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382A -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 - Google Patents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382A
KR20160086382A KR1020167015640A KR20167015640A KR20160086382A KR 20160086382 A KR20160086382 A KR 20160086382A KR 1020167015640 A KR1020167015640 A KR 1020167015640A KR 20167015640 A KR20167015640 A KR 20167015640A KR 20160086382 A KR20160086382 A KR 2016008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hef
weight
melt extruded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143B1 (ko
Inventor
알렉산드라 텔레키
카미유 아들러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6008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23L1/007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9Colouring agents, e.g. pigmenting or dye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5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xtrusion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Carotene, caroten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23V2250/5108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난용성 화합물, 및 식품 또는 사료 제품 또는 식이 보충물로서의(또는 이들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FORMULATION OF SPARINGLY SOLUBLE COMPOUNDS BY HOT-MELT EXTRUSION}
본 발명은 (수)-난용성 화합물, 및 식품 또는 사료 제품 또는 식이 보충물로서의(또는 여기에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약학 제형의 제조 방법으로서의 고온-용융 압출은 이전에 개시되어 있다.
많은 연구원들은 고온-용융 압출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약학 제제를 제조하였다.
이런 제형의 중요성 때문에, 식품, 사료 및 식이 보충물 분야에서도 신규의 개선된 제형에 대한 요구가 항상 존재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의,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i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9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 담체 물질
을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에 관한 것이다.
모든 기재 및 개시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서, 중량%는 항상 100%까지 첨가된다.
이런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은 (예컨대) 하기의 장점을 갖는다:
(i)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특히 물에서)은 이런 제형에 의해 생체이용가능하게(bioavailable) 되고;
(ii) 이런 제형은 식품 및 사료 제품 및 식이 보충물에서 안정하고;
(iii) 제조 방법은 연속 방식으로 수행되고;
(iv) 제조 방법은 임의의 용매 없이 수행되고;
(v) 이런 제형은 카로테노이드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용어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은 생물약학 분류 시스템(BCS)의 클래스의 클래스 IV 화합물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된다. BCS는 약물과 관련된 것이지만, 본 발명자들은 동일한 성질을 갖지만 약물로서 정의되지 않은 화합물, 예컨대 특히 카로테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이하에서 BCS를 추가로 설명한다.
생물약학 분류 시스템은 약물을 용해도 및 투과성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용해도 및 장 투과성 파라미터를 시용한 예측을 제한한다. 용해도 분류는 미국 약전(USP) 어퍼쳐(aperture)에 기초한다. 장 투과성 분류는 정맥내 주사와의 비교에 기초한다. 이들 모든 인자는 매우 중요한데, 이는 미국 및 유럽에서 시판되는 대부분의 약물의 85%가 경구 투여되기 때문이다.
BCS에는 4가지 클래스(클래스 I - IV)가 있다.
BCS에 따르면, 약물 물질은 하기와 같이 분류된다:
클래스 I - 고 투과성, 고 용해도
클래스 II - 고 투과성, 저 용해도
클래스 III - 저 투과성, 고 용해도
클래스 IV - 저 투과성, 저 용해도
예: 하이드로클로로티아자이드
상기 약물은 하기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BCS에서 분류된다:
1. 용해도
2. 투과성
3. 분해성
이 분류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널리 사용된다.
BCS에 따른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바람직한 화합물은 카로테노이드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또한, (HEF)이되,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카로테노이드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1)에 관한 것이다.
