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4833A -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4833A
KR20160064833A KR1020140169014A KR20140169014A KR20160064833A KR 20160064833 A KR20160064833 A KR 20160064833A KR 1020140169014 A KR1020140169014 A KR 1020140169014A KR 20140169014 A KR20140169014 A KR 20140169014A KR 20160064833 A KR20160064833 A KR 2016006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main body
lifting
folding frame
gas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171B1 (ko
Inventor
김익한
Original Assignee
(주)신영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포엠 filed Critical (주)신영포엠
Priority to KR102014016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1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는, 내부에 승강구동부가 설치된 본체부;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부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본체부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이동부; 일측이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의료용 촬영부재가 연결되고, 승강이동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상부접이부; 및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를 포함하고, 상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촬영부재가 승강이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촬영부재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촬영부재가 승강이동부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하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본체부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본체부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A FOLDABLE STAND FOR X-RAY DEVICE}
본 발명은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접이식구조를 가져 의료용 촬용장치의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 의료용 진단기기는 인체 내부질환을 영상을 통한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흉부, 두부, 소화관, 척추 및 상해를 입은 부위에서 인체의 뼈가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X선을 통해서 분석하는 기기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튜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촬영대상이 촬영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엑스레이 검출부를 통상 '엑스레이 디텍터(DR)'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X선 촬영장치의 X-ray 튜브나 디텍터는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검사실의 천정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디텍터 등이 장착되는 포스트프레임과 포스트프레임을 구동시키는 본체를 설치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천정형 X선 촬영장치의 경우, 천정에 가이드레일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제약을 받기 쉽고 이동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고특허 특1991-0005955에는 의료용 광학기기의 스탠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X-RAY와 같은 의료용 촬영장치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의료용 촬영장치가 좁은공간에서도 수납될 수 있도록 접이식 구조를 가진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는, 내부에 승강구동부가 설치된 본체부;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부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본체부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이동부; 일측이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의료용 촬영부재가 연결되고, 승강이동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상부접이부; 및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본체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를 포함하고, 상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촬영부재가 승강이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촬영부재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촬영부재가 승강이동부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하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본체부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본체부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강구동부는,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스프링본체와, 일단이 가스스프링본체에 삽입 또는 연장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스프링작동부재가 구비된 가스스프링부재; 가스스프링작동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와이어에 의해 가스스프링본체에 연결된 제 1 도르래롤러; 및 가스스프링본체의 상부로 이격되어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와이어에 의해 제 1 도르래롤러와 승강이동부에 연결된 제 2 도르래롤러를 포함하고, 가스스프링부재의 작동시 와이어는 제 1 도르래롤러와 제 2 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승강이동부를 잡아당겨 승강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접이부는,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 1 상부접이몸체; 일측이 상부회전축에 의해 제 1 상부접이몸체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촬영부재가 연결된 상부접이프레임; 제 1 상부접이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제 2 상부접이몸체; 및 제 2 상부접이몸체에 연결된 상부지지몸체와, 일단이 상부지지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접이프레임에 연결된 상부작동가이드봉이 구비된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부작동가이드봉은 상부접이프레임이 승강이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펼침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에서 연장되어 상부접이프레임을 지지하고, 상부접이프레임이 승강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졉혀진 접힘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로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접이부는, 일단이 본체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하부이동바퀴가 마련된 하부접이프레임; 일단에 보조바퀴가 연결되고, 타단이 기어유닛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에 기어연결된 보조접이프레임; 및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접이프레임과 보조접이프레임을 연결하는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접이프레임은 하부접이프레임이 본체부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기어유닛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과 연동되어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토록 작동되고, 하부접이프레임이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변환되면 기어유닛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과 연동되어 바닥면으로 멀어지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지지부는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지지몸체, 이동지지몸체에 연결되어 이동지지몸체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이동지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닥면을 지지하는 이동바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접이식 구조를 가져 의료용 촬영부재가 좁은공간에서도 수납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가져 의료용 촬영부재의 사용이 필요로 하는 곳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의 전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의 일부투명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지지부의 연결상태도 및 하부지지부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는, 본체부(110), 승강이동부(120), 승강구동부(130), 상부접이부(140), 하부접이부(150a, 150b)와 이동지지부(160a, 160b)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는 지지하우징(111)과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을 포함한다.
