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5653A - 만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만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5653A
KR20160065653A KR1020140169915A KR20140169915A KR20160065653A KR 20160065653 A KR20160065653 A KR 20160065653A KR 1020140169915 A KR1020140169915 A KR 1020140169915A KR 20140169915 A KR20140169915 A KR 20140169915A KR 20160065653 A KR20160065653 A KR 20160065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pling
conveyor
dumplings
ski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9922B1 (ko
Inventor
권경순
Original Assignee
권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순 filed Critical 권경순
Priority to KR1020140169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9922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9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9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 A23P10/47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using additives, e.g. emulsifiers, wetting agents or dust-bind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납작하고 길게 성형된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여 연속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A)와; 상기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하는 만두소공급부(B)와; 상기 만두소공급부(B)에 의해 일정량의 만두소가 일정 간격으로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만두피를 만두로 성형하기 위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절단부(C)와; 상부에 만두소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만두피절단부(C)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압착하여 만두를 성형하는 만두성형부(D)와; 상기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피성형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E)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만두피가 매우 얇고, 납작한 반달 형태의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반죽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만두 본연의 맛을 살린 고품질의 만두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만두 제조장치 {Dumplings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만두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두 성형 과정에서 만두피가 맞붙어 접합하는 부분에 만두소가 개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만두피가 매우 얇고, 납작한 반달 형태의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게 한 만두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두'란 밀가루나 메밀가루 반죽으로 껍질을 만들고, 그 껍질 안에 고기 ·두부 ·김치 등으로 버무린 소(속)를 넣고 찌거나 튀긴 음식을 말한다.
중국 남만인(南蠻人)들의 음식이었던 만두는 조선 중기 이전에 중국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에는 만두가 상용식이 아니고 겨울, 특히 정초에 먹는 절식이며, 경사스러운 잔치에는 특히 고기를 많이 넣은 고기만두를 만들어 먹었다고 전해진다.
만두는 익히는 방법에 따라 찐만두·군만두·물만두·만둣국 등으로 나뉘고, 모양에 따라 귀만두·둥근만두·미만두·병시(餠匙)·석류탕 등으로 나누어진다. 특히 미만두는 예전에 궁중에서 해먹던 음식으로 해삼의 생김새처럼 주름을 잡아 만든 데서 생긴 이름이고, 병시는 숟가락 모양을 닮은 데서, 석류탕은 석류처럼 생긴 데서 붙은 이름인데,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만두가 만들어졌다.
만두를 빚는 방법은 얇게 민 만두껍질을 원형으로 떠서 되직하게 버무려 놓은 소를 넣고 맞붙인 다음 다시 양귀를 맞붙여 둥글게 만든다. 이것은 본래 개성 지방에서 빚던 방법이고, 서울 지방에서는 반죽을 경단만큼씩 떼어 껍질이 얇아질 때까지 우물을 파서 소를 넣고 배 모양으로 맞붙이는데, 이때 양귀를 완전히 붙이지 않고 구멍을 조금 남기기도 한다.
만두는 껍질이 얇고 소가 많이 들어가야 맛이 있는데, 만두 소는 재료를 잘 다져서 섞고 양념하여 만드는데, 육류로 쇠고기나 돼지고기·닭고기·꿩고기 등이 쓰이고, 채소로는 김치·숙주·당근·오이·양파, 그 밖에 두부·당면 등을 쓴다. 요즘은 육류로 쇠고기와 돼지고기를 반반씩 섞어 쓰고, 숙주 대신 당면을 쓰는 경우도 있다.