600 종 초과의 공지의 카로테노이드가 존재하며, 이들은 두가지 클래스, 즉 잔토필(산소를 함유함) 및 카로틴(순수하게 탄화수소이며 산소를 포함하지 않음)으로 나뉜다. 모든 카로테노이드는 테트라터페노이드이고, 이는 이들이 8개의 이소프렌 분자로부터 생성되고 4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함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카로테노이드"는 천연 또는 합성 카로틴 또는 기능성 건강 성분 또는 식품용 착색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연관된 폴리-엔 화합물을 포함하고, 예컨대 α- 또는 β-카로틴, 8'-아포-β-카로티날, 8'-아포-β-카로틴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에스터, 칸타잔틴, 아스타잔틴,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또는 크로세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바람직한 카로테노이드는 β-카로틴, 8'-아포-β-카로티날, 라이코펜 및 루테인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β-카로틴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전술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 α-카로틴, β-카로틴, 8'-아포-β-카로티날, 8'-아포-β-카로틴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에스터, 칸타잔틴, 아스타잔틴,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및 크로세틴, 바람직하게는 β-카로틴으로 이루어진 카로테노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또는 (HEF1)이되,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α-카로틴, β-카로틴, 8'-아포-β-카로티날, 8'-아포-β-카로틴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에스터, 칸타잔틴, 아스타잔틴,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및 크로세틴, 바람직하게는 β-카로틴으로 이루어진 카로테노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2)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또는 (HEF1)이되,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β-카로틴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3)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특히 상기 정의된 카로테노이드)은 고온-용융 압출 가공 후 비정질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또는 (HEF3)이되,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고온-용융 압출 가공 후 비정질 형태로 존재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3)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은 중합체 담체 물질을 포함한다. 이 담체 물질은 천연 및 합성일 수 있다.
적합한 중합체 담체 물질은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코-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코-폴리프로필렌; 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부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전분, 펙틴; 다당류 예컨대 트래가칸트, 아라빅 검, 구아 검, 슈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잔탄 검, 리피드, 왁스, 모노, 다이, 및 트라이 글리세리드, 세틸 알코올, 스테릴 알코올, 파라필름 왁스 등, 수소화된 식물성 및 캐스터 오일,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자일리톨, 만니톨 및 소비톨을 비롯한 폴리올레핀,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 에디프산, 말레아산(meleaic acid), 시트르산을 비롯한 알파 하이드록실산, 장 중합체 예컨대 CAP, HPMC AS, 셸락, 및 이들의 조합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또는 (HEF4)이되, 중합체 담체 물질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비닐피롤리돈-코-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카프로락톤; 폴리에틸렌-코-폴리프로필렌; 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부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알킬 알킬셀룰로오스 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전분, 펙틴; 다당류 예컨대 트래가칸트, 아라빅 검, 구아 검, 슈크로스 스테아레이트, 잔탄 검, 리피드, 왁스, 모노, 다이, 및 트라이 글리세리드, 세틸 알코올, 스테릴 알코올, 파라필름 왁스 등, 수소화된 식물성 및 캐스터 오일,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자일리톨, 만니톨 및 소비톨을 비롯한 폴리올레핀, 시트르산 및 타르타르산, 에디프산, 말레아산, 시트르산을 비롯한 알파 하이드록실산, 장 중합체 예컨대 CAP, HPMC AS, 셸락,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5)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바람직한 중합체 담체 물질은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예컨대 에틸 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이고, 또는 알기네이트, 키토산,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은 천연 중합체의 예이다.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폴리락트산(PLA)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코-에틸 아크릴레이트)(오이드라기트(Eudragit)(등록상표), 에보닉 인더스트리즈(Evonik Industries) 및 폴리비닐 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래프트 공중합체(솔루플러스(등록상표), BASF)는 합성 중합체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또는 (HEF5)이되, 중합체 담체 물질이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예컨대 에틸 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또는 천연 중합체 예컨대 알기네이트, 키토산,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폴리락트산(PLA) 또는 공중합체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코-에틸 아크릴레이트)(오이드라기트(등록상표), 에보닉 인더스트리즈 및 폴리비닐 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래프트 공중합체(솔루플러스(등록상표), BASF)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6)에 관한 것이다.
