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395A -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395A
KR20160084395A KR1020167012689A KR20167012689A KR20160084395A KR 20160084395 A KR20160084395 A KR 20160084395A KR 1020167012689 A KR1020167012689 A KR 1020167012689A KR 20167012689 A KR20167012689 A KR 20167012689A KR 20160084395 A KR20160084395 A KR 2016008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shaft
spring
main body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7940B1 (ko
Inventor
류우 아오키
모토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오락꾸스
Publication of KR2016008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65Attachments of sun visors to mounting means including details of sun visor bearing member regulating the rotational friction on the support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4Mounted slidably
    • B60J3/0239Mounted slidably and pivoting on a support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11Balancing, e.g. counterbalancing to produce static bal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2/00Nature of movement
    • F16F2232/02Rota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4/00Shape
    • F16F2234/06Shape plane or flat

Abstract

선 바이저용 스프링은 유지부(40)로부터 연장되고, 본체부의 회전시 지지 유닛을 통해 본체부에 대하여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한다. 유지부(40)는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샤프트로부터 토크를 받는 평탄부(48)를 구비한다. 토크 부여부는 유지부(4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프링 편부(42)와 유지부(4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히도록 굴곡되는 제2 스프링 편부(44)를 구비한다. 제1 스프링 편부(42)는,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유지부(40)의 축방향 폭보다 좁은 돌출부(50)를 포함하는 제1 선단부를 구비한다. 제2 스프링 편부(44)는,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돌출부(50)의 외측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선단부를 구비한다. 돌출부(50)는 토크 수용부로부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SPRING FOR SUN VISOR AND SUPPORT DEVICE FOR SUN VISOR}
본 발명은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앞쪽 천장 면에는, 운전자의 눈을 태양의 직사로부터 보호하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선 바이저가 설치된다. 선 바이저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위치가 조정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차량용 선 바이저 구조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선 바이저 본체와,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선 바이저 본체가 장착되는 서포트와, 서포트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 스프링은 샤프트에 걸려 설치되는 스프링 본체부와, 스프링 본체부에 연결되어 서포트에 설치된 스프링 장착부에 장착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스프링 편부를 구비한다.
한 쌍의 스프링 편부는, 선단은 둘 다 축방향으로 선형이며 선단 부분에서 평면끼리 걸리도록 구성된다. 선 바이저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에, 스프링 본체부가 샤프트로부터 반력을 받아 토크가 하나의 스프링 편부에서 다른 하나의 스프링 편부로 전달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개 제2009-248931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선 바이저 본체의 회전시, 하나의 스프링 편부에서 다른 하나의 스프링 편부에 토크가 전달되는 경우에, 토크가 커지면 서포트의 스프링 장착부를 변형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수용되는 지지 유닛 및 선 바이저용 스프링에서 지지 유닛의 변형을 억제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양태는,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유닛에 장착되어 본체부의 회전시에 본체부에 대하여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으로서, 본체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타 넘듯이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에서 연장되고 본체부의 회전시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 유닛을 통해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한다. 유지부는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샤프트로부터 토크를 받는 토크 수용부를 구비한다. 토크 부여부는 유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프링 편부와,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히도록 굴곡되는 제2 스프링 편부를 구비한다. 제1 스프링 편부는 지지 유닛의 양측벽 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유지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선단부를 구비한다. 제2 스프링 편부는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돌출부의 외측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제2 선단부를 구비한다. 돌출부는 토크 수용부로부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제1 스프링 편부의 돌출부를 유지 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게 하여 강성을 낮게 하고, 돌출부에 맞닿는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토크 수용부로부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크 수용부의 작용면의 연장상에 마련된 돌출부에, 토크 수용부에서 받는 토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이다. 이 장치는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유닛 및 지지 유닛에 장착되어 본체부의 회전시에 본체부에 대해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을 구비한다. 지지 유닛은 제1 측벽부와 제1 측벽부에 대향하는 제2 측벽부를 구비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은 본체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타 넘듯이 유지하는 유지부와, 유지부로부터 연장되고 본체부의 회전시에 제1 측벽부 또는 제2 측벽부를 통해 본체부에 대하여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한다. 유지부는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샤프트로부터 토크를 받는 토크 수용부를 구비한다. 토크 부여부는 유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프링 편부와,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접히도록 굴곡되는 제2 스프링 편부를 구비한다. 제1 스프링 편부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유지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선단부를 구비한다. 제2 스프링 편부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어 돌출부의 외측에 겹치는 제2 선단부를 가진다. 돌출부는, 토크 수용부로부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된다.