가정에서 만두는 만들 때나 만두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업체라도 그 규모가 영세한 경우에는 보통 수작업에 의해 만두를 만든다. 그러나 만두를 대량으로 제조, 판매하는 전문업체에서는 보통 만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만두를 만드는 것이 일반화된 실정이다.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576호의 '만두 제조기'와 같이 동력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가 설치된 만두피반죽압출기(10)를 이용하여 만두피를 압출하면서 만두피 내부에 별도로 공급되는 만두속이 채워지게 하여 만두속이 채워진 만두피를 성형로울러(20)로 압착하여 만두를 만드는 공지의 만두제조기에 있어서, 만두피반죽압출기(10)의 배출관(12)에 'ㅏ' 형으로 된 설치
관(30)의 측면연결관(32)을 결합하고 암나사(36)가 형성된 설치관(30)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수나사(42)를 형성한 만두피성형관(40)과 상부에 나사결합부(52)를 형성하고 중심에 배출공(54)을 형성한 만두속배출관(50)을 나사 결합하되, 만두피성형관(40)의 내부에 만두속배출관(50)의 하부관(56)이 끼워져 두 관 사이에 만두피성형부(60)가 형성되게 하여 만두피성형관(40)의 일측면에 형성된 통공(44)을 통해 만두피성형부(60)가 설치관(30)의 측면연결관(32)과 연통되게 하고 만두피성형관(40)의 하부에는 걸림턱(46)을 형성하여 그 상부에 암나사를 형성한 2개의 성형관체결구(70)를 체결하며 설치관(30)의 상부연결관(34)에는 만두속공급호퍼(80)를 설치하여 상부에서 만두속공급호퍼(80) 내부로 투입된 압출스크류(82)가 만두속배출관(50)의 배출공 (54) 내부까지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에서 만두속과 만두피용 반죽을 설치관으로 공급하여 만두속이 넣어진 만두피로 연속배출되게 하고 이를 성형로울러로 압착하여 자동으로 만두가 만들어진 후, 아래쪽으로 연속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만두의 자동 연속생산에 따른 대량생산이 가능케 하고, 만두의 생산에 필요한 시간이나 노동력을 줄여 생산비를 절감하며, 재료의 변질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만두를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57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3576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피반죽압출기에서 만두피가 원통형으로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과정에서 만두피반죽압출기와 동심원상에 배치된 만두속배출관을 통해서, 상기 원통형으로 된 만두피 내부로 만두속이 연속적으로 배출되면서, 성형로울러에 의해 원통형으로 된 만두피 외부에서 압착 성형이 이루어지면서 만두가 연속 제조된다.
따라서 성형로울러에 의해 만두피 외부에서 압착이 이루어지면서 만두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질 때, 원통형으로 된 만두피가 만두속을 감싸면서 서로 맞닿아 밀착하는 만두의 날개 부부에도 만두속이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써 만두속이나 만두피의 점성을 좌우하는 수분율에 따라서 만두속에 의해 만두피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지 못하면서 만두의 성형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 있었다.
또한, 만두의 날개 부분에 만두속이 일부 유입되더라도 성형로울러에 의한 압착력에 의해 만두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만두속이 유입된 상태에서 만두피의 밀착이 이루어지더라도 만두피가 찢어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만두피를 두껍게 형성해야 함으로써 그에 따른 만두피용 반죽 소모량이 늘어나, 제조원가가 인상되고, 만두의 맛을 좌우하는 만두속과 대비할 때, 만두피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만두 본연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만두 제조장치는 얇은 만두피를 가진 만두의 제조가 곤란하기 때문에 대구, 경북 지방에서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일명 '납작만두'와 같이 만두피가 매우 얇은 만두를 제조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납작하고 길게 성형된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여 연속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A)와;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를 정량으로 배출하여, 상기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하는 만두소공급부(B)와; 상기 만두소공급부(B)에 의해 일정량의 만두소가 일정 간격으로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만두피를 만두로 성형하기 위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절단부(C)와; 상부에 만두소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만두피절단부(C)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압착하여 만두를 성형하는 만두성형부(D)와; 상기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피성형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E)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만두피가 매우 얇고, 납작한 반달 형태의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반죽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만두 본연의 맛을 살린 고품질의 만두 제조가 가능케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 성형 과정에서 만두피가 맞붙어 접합하는 부분에 만두소가 개입되지 않고, 만두피끼리 긴밀하게 접합됨으로써 만두 성형이 원만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두의 성형 과정에서 만두피가 만두소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만두피가 매우 얇고, 납작한 반달 형태의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만두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만두피를 얇게 성형할 수 있게 되어 만두피의 재료가 되는 반죽 소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만두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두의 맛을 좌우하는 만두소와 만두피의 비율을 최적화하여 만두 본연의 맛을 살린 고품질의 만두 제조가 가능한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만두피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만두소공급부를 나타낸 정면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만두피절단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만두성형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실시 예에 따른 만두성형부를 나타낸 측면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는 만두피를 연속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A)와, 상기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만두소를 간헐 공급하는 만두소공급부(B)와, 상기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를 만두 성형에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를 만두로 성형하는 만두성형부(D)와, 상기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피성형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E)를 포함한다.
