부분이 넓은 워크 플랫폼을 설치하기가 용이해진다.
여기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한쪽의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다른 쪽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여,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이,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설정되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로서의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상기 이동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상기 마스트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있고,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2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제2 마스트와, 상기 제2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승강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2 주행 대차에서의 상기 이동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제2 방향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상기 제2 마스트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워크 플랫폼이, 상기 궤적 외부분에 더하여,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과 제1 워크 플랫폼 부분과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과 상기 제1 워크 플랫폼 부분과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의 각각이, 상기 탑승용 위치와 상기 퇴피용 위치로 별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마스트의 존재 영역과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협지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1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이며,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이, 상기 궤적 내부분으로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워크 플랫폼에서의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이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마스트보다 제2 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을, 퇴피용 위치로부터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작업자는, 워크 플랫폼의 궤적 외부분과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에 탑승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워크 플랫폼에서의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1 워크 플랫폼 부분이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제2 마스트보다 제1 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들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1 워크 플랫폼 부분을, 퇴피용 위치로부터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작업자는, 워크 플랫폼의 궤적 외부분,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제1 워크 플랫폼 부분에 탑승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서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을 공용함으로써, 제1 물품 반송 장치 및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넓은 워크 플랫폼에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한 상태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반송 장치로서의 제1 물품 반송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있고,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2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제2 마스트와, 상기 제2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승강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구간이,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제2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1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퇴피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2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제2 퇴피용 이동 구간을 가지고,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기 이동 방향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물품 반송 장치는 제1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하고, 제2 물품 반송 장치는 제2 반송용 이동 구간을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한다.
그리고,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제1 물품 반송 장치와 제2 물품 반송 장치에서 이동 방향으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퇴피용 정지 위치와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퇴피용 정지 위치를 상이한 위치로 설정하고 또한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제1 물품 반송 장치와 제2 물품 반송 장치에서 이동 방향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도록 이동 방향으로 이격시켜 설정한 경우와 비교하여, 물품 반송 설비가 점유하는 바닥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과 상기 워크 플랫폼에서의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궤적 외부분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워크 플랫폼에 탑승할 수 있다. 그리고, 사다리는, 마스트 이동 궤적과 워크 플랫폼의 궤적 외부분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마스트 이동 궤적이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사다리를 승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사다리를 승강시키기 위한 공간을, 별도 확보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작은 공간으로 되므로, 물품 반송 설비를 가로 방향으로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반송 장치, 상기 워크 플랫폼 및 상기 사다리가 구비되는 내부 영역과, 이 내부 영역의 외부로 되는 외부 영역을 차단하는 칸막이체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체에서의 상기 워크 플랫폼보다 낮은 높이이고 또한 상기 사다리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작업자가 상기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내부 영역에서의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과 상기 칸막이체의 상기 출입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하부 사다리 부분과 상기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사다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사다리 부분이, 상기 출입구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사용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부 사다리 부분을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해 냄으로써, 작업자가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에 진입할 때 사다리가 방해가 되지 않거나 또는 방해로 되기 어려워지므로, 작업자가 출입구를 통하여 외부 영역으로부터 내부 영역으로 이동하기 용이해진다. 그리고, 내부 영역에 진입한 작업자가 하부 사다리 부분을 사용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는 사다리의 하부 사다리 부분과 상부 사다리 부분과의 양쪽을 이용하여 승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 영역으로부터 외부 영역으로 나올 때는, 하부 사다리 부분을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하여 둠으로써, 작업자가 외부 영역에 나올 때 사다리가 방해가 되지 않거나 또는 방해가 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외부 영역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보행하는 보행용 바닥부가,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주행 대차보다 높은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가, 그 하단이 상기 보행용 바닥부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상기 칸막이체에 형성되고, 상기 보행용 바닥부와 같은 높이, 또는 상기 보행용 바닥부보다 높고 또한 상기 워크 플랫폼보다 낮은 높이에, 제2 워크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워크 플랫폼이,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중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탑승용 위치와 상기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2 워크 플랫폼을 퇴피용 위치로 이동시켜 둠으로써, 물품 반송 장치를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 및 물품 반송 장치를 퇴피용 이동 구간의 퇴피용 정지 위치로부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워크 플랫폼이 탑승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워크 플랫폼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물품 반송 장치의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물품 반송 장치가 퇴피용 정지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상태라도, 제2 워크 플랫폼을 퇴피용 위치로부터 탑승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한쪽 측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지만,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다른 쪽 측에는, 예를 들면, 물품 반송 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 장치 등의 주변 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 주변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출입구로부터 주변 장치가 이격되어 있으므로, 주변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렵지만, 출입구로부터 내부 영역에 진입한 작업자는, 제2 워크 플랫폼에 탑승하여 주변 장치에 가까워지는 것이 가능하므로, 주변 장치에 대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자는, 제2 워크 플랫폼로부터 사다리를 올라 워크 플랫폼에 탑승함으로써, 주행 대차가 주행하는 주행면까지 내리는 일 없이 워크 플랫폼에 탑승할 수 있으므로, 워크 플랫폼에 탑승할 때의 승강 거리를 억제할 수 있어, 워크 플랫폼에 탑승하기 용이해진다.