지지하우징(111)의 전면에는 하부접이부(150a, 150b)가 연결된다. 하부접이부(150a, 150b)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하우징(111)의 양측면에는 이동지지부(160a, 160b)가 각각 설치된다. 이동지지부(160a, 160b)는 본체부(110)가 바닥면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하는 부재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지하우징(111)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이 설치된다.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상부에는 본체손잡이(117)가 마련된다. 여기서, 본체손잡이(117)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의 이동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를 밀도록 제공된 것이다.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전면에는 홈부(115a)가 마련된다. 홈부(115a)의 내측면에는 본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레일홈(116)이 마련된다. 홈부(115a)에는 승강이동부(120)가 설치된다. 승강이동부(120)는 레일홈(116)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내부에는 홈부(115a)의 양측으로 승강구동부(130)가 각각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30)는 가스스프링부재(133), 제 1 도르래롤러(134), 제 2 도르래롤러(135)와 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한다.
가스스프링부재(133)는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가스스프링부재(133)는 레일홈(116)과 나란하게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가스스프링부재(133)는 가스스프링본체(133a)와 가스스프링작동부재(133b)로 이루어진다.
가스스프링본체(133a)는 제 1 지지몸체(131)와 제 2 지지몸체(132)에 의해 가스스프링부재(133)의 내부에 결합된다. 제 1 지지몸체(131)는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상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몸체(132)는 제 1 지지몸체(131)의 하부로 이격되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상단은 제 1 지지몸체(13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하단은 제 2 지지몸체(132)의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제 2 지지몸체(132)의 일측에는 와이어일단고정부재(132a)가 설치된다. 와이어일단고정부재(132a)는 와이어(미도시)의 연결시작점이다.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하단에는 가스스프링작동부재(133b)가 연결된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부재(133)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133b)의 상단은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하단에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가스스프링작동부재(133b)의 하단에는 제 3 지지몸체(133c)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3 지지몸체(133c)는 제 2 지지몸체(132)의 하부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3 지지몸체(133c)는 제 1 지지몸체(131)와 제 2 지지몸체(132)와 달리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승강이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133b)와 함께 이동된다.
제 3 지지몸체(133c)에는 제 1 도르래롤러(13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제 1 도르래롤러(134)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가스스프링본체(133a)에 연결된다. 제 1 도르래롤러(134)를 경유한 와이어(미도시)는 제 2 도르래롤러(135)로 이동된다.
제 2 도르래롤러(135)는 가스스프링본체(133a)의 상부로 이격되어 본체부(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도르래롤러(135)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제 1 도르래롤러(134)와 승강이동부(120)에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가지는 승강구동부(130)는 가스스프링부재(133)를 작동시켜 와이어(미도시)가 제 1 도르래롤러(134)와 제 2 도르래롤러(135)를 경유하여 승강이동부(120)를 잡아당기도록 하여 승강이동부(120)를 승강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승강이동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동부(120)는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홈부(115a)에 연결된다. 승강이동부(120)는 승강이동프레임(121)과 승강이동연결블럭(124)을 포함한다.
승강이동프레임(121)은 홈부(115a)에 안착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승강이동프레임(121)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승강이동연결블럭(124)이 설치된다. 여기서, 승강이동연결블럭(124)은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레일홈(116)에 연결된다. 승강이동연결블럭(124)에는 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된다.
승강이동연결블럭(124)은 승강구동부(130)의 작동시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레일홈(116)을 따라 이동되면서, 승강이동프레임(121)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승강이동프레임(121)의 상면에는 조작스위치(125)가 설치된다. 여기서, 조작스위치(125)는 가스스프링부재(133)에 연결된다. 여기서, 조작스위치(125)의 온(on)상태에서 가스스프링부재(133)는 와이어(미도시)가 승강이동부(120)를 잡아당기도록 작동되고, 오프(off)상태에서 가스스프링부재(133)는 와이어(미도시)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되도록 작동된다.
조작스위치(125)의 오프(off)상태에서 승강이동부(120)는 가스스프링부재(133)에 의해 와이어(미도시)에 가해지던 힘이 제거되어, 레일홈(116)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면서 홈부(115a)에 안착된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이동프레임(121)의 전면에는 상부접이부(140)가 설치된다. 상부접이부(140)는 일측이 승강이동부(120)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의료용 촬영부재(190)가 연결되고, 승강이동부(120)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접이부(140)는 승강이동프레임(1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상부접이부(140)는 상부접이프레임(141), 제 1 상부접이몸체(142a), 제 2 상부접이몸체(143)와 상부지지부재(144)를 포함한다.