상기 만두피공급부(A)는 납작하고 길게 성형된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여 연속 공급하기 위하여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는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와; 상기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 사이에 설치되어,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 간을 이동하는 만두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103)와;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에 의해 얇게 성형된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04)와; 상기 제1컨베이어(104)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104)를 통과하는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05)와; 상기 제2컨베이어(105) 상부에 설치되어 제2컨베이어(105)의 구동력을 이용해 공회전 가능한 권취롤러(106b)에 만두피를 권취하는 권취수단(106)을 포함한다.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는 밀가루반죽이 통과하는 동안 밀가루반죽을 압착하여 만두피로 사용할 만큼 얇은 두께로 가압 성형하기 위하여 각각 한 쌍씩의 가압롤러(101a, 102a)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되,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가루반죽을 압송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E)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압롤러는 간격 조절이 가능케 하여 만두피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E)와의 동력전달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상기 제1압착롤러(101)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세로 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제2압착롤러(102)는 한 쌍의 가압롤러를 가로 방향으로 설치하여 가로 방향으로 이송되는 밀가루반죽이 제1압착롤러(101)를 통과한 후, 세로 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제2압착롤러(102)를 통과하는 동안의 장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 간에는 코일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이송중인 만두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103)를 설치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4)는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에 의해 얇게 성형된 만두피를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부(E)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제1컨베이어(104)를 통과하는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05)를 상기 제1컨베이어(104)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되, 상기 제2컨베이어(105)도 제1컨베이어(104)와 같이 구동부(E)에 의해 제1컨베이어(104)와 동일한 속도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컨베이어(104) 및 제2컨베이어(105)를 동시에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E)와의 동력전달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권취수단(106)은 상기 제2컨베이어(105)가 설치되는 본체프레임(601) 상부에 세로 방향으로 가이드(106a)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06a)를 따라서 승강하면서 공회전 가능하도록 권취롤러(106b)를 설치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를 통과하는 만두피의 선단부를 상기 권취롤러(106b)에 감은 상태에서 제2컨베이어(105)의 구동력이 권취롤러(106b)에 만두피에 전달되게 함으로써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에 의해 만두피가 이송될 때, 권취롤러(106b)가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만두피를 권취하며, 권취되는 만두피가 늘어나면서 외경이 증가함에 따라 권취롤러(106b)는 가이드(106a)를 따라서 자동으로 상승한다.
상기 만두소공급부(B)는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를 정량으로 배출하여, 상기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하기 위하여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를 투입하는 호퍼(201)와; 상기 호퍼(20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201) 상부에 설치된 모터(203)에 의해 구동하는 압출스크류(202)와; 상기 호퍼(201)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1a)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압출스크류(202)에 의해 호퍼(201) 하부로 배출되는 만두소가 일정량만큼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정량배출수단(204)을 포함한다.
상기 압출스크류(202)는 상기 호퍼(201) 내부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호퍼(201) 상부에 설치된 모터(203)의 구동축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회전한다. 또한, 압출스크류(202)의 날개는 상기 호퍼(201)의 내면에 근접하는 크기로 형성하되,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된 호퍼(201)의 형상을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날개의 외경을 축소함으로써 스크류의 회전력에 의해 호퍼(201) 내부에 담긴 만두소가 호퍼(201)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1a)로 압송된다.
상기 정량배출수단(204)은 상기 호퍼(201)의 배출구(201a)를 개폐하는 개폐구(204a)와, 상기 개폐구(204a)를 구동하는 수단으로서 실린더(204b)를 구비하여 상기 압출스크류(202)에 의해 상기 호퍼(201)의 배출구(201a)로 만두소가 배출될 때, 실린더(204b)에 의해 개폐구(204a)가 호퍼(201)의 배출구(201a)를 간헐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호퍼(201)의 배출구(201a)를 통해 배출되는 만두소를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한다.
