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068A -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068A
KR20160091068A KR1020150011259A KR20150011259A KR20160091068A KR 20160091068 A KR20160091068 A KR 20160091068A KR 1020150011259 A KR1020150011259 A KR 1020150011259A KR 20150011259 A KR20150011259 A KR 20150011259A KR 20160091068 A KR20160091068 A KR 20160091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resin composition
polypropylene resin
propylene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437B1 (ko
Inventor
하정국
전용성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437B1/ko
Priority to JP2016009440A priority patent/JP6352320B2/ja
Priority to CN201610044545.1A priority patent/CN105820493B/zh
Publication of KR2016009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ation on to a macromolecule having groups capable of inducing the formation of new polymer chains bound exclusively at one or both ends of the starting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60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together with refractory metals, iron group metals, platinum group metals, manganese, rhenium technet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2Refractory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Titanium, zirconium, hafnium or compounds thereof
    • C08F4/646Catalysts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als, in metallic form or as compounds thereof, in addition to the 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 C08F4/6465Catalysts comprising at least two different metals, in metallic form or as compounds thereof, in addition to the component covered by group C08F4/64 containing silic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70Organic dyes or pigments; Optical brighten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저광택성이 우수하고 플로우마크(flow mark)가 억제되어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가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부분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분으로 이루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가 5~30g/10분(230℃, 2.16㎏)의 용융지수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5~20중량%이고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가 0.5~2.0이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중 40~70mol%의 에틸렌 함량 및 자일렌 가용부(X.S)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고유점도비(ηXS/ηhomoPP)가 3~8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광택과 외관이 우수한 특성이 요구되는 플라스틱 성형품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low gloss and reduced flow mark}
본 발명은 사출성형시 성형성이 우수하고, 강성과 내충격성의 균형이 우수하며,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flow mark)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올레핀을 이용한 플라스틱 사출물을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할 경우, 부품의 경량화로 인한 고연비성을 가지는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으며, 또한 재활용의 용이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사출물을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할 경우, 플로우마크의 외관불량이 문제가 될 뿐만 아니라, 플라스틱의 광택이 높음으로인해 햇빛에 반사된 빛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운전 중 안전에 심각한 장애를 미칠 수 있다.
플로우마크, 용융수지의 흐름자국에 의한 외관 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장 방법 또는 에틸렌-α-올레핀계 랜덤공중합체와 무기 충전재를 포함하는 방법이 있으며, 광택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무기물(탈크, 실리카 등) 첨가, 플라스틱 고무성분의 혼합, 플라스틱 제품 표면을 저광택 물질로 도포, 사출 금형 표면의 수정, 반응용기에서 수지 조성 변경 등과 같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자동차 내장재 부품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플로우마크의 외관 불량 억제와 저광택성이 동시에 요구되며, 이 두가지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플라스틱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 등록 특허 10-1431906에는 강성과 충격 특성이 우수하면서 낮은 표면 광택도를 나타낼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9346호에는 플로우마크 외관이 우수하고, 유동성이 우수하며, 강성과 내충격성 밸런스가 양호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해당 조성물은 결정성 프로필렌-에틸렌 블록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와 소량의 유기 과산화물, 무기 충전제를 함께 함유한다. 그러나 유기 과산화물을 이용하므로써 유동성은 향상되었으나, 사출 성형체의 강성과 내충격성의 밸런스, 내가열 변형성, 경도, 냄새 등에 대해서는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성과 충격 특성이 우수하면서 낮은 표면 광택도와 플로우마크의 외관 불량이 억제된 고급 자동차용 내장재로 적용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는 0.5~2.0이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5~30g/10분이고, 자일렌 가용부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고유점도비(ηXS/ηhomoPP)는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 플라스틱 제품의 광택을 낮출 뿐만 아니라 플로우마크의 외관 불량이 억제되며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저광택 및 플로우 마크의 외관 특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내ㆍ외장재 플라스틱 부품, 무광택 외장부품을 요구하는 전자제품, 가전제품 등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는 0.5~2.0이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5~30g/10분이고, 자일렌 가용부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고유점도비(ηXS/ηhomoPP)는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광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부분과 고무성분으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는 0.5~2.0이며, 바람직하게는 1.0~2.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5이다.
