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028A -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028A
KR20160067028A KR1020150145019A KR20150145019A KR20160067028A KR 20160067028 A KR20160067028 A KR 20160067028A KR 1020150145019 A KR1020150145019 A KR 1020150145019A KR 20150145019 A KR20150145019 A KR 20150145019A KR 20160067028 A KR20160067028 A KR 20160067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ackaging bag
plastic film
article
un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2617B1 (ko
Inventor
타시치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Publication of KR20160067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31B19/14
    • B31B19/60
    • B31B19/86
    • B31B2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6Handles
    • B65D33/065Integral handles

Landscapes

  • Bag Fram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과제]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납한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나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도,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포장백40은, 대체적인 직육면체형상의 물품20을 수납 가능하게 구성되어진 수납부41과 대체적인 직육면체형상의 물품20 중, 어느 한 변과 접하는 측인 포장백40의 한 쪽의 긴 윗변44로부터 연장되어서, 마주보는 포장백40의 다른 쪽의 긴 윗변45에 이르도록 형성된 2개의 긴 형상의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이 있다.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밀봉공정,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재단/분리공정, 또는 용단공정 등을 실시해서, 상기 포장백을 제조한다.

Description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CARRIER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RRIER BAG}
본 발명은 상품을 수납하는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품 등을 수납한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 등을 휴대 가능하도록 수납하는 데 적합한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장백은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서 사용되는 휴대 가능한 플라스틱필름제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포장백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필름으로 만든 포장백은 저렴하며 가볍고 강도도 높고, 또한 내수성이 뛰어나는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고, 비닐봉지라고 불리며, 구매한 상품을 수납해서 휴대 가능하게 가져갈 수 있는 쇼핑백 대신으로 사용되고 있다.
슈퍼마켓 등에서 사용되는 비닐봉지는 손잡이부분이 형성된 원통형의 포장백으로 구성되어있어서, 야채나 포장된 고기, 제조업체에서 포장한 식품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의 상품을 수납하여, 그것들을 휴대쇼핑백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비닐봉지로써 특허문헌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물건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에 기재된 비닐봉지는 효과적이고, 또한 비닐봉지의 수용 공간에 효율적으로 상품을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개2006-131250호 공보
특허문헌1에 기재된 비닐봉지는 긴 병 등이 쓰러지지 않도록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도시락이나 케이크를 수납한 상자 등을 수평상태로 계속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반할 때에 상품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그러나 가방과 함께 비닐봉지를 든 경우나 여러개의 비닐봉지를 동시에 든 경우에, 비닐봉지 안의 상품이 쓰러질 우려가 있고, 또한 도시락상자나 또는 케이크를 수납한 상자 등에 대해서는 수평상태를 유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자형태의 물품을 수납한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나 그 외의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여도,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포장백 및 이 포장백을 용이하게 제조 할 수 있는 포장백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1의 특징은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을 수납가능하게 구성된 수납부와,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중 어느 하나의 한 변과 접하는 측의 상기 수납부의 한쪽의 윗변에서 연장되어, 마주보는 상기 수납부의 다른쪽의 윗변에 이르도록 형성된 긴 형상의 손잡이부와를 갖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포장백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상품 이나 상자)를 수납한 경우에, 수납부의 개구부도 이 물품의 형상에 대응해서 대체적인 직사각형 형상이 되기 때문에, 이 개구부의 한쪽의 윗변에서부터 마주보는 다른 쪽의 윗변에 이르도록 긴 형상(끈 형태)의 손잡이부를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인 비닐봉지의 경우, 손잡이부가 대체적인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에 있는 4개의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다른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즉 직교하는 2개의 윗변에서 다른 쪽의 직교하는 2개의 윗변에 이르도록 형성되어있기 때문에,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나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 물품이 도시락상자나 케이크를 수납한 상자 등이라면, 비스듬하게 기울면서, 그로 인해 도시락상자 안의 내용물이나 케이크 등이 상자 안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어, 내용물끼리 접촉하여 형태가 망가져버린다. 이와는 반대로 이 발명에 의한 손잡이부는 마주보는 윗변끼리 이어져 있기 때문에, 그 윗변을 밑변으로 하고, 손잡이부의 안쪽변을 각각 빗변으로하는 대체적인 정삼각형에 가까운 이등변 삼각형이 형성되므로, 물품의 기울임을 흡수하고 물품을 수평으로 유지 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2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의 긴변과 접하는 측의 상기 수납부의 윗변에서부터 마주보는 윗변에 이르게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포장백에 수납되는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상품이나 상자)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인 경우에는 그 물품의 긴변과 접하는 측의 개구부 한쪽의 윗변에서부터 마주보는 다른 쪽의 윗변에 이르도록 긴 형상(끈 형태)의 손잡이부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납되는 물품의 밑면이 정사각형일 경우는 어느 하나의 윗변에서부터 마주보는 다른쪽의 윗변에 이르도록 손잡이부가 구성되어도 되지만,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직육면체의 경우에는 긴변과 접하는측의 윗변에 손잡이부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의 제3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 또는 제2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수납부 윗변의 양쪽 끝에서 각각 마주보는 윗변의 양쪽에 이르도록 형성된 2개의 긴 형상 부재로 구성되도록 되어있다.