이 양태에 따르면,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제1 스프링 편부의 돌출부를 유지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게 하여 강성을 낮게 하여, 돌출부에 접하는 제1 측벽부 또는 제2 측벽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토크 수용부로부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되는 것으로, 토크 수용부의 작용면의 연장상에 마련된 돌출부에, 토크 수용부에서 받는 토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수용되는 지지 유닛 및 선 바이저용 스프링에서 지지 유닛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선 바이저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일측 측면을 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타측 측면을 본 지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측 정면을 본 지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지지 장치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접합부분 측을 본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접합부분이 없는 측을 본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접합부분 측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지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변형 예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의 정면도이다.
도 1은 선 바이저(10)의 정면도이다. 선 바이저(10)는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천장의 차체 패널에 고정되고, 햇빛과 마주 오는 차량의 라이트에 의한 현혹과 눈부심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 바이저(10)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선 바이저(10)는 부착부(12), 샤프트(14), 본체부(16), 선 바이저용 스프링(18) 및 지지 유닛(20)을 구비한다. 부착부(12)는 선 바이저(10)를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샤프트(14)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부가 본체부(16)의 수용 공간(17)에 삽입된다. 본체부(16)는 샤프트(14)에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본체부(16)에는 조명과 거울(미도시)이 설치되고, 샤프트(14)의 내부에는 하네스(미도시)가 연결되어 본체부(16)의 조명에 배전한다. 샤프트(14)의 선단에는 이탈 방지구(미도시)가 설치된다.
본체부(16)는 2장의 평판을 합쳐서 형성되고, 내부에 지지 유닛(2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7)이 형성된다. 본체부(16)는 샤프트(14) 및 지지 유닛(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본체부(16)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토크를 본체부(16)에 부여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금속 판재로 형성된다. 지지 유닛(20)은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샤프트(14)에 유지된다. 지지 유닛(20)은 수용 공간(17)에 설치되고, 본체부(16)를 샤프트(1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지지 유닛(20)은 본체부(16)의 샤프트(14)에 대한 흔들림을 억제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지지 유닛(20)에 설치되고 일체화되어, 지지 장치(21)를 구성한다.
도 2a는 일측 측면을 본 지지 장치(21)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타측 측면을 본 지지 장치(21)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일측 정면을 본 지지 장치(21)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4a는 도 3에 도시한 지지 장치(2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에 도시한 지지 장치(2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샤프트(14)가 축공(26)에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각 도면에 표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적절하게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샤프트(14)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굴곡진 판 스프링이며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지지 유닛(20)에 고정되고, 샤프트(14)을 잡고 유지한다. 본체부(16)를 샤프트(14)에 대해 회전시키면 선 바이저용 스프링(18) 및 지지 유닛(20)도 회전한다.
지지 유닛(20)은 축공(26)을 갖는 한 쌍의 베어링부(27)와, 한 쌍의 베어링부(27)를 연결하는 연결부(25)와, 제1 측면(23)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커버 탄성 설편(32)과, 제2 측면(24)에 형성된 한 쌍의 제2 커버 탄성 설편(34)과, 제1 측면(23)에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28)와, 축방향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35)와,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삽입시 삽입 방향을 규제하는 스토퍼부(38)와,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36)를 갖는다. 이탈 방지 부(36)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이 장착되는 장착부로도 기능한다.