제 1 상부접이몸체(142a)는 승강이동프레임(121)의 전면에 결합된다. 제 1 상부접이몸체(142a)에는 상부회전축(142)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접이프레임(141)은 일측이 상부회전축(142)에 의해 제 1 상부접이몸체(142a)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접이프레임(141)의 타단에는 촬영지지부재(146)가 연결된다. 촬영지지부재(146)에는 촬영부재(190)가 연결된다. 여기서, 촬영부재(190)는 X-RAY 촬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접이프레임(141)의 상면에는 상부접이손잡이(145)가 마련된다. 상부접이손잡이(145)는 상부접이프레임(141)의 펼침조작 및 접힘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부접이프레임(141)의 하면에는 상부지지부재(144)가 설치된다. 상부지지부재(144)는 제 2 상부접이몸체(143)와 상부접이프레임(141)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상부접이몸체(143)는 제 1 상부접이몸체(142a)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부지지부재(144)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부지지부재(144)는 상부접이프레임(141)의 펼침상태에서 상부접이프레임(141)을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상부지지부재(144)는 상부지지몸체(144a)와 상부작동가이드봉(144b)이 구비된다. 상부지지부재(144)로는 가스숏업쇼버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지지몸체(144a)는 일단이 제 2 상부접이몸체(143)에 연결된다. 상부지지몸체(144a)의 타단에는 상부작동가이드봉(144b)이 연결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144b)은 일단이 상부지지몸체(144a)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144b)의 타단은 상부접이프레임(141)에 고정된다.
상부작동가이드봉(144b)은 상부접이프레임(141)이 승강이동부(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펼침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144a)에서 연장되어 상부접이프레임(141)을 지지하고, 상부접이프레임(141)이 승강이동부(120)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접혀진 접힘상태에서 상부지지몸체(144a)로 삽입되도록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접이부(14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이식 구조를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침상태에서 촬영부재(190)가 승강이동부(120)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촬영부재(19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촬영부재(190)가 승강이동부(120)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된다. 이에 따라,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는 촬영부재(19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접이부(140)를 접어 촬영부재(190)가 공간 내의 다른 구조물과 부딪힘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촬영부재(190)를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하부접이부(150a, 15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접이부(150a, 150b)는 이동지지부(160a, 160b)와 더불어 바닥면에 대해 본체부(1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부접이부(150a, 150b)는 지지하우징(111)의 양측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접이부(150a, 150b)는 펼침상태에서 본체부(11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본체부(110)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다.
하부접이부(150a, 150b)는 상부접이부(140)의 펼침상태에서 본체부(110)가 촬영부재(19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하부접이부(150a)는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과 기어유닛(155a, 155b)으로 이루어지고, 기어유닛(155a, 155b)은 지지판(156a), 제 1 기어(159a), 제 2 기어(158a) 및 제 3 기어(157a)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은 일단이 지지하우징(1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하부이동바퀴(152a, 152b)가 마련된다. 여기서, 하부이동바퀴(152a, 152b)는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의 펼침상태에서 바닥면에 맞닿아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을 지지하는부재로서,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의 이동시 이동지지부(160a, 160b)와 더불어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의 이동을 보조한다.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은 일단에 보조바퀴(154a, 154b)가 연결되고, 타단이 기어유닛(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에 기어연결된다.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은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본체부(110)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기어유닛(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과 연동되어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어 바닥면에 지지된다.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은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변환되면 기어유닛(155a, 155b)에 의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과 연동되어 바닥면으로 멀어지도록 작동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유닛(155a, 155b)은 지지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과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에 기어연결된다. 기어유닛(155a, 155b)은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의 접힘작동 또는 펼침작동에 연동되어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으로 회전력을 제공한다. 기어유닛(155a, 155b)은 지지판(156a), 제 1 기어(159a), 제 2 기어(158a) 및 제 3 기어(157a)를 포함한다.
지지판(156a)은 지지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지지판(156a)에는 제 1 기어(159a), 제 2 기어(158a)와 제 3 기어(157a)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기어(159a)는 지지판에 기어결합된다. 제 1 기어(159a)는 제 2 기어(158a)와 제 3 기어(157a)의 중심점 역할을 한다. 제 1 기어(159a)에는 제 2 기어(158a)와 제 3 기어(157a)가 맞물려 기어연결된다.
