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3938A - 전동식 운반차 - Google Patents
전동식 운반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63938A KR20100063938A KR1020080122317A KR20080122317A KR20100063938A KR 20100063938 A KR20100063938 A KR 20100063938A KR 1020080122317 A KR1020080122317 A KR 1020080122317A KR 20080122317 A KR20080122317 A KR 20080122317A KR 20100063938 A KR20100063938 A KR 201000639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frame
- electric motor
- wheel
- way bea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B62M7/02—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with engine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구동바퀴가 후진방향으로 급발진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방전되어 상기 배터리 등이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원웨이 베어링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원웨이 베어링, 구동바퀴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차(運搬車)는 물건 따위를 실어 나르는 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최근에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바퀴가 구비된 전동식 운반차가 제안되었다.
상기 전동식 운반차는 통상적으로 크게,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상부면에 적재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의 정역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 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을 자동으로 보다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이 역방향으로 특히, 고속회전할 시 상기 구동바퀴 또한 상기 구동축을 따라 고속회전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상기 구동바퀴가 후진방향으로 급발진될 우려가 다분해지게 되어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방전될 경우 상기 배터리 등이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어 상기 전동모터가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자가 상기 프레임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구동바퀴가 후진방향으로 급발진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됨은 물론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방전되어 상기 배터리 등이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원웨이 베어링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전동식 운반차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운반차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퀴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축 사이에는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축의 회전 으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고정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 1회전부재와; 상기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제 2회전부재와; 상기 제 1, 2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축고정되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제 2회전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제 2회전부재는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며,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상기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축의 외주연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축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프레임의 전진 및 후진을 조작할 수 있는 전후진 조작부와; 상기 전후진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대의 양측에는 좌우이동가능한 보조바퀴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바퀴부재는 상기 고정대상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에 상단이 좌우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보조바퀴와; 상기 고정대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대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의 상단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어 전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바퀴가 원웨이 베어링을 통해 자동으로 전진방향으로만 회전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의 조작 미숙으로 상기 구동바퀴가 후진방향으로 급발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방전되어 상기 베터리 등이 상기 전동모터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상기 원웨이 베어링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된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동력상태에서도 상기 프레임이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축의 외주연에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될 시 상기 원웨이 베어링이 상기 축과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의 전후이동은 물론 특히 상기 프레임의 좌우회전이동 또한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작업자가 전후진 조작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이 후진될 수 있도록 조작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을 수동으로 직접 후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후진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을 후진방향으로 특히, 고속회전시켜도 상기 원웨이 베어링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가 상기 구동축을 따라 후진방향으로 고속회전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후진방향으로 상기 프레임이 급발진될 우려가 더욱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이 예를 들어,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을 따라 이동될 시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고정대의 양측에 구비된 보조바퀴부재가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의 좌우폭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이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을 따라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 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동식 운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동식 운반차는 예를 들어, 기계부품, 폐목, 볏짚 등을 일정장소로 운반하는 운반차로써 사용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쓰레기 등을 수거하는데 사용되는 쓰레기 수거용 손수레 또는 리어카 및 과수농가에서 수확된 농작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과수운반용 손수레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전동식 운반차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기계부품, 폐목, 볏짚 등의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미도시)이 상부면에 적재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예를 들어,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손잡이부(3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전후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바퀴(50)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바퀴(50)의 전후진회전으로 상기 프레임(10)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50)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 손잡이부(30), 구동바퀴(50) 및 전동모터(70)는 종래의 기술과 동일함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상기 구동바퀴(50)가 상기 전동모터(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베어링(one way bearing)은 한쪽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축이음으로써, 원웨이 클러치(one way clutch)라고도 불리우며, 왕복회전운동(래크와 피니언, 크랭크와 레버)을 일정방향의 간헐 회전운동으로 전환하고, 역전을 방지하며, 일주방지(逸走昉止)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동력전달부재(100), 구동바퀴(50) 및 원웨이 베어링(90)의 결합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모터(70)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축(15) 사이에는 상기 전동모터(70)의 동력을 상기 축(15)으로 전달하여 상기 축(15)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5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100)는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에 축고정되어 상기 구동축(71)을 따라 정역회전하는 제 1회전부재(101)와;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제 1회전부재(101)보다 외경이 큰 제 2회전부재(103)와; 상기 제 1, 2회전부재(101, 103)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전동모터(70)의 동력을 상기 축(15)으로 전 달하는 동력전달수단(10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제 1, 2회전부재(101, 103)는 풀리 또는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05)은 상기 풀리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벨트 또는 상기 스프로켓의 외주연에 감겨지는 체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구동바퀴(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15)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에 