한 쌍의 베어링부(27) 사이에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이 들어갈 공간이 마련된다. 한 쌍의 베어링부(27) 사이의 연결부(25)에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일부가 삽입되는 하나의 삽입공(25a)이 형성된다. 삽입공(25a)의 축방향의 폭은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축방향의 폭보다 약간 크게 설정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가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을 지지 유닛(2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연결부(25)는 제1 측면(23) 측의 제1 측벽부(20a) 및 제1 측벽부(20a)와 평행한 제2 측면(24) 측의 제2 측벽부(20b)를 갖는다. 제1 측벽부(20a) 및 제2 측벽부(20b)를 구별하지 않는 경우, 단순히 측벽부 또는 양측벽부라 한다. 제1 커버 탄성 설편(32) 및 제2 커버 탄성 설편(34)은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어 수용 공간(17)의 내벽면에 탄접하고 지지 유닛(20)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또한, 본체부(16)를 샤프트(14) 및 지지 유닛(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경우 접동 저항이 발생한다.
가이드부(28)는 수용 공간(17)의 내벽면에 맞물려 본체부(16)의 슬라이드를 안내한다. 수용 공간(17)의 내벽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목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에 가이드부(28)가 맞물린다. 스토퍼(38)는 제2 측면(24)에서 한 쌍의 베어링부(27) 사이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삽입공(25a)에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유닛(20)의 삽입공(25a)에 토크 부여부(41)가 수용되어 토크 부여부(41)의 제1 걸림부(46)가 계단 모양의 이탈 방지부(36)에 걸릴 수 있게 형성된다. 토크 부여부(41)는 지지 유닛(20)의 제1 측벽부(20a) 및 제2 측벽부(20b) 사이에 배치된다.
도 5a는 접합부분 측을 본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접합부분이 없는 측을 본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a는 접합부분 측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정면도이고, 도 6b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측면도이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샤프트(14)를 타 넘듯이 유지하는 유지부(40)와, 본체부(16)에 대해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41)를 구비한다.
유지부(40)는 샤프트(14)를 유지 가능하게 만곡되어 형성되고, 단면이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유지부(40)에는 축방향의 양측에 평탄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평탄부(48)가 형성된다. 한 쌍의 평탄부(48)의 사이에는 샤프트(14)의 외주면의 형상에 따른, 즉 샤프트(14)의 외주의 곡률에 따른 원호부(49)가 형성된다. 유지부(40)는 샤프트(14)가 끼어 들어가게 장착된다.
토크 부여부(41)는 유지부(4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지지 유닛(20)에 장착된다. 토크 부여부(41)는 유지부(40)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프링 편부(42)와, 유지부(4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히도록 굴곡되어 제1 스프링 편부(42)와 선단끼리가 겹치는 제2 스프링 편부(44)를 가진다. 제1 스프링 편부(42) 및 제2 스프링 편부(44)는 유지부(40)로부터 연장된 부분에서는 서로 마주하고, 제2 스프링 편부(44)가 제1 스프링 편부(42)보다 더 연장되고, 접혀서 제1 스프링 편부(42)의 선단까지 연장되고 선단 부분이 겹친다. 제1 측면(23)에 설치되는 제1 스프링 편부(42) 측에 평탄부(48)가 형성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 편부(42)의 제1 선단부(43)는 제2 스프링 편부(44)의 제2 선단부(55)의 내측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제1 선단부(43)와 제2 선단부(55)가 겹친다는 것은, 제1 선단부(43) 및 제2 선단부(55)가 맞닿거나 근접한 상태인 것을 말하며, 맞닿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돌출부(50)와 결합부(52)가 겹치는 것도 마찬가지로 맞닿거나 근접한 상태인 것을 말하며, 맞닿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제1 선단부(43) 및 제2 선단부(55)는 제1 스프링 편부(42) 및 제2 스프링 편부(44)의 자유단을 포함하는 영역이다.