이들 담체 물질은 모두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또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은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또는 (HEF6)이되,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HEF7)에 관한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소제"는 본 발명의 중합체 담체를 가소화시킬 수 있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가소제는 일반적으로 중합체 용융물의 점도를 감소시켜 고온-용융 압출 동안 보다 낮은 가공 온도 및 압출기 토크를 가능케 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가소제는, 예시적으로 및 비제한적으로, 저분자량 중합체, 올리고머, 공중합체, 오일, 유기 소분자, 지방족 하이드록실을 갖는 저분자량 폴리올, 에스터형 가소제, 글리콜 에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다중-블록 중합체, 단일 블록 중합체, 저 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시트레이트 에스터형 가소제, 트라이아세틴,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가소제는 또한 에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스티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소비톨 락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부틸 락테이트, 에틸 글리콜레이트, 다이부틸세바케이트, 아세틸트라이부틸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및 알릴 글리콜레이트일 수 있다. 이런 가소제는 모두 공급원, 예컨대 알드리치 또는 시그마 케미칼 캄파니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또는 (HEF7)이되, 에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스티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소비톨 락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부틸 락테이트, 에틸 글리콜레이트, 다이부틸세바케이트, 아세틸트라이부틸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및 알릴 글리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8)에 관한 것이다.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서 사용되는 가소제의 양은 이의 조성, 물성,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 대한 효과,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다른 성분들과의 상호작용 및 기타의 이유에 좌우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소제 함량은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40 중량%를 초과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또는 (HEF8)이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 4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9)에 관한 것이다.
또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은 다른 성분, 예컨대 염료, 향미제, 결합제, 충전제, 윤활제, 유동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화합물의 사용은 보통 최후의 최종-시장 상품(식품, 사료 및 식이 보충물 제품)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요구된다(또는 바람직하다).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성분 클래스는 항산화제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항산화제"는, 산화를 억제하고, 따라서 조성물 중의 산소 유리 라디칼 또는 유리 금속의 존재에 기인하는 산화에 의한 제제의 열화(deterioration)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약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런 화합물은, 예시적으로 및 비제한적으로, 아스코브산,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차아인산, 모노티오글리세롤, 나트륨 아스코베이트, 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또는 다른 설파이트 유도체), BHT, BHA,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또는 프로필 갈레이트,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또는 (HEF9)이되,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10)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또는 (HEF10)이되, 아스코브산,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차아인산, 모노티오글리세롤, 나트륨 아스코베이트, 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또는 다른 설파이트 유도체), BHT, BHA,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및 프로필 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11)에 관한 것이다.
그 양은 보통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9), (HEF10) 또는 (HEF11)이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12)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중합체 담체에 미세하게 및 균질하게 분산된 활성 화합물로 구성된 약학 제형은 고체 분산물, 유리 용액, 분자 분산물 및 고용체로서 기재되어 왔다. 본 발명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용어 고체 분산물은, 활성 화합물이 조질(coarse) 내지 미세(fine)의 크기 범위로 불활성 부형제 담체에 분산된 약학 제제를 기술하는 일반적 용어로서 사용되었다. 유리 용액, 분자 분산물 및 고용체는 결정질 활성 화합물의 비정질 형태가 동일반응계 내에서 형성되고 고온-용융 압출 공정 동안 중합체 매트릭스 내에 분산된 제제를 구체적으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고온-용융 압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자명하게는, 상기 기재된 모든 바람직한 양태는 또한 이런 제형의 제조에서도 유효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임의의 용매의 부재 하에
(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의,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i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9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 담체 물질
을 고온-용융 압출시키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제조를 위한 고온-용융 압출 방법(HEP)에 관한 것이다.
전술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HEF10), (HEF11) 및 (HEF12)은 모두 상기 방법(HEP)에 의해 제조된다.