축고정되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축(15)과 상기 동력전달부재(100)의 제 2회전부재(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동력전달부재(100)의 제 2회전부재(103)는 상기 구동축(71)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제 2회전부재(103)를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축(15)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이 상기 축(15)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될 경우 상기 축(15)의 외주연 중심부에 축고정된 상기 구동바퀴(50)는 상기 축(15)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이 전진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부재(100)의 제 2회전부재(103)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 상기 구동바퀴(50)는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며,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축(15)과 상기 구동바퀴(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축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이 전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동력전달부재(100)의 제 2회전부재(103)는 상기 축(15)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축(15)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구동바퀴(50)가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이 전진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15)의 외주연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5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축(15)과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회전결합된 상기 구동바퀴(50)를 설명의 편의상 일측 구동바퀴(51)와 타측 구동바퀴(53)라 칭하기로한다.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5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예를 들어, 전진 중인 상기 프레임(10)을 좌측방향으로 직접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구동바퀴(50)와 상기 축(15) 사이에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타측 구동바퀴(53)는 상기 일측 구동바퀴(51)보다 더 빠른 속도로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이 보다 용이하게 좌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작업자가 예를 들어, 전진 중인 상기 프레임(10)을 우측방향으로 직접 회전이동시킬 시 상기 구동바퀴(50)와 상기 축(15) 사이에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이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일측 구동바퀴(51)는 상기 타측 구동바퀴(53)보다 더 빠른 속도로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이 보다 용이하게 우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50)가 회저가능하도록 축결합될 시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이 상기 축(15)과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의 전후이동은 물론 특히, 상기 프레임(10)의 좌우회전이동 또한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제어부(15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30)의 상부에는 상기 프레임(10)의 전진 및 후진을 조작할 수 있는 전후진 조작부(151)가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상에는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상에 구비되는 공지된 배터리(153) 등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을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는 예를 들어, 상기 손잡이부(30)상에 레버식 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튼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작업자가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이 전진될 수 있도록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은 상기 제 2회전부재(103)를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축(15)을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 2회전부재(103)가 전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기 축(15)을 따라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50)가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프레임(10)이 전진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작업자가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이 후진될 수 있도록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을 후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축(15)과 상기 제 2회전부재(10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축결합되거나 상기 축(15)과 구동바퀴(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15)의 외주연에 축결합된 상기 원웨이 베어링(90)(도 3 및 도 4 참조.)은 공회전(空回轉)하게 된다.
즉,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이 후진방향으로 회전할 시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이 공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바퀴(50)가 상기 구동축(71)을 따라 후진방향으로 특히 고속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작업자가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이 후진될 수 있도록 조작함으로써,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프레임(10)을 수동으로 직접 후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전후진 조작부(15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70)의 구동축(71)을 후진방향으로 특히, 고속회전시켜도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에 의해 상기 구동바퀴(50)가 상기 구동축(71)을 따라 후진방향으로 고속회전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후진방향으로 상기 프레임(10)이 급발진될 우려가 더욱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의 미설명 부호 130은 예를 들어, 상기 축(15)에 마찰력을 가하여 상기 축(15)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상기 축(15)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브레이크로써,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보조바퀴부재(1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의 후방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대(11)의 양측에는 좌우이동가능한 보조바퀴부재(17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보조바퀴부재(170)는 예를 들어, 상기 고정대(11)상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113)에 상단이 좌우회전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되는 브라켓(171)과; 상기 브라켓(171)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보조바퀴(175)와; 상기 고정대(11)의 삽입구(113)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171)의 상단 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173)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대(11)의 삽입구(113)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171)의 상단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1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이 예를 들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190)을 따라 이동될 시 상기 프레임(10)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상기 고정대(11)의 양측에 구비된 상기 보조바퀴부재(170)가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190)의 좌우폭(도 7의 W)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11)에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10)이 특히, 논이나 밭 등에 형성된 골(190)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동모터(7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구동바퀴(50)가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을 통해 자동으로 전진방향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가 조작 미숙으로 상기 구동바퀴(50)가 후진방향으로 급발진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에게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없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동모터(70)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배터리(153) 등이 방전되어 상기 베터리 등이 상기 전동모터(70)로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게 되더라도 상기 원웨이 베어링(90)을 통해 작업자가 수동으로 직접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미도시)이 적재된 상기 프레임(10)을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동력상태에서도 상기 프레임(10)이 이동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동식 운반차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동력전달부재, 구동바퀴 및 원웨이 베어링의 결합상태를 개략으로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6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보조바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11; 고정대,
13; 삽입구, 30; 손잡이부,
50; 구동바퀴, 70; 전동모터,
71; 구동축, 90; 원웨이 베어링,
100; 동력전달부재, 101; 제 1회전부재,
103; 제 2회전부재, 105; 동력전달수단,
130; 브레이크, 150; 제어부,
151; 전후진 조작부, 153; 배터리,
170; 보조바퀴부재, 171; 브라켓,
173; 홀, 175; 보조바퀴,
177; 이탈방지핀, 190; 골.