손잡이부는 마주보는 윗변끼리를 잇는 것 이면, 1개든 2개든 상관없지만, 이 발명은 손잡이부가 윗변의 양쪽 끝에 설치된 2개의 끈 형태의 긴 형상 부재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 제조방법의 제1의 특징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되는 부분을 밀봉함과 동시에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해 전부 닫힌 상태(全閉)의 백을 만들고, 상기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의 하나 또는 여러 장으로 묶은 것인 상기 인라인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의 손잡이부측으로부터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제1의 특징, 제2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을 제조 할 수 있음에 있다.
이것은 상기 제1의 특징, 제2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을 제조하는방법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함과 동시에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만든 것이다.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의 인라인 진행방향과 평행한 양쪽 가장자리 또는 한쪽 가장자리에 접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접힘부가 없는 경우도 있다. 접힘부가 없는 경우에는 용단공정에 의해 전부 닫힌 상태의 서류백(平袋)이 만들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용단공정으로 분리된 양쪽 가장자리가 포장백의 손잡이부의 상단 부근 및 수납부의 밑변이 되도록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인라인 진행방향과 평행한 한 쪽 가장자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그 한쪽 가장자리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 수납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의 특징, 제2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을 제조하고 있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의 형상은 접힘부의 유무나 접힌 정도의 양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있다. 아울러 불필요한 부분의 개수는, 손잡이부가 1개의 끈형태인 긴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포장백의 측면부를 포함한 2개가 불필요한 부분이 되며, 손잡이부가 2개의 끈 형태인 긴 형상의 부재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포장백의 측면부를 포함한 3개가 불필요한 부분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 제조방법의 제2의 특징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공정과, 상기 밀봉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 가장자리의 손잡이부측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 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절단/분리하는 공정을 통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제2항 또는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 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1의 특징, 제2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 밀봉공정,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 재단/분리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 제조방법의 제3의 특징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 가장자리의 손잡이부측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동시에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청구항 제1항, 청구항 제2항 또는 청구항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상기 제1의 특징, 제2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의 발명에 관한 것이며,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한 후에, 용단 공정을 실시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 제조방법의 제4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 또는 제3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단 공정 대신에,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공정과, 상기 밀봉공정 후에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형성되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절단/분리하는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이것은 밀봉과 분리를 거의 동시에 실시하는 용단공정을 대신해, 밀봉공정을 실시한 뒤 재단/분리하는 공정을 실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백 제조방법의 제5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 내지 제4의 특징 중 어느 하나의 특징에 기재된 포장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 진행 방향과 평행한 양쪽 가장자리 또는 한쪽 가장자리에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힘부가 포장백의 손잡이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불필요한 부분에 상기 접힘부가 포함되도록 한 것이다.
이것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의 양쪽 가장자리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 マチ)가 형성되어있는 경우 또는 원통형 플라스틱필름의 한 쪽이면서, 손잡이부측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가 형성되어있는 경우에는 손잡이부측의 불필요한 부분에 상기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접힘부(포장백의 주름)가 불필요한 부분으로써 제거 되므로 남은 부분의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을 연장함으로써 손잡이부를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장백에 의하면, 상자형태의 물품을 수납한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나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라 해도,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평상태로 유지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포장백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납한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나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도, 상자 형태의 물품을 수평상태로 유지 할 수있는 포장백을 용이하게 제조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1(A)는 일반적인 포장백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이며, 도1(B)는 도1(A)의 포장백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포장백 1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20을 수납한 상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삼각도이며, 도2(A)는 정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측면도이며, 도2(C)는 도2(A)의 상면도이다.