고온-용융 압출 공정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온-용융 압출"은, 부형제 블렌드를 용융 상태로 가열하고, 이어서 압출된 생성물이 형성되는 오리피스를 통해 이의 최종 형상으로 힘이 가해지고, 이때 이는 냉각 시에 고체화되는 공정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블렌드는 전형적으로 스크류 장치에 의해 다양한 가열 구역을 통해 수송된다. 스크류 또는 스크류들은, 스크류의 외부 직경과 배럴의 내부 직경 사이에 단지 작은 갭이 존재하는 실린더 배럴 내부의 가변 속도 모터에 의해 회전한다. 이런 구성에서, 높은 전단이 배럴 벽에서 및 분말 블렌드의 다양한 성분들이 잘 혼합되고 탈응집 되게 하는 스크류 파이트들(fights) 사이에서 생성된다. 고온-용융 합출 장비는 전형적으로 1-스크류 또는 2-스크류 장치이지만, 2개 초과의 스크류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전형적 고온-용융 압출 장치는 오리피스까지 순차적으로 혼합/수송 구역, 가열/용융 구역, 및 펌핑 구역을 포함한다. 혼합/수송 구역에서, 분말 블렌드가 혼합되고, 응집물은 스크류 요소와 배럴 사이의 전단력에 의해 1차 입자로 감소된다. 가열/용융 구역에서, 온도는, 수송 고체가 상기 구역을 통과함에 따라 용융되도록 블렌드의 중합체담체의 융점 또는 유리 전이 온도 또는 그 이상이다. 중합체 담체는 활성제 또는 활성제들 및 다른 기능성 성분들이 분산되는 매트릭스로서, 또는 이들이 결합되어 출구 오리피스에서 연속형 복합물이 형성되게 하는 접착제로서 작용한다. 용융 상태에 있는 경우, 균질화된 블렌드는, 블렌드의 용융 상태를 유지하는 또 다른 가열 구역을 통해 오리피스로 펌핑된다. 오리피스에서, 용융된 블렌드는 스트랜드, 실린더 또는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출된 압출물은 이후 전형적으로 공냉 공정으로 고체화된다. 일단 고체화되면, 그 후 압출물은 펠렛, 구, 미세 분말, 정제 등으로 추가 가공될 수 있다.
상기의 기재와 유사한 단일 스크류 장치의 예는 랜드캐슬 마이크로트루더(Randcastle Microtruder), 모델 RCP-0750이다.
2-스크류 장치의 예는 엑스플로어(Xplore) 5cc 원뿔형 또는 터모 사이언티픽 하케 폴리랩 OS 레오드라이브7, 하케 레오멕스(Haake Rheomex) OS PTW 16(Thermo Scientific Haake Polylab OS Rheodrive7, Haake Rheomex OS PTW 16)이다.
온도는 상기 제안된 발명에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공정 변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되는 고온-용융 압출 공정은, 승온에서 수행되고, 즉, 압출기의 가열 구역(들)이 실온(약 20℃) 초과이다. 가공 동안 화합물의 저하(degradation) 또는 분해를 최소화할 작동 온도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동 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압출기 가열 구역(들)에 대한 설정에 의해 측정 시 약 50℃ 내지 약 300℃ 범위이다. 고온-용융 압출되는 혼합물의 온도는 3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일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HEP)이되, 작동 온도 범위가 일반적으로 압출기 가열 구역(들)에서 약 50℃ 내지 약 300℃이고, 바람직하게는 고온-용융 압출되는 혼합물의 온도는 300℃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 이하인, 고온-용융 압출 방법(HEP1)에 관한 것이다.
사용되는 모든 성분들은 건조 상태(용매 없음!)이고, 혼합기 또는 호퍼에 넣고,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블렌딩)된다. 그 후 이 혼합물은 중합체 담체 물질을 용융 또는 연화시키기에 충분한 속도 및 온도에서 고온-용융 압출되어 성분들의 저하를 최소화하고 압출물로 형성되고, 이는 이후 적합한 입자로 그라인딩 또는 쵸핑된다.
제형의 성분들이 압출기로 공급되는 방식에 대한 고려가 존재해야 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모든 제형 성분들은 함께 블렌딩되어 압출기로 공급되기 이전에 블렌딩된 혼합물을 형성한다. 이는 임의의 전통적 혼합 또는 블렌딩 기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형 성분들은,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 단독으로 공급될 수 있고, 단, 압출기의 혼합/수송 구역에서 제형 성분의 적합한 혼합이 존재해야 한다.