제1 선단부(43)는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분할된다. 제1 선단부(43)는 축방향의 양단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50)와 한 쌍의 돌출부(50) 사이에 형성된 평판 형상의 제1 중간부(45)를 구비하여, 3 분할된다. 이는 제1 선단부(43)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돌출부(50)는 축방향으로 볼 때 안쪽으로 움푹 들어가게 굴곡되어 형성된다. 돌출부(50)의 축방향의 폭은 유지부(40)의 축방향의 폭보다 작은 폭의 제1 중간부(45)보다 작고, 제1 중간부(45)의 축방향의 폭의 절반 이하로 형성된다.
제2 스프링 편부(44)의 제2 선단부(55)는,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분할된다. 제2 선단부(55)는 축방향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부(52)와 한 쌍의 결합부(52) 사이에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제2 중간부(54)를 가지며, 3 분할된다. 이에 따라, 제2 선단부(55)의 강성을 낮출 수 있다.
도 6b와 같이 결합부(52)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돌출부(50)에 들어가 겹치도록 설치되어 돌출부(50)와 맞물려 근접 대향한다. 도 4a와 같이 제2 중간부(54)의 선단에 설치되는 제2 걸림부(56)는 지지 유닛(20)에 걸리게 배치된다. 제2 걸림부(56)는 지지 유닛(20)에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을 장착할 때, 만일 작업자가 설치 방향을 잘못 입력한 경우, 스토퍼(38)에 접촉하여 장착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지지 장치(2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샤프트(14)의 외주면은 원통의 외주면을 평탄 형상으로 절개한 절개부(14a)와, 단면이 원호 형상인 원호부(14b)를 갖는다. 유지부(40)의 평탄부(48)와 샤프트(14)의 평탄 형상의 절개 부(14a)가 맞물린다. 지지 유닛(20)이 샤프트(14)를 축으로 회전하는 경우, 평탄 부(48)는 원호부(14b)에서 압박력을 받는다. 이것은 유지부(40)에서 평탄부(48)의 대향 간격이 샤프트(14)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이 휘어서 토크를 지지 유닛(20)에 부여한다. 이에 따라, 선 바이저(10)의 본체부(16)를 회전시킨 경우에 토크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샤프트(14)에 대한 반력에 의해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은 본체부(16)를 임의의 각도로 정지시킬 수 있다. 평탄부(48)는 샤프트(14)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샤프트(14)로부터 토크를 받는 토크 수용부로서 기능을 한다.
본체부(16)가 샤프트(14)에 대해 제2 측면(24)으로부터 제1 측면(23)을 향해 회전하는 경우, 유지부(40)의 평탄부(48)는 샤프트(14)의 원호부(14b)로부터 눌림으로써, 제1 스프링 편부(42)는 제1 측면(23)의 외측을 향해, 즉 넓게 개방되는 방향으로 하중을 받는다.