도3(A)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백10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3(B)는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같은 포장백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이며, 도4(B)는 도4(A)의 포장백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포장백4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한 상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삼각도이며, 도5(A)는 정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측면도이며, 도5(C)는 도5(A)의 상면도이다.
도6(A)는 도4 및 도5에 나타나있는 실시형태와 같은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6(B)는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가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만들고,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오프라인에서 10장 내지 100장을 겹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의 부분을 펀칭해서 제거함으로써 포장백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7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8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이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을 펀칭해서 제거하고, 그 후에 용단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도10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도11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3은 도7 내지 도12에 도시되어있는 포장백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포장백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이고, 도4(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포장백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1(A)는 일반적인 포장백1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이고, 도1(B)는 도1(A)의 포장백10이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포장 백1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한 상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삼각도이고, 도2(A)는 정면도이고, 도2(B)는 도2(A)의 측면도이며, 도2 (C)는 도2(A)의 상면도이다.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10은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20을 수납이 가능하게 구성된 수납부11과, 수납부11의 윗변 14 내지 17에서 위로 뻗은 2개의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이 있다.
수납부11은 직사각형 형상의 밑면과 이 밑면의 각변에서 위로 솟아오르는 4개의 직사각형 형상의 측면과로부터 형성되는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을 띄고 있으며, 윗면은 열려있다. 수납부11의 윗변14, 윗변15에는 개구부를 닫기 위한 연결부재가 구성되어있는 것도 있지만, 여기에서는 생략되어있다.
각각의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은 수납부11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의 4개의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다른쪽의 가장자리에 이르도록, 즉 각각 직교하는 각 윗변 14 내지 17의 가장자리에서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그 연장부의 상단 부근이 제조 과정에서 형성되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통해 연결되어 긴 형상의 손잡이용 끈을 형성하고 있다. 용착부 또는 접착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용착부 또는 접착부에 선반 등에 계합하기 위한 구멍(孔)을 갖는 경우도 있다.
도3(A)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포장백10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3(B)는 다른 포장백10a와 10b를 동시에 소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포장백10을 가죽제의 비교적 크고 무거운 가방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10의 내부의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의 윗변의 측면부가 가방의 측면부에 접촉 하여, 그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포장백10a, 포장백10b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는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백10a, 포장백10b의 내부의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인 물품20a, 물품20b는 서로의 윗변의 측면부끼리 접촉하여, 그대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품20, 물품20a 또는 물품20b 중 하나의 물품이 도시락상자나 케이크를 수납한 상자 등이면, 비스듬하게 기울짐에 따라 도시락의 내용물이나 케이크 등이 상자안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어, 내용물끼리 접촉되어 형태가 망가진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도4(A)는 본 실시예와 같은 포장백4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20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이고, 도4(B)는 도4(A)의 포장백 40이 접힌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도4의 포장백40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한 상태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삼각도이고, 도5(A)는 정면도이고, 도5(B)는 도5(A)의 측면도이며, 도5(C)는 도5 (A)의 상면도이다. 도4 및 도5에있어서, 도1 및 도2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있다.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40은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20을 수납 가능하게 구성된 수납부41과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의 어느 한변과 접하는 측의 포장백40의 한쪽의 긴윗변44에서 연장하여, 마주보는 포장백40의 다른 긴윗변45에 이르도록 형성된 2개의 긴 형상의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이 있다.
수납부41은 도1의 수납부11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있다. 수납부41의 긴윗변44, 긴윗변45에 개구부를 닫기위한 연결부재(또는 매듭부재)가 구성되도 된다.
각 손잡이부42와 손잡이부43은 수납부41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4개의 긴윗변44와 긴윗변45 및 짧은윗변46과 짧은윗변47 중에서,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인 물품20의 긴변과 접하는 측의 수납부41의 긴윗변44에서 연장하여 마주보는 긴윗변45에 이르도록 형성되어있다. 각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상단 부근은 도1의 포장백10과 마찬가지로 제조 과정에서 형성되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가진다. 또한, 용착부 또는 접착부는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용착부 또는 접착부에 선반 등에 계합하기 위한 위한 구멍을 가져도 좋다.