3: 스태커 크레인(물품 반송 장치, 제1 물품 반송 장치)
3R: 반전 스태커 크레인(제2 물품 반송 장치)
3A: 제1 스태커 크레인(제1 물품 반송 장치)
3B: 제2 스태커 크레인(제2 물품 반송 장치)
15: 이동 구간
15a: 반송용 이동 구간
15b: 퇴피용 이동 구간
15aA: 제1 반송용 이동 구간
15aB: 제2 반송용 이동 구간
18: 주행 대차
19: 마스트
20: 승강체
24: 상단 워크 플랫폼(워크 플랫폼)
25: 하단 워크 플랫폼(제2 워크 플랫폼)
26: 사다리
26a: 하부 사다리 부분
26b: 상부 사다리 부분
W: 용기(물품)
X: 이동 방향

Claims (7)

  1. 이동 구간을 그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물품을 반송(搬送)하는 물품 반송 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이동 구간이, 상기 물품을 반송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연속되는 구간이며 또한 상기 이동 방향에서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의 외측에 위치하는 퇴피용 정지(停止) 위치에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퇴피할 때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이동하는 퇴피용 이동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 대차(travel carriage)와, 상기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마스트(mast)와, 상기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승강체를 구비하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로서,
    작업자가 탑승 가능한 워크 플랫폼(work platform)이,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한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주행 대차보다 높고 또한 상기 마스트의 상단(上端)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 교차하는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여,
    상기 워크 플랫폼이,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할 때의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 내에서의 상기 마스트의 이동 궤적인 마스트 이동 궤적의 외측으로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 중 적어도 한쪽 측에 위치하는 궤적 외부분과,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중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는 궤적 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궤적 내부분이,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내에 위치하는 탑승용 위치와,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으로부터 상기 가로 방향으로 퇴피시킨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한쪽의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상기 이동 방향을 따른 다른 쪽 방향을 제2 방향으로 하여,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이,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에 대하여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설정되고,
    상기 물품 반송 장치로서의 제1 물품 반송 장치에는, 상기 주행 대차에서의 상기 이동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제1 방향 측으로 치우친 개소(箇所)에 상기 마스트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제2 물품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2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제2 마스트와, 상기 제2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승강체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2 주행 대차에서의 상기 이동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제2 방향 측으로 치우친 개소에 상기 제2 마스트가 세워 설치되고,
    상기 워크 플랫폼이, 상기 궤적 외부분에 더하여,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는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과 제1 워크 플랫폼 부분과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과 상기 제1 워크 플랫폼 부분과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의 각각이, 상기 탑승용 위치와 상기 퇴피용 위치로 별개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마스트의 존재 영역과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협지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1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이며,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의 평면에서 볼 때의 배치 위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의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제2 마스트의 존재 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이며,
    상기 중앙 워크 플랫폼 부분 및 상기 제2 워크 플랫폼 부분이, 상기 궤적 내부분으로서 구비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 장치로서의 제1 물품 반송 장치와는 별도로,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제2 물품 반송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이동 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제2 주행 대차와, 상기 제2 주행 대차에 세워 설치된 제2 마스트와, 상기 제2 마스트를 따라 승강하고 또한 반송하는 물품을 지지하는 제2 승강체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 구간이,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제2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1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퇴피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2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제2 퇴피용 이동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기 이동 방향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간이,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상기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송할 때 이동하는 제2 반송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1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서의 제1 퇴피용 이동 구간과,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제2 반송용 이동 구간으로부터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할 때 이동하는 제2 퇴피용 이동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1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과,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로 퇴피한 상기 제2 물품 반송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상기 이동 방향에서 중복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는, 물품 반송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과 상기 워크 플랫폼에서의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의 한쪽 측에 위치하는 상기 궤적 외부분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반송 장치, 상기 워크 플랫폼 및 상기 사다리가 구비되는 내부 영역과, 상기 내부 영역의 외부로 되는 외부 영역을 차단하는 칸막이체가 구비되고,
    상기 칸막이체에서의 상기 워크 플랫폼보다 낮은 높이이고 또한 상기 사다리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부분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외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내부 영역에서의 상기 퇴피용 이동 구간으로 진입하기 위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사다리가, 상기 가로 방향으로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과 상기 칸막이체의 상기 출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입구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는 하부 사다리 부분과 상기 출입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사다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사다리 부분이, 상기 출입구에 대하여 상기 가로 방향으로 중첩되는 사용 위치에 설치 가능하고 또한 상기 사용 위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작업자가 보행하는 보행용 바닥부가, 상기 이동 구간을 이동시키는 상기 물품 반송 장치의 상기 주행 대차보다 높은 높이에 구비되고,
    상기 출입구가, 그 하단(下端)이 상기 보행용 바닥부의 상면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상기 칸막이체에 형성되고,
    상기 보행용 바닥부와 같은 높이, 또는 상기 보행용 바닥부보다 높고 또한 상기 워크 플랫폼보다 낮은 높이에, 제2 워크 플랫폼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워크 플랫폼이, 상기 마스트 이동 궤적 중 상기 물품 반송 장치가 상기 퇴피용 정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상기 마스트가 존재하는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탑승용 위치와 상기 퇴피용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물품 반송 설비.