이 경우. 돌출부(50)가 서로 겹치는 결합부(52)와 함께 지지 유닛(20)을 가압하여지지 유닛(20)이 팽창할 가능성이 있다. 지지 유닛(20)이 팽창하면, 수용 공간(17)의 내벽면과 지지 유닛(20)에 마찰이 생겨 수용 공간(17)의 내벽면이 깎일 우려가 있다. 또한, 본체부(16)를 샤프트(14) 및 지지 유닛(20)에 대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의 접동 저항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1 스프링 편부 (42)의 제1 선단부(43)를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하고 복수 개로 분할하여, 분할되지 않은 경우보다 제1 선단부(43)의 강성을 저하시켜 원호부(14b)로부터 걸리는 압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돌출부(50)의 제1 측벽부(20a)의 수직 방향으로의 변형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유닛(20)에 걸리는 하중이 억제되어 지지 유닛(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부(48)와 원호부(49)의 경계(48a)가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돌출부(50)는 평탄부(48)로부터 제1 선단부(43)를 향해 연장된 영역(51)에 중복된 위치 또는 평탄부(48)로부터 제1 선단부(43)로 연장된 영역(51) 내에 설치된다. 도 6a의 우측의 평탄부(48)로부터 연장된 영역(51)과 마찬가지로 좌측의 평탄부(48)도 마찬가지이다. 도 7과 같이, 샤프트(14)로부터 한 쌍의 평탄부(48)가 토크를 받아 평탄부(48) 사이의 원호부(49)에서는 토크를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평탄부(48)의 직경방향의 연장상에서 토크가 발생한다. 돌출부(50)는, 평탄부(48)의 작용면 상에 있고, 제1 중간부(45)는 원호부(49)의 작용면 상에 있으며 돌출부(50)와 제1 중간부(45)는 슬릿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평탄부(48)에서 받은 토크가 제1 중간부(45)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돌출부(50)에 토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0)의 강성이 낮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 유닛(2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52) 및 제2 중간부(54)는 돌출부(50) 및 제1 중간부(45)에 각각 겹치도록 배치된다. 결합부(52) 및 제2 중간부(54)는 슬릿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50)로부터의 토크는 결합부(52)에 전달되고, 제1 중간부(45)로부터의 토크는 제2 중간부(54)에 전달된다. 즉, 돌출부(50)로부터의 토크가 제2 중간부(54)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중간부(45)의 토크는 돌출부(50)보다 작기 때문에, 제2 중간부(54)에서 받는 토크도 결합부(52)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제2 중간부(54)로부터 제1 측벽부(20a)의 중앙 부분에 전달되는 토크가 작아지고, 제 1측벽부(20a)의 중앙 부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50)는 축방향에서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양측에 설치된다.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축방향의 양측이라는 것은, 축방향의 양단측 또는 축방향의 양단의 부근을 말한다. 도 2a와 같이, 지지 유닛(20)의 제1 측벽부(20a)에서 축방향의 양단 부분보다 중앙 부분이 더 휘어지기 쉽다. 이것은 지지 유닛(20)의 제1 측벽부(20a)의 양단이 한 쌍의 베어링(27)에 연결되어 있는 양단 지지보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 양단 부분의 강성이 높고 중앙 부분이 휘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제1 중간부(45)와 비교하여 큰 토크를 받는 돌출부(50)가 축방향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유닛(20)의 변형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돌출부(50)와 결합부(52)의 겹치는 면(57)은 샤프트(14)의 축방향에서 본 평탄부(48)에 대해 경사지고, 근접 대향한다. 즉, 돌출부(50)와 결합부(52)의 겹치는 면(57)은 샤프트(14)의 축방향에서 보아 평탄부(48)의 원주방향의 일단(48b) 및 타단(48c)을 통과하는 기준면에 대해 경사진다. 또한, 돌출부(50)와 결합부(52)의 겹치는 면(57)은 제1 측벽부(20a)에 대해 경사진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일단(48b) 및 타단(48c)를 통과하는 기준면은 평탄부(48)이다. 평탄부(48)가 받는 토크는 돌출부(50)로부터 결합부(52)에 전달된다. 이 토크(101)는 제1 측벽부(20a)의 수직방향의 토크(102)와 평행방향의 토크(103)로 나눌 수 있으며, 제1 측벽부(20a) 대한 수직방향의 토크(102)를 억제하는 것으로, 지지 유닛(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중간부(45) 및 제2 중간부(54)는 평탄부(48)에 평행하다. 또한, 돌출부(50)와 결합부(52)를 굴곡시킨 것으로, 제1 중간부(45) 및 제2 중간부(54)보다 강성을 높여 돌출부(50)와 결합부(52)는 상대적으로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본체부(16)로부터 하중을 받은 경우에 돌출부(50)와 결합부(52)가 제1 중간부(45) 및 제2 중간부(54)보다 큰 토크를 발생시킴으로써, 제1 측벽부(20a)의 중앙 부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50)의 근원, 즉 제1 기단부(50a)는 유지부(40)보다 제1 선단부(43) 측에 위치한다. 돌출부(50)가 샤프트(14)의 외주 부분까지 위치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선단부(43)를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한 데에 따른 유지부(40)의 과도한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토크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52)의 근원, 즉 제2 기단부(52a)는 제2 스프링 편부(44)의 플랩 부분보다 제2 선단부(55) 측에 위치한다. 제2 스프링 편부(44)의 플랩 부분은 도 6b에 도시한 하단부(44a)이다. 결합부(52)를 길게 하면 제2 선단부(55)의 강성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제2 선단부(55)를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한 데에 따른 제2 선단부(55)의 과도한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토크를 분산시킬 수 있다.