상기 정량배출수단(204)의 개폐구(204a)를 구동하는 수단으로써 사용하는 실린더(204b)는 모터(203)나, 기타 개폐구(204a)의 구동을 가능케 하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만두피절단부(C)는 상기 만두소공급부(B)에 의해 일정량의 만두소가 일정 간격으로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만두피를 만두로 성형하기 위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기 위하여 천공부(301a)를 형성하여, 상기 만두피공급부(A)의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 사이에 설치하는 지지판(301)과; 상기 구동부(E)의 동력을 크랭크(302e)를 이용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연속적으로 승강하는 승강체(302)와; 상기 승강체(302)에 설치되어, 승강체(302)에 의해 상기 지지판(301)의 천공부(301a)를 반복적으로 출입하면서 지지판(301)을 통과하는 만두피를 천공부(301a) 형상으로 절단하여 천공부(301a) 아래로 낙하시키는 절단수단(303)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301)은 상기 본체프레임(601)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104)에서 제2컨베이어(105)로 이송되는 만두피를 안내한다.
상기 승강체(302)는 상기 본체프레임(601)에 설치된 가이드블럭(302a)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봉(302b)의 상하부에 각각 연결판(302c, 302d)을 설치하여, 상기 승강봉(302b)의 상부에 위치한 연결판(302c)의 저면에는 상기 절단수단(303)을 설치하고, 상기 승강봉(302b)의 하부에 위치한 연결판(302d)은 상기 구동부(E)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축과 크랭크(302e)로 연결함으로써 구동부(E)의 회전 동력을 크랭크(302e)가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승강봉(302b)이 승강하고, 그에 따라 절단수단(303)이 설치된 상부 연결판(302c)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체(302)의 승강은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 적재된 만두소가 천공부(301a)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시점에 맞추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절단수단(303)에 의해 천공부(301a) 형상으로 절단된 후 천공부(301a) 아래로 낙하하는 만두피의 중심부에는 만두소가 적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절단수단(303)은 상기 제1컨베이어(104)에서 지지판(301)을 지나 제2컨베이어(105)로 만두피가 이송되는 동안에 승강체(302)에 의해 승강하면서 지지판(301)의 천공부(301a)로 투입되어 상기 지지판(301)을 통과하는 만두피를 절단하여 천공부(301a) 아래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하단부에는 만두피를 절단하는 날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날부의 형상은 천공부(301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만두성형부(D)는 상부에 만두소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만두피절단부(C)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압착하여 만두를 성형하기 위하여 상기 만두피절단부(C)의 절단수단(303)에 의해 절단된,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401)와; 상기 제3컨베이어(401) 양측에 설치되어,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401)의 일부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구동되도록 가압하여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가 반으로 접힌 상태 압착되면서 만두로 성형되게 하는 가압성형수단(402)을 포함한다.
상기 제3컨베이어(401)는 상기 가압성형수단(402)에 의해 일정 구간에서 반으로 접히면서 만두를 성형하므로 가압성형수단(402)에 의한 접힘과, 만두 성형 후 복원이 원활하도록 충분한 탄성과 탄력을 가지는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컨베이어(401)의 외표면은 만두피를 압착하여 만두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므로 외표면에 테프론 등과 같은 물질로 피복되는 코팅부를 형성하여 만두피를 압착 성형하는 과정에서 만두피가 제3컨베이어(401)의 외표면에 들러붙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성형수단(402)은 상기 제3컨베이어(401)의 양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가압롤러(402a)를 설치하여 제3컨베이어(401)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가압롤러(402a)에 의해 만두피를 적재하여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401)의 상부가 반으로 접히면서 만두를 성형하게 한다. 