상기 중량비가 0.5 미만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저광택 특성을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고, 2.0을 초과하면 광택성은 낮출 수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휨 강성이 저하되어 휨 강성 및 저 광택도를 동시에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는 자일렌 추출물 및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는 5~30g/10분(ASTM D1238, 230℃/ 2.16kg, Melt Index, MI) 이고, 바람직하게는 15~30g/10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30g/10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의 자일렌 가용부(XS)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고유점도비(ηXS/ηhomoPP)는 3~8이며,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 이다. 상기 고유점도비(ηXS/ηhomoPP)가 3 미만일 경우에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사출시 성형품의 외관에 플로우 마크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8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성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40~70mol%이다.
상기 에틸렌 함량이 40mol%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70mol% 초과하면 경도, 내열성 등이 저하되고, 사출물 표면이 끈적거릴 수가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무 성분으로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5~2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17중량% 이다.
상기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낮은 고무성분 함량으로 인해 광택저하 및 충격강도가 떨어질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굴곡강도와 인장강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 하지 않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용제추출물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상기 용제는 자일렌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2㎜ 두께의 무색 평판 시편의 60° 각도의 광택도를 측정했을 때의 표면 광택도(Gloss, 60°)는 7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은 두께 1.5㎜, 너비 3㎝의 스파이럴 플로우 몰드(spiral flow mold)를 사출기를 통해 사출하여 육안으로 평가했을 때 불량이 없는 수지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핵제, 난연제, 안료,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사출 성형품의 내열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0.5중량부의 내열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2~0.3중량부 이다.
상기 내열안정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장기내열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내열안정제의 용출이 발생되거나 가격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내열안정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 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놀)포스파이트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호모 프로필렌 중합체 부분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분이 단계적으로 중합된 수지이며, 상기 중합은 Ziegler-Natta 촉매의 존재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방법은 슬러리법, 벌크법, 기상법 등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 및 반응 조건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제 1 중합단계에서 2개 이상의 반응기를 통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중합하고, 제 2 중합단계에서 상기 제조된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분을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중합단계 및 제 2 중합단계는 서로 동일한 중합 반응기 또는 상이한 중합 반응기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은 Ziegler-Natta 촉매 및 외부 전자 공여체를 포함한 촉매계 및 수소 가스의 존재 하에서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합성하는 2개 이상의 벌크 중합 반응기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기상 중합 반응기로 구성된 중합설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합성하는 2개 이상의 반응기에서 합성되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의 마지막 반응기에서의 용융지수는 20~100g/10분(230℃, 2.16Kg에서 측정)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합성하는 각 반응기에서의 용융지수는 차례로 줄어들도록 운전할 수 있고, 이와는 상반되게 각 반응기에서의 용융지수를 동일하게 운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합성된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이 실시되는 기상 반응기로 이동시키고, 에틸렌과 프로필렌이 동시에 투입됨에 따라 호모 폴리프로필렌 고체성분과 계속적으로 공중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기상 반응기에서의 전체 가스에 대한 에틸렌 함량의 비율은 0.30~0.90(몰비율), 바람직하게는 0.40~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0.70일 수 있다.