도 8은 변형 예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118)의 정면도이다. 변형 예의 선 바이저용 스프링(118)은 제2 스프링 편부(144)의 제2 선단부(155)가 끝이 갈라진 형태가 아니라 한결같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스프링 편부(142)의 제1 선단부(143)는 제2 선단부(155)의 내부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제1 선단부(143)는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로 분할된다. 제1 선단부(143)는 축방향의 양단측에 형성된 한 쌍의 돌출부(150)와 한 쌍의 돌출부(150) 사이에 형성된 평평한 제1 중간부(145)를 갖는다. 돌출부(150)는 평평하게 형성되며, 제2 선단부(155)도 평평하게 형성된다. 돌출부(150)의 기단부(150a)는 정면에서 볼 때 노출된다. 즉, 돌출부(150)와 제1 중간부(145)는 각각 나뉘어 제2 선단부(155)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변형 예에서도 제1 선단부(143)의 강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지지 유닛(20)에 전달되는 토크를 억제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부(150)는 축방향에서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양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지지 유닛(20)의 휘기 어려운 부분에 토크를 전달하기 때문에 지지 유닛(2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돌출부(150)는 평탄부(48)로부터 제1 선단부(143)를 향해 연장된 영역(51)에 중복되어 위치하거나 영역(51) 내에 설치된다. 샤프트(14)로부터 한 쌍의 평탄부(48)가 토크를 받고 평탄부(48) 사이의 원호부(49)에서는 토크를 거의 받지 않는다. 따라서 평탄부(48)의 직경방향의 연장상에서 토크가 발생한다. 돌출부(150)는, 평탄부(48)의 작용면 상에 있고, 제1 중간부(145)는 원호부(49)의 작용면 상에 있으며 돌출부(150)와 제1 중간부(145)는 슬릿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평탄부(48)가 받는 토크가 제1 중간부(145)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돌출부(150)에 토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150)의 강성이 낮아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 유닛(20)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의 설계 변경 등의 변형을 실시 예에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이 가해진 실시 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변형 예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 예에서는 샤프트(14)에 평탄 형상의 절개부(14a)를 형성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그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절개부(14a)는 평탄부(48)에 결합하는 형상이면 좋고, 예를 들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토크 수용부로서 기능하는 평탄부(48)도 직경방향 안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이어도 좋다.
실시 예에서는 제1 선단부(43)에 한 쌍의 돌출부(50)와 제1 중간부(45)가 형성되는 양태를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선단부(43)에 한 쌍의 돌출부(50)가 형성되고 돌출부(50) 사이에 제1 중간부(45)가 형성되지 않은 형상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본체부(16)를 회전시켰을 때에 제1 중간부(45)로부터 제2 중간부(54)에 전달되는 부하를 없앨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50)로부터 충분한 토크를 전달시킬 수 있다면, 제1 중간부(45)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제1 중간부(45)가 제2 중간부(54)에 겹치도록 배치되는 양태를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써, 제1 중간부(45)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18)의 안쪽으로 굴곡되어 제2 중간부(54)에 근접하지 않는 양태이어도 좋다. 이에 따라, 본체부(16)를 회전시켰을 때에 제1 중간부(45)로부터 제2 중간부(54)에 전달되는 토크를 없앨 수 있다. 돌출부(50)와 제2 중간부(54)는 비접촉되도록 설치되어도 좋다.