보통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온-용융 압출에서는 용매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압출기는 건조 공급물을 조작하도록 장착되고 고체 수송 구역, 하나 이상의 가열 구역, 및 압출 다이를 갖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모델일 수 있다. 2 스테이지 일축 압출기, 예컨대 브라벤더(BRABENDER) 또는 킬리온(KILLION) 제품은 2개의 이런 장치이다. 압출기가 복수개의 별개의 온도 제어가능한 가열 구역을 갖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많은 조건이 압출 동안 특히 유리한 제형에 도달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이런 조건은, 예시적으로, 제형 조성, 공급 속도, 작동 온도, 압출기 스크류 RPM, 체류 시간, 다이 구조, 가열 구역 길이 및 압출기 토크 및/또는 압력을 포함한다. 이런 조건의 최적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제형 중에 가소제, 및 임의적으로, 항산화제를 포함시킴에 의해, 가공 온도, 압력 및/또는 토크가 감소될 수 있다. 가소제(및 항산화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필수적이지는 않다. 이들을 상기 제형에 첨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고려되는 것이다.
상기 기재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HEF10), (HEF11) 및 (HEF12)은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후에 최후의 최종-생성물을 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리믹스에서도 이런 제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에서의 하나 이상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HEF10), (HEF11) 및/또는 (HEF12)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용 프리믹스에서의 상기 기재 및 개시된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HEF10), (HEF11) 또는 (HEF12)을 포함하는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HEF), (HEF1), (HEF2), (HEF3), (HEF4), (HEF5), (HEF6), (HEF7), (HEF8), (HEF9), (HEF10), (HEF11) 또는 (HEF12)을 포함하는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용 프리믹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예시된다. 모든 온도는 ℃로 주어지고, 모든 부 및 퍼센트는 중량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엑스플로어 5cc 원뿔형 동시회전식 2-스크류 마이크로컴파운더를 사용하여 β-카로틴의 고온-용융 압출(HME) 공정을 수행하였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HPMC; 다우 케미칼스(Dow Chemicals)의 메토셀(Methocel) E5 또는 메토셀 E19), 폴리에틸렌 글리콜(시그마 알드리치의 PEG 200) 및 결정질 β-카로틴(DSM 뉴트리셔널 프로덕츠 리미티드)을 59.4/39.6/1 중량%의 비로 각각 수동식으로 프리믹스화하였다. 그 프리믹스를, 질소로 퍼징된 압출기로 수평 피스톤을 사용하여 공급하였다. 모든 배럴의 온도는 160℃로 설정되었다. 250 rpm의 초기 스크류 속도를 2분 동안 선택하고, 이어서 8분 동안 400 rpm를 선택하였다. 그 후 압출물을, 150 rpm의 감소된 스크류 속도에서 압출기의 하부에서 밸브를 개방하여 수집하였다. 압출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β-카로틴 분산물(dispersion) 크기를 레이저 회절(맬버른 인스트루먼츠 마스터사이저 3000(Malvern Instruments Mastersizer 3000)로 측정하였다. 생성된 분산물 크기 분포는 평균 크기 d10 = 0.457 mm, d50 = 0.637 mm 및 d90 = 0.901 mm를 갖는 일봉형이었다.
실시예 2
엑스플로어 5cc 원뿔형 동시회전식 2-스크류 마이크로컴파운더를 사용하여 β-카로틴의 고온-용융 압출(HME) 공정을 수행하였다. 폴리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래프트 공중합체(BASF의 솔루플러스) 및 결정질 β-카로틴(DSM 뉴트리셔널 프로덕츠 리미티드)을 수동식으로 프리믹스화하였다. β-카로틴 함량은 1 중량%이었다. 그 프리믹스를, 질소로 퍼징된 압출기로 수평 피스톤을 사용하여 공급하였다. 모든 배럴의 온도는 160℃로 설정되었다. 250 rpm의 스크류 속도를 2분 동안 선택하고, 5분 동안 혼합을 수행하였다. 그 후 스크류 속도를 50 rpm으로 감소시키고, 밸브를 돌려서 하부 개구를 통해 혼합물을 압출시켰다. 압출된 스트랜드를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압출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β-카로틴 분산물 크기를 레이저 회절(맬버른 인스트루먼츠 마스터사이저 3000(Malvern Instruments Mastersizer 3000)로 광상관 분광기(베크만 쿨터 델사(Beckman Coulter Delsa) 나노 S 입자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평균 크기 d10 = 43.9 nm, d50 = 62.8 nm 및 d90 = 91.1 nm를 갖는 미세한 일봉형 분포가 수득되었다. 2 중량% β-카로틴을 갖는 압출물의 분산물 크기는 d10 = 50.1 nm, d50 = 57.5 nm 및 d90 = 66.1 nm와 유사하였다. HME 전후의 β-카로틴의 결정도를 시차 주사 열량법(DSC)으로 측정하였다. 뚜껑에 구멍을 가진 50 mL 밀봉 알루미늄 팬에서 샘플을 칭량하고, 5℃/분으로 20 내지 195℃로 가열하였다. 순수 결정질 β-카로틴은 약 182℃에서 DSC 용융 피크를 가졌다. β-카로틴 용융 피크는 HME 후 더 이상 보이지 않았고, 이는 HME에 의한 결정도 소실을 의미한다.