도6(A)는 도4 및 도5에서 나타낸 실시형태와 같은 포장백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를 도시하고, 도6(B)는 다른 포장백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실시형태와 같은 포장백40을 가죽제의 비교적 크고 무거운 가방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40의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의 측면이 가방의 측면에 밀착되도록 접촉하여, 물품 20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 실시형태에 의한 포장백40a 및 포장백40b를 동시에 소지한 경우에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40a 및 포장백40b의 내부의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a, 물품20b의 마주보는 측면끼리 밀착되도록 접촉하여 물품20a 및 물품20b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품20, 물품20a, 물품20b가 도시락상자나 케이크를 수납하는 상자 등 이여도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시락상자의 내용물이나 케이크 등이 상자 안에서 미끄러지면서 이동되어 접촉할 일이 없어져, 안정된 운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4 및 도5의 포장백은 도2(B)에 나타낸 수납부11의 직사각형 형상인 개구부의 윗변16, 윗변17의 연장 선상에 따라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절삭깊이16a, 절삭깊이16b를 넣고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을 윗변16에서 분리하여 만들 수 있다.
분리된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절삭깊이16a, 절삭깊이16b에 대응하는 부분은 긴윗변44, 긴윗변45측의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에 용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납부41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의 긴윗변44, 긴윗변45에만 연결되는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절삭깊이16a, 절삭깊이16b에 대응하는 부분에 보강용 테이프 등을 부착해도 된다. 또한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과, 긴윗변44, 긴윗변45와의 교차하는 폭(길이)은 수납하는 물품의 무게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포장백10의 강도자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도1 및 도2에 나타낸 포장백에 절삭깊이를 넣음으로써, 도4 및 도5와 같은 포장백을 만들어도 되지만, 후술하는 포장백 제조방법에서, 도4 및 도5와 같은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만들어도 된다.
도1과 도2에 나타낸 것 과 같은 포장백10을 가방과 함께 소지한 경우 및 기타포장백10a, 기타포장백10b와 동시에 소지한 경우, 포장백10안의 물품20은 비스듬히 기우는 반면에, 도4 및 도5와 같이,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으로 함으로써 기울기가 없어진다.
이것은 도1 및 도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장백10의 경우, 윗변16, 윗변17의 길이가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의 길이에 비해 매우 짧기 때문에 도2(B) 및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변16, 윗변17을 밑변으로 하고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의 안쪽변을 빗변으로하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이 매우 가늘고 긴 형태가 된다. 아울러 손잡이부12, 손잡이부13의 용착부 또는 접착부에 손가락을 삽입한 경우에는 이 가늘고 긴 이등변삼각형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에 가까운 형태가 되기 때문에, 그 가늘고 긴 이등변삼각형 또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상이 유지되도록 된다. 그 때문에 포장백10안의 물품20은 비스듬하게 기울게 된다.
이에 반해서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포장백40의 경우, 짧은 윗변46, 짧은 윗변47의 길이가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길이의 약 절반 이상이 되므로, 도4(B)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짧은 윗변46, 짧은 윗변47을 밑변으로 하고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안쪽변을 각각 빗변으로하는 이등변 삼각형이 대체적인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가 된다.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용착부 또는 접착부에 손가락을 삽입한 경우에도 이 정삼각형 형상의 형태는 유지되게 된다. 그 때문에 포장백40안의 물품20이 비스듬히 기울게 되면, 손잡이42, 손잡이43의 용착부 또는 접착부의 위치가 바깥쪽으로 벗어나서, 정삼각형의 형상은 대체적인 직각삼각형의 형상과 비슷하게 되고, 물품20의 기울기를 흡수해서 물품20을 수평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사이드에 고리를 갖춘 시판의 손잡이홀더에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계합함으로써,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이 손잡이홀더의 고리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물품20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효과는 더욱 커진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긴윗변 44, 긴윗변45의 양단부에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1개의 손잡이부를 긴윗변44, 긴윗변45의 중앙 부근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긴윗변44, 긴윗변45의 전체로부터 위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것과 같은 삼각형 형태의 끈으로 구성해도 좋다.
도7 내지 도12는 도4 및 도5와 같은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갖춘 포장백을 제조하는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포장백은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다가, 문자 또는 부호를 찍어내는 공정, 밀봉공정, 프레스(打ち拔き)공정, 재단공정 등을 오프라인 방식 또는 인라인방식을 실시함으로써 제조된다.