실시 예에서는, 평탄부(48)를 축방향의 양측에, 그들 사이에 원호부(49)를 설치하고, 돌출부(50)도 축방향의 양측에, 그들 사이에 제1 중간부(45)를 설치하는 양태를 도시하였지만,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지부(40)의 축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원호부를 설치하고, 그들 사이에 평탄부를 설치하고, 축방향의 양측에 한 쌍의 제1 중간부를 설치하고, 그들 사이에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10 선 바이저, 12 장착부, 14 샤프트, 14a 절개부, 16 본체부, 17 수용 공간, 18 선 바이저용 스프링, 20 지지 유닛, 20a 제1 측벽부, 20b 제2 측벽부, 21 지지 장치, 23 제1 측면 24, 제2 측면, 26 축공, 27 베어링부, 28 가이드부, 32 제1 커버 탄성 설편, 34 제2 커버 탄성 설편, 35 돌출부, 36 이탈 방지부, 38 스토퍼부, 40 유지부, 41 토크 부여부, 42 제1 스프링 편부, 43 제1 선단부, 44 제2 스프링 편부, 45 제1 중간부, 46 제1 걸림부, 48 평탄부, 49 원호부, 50 돌출부, 50a 제1 기단부, 52 결합부, 52a 제2 기단부, 54 제2 중간부, 55 제2 선단부, 56 제2 걸림부.

Claims (8)

  1.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으로서,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타 넘듯이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지지 유닛을 통해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부는 상기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로부터 토크를 받는 토크 수용부을 구비하고,
    상기 토크 부여부는,
    상기 유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제1 스프링 편부와,
    상기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접히도록 굴곡되는 제2 스프링 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스프링 편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스프링 편부는 상기 지지 유닛의 양측벽부의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겹치는 제2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선단부의 내측에 겹치는 제1 중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 및 상기 제1 중간부에 의해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기단부는, 상기 유지부에서의 상기 샤프트의 접촉 부분보다 제1 선단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서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겹쳐지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중간부의 외측에 겹쳐지는 제2 중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부 및 상기 제2 중간부에 의해 끝이 갈라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기단부는, 플랩 부분보다 제2 선단부 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및 상기 결합부의 겹치는 면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보아 상기 토크 수용부의 원주방향의 일단 및 타단을 통과하는 기준면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스프링 편부에 있어서, 상기 토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
  8. 차량용 선 바이저의 본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지지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에 대해 토크를 부여하는 선 바이저용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제1 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에 대향하는 제2 측벽 부를 구비하며,
    상기 선 바이저용 스프링은,
    상기 본체부에 삽입되는 샤프트를 타 넘듯이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시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측벽부 또는 상기 제2 측벽부를 통해 토크를 부여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부는 상기 샤프트와의 상대 회전에 의해 상기 샤프트로부터 토크를 받는 토크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크 부여부는,
    상기 유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스프링 편부와,
    상기 유지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접히도록 굴곡되는 제2 스프링 편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스프링 편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의 축방향의 폭보다 좁은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스프링 편부는, 상기 제1 측벽부 및 상기 제2 측벽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돌출부의 외측에 겹치는 제2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토크 수용부로부터 상기 제1 선단부로 연장된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KR1020167012689A 2013-11-13 2013-11-13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KR1020479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06683 WO2015071930A1 (ja) 2013-11-13 2013-11-13 サンバイザ用バネおよびサンバイザ用支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395A true KR20160084395A (ko) 2016-07-13