실시예 3
β-카로틴의 연속 고온-용융 압출(HME)을 동시회전식 2-스크류 압출기(써모 사이언티픽 하케 폴리랩 OS 레오드라이브7, 하케 레오멕스 OS PTW 16) 상에서 수행하였다. β-카로틴 및 HPMC(다우 케미칼스의 메토셀 E19)의 프리믹스를 질소 하에 20분 동안 채질된 분말을 블렌딩시켜 제조하였다. 프리믹스를, 중량계측 공급기(브라벤더 테크놀로기(Brabender Technologie)를 사용하여 502 g/h로 압출기의 제 1 배럴에 첨가하였다. PEG 200(시그마 알드리치)를 액체 펌프(HNP 미크로시스템(Mikrosystem))로 329 g/h로 다음 하류 배럴로 공급하였다. 압출물의 조성은 각각 59.4/39.6/1 중량% HPMC, PEG 200 및 β-카로틴이었다. 모든 배럴을 160℃로 가열하고, 450 rpm의 스크류 속도를 선택하였다. 1 mm의 직경을 가진 다이를 압출기 헤드 상에 위치시키고, 압출물 스트랜드를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 실온으로 냉각시켜 마운팅시켰다. β-카로틴 분산물 크기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레이저 회절로 측정하였다. 평균 크기 d10 = 0.407 mm, d50 = 0.548 mm 및 d90 = 0.734 mm를 가진 일봉형 크기 분포가 수득되었다. 연속 HME 전후의 β-카로틴의 결정도를 실시예 2에 기재된 DSC로 측정하였다. β-카로틴의 흡열성 용융 피크는 압출물의 DSC 곡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Claims (15)

  1. (i)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의,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ii)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9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 담체 물질
    을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hot-melt extruded) 제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이, α-카로틴, β-카로틴, 8'-아포-β-카로티날, 8'-아포-β-카로틴산 에스터, 예컨대 에틸 에스터, 칸타잔틴, 아스타잔틴, 라이코펜, 루테인, 제아잔틴 및 크로세틴, 바람직하게는 β-카로틴로 이루어진 카로테노이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 투과성 및 저 용해도를 갖는 화합물(특히 상기 정의된 카로테노이드)가 비정질 형태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담체 물질이 셀룰로오스계 중합체, 예를 들면 에틸 셀룰로오스(EC),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HPMC), 또는 알기네이트, 키토산,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이들은 천연 중합체의 예이다),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폴리락트산(PLA) 또는 공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코-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 글리콜 그래프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이 하나 이상의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가소제가 에틸렌 글리콜, 1,2-부틸렌 글리콜, 2,3-부틸렌 글리콜, 스티렌 글리콜, 다이에틸렌 글리콜, 트라이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기타 폴리(에틸렌 글리콜) 화합물, 모노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다이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터, 소비톨 락테이트, 에틸 락테이트, 부틸 락테이트, 에틸 글리콜레이트, 다이부틸세바케이트, 아세틸트라이부틸시트레이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라이에틸 시트레이트, 트라이부틸 시트레이트 및 알릴 글리콜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이,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 40 중량%의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가 아스코브산, 아스코빌 팔미테이트, 부틸화된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된 하이드록시톨루엔, 차아인산, 모노티오글리세롤, 나트륨 아스코베이트, 나트륨 포름알데하이드 설폭실레이트 및 나트륨 메타바이설파이트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항산화제로부터 선택되고, 적합한 다른 항산화제는 예컨대 비타민 C, BHT, BHA, 나트륨 바이설파이트, 비타민 E 및 이의 유도체, 프로필 갈레이트 또는 설파이트 유도체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10. 제 8 항 내지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이,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이하의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에서의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용 프리믹스에서의 용도.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식품 제품, 사료 제품 및/또는 식이 보충물용 프리믹스.