도7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가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서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만들고,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오프라인으로 10장 내지 100장으로 겹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의 부분을 펀칭하고 제거함으로써 포장백을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에서는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의 양쪽 사이드에 각각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이 구성되어있다. 접힘부70의 접힌 정도는 포장백40의 짧은윗변46, 짧은윗변47의 길이의 약 절반으로 하고, 접힘부71의 접힌 정도의 양은 포장백40의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길이의 약 절반으로 한다.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의 각 위치72, 위치73에서 포장백40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동시에 플라스틱필름7을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한다. 이 용단공정에의해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의 위치72, 위치73에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가 형성된다. 전부 닫힌 상태의 백75가 개별적으로 만들어진다. 위치72와 위치73과의 사이의 길이는 포장백40의 수납부41의 외주길이의 약 절반으로 한다. 또한, 먼저 밀봉공정만 하고 그 다음에 용착부 또는 접착부의 거의 중앙 부근의 위치74에서 플라스틱필름7을 재단/분리하는 재단공정을 개별로 실행해도 된다. 이 공정을 인라인으로 실시함으로써 전부 닫힌 상태의 백75가 형성된다.
전부 닫힌 상태의 백75를 10장 내지 100장 정도로 묶어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77 내지 79를 펀칭하고, 그 불필요한 부분77 내지 79를 잘라내고, 프레스공정을 실시한다. 이 프레스공정에 의해 형성된 포장백76의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폄으로써,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갖춘 포장백76이 형성된다. 이 포장백76과 도4, 도5에 도시된 포장백40과는 형태가 약간 다르지만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함으로써, 그 수납부의 형태는 거의 같아진다.
도8은 도7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에 있어서, 도7과 동일한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8에서는 포장백의 한쪽 가장자리인 수납부측에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이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7a에서 전부 닫힌 상태의 백85를 만들고 전부 닫힌 상태의 백85를 10장 내지 100장을 겹쳐서 불필요한 부분87 내지 불필요한 부분89를 펀칭하고 제거함으로써 포장백86을 제조하고 있다. 도8은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7a의 한쪽 사이드, 즉 수납부측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이 구성되어 있다. 접힘부70의 접힌 정도의 양은 포장백40의 짧은 윗변46, 짧은 윗변47의 길이의 약 절반으로 한다. 이 포장백86은 도7의 포장백76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도8의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의 수납부측에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이 있는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a에 대해 설명했지만, 포장백의 한쪽 가장자리에 있는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측에만 형성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의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도7과 같이 불필요한 부분77, 불필요한 부분78을 제거하는 프레스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도9는 도8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 도8과 동일한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9에서는,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c는 접히지 않고 그대로 사용되며 전부 닫힌 상태의 서류백95를 만들고, 전부 닫힌 상태의 서류백95를 10장 내지 100장을 겹쳐서, 불필요한 부분87 내지 불필요한 부분89를 펀칭해서 제거함으로써 포장백96을 제조하고 있다. 이 포장백96은 도7의 포장백76 및 도8의 포장백86과 달리, 포장백96의 짧은 윗변에서 하단부까지의 길이가 도7 및 도8의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의 접힌 정도의 양만큼 길어져 있지만, 대체적인 직육면체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함으로써, 그 수납부의 형태는 거의 같아진다.
도10은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양쪽 가장자리에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이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의 부분을 펀칭하고 제거한 다음에 용단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포장백을 인라인방식으로 제조하는 공정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에 있어서, 도7과 동일한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7의 실시형태에서는 용단 공정에서 형성된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10장 내지 100장정도로 묶어서 불필요한 부분77, 불필요한 부분78은 프레스공정에 의해 제거 되있지만, 도10의 실시형태에서는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d의 양쪽 가장자리(양사이드)에 형성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 중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107을 프레스공정으로 제거하고, 그 후에 용단공정으로 분리하여 개별 포장백106을 만든다.
즉, 프레스공정에 의해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 107이 제거된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d에 대해서, 각 위치72, 위치73에 포장백40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함과 동시에 플라스틱필름7d를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한다. 이 용단공정에 의해서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 7d의 위치72, 위치73에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가 형성된 포장백106이 개별적으로 인라인 공정에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프레스공정을 한 후에, 밀봉공정만을 먼저 수행 한 다음에 용착부 또는 접착부의 거의 중앙 부근의 위치74에서 플라스틱필름7d를 재단/분리 하는 재단공정을 해도 좋다. 또한 프레스공정 전에 밀봉공정을 먼저 실시하고, 그 후의 프레스공정에서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107과 밀봉공정에서 형성된 용착부 또는 접착부와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108과를 제거한 후에, 용착부 또는 접착부의 거의 중앙 부근의 위치74에서 플라스틱필름7d를 재단/분리하는 재단공정을 해도 된다.