제 2 기어(158a)는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 3 기어(157a)는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의 타단에 연결된다. 이때, 제 2 기어(158a)와 제 3 기어(157a)는 상호 간에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전면과 인접하게 접혀지면, 제 2 기어(158a)는 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기어(159a)는 제 2 기어(158a)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3 기어(157a)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3 기어(157a)는 제 1 기어(159a)와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의 보조바퀴(154a, 154b)는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전면과 가깝게 위치되도록 접혀지면, 바닥면을 지지토록 위치된다.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전면과 거의 수직인 상태로 펼져지면, 제 2 기어(158a)는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1 기어(159a)는 제 2 기어(158a)와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 3 기어(157a)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제 3 기어(157a)는 제 1 기어(159a)와 맞물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보조접이프레임(153a, 153b)의 보조바퀴(154a, 154b)는 바닥면과 이격되어 지지하우징(111)의 후면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150a, 150b)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본체부(110)를 지지하고, 접힘상태가 되면 하부접이프레임(151a, 151b)이 가이드레일하우징(115)의 전면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촬영부재(19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의 수납공간을 줄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동지지부(160a, 16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이동지지부(160a, 160b)는 이동지지몸체(161a, 161b), 베어링하우징(163a)과 이동바퀴(162a, 162b)가 구비된다.
이동지지몸체(161a, 161b)는 지지하우징(1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지지몸체(161a, 161b)에는 베어링하우징(163a)이 연결된다. 베어링하우징(163a)은 지지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베어링하우징(163a)은 이동지지몸체(161a, 161b)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이동바퀴(162a, 162b)는 이동지지몸체(161a, 161b)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바퀴(162a, 162b)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에 이동력을 제공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이동바퀴(162a, 162b)는 하부접이부(150a, 150b)의 하부이동바퀴(152a, 152b)와 보조바퀴(154a, 154b)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지지몸체(161a, 161b)는 상부접이부(140)와 하부접이부(150a, 150b)의 펼침상태에서 이동바퀴(162a, 162b)가 본체부(110)의 후면을 향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이동지지몸체(161a, 161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접이부(140)와 하부접이부(150a, 150b)의 접힘상태에서 이동바퀴(162a, 162b)가 본체부(110)의 전면을 향하도록 위치되어,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100)의 보관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110: 본체부
111: 지지하우징 115: 가이드레일하우징
115a: 홈부 116: 레일홈
117: 본체손잡이 120: 승강이동부
121: 승강이동프레임 124: 승강이동연결블럭
125; 조작스위치 130: 승강구동부
131: 제 1 지지몸체 132: 제 2 지지몸체
133: 가스스프링부재 133a: 가스스프링본체
133b: 가스스프링작동부재 133c: 제 3 지지몸체
134: 제 1 도르래롤러 135: 제 2 도르래롤러
140: 상부접이부 141: 상부접이프레임
142: 상부회전축 142a: 제 1 상부접이몸체
143: 제 2 상부접이몸체 144: 상부지지부재
144a: 상부지지몸체 144b: 상부작동가이드봉
145: 상부접이손잡이 146: 촬영지지부재
150: 하부접이부 150a, 150b: 하부접이부
151a, 151b: 하부접이프레임 152a, 152b: 하부이동바퀴
153a, 153b: 보조접이프레임 154a, 154b: 보조바퀴
155a, 155b: 기어유닛 156a: 지지판
160a, 160b: 이동지지부 161a, 161b: 이동지지몸체
162a, 162b: 이동바퀴 163a: 베어링하우징
190: 촬영부재

Claims (6)

  1. 내부에 승강구동부가 설치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를 바닥면에 대해 지지하는 이동지지부;
    상기 승강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승강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승강이동부;
    일측이 상기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촬영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이동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상부접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접히는 구조를 가진 하부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촬영부재가 상기 승강이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상기 촬영부재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상기 촬영부재가 상기 승강이동부에 맞닿게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하부접이부는 펼침상태에서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접힘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도록 작동되는 접이식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가스스프링본체와, 일단이 상기 가스스프링본체에 삽입 또는 연장가능하게 연결된 가스스프링작동부재가 구비된 가스스프링부재;
    상기 가스스프링작동부재의 타단에 연결되고, 와이어에 의해 상기 가스스프링본체에 연결된 제 1 도르래롤러; 및
    상기 가스스프링본체의 상부로 이격되어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제 1 도르래롤러와 상기 승강이동부에 연결된 제 2 도르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스프링부재의 작동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도르래롤러와 상기 제 2 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승강이동부를 잡아당겨 상기 승강이동부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접이부는,