  15.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제조를 위한 고온-용융 압출 방법으로서,
    임의의 용매의 부재 하에
    (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10 중량%의, 저 용해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ii) 고온-용융 압출된 제형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50 -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0 - 9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 95 중량%의 하나 이상의 중합체 담체 물질
    이 고온-용융 압출되는, 방법.
KR1020167015640A 2013-11-15 2014-11-14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 KR1023881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3193116 2013-11-15
EP13193116.4 2013-11-15
PCT/EP2014/074565 WO2015071394A1 (en) 2013-11-15 2014-11-14 Formulation of sparingly soluble compounds by hot-melt extru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382A true KR20160086382A (ko) 2016-07-19
KR102388143B1 KR102388143B1 (ko) 2022-04-19

Family

ID=49674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640A KR102388143B1 (ko) 2013-11-15 2014-11-14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22337B2 (ko)
EP (1) EP3079670A1 (ko)
JP (1) JP6834080B2 (ko)
KR (1) KR102388143B1 (ko)
CN (1) CN105744847A (ko)
BR (1) BR112016010942B1 (ko)
WO (1) WO20150713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12A (ko) * 2018-11-08 2020-05-19 한국식품연구원 산소제거 기능성 마스터배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84703A1 (en) * 2015-07-03 2018-07-05 Dsm Ip Assets B.V. Novel extrudates
EP3269361A1 (en) * 2016-07-14 2018-01-17 Omya International AG Dosage form
CN106721015A (zh) * 2016-12-28 2017-05-31 新昌县赛因斯生物科技有限公司 纯中药肉鸭饲料添加剂
MA47793A (fr) * 2017-03-15 2020-01-22 Sun Pharma Advanced Res Co Ltd Nouvelle dispersion amorphe d'hydrazide n'- (2-chloro-6-méthyl-benzoyl) d'acide 4-méthyl-3-quinoline-3-yléthynyle-benzoïque
JP7295025B2 (ja) * 2017-03-30 2023-06-20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s)-[2-クロロ-4-フルオロ-5-(7-モルホリン-4-イルキナゾリン-4-イル)フェニル]-(6-メトキシ-ピリダジン-3-イル)メタノールの結晶性形態
CN107137383A (zh) * 2017-04-28 2017-09-08 华南理工大学 一种低温熔融挤出制备水溶性叶黄素的方法与产品
CN107308114A (zh) * 2017-06-09 2017-11-03 广州百花香料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叶黄素的固体分散体及其微波熔融制备方法
WO2019152695A1 (en) * 2018-01-31 2019-08-08 Texas Tech University System Films and composites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DE102020124431A1 (de) * 2019-09-19 2021-03-25 Amw Gmbh Extrudierte Depotform mit kontrollierter Wirkstofffreisetzung
CN110628359B (zh) * 2019-10-12 2021-11-09 北京长润化工有限公司 一种低温水溶性热熔胶及其制备方法
KR20230027304A (ko) 2020-06-30 2023-02-27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식이 및 기능식품 보충제의 개인맞춤
CN112999162B (zh) * 2021-02-04 2022-05-17 浙江九如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西红花酸固体分散体及其制备方法
CN113398077B (zh) * 2021-06-04 2022-05-17 浙江九如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西红花酸生物利用度的组合物及其口服制剂
CN115153018B (zh) * 2022-07-04 2023-07-21 新昌新和成维生素有限公司 一种类胡萝卜素乳液的生产方法和生产系统
CN116077440A (zh) * 2022-12-03 2023-05-09 江苏宣泰药业有限公司 叶黄素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药物制剂
CN117964534A (zh) * 2024-03-28 2024-05-03 中国农业大学 一种溶解度提高的无定形叶黄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9409A (ja) * 2004-01-30 2007-07-19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安定化されたホスファターゼ製剤