이상의 각 공정을 인라인으로 실시함으로써 포장백106을 만들 수 있다. 재단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포장백106의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을 연장함으로써,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갖춘 포장백106을 만들 수 있다. 이 포장 백106은 도7의 포장백76과 같으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함으로써, 그 수납부의 형태는 도4, 도5의 포장백40과 거의 같아진다.
도11은 도10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에 있어서, 도10과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1에서는 포장백의 한쪽 가장자리인 수납부측에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이 있는 원통 형태의 플라스틱필름7e에서 불필요한 부분117을 프레스공정으로 제거하고, 그 후에 용단공정에서 분리하고, 개별의 포장백116을 만든다.
또한 프레스공정 후에 밀봉공정만을 먼저 수행 한 다음에, 재단 공정을 진행해도 된다. 또한 프레스공정 전에 밀봉공정을 먼저 실시하고, 그 후에 프레스공정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부분117 및 밀봉공정에서 형성된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118과를 제거한 후에 재단공정을 진행해도 된다. 이상의 각 공정을 인라인으로 실시함으로써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갖춘 포장백116을 만들 수 있다.
이 포장백116은 도8의 포장백86과 같고,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20을 수납함으로써, 그 수납부의 형태는 도4, 도5의 포장백40과 같게 된다. 또한, 도11의 실시형태에서는 포장백의 수납부측에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이 있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7e에 대해 설명했지만, 포장백의 한쪽 가장자리인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측에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이 형성된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 도10에서와 같이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을 제거하는 프레스공정을 실시해도 된다.
도12는 도11의 제조방법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에 있어서 도11과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2에서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7f는 접히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되고, 플라스틱필름7f에서 불필요한 부분127을 프레스공정으로 제거하고, 그 후에 용단 공정에서 분리하여 개별 포장백126을 만든다.
또한 프레스공정후에 밀봉공정만을 먼저 수행한 다음에, 재단공정을 진행해도 된다. 또한 프레스공정 전에 밀봉공정을 먼저 실시하고, 그 후에 프레스공정을 실시하여 불필요한 부분127 및 밀봉공정에서 형성된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포함한 불필요한 부분128과를 제거한 후에 재단공정을 진행해도 된다.
이상의 각 공정을 인라인으로 실시함으로써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갖춘 포장백126을 만들 수 있다. 이 포장백126은 도9의 포장백96과 같고,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함으로써, 그 수납부의 형태는 도4, 도5의 포장 백40과 거의 동일하게 된다.
도13은 도7 내지 도12에 나타낸 포장백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포장 백76, 포장백86, 포장백96, 포장백106, 포장백116, 포장백126에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을 수납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투상도 이며, 도4(A)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13에 있어서 도4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13의 포장백76, 포장백86, 포장백96, 포장백106, 포장백116, 포장백126이 도4의 포장백과 차이점은 제조과정에서 형성된 용착부 또는 접착부72a가 포장백76, 포장백86, 포장백96, 포장백106, 포장백116, 포장백126의 측면부에 존재하는 점이며, 그 이외에는 도4의 포장백40과 거의 같은 형태다.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a,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b,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c,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d,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e, 원통형 플라스틱필름7f의 가로넓이, 접힘부71, 접힘부72의 접힌 정도의 양, 불필요한 부분77 내지 79, 불필요한 부분87 내지 89,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 불필요한 부분117, 불필요한 부분118, 불필요한 부분127, 불필요한 부분128의 크기는 완성한 포장백의 크기, 수납되는 물품의 크기 및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길이와 넓이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불필요한 부분79,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의 형태 및 불필요한 부분89, 불필요한 부분117, 불필요한 부분118의 형상이 각각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불필요한 부분의 형상은 수납되는 물품의 크기 및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길이에 대응하여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 불필요한 부분117, 불필요한 부분118 불필요한 부분127, 불필요한 부분128을 각각 동일한 