    상기 승강이동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 1 상부접이몸체;
    일측이 상부회전축에 의해 상기 제 1 상부접이몸체에 소정의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촬영부재가 연결된 상부접이프레임;
    상기 제 1 상부접이몸체의 하부에 결합된 제 2 상부접이몸체; 및
    상기 제 2 상부접이몸체에 연결된 상부지지몸체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몸체의 내부공간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부접이프레임에 연결된 상부작동가이드봉이 구비된 상부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작동가이드봉은 상기 상부접이프레임이 상기 승강이동부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벌어진 펼침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상부접이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상부접이프레임이 상기 승강이동부와 인접하게 위치되도록 졉혀진 접힘상태에서 상기 상부지지몸체로 삽입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접이부는,
    일단이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하부이동바퀴가 마련된 하부접이프레임;
    일단에 보조바퀴가 연결되고, 타단이 기어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에 기어연결된 보조접이프레임;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과 상기 보조접이프레임을 연결하는 상기 기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접이프레임은
    상기 하부접이프레임이 상기 본체부에 인접하게 이동되어 접힘상태가 되면 상기 기어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바닥면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작동되고,
    상기 하부접이프레임이 접힘상태에서 펼침상태로 변환되면 상기 기어유닛에 의해 상기 하부접이프레임과 연동되어 상기 바닥면으로 멀어지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동지지몸체;
    상기 이동지지몸체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지지몸체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어링하우징; 및
    상기 이동지지몸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바닥면을 지지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KR1020140169014A 2014-11-28 2014-11-28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KR10166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14A KR101661171B1 (ko) 2014-11-28 2014-11-28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14A KR101661171B1 (ko) 2014-11-28 2014-11-28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33A true KR20160064833A (ko) 2016-06-08
KR101661171B1 KR101661171B1 (ko) 2016-09-29

Family

ID=5619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14A KR101661171B1 (ko) 2014-11-28 2014-11-28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41A (ko) * 2020-10-15 2022-04-22 김주형 이동식 x레이 스탠드
KR102474290B1 (ko) * 2021-07-20 2022-12-06 이육훈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357Y1 (ko) 2020-10-15 2023-01-11 김주형 멀티 포지셔닝 이동식 x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604B1 (ko) 1991-04-13 1999-08-02 구본준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51657A (ko) * 1999-01-25 2000-08-16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CN101347336A (zh) * 2008-07-09 2009-01-21 上海品兴科技有限公司 一种x线机的折叠式机架
KR100938477B1 (ko) * 2009-04-30 2010-01-25 (주)엠에프테크 액추에이터
KR20100063938A (ko)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미래인도 전동식 운반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604B1 (ko) 1991-04-13 1999-08-02 구본준 반도체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KR20000051657A (ko) * 1999-01-25 2000-08-16 장성권 수문용 권양장치
CN101347336A (zh) * 2008-07-09 2009-01-21 上海品兴科技有限公司 一种x线机的折叠式机架
KR20100063938A (ko) * 2008-12-04 2010-06-14 주식회사 미래인도 전동식 운반차
KR100938477B1 (ko) * 2009-04-30 2010-01-25 (주)엠에프테크 액추에이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9741A (ko) * 2020-10-15 2022-04-22 김주형 이동식 x레이 스탠드
KR102474290B1 (ko) * 2021-07-20 2022-12-06 이육훈 카트리지형태의 절첩가능한 제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171B1 (ko) 201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95438B2 (en) Movable X-ray generation apparatus
CN105594306B (zh) 移动式射线机之铰接显示设备
EP3342349B1 (en) Robotic operating table and hybrid operating system
JP4179564B2 (ja) X線透視撮影台およびx線透視撮影システム
KR101661171B1 (ko)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JP4656001B2 (ja) 回診用x線装置
JP5218677B2 (ja) X線撮影装置
JP6395650B2 (ja) X線撮影装置
JP2010110571A (ja) 撮影装置及びマンモグラフィ装置
JP5114145B2 (ja) X線撮影装置
JP6342151B2 (ja) 移動型x線診断装置
JP6632211B2 (ja) 放射線撮像装置
JP4415786B2 (ja) 移動式x線撮影装置
WO2009116111A1 (en) A multi-purpose radiological apparatus
RU2587313C1 (ru) Универсальный рентгеновский комплекс
WO2013145822A1 (ja) 移動型x線装置および平板型検出器の取り出し方法
JP4655586B2 (ja) X線透視撮影装置
JP2008259884A (ja) X線透視撮影台
KR20190131640A (ko) 의료장비 이송장치
JP6462287B2 (ja) 移動型x線診断装置
JP5537718B1 (ja) 移動型x線診断装置
JP6362852B2 (ja) 移動型x線診断装置
KR200496357Y1 (ko) 멀티 포지셔닝 이동식 x레이 장치
JP2010213996A (ja) X線画像撮影装置
JP2009195581A (ja) X線透視撮影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x線透視撮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