상기 Ziegler-Natta 촉매는 MgCl2 담체에 TiCl3 또는 TiCl4를 담지시켜 생성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공촉매로 알킬알루미늄 화합물을 사용하였으며, 그 예로 트리에틸알루미늄, 디에틸클로로알루미늄, 트리부틸알루미늄, 트리스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외부전자 공여체는 유기 실란 화합물로, 예를 들어 디페닐디메톡시실란, 페닐트리메톡시실란, 페닐에틸디메톡시실란, 페닐메틸디메톡시실란, 메톡시트리메틸실란, 이소부틸트리메톡시실란, 디이소부틸디메톡시실란, 디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디-t-부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디시클로헥실디메톡시실란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등 통상적인 성형법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저광택을 나타내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저광택 특성이 요구되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적용이 가능하고, 예를 들어, 자동차 내장재 플라스틱 부품, 무광택 외장부품을 요구하는 전자제품, 가전제품, 건축자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1)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의 중합
TiCl4, MgCl2로 이루어진 Ziegler-Natta 촉매와 외부 전자 공여체인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 그리고 촉매의 활성화를 위하여 트리에틸 알루미늄을 첨가한 촉매계로부터 직렬 배치된 4개의 중합조 중 첫번째부터 세번째 중합조(벌크중합조)에서 프로필렌을 주입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한 후, 생성된 중합체를 네번째 기상중합조로 옮겨서,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기상중합을 실시 하였고, 표 1에 제시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용융지수 g/10분 30 27 28 26 28 64
X.S wt% 13.0 13.5 14.3 13.9 18.8 10.5
X.S/C2 wt%/wt% 1.25 1.35 1.42 1.43 0.97 2.75
EPR-C2 mol% 58.7 56.0 55.1 45.2 42.6 40.6
IV ratio
(ηXS/ηhomoPP)
5.2 4.4 4.8 2.6 1.8 6.5
(2) 물성 평가
상기 제조된 에틸렌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를 이용하여 우진 150톤 사출기를 이용하여 190~230℃에서 사출하여 얻은 기준시편 ASTM-1호와, 2mm 평판 시편을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얻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FM ㎏f/㎠ 13300 13500 13900
Izod @ RT ㎏f ㎝/㎝ 7.2 6.9 6.4
@ -20℃ ㎏f ㎝/㎝ 4.1 3.9 3.5
Tensile Strength @ yield ㎏f/㎠ 250 245 235
Elongation % 170 160 155
Modulus ㎏f/㎠ 220 210 205
Hardness R scale 83 86 90
Gloss(60°) % 57 59 61
플로우 마크 평가 발생정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FM ㎏f/㎠ 13000 13600 16000
Izod @ RT ㎏f ㎝/㎝ 7.3 6.7 5.9
@ -20℃ ㎏f ㎝/㎝ 4.2 4.0 3.7
Tensile Strength @ yield ㎏f/㎠ 260 265 310
Elongation % 290 290 30
Modulus ㎏f/㎠ 235 230 100
Hardness R scale 80 84 95
Gloss(60°) % 75 82 89
플로우 마크 평가 발생정도 × ×
플로우 마크 발생 정도
ⓞ: 플로우 마크가 거의 눈에 띄지 않음.
○: 플로우 마크가 희미하게 보임.
△: 플로우 마크가 보임.
×: 플로우 마크가 선명하게 보임.
평가 방법
(1) 용융 지수(Melt index, g/10분)
ASTM D 1238 조건에 따라 230℃, 2.16kg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자일렌 추출분( Xylene Soluble, X.S, 중량%)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를 자일렌에 1%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한 후, 그 무게를 측정하여,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 비( Xylene Soluble/ethylene, X.S/C2, 중량%/중량%)
1% 농도의 프로필렌계 혼합상 수지를 자일렌에 녹여 추출한 성분의 전체중량의 백분율과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의 720,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측정한 에틸렌 함량의 비이다.
(4) 고유 점도비 (Intrinsic Viscosity ratio)
자일렌에 녹여 추출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호모 폴리프로필렌을 고유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비율을 나타내었다.
(5)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함량(Ethylene-Propylene rubber, EPR-C2, mol %)
자일렌 추출에 의해 얻어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분율로서,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720, 740cm-1의 특성 피크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측정하였다.
(6) 광택도(%)
ASTM D523 방법에 따라 60°각도에서 반사광량을 측정하였다.
(7) 플로우 마크 외관불량
플로우 마크 외관불량은 두께 1.5mm, 너비 3cm의 스파이럴 플로우 몰드(spiral flow mold)를 통해 사출기(LG LGH140N)을 이용하여 사출하고,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8) 굴곡탄성율 (㎏f/㎠)
ASTM D790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9) 아이조드 ( IZOD ) 충격강도(㎏f㎝/㎝)
ASTM D256에 따라 상온(23℃) 및 저온(-20℃)에서 측정하였다.
(10) 인장강도 (Tensile test)
ASTM D638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표 1~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실시예 1~3의 결과와 비교예 1~3을 비교하였을 때에 실시예 1~3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의 비가 낮아짐에 따라 광택도(Gloss, 60°)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비교예 1~3 보다 높지만, 굴곡강도(FM, Flexural Modulus)는 비교예 1~3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가 없다. 또한, Izod 충격강도에서도 상온과 저온(-20℃) 에서의 충격강도가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장물성에서도 항복점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at Yield)와 Modulus 값이 비교예 1~3과 비교했을 때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신율 저하가 관찰되었다.