형태로 함으로써 같은 형태로 순차적으로 펀칭작업을 실시하면 되기 때문에, 프레스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더욱이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 불필요한 부분117, 불필요한 부분118, 불필요한 부분127, 불필요한 부분128을 각각 다른 형상인 경우에는,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 불필요한 부분117, 불필요한 부분118 불필요한 부분127, 불필요한 부분128을 동시에 펀칭함으로써 프레스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도7 및 도10의 실시형태에서는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의 접힌 정도의 양이 다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0, 접힘부(포장백의 주름)71의 접힌 정도의 양을 같게 하여, 불필요한 부분77 내지 79, 불필요한 부분107, 불필요한 부분108의 인라인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의 길이를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길이에 맞춰서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길이(형상)의 손잡이부를 형성 할 수 있다. 이는 같은 접힌 정도의 양을 형성하는 제조 공정에 적용 할 경우에 불필요한 부분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4 및 도13의 포장백은 수납부41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의 가장자리, 즉 수납하는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20의 양끝 부분의 위치에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이 형성되어 있지만,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의 사이의 간격을 짧게 하고, 수납부41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의 가장자리보다도 안쪽의 중앙 가까이에 손잡이부42, 손잡이부43을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10,10a, 10b ... 포장백
11 ... 수납부
12,13 ... 손잡이부
14 ~ 17 ... 윗변
20,20a, 20b ... 물품
40,40a, 40b ... 포장백
41 ... 수납부
42,43 ... 손잡이부
44,45 ... 긴 윗변
46,47 ... 짧은 윗변
75, 85,95 ... 전부 닫힌 상태의 백
76,86,96, 106, 116,126 ... 포장백
77 ~ 79,87 ~ 89, 107, 108,117,118,127,128 ... 불필요한 부분
7, 7a, 7b, 7c, 7d, 7e, 7f ... 플라스틱필름
72a ... 용착부 또는 접착부

Claims (8)

  1.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납부와,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 중 하나의 변과 접하는 측인 상기 수납부의 한쪽 윗변에서 연장되어, 마주보고 있는 상기 수납부의 다른 윗변에 이르도록 형성된 긴 형태의 손잡이부와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이 긴 사각형으로 형성되어있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대체적인 직육면체 형상의 물품의 긴 변과 접하는 측인 상기 수납부의 윗변에서 마주보고 있는 윗변에 이르도록 형성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수납부 윗변의 양쪽 끝에서 각각 마주보는 윗변의 양쪽 끝에 이르도록 형성된 긴 형태의 부재 2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4.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함과 동시에 분리하는 용단공정을 실시해 전부 닫힌 상태의 백을 만들고, 상기 전부 닫힌 상태인 백의 하나 또는 여러 장으로 묶은 것인 상기 인라인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 가장자리의 손잡이부 측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제조방법.
  5.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공정과, 상기 밀봉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 가장자리의 손잡이부측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에 상기 플라스틱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재단/분리하는 공정으로 인해,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제조방법.
  6. 인라인으로 진행하는 원통형의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으로의 진행 방향과 평행한 한쪽 가장자리의 손잡이부 측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함과 동시에 분리하는 용단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을 인라인 방식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제조방법.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단 공정 대신에 상기 제거하는 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에 대해서, 포장백의 측면부가 되는 부분을 밀봉하는 밀봉공정과, 상기 밀봉공정 후의 상기 플라스틱필름으로 형성되어 있는 용착부 또는 접착부를 재단/분리하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제조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에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장백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플라스틱필름의 상기 인라인 진행방향과 평행한 양쪽 가장자리 또는 한쪽 가장자리에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힘부가 포장백 손잡이부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불필요한 부분에 상기 접힘부가 포함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백 제조방법.