KR102047940B1 KR102047940B1 (ko) 2019-11-22

Family

ID=5305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689A KR102047940B1 (ko) 2013-11-13 2013-11-13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58023B2 (ko)
JP (1) JP6093029B2 (ko)
KR (1) KR102047940B1 (ko)
WO (1) WO2015071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6165B2 (en) * 2015-05-01 2019-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pring-activated extendable sun visor blade
CN105196842A (zh) * 2015-10-30 2015-12-30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遮阳板总成及汽车
EP3581414B1 (en) * 2015-12-16 2021-07-14 Motus Integrated Technologies Sun visor assembly
US10081228B2 (en) * 2016-11-08 2018-09-25 Mahmoud Razzaghi Car visor
KR102055503B1 (ko) * 2018-06-14 2019-12-12 주식회사 동원테크 자동차용 선바이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276A (ja) * 1996-07-29 1998-02-10 Neox Lab:Kk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JP2001158231A (ja) * 1999-12-03 2001-06-12 Piolax Inc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JP2005119536A (ja) * 2003-10-17 2005-05-12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JP2009248931A (ja) 2008-04-10 2009-10-29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1633C2 (de) * 1975-11-18 1979-02-15 Gebr. Happich Gmbh, 5600 Wuppertal Lager für einen Sonnenblendenkörper, insbesondere für Fahrzeugsonnenblenden
DE8208831U1 (de) * 1982-03-27 1982-07-22 Fa. A. Raymond, 7850 Lörrach Lager fuer sonnenblendenkoerper
US5563483A (en) * 1995-02-06 1996-10-08 Chrysler Corporation Control function-power operated lift gate
US6010174A (en) * 1997-04-14 2000-01-04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Sliding visor
JP5191960B2 (ja) * 2008-07-28 2013-05-08 共和産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5276A (ja) * 1996-07-29 1998-02-10 Neox Lab:Kk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JP2001158231A (ja) * 1999-12-03 2001-06-12 Piolax Inc 自動車用サンバイザー
JP2005119536A (ja) * 2003-10-17 2005-05-12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の軸受構造
JP2009248931A (ja) 2008-04-10 2009-10-29 Kasai Kogyo Co Ltd 車両用サンバイザ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8626A1 (en) 2016-10-06
WO2015071930A1 (ja) 2015-05-21
KR102047940B1 (ko) 2019-11-22
JP6093029B2 (ja) 2017-03-08
JPWO2015071930A1 (ja) 2017-03-09
US9758023B2 (en) 201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4395A (ko) 선 바이저용 스프링 및 선 바이저용 지지 장치
US10059366B2 (en) Electrically driven power steering device
JP6867137B2 (ja) 車両用取付部品
CN103079931B (zh) 机动车的转向柱
US20170175932A1 (en) Clip device
CN105667443A (zh) 具有安全气囊模块的方向盘构造
ES2314533T3 (es) Escape de aire, particularmente para un vehiculo.
JPH01238893A (ja) 髭剃り装置
WO2019088109A1 (ja) 固定構造
JP6068616B2 (ja) 支持ユニット
JP2017505731A (ja) 車両シート用調節機構のための機構ハウジング
KR20100075562A (ko) 아웃사이드 미러 유닛용 장착 구조
JP2015024755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3045767B1 (en) Damper device
JP6763089B2 (ja) サンバイザー装置
CN106899136B (zh) 一种执行器
JP6660709B2 (ja) 自動車のミラーアクチュエータ
CN110005711B (zh) 用于安装滑动轴承壳体的特别是插入辅助器的装置
KR20220012242A (ko) 차량용 조작유닛
EP3023300A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US20140292003A1 (en) Electric supply structure
CN106415941B (zh) 连接器
KR10138477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JP6338919B2 (ja) ケーブルクリップ
JP2021046068A (ja) 固定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