Claims (6)
-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재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의 회전으로 상기 프레임이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바퀴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식 운반차에 있어서,상기 구동바퀴가 상기 전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전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원웨이 베어링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전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양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축 사이에는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축으로 전달하여 상기 축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가 구비되고,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축에 축고정되어 상기 구동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 1회전부재와; 상기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는 제 2회전부재와; 상기 제 1, 2회전부재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전동모터의 동력을 상기 축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 이루어지고,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축고정되고,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제 2회전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제 2회전부재는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고정되고,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축의 외주연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며, 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상기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축의 외주연에는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상기 원웨이 베어링은 상기 축과 2개 이상의 상기 구동바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상기 축의 외주연에 2개 이상으로 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전진 및 후진을 조작할 수 있는 전후진 조작부와;상기 전후진 조작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대의 양측에는 좌우이동가능한 보조바퀴부재가 더 구비되고,상기 보조바퀴부재는 상기 고정대상에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는 삽입구에 상단이 좌우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삽입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보조바퀴와; 상기 고정대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홀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고정대의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브라켓의 상단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운반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2317A KR101009728B1 (ko) | 2008-12-04 | 2008-12-04 | 전동식 운반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22317A KR101009728B1 (ko) | 2008-12-04 | 2008-12-04 | 전동식 운반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63938A true KR20100063938A (ko) | 2010-06-14 |
KR101009728B1 KR101009728B1 (ko) | 2011-01-19 |
Family
ID=4236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22317A KR101009728B1 (ko) | 2008-12-04 | 2008-12-04 | 전동식 운반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972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06934A (zh) * | 2012-09-11 | 2012-12-05 |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超市购物电动手推车 |
KR20160064833A (ko) * | 2014-11-28 | 2016-06-08 | (주)신영포엠 |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90002022Y1 (ko) * | 1986-07-07 | 1989-04-10 | 최정남 | 유모차의 바퀴회동 조절장치 |
WO2000063467A1 (fr) * | 1999-04-20 | 2000-10-26 | Naoetsudenshikogyo-Kabushikigaisha | Plaquette epitaxiale de silicium et procede de fabrication associe |
JP2001070376A (ja) * | 1999-08-31 | 2001-03-21 | Mitsuba Corp | 移動補助具 |
KR200171529Y1 (ko) | 1999-09-07 | 2000-03-15 | 최준호 | 전동식 운반구 |
KR20020095621A (ko) * | 2001-06-15 | 2002-12-28 | 주식회사 에이알 | 밀폐형 냉각탑 및 그 제어방법 |
KR200295621Y1 (ko) * | 2002-08-27 | 2002-11-18 | 한상규 | 소형 운반차 |
-
2008
- 2008-12-04 KR KR1020080122317A patent/KR10100972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806934A (zh) * | 2012-09-11 | 2012-12-05 | 无锡莱吉特信息科技有限公司 | 一种超市购物电动手推车 |
KR20160064833A (ko) * | 2014-11-28 | 2016-06-08 | (주)신영포엠 | 접이식 의료용 스탠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9728B1 (ko) | 2011-01-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1114179A (ja) | 電動自転車用の運動エネルギー回生装置 | |
JP2022120595A (ja) | 電動作業車 | |
KR101009728B1 (ko) | 전동식 운반차 | |
JP4973183B2 (ja) | コンバイン | |
US10882554B2 (en) | Walk behind power equipment with tight turning capability | |
JP5641160B1 (ja) |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 |
CN206125155U (zh) | 一种电控转运车 | |
KR100672743B1 (ko) | 농업용 운반기구 | |
JP2008296830A (ja) | 搬送車の操舵装置 | |
JP2015208269A (ja) |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 |
JP4671471B2 (ja) | 軌道上作業台車 | |
JP4317140B2 (ja) | 除雪機 | |
JP3576389B2 (ja) | 自走式ホース巻取装置 | |
JP3604064B2 (ja) | 薬液散布機 | |
JP4499858B2 (ja) | 動力噴霧機用ホース巻取機構 | |
KR200348252Y1 (ko) | 유모차 구동장치 | |
JPH07277194A (ja) | 一輪車 | |
JPS6024120Y2 (ja) | 自走式藁カツタ | |
JP3883717B2 (ja) | 動力散布機 | |
JP4157728B2 (ja) | 作業機のレバー装置 | |
KR100276529B1 (ko) | 릴와인더 부착형 자주식 엔진 풀라 | |
JP2002000090A (ja) | マルチフィルム回収機 | |
JP3947965B2 (ja) | 無人搬送車の操舵装置 | |
JP3678341B2 (ja) | 自走式ホース巻取り装置 | |
JP2011225041A (ja) | 電動アシスト台車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