KR1020160148303A 2015-11-13 2016-11-08 물품 반송 설비 KR102572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3014 2015-11-13
JP2015223014A JP6477436B2 (ja) 2015-11-13 2015-11-13 物品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441A KR20170056441A (ko) 2017-05-23
KR102572057B1 true KR102572057B1 (ko) 2023-08-28

Family

ID=5869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303A KR102572057B1 (ko) 2015-11-13 2016-11-08 물품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73887B2 (ko)
JP (1) JP6477436B2 (ko)
KR (1) KR102572057B1 (ko)
TW (1) TWI6931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6700B2 (en) * 2015-07-17 2020-09-08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Modular and configurable pick/put wall
JP6414525B2 (ja) * 2015-09-02 2018-10-31 株式会社ダイフク 保管設備
DE102016009000A1 (de) * 2016-07-21 2018-01-25 Liebherr-Verzahntechnik Gmbh Regalbediengerät für ein Palettenspeichersystem
JP6991243B2 (ja) * 2017-04-20 2022-01-12 ダイフク アメリカ コーポレイション 高密度ストッカ
JP6801640B2 (ja) * 2017-12-21 2020-12-16 株式会社ダイフク 収納棚及び物品収納設備
JP7070522B2 (ja) * 2019-09-10 2022-05-18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トッカ
JP7283640B2 (ja) 2020-10-06 2023-05-30 村田機械株式会社 ストッカ
JP7494813B2 (ja) 2021-07-08 2024-06-0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容設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07A (ja) 2001-06-11 2002-12-24 Shinko Electric Co Ltd 高層収納棚
JP2009001356A (ja) 2007-06-20 2009-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トッカ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1831B (sv) * 1985-09-16 1987-11-02 Knight Konsult Ing Materialhanteringssystem
US4936414A (en) * 1989-03-31 1990-06-26 Norpac Engineering, Inc. Detachable self-contained-aerial-maintenance platform
US5141380A (en) * 1990-11-19 1992-08-25 Daifuku Co., Ltd. Safety arrangement for automatic warehousing facility
US5141381A (en) * 1990-11-19 1992-08-25 Daifuku Co., Ltd. Safety arrangement for automatic warehousing facility
JPH0589309U (ja) * 1991-08-23 1993-12-07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の保守・点検装置
US5586616A (en) * 1994-11-08 1996-12-24 Ksenych; Nick Rotatable scaffold
JP4586990B2 (ja) * 2005-05-27 2010-11-2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JP2007246231A (ja) 2006-03-16 2007-09-2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自動倉庫におけるスタッカクレーンの退避方法
JP5545498B2 (ja) * 2011-12-21 2014-07-0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07A (ja) 2001-06-11 2002-12-24 Shinko Electric Co Ltd 高層収納棚
JP2009001356A (ja) 2007-06-20 2009-01-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トッ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441A (ko) 2017-05-23
JP2017088360A (ja) 2017-05-25
JP6477436B2 (ja) 2019-03-06
US20170138069A1 (en) 2017-05-18
US10773887B2 (en) 2020-09-15
TW201722808A (zh) 2017-07-01
TWI693187B (zh)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057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276842B1 (ko) 층간 반송 설비
KR102409577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2424033B1 (ko) 물품 보관 설비
TW201711938A (zh) 物品收納設備
JP2013203494A (ja) 物品収納設備
JP2008189396A (ja) 昇降搬送装置
KR102500718B1 (ko) 물품 보관 설비
TWI731221B (zh) 貯藏庫及作業用鷹架的形成方法
JP2007106528A (ja) 階層入出庫式ストッカ装置
JP5656053B2 (ja) 装置搬入方法
KR100612463B1 (ko)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방법 및 시스템
KR102262254B1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JP2017208437A (ja) 物品搬送設備
JP5713173B2 (ja) 物品搬送設備
JP6287698B2 (ja) 物品搬送装置
JP2010265084A (ja) 工事用昇降装置
JP2009007125A (ja) 物品搬送車
JP2009190829A (ja) 搬出入システム
JP2006143363A (ja) 物品収納設備
JP2003176636A (ja) 立体駐車場における入庫姿勢補正装置
JP2001081997A (ja) 被格納物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