이때,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가 반으로 접히면서 만두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만두피에 적재된 만두소가 만두피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압롤러(402a)의 외주면에는 환상의 성형홈(402b)을 형성하여 가압롤러(402a)에 의해 제3컨베이어(401)가 반으로 접히면서 만두가 성형될 때, 만두소가 적재된 부분이 가압롤러(402a)의 성형홈(402b) 부분을 통과하게 함으로써 만두의 성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롤러(402a)는 상기 제3컨베이어(401) 전체 길이 중 일정 구간, 바람직하게는 제3컨베이어(401)의 길이 방향 가운데 지점에서 적어도 한 쌍 이상을 설치하여 제3컨베이어(401)와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하도록 공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한 쌍 이상의 가압롤러(402a)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조의 가압롤러(402a)를 일정 간격으로 두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나란히 설치되는 한 쌍의 가압롤러(402a)의 각 회전축 상부에 서로 치합하는 기어(403a)를 설치하고, 일측 가압롤러(402a)의 회전축에는 가압롤러(402a)를 구동하는 롤러구동수단(403)을 더 구비하여 롤러수동수단에 의해 한 쌍의 가압롤러(402a)가 강제 구동케 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구동부(E)는 상기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피성형부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동력을 생산하는 구동모터(501)와, 상기 구동모터(501)의 동력을 상기 만두피공급부(A), 만두피절단부(C), 만두피성형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만두피공급부(A), 만두피절단부(C), 만두피성형부로 전달하기 위한 체인스프로킷의 설치 구조나, 벨트풀리의 설치 구조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쉽게 이해되고, 실시 가능한 기술 수준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의 도시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공급부(B)는 첨부도면 도 1과 같이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첨부도면 도 7과 같이 만두소공급부(B)를 상기 만두피절단부(C) 상부에 배치하고, 만두소공급부(B)에서 간헐 공급되는 만두소가 만두피절단부(C)의 절단수단(303)에 형성된 중심공(303a)을 통해 만두피 상에 적재되게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만두 제조장치에 의해 만두가 제조되는 과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만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만두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만두피를 위한 밀가루 반죽을 만든 후, 상기 밀가루 반죽을 압출기를 이용해 납작하고 길게 성형한 후 이를 차곡차곡 접은 상태로 만두피공급부(A)의 적재부(107) 상에 적재한다.
그리하여 납작하고 길게 형성되어 차곡차곡 접힌 상기 밀가루 반죽의 선단부를 충분히 풀어서 만두피공급부(A)의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를 통과시킨 후,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를 지나, 제2컨베이어(105) 상부에 설치된 권취수단(106)의 권취롤러(106b)에 권취한 상태에서 만두피공급부(A)를 가동시키면,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의 구동력에 의해 밀가루반죽이 만두피의 두께로 성형됨과 동시에 압송이 이루어지면서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의 구동력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이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만두피의 연속 공급이 이루어지면,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가 투입된 만두소공급부(B)의 호퍼(201) 내부에 설치된 압출스크류(202)에 의해 만두소가 교반 압출되어 호퍼(201)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201a)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호퍼(201)의 하단부에는 상기 배출구(201a)를 간헐적으로 개폐하는 정량배출수단(204)을 구비함으로써 호퍼(201)의 배출구(201a)를 통해 배출되는 만두소가 일정량만큼 간헐적으로 배출되어 상기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적재된다.
상기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가 만두피공급부(A)의 제1컨베이어(104)에서 제2컨베이어(105)로 이송될 때, 상기 제1컨베이어(104)에서 제2컨베이어(105) 사이에 설치된 지지판(301)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만두피절단부(C)의 승강체(302)가 구동부(E)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함으로써 승강체(302)에 설치된 절단수단(303)이 하강하여 천공부(301a)를 관통함으로써 지지판(301) 위를 통과하던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가 상기 절단수단(303)에 의해 절단되어 천공부(301a) 아래로 낙하하여 만두성형부(D)의 제3컨베이어(401) 상에 적재되고, 상기와 같이 천공이 이루어진 만두피는 제2컨베이어(105) 상부에 설치된 권취롤러(106b)에 권취된 후, 만두피용 밀가루 반죽으로 재사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3컨베이어(401) 