WO2008080037A2 (en) * 2006-12-21 2008-07-03 Isp Investments Inc. Carotenoids of enhanced bioavailability
JP2012116863A (ja) * 1999-11-23 2012-06-21 Lipocine Inc 薬学的組成物における活性成分の改善された送達のための固体キャリア
WO2013127807A1 (en) * 2012-02-28 2013-09-06 Dsm Ip Assets B.V. Extrus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04832A1 (de) * 1995-02-14 1996-08-22 Basf Ag Feste Wirkstoff-Zubereitungen
DE19536387A1 (de) 1995-09-29 1997-04-03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taminhaltigen festen Zubereitungen
US5972395A (en) 1997-04-25 1999-10-26 Kraft Foods, Inc. Method of preparing glass stabilized material
CN101292950A (zh) * 2007-04-23 2008-10-29 沈阳皓天万嘉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类β-胡萝卜素固体分散体及其制备方法
JP2010527285A (ja) * 2007-04-26 2010-08-12 シグモイド・ファーマ・リミテッド 複数のミニカプセルの製造
JP2012501967A (ja) 2008-08-20 2012-01-26 ボード・オブ・リージエンツ,ザ・ユニバーシテイ・オブ・テキサス・システム 調節放出型多粒子のホットメルト押出成形
CN105412016B (zh) * 2010-10-27 2019-01-22 上海宣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含番茄红素、白藜芦醇或褪黑素的肠溶固体制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6863A (ja) * 1999-11-23 2012-06-21 Lipocine Inc 薬学的組成物における活性成分の改善された送達のための固体キャリア
JP2007519409A (ja) * 2004-01-30 2007-07-19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安定化されたホスファターゼ製剤
WO2008080037A2 (en) * 2006-12-21 2008-07-03 Isp Investments Inc. Carotenoids of enhanced bioavailability
WO2013127807A1 (en) * 2012-02-28 2013-09-06 Dsm Ip Assets B.V. Extrusion proc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12A (ko) * 2018-11-08 2020-05-19 한국식품연구원 산소제거 기능성 마스터배치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6010942B1 (pt) 2020-11-24
US20160271077A1 (en) 2016-09-22
JP6834080B2 (ja) 2021-02-24
US10022337B2 (en) 2018-07-17
WO2015071394A1 (en) 2015-05-21
KR102388143B1 (ko) 2022-04-19
EP3079670A1 (en) 2016-10-19
JP2016539637A (ja) 2016-12-22
CN105744847A (zh) 201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143B1 (ko) 고온-용융 압출에 의한 난용성 화합물의 제형
EP2713770B1 (en) Extrusion process and extrudate resulting therefrom
US9579285B2 (en) Preparation of a powde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by means of an extruder
US10117449B2 (en) Extrusion process
EP2085097A1 (en) Highly water-dispersible powd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9833409B2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discrete solid extruded particles
Williams et al. Hot-melt extrusion technology: optimizing drug delivery
EP3454837B1 (en) Use of amino sugar as plasticizer
CN102528965A (zh) 生产包含至少一种水溶性组分的粒料的方法
CN1158057C (zh) 含有活性化合物的熔融物的水下成丸
CN105106968A (zh) 一种胃溶型薄膜包衣预混剂及其制备方法
EP3073994A1 (en) Preparation of a powdery pharmaceutical composition by means of cryo-milling
US20180184703A1 (en) Novel extrudates
CA2865822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comprising bendamustine
CN109481411A (zh) 一种尼莫地平的热熔挤出固体分散体及其片剂制备方法
US20060261511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lid blends composed of polyvinylpyrrolidones and of ethoxylated fatty acid derivatives
KR101390946B1 (ko) 고온용융 압출을 이용한 저함량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TR2021006624A2 (tr) A tablet composition comprising tolvapt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