광택성에 관련해서, 실시예 1~3의 기계적 물성이 비교예 1~3과 비교했을 때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표면 광택도(Gloss, 60°)에서 각각 57, 59, 61%를 나타내어 비교예 1~3에 비해 최대 32%의 광택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성분을 포함하는 저광택 및 플로우 마크의 외관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광택성이 낮고 외관이 우수하며 강성, 충격 특성 등이 우수한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대한 에틸렌 함량의 중량비는 0.5~2.0이며,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5~30g/10분이고, 자일렌 가용부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고유점도비(ηXS/ηhomoPP)는 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함량이 40~7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전체 중량에 대해 5~2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의 광택도(Gloss, 60°)는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 중에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는 지글러 나타(Ziegler-Natta) 촉매 시스템 하에서 유기실란 화합물을 이용하여 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의 용융지수는 ASTM D1238의 230℃, 2.16kg에서 20~10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열안정제 0.1~0.5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안정제는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 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놀)포스파이트 중에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반응기를 통하여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를 중합하는 제 1 중합단계 및 상기 호모 폴리프로필렌 중합체에 에틸렌 및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부분을 중합하는 제 2 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중합단계 및 제 2 중합단계는 동일한 중합 반응기 또는 상이한 중합 반응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13. 제12항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용 내ㆍ외장재 및 가전/전자 제품의 무광택 외장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KR1020150011259A 2015-01-23 2015-01-23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646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59A KR101646437B1 (ko) 2015-01-23 2015-01-23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16009440A JP6352320B2 (ja) 2015-01-23 2016-01-21 低光沢およびフローマークの外観不良が抑制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CN201610044545.1A CN105820493B (zh) 2015-01-23 2016-01-22 具有低光泽度和减少的流痕的聚丙烯树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259A KR101646437B1 (ko) 2015-01-23 2015-01-23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068A true KR20160091068A (ko) 2016-08-02
KR101646437B1 KR101646437B1 (ko) 2016-08-05

Family

ID=56512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259A KR101646437B1 (ko) 2015-01-23 2015-01-23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52320B2 (ko)
KR (1) KR101646437B1 (ko)
CN (1) CN1058204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5008A (zh) * 2018-12-29 2019-05-10 上海普利特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气味、低光泽、薄壁化汽车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194517B1 (ko) 2019-05-17 2020-12-24 (주)진양이피에스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223243B1 (ko) * 2019-09-16 2021-03-04 한화토탈 주식회사 내백화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423311B1 (ko) 2020-02-18 2022-07-22 (주)진양이피에스 혼합 수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472A (ja) * 1996-03-04 1997-09-16 Tonen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139760A (ja) * 1999-11-11 2001-05-22 Japan Polychem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8019347A (ja) * 2006-07-13 2008-01-31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431906B1 (ko) * 2012-11-20 2014-08-26 삼성토탈 주식회사 저광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8801A (en) * 1993-10-20 1994-08-16 Himont Incorporated Compositions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s and olefin polymer materials with reduced gloss
JP3290076B2 (ja) * 1995-12-01 2002-06-10 宇部興産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3352319B2 (ja) * 1996-04-08 2002-12-0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3321009B2 (ja) * 1997-01-17 2002-09-03 日本ポリケム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3772648B2 (ja) * 2000-06-30 2006-05-10 住友化学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4841717B2 (ja) * 2000-07-19 2011-12-21 三井化学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657165B2 (en) * 2012-03-19 2017-05-23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1472A (ja) * 1996-03-04 1997-09-16 Tonen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01139760A (ja) * 1999-11-11 2001-05-22 Japan Polychem Corp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8019347A (ja) * 2006-07-13 2008-01-31 Sumitomo Chemical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
KR101431906B1 (ko) * 2012-11-20 2014-08-26 삼성토탈 주식회사 저광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2320B2 (ja) 2018-07-04
CN105820493A (zh) 2016-08-03
JP2016135869A (ja) 2016-07-28
KR101646437B1 (ko) 2016-08-05
CN105820493B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5423B1 (en) Article comprising a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 composition
KR101862917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성형품
EP3330315B1 (en) Foamed polypropylene composition
EP3645627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xcellent surface appearance
EP2731989B1 (en) Heterophasic polypropylene with low clte and high stiffness
WO2014082188A1 (en) Pp compounds with alleviated or eliminated tiger stripe and retaine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O2015089688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low coefficient of linear thermal expansion and high dimension stability
KR101646437B1 (ko) 저광택 및 플로우마크 외관 불량이 억제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60090887A (ko) 우수한 페인트 점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N109642065B (zh) 具有良好尺寸稳定性和优异表面外观的刚性丙烯组合物
JP6872594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その調製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KR101678243B1 (ko) 사출 성형에 적합한 폴리올레핀 마스터배치 및 조성물
KR101834078B1 (ko) 수축률 및 외관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U2020212400B2 (en) Foamable polypropylene composition with excellent mechanical performance
CN113039050B (zh) 高光泽黑色tpo替代漆
KR101431906B1 (ko) 저광택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4375328A1 (en) Polypropylene composition for automotive applications
JP2021024955A (ja) フィラー含有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自動車外装用部品
KR20240080358A (ko) 신율 및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058625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CN118076654A (zh) 具有高熔体流动速率的用于发泡的丙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