상부에 적재된 만두소가 올려진 만두피는 제3컨베이어(401)에 의해 이송되다가 일정 구간에 걸쳐서 제3컨베이어(401)의 상부를 반으로 접어주는 가압성형수단(402)에 만두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가운데 부분에 만두소가 올려진 원형의 만두피가 적재된 제3컨베이어(401)가 구동부(E)에 의해 구동되는 과정에서 일정 구간에 도달하면 제3컨베이어(401) 양측에 설치된 가압롤러(402a)를 구비한 가압성형수단(402)에 의해 제3컨베이어(401)의 상부가 반으로 접히는데, 이 과정에서 제3컨베이어(401) 상부에 적재된 원형의 만두피도 반으로 접힘과 동시에 가압성형수단(402)에 의해 가압되는 제3컨베이어(401)에서 전해지는 압력에 의해 반으로 접힌 만두피가 서로 접합되면서 반달형으로 된 납작한 만두 성형이 이루어진 후, 상기 가압성형수단(402)에 의해 반으로 접힌 제3컨베이어(401)의 상부가 다시 펼쳐지면 제3컨베이어(401)에 의해 계속 이송되어 배출됨으로써 만두피가 매우 얇으면서도 반달형으로 된 만두를 연속적으로 자동 생산할 수 있게 되어 만두의 대량 생산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A: 만두피공급부 B: 만두소공급부
C: 만두피절단부 D: 만두성형부
E: 구동부 101: 제1압착롤러
102: 제2압착롤러 103: 텐션롤러
104: 제1컨베이어 105: 제2컨베이어
106: 권취수단 201: 호퍼
202: 압출스크류 203: 모터
204: 정량배출수단 301: 지지판
302: 승강체 303: 절단수단
401: 제3컨베이어 402: 가압성형수단
403: 롤러구동수단 501: 구동모터
601: 본체프레임 901: 밀가루 반죽
902: 만두피 903: 만두소
904: 만두

Claims (5)

  1. 납작하고 길게 성형된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여 연속 공급하는 만두피공급부(A)와;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를 정량으로 배출하여, 상기 만두피공급부(A)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만두피 상부에 간헐적으로 투하하는 만두소공급부(B)와;
    상기 만두소공급부(B)에 의해 일정량의 만두소가 일정 간격으로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만두피를 만두로 성형하기 위한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는 만두피절단부(C)와;
    상부에 만두소가 적재된 상태로 상기 만두피절단부(C)에 의해 절단된 만두피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압착하여 만두를 성형하는 만두성형부(D)와;
    상기 만두피공급부(A)와, 만두피절단부(C)와, 만두피성형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공급부(A)는 납작하고 길게 성형된 밀가루반죽을 만두피의 두께로 얇게 성형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와;
    상기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 사이에 설치되어, 제1압착롤러(101)와 제2압착롤러(102) 간을 이동하는 만두피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롤러(103)와;
    상기 제1압착롤러(101) 및 제2압착롤러(102)에 의해 얇게 성형된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04)와;
    상기 제1컨베이어(104)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104)를 통과하는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105)와;
    상기 제2컨베이어(105) 상부에 설치되어 제2컨베이어(105)의 구동력을 이용해 공회전 가능한 권취롤러(106b)에 만두피를 권취하는 권취수단(10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소공급부(B)는 미리 혼합 준비된 만두소를 투입하는 호퍼(201)와;
    상기 호퍼(201)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201) 상부에 설치된 모터(203)에 의해 구동하는 압출스크류(202)와;
    상기 호퍼(201)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201a)를 간헐적으로 개폐하여 상기 압출스크류(202)에 의해 호퍼(201) 하부로 배출되는 만두소가 일정량만큼 간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정량배출수단(2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피절단부(C)는 천공부(301a)를 형성하여, 상기 만두피공급부(A)의 제1컨베이어(104)와 제2컨베이어(105) 사이에 설치하는 지지판(301)과;
    상기 구동부(E)의 동력을 크랭크(302e)를 이용해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연속적으로 승강하는 승강체(302)와;
    상기 승강체(302)에 설치되어, 승강체(302)에 의해 상기 지지판(301)의 천공부(301a)를 반복적으로 출입하면서 지지판(301)을 통과하는 만두피를 천공부(301a) 형상으로 절단하여 천공부(301a) 아래로 낙하시키는 절단수단(30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두성형부(D)는 상기 만두피절단부(C)의 절단수단(303)에 의해 절단된,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401)와;
    상기 제3컨베이어(401) 양측에 설치되어, 만두피를 이송하는 제3컨베이어(401)의 일부를 반으로 접은 상태로 구동되도록 가압하여 만두소가 적재된 만두피가 반으로 접힌 상태 압착되면서 만두로 성형되게 하는 가압성형수단(4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만두 제조장치.