KR1020150145019A 2014-12-03 2015-10-16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KR101702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4914 2014-12-03
JPJP-P-2014-244914 2014-12-03
JP2015029090A JP2016108047A (ja) 2014-12-03 2015-02-17 包装袋及び包装袋製造方法
JPJP-P-2015-029090 2015-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028A true KR20160067028A (ko) 2016-06-13
KR101702617B1 KR101702617B1 (ko) 2017-02-03

Family

ID=5612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019A KR101702617B1 (ko) 2014-12-03 2015-10-16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6108047A (ko)
KR (1) KR101702617B1 (ko)
CN (1) CN105667967A (ko)
SG (1) SG10201508474UA (ko)
TW (1) TWI6186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214B (zh) * 2018-09-05 2023-11-21 东莞市本润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包装盒热收缩膜热切口装置
KR102214500B1 (ko) * 2019-11-15 2021-02-09 최병삼 친환경 장바구니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50A (ja) 2004-11-04 2006-05-25 Japan Uniflow Co Ltd レジ袋
KR100835510B1 (ko) * 2006-11-30 2008-06-04 안준서 내부가 구획된 봉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091042A (ja) * 2007-10-10 2009-04-30 Ikeda Masatsugu ガセット付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83073A (ja) * 2008-10-01 2010-04-15 Challange Five:Kk 包装用袋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36813U (ko) * 1976-04-12 1977-10-18
FI58753C (fi) * 1977-01-31 1981-04-10 Suominen Heikki S Med baerhandtag foersedd plastkasse
JPS53135219U (ko) * 1977-03-30 1978-10-26
JP2578336B2 (ja) * 1987-10-15 1997-02-05 昌芳 松本 手提げ袋の製造方法
JPH0725058Y2 (ja) * 1992-05-29 1995-06-07 利幸 村岡 手提運搬具
JP2590534Y2 (ja) * 1992-07-20 1999-02-17 昌芳 松本 新聞雑誌用手提袋
CN2150043Y (zh) * 1992-09-17 1993-12-22 侨伟塑胶机械有限公司 背心袋的成型机的成型模具装置
CN2326540Y (zh) * 1997-11-04 1999-06-30 刘洪勋 一种多用塑料袋
US6918699B2 (en) * 1999-05-10 2005-07-19 Violet Hanson Flat bottom bag with handle
JP2007175973A (ja) * 2005-12-27 2007-07-12 J-Film Corp 手提げ袋、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901990Y (zh) * 2006-04-13 2007-05-23 刘翔 一种新型背心袋
CN201146968Y (zh) * 2007-12-20 2008-11-12 穆淑生 一种无折边背心袋
CN201573846U (zh) * 2009-10-13 2010-09-08 中山市新美包装机械制品有限公司 一种连续式背心保鲜袋
CN201777481U (zh) * 2010-07-27 2011-03-30 江门市新会区恒隆塑料制品有限公司 一种易抽取连卷式塑料袋
CN103660364A (zh) * 2012-08-30 2014-03-26 骏业塑胶(深圳)有限公司 一种环保折叠平底背心袋的制作工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250A (ja) 2004-11-04 2006-05-25 Japan Uniflow Co Ltd レジ袋
KR100835510B1 (ko) * 2006-11-30 2008-06-04 안준서 내부가 구획된 봉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091042A (ja) * 2007-10-10 2009-04-30 Ikeda Masatsugu ガセット付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83073A (ja) * 2008-10-01 2010-04-15 Challange Five:Kk 包装用袋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617B1 (ko) 2017-02-03
TW201620795A (zh) 2016-06-16
SG10201508474UA (en) 2016-07-28
JP2016108047A (ja) 2016-06-20
TWI618658B (zh) 2018-03-21
CN105667967A (zh) 201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347581A (ja) 包装体
JP6165484B2 (ja) 折り畳み包装体
KR101702617B1 (ko) 포장백 및 포장백의 제조방법
JP3182443U (ja) 食品包装容器
EP3028954A1 (en) Paper/plastic film carrier ba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film carrier bag
JP2017071421A (ja) カップ入り飲料等の持帰り用包装袋
KR101735937B1 (ko) 포장용 박스
JP6212896B2 (ja) 収納物固定部材
JP3197488U (ja) 包装箱
KR101508732B1 (ko) 포장용 상자
JP6206332B2 (ja) 梱包箱
KR20100048378A (ko) 과채류 포장용 비닐팩 및 그 제작방법
JP2005162234A (ja) 包装箱
JP5522607B2 (ja) おにぎり用包装材の積層体
JP6537009B1 (ja) 底板付き包装用袋
JP3154417U (ja) 手提げ袋
JP7116980B2 (ja) 袋体
JP2013249091A (ja) 収容袋
KR101681227B1 (ko) 스푼 수납공간을 갖는 가공식품 포장상자
JP3129939U (ja) 手提げ型可能化粧箱
JP6230109B2 (ja) ダンボール箱
JP3167365U (ja) 物入れ用セパレータ
JP6929051B2 (ja) 梱包容器
JP3199227U (ja) 収容容器
JP5772632B2 (ja) 簡易キャリ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