KR1020140169915A 2014-12-01 2014-12-01 만두 제조장치 KR101679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15A KR101679922B1 (ko) 2014-12-01 2014-12-01 만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915A KR101679922B1 (ko) 2014-12-01 2014-12-01 만두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53A true KR20160065653A (ko) 2016-06-09
KR101679922B1 KR101679922B1 (ko) 2016-11-25

Family

ID=56138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915A KR101679922B1 (ko) 2014-12-01 2014-12-01 만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992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2599A (zh) * 2017-11-15 2018-02-23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073611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CN110842994A (zh) * 2019-12-04 2020-02-28 九江市金樱食品发展有限公司 一种糯米糍粑高效自动成型切割机
KR20200076182A (ko) * 2018-12-19 2020-06-29 (주)한솔기계 반죽시트 성형 공급구조를 갖는 만두 성형시스템
KR102239050B1 (ko) * 2020-09-02 2021-04-09 한병규 납작만두 제조방법
KR20210089907A (ko) * 2020-01-09 2021-07-19 최건길 자동 만두 제조장치
KR102536699B1 (ko) * 2022-03-16 2023-05-26 이은동 납작만두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352B1 (ko) * 2018-03-09 2019-01-02 이준영 브리또 제조장치 및 브리또 제조방법
KR101906935B1 (ko) * 2018-03-21 2018-12-05 허재호 만두 성형 기계
KR101959286B1 (ko) 2018-12-27 2019-03-18 이창열 만두 롤링 성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76Y1 (ko) 2000-08-11 2001-02-15 이명석 만두 제조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262B2 (ja) * 1994-09-22 2001-07-16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複数個取り金型装置
JP5433858B2 (ja) 2009-10-09 2014-03-05 東亜工業株式会社 生餃子とその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3576Y1 (ko) 2000-08-11 2001-02-15 이명석 만두 제조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12599A (zh) * 2017-11-15 2018-02-23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CN107712599B (zh) * 2017-11-15 2021-02-09 华北科技学院 一种水饺生产用设备
KR102073613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102073611B1 (ko) * 2018-08-21 2020-02-06 (주)대한기계 만두 제조 장치
KR20200076182A (ko) * 2018-12-19 2020-06-29 (주)한솔기계 반죽시트 성형 공급구조를 갖는 만두 성형시스템
CN110842994A (zh) * 2019-12-04 2020-02-28 九江市金樱食品发展有限公司 一种糯米糍粑高效自动成型切割机
KR20210089907A (ko) * 2020-01-09 2021-07-19 최건길 자동 만두 제조장치
KR102239050B1 (ko) * 2020-09-02 2021-04-09 한병규 납작만두 제조방법
KR102536699B1 (ko) * 2022-03-16 2023-05-26 이은동 납작만두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9922B1 (ko) 2016-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922B1 (ko) 만두 제조장치
CN107821511B (zh) 一种切料式自动送模蛋挞机
CA1246938A (en) Die having air passages
MX2014010001A (es) Molde ultrasonico giratorio.
CN105309535B (zh) 一种小型包子机
TW201116213A (en) Donut-shaped food formation device and method
CN110973184B (zh) 一种饺子皮成形装置及其成形方法
CN205040529U (zh) 多功能一体包馅机
CN107927554B (zh) 一种发糕自动生产装置及其生产方法
CN111713338A (zh) 一种自动化食用菌固体接种系统
CN2203038Y (zh) 食用锅巴成型机
TWI688339B (zh) 食品材料排出裝置及其運轉方法、包餡食品製造裝置
CN205830934U (zh) 一种窝窝头自动成型机
KR100512922B1 (ko) 어묵으로 만두피를 제작한 만두 제조 시스템
CN111820254A (zh) 馄饨注馅装置
CN208972649U (zh) 一种糕点撒花瓣压片装置
CN212260006U (zh) 一种自动化食用菌固体接种系统
CN210610842U (zh) 糕点用自动包馅装置
CN112715595A (zh) 软浆料夹心饼干生产装置
CN210130316U (zh) 一种馄饨注馅装置
CN109303085B (zh) 设置有利用非接触性抓爪切面装置的面皮输送机构
JPH07246053A (ja) 固形食品材料を可塑性食品材料で被層状態に被覆した団塊状被覆食品の製造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装置
CN213404667U (zh) 一种立式双搅拢包子机
CN215684512U (zh) 软浆料夹心饼干生产装置
CN109720668B (zh) 一种